KR102413106B1 -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106B1
KR102413106B1 KR1020190165518A KR20190165518A KR102413106B1 KR 102413106 B1 KR102413106 B1 KR 102413106B1 KR 1020190165518 A KR1020190165518 A KR 1020190165518A KR 20190165518 A KR20190165518 A KR 20190165518A KR 102413106 B1 KR102413106 B1 KR 10241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oduction
oil gas
oi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630A (ko
Inventor
장일호
이승재
Original Assignee
광성지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지엠(주) filed Critical 광성지엠(주)
Priority to KR1020190165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10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1/00Equipment o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E21B15/00 - E21B40/00
    • E21B41/0092Methods relating to program engineering, design or optimis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1/00Equipment o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E21B15/00 - E21B40/00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00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3/12Methods or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the obtained fluid to or in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7/00Survey of boreholes or wells
    • E21B47/008Monitoring of down-hole pump systems, e.g. for the detection of "pumped-off"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9/00Testing the nature of borehole walls; Formation testing; Methods or apparatus for obtaining samples of soil or well fluids, specially adapted to earth drilling or w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층 조건에 따른 가스 생산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및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도출할 수 있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은 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되는 공급 탱크가 구비된 가스 공급 모사부와, 상기 공급 탱크에 수용된 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부재와, 상기 생산 부재를 통해 생산된 가스를 전송하는 전송 부재가 구비된 가스 생산 모사부, 및 가스 생산 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ANALYSYS AND MONITORING SYSTEM FOR UNCONVENTIONAL OIL AND GAS PRODUCING CARACTERISTIC}
본 발명은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층 조건에 따른 유가스 생산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및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도출할 수 있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류층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공채유법은 전 세계 생산정의 95%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ESP(Electrical Submersible Pump)는 전통 유전, 가스전뿐만 아니라 비전통 유전, 가스전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ESP는 과열, 마모, 부식 등에 의해 펌프 성능과 수명이 감소하며, 노후된 펌프 교체에 따른 추가 비용과 생산 중단이 발생하기 때문에 ESP 수명 예측이 중요하다.
ESP 성능 예측을 위해서는 다양한 고장사례 조사를 통해 고장 발생 메커니즘과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ESP 정상상태 및 고장에 따른 성능저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험실 규모의 플로우 루프(Flow Loop) 실험이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ESP 성능 분석에 필요한 유동 실험변수를 분류하고 실험 범위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현재까지는 이러한 ESP 성능 분석이 가능한 설비가 없으므로 이에 대한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류층 조건에 따른 유가스 생산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 메커니즘 및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도출할 수 있는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되는 공급 탱크가 구비된 유가스 공급 모사부와, 상기 공급 탱크에 수용된 유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부재와, 상기 생산 부재를 통해 생산된 유가스를 전송하는 전송 부재가 구비된 유가스 생산 모사부, 및 유가스 생산 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가스 공급 모사부에는 상기 공급 탱크의 내부에 유가스가 포함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 탱크에는 내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가스 공급 및 생산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 부재와, 내부 개폐를 위한 개폐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 부재는 상기 생산 부재를 통해 생산되는 유가스가 이동하는 내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 튜브를 승온 및 가압하는 외측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 튜브를 감싸면서 상기 내측 튜브를 승온 및 가압하는 작동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튜브에는 내부에 수용된 작동 유체를 승온하기 위한 승온 부재와,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유체를 추가 공급해서 상기 내측 튜브를 가압하기 위한 인렛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에는 유가스 생산 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감지하는 측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측정 부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가스 생산 모사부를 통해 기체 상태의 가스와 액체 상태의 유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액체 상태의 유체만 다시 상기 유가스 공급 모사부로 회수하기 위한 순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부는, 상기 내측 튜브와 연통되어 전송되는 유가스와 유체가 동시에 이동하는 상부 순환 배관과, 상기 상부 순환 배관과 연통되어 유가스와 유체가 전송되되, 가스는 제거하고, 유체만 분리하여 전송시키는 버퍼 탱크, 및 상기 버퍼 탱크로부터 전송되는 유체가 상기 유가스 공급 모사부로 회수되도록 상기 버퍼 탱크와 상기 공급 탱크를 연통시키는 하부 순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 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순환 배관을 통해 전송된 가스와 유체 중에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순환 배관의 직경은 상기 상부 순환 배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실제 생산 현장과 동일하게 유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유가스를 생산하면서 이를 모니터링 하도록 구성되므로 실제 생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메커니즘 도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가스 공급 모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모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가스 공급 모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 모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되는 공급 탱크(110)가 구비된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와, 이러한 공급 탱크(110)에 수용된 유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부재(210)와, 생산 부재(210)를 통해 생산된 유가스를 전송하는 전송 부재(220)가 구비된 유가스 생산 모사부(200)를 포함한다.
전술한 공급 탱크(110)의 내부에는 전통 유전/가스전뿐만 아니라 셰일 가스와 같은 비전통 유전/가스전을 모사할 수 있도록 유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된다.
셰일 가스의 경우 탄화수소가 풍부한 셰일층에서 개발, 생산되는 천연가스로서, 보통의 천연가스는 셰일층에서 생성된 뒤 지표면으로 이동해서 한 군데에 고여 있는 반면, 셰일 가스는 가스가 투과하지 못하는 암석층에 막혀서 이동하지 못한 채 셰일층에 갇혀 있는 가스이므로 공급 탱크(110)의 내부에는 이러한 환경을 모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에 이러한 환경이 모사된 상태에서 유가스 생산 모사부(200)는 유가스를 생산해서 전송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 탱크(110)에 수용된 유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부재(210)와, 생산된 유가스를 전송하는 전송 부재(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생산 부재(210)는 앞서 살펴본 ESP(Electrical Submersible Pump)가 사용될 수 있으나, 셰일 가스와 같은 기체 상태의 가스와 액체 상태의 유체가 혼합된 상태에서 생산이 가능한 구성이라면 다른 종류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셰일 가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실제 셰일 가스 생산 상태를 정확하게 모사할 필요가 있다. 즉, 셰일 가스는 암석의 미세한 틈새에 넓게 퍼져 있는 것이 특징이므로 기존의 천연 가스와 같은 수직 시추는 불가능하고, 수평 시추와 같은 방식으로 생산이 가능하므로 유가스 생산 모사부(200)에는 이와 같은 수평 시추 상황을 정확하게 모사한 상태에서 유가스 생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가스 생산 시 생산 부재(210)와 전송 부재(220)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300)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실제 생산 현장과 동일하게 유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된 상태에서 유가스를 생산하면서 이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실제 생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한 메커니즘 도출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에는 공급 탱크(110)의 내부에 유가스가 포함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공급 부재(120)를 통해서 셰일 가스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지하에 매장된 상태를 모사할 수 있도록 이러한 유가스와 함께 물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공급 탱크(110)에는 내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가스 공급 및 생산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 부재(130)와, 내부 개폐를 위한 개폐 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확인 부재(130)를 이용해서 생산 부재(210)를 통해 유가스를 포함하는 유체가 원활하게 생산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급 탱크(110)의 내부에 공기를 불어넣기 위한 에어 스파저(Air Spager) 및 공급 탱크(110) 내부의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 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된 유가스를 전송하는 전송 부재(220)는 생산 부재(210)를 통해 생산되는 유가스가 이동하는 내측 튜브(221), 및 내측 튜브(22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측 튜브(221)를 승온 및 가압하는 외측 튜브(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튜브(221)는 생산 부재(210)에 직접 연통 설치되어 생산되는 유가스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셰일 가스의 경우 일반적인 천연 가스와는 다르게 훨씬 깊은 위치에 존재하게 되며, 깊은 위치에서 생산되는 셰일 가스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성능저하 영향인자를 정확하게 도출하기 위해서는 내측 튜브(221)에도 셰일 가스가 매장된 깊은 위치를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튜브(222)를 이용해서 내측 튜브(221)를 승온 및 가압하게 된다.
아울러 외측 튜브(222)에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분할 영역 별로 내측 튜브(221)를 가압 및 승온하는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셰일 가스 생산 시의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외측 튜브(222)의 내부에는 내측 튜브(221)를 감싸면서 내측 튜브(221)를 승온 및 가압하는 작동 유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튜브(221)를 승온하기 위한 작동 유체로는 비열이 큰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을 사용할 경우 비열이 크므로 세팅 초기에는 물의 온도를 셰일 가스가 매장된 지하 상황에 맞게 일정 온도까지 승온하는데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으나, 일단 물을 일정 온도까지 승온하게 되면 온도 변화 폭이 크지 않으므로 지하 상황에 맞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내측 튜브(221)를 가압하기 위한 작동 유체로는 질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측 튜브(2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질소의 양을 조절하여 내측 튜브(221)의 가압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튜브(222)에는 내부에 수용된 작동 유체를 승온하기 위한 승온 부재(223)와, 외측 튜브(222)의 내부에 유체를 추가 공급해서 내측 튜브(221)를 가압하기 위한 인렛(222a)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온 부재(223)를 이용해서 외측 튜브(222) 내부에 수용된 작동 유체의 승온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인렛(222a)을 이용해서 질소와 같은 유체가 추가 공급되는 정도를 조절해서 내측 튜브(221)가 가압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승온 부재(223)는 외측 튜브(222)를 감싸는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외측 튜브(222)에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응되도록 승온 부재(223)와 인렛(222a)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셰일 가스의 지하 매장 상황을 더욱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 부재(210)와 전송 부재(220)에는 유가스 생산 시 생산 부재(210)와 전송 부재(220)의 상태를 감지하는 측정 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부재(230)는 생산 부재(210)와 전송 부재(220)에 구비되어 유가스 생산 시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또는 유가스 생산 시에 발생하는 음향, 진동 등을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전술한 모니터링부(300)는 측정 부재(230)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해서 생산 부재(210)와 전송 부재(220)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되는 신호를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 저장 신호를 PCL(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받아서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측정 부재(230)는 유가스가 전송되는 상태에서의 온도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내측 튜브(221)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생산 시스템을 사용이 반복되면서 측정 부재(230)를 교체할 필요가 있거나, 다른 인자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 부재(230)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와 같이 내측 튜브(221)에 구비된 측정 부재(2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외측 튜브(222)의 내부에 구비된 물과 질소와 같은 유체를 배출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별도의 아웃렛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을 통해 외측 튜브(222)의 내부에 구비된 유체가 배출되면 외측 튜브(222)를 고정하고 있는 플랜지의 볼트를 풀어서 외측 튜브(22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외측 튜브(222)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 튜브(222)가 분리되면 내측 튜브(221)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측정 부재(23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가스 생산 모사부(200)를 통해 기체 상태의 가스와 액체 상태의 유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액체 상태의 유체만 다시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로 회수하기 위한 순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유가스 생산 시스템의 테스트가 반복될수록 공급 탱크(110)의 내부에 수용된 다량의 유가스와 유체가 생산되는데, 공기와 같은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더라도 물과 같은 유체는 순환부(400)를 통해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로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순환부(400)는 내측 튜브(221)와 연통되어 전송되는 유가스와 유체가 동시에 이동하는 상부 순환 배관(410)과, 상부 순환 배관(410)과 연통되어 유가스와 유체가 전송되되, 가스는 제거하고, 유체만 분리하여 전송시키는 버퍼 탱크(420), 및 버퍼 탱크(420)로부터 전송되는 유체가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로 회수되도록 버퍼 탱크(420)와 공급 탱크(110)를 연통시키는 하부 순환 배관(430)을 포함한다.
상부 순환 배관(410)의 경우 내측 튜브(221)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직경 감소로 인해 불필요한 저항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순환 배관(410)을 통해 유가스와 유체가 버퍼 탱크(420)로 전송된 후 공기와 같은 가스는 제거하고, 물과 같은 유체만 하부 순환 배관(430)을 통해 유가스 공급 모사부(100)로 회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 탱크(420)의 상부에는 상부 순환 배관(410)을 통해 전송된 유가스와 유체 중에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 부재(4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스 배출 부재(421)가 상부에 구비되므로 공기와 같은 가스는 비중이 작아서 가스 배출 부재(421)를 통해 제거되고, 물과 같은 유체는 비중이 커서 하부 순환 배관(430)을 통해 회수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 순환 배관(430)의 직경(d2)은 상부 순환 배관의 직경(d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버퍼 탱크(420) 내부에 수용된 유체가 버퍼 탱크(420)에 머무르지 않고, 바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버퍼 탱크(420)에서 유체가 넘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유가스 공급 모사부 110 : 공급 탱크
120 : 공급 부재 130 : 확인 부재
140 : 개폐 부재 200 : 유가스 생산 모사부
210 : 생산 부재 220 : 전송 부재
221 : 내측 튜브 222 : 외측 튜브
222a : 인렛 223 : 승온 부재
230 : 측정 부재 300 : 모니터링부
400 : 순환부 410 : 상부 순환 배관
420 : 버퍼 탱크 421 : 가스 배출 부재
430 : 하부 순환 배관
d1 : 상부 순환 배관의 직경
d2 : 하부 순환 배관의 직경

Claims (11)

  1. 유가스를 포함한 유체가 수용되는 공급 탱크가 구비된 유가스 공급 모사부;
    상기 공급 탱크에 수용된 유가스를 생산하는 생산 부재와, 상기 생산 부재를 통해 생산된 유가스를 전송하는 전송 부재가 구비된 유가스 생산 모사부;
    상기 유가스 생산 모사부를 통해 기체 상태의 가스와 액체 상태의 유체가 동시에 전송되는 경우 액체 상태의 유체만 다시 상기 유가스 공급 모사부로 회수하기 위한 순환부; 및
    유가스 생산 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부재는,
    상기 생산 부재를 통해 생산되는 유가스가 이동하는 내측 튜브; 및
    상기 내측 튜브의 외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 튜브를 승온 및 가압하는 외측 튜브;
    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부는,
    상기 내측 튜브와 연통되어 전송되는 유가스와 유체가 동시에 이동하는 상부 순환 배관;
    상기 상부 순환 배관과 연통되어 유가스와 유체가 전송되되, 가스는 제거하고, 유체만 분리하여 전송시키는 버퍼 탱크; 및
    상기 버퍼 탱크로부터 전송되는 유체가 상기 유가스 공급 모사부로 회수되도록 상기 버퍼 탱크와 상기 공급 탱크를 연통시키는 하부 순환 배관;
    을 포함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스 공급 모사부에는 상기 공급 탱크의 내부에 유가스가 포함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 부재가 구비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탱크에는 내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유가스 공급 및 생산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확인 부재와, 내부 개폐를 위한 개폐 부재가 구비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 튜브를 감싸면서 상기 내측 튜브를 승온 및 가압하는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튜브에는 내부에 수용된 작동 유체를 승온하기 위한 승온 부재와,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에 유체를 추가 공급해서 상기 내측 튜브를 가압하기 위한 인렛이 형성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에는 유가스 생산 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감지하는 측정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측정 부재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해서 상기 생산 부재와 상기 전송 부재의 상태를 확인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탱크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 순환 배관을 통해 전송된 유가스와 유체 중에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 부재가 구비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순환 배관의 직경은 상기 상부 순환 배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165518A 2019-12-12 2019-12-12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518A KR102413106B1 (ko) 2019-12-12 2019-12-12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518A KR102413106B1 (ko) 2019-12-12 2019-12-12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30A KR20210074630A (ko) 2021-06-22
KR102413106B1 true KR102413106B1 (ko) 2022-06-24

Family

ID=7660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518A KR102413106B1 (ko) 2019-12-12 2019-12-12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1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305B1 (ko) * 2021-09-15 2023-11-07 광성지엠(주) 유가스정 지중 생산 조건 및 장애 요소를 반영한 esp 및 튜빙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험 방법(esp mapping and surging)
KR102599460B1 (ko) * 2021-09-15 2023-11-07 광성지엠(주) 유가스정 지중 생산 조건 및 장애 요소를 반영한 esp 및 튜빙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험 방법(tubing leak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4163A1 (en) * 2007-04-24 2009-01-15 Rod Thomas Temperature Controlled Pipe Systems And Methods
KR101350340B1 (ko) 2012-05-08 2014-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산모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산모사방법
KR101359576B1 (ko) 2013-09-09 2014-02-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저류층 조건의 이산화탄소 거품 생성 및 분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60B1 (ko) * 2009-11-13 2011-09-27 박상엽 환경 친화적인 산업용 폴리카보네이트판넬 물탱크
KR101381686B1 (ko) * 2011-11-30 2014-04-1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함유 시추시료를 이용한 생산 실험연구용 장치
KR101722598B1 (ko) * 2014-02-17 2017-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공정을 테스트하기 위한 가스공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4163A1 (en) * 2007-04-24 2009-01-15 Rod Thomas Temperature Controlled Pipe Systems And Methods
KR101350340B1 (ko) 2012-05-08 2014-01-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산모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생산모사방법
KR101359576B1 (ko) 2013-09-09 2014-02-2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저류층 조건의 이산화탄소 거품 생성 및 분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30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106B1 (ko) 비전통 유가스전 생산 특성 분석 모니터링 시스템
Rocha-Valadez et al. Assessing wellbore integrity in sustained-casing-pressure annulus
CA255902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waste disposal engineering and operations using a probabilistic approach
RU248424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ебита скважин
EP3336303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arting, restarting, monitoring and increasing performance of a production and/or injection system
NO345567B1 (no)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deteksjon av vanninntrengning og intervensjon i en produksjonsbrønn
US20130180722A1 (en) Technique of fracturing with selective stream injection
MX2015001078A (es) Monitoreo, diagnostico y optimizacion de operaciones de extraccion artificial por gas.
US117029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pressure integrity testing (APIT)
CN104265211A (zh) 使用压力场特征预测注入井异常的方法
US20200202047A1 (en) Method For Performing Well Performance Diagnostics
CN107567532A (zh) 通过氮气举升、生产测井和恢复测试以单次连续油管延伸进行试井操作的方法
KR102305013B1 (ko) 유가스정 지중 생산 조건 및 장애 요소를 반영한 esp 및 튜빙 모니터링 시스템
CN110678626A (zh) 注入井中的或与注入井相关的改进
KR102599460B1 (ko) 유가스정 지중 생산 조건 및 장애 요소를 반영한 esp 및 튜빙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험 방법(tubing leakage)
KR102599305B1 (ko) 유가스정 지중 생산 조건 및 장애 요소를 반영한 esp 및 튜빙 모니터링 시스템의 시험 방법(esp mapping and surging)
Das et al. HPHT well integrity: load-resistance monitoring and predictive analysis
Han et al. New Mexico Delaware Basin Horizontal Well Heel Frac and Refrac Program and Hydraulic Fracture Diagnostics
RU2320868C1 (ru) Способ опрессовки колонны насосно-компрессорных труб нагнетательной скважины
RU2319001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 нарушений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й колонны скважины
AL-Shuaibi et al. Hot Oil Now a Successful Optimization Acceleration Project, Safer, Faster and Hotter: A Case Study of Optimization Challenges in a Thermal Steam Flood Field, South of Sultanate of Oman
Maxwell et al. Geomechanical assessment of seismic hazard from hydraulic fracturing
CA3185138A1 (en) Test system for a pressure control equipment system
Maxwell et al. Geomechanical Assessment of Seismic Potential from Hydraulic Fracturing
Sunde Analytical qualification applied on the Norne Sub sea separation s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