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022B1 -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 Google Patents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022B1
KR102413022B1 KR1020210184664A KR20210184664A KR102413022B1 KR 102413022 B1 KR102413022 B1 KR 102413022B1 KR 1020210184664 A KR1020210184664 A KR 1020210184664A KR 20210184664 A KR20210184664 A KR 20210184664A KR 102413022 B1 KR102413022 B1 KR 102413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perforated
backwashing
water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미진
변종윤
전종규
방지성
배종환
김범석
김현우
장인정
정정무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05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placed on the cake-side of the stationary filtering material and only contacting the extern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 B01D24/4636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with backwash shoes; with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역세수와 역세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여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송수실과 분산실 및 다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유공블록; 및 상기 유공블록의 상부에 조립되는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구형으로써 표면에 우묵한 홈이 형성된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판의 내부 공극이 다공판의 저면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는 다수의 분산홈이 다공판의 저면에 분산되게 형성되며, 상기 분산홈은 다공판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서, 분산홈으로 유입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분산홈의 상단부에서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주변의 공극으로 유입되게 유도하도록 둥글게 형성된 아치형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몰드의 내부에 합성수지 알갱이를 채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다공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몰드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성형돌기에 의해 다공판의 성형과 함께 형성되어 분산홈의 내부 공간과 다공판의 내부 공극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Lower catchment}
본 발명은 여과지의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묵한 홈이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합성수지 알갱이에 열을 가하여 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융착 결합시킨 것으로 이루어지되 역세수 및 역세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여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분산홈이 저면에 형성된 딤플형 다공판을 포함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은 원수를 취수, 도수시설을 통해 공급받아 음용에 적합한 수질로 정화하는 시설을 의미하며, 도수되는 원수의 수위동요를 안정시키는 착수정, 수처리 약품을 투입하여 원수에 혼합시키는 혼화지, 응집지에서 형성된 플록(floc)을 중력으로 자연 침강시켜 침전시키는 침전지, 원수가 여재를 통과하게 하여 미립자를 분리시키는 여과지(사여과지, 활성탄여과지), 염소 등의 소독약품을 투입시켜 최종 정수시킨 후 가정집으로 공급하는 정수지 등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정수과정에서 여과지로 유입되는 원수는 여과지의 상부로 유입된 후, 모래/활성탄/안트라사이트 등의 여재로 이루어진 여층을 통과하고, 여과지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집수장치를 통해 집수된 후 정수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하부집수장치는 휠러형, 스트레이너형, 유공블록형, 다공판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일 면적에서 높은 여과속도와 많은 현탁물질의 억류가 가능한 심층구조의 여층이 구비된 여과지에는 물과 공기의 동시 역세가 가능하여 효과적인 세척공정의 진행이 가능한 유공블록형과 다공판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유공블록형과 다공판형은 이중여재여과 및 활성탄여과 등의 심층 여층에 의한 고도처리 정수공정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 유공블럭형과 다공판형은 여과수 및 역세수를 여층에 균일하게 분배시키는 특징을 갖는데, 만약 여과수나 역세수가 균일하게 분배되지 못하여 부분적으로만 여과와 역세척이 진행된다면 여과시에는 잘 세척된 부분으로만 물이 통과하는 터널링 현상에 의해 여과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부분이 발생되고, 역세척시는 역세척이 불충분한 부분에서 폐색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들이 발생될 경우 원수의 여과효율과 역세척 효율이 저하되어 원수의 수질이 악화되며 역세 후에도 여층에 이물질이 잔류하여 여재지속력을 낮추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여과수 및 역세수가 여층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유공블럭형과 다공판형이 구비되어야 한다.
한편 여과지에 시공되는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는 유공블록과, 상기 유공블록의 상부에 부착되는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판은 기존의 하부집수장치의 상부에 배치되는 자갈층의 역할을 하는 판재로써, 여층을 형성하는 여재가 하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그리고 유공블록으로부터 공급되는 역세수와 공기를 분산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다공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수의 알갱이에 열을 가하여 융착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제조과정에서 알갱이들의 형상이 열에 의해 변형되고 서로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공극이 폐쇄되거나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금속 재질로 된 몰드에 합성수지 알갱이를 채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다공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몰드의 표면에 밀착된 알갱이의 경우 내부의 알갱이 보다 많은 양의 열을 받게 되므로, 알갱이와 알갱이가 서로 눌어붙는 검접현상이 쉽게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다공판의 표면 공극이 폐쇄되거나 작아지면서 다공판의 공극이 설계값과 다르게 불규칙하게 된다.
한편 검접현상이 발생되는 부분은 공극의 크기가 설계값 보다 현저히 작거나 심한 경우 공극이 폐쇄되므로, 역세수와 역세공기의 유동특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이로 인해 역세수와 역세공기의 불균일한 분산을 초래하게 되며,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제대로 공급되는 않아 역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비역세 부분의 경우 이물질과 미생물의 부착과 성장을 초래해 공극의 폐색 범위를 증가시키고, 여과효율과 역세효율을 저하시켜 여과수 및 역세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38692호(2018.03.14.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역세수와 역세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여층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산홈으로 유입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주변으로 보다 원활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한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여과지에 조성된 여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역세척 작업을 위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의 기능을 하는 송수실과, 상기 송수실로부터 나오는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분산되면서 상부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분산실과, 여과수와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유공이 가능하도록 여러 곳에 분산되게 형성된 다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유공블록; 및 상기 유공블록의 상부에 조립되어 여층의 여재를 지지하는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합성수지 알갱이가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모든 합성수지 알갱이는 구형으로써 표면에 우묵한 홈이 형성된 딤플형 알갱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판의 내부 공극이 다공판의 저면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여 합성수지 알갱이 간의 눌어붙음에 의한 공극의 폐쇄나 공극의 축소를 보완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다공판의 저면을 통해 다공판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는 다수의 분산홈이 다공판의 저면에 분산되게 형성되며, 상기 분산홈은 다공판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서, 분산홈으로 유입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분산홈의 상단부에서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주변의 공극으로 유입되게 유도하도록 둥글게 형성된 아치형의 상부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몰드의 내부에 합성수지 알갱이를 채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다공판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몰드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성형돌기에 의해 다공판의 성형과 함께 형성되어 분산홈의 내부 공간과 다공판의 내부 공극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한편 상기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홈의 직경은 다공판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알갱이의 최소 직경 보다 크고 최대 직경 보다 작으며, 합성수지 알갱이의 최대 직경 보다 큰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홈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5 ~ 8개의 합성수지 알갱이가 분산홈을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공판에 저면에 형성되는 공극의 안정화를 통해 다공판이 이물질에 의해 폐쇄되거나 미생물이 부착 및 성장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공판을 지나 여층으로 공급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여과지의 역세효율 및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형 유공블록과 딤플형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형 유공블록과 딤플형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내부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P형 유공블록과 딤플형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내부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의 내부 구조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의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을 제조하기 위한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몰드의 내부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형 유공블록과 딤플형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U형 유공블록과 딤플형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내부 구조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LP형 유공블록과 딤플형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의 내부 구조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의 내부 구조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의 저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을 제조하기 위한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의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몰드의 내부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는 유공블록(100)과 다공판(200)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하부집수장치가 여과지의 바닥에서 일렬구조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집수구조체를 만들고, 여러 개의 집수구조체가 여과지의 바닥에 구성되어 여층을 통해 여과된 여과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를 여층의 하부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유공블록(100)은 상부벽(101)과 바닥(102) 그리고 좌우측벽(103,104)이 상호 결합되어 사각형 단면의 내부 공간을 갖는 수평한 사각 기둥 형태의 구조물로 이루어지되, 내부 공간을 송수실(C1)과 분산실(C2)로 구획하는 경사격벽(110)이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격벽(110)은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자세를 가지며 유공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유공블록(100)의 내부 공간을 송수실(C1)과 분산실(C2)로 구획하도록 유공블록(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공블록(100)은 내부에 2개의 경사격벽(110)이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면서 유공블록(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공블록(100)의 중앙부에 송수실(C1)이 형성되고, 상기 송수실(C1)의 좌우측에 분산실(C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상기 송수실(C1)은 집수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여층의 역세척을 위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의 기능을 하고, 상기 분산실(C2)은 송수실(C1)로부터 나오는 역세척수와 역세 공기가 상부벽(101)을 향하여 유동하는 과정에서 분산되도록 유도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공블록(100)의 내부 공간을 분산실(C2)과 송수실(C1)로 구획하는 경사격벽(110)에는 다수의 1차 오리피스(121)가 형성되고, 유공블록(100)의 상부벽(101)에는 다수의 2차 오리피스(122)가 형성된다.
상기 1차 오리피스(121)는 분산실(C2)과 송수실(C1)의 사이에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통로를 형성하도록 경사격벽(110)에 형성된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경사격벽(110)의 높이 및 길이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된다.
상기 2차 오리피스(122)는 상부벽(10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상부벽(101)의 폭 및 길이방향으로 분산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공블록(100)의 상면에는 다공판(200)의 설치를 위한 안착단(130)과 지지턱(14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130)은 다공판(200)의 저면 가장자리를 하부에 받쳐주는 형태로 다공판(200)을 지지하여 다공판(200)의 저면이 유공블록(1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유공블록(100)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며, 다공판(200)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다공판(200)의 저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안착단(130)으로 인해 다공판(200)의 저면이 유공블록(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다공판(200)과 유공블록(10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은 유공블록(100)의 상부로 분출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사방으로 분산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균등 분산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턱(140)은 안착단(130)에 놓인 다공판(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다공판(200)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안착단(130)의 바깥쪽 둘레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안착단(130)에 놓인 다공판(200)의 측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턱(140)은 상단이 안착단(130)에 놓인 다공판(20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지지턱(140)과 다공판(200)의 사이에 단차 없는 이음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판(200)은 직사각형의 평면구조를 갖는 수평한 자세의 평판형 판재로 이루어지며, 유공블록(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안착단(130)과 지지턱(140)이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안착되게 설치되어 유공블록(100)과 함께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공판(200)은 다수의 합성수지 알갱이(10)가 열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다수의 분산홈(210)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200)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각의 합성수지 알갱이(10)는 고강도의 구현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되, 구형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우묵하게 함몰된 하나 이상의 홈(11)이 분산되게 형성되어 흡사 골프공과 같은 딤플형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10)는 원재료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알갱이를 별도의 성형과정을 거쳐 3~6㎜의 직경을 갖는 구형 알갱이로 가공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표면에 홈(11)이 형성된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이용하여 다공판(200)을 구성하게 되면, 알갱이와 알갱이가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과정에서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알갱이의 표면에 형성된 홈(11)은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의 공극을 유지함으로써 공극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이용함으로써 다공판(200)의 제조과정에서 공극이 폐쇄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몰드를 이용하여 다공판(200)을 제조하는 특성 상 다공판(200)의 표면에서 알갱이들이 더 많이 눌어붙으면서 검접현상이 발생되어 표면 공극이 폐쇄되거나 축소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몰드의 내부에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채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다공판(2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몰드 표면에 직접적으로 닿는 알갱이의 경우 몰드의 안쪽에 위치하여 몰드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알갱이 보다 더 많은 열을 전달받게 되므로, 다공판(200)의 표면에서는 여전히 공극이 폐쇄되거나 축소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200)은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이용하여 다공판(200)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공판(200)의 저면(200a)에 분산홈(210)이 형성되게 하여 다공판(200)의 하부에서 공급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저면(200a)의 공극 폐쇄 및 축소에 상관없이 다공판(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분산되면서 여층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분산홈(210)은 다공판(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극이 다공판(200)의 저면(200a)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다공판(200)의 내부 공극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는 것으로, 다수의 분산홈(210)이 다공판(200)의 저면(200a)에 분산되게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분산홈(210)은 사각형이나 원형 등 규칙적인 배열구조로 형성되거나, 특별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불규칙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4에는 다수의 분산홈(210)이 사각형의 배열구조로 다공판(200)의 저면(200a)에 분산되게 형성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분산홈(210)은 다공판(200)의 저면(200a)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다공판(20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역세수와 역세공기를 다공판(20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산홈(210)의 상부면(210a)은 아치형의 구조로 둥글게 형성되어 분산홈(210)으로 유입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아치형 상부면(210a)을 통해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주변의 공극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분산홈(210)은 다수의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이용하여 판재형태의 다공판(200)을 성형하고 난 후, 다공판(200)의 저면(200a)에 홈을 가공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분산홈(210)의 내부 공간과 다공판(200) 내부의 공극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여 다공판(200) 내부의 공극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 흐름과 분산홈(210)의 내부의 유체 흐름이 공유된 흐름을 형성하지 못하게 되므로, 분산홈(210)의 내부의 공간과 다공판(200) 내부 공극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하여 분산홈(210)의 내부로 유입된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주변의 공극으로 유입되면서 자연스럽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200)은 합성수지 알갱이(10)의 열융착을 통해 다공판(2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분산홈(210)이 다공판(200)의 저면(200a)에 분산된 구조로 성형되게 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분산홈(210)은 그 직경이 다공판(20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알갱이(10)의 최소 직경 보다 크고 최대 직경 보다 작으며, 합성수지 알갱이(10)의 최대 직경 보다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다공판(20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알갱이(10)의 평균 직경이 4㎜인 경우, 분산홈(210)의 직경은 4㎜로 형성되고, 그 깊이는 5㎜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홈(210)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5 ~ 8개의 합성수지 알갱이(10)가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것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분산홈(210)의 직경과 깊이가 합성수지 알갱이(10)의 크기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갖도록 함으로써 분산홈(210)의 주변에 적절한 크기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산홈(210)을 통해 상승하는 유체와 공극을 통해 상승하는 유체의 균형을 유지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원활한 유동 및 균일한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200)은 분산홈(210)에 대응하여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성형돌기(221)가 바닥에 형성된 몰드(220)의 내부에 딤플형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채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방법을 통해 분산홈(210)의 내부 공간과 다공판(200)의 내부 공극이 자연스럽게 연결된 다공판(200)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딤플형 다공판(200)은 유공블록(110)의 상단부에 안착되게 배치되어 유공블록(100)과 함께 하부집수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유공블록(100)의 상부에 배치된 딤플형 다공판(200)은 역세공정에서 유공블록(100)을 통해 상승하는 역세수와 역세공기를 공급받게 되며, 다공판(20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는 다공판(200)의 저면(200a)에 형성된 공극과 분산홈(210)을 통해 다공판(2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딤플형 다공판(200)은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저면(200a)의 공극뿐만 아니라 분산홈(210)을 통해서도 다공판(2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저면(200a)의 공극 일부가 폐쇄되거나 크기가 축소된 경우에도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분산홈(210)의 내부로 유입된 역세수 및 역세공기는 분산홈(210)과 연결된 주변의 공극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면서 다공판(200)의 내부로 분산된 후 다공판(200)의 공극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와 합류되어 다공판(200)의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아치형 구조로 형성된 분산홈(210)의 상부면(210a)은 상승하는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분산홈(210)의 상부에만 집중되지 않고 주변의 공극으로 분산되도록 유도하여 줌으로써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분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집수장치는 딤플형 다공판(200)이 유공블록(10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유공블록(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다공판(200)의 저면(200a)으로 유입되는 역세수와 역세공기의 원활하고 균일한 유동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정체되거나 특정 부위에 집중됨에 따른 제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합성수지 알갱이 11: 홈
100: 유공블록 130: 안착단
140: 지지턱 200: 다공판
210: 분산홈 210a: 상부면
220: 몰드 221: 성형돌기

Claims (6)

  1. 여과지에 조성된 여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여과수를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역세척 작업을 위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의 기능을 하는 송수실(C1)과, 상기 송수실(C1)로부터 나오는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분산되면서 상부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분산실(C2)과, 여과수와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유공이 가능하도록 여러 곳에 분산되게 형성된 다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유공블록(100); 및 상기 유공블록(100)의 상부에 조립되어 여층의 여재를 지지하는 다공판(200);으로 이루어진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200)은 합성수지 알갱이(10)가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모든 합성수지 알갱이(10)는 구형으로써 표면에 우묵한 홈(11)이 형성된 딤플형 알갱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공판(200)의 내부 공극이 다공판(200)의 저면을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하여 합성수지 알갱이(10) 간의 눌어붙음에 의한 공극의 폐쇄나 공극의 축소를 보완하여 역세수 및 역세공기가 다공판(200)의 저면을 통해 다공판(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게 하는 다수의 분산홈(210)이 다공판(200)의 저면에 분산되게 형성되며,
    상기 분산홈(210)은 다공판(200)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서, 분산홈(210)으로 유입된 역세수와 역세공기가 분산홈(210)의 상단부에서 사방으로 분산되면서 주변의 공극으로 유입되게 유도하도록 둥글게 형성된 아치형의 상부면(210a)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몰드(220)의 내부에 합성수지 알갱이(10)를 채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다공판(2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몰드(220)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성형돌기(221)에 의해 다공판(200)의 성형과 함께 형성되어 분산홈(210)의 내부 공간과 다공판(200)의 내부 공극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공블록(1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안착단(130)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200)의 저면 가장자리가 안착단(130)에 안착되어 다공판(200)이 유공블록(1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역세수 및 역세공기의 균등분배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홈(210)의 직경은 다공판(20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알갱이(10)의 최소 직경 보다 크고 최대 직경 보다 작으며, 합성수지 알갱이(10)의 최대 직경 보다 큰 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산홈(210)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5 ~ 8개의 합성수지 알갱이(10)가 분산홈(210)을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6. 삭제
KR1020210184664A 2021-12-22 2021-12-22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KR102413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64A KR102413022B1 (ko) 2021-12-22 2021-12-22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664A KR102413022B1 (ko) 2021-12-22 2021-12-22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022B1 true KR102413022B1 (ko) 2022-06-29

Family

ID=8227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664A KR102413022B1 (ko) 2021-12-22 2021-12-22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76B1 (ko) 2022-09-27 2023-03-29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
KR102514684B1 (ko) 2022-09-27 2023-03-29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의 운전방법
KR102606917B1 (ko) * 2023-02-09 2023-12-20 (주) 디아이엔바이로 2단 압력 분배구조 및 비정형 다공성 플레이트 필터를 이용한 정밀여과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592A (en) * 1991-04-03 1993-08-03 The F. B. Leopold Company, Inc.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KR970003566U (ko) * 1995-06-16 199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를 이용한 타 방송 프로그램 예약시간표를 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8692B1 (ko) 2017-09-08 2018-03-14 효림산업주식회사 하부집수장치용 딤플형 다공판
KR102240975B1 (ko) * 2020-12-01 2021-04-16 효림산업주식회사 여재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공판과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는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2592A (en) * 1991-04-03 1993-08-03 The F. B. Leopold Company, Inc.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KR970003566U (ko) * 1995-06-16 1997-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를 이용한 타 방송 프로그램 예약시간표를 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38692B1 (ko) 2017-09-08 2018-03-14 효림산업주식회사 하부집수장치용 딤플형 다공판
KR102240975B1 (ko) * 2020-12-01 2021-04-16 효림산업주식회사 여재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공판과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는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676B1 (ko) 2022-09-27 2023-03-29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
KR102514684B1 (ko) 2022-09-27 2023-03-29 효림이엔아이 주식회사 유공블럭형 집수부재가 구비된 활성탄 여과장치의 운전방법
KR102606917B1 (ko) * 2023-02-09 2023-12-20 (주) 디아이엔바이로 2단 압력 분배구조 및 비정형 다공성 플레이트 필터를 이용한 정밀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022B1 (ko) 정밀 균등 분산형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US5149427A (en)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KR101817292B1 (ko) 딤플 구조를 갖는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US5269920A (en) Cap system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US5232592A (en) Cap for underdrains in gravity filters
EP07552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gas backwash in lateral underdrains
US4707257A (en) Air/water distributor underdrain
US4118322A (en) Filtering apparatus for liquids
JPH04247203A (ja) ろ過ブロック
JP2000508975A (ja) 流体処理媒体の支持装置
KR102240975B1 (ko) 여재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공판과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는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
KR101838692B1 (ko) 하부집수장치용 딤플형 다공판
JP5335088B2 (ja) 飲料装置用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飲料装置
US3954620A (en) Filtration and backwashing apparatus for use with a water filtration system
JP4724300B2 (ja) 濾材システムの暗渠ブロック
US79229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ormly distributing a fluid through a filter bed in a filter
KR101435017B1 (ko) 역세척 유체의 균등 방사를 위한 오리피스 구조를 갖는 하부집수장치
RU2067084C1 (ru) Аэ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100048030A (ko)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KR102413024B1 (ko) 결속력이 향상된 균등 분산형 하부집수장치
JP3853738B2 (ja) 高速ろ過方法
US7736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iformly distributing a fluid through a filter bed in a filter
KR200417138Y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JP3299898B2 (ja) 空気洗浄型濾過装置用空気分散管
KR100655166B1 (ko) 하부집수장치의 w형유공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