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057B1 - Light controll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 controll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3057B1 KR102413057B1 KR1020170162712A KR20170162712A KR102413057B1 KR 102413057 B1 KR102413057 B1 KR 102413057B1 KR 1020170162712 A KR1020170162712 A KR 1020170162712A KR 20170162712 A KR20170162712 A KR 20170162712A KR 102413057 B1 KR102413057 B1 KR 1024130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light
- light control
- substrate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6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XOLBLPGZBRYERU-UHFFFAOYSA-N tin dioxide Chemical compound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GLPBDUCMAPZCE-UHFFFAOYSA-N Trioxochromium Chemical compound O=[Cr](=O)=O WGLPBDUCMAPZ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LUAZZOXZPVVGSO-UHFFFAOYSA-N Benzyl viologen Chemical compound C=1C=C(C=2C=C[N+](CC=3C=CC=CC=3)=CC=2)C=C[N+]=1CC1=CC=CC=C1 LUAZZOXZPVVGS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94 diacet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QDOXWKRWXJOMAK-UHFFFAOYSA-N dichromium trioxide Chemical compound O=[Cr]O[Cr]=O QDOXWKRWXJOM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ZVJSHCCFOBDDC-UHFFFAOYSA-N ferrosoferric oxide Chemical compound O=[Fe]O[Fe]O[Fe]=O SZVJSHCCFOBDD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JXISJQVUVHSOJ-UHFFFAOYSA-N indium(iii) oxide Chemical compound [O-2].[O-2].[O-2].[In+3].[In+3] PJXISJQVUVHS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KQOBWVOAYFWKG-UHFFFAOYSA-N molybdenum trioxide Chemical compound O=[Mo](=O)=O JKQOBWVOAYFWK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KATWMILCYLAPD-UHFFFAOYSA-N niobium pentoxide Chemical compound O=[Nb](=O)O[Nb](=O)=O ZKATWMILCYLAP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NRSAWUEBMWBQH-UHFFFAOYSA-N oxonickel Chemical compound [Ni]=O GNRSAWUEBMWB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96 quantum d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DVLTYZPCACLMA-UHFFFAOYSA-N silver oxide Chemical compound [O-2].[Ag+].[Ag+] NDVLTYZPCACL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108 silver(I,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KRWFPLZQAAQSU-UHFFFAOYSA-N stibanylidynetin;hydrate Chemical compound O.[Sn].[Sb] SKRWFPLZQAAQS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87 ti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GLDHNSRDYJDKCP-UHFFFAOYSA-L 1-(4-bromobutyl)-4-[1-(4-bromobutyl)pyridin-1-ium-4-yl]pyridin-1-ium;dibromide Chemical compound [Br-].[Br-].C1=C[N+](CCCCBr)=CC=C1C1=CC=[N+](CCCCBr)C=C1 GLDHNSRDYJDKC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OYOPMIZSADSNLN-UHFFFAOYSA-M 1-benzyl-4-pyridin-1-ium-4-ylpyridin-1-ium;d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1C=C(C=2C=C[NH+]=CC=2)C=C[N+]=1CC1=CC=CC=C1 OYOPMIZSADSNL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RXAJMCFEOESJO-UHFFFAOYSA-L 1-heptyl-4-(1-heptylpyridin-1-ium-4-yl)pyridin-1-ium;dibromide Chemical compound [Br-].[Br-].C1=C[N+](CCCCCCC)=CC=C1C1=CC=[N+](CCCCCCC)C=C1 VRXAJMCFEOESJ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CJAOGUFAAWZWNI-UHFFFAOYSA-N 1-n,1-n,4-n,4-n-tetramethylbenzene-1,4-diamine Chemical compound CN(C)C1=CC=C(N(C)C)C=C1 CJAOGUFAAWZW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TRTARPQAEHPX-UHFFFAOYSA-L 1-propyl-4-(1-propylpyridin-1-ium-4-yl)pyridin-1-ium;dibromide Chemical compound [Br-].[Br-].C1=C[N+](CCC)=CC=C1C1=CC=[N+](CCC)C=C1 UITRTARPQAEHPX-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UAIUNKRWKOVEES-UHFFFAOYSA-N 3,3',5,5'-tetramethylbenzidine Chemical compound CC1=C(N)C(C)=CC(C=2C=C(C)C(N)=C(C)C=2)=C1 UAIUNKRWKOVEE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STOKWSFWGCZMH-UHFFFAOYSA-N 3,3'-diaminobenzidine Chemical compound C1=C(N)C(N)=CC=C1C1=CC=C(N)C(N)=C1 HSTOKWSFWGCZ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RNWIFYIFSBPAU-UHFFFAOYSA-N 4-[4-(dimethylamino)phenyl]-n,n-dimethylaniline Chemical compound C1=CC(N(C)C)=CC=C1C1=CC=C(N(C)C)C=C1 YRNWIFYIFSBP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51 Copper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RHYYFGTRYWZRS-UHFFFAOYSA-M Flu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1000685663 Homo sapiens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21827 Homo sapiens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22028 Homo sapiens Solute carrier family 28 member 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3116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1541 Sodium/nucleoside cotransporte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1470 Solute carrier family 28 member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LGQHPLOIPARBS-UHFFFAOYSA-N [(3,4,5-trimethoxybenzoyl)amino] 3,4,5-trimethoxybenzoate Chemical compound COC1=C(OC)C(OC)=CC(C(=O)NOC(=O)C=2C=C(OC)C(OC)=C(OC)C=2)=C1 ZLGQHPLOIPAR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HCLAFWTIXFWPH-UHFFFAOYSA-N [O-2].[O-2].[O-2].[O-2].[O-2].[V+5].[V+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V+5].[V+5] XHCLAFWTIXFWP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10 antimony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JCFOYOSGPHIOO-UHFFFAOYSA-N antimony pentoxide Inorganic materials O=[Sb](=O)O[Sb](=O)=O LJCFOYOSGPHI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DCOVFLJGNWWNZ-UHFFFAOYSA-N antimony trioxide Inorganic materials O=[Sb]O[Sb]=O ADCOVFLJGNWWN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1 cellulos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3 chrom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8 cobalt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VMYJDGYRUAWML-UHFFFAOYSA-N cobalt(ii) oxide Chemical compound [Co]=O IVMYJDGYRUAW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31 copp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ERDEBHAJNAUOM-UHFFFAOYSA-N copper(I) oxide Inorganic materials [Cu]O[Cu] BERDEBHAJNAUO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93 corund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RFJLUBVMFXRPN-UHFFFAOYSA-N cuprous oxide Chemical compound [O-2].[Cu+].[Cu+] KRFJLUBVMFXR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25 cyclo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37 in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MBWDFGMSWQBCA-UHFFFAOYSA-M iodide Chemical compound [I-] XMBWDFGMSWQBC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06461 iodide 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HCFAGZWMAWTNR-UHFFFAOYSA-M lithium perchlorate Chemical compound [Li+].[O-]Cl(=O)(=O)=O MHCFAGZWMAWTNR-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86 lithium perchlor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76 molybden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80 nicke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84 niob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URLJKFSTXLNXLG-UHFFFAOYSA-N niobium(5+);oxygen(2-) Chemical compound [O-2].[O-2].[O-2].[O-2].[O-2].[Nb+5].[Nb+5] URLJKFSTXLNX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GLKJKCYBOYXKC-UHFFFAOYSA-N nonaoxidotritungsten Chemical compound O=[W]1(=O)O[W](=O)(=O)O[W](=O)(=O)O1 QGLKJKCYBOYX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48 norborn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TRUBDSFZJNXHI-UHFFFAOYSA-N oxoantimony Chemical compound [Sb]=O VTRUBDSFZJNX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QQKPALAQIIWST-UHFFFAOYSA-N oxo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O PQQKPALAQIIW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VLTRZXGMWDSKGL-UHFFFAOYSA-M perchlorate Inorganic materials [O-]Cl(=O)(=O)=O VLTRZXGMWDSKG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LTRZXGMWDSKGL-UHFFFAOYSA-N per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OCl(=O)(=O)=O VLTRZXGMWDSK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94 photoredox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3 silv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YEAUATLBSVJFOY-UHFFFAOYSA-N tetraantimony hexaoxide Chemical compound O1[Sb](O2)O[Sb]3O[Sb]1O[Sb]2O3 YEAUATLBSVJF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NJQKNVVBBIPBA-UHFFFAOYSA-M tetrabutylazanium;trifluorom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C(F)(F)F.CCCC[N+](CCCC)(CCCC)CCCC YNJQKNVVBBIPB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TMCEJHCFYSIIV-UHFFFAOYSA-M triflate Chemical compound [O-]S(=O)(=O)C(F)(F)F ITMCEJHCFYSIIV-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0 tungste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5 vanad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45 yogo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 H01L51/5293—
-
- H01L51/5024—
-
- H01L51/5203—
-
- H01L5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광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3 전극, 제1 전극 및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광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 또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를 구현하는 광 제어층, 및 제2 전극 및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층을 포함한다.A light control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by itself is provided. A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the thir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implement a light blocking mode for blocking light or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light a light control layer, and an energy gener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generate electrons by absorb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device.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다.Recently, as the information age has entered, the field of display for processing and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various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spotlighted in response to this. Specific examples of such a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nd the like.
최근에는 표시장치는 박형화, 경량화, 및 저소비전력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적용 분야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표시장치는 대부분의 전자 장치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isplay devices have become thinner, lighter, and lower in power consumption, and thus,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display devices continues to increase. In particular, the display device is used as one of the user interfaces in most electronic devices or mobile devices.
또한, 최근에는 특성상 사용자가 표시장치의 배면(背面)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을 볼 수 있는 투명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투명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투명표시장치는 정보인식, 정보처리 및 정보표시의 기능을 투명한 전자기기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전자기기의 공간적 및 시각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표시장치는 건물이나 자동차의 창문(window)에 적용되어 배경을 보이거나 화상을 표시하는 스마트 창(smart window)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ly, research on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see an object or a back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has been actively conducted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of space utilization, interior and design, and may have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can solve the spatial and visual constraints of existing electronic devices by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 display as a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window that is applied to a window of a building or a vehicle to show a background or display an image.
투명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력 소비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어두운 환경에서는 명암비(contrast ratio)에 문제가 없지만 빛이 있는 일반 환경에서는 명암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투명표시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명암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빛을 차광하는 차광 모드와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광 제어장치가 필요하다.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in this case,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 but there is no problem in the contrast ratio in a dark environment,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trast ratio is lowered in a general environment in which there is light. Therefore, when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re is a need for a light control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light blocking mode for blocking light and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light in order to prevent a decrease in contrast ratio.
최근에는 전기변색 장치(Electrochromic Device)를 광 제어장치로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전기변색 장치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낮은 구동 전압으로 투과 모드에서 차광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cently, a method of using an electrochromic device as a light control device has been proposed. The electrochromic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a transmission mode that transmits light in a state in which no voltage is applie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witch from a transmission mode to a light blocking mode with a low driving volt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광 제어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ght control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by itself.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3 전극, 제1 전극 및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광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 또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를 구현하는 광 제어층, 및 제2 전극 및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층을 포함한다.A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The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the thir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implement a light blocking mode for blocking light or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light a light control layer, and an energy gener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generate electrons by absorb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생성층을 추가 형성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광 제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광 제어장치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electric energy by itself by additionally forming an energy generating layer, and store the generated electric energy in an energy storage system.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ower for driving the light control device can be supplied from the energy storage system,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reduc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the light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에너지 생성층과 광 제어층이 제3 전극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 제어장치에 별도의 태양 전지를 결합하는 것에 비해 두께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ergy generating layer and the light control layer may use the third electrode in comm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combining a separate solar cell with the light control device, the thickness can be formed to be slim.
또한, 본 발명은 광 제어층을 저전압에도 구동이 가능한 전기변색물질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제어장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만으로도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광 제어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control layer can be implemented with an electrochromic material that can be driven even at a low voltage. Such a light control device may make it possible to supply power only with an energy storage system. That is, the light control device can be driven without a separate power supply.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의 투명표시패널, 게이트 구동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 연성필름, 회로보드, 및 타이밍 제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영역의 화소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차광 모드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주전원 공급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부전원 공급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투과 모드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투과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에너지 저장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transparent display panel, a gate driver, a source drive integrated circuit, a flexible film, a circuit board, and a timing controller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ixel of the display area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a light control devic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a light blocking mode.
9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the main power supply mode.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the sub-power supply mode.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a transmission mode.
12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the transmission mode.
13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the energy storage mod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 which the plural is included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and "Z-axis direc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only as a geometric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is wider than within the scope w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may mean having a directio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that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independently implemen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or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의 투명표시패널, 게이트 구동부,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 연성필름, 회로보드, 및 타이밍 제어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영역의 화소를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I'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transparent display panel, a gate driver, a source drive integrated circuit, a flexible film, a circuit board, and a timing controller of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ixel of the display area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3 .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X축 방향은 게이트 라인과 나란한 방향이고, Y축 방향은 데이터 라인과 나란한 방향이며, Z축 방향은 투명표시장치의 높이 방향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Hereinafter,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S. 1 to 4 , the X-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ate line, the Y-axis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ata line, and the Z-axis direction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는 투명표시패널(100) 및 광 제어장치(200)을 포함한다.1 to 4 ,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퀀텀닷발광표시장치(Quantum dot Lighting Emitting Diode) 또는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sis display)로도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Quantum dot Lighting Emitting Diode) have been described. ) or an electrophoresis display.
투명표시패널(100)은 하부 기판(111), 상부 기판(112), 게이트 구동부(120),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130), 연성필름(140), 회로보드(150), 및 타이밍 제어부(160)를 포함한다.The
투명표시패널(100)은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2)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112)은 봉지 기판일 수 있다. 하부 기판(111)은 상부 기판(112)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하부 기판(111)의 일부는 상부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The
투명표시패널(100)은 입사되는 빛을 투과시키거나 화상을 표시한다. 투명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DA)에는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형성되며,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 영역들에는 화소(P)들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의 화소(P)들은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표시영역(DA)의 화소(P)들 각각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투과 영역(TA)와 발광 영역(EA)을 포함한다. 발광 영역(EA)은 복수의 발광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표시패널(100)은 투과 영역(TA)들로 인해 투명표시패널(100)의 배면(背面)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을 볼 수 있으며, 발광 영역(EA)들로 인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발광 영역(EA)이 적색 발광부(RE), 녹색 발광부(GE) 및 청색 발광부(BE)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ach of the pixels P of the display area DA includes a transmission area TA and an emission area EA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light emitting area 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The
투과 영역(TA)은 입사되는 빛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키는 영역이다. 발광 영역(EA)은 빛을 발광하는 영역으로, 적색 발광부(RE)는 적색광을 발광하는 영역이고, 녹색 발광부(GE)는 녹색광을 발광하는 영역이며, 청색 발광부(BE)는 청색광을 발광하는 영역이다. 발광 영역(EA)은 입사되는 빛이 차단되는 불투명한 영역에 해당한다.The transmission area TA is an area that substantially passes incident light. The light emitting area EA is an area that emits light, the red light emitting part RE is an area that emits red light, the green light emitting part GE is an area that emits green light, and the blue light emitting part BE emits blue light. area that emits light. The light emitting area EA corresponds to an opaque area in which incident light is blocked.
적색 발광부(RE), 녹색 발광부(GE) 및 및 청색 발광부(BE) 각각에는 도 4와 같이 트랜지스터(T), 애노드 전극(AND), 유기층(EL), 캐소드 전극(CAT)이 마련될 수 있다.A transistor T, an anode electrode AND, an organic layer EL, and a cathode electrode CAT are provided in each of the red light emitting part RE, the green light emitting part GE, and the blue light emitting part BE as shown in FIG. 4 . can be
트랜지스터(T)는 하부 기판(111)상에 마련되는 액티브층(ACT), 액티브층(ACT) 상에 마련되는 제1 절연막(I1), 제1 절연막(I1) 상에 마련된 게이트 전극(GE), 게이트 전극(GE) 상에 마련된 제2 절연막(I2), 제2 절연막(I2) 상에 마련되고 제1 및 제2 콘택홀들(CNT1, CNT2)을 통해 액티브층(ACT)에 접속되는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을 포함한다. 도 4에서는 트랜지스터(T)가 탑 게이트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텀 게이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transistor T includes an active layer ACT provided on the
애노드 전극(AND)은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상에 마련된 층간 절연막(ILD)을 관통하는 제3 콘택홀(CNT3)을 통해 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전극(DE)에 접속된다. 서로 인접한 애노드 전극(AND)들 사이에는 격벽이 마련되며, 이로 인해 서로 인접한 애노드 전극(AND)들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The anode electrode AND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DE of the transistor T through the third contact hole CNT3 penetrating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LD provided on the source electrode SE and the drain electrode DE. . A barrier rib is provid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s AN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anode electrodes AN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애노드 전극(AND) 상에는 유기층(EL)이 마련된다. 유기층(EL)은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EL)과 격벽(W) 상에는 캐소드 전극(CAT)이 마련된다. 애노드 전극(AND)과 캐소드 전극(CAT)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An organic layer EL is provided o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organic layer EL may include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 cathode electrode CAT is provided on the organic layer EL and the barrier rib W.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and the cathode electrode CAT, holes and electrons move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respectively, and combine with each oth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emit light.
도 4에서는 투명표시패널(100)이 전면(前面)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면(背面)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광 제어장치(200)는 투명표시패널(100)이 발광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광 제어장치(200)는 전면 발광 방식에서는 투명표시패널(100)의 위, 즉 상부 기판(112)의 위에 배치되고, 배면 발광 방식에서는 투명표시패널(100)의 아래, 즉 하부 기판(111)의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illustrates that the
전면 발광 방식에서는 유기층(EL)의 빛이 상부기판 방향으로 발광하므로, 트랜지스터(T)가 격벽(W)과 애노드 전극(AND) 아래에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발광 방식은 배면 발광 방식에 비해 트랜지스터(T)의 설계 영역이 넓다는 장점이 있다. 전면 발광 방식에서는 애노드 전극(AND)이 알루미늄, 알루미늄과 ITO의 적층 구조와 같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캐소드 전극(CAT)이 ITO, IZO와 같은 투명한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op emission method, since the light of the organic layer EL is emitted toward the upper substrate, the transistor T may be widely provided under the barrier rib W and the anode electrode AND. Accordingly, the top emission method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design area of the transistor T is wider than that of the bottom emission method. In the top emission metho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ode electrode AND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reflectance such as aluminum, a laminate structure of aluminum and ITO, and the cathode electrode CAT is formed of a transparent metal material such as ITO or IZO.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의 화소(P)들 각각은 입사되는 빛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키는 투과 영역(TA)과 빛을 발광하는 발광 영역(EA)을 포함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투명표시장치의 투과 영역(TA)들을 통해 투명표시장치의 배면에 위치한 사물 또는 배경을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pixels P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area TA through which incident light substantially passes and a light emission area EA through which light is emitted. .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r background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can be viewed through the transparent areas TA of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공급한다. 도 2에서는 게이트 구동부(120)가 투명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DA)의 일 측 바깥쪽에 GIP(gate driver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게이트 구동부(120)는 투명표시패널(100)의 표시영역(DA)의 양 측 바깥쪽에 GIP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구동 칩으로 제작되어 연성필름에 실장되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투명표시패널(100)에 부착될 수도 있다.The
소스 드라이브 IC(130)는 타이밍 제어부(160)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130)는 소스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전압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브 IC(130)가 구동 칩으로 제작되는 경우, COF(chip on film) 또는 COP(chip on plastic) 방식으로 연성필름(140)에 실장될 수 있다.The source drive
하부 기판(111)의 크기는 상부 기판(112)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하부 기판(111)의 일부는 상부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상부 기판(112)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된 하부 기판(111)의 일부에는 데이터 패드들과 같은 패드들이 마련된다. 연성필름(140)에는 패드들과 소스 드라이브 IC(130)를 연결하는 배선들, 패드들과 회로보드(150)의 배선들을 연결하는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패드들 상에 부착되며, 이로 인해 패드들과 연성필름(140)의 배선들이 연결될 수 있다.Since the size of the
회로보드(150)는 연성필름(140)들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보드(150)는 구동 칩들로 구현된 다수의 회로들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보드(150)에는 타이밍 제어부(160)가 실장될 수 있다. 회로보드(150)는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The
타이밍 제어부(160)는 외부의 시스템 보드(미도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60)는 타이밍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와 소스 드라이브 IC(130)들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제어부(160)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 구동부(120)에 공급하고, 소스 제어신호를 소스 드라이브 IC(130)들에 공급한다.The
광 제어장치(200)는 차광 모드에서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고, 투과 모드에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광 제어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제어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ight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광 제어장치(200)는 도 5와 같이 제1 기판(210), 제2 기판(220),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제3 전극(E3), 광 제어층(230) 및 에너지 생성층(240)을 포함한다.5 and 6 , the
제1 및 제2 기판들(210, 220) 각각은 유리 기판(glass substrate) 또는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들(210, 220) 각각이 플라스틱 필름인 경우,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DAC(diacetyl cellulose)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수지(Cellulose resin), 노르보르넨 유도체(Norbornene derivatives) 등의 COP(cyclo olefin polymer), COC(cyclo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PVA(polyvinyl alcohol),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I(polyimide), PSF(polysulfone), 또는 불소 수지(fluoride resin) 등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Each of the first and
제1 전극(E1)은 제1 기판(210)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E1)은 제2 기판(220)과 마주보는 제1 기판(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 전극(E2)은 제2 기판(220) 상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E2)은 제1 기판(210)과 마주보는 제2 기판(22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3 전극(E3)은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제3 전극(E3)은 제1 전극(E1)과 함께 광 제어층(230)에 전압을 인가하거나 제2 전극(E2)과 함께 에너지 생성층(240)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제3 전극(E3)은 공통전극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E1 is formed on the
제1 전극(E1), 제2 전극(E2) 및 제3 전극(E3)은 투명전극일 수 있다. 투명 전극은 은 산화물(예; AgO 또는 Ag2O 또는 Ag2O3), 알루미늄 산화물(예; Al2O3), 텅스텐 산화물(예; WO2 또는 WO3 또는 W2O3), 마그네슘 산화물(예; MgO), 몰리브덴 산화물(예; MoO3), 아연 산화물(예; ZnO), 주석 산화물(예; SnO2), 인듐 산화물(예; In2O3), 크롬 산화물(예; CrO3 또는 Cr2O3), 안티몬 산화물(예; Sb2O3 또는 Sb2O5), 티타늄 산화물(예; TiO2), 니켈 산화물(예;NiO), 구리 산화물(예; CuO 또는 Cu2O), 바나듐 산화물(예; V2O3 또는 V2O5), 코발트 산화물(예; CoO), 철 산화물(예; Fe2O3 또는 Fe3O4), 니오븀 산화물(예; Nb2O5), 인듐 주석 산화물(예; 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예; 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 도핑된 아연 산화물(예; Aluminium doped Zinc Oxide, ZAO), 알루미늄 도핑된 주석 산화물(예; Aluminum Tin Oxide, TAO) 또는 안티몬 주석 산화물(예; Antimony Tin Oxide, ATO)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rst electrode E1 , the second electrode E2 , and the third electrode E3 may be transparent electrodes. The transparent electrode is made of silver oxide (eg AgO or Ag2O or Ag2O3), aluminum oxide (eg Al2O3), tungsten oxide (eg WO2 or WO3 or W2O3), magnesium oxide (eg MgO), molybdenum oxide (eg MoO3) , zinc oxide (eg ZnO), tin oxide (eg SnO2), indium oxide (eg In2O3), chromium oxide (eg CrO3 or Cr2O3), antimony oxide (eg Sb2O3 or Sb2O5), titanium oxide (eg; TiO2), nickel oxide (eg NiO), copper oxide (eg CuO or Cu2O), vanadium oxide (eg V2O3 or V2O5), cobalt oxide (eg CoO), iron oxide (eg Fe2O3 or Fe3O4), niobium Oxide (eg Nb2O5), indium tin oxide (eg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eg Indium Zinc Oxide, IZO), aluminum doped zinc oxide (eg Aluminum doped Zinc Oxide, ZAO), aluminum It may be doped tin oxide (eg, Aluminum Tin Oxide, TAO) or antimony tin oxide (eg, Antimony Tin Oxide, A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은 서로 같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은 부극성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Meanwhile, the sam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 For example, a negativ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
제3 전극(E3)은 제1 전극(E1) 또는 제2 전극(E2)과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 또는 제2 전극(E2)은 부극성 전압이 인가되고, 제3 전극(E3)은 정극성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A voltag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lectrode E1 or the second electrode E2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For example, a negativ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or the second electrode E2 , and a positiv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제1 기판(210)에 형성된 제1 전극(E1)은 연성필름(미도시)와 접속하기 위하여 베젤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기판(210) 상에는 제1 전극(E1)을 연결하는 제1 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미도시)은 이방성 도전 필름(antisotropic conducting film)을 이용하여 제1 배선의 일단에 접속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E1 formed on the
또한, 제2 기판(220)에 형성된 제2 전극(E2)은 연성필름(미도시)과 접속하기 위하여 베젤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기판(220) 상에는 제2 전극(E2)을 연결하는 제2 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미도시)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제2 배선의 일단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E2 formed on the
또한, 제1 전극(E1) 및 제2 전극(E2) 사이에 형성된 제3 전극(E3)은 연성필름(미도시)과 접속하기 위하여 베젤 영역까지 연장되고, 베젤 영역에서 제1 기판(210) 또는 제2 기판(220)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210) 또는 제2 기판(220) 상에는 제3 전극(E3)을 연결하는 제3 배선(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연성필름(미도시)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제3 배선의 일단에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electrode E3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extends to the bezel area to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film (not shown), and the
광 제어층(230)은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와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광 모드는 광 제어장치(200)의 광 투과율이 α% 보다 작은 경우를 나타내고, 투과 모드는 광 제어 장치(200)의 광 투과율이 β% 이상인 경우를 나타낸다고 가정할 수 있다. 광 제어 장치(200)의 광 투과율은 광 제어 장치(200)에 입사되는 광 대비 출력되는 광의 비율을 나타낸다.The
광 제어층(230)은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광 투과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광 제어층(230)은 광 투과도가 β%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면, 광 제어층(230)은 광 투과도가 α% 보다 작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광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광 제어층(230)은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광 투과도를 변화시키는 광 투과도 가변물질을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은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며, 이로 인하여 색이 변하는 전기변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an electrochemical redox reaction occurs, thereby including an electrochromic material that changes color. can
예를 들어,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물질은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환원 반응에 의해 블랙 또는 블루와 같은 소정의 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 제어장치(200)는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 a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nd the electrochromic material changes to a predetermined color such as black or blue by the reduction reaction. Accordingly, the
또한,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전기변색물질은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산화 반응에 의해 투명하게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 제어장치(200)는 입사되는 광을 그대로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i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nd becomes transparent by the oxidation reaction. Accordingly, the
이러한 전기변색물질은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소정의 색을 흡수함으로써 소정의 색을 띠게 되며,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투명하게 변하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변색물질은 비올로겐(1,1'-dibenzyl-4,4'-bipyridinium bistetrafluorborate), HVBF2 (1,1'- diheptyl-4,4'-bipyridinium dibromide), PVBr2 (1,1'-dipropyl-4,4'-bipyridinium dibromide), BVBF4 (1,1'-dibenzyl-4,4'-bipyridinium bistetrafluorborate), 1-benzyl-4,4'-bipyridinium chloride, 1,1'-bis(4-4chloromethyl)benzyl)-4,4'-bipyridinium dichloride, 1,1'-bis(4-bromobutyl)-4,4'-bipyridinium dibromide 또는 1,1'-bis(2-bromoethyl)-4,4'-bipyridinium dibromide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Such an electrochromic material may have a predetermined color by absorbing a predetermined color when a reduction reaction occurs, and may be a material that becomes transparent when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For exampl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is viologen (1,1'-dibenzyl-4,4'-bipyridinium bistetrafluorborate), HVBF2 (1,1'-diheptyl-4,4'-bipyridinium dibromide), PVBr2 (1, 1'-dipropyl-4,4'-bipyridinium dibromide), BVBF4 (1,1'-dibenzyl-4,4'-bipyridinium bistetrafluorborate), 1-benzyl-4,4'-bipyridinium chloride, 1,1'-bis (4-4chloromethyl)benzyl)-4,4'-bipyridinium dichloride, 1,1'-bis(4-bromobutyl)-4,4'-bipyridinium dibromide or 1,1'-bis(2-bromoethyl)-4, It may be 4'-bipyridinium dibrom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은 전기변색물질이 산화 환원 반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카운터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기변색물질 및 카운터 물질은 동일층의 액체 또는 겔(gel)에 용해된 상태일 수 있다. 카운터 물질은 전기변색물질에서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전기변색물질과 반대로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산화 반응에 의해 소정의 색을 흡수함으로써 소정의 색을 띠게 된다. 카운터 물질은 전기변색물질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경우 전기변색물질과 반대로 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환원 반응에 의해 투명하게 된다. 카운터 물질은 TMPD(N,N,N',N'-tetramethyl-1,4-phenylenediamine), TMB(3,3',5,5'-Tetramethylbenzidine), NTMB(N,N,N',N'-Tetramethylbenzidine) 또는 DAB(3,3'-Diaminobenzidine)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unter material that assists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o smoothly perform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In this cas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nd the counter material may be dissolved in a liquid or gel of the same layer. When a reduction reaction occurs i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 counter material undergoes an oxidation reaction opposite to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nd takes on a predetermined color by absorbing a predetermined color by the oxidation reaction. When an oxidation reaction occurs i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 counter material undergoes a reduction reaction opposite to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nd becomes transparent by the reduction reaction. Counter substances are TMPD(N,N,N',N'-tetramethyl-1,4-phenylenediamine), TMB(3,3',5,5'-Tetramethylbenzidine), NTMB(N,N,N',N' -Tetramethylbenzidine) or DAB (3,3'-Diaminobenzid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은 전해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기변색물질 및 전해질은 동일층의 액체 또는 겔에 용해된 상태일 수 있다. 전해질은 전기변색물질이 산화 환원 반응이 가능하도록 양이온과 음이온을 제공한다. 전해질은 Lithium perchlorate, t-butylammoinum perchlorate, t-butylammoinum-t-fluoroborate, trifluoromethanesulfonate 또는 tetrabutylammonium trifluoromethanesulfonate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lyte. In this cas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may be dissolved in the liquid or gel of the same layer. The electrolyte provides positive and negative ions so that the electrochromic material can undergo a redox reaction. The electrolyte may be lithium perchlorate, t-butylammoinum perchlorate, t-butylammoinum-t-fluoroborate, trifluoromethanesulfonate or tetrabutylammonium trifluoromethanesulfon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은 전기변색물질, 카운터 물질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기변색물질, 카운터 물질 및 전해질은 동일층의 액체 또는 겔에 용해된 상태일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chromic material, a counter material, and an electrolyte. In this case, the electrochromic material, the counter material, and the electrolyte may be dissolved in the liquid or gel of the same lay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은 액정들, 이색성 염료들 및 이온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은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 모드를 구현하고,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면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liquid crystals, dichroic dyes, and ionic materials. The variable light transmittance materi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transmission mode in which incident light is transmitted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and the first electrode E1 And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ight blocking mode that blocks incident light.
한편, 광 투과도 가변물질이 액정을 포함하는 경우, 광 제어장치(200)는 제1 배향막(미도시) 및 제2 배향막(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향막은 제3 전극(E3)을 마주보는 제1 전극(E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향막은 제1 전극(E1)을 마주보는 제3 전극(E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light transmittance variable material includes liquid crystal, the
액정들의 장축 방향은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1 및 제2 배향막들에 의해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정극성의 액정들일 수 있다. 이색성 염료들의 장축 방향 역시 액정들처럼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제1 및 제2 배향막들에 의해 수직 방향(Z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제어장치(200)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투과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long-axis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s may be positively polarized liquid crystal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by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layers even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 The long-axis direction of the dichroic dyes may also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by the first and second alignment layers even when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like liquid crystals. . Accordingly, the
이색성 염료들은 빛을 흡수하는 염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색성 염료들은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을 모두 흡수하는 블랙 염료(black dye) 또는 특정한 색(예를 들어 적색)의 파장대 이외의 빛을 흡수하고 특정한 색(예를 들어 적색)의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염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색성 염료들이 블랙 염료(black dye)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색성 염료들은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옐로우(yellow)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갖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색을 가지는 염료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광 모드시 다양한 색을 표현하면서 뒷 배경을 차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광 모드시 다양한 색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는 공공장소에 사용될 수 있으며, 투과 모드와 차광 모드가 필요한 스마트 윈도우 또는 퍼블릭 윈도우(public window)에 적용될 경우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색을 표현하면서 차광할 수 있다.The dichroic dyes may be light absorbing dyes. For example, dichroic dyes absorb light outside of a wavelength band of a specific color (eg, red) or a black dye that absorbs all light in a visible light wavelength band and a specific color (eg, red) in a wavelength band. It may be a dye that reflects the light of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inly described that the dichroic dyes are black dy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chroic dyes may be dyes having any one color of red, green, blue, and yellow or a color composed of a mixture thereof.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ground can be blocked while expressing various colors in the light blocking mode. For this reason, sinc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various colors in the light blocking mode, the user can feel the aesthetic feeling. For example, the transpar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public place, and when applied to a smart window or a public window requiring a transmission mode and a light blocking mode, various color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ime or place. You can shade it while doing it.
이온 물질들은 액정들과 이색성 염료들이 랜덤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온 물질들은 소정의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물질들이 부극성을 갖는 경우, 제1 전극(E1)에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3 전극(E3)에 부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온 물질들은 제1 전극(E1)으로 이동한다. 제1 전극(E1)에 부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3 전극(E3)에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온 물질들은 제3 전극(E3)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온 물질들이 정극성을 갖는 경우, 제1 전극(E1)에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3 전극(E3)에 부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온 물질들은 제3 전극(E3)으로 이동한다. 제1 전극(E1)에 부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3 전극(E3)에 정극성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온 물질들은 제1 전극(E1)으로 이동한다.그러므로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이온 물질들은 소정의 주기로 제1 전극(E1)에서 제3 전극(E3)으로 갔다가 다시 제1 전극(E1)으로 되돌아오는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 경우, 이온 물질들이 이동하면서 액정들과 이색성 염료들에 부딪치게 되므로, 액정들과 이색성 염료들이 랜덤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 경우, 광 제어층(230)으로 입사되는 광은 랜덤하게 움직이는 액정들에 의해 산란되거나 이색성 염료들에 의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차광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Ionic substances act to allow the liquid crystals and dichroic dyes to move randomly. The ionic materials may have a predetermined polarity, and thus may move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have. For example, when the ionic materials have a negative polarity, when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the ionic materials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E1 . Move. Whe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the ionic materials move to the third electrode E3 . In addition, when the ionic materials have a positive polarity, when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the ionic materials move to the third electrode E3 . . When a nega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a positive voltage is appli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the ionic materials move to the first electrode E1 . Therefore,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 E3 , the ionic materials move from the first electrode E1 to the third electrode E3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then move back to the first electrode E1 . In this case, since the ionic substances collide with the liquid crystals and the dichroic dyes while moving, the liquid crystals and the dichroic dyes move randomly. In this case, the light incident to the
에너지 생성층(240)은 제2 전극(E2)과 제3 전극(E3) 사이에 배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 및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모드를 구현한다. 에너지 생성층(24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물질을 포함한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생성물질은 광 흡수 염료, 반도체 산화물 및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염료는 투명한 제2 기판(220) 및 제2 전극(E2)을 투과한 광을 흡수한다. 광 흡수 염료는 광 흡수에 의해 바닥 상태(ground state)에서 들뜬 상태(excited state)가 되면서 전자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전자는 반도체 산화물로 전달된다. 반도체 산화물은 광 흡수 염료로부터 전달받은 전자를 제2 전극(E2)으로 전달한다. 예컨대, 반도체 산화물을 NiO, ZnO, TiO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 전극(E2)으로 전달된 전자는 제2 전극(E2)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 전달되어 전기 에너지로 저장된다. 전해질은 제3 전극(E3)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광 흡수 염료에 전자를 전달한다. 예컨대, 전해질은 요오드화물 이온일 수 있다.The energy gener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absorbing dye, a semiconductor oxide, and an electrolyte. The light absorbing dye absorbs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parent
도 6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전극(E2) 및 제3 전극(E3)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연결된다. 에너지 생성층(240)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는 제2 전극(E2)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전달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은 전달받은 전자를 전기 에너지로 저장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6 , the second electrode E2 and the third electrode E3 are connected to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Electrons generated by the
본 발명에 따른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생성층(240)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제어장치(200)는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원을 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생성층(240)과 광 제어층(230)이 제3 전극(E3)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제어장치(200)는 광 제어장치에 별도의 태양 전지를 결합하는 것에 비해 두께를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제어장치(200)는 광 제어층(230)을 저전압에도 구동이 가능한 전기변색물질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만으로도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광 제어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a light control device.
도 7을 참조하면, 광 제어장치(200)의 제어 회로는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제3 스위치(SW3), 제4 스위치(SW4), 제5 스위치(SW5) 및 제6 스위치(SW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 circuit of the
제1 스위치(SW1)는 제3 전극(E3)과 외부의 주전원 공급부(PS)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제1 스위치(SW1)을 턴온하는 동작은 제3 전극(E3)을 주전원 공급부(PS)를 연결한다.The first switch SW1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ctrode E3 and the external main power supply unit PS.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first switch SW1 connects the third electrode E3 to the main power supply unit PS.
제2 스위치(SW2)는 제2 노드(N2)와 그라운드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제2 노드(N2)는 제1 전극(E1)과 연결된 제1 노드(N1)와 연결된다. 제2 스위치(SW2)를 턴온하는 동작은 제1 전극(E1)과 그라운드를 연결한다.The second switch SW2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node N2 and the ground. In this case, the second node N2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E1 .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second switch SW2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E1 to the ground.
제3 스위치(SW3)는 제1 노드(N1)와 제3 노드(N3)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제1 노드(N1)는 제1 전극(E1)과 연결되고, 제3 노드(N1)는 제3 전극(E3)과 연결된다. 제3 스위치(SW3)를 턴온하는 동작은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을 연결한다. 한편, 제3 스위치(SW3)는 제2 노드(N1)와 제3 노드(N3)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제3 스위치(SW3)를 턴온하는 동작은 제3 전극(E3)과 제2 노드(N1)를 연결한다.The third switch SW3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node N1 and the third node N3 . In this case, the first node N1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E1 , and the third node N1 is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third switch SW3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third electrode E3. Meanwhile, the third switch SW3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node N1 and the third node N3 .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third switch SW3 connects the third electrode E3 and the second node N1 .
제4 스위치(SW4)는 제4 노드(N4)와 제5 노드(N5)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때, 제4 노드(N4)는 제2 전극(E2)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와 연결된다. 제5 노드(N5)는 제3 전극(E3)과 연결된다. 제4 스위치(SW4)를 턴온하는 동작은 제3 전극(E3)과 제2 전극(E2)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연결한다.The fourth switch SW4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rth node N4 and the fifth node N5 . In this case, the fourth node N4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E2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The fifth node N5 is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E3 .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fourth switch SW4 connects the third electrode E3 , the second electrode E2 ,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제5 스위치(SW5)는 제3 전극(E3)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제5 스위치(SW5)를 턴온하는 동작은 제3 전극(E3)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연결한다.The fifth switch SW5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ctrode E3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fifth switch SW5 connects the third electrode E3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제6 스위치(SW6)는 제1 전극(E1)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제6 스위치(SW6)를 턴온하는 동작은 제1 전극(E1)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을 연결한다.The sixth switch SW6 switch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The operation of turning on the sixth switch SW6 connects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제1 내지 제6 스위치(SW1, SW2, SW3, SW4, SW5, SW6)들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스위칭 동작이 제어된다.The switching operations of the first to sixth switches SW1, SW2, SW3, SW4, SW5, and SW6 are controlled by a controller (not shown).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차광 모드일 때, 광 제어장치(200)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도 8은 차광 모드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주전원 공급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부전원 공급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for a light blocking mode. 9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the main power supply mode, 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optical control device in the sub power supply mode.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광 제어장치(200)는 차광 신호를 입력받는다(S801). 광 제어장치(200)는 초기 상태, 투과 모드 상태, 에너지 저장 모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차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초기 상태는 광 제어장치(200)가 이전에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서, 제1 내지 제6 스위치(SW1, SW2, SW3, SW4, SW5, SW6)들 모두가 턴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투과 모드 상태는 광 제어층(230)이 투명한 상태로서,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가 턴온된 상태일 수 있다. 에너지 저장 모드 상태는 에너지 생성층(240)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저장되는 상태로서, 제4 스위치(SW4)가 턴온된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first,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투과 모드 상태 또는 에너지 저장 상태에서 차광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제어장치(200)는 초기 상태에서 차광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light blocking signal is received in the transmission mode state or the energy storage stat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있는지 확인한다(S802).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저장된 에너지에 대한 충전률을 확인하고, 충전률에 따라 주전원 공급 모드 및 부전원 공급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광 제어장치(200)는 충전률이 제1 값 이상이면 부전원 공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광 제어장치(200)는 충전률이 제1 값 미만이면 주전원 공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다음, 주전원 공급 모드가 선택되면, 광 제어장치(200)는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 또는 제4 스위치(SW4)를 턴오프한다(S803). 광 제어장치(200)는 투과 모드 상태에서 차광 모드로 변경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을 턴오프한다. 또는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상태에서 차광 모드로 변경하기 위하여 제4 스위치(SW4)를 턴오프한다.Next, when the main power supply mode is selected,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온한다(S804). 광 제어장치(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SW1)를 턴온함으로써 제3 전극(E3)을 주전원 공급부(PS)에 연결한다. 광 제어장치(200)는 주전원 공급부(PS)로부터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Next, the
광 제어층(230)은 주전원 공급부(PS)로부터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면 소정의 색으로 변색된다. 이를 통해, 광 제어장치(200)는 차광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부전원 공급 모드가 선택되면, 광 제어장치(200)는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 또는 제4 스위치(SW4)를 턴오프한다(S805). 광 제어장치(200)는 투과 모드 상태에서 차광 모드로 변경하기 위하여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오프한다. 또는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상태에서 차광 모드로 변경하기 위하여 제4 스위치(SW4)를 턴오프한다.Meanwhile, when the sub-power supply mode is selected,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제5 및 제6 스위치(SW5, SW6)들을 턴온한다(S806). 광 제어장치(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스위치(SW5)를 턴온함으로써 제3 전극(E3)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연결한다. 또한, 광 제어장치(2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스위치(SW6)를 턴온함으로써 제1 전극(E1)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연결한다.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부터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Next, the
광 제어층(23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부터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면 소정의 색으로 변색된다. 이를 통해, 광 제어장치(200)는 차광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충전률을 확인한다(S807).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충전률이 제1 값 미만이 되면 부전원 공급 모드에서 주전원 공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Next, the
다음, 주전원 공급 모드로 변경되면, 광 제어장치(200)는 제5 및 제6 스위치(SW5, SW6)들을 턴오프한다(S808). 광 제어장치(200)는 제5 스위치(SW5)를 턴오프함으로써 제3 전극(E3)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간의 연결을 단절시킨다. 광 제어장치(200)는 제6 스위치(SW6)를 턴오프함으로써 제1 전극(E1)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간의 연결을 단절시킨다.Next, when the main power supply mode is changed,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온한다(S809). 광 제어장치(20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온함으로써 제3 전극(E3)을 주전원 공급부(PS)에 연결한다. 광 제어장치(200)는 주전원 공급부(PS)로부터 제1 전극(E1)과 제3 전극(E3)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Next, the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투과 모드일 때, 광 제어장치(200)의 제어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도 11은 투과 모드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투과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에너지 저장 모드에서의 광 제어장치의 제어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for a transmission mode. 12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a transmission mode, and FIG. 13 is a diagram showing a control circuit of the light control device in an energy storage mode.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광 제어장치(200)는 투명 신호를 입력받는다(S1101). 광 제어장치(200)는 초기 상태 및 차광 모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서 투명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초기 상태는 광 제어장치(200)가 이전에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로서, 제1 내지 제6 스위치(SW1, SW2, SW3, SW4, SW5, SW6)들 모두가 턴오프된 상태일 수 있다. 차광 모드 상태는 광 제어층(230)이 차광 모드로 구현된 상태로서, 제1 스위치(SW1)가 턴온된 상태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first, th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광 모드 상태에서 투명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제어장치(200)는 초기 상태에서 차광 신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transparent signal is input in the light blocking mo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descrip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차광 모드에서 제1 및 제3 전극(E1, E3)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주전원 공급부(PS)인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인지를 확인한다(S1102).Next, the
다음, 주전원 공급 모드이면, 광 제어장치(20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오프한다(S1103). 광 제어장치(200)는 제1 스위치(SW1)를 턴오프함으로써, 제3 전극(E3)과 주전원 공급부(PS) 간의 연결을 단절시킨다. Next, in the main power supply mode,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온한다(S1104). 광 제어장치(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온함으로써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을 그라운드에 연결한다. Next, the
광 제어층(230)은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투명한 색으로 변색된다. 이를 통해, 광 제어장친(200)는 투과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부전원 공급 모드이면, 광 제어장치(200)는 제5 및 제6 스위치(SW5, SW6)들을 턴오프한다(S1105). 광 제어장치(200)는 제5 스위치(SW5)을 턴오프함으로써, 제3 전극(E3)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간의 연결을 단절시킨다. 또한, 광 제어장치(200)는 제6 스위치(SW6)를 턴오프함으로써, 제1 전극(E1)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간의 연결을 단절시킨다.Meanwhile, in the negative power supply mode,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온한다(S1106). 광 제어장치(2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온함으로써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을 그라운드에 연결한다. Next,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저장 신호가 입력되면,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오프한다(S1107 및 S1108). 광 제어장치(200)는 제2 및 제3 스위치(SW2, SW3)들을 턴오프함으로써 제1 전극(E1) 및 제3 전극(E3)을 그라운드와 단절시킨다.Next, when the energy storage signal is input, the
다음, 광 제어장치(200)는 제4 스위치(SW4)를 턴온한다(S1109). 광 제어장치(200)는 제4 스위치(SW4)를 턴온함으로써 제2 전극(E2) 및 제3 전극(E3)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광 제어장치(200)는 에너지 생성층(240)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전달하여 전기 에너지로 저장한다.Next,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표시패널 111: 하부 기판
112: 상부 기판 120: 게이트 구동부
130: 소스 드라이브 IC 140: 연성필름
150: 회로보드 160: 타이밍 제어부
200: 광 제어장치 210: 제1 기판
220: 제2 기판 230: 광 제어층
240: 에너지 생성층 E1: 제1 전극
E2: 제 전극 E3: 제3 전극
ESS: 에너지 저장 시스템 PS: 주전원 공급부100: display panel 111: lower substrate
112: upper substrate 120: gate driver
130: source drive IC 140: flexible film
150: circuit board 160: timing control unit
200: light control device 210: first substrate
220: second substrate 230: light control layer
240: energy generating layer E1: first electrode
E2: first electrode E3: third electrode
ESS: energy storage system PS: main power supply
Claims (12)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3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광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 또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를 구현하는 광 제어층; 및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 제어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변색되는 전기변색물질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광 제어장치.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thir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light contro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and implementing a light blocking mode for blocking light or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light; and
an energy gener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generate electrons by absorb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the light control layer includes an electrochromic material and an electrolyte that are electrochromic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상기 광 제어층은 상기 전기변색물질이 환원 반응을 하는 경우 산화 반응을 하며, 상기 전기변색물질이 산화 반응을 하는 경우 환원 반응을 하는 카운터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ight control layer further includes a counter material that undergoes an oxidation reaction whe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undergoes a reduction reaction, and undergoes a reduction reaction when the electrochromic material undergoes an oxidation reaction.
상기 에너지 생성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를 전달받아 에너지로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According to claim 1,
and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receiving the electrons generated by the energy generating layer and storing the electrons as energy.
상기 광 제어층을 상기 차광 모드 및 상기 투과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하고, 상기 광 제어층을 상기 차광 모드로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에너지 충전률에 따라 주전원 공급 모드 및 부전원 공급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In order to control the light control layer in any one of the light blocking mode and the transmission mode, and implement the light control layer in the light blocking mode, one of a main power supply mode and a sub power supply mode according to the energy charging rate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Light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ny one.
외부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는 주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주전원 공급부 간의 연결을 스위치하는 제1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주전원 공급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Main power supply receiving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switch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ctrode and the main power supply,
wherein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in the main power supply mode.
상기 제1 전극과 연결된 제1 노드;
상기 제1 노드와 연결된 제2 노드;
상기 제3 전극과 연결된 제3 노드;
상기 제2 노드 및 그라운드 간의 연결을 스위치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노드 및 상기 제3 노드 간의 연결을 스위치하는 제3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및 제3 스위치는 상기 투과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a first n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n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third node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a second switch for switc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node and a ground;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switch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node and the third node,
The second and third switches are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in the transmission mode.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연결된 제4 노드;
상기 제3 전극과 연결된 제5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및 상기 제5 노드 간의 연결을 스위치하는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턴온되어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을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a fourth n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a fifth node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and
Further comprising a fourth switch for switch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ourth node and the fifth node,
and the fourth switch is turned on by the controller to connect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the energy storage system.
상기 제4 스위치는 상기 차광 모드에서 턴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fourth switch is not turned on in the light blocking mode.
상기 제3 전극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간의 연결을 스위치하는 제5 스위치;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간의 연결을 스위치하는 제6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및 제6 스위치는 상기 부전원 공급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턴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제어장치.7. The method of claim 6,
a fifth switch for switc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electrode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and
A sixth switch for switc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energy storage system,
The fifth and sixth switches are turned on by the control unit in the sub-power supply mode.
상기 제2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상기 제2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제3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광을 차단 또는 투과하는 광 제어층;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에너지 생성층; 및
상기 에너지 생성층에 의하여 생성된 전자를 전달받아 에너지로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포함하는 광 제어장치.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each other;
a first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facing the second substrate;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 third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light control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block or transmit light;
an energy gener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to generate electrons by absorbing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and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receiving electrons generated by the energy generating layer and storing the electrons as energ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712A KR102413057B1 (en) | 2017-11-30 | 2017-11-30 | Light controll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2712A KR102413057B1 (en) | 2017-11-30 | 2017-11-30 | Light controll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719A KR20190063719A (en) | 2019-06-10 |
KR102413057B1 true KR102413057B1 (en) | 2022-06-23 |
Family
ID=6684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2712A KR102413057B1 (en) | 2017-11-30 | 2017-11-30 | Light controll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305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291564A1 (en) * | 2019-09-24 | 2022-09-15 | Lg Innotek Co., Ltd. | Light route control memb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3359B1 (en) * | 2016-04-08 | 2023-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chromic device |
-
2017
- 2017-11-30 KR KR1020170162712A patent/KR102413057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3719A (en) | 2019-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91318B2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
US10078240B2 (en) | Light control devic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054825B2 (en) | Light control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56121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51692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45532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374549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13057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 |
KR102451736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483230B1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42484B1 (en) |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530477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00994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09022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14917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90073819A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95945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55092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426270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501021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11398A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
KR102392356B1 (en) |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407526B1 (en) |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537329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00964B1 (en) |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1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