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964B1 -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 Google Patents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64B1
KR102412964B1 KR1020210170801A KR20210170801A KR102412964B1 KR 102412964 B1 KR102412964 B1 KR 102412964B1 KR 1020210170801 A KR1020210170801 A KR 1020210170801A KR 20210170801 A KR20210170801 A KR 20210170801A KR 102412964 B1 KR102412964 B1 KR 10241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port
storage tank
inlet passag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인재훈
이연재
Original Assignee
인재훈
이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재훈, 이연재 filed Critical 인재훈
Priority to KR102021017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수에 설치되는 해수 저장 탱크; 해수 저장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화 시설; 해수와 해수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해수 유입 통로; 해수 저장 탱크와 소화 시설을 연결하는 해수 유출 통로; 해수 유입 통로 중 해수 쪽에 설치되는 여과 망; 및 해수 유입 통로 중 해수 저장 탱크 쪽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rt and port fire fighting system: a seawater storage tank installed in seawate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a seawater inlet passage connecting the seawater and the seawater storage tank; seawater outlet passages connecting seawater storage tanks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 filtration net installed on the seawater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it provides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including a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seawater storage tank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Description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ort and port fire fighting system.

항·포구에 접안된 선박 및 주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소방차 진입 도로가 확보되지 않고 소방 설비가 없어, 즉시 초기 소화 진압이 불가능하며, 특히 휘발성을 많이 보유한 선박 등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부잔교 등에 선박을 밀집 접안하는 특성 상, 인근 선박으로 화재가 옮겨 붙어 제2의 화재사고가 발생하는 등, 접안된 모든 선박이 중대 재해 사각 지대로서 생명과 재산 등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event of a fire in a vessel docked in a port or a nearby building, the fire engine access road is not secured and there are no firefighting facilities, so it is impossible to immediately extinguish the fire and extinguish the fire immediately. Due to the nature of densely berthing ships, a fire spreads to nearby ships and a second fire accident occur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port and port fire fighting system.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수에 설치되는 해수 저장 탱크; 해수 저장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화 시설; 해수와 해수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해수 유입 통로; 해수 저장 탱크와 소화 시설을 연결하는 해수 유출 통로; 해수 유입 통로 중 해수 쪽에 설치되는 여과 망; 및 해수 유입 통로 중 해수 저장 탱크 쪽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awater storage tank installed in seawate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a seawater inlet passage connecting the seawater and the seawater storage tank; seawater outlet passages connecting seawater storage tanks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 filtration net installed on the seawater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it provides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including a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seawater storage tank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 유입 통로에 설치되는 여과 망과 함께, 여과재 또는 여과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dium or filter cloth, together with a filter net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 저장 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해수 유입 통로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수위 센서, 및 해수 유입 통로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수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seawater storage tank,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located above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located below the seawater inlet passage. ca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 유입 통로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및 유량 센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pressure sensor and a flow sensor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화재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화재 감지와 동시에 소화 시설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e detection sensor, and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may be automatically driven at the same time as the fire is detect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여과 망에 접근 가능한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in the form of a ladder or a staircase accessible to the filtering ne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와 소화 시설을 직접 연결하는 해수 연결 배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water connection pipe that directly connects seawater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육상에 설치되는 레일, 및 레일에 설치되어 해상 쪽으로 연장 가능한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ail installed on the land, and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rail and can be extended toward the sea.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 저장 탱크와 외부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배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eawater storage tank and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소화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전력 공급 장치는 태양광 발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배터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The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d the power supply devic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 battery hav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 유입 통로에 설치되는 삽입 배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여과 망 및 체크 밸브는 삽입 배관 내에 설치될 수 있다.The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pipe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the filtering net and check valve may be installed in the insertion pipe.

본 발명에서 해수 유입 통로, 여과 망 및 체크 밸브는 각각 해수 저장 탱크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water inlet passage, the filtration net and the check valve may be installed in pluralit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를 이용하여 항·포구 시설에 발생하는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고, 각종 센서와 장비 및 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한 소방 시스템이다.The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firefighting system that can effectively suppress fires occurring in port/port facilities using seawater, and performs various functions using various sensors, equipment, and structures, etc. to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유입 통로 부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크 밸브의 일 실시형태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port / 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port / 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seawater inlet passag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smart port/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mbodiment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은 해수 저장 탱크(10), 소화 시설(20, 22), 해수 유입 통로(30, 31, 32, 33), 삽입 배관(35), 해수 유출 통로(40), 여과 망(50), 여과재 또는 여과포(52), 체크 밸브(60, 64), 수위 센서(70, 71), 유량 센서(72), 압력 센서(73), 화재 감지 센서(80),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90), 발판 구조물(92), 해수 연결 배관(100), 레일(110), 연장 가능한 구조물(120), 외부 연결 배관(130), 전력 공급 장치(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5, the smart port / port fire f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water storage tank (10),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20, 22), seawater inlet passages (30, 31, 32, 33), insertion pipe ( 35), seawater outlet passage 40, filter screen 50, filter media or filter cloth 52, check valve 60, 64, water level sensor 70, 71, flow sensor 72, pressure sensor 73 , fire detection sensor 80, ladder or stair-type structure 90, scaffold structure 92, seawater connection pipe 100, rail 110, extendable structure 120, external connection pipe 130,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140 and the like.

도 1과 2를 참고하면, 해수 저장 탱크(10)는 해수(S)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위해 내부에 해수(S)를 저장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해수 저장 탱크(10)의 크기와 형상 그리고 저장 공간의 크기와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해저 지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거나, 다면체나 원통 등의 정형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해수 저장 탱크(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고, 또한 플라스틱(FRP 등)이나 금속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해수 저장 탱크(10)를 땅을 파서 묻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1 and 2 ,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serves to store seawater (S), and for this purpose,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storing seawater (S) therein. The size and shape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spac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for example,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abed topography, or have a regular shape such as a polyhedron or a cylinder can have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may be a concrete structur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FRP, etc.) or metal. In addition, it may be included in the case of digging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n the ground.

해수 저장 탱크(10)는 해수(S)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기도록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배후 부지, 물양장, 선착장, 잔교 등과 같은 항·포구 시설(P)에 설치될 수 있고, 항·포구 시설(P)과 독립적으로 설치되거나, 항·포구 시설(P)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물양장으로 예시된 항·포구 시설(P)의 일부로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인 물양장의 내부에 저장 공간을 형성하여 해수 저장 탱크(10)로 활용할 수 있다. 해수 저장 탱크(10)는 항·포구 시설(P)과 접하거나 떨어져 있을 수 있고, 해수 저장 탱크(10)의 위치 및 항·포구 시설(P)과의 관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s installed to be at least partially submerged in the seawater (S), and specifically, it may be installed in a port/port facility (P) such as a hinterland, a wharf, a marina, a pier, and a port/port facility ( It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of P) or included as a part of port/port facilities (P). For example, as a part of the port/port facility (P) illustrated as a wharf in FIGS. 1 and 2 ,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wharf in the form of a concrete structure to be utilized as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may be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port/port facility (P), and the position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ort/port facility (P)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can

도 1과 2를 참고하면, 소화 시설(20)은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하고, 이를 위해 소방 펌프, 소방 호스, 스프링쿨러 등과 같은 적절한 소방 시설을 구비할 수 있다. 소화 시설(20)은 해수 유출 통로(40)를 통해 해수 저장 탱크(10)로부터 해수(S)를 공급 받을 수 있다. 소화 시설(20)은 해수 저장 탱크(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항·포구 시설(P) 위에 설치될 수 있고, 해수 저장 탱크(10)에 직접 설치되거나 다른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소화 시설(20)은 1개 또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소화 시설(20)의 종류와 위치 및 개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1 and 2 ,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serves to suppress a fire, and for this purpose, an appropriate fire fighting facility such as a fire pump, a fire hose, a sprinkler,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may receive seawater S from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the seawater outlet passage 40 .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for example, it may be installed above the port/port facility (P), and may be installed directly in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or installed elsewhere. can One or more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20 may be installed. The type, location and number of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도 1과 2를 참고하면, 해수 유입 통로(30, 31, 32, 33)는 해수(S)와 해수 저장 탱크(10)를 연결하여 해수(S)를 해수 저장 탱크(1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측면 쪽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해수(S) 쪽 수직 벽 및/또는 수평 벽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1 and 2 ,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 31 , 32 and 33 connect the seawater S and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to introduce the seawater S into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do The seawater inflow passages 30 to 3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preferably pass through the vertical wall and/or the horizontal wall on the seawater (S) side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can

도 1을 참고하면, 해수 저장 탱크(10)의 해수(S) 쪽 벽을 계단 형태로 구성하고, 상부의 수직 벽에 제1해수 유입 통로(30)를 형성하고, 그 아래 수평 벽에 제2해수 유입 통로(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수(S)는 제1해수 유입 통로(30)를 통해 측 방향(우측 해수로부터 좌측 탱크 쪽)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제2해수 유입 통로(31)를 통해 상하 방향(상측 해수로부터 하측 탱크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해수(S)의 수위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만수위인 제1수위(H1)부터 저수위인 제2수위(H2)까지 변동될 수 있다. 제2해수 유입 통로(31)는 제2수위(H2)와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제2수위(H2)보다 약간 낮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eawater (S) side wall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s configured in a step shape, a first seawater inlet passage 30 is formed on the upper vertical wall, and the second seawater inlet passage 30 is formed on the horizontal wall below it. A seawater inlet passage 31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seawater S may be introduc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right seawater to the left tank side) through the first seawater inlet passage 30 , an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from the upper seawater) through the second seawater inlet passage 31 . to the lower tank).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S may change from the first water level H1 which is the full water level to the second water level H2 which is the low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tidal difference. The second seawater inlet passage 31 may b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second water level H2, 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or higher than the second water level H2.

도 2를 참고하면, 해수 저장 탱크(10)의 해수(S) 쪽 벽을 수직 벽으로만 구성하고, 수직 벽의 상부에 제3해수 유입 통로(32)를 형성하고, 수직 벽의 하부에 제4해수 유입 통로(33)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해수(S)는 제3 및 제4해수 유입 통로(32, 33)를 통해 측 방향(우측 해수로부터 좌측 탱크 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해수(S)의 수위는 조수간만차에 따라 만수위인 제1수위(H1)부터 저수위인 제2수위(H2)까지 변동될 수 있다. 제4해수 유입 통로(33)는 제2수위(H2)와 거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제2수위(H2)보다 약간 낮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eawater (S) side wall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s composed of only a vertical wall, a third seawater inlet passage 3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wall, 4 It is possible to form the seawater inlet passage (33). In this case, the seawater S may be introduced in the lateral direction (from the right seawater toward the left tank)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seawater inflow passages 32 and 33 .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S may change from the first water level H1 which is the full water level to the second water level H2 which is the low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tidal difference. The fourth seawater inlet passage 33 may b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as the second water level H2, 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lightly lower or higher than the second water level H2.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해수 저장 탱크(10)의 해수 쪽 벽 중 상부에 1개(30, 32), 하부에 1개(31, 33)를 설치할 수 있다. 상부에 위치한 제1 및 제3해수 유입 통로(30, 32)는 해수(S)의 만조 수위(H1)와 거의 같거나, 만조 수위(H1)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에 위치한 제2 및 제4해수 유입 통로(31, 33)는 해수(S)의 간조 수위(H2)와 거의 같거나, 간조 수위(H2)보다 약간 낮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may be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 one ( 30 , 32 ) and one ( 31 , 33 )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water side wall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The first and third seawater inflow passages 30 and 32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equal to the high tide level H1 of the seawater S, or slightly lower than the high tide level H1. The second and fourth seawater inflow passages 31 and 3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equal to the low tide level H2 of the seawater S, or slightly lower or higher than the low tide level H2.

이와 같이,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를 해수 저장 탱크(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설치함에 따라, 해수(S)의 수위가 낮더라도 충분한 해수(S)를 확보할 수 있고, 조수간만차가 있는 지역에서 만조 시와 간조 시에 모두 해수(S)가 해수 저장 탱크(10)로 유입될 수 있다.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의 위치와 개수 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is way,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t is possible to secure sufficient seawater (S) even if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S) is low, and the tide Seawater 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t both high tide and low tide in an area with a tidal difference.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도 3을 참고하면, 해수 저장 탱크(10)의 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에는,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삽입 배관(35)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 배관(35)의 직경은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의 직경과 거의 동일할 수 있고, 삽입 배관(35)의 길이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벽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벽 두께보다 짧게나 길게 할 수 있다. 여과 망(50), 여과재 또는 여과포(52), 체크 밸브(60, 64), 수위 센서(70, 71), 유량 센서(72), 압력 센서(73) 등은 삽입 배관(3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삽입 배관(35)을 설치함에 따라, 여과 망(50), 여과재(52), 밸브(60, 64), 센서(70 내지 73)의 교체나 수리 또는 청소 시에 삽입 배관(35)를 탈착하여 필요한 부품만을 손 쉽게 작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formed through the wall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preferably, a separate insertion pipe 35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inserted pipe 3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 and the length of the inserted pipe 35 is equal to the wall thickness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or It can be shorter or longer than the wall thickness. Filter mesh 50, filter media or filter cloth 52, check valves 60, 64, water level sensors 70, 71, flow sensor 72, pressure sensor 73, etc. to be installed in the insertion pipe (35) can As the insertion pipe 35 is installed, the insertion pipe 35 is detached and removed when replacing, repairing, or cleaning the filter mesh 50, the filter media 52, the valves 60 and 64, and the sensors 70 to 73. You can easily work with only the parts you need.

도 1과 2를 참고하면, 해수 유출 통로(40)는 해수 저장 탱크(10)와 소화 시설(20)을 연결하여 해수(S)를 소화 시설(20) 등으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해수 유출 통로(40)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상면 쪽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상부 수평 벽, 필요에 따라 항·포구 시설(P)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해수 유출 통로(40)에는 별도로 배관을 삽입할 수 있고, 특히 해수 저장 탱크(10) 및 항·포구 시설(P)이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소화 시설(20)까지 연결될 수 있다. 해수 유출 통로(40)는 1개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해수 유출 통로(40)의 위치 및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1 and 2 , the seawater outlet passage 40 connects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to discharge seawater (S)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and the like. The seawater outflow passage 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is preferably formed through the upper horizontal wall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f necessary, through the port/port facility (P). can A separate pipe may be inserted into the seawater outlet passage 40 , and in particular, when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port/port facility (P) are apart, it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through a separate pipe. The seawater outlet passage 40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seawater outlet passage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도 3을 참고하면, 여과 망(50)은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중 해수(S) 쪽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해양 쓰레기, 어류, 해조류, 각종 부유물질 등)이 해수 저장 탱크(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 망(50)은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내에, 또는 이 통로(30 내지 33)에 삽입된 배관(35)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적절한 방법과 수단을 통해 통로(30 내지 33) 또는 배관(35)에 고정될 수 있다.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가 복수 개일 경우, 각 통로마다 또는 일부 통로에만 설치될 수 있다. 여과 망(50)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각종 재료로 제작될 수 있고, 망의 구멍 크기는 여과 대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과 망(50)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하므로, 장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3, the filtering net 50 is installed on the seawater (S)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so that relatively large foreign substances (marine waste, fish, seaweed, various floating substances, etc.) are stored in the seawater storage tank ( 10) to prevent inflow. The filtering net 50 may be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or in the pipe 35 inserted into the passages 30 to 33, and through suitable methods and means, the passages 30 to 33 or It may be fixed to the pipe (35).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they may be installed in each passage or only in some passages. The filtering net 5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or plastic, and the size of the hole of the net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iltering target. Since the filtering net 50 serves to filter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erial, it can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preferably semi-permanently.

도 3을 참고하면, 여과재 또는 여과포(52)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중 여과 망(50)보다 탱크(10) 쪽에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이 해수 저장 탱크(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재 또는 여과포(52)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또는 삽입 배관(35)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적절한 방법과 수단을 통해 통로(30 내지 33) 또는 배관(35)에 고정될 수 있다.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가 복수 개일 경우, 각 통로마다 또는 일부 통로에만 설치될 수 있다. 여과재 또는 여과포(52)는 스펀지 형태 등과 같은 여과재, 섬유포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포어(pore) 크기는 여과 대상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과재 또는 여과포(52)는 청소 후 재사용하거나 교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3 , the filter medium or filter cloth 52 is installed on the tank 10 side rather than the filter net 50 among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to prevent relatively small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 serves to prevent The filter medium or filter cloth 52 may be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or the insertion pipe 35 , and may be fixed to the passages 30 to 33 or the pipe 35 through appropriate methods and mean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they may be installed in each passage or only in some passages. The filter medium or the filter cloth 52 may be made of a filter medium such as a sponge type or a fiber cloth, and the size of the pores may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iltering target. The filter medium or filter cloth 52 can be reused or replaced after cleaning.

도 3을 참고하면, 체크 밸브(60, 64)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중 탱크(10) 쪽에 설치되어 해수(S)가 한쪽 방향(즉, 탱크(10) 방향)으로만 흐르게 함으로써, 탱크(10)에 저장된 해수(S)가 다시 바다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체크 밸브(60, 64)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또는 삽입 배관(35)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적절한 방법과 수단을 통해 통로(30 내지 33) 또는 배관(35)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가 복수 개일 경우, 각 통로마다 또는 일부 통로에만 설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60, 64)로는 통상의 리프트 형태, 스윙 형태 등의 체크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check valves 60 and 64 are installed on the tank 10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so that the seawater S flows in only one direction (that is, the tank 10 direction). , serves to prevent the seawater (S) stored in the tank 10 from being discharged back to the sea. The check valves 60 and 64 may be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30 to 33 or the insertion pipe 35, and may be fixed to the passage 30 to 33 or the pipe 35 through appropriate methods and means, ,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they may be installed in each passage or only in some passages. As the check valves 60 and 64, a check valve such as a normal lift type or a swing type can be used.

도 5에 예시된 체크 밸브(64)는 해수 유입 통로(32)의 상부와 하부 등에 형성된 홈(34)에 고정된 지지대(66)에 설치된 것으로, 부력이나 탄성력 등을 이용한 것이다. 해수(S)가 통로(32)에 유입되면, 체크 밸브(64)는 해수(S)의 수압에 의해 해수 저장 탱크(10) 쪽으로 기울거나 눕혀져서 통로(32)가 개방될 수 있다. 해수(S)의 수위가 낮아져서 해수(S)가 통로(32)에 유입되지 않으면, 체크 밸브(64)는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The check valve 64 illustrated in FIG. 5 is installed on the support 66 fixed to the grooves 34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32 , and uses buoyancy or elastic force. When the seawater (S) flows into the passage (32), the check valve (64) may be tilted or laid down toward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seawater (S) to open the passage (32).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awater (S) is lowered so that the seawater (S) does not flow into the passage (32), the check valve (64)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3을 참고하면, 수위 센서(70, 71)는 해수 저장 탱크(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탱크(10) 내의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수위 센서(70, 71)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수위 센서(70), 및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수위 센서(71)로 구성될 수 있다. 수위 센서(70, 71)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또는 삽입 배관(35)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적절한 방법과 수단을 통해 통로(30 내지 33) 또는 배관(35)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각 통로(30 내지 33)마다 또는 일부 통로에만 설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70, 71)는 체크 밸브(60, 64)와 연계되어 탱크(10) 내의 수위에 따라 체크 밸브(60, 64)가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10) 내의 수위가 낮을 경우, 수위 센서(70, 71)가 이를 감지하여 체크 밸브(60, 64)를 개방하여 탱크(10) 내부에 여과된 해수(S)가 인입될 수 있다. 수위 센서(70, 71)의 측정 값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자 등에게 통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water level sensors 70 and 71 are installed inside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to measure the water level in the tank 10 . The water level sensors 70 and 71 are a first water level sensor 70 positioned above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71 positioned lower than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can be composed of The water level sensors 70 and 71 may be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30 to 33 or the insertion pipe 35, and may be fixed to the passage 30 to 33 or the pipe 35 through appropriate methods and means, , may be installed for each passage (30 to 33) or only in some passages. The water level sensors 70 and 71 may be connected to the check valves 60 and 64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check valves 60 and 64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tank 10 . For exampl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10 is low, the water level sensors 70 and 71 detect this and open the check valves 60 and 64 so that the filtered seawater S is introduced into the tank 10. can The measured values of the water level sensors 70 and 71 may be notified to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ly.

도 3을 참고하면, 유량 센서(72) 및 압력 센서(73)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중 체크 밸브(60, 62)의 전에(여과재와 밸브 사이에) 및/또는 후에(밸브와 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통로(30 내지 33)의 유량 및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유량 센서(72) 및/또는 압력 센서(73)는 체크 밸브(60, 62)의 전에만, 후에만,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될 수 있고, 두 센서(72, 73) 중 한 종류만 설치되거나, 양쪽 센서 모두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망(50) 및/또는 여과재(52)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여과 망(50) 및/또는 여과재(52)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막혀, 해수(S)의 흐름이 작던가 전혀 없을 경우, 통로(30 내지 33)의 유량이나 압력이 변하게 되고, 유량 센서(72) 및/또는 압력 센서(73)가 이를 감지하여 여과 망(50) 및/또는 여과재(52)의 청소나 교체 시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량 센서(72) 및/또는 압력 센서(73)의 측정 값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자 등에게 통보될 수 있다. 유량 센서(72) 및/또는 압력 센서(73)는 해수 유입 통로(30 내지 33) 또는 배관(35) 내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으며, 각 통로(30 내지 33)마다 또는 일부 통로에만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flow sensor 72 and the pressure sensor 73 are disposed before (between the filter medium and the valve) and/or after the check valves 60 and 62 (the valve and the valve)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 It is installed between the tanks) and serves to measure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passages 30 to 33 . The flow sensor 72 and/or the pressure sensor 73 may be installed only before, only after, or both of the check valves 60 , 62 , and only one of the two sensors 72 , 73 may be installed or , both sensors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filter net 50 and/or the filter medium 52 so that the filtering net 50 and/or the filter medium 52 is partially or completely clogged, so that the flow of seawater S is small or not at all. In this case,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passages 30 to 33 is changed, and the flow sensor 72 and/or the pressure sensor 73 detects this, and cleaning or replacement timing of the filter net 50 and/or the filter medium 52 etc. can be checked. The measured values of the flow sensor 72 and/or the pressure sensor 73 may be notified to an administrator or the like by wire or wirelessly. The flow sensor 72 and/or the pressure sensor 73 may be installed and fix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s 30 to 33 or the piping 35, and may be installed in each passage 30 to 33 or only in some passages. have.

도 2를 참고하면, 화재 감지 센서(80)는 항·포구 시설(P)이나 선박(B) 등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화재 감지 센서(80)는 소화 시설(20)과 연계되어 화재 감지와 동시에 소화 시설(20)이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80)는 예를 들어 소화 시설(20)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와 개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80)로는 예를 들어 열상 센서, 열화상 카메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여 화재를 능동적으로 감지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fire detection sensor 80 serves to detect a fire occurring in a port/port facility (P) or a ship (B). The fire detection sensor 8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is automatically driven at the same time as the fire is detected. The fire detection sensor 80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in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but the location and number thereof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The fire detection sensor 80 may be, for example, a thermal sensor, a thermal imaging camera, or the like. In particular, by actively detecting a fire using a thermal imaging camera,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도 1과 2를 참고하면,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90)은 여과 망(50) 부근에 설치되어 여과 망(50)에 접근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과 망(50), 여과재(52), 밸브(60, 64) 및/또는 센서(70 내지 73)의 청소나 교체 또는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 간조 시에 이 구조물(90)을 통해 여과 망(50)에 접근할 수 있다. 이 구조물(90)은 항·포구 시설(P)의 끝 부분이나 해수 저장 탱크(10)의 벽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위치와 크기 및 형상 등은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사다리 구조물(90)은 해수 유입 통로(32)까지 설치되고, 사다리 구조물(90)의 하부에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발판 구조물(92)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의 경우, 계단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발판 구조물이 필요 없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ladder or step-shaped structure 90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filtration net 50 and serves to access the filtration net 50 . When cleaning, replacement, or repair of the filter screen 50, the filter medium 52, the valves 60, 64 and/or the sensors 70 to 73 is required, the filter screen (90) is passed through the structure 90 at low tide. 50) can be accessed. The structure 90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ort/port facility (P) or on the wall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its location, size and shape may be appropriately set. Referring to FIG. 2 , the ladder structure 90 is installed up to the seawater inlet passage 32 , and a scaffold structure 92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adder structure 90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In the case of Figure 1, since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ep,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caffolding structure.

도 2를 참고하면, 해수 연결 배관(100)은 해수(S)와 소화 시설(20)을 직접 연결하여 긴급하거나 필요 시에 해수(S)를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해수 연결 배관(100)의 한쪽은 해수(S)에 잠겨 있고, 다른 한쪽은 소화 시설(20)과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seawater connection pipe 100 directly connects the seawater S and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so that the seawater S can be directly used in an emergency or necessary. One side of the seawater connection pipe 100 is submerged in seawater (S),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

도 4를 참고하면, 레일(110)은 육상에 설치되거나, 또는 해수 저장 탱크(10)나 항·포구 시설(P)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구조물(120)은 레일(110)에 설치되어 해상 쪽으로 연장 가능하다. 연장 가능한 구조물(120)은 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평소에는 접혀 있다가, 화재 발생 시에 해상 쪽으로 다단식으로 펼쳐져서 그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구조물(120)은 사다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항·포구 시설(P)이나 선박(B) 등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레일(110) 및 구조물(120)을 통해, 화재 진압 범위를 대폭으로 확장할 수 있다. 레일(110) 및 구조물(120)의 종류와 위치 및 개수와 크기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레일(110) 부근에는 소화전 등과 같은 별도의 소화 시설(22)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rail 110 may be installed on land, or installed on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or the port/port facility (P). The extendable structure 120 is installed on the rail 110 to extend toward the sea. The extendable structure 120 can be slidably moved on the rail 110 , and is usually folded and unfolded in multiple stages toward the sea in case of a fire to increase its length. The extendable structure 120 may have a shape such as a ladder. When a fire occurs in the port/port facility (P) or the ship (B), the fire suppression range can be significantly expanded through the rail 110 and the structure 120 . The type, position, number, and size of the rail 110 and the structure 12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A separat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2 such as a fire hydrant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near the rail 110 .

도 2를 참고하면, 외부 연결 배관(130)은 해수 저장 탱크(10)와 외부를 연결하여 필요한 곳(예를 들어, 음식점, 회 센터, 수산물 판매장, 수산물 유통 센터, 다중 이용 시설 등)에 해수(S)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연결 배관(130)은 소화 시설(20)에 연결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해수 유출 통로를 통해 해수 저장 탱크(1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0 connects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and the outside to provide seawater in a necessary place (eg, a restaurant, a sushi center, a seafood market, a seafood distribution center, a multi-use facility, etc.) It serves to supply (S). The external connection pip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 and may als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through a separate seawater outlet passage.

도 2를 참고하면, 전력 공급 장치(140)는 전력 케이블 등을 통해 소화 시설(20)의 소방 펌프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력 공급 장치(140)는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배터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140)의 종류와 위치 및 크기와 형상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wer supply device 140 serves to supply power to a fire pump or the like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through a power cable or the like. The power supply device 140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olar power generator, a wind power generator, and a battery. The type, location, size, and shape of the power supply device 14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set.

우리나라의 특성상 항·포구에는 조수간만차가 발생하고, 서해의 경우에는 최대 13미터 이상의 조수 간만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항·포구 물양장, 잔교 밑에 해수 저장 탱크(10)를 설치하고, 해수가 만수위 정도로 될 경우에, 여과 망(50)와 여과재(52) 및 설치 수압을 이용하여 여과된 해수(S)를 탱크(10)에 저장하며, 상부에 소화 시설(20)을 설치하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다.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there is a tidal difference in ports and ports, and in the West Sea, a tidal difference of up to 13 meters or more occurs. In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se characteristics, the seawater storage tank 10 is installed under the port and port water cistern and the pier, and when the seawater becomes about full, it is filtered using the filter net 50, the filter medium 52, and the installed water pressure. The stored seawater (S) is stored in the tank (10), and the key feature is to install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on the upper part.

소방 시설을 설치하려면, 상수도나 지하수에 연결해야 하나, 낙후된 항만이나 어항, 다중 이용 시설이 밀집된 배후 부지 등에는 현재 소화전 등 어떠한 소방시설도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소방 시설 설치가 불가능한 곳에 해수(또는 강물, 지하수 등)를 이용하여 소방수를 확보하여 상부에 소방 시설을 설치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install a firefighting facility, it must be connected to waterworks or groundwater, but there are currently no firefighting facilities such as a fire hydrant in an underdeveloped port, fishing port, or a hinterland site with many multi-use faciliti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installing a firefighting facility on the upper part by securing firefighting water using seawater (or river water, groundwater, etc.) where installation of a firefighting facility is impossible.

기존 여과기의 이물질 막힘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90)을 이용하여, 저-수위 시에 육지나 상부 쪽에서 접근함으로써, 여과 망(50), 여과재(52), 밸브(60, 64), 센서(70 내지 73) 등을 쉽게 교체하거나 청소 또는 보수 가능하다.Unlike the clogging of foreign substances in the existing filt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ladder or step-shaped structure 90, by approaching from the land or upper side at low-water level, the filter net 50, the filter medium 52, the valve 60 , 64), sensors 70 to 73, etc. can be easily replaced, cleaned, or repaired.

여과 탱크의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해수나 저수지에 있는 물에 직접 배관(100)을 연결하고, 이를 소화 시설(20)에 연결하여 소방 펌프 등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When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filtration tan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seawater or water in a reservoir, and it is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20 to suppress a fire with a fire pump or the like.

해상 부유식 구조물이나 항·포구에 정박된 선박에 화재가 발생할 때, 소방 호수가 짧아 화재 진압이 어려울 경우, 본 발명에서는 육상에 레일(110)을 설치하고, 해상 쪽으로 펼쳐질 수 있는 사다리 형태 등의 구조물(120)을 설치함으로써, 화재 진압 범위를 넓힐 수 있다.When a fire occurs in floating structures or ships anchored in ports and ports, when fire suppression is difficult due to a short fire hos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ail 110 is installed on land, and a structure such as a ladder that can be spread toward the sea By installing (120), it is possible to widen the fire suppression range.

탱크(10)에 여과되어 저장된 해수는 배관(130)을 통해, 인근 수산업 판매 시설, 활어 위판장, 음식점, 어촌계, 이용 단체 등과 같이, 해수가 필요한 곳에 공급할 수 있다.The seawater filtered and stored in the tank 10 can be supplied to a place where seawater is needed, such as a nearby fishery sales facility, a live fish market, a restaurant, a fishing village, a user group, and the like through the pipe 130 .

화재 발생 시에 소방 펌프를 가동함에 있어서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장치나 풍력 발전장치(140) 등에 축전지를 연결하여 작동시키고, 만일 축전지나 태양광 발전장치 등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소방 펌프에 자동차 배터리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긴급 상황 시 소화 장비 고장으로 인한 불안을 2차적으로 보완하여 안정적으로 즉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Since power is required to operate the fire pump in the event of a fire, a storag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or the wind power generator 140 to operate, and if a failure occurs in the storage battery or the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the fire pump By directly connecting the car battery to the car batter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ire stably and immediately by supplementing the anxiety caused by the fail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in an emergency situation.

부두에는 국가 중요 시설물, 다중 이용 시설, 계류 시설, 선박 등이 밀집되어 있고, 특히 선박 화재 시 신속한 화재 진압이 되지 않으면, 휘발성 성분이 가득 저장된 선박이 연속적으로 전소되는 사례가 많은 실정인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을 이용하면, 항·포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National important facilities, multi-use facilities, mooring facilities, ships, etc. are concentrated on the pier, and in particular, if a fire is not quickly extinguished in the event of a fire in a ship,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 ship full of volatile components is continuously burned dow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according to

10: 해수 저장 탱크, 20, 22: 소화 시설, 30, 31, 32, 33: 해수 유입 통로, 34: 홈, 35: 삽입 배관, 40: 해수 유출 통로, 50: 여과 망, 52: 여과재 또는 여과포, 60, 64: 체크 밸브, 66: 지지대, 70: 제1수위 센서, 71: 제2수위 센서, 72: 유량 센서, 73: 압력 센서, 80: 화재 감지 센서, 90: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 92: 발판 구조물, 100: 해수 연결 배관, 110: 레일, 120: 연장 가능한 구조물, 130: 외부 연결 배관, 140: 전력 공급 장치, B: 선박, H1: 제1수위, H2: 제2수위, P: 항·포구 시설, S: 해수10: seawater storage tank, 20, 22: fire extinguishing facility, 30, 31, 32, 33: seawater inlet passage, 34: groove, 35: insertion pipe, 40: seawater outlet passage, 50: filter screen, 52: filter medium or filter cloth , 60, 64: check valve, 66: support, 70: first water level sensor, 71: second water level sensor, 72: flow sensor, 73: pressure sensor, 80: fire detection sensor, 90: ladder or stair-type structure , 92: scaffold structure, 100: seawater connection pipe, 110: rail, 120: extendable structure, 130: external connection pipe, 140: power supply, B: ship, H1: first water level, H2: second water level, P: port/port facilities, S: seawater

Claims (12)

해수에 설치되는 해수 저장 탱크;
해수 저장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소화 시설;
해수와 해수 저장 탱크를 연결하는 해수 유입 통로;
해수 저장 탱크와 소화 시설을 연결하는 해수 유출 통로;
해수 유입 통로 중 해수 쪽에 설치되는 여과 망;
해수 유입 통로 중 해수 저장 탱크 쪽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 및
여과 망에 접근 가능한 사다리 또는 계단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 seawater storage tank installed in seawater;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a seawater inlet passage connecting the seawater and the seawater storage tank;
seawater outlet passages connecting seawater storage tanks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 filtration net installed on the seawater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a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seawater storage tank side of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A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includes structures in the form of ladders or steps with access to a filter screen.
제1항에 있어서,
해수 유입 통로에 설치되는 여과 망과 함께, 여과재 또는 여과포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additionally includes a filter medium or filter cloth, along with a filter net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해수 저장 탱크 내부에 설치되고, 해수 유입 통로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제1수위 센서, 및 해수 유입 통로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제2수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seawater storage tank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water level sensor positioned above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a second water level sensor positioned below the seawater inlet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해수 유입 통로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및 유량 센서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nd a flow sensor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제1항에 있어서,
화재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화재 감지와 동시에 소화 시설이 자동으로 구동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additionally includes a fire detection sensor and automatically activates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t the same time as the fire is detec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해수와 소화 시설을 직접 연결하는 해수 연결 배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additionally includes a seawater connection pipe that directly connects seawater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육상에 설치되는 레일, 및 레일에 설치되어 해상 쪽으로 연장 가능한 구조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additionally includes a rail installed on land, and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rail and can be extended toward the sea.
제1항에 있어서,
해수 저장 탱크와 외부를 연결하는 외부 연결 배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additionally includes an external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eawater storage tank and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소화 시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력 공급 장치는 태양광 발전 장치, 풍력 발전 장치 및 배터리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e fighting facility, wherein the power supply devic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olar power generation device, a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a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해수 유입 통로에 설치되는 삽입 배관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과 망 및 체크 밸브는 삽입 배관 내에 설치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 and port firefighting system that additionally includes an insertion pipe installed in the seawater inlet passage, and the filtering net and check valve are installed in the insertion pipe.
제1항에 있어서,
해수 유입 통로, 여과 망 및 체크 밸브는 각각 해수 저장 탱크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스마트 항·포구 소방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port/port firefighting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seawater inlet passages, filtering nets, and check valves are install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awater storage tank, respectively.
KR1020210170801A 2021-12-02 2021-12-02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KR1024129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801A KR102412964B1 (en) 2021-12-02 2021-12-02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801A KR102412964B1 (en) 2021-12-02 2021-12-02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64B1 true KR102412964B1 (en) 2022-06-27

Family

ID=8224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801A KR102412964B1 (en) 2021-12-02 2021-12-02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6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922A (en) * 2008-04-23 2009-10-28 이호석 Independent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canal tunnel
KR20130141034A (en) * 2012-06-15 2013-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uid filtration apparatus
KR20150041466A (en) * 2013-10-08 2015-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re fighting apparatus for side spread mooring type-offshore equipment
KR102205135B1 (en) * 2018-11-28 2021-01-20 주식회사 우림토건 Fire water tank with induction device of helicopter for forest fire evacu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922A (en) * 2008-04-23 2009-10-28 이호석 Independent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canal tunnel
KR20130141034A (en) * 2012-06-15 2013-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uid filtration apparatus
KR20150041466A (en) * 2013-10-08 2015-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re fighting apparatus for side spread mooring type-offshore equipment
KR102205135B1 (en) * 2018-11-28 2021-01-20 주식회사 우림토건 Fire water tank with induction device of helicopter for forest fire evac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2013A (en) Firefighting wat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10669684B2 (en) Wave suppressor and sediment collection system
RU2555178C2 (en) Protective structure for collection of fluid flowing into ambient water
US8398334B1 (en) Self-positioning subsea oil spill containment system
CN206457885U (en) Fire cistern is automatically replenished water-storing device
CN108884647B (en) Shallow water base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hallow water base structure
CZ174799A3 (en) Mobile equipment for protection from flood
CN104210627B (en) Build the device and method of lower water for jack-up unit level land
KR102412964B1 (en) Smart port firefighting system
CN111469985A (en) Ship anchor chain cleaning system and ship
KR101787587B1 (en) Water intake installation for cooling a nuclear power plant, and nuclear power plant comprising such an installation
RU2616378C2 (en) Clamping segmentary device for repair of metal and concrete foundations of hydraulic structures in the underwater zone and variable water level
JP2007085128A (en) Contamination preventive device
KR101965254B1 (en) Security system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CN105821954A (en) LNG accumulated water separation and discharge pool
CN113356171B (en) Self-elevating exploration platform
CN105586851B (en) A kind of beach Fuel Tanking Unit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HRPK20190694B3 (en) Underwater floating tunnel of segments with ballast tanks
CN201457706U (en) Three-station lifting fountain platform
CN217027282U (en) Fire-fighting water intake device
RU2014380C1 (en) Screen for protection of water from pollution with ground during underwater earth-moving work
CN218151059U (en) Self-response blocking danger-removing emergency device for water inrush and soil surging of shield tunnel
CN212723758U (en) Pond water level control device
RU152562U1 (en) DEVICE FOR LOCALIZATION OF OIL SPILLS ON RESERVOIRS
KR101248619B1 (en) Sinkable storm surge barri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