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587B1 - 셀 성능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셀 성능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587B1
KR102412587B1 KR1020180151257A KR20180151257A KR102412587B1 KR 102412587 B1 KR102412587 B1 KR 102412587B1 KR 1020180151257 A KR1020180151257 A KR 1020180151257A KR 20180151257 A KR20180151257 A KR 20180151257A KR 102412587 B1 KR102412587 B1 KR 10241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ell
bicell
performan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751A (ko
Inventor
이우설
정도화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5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587B1/ko
Priority to US17/296,368 priority patent/US20210396810A1/en
Priority to CN201980076131.9A priority patent/CN113661398A/zh
Priority to PCT/KR2019/016273 priority patent/WO2020111695A1/ko
Priority to EP19889603.7A priority patent/EP3865887A4/en
Publication of KR20200064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7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 battery to perform a critical function, e.g. cran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셀 성능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은, 제1 전극탭을 구비하는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탭을 구비하는 제2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된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위셀의 최외각에서 상기 제1 전극과 대면되는 측에 상기 제2 전극과 동일 극성을 갖고, 제3 전극탭을 구비하는 대면 전극을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두고 더 적층시키는 추가 적층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에 구비된 제1 전극탭과 상기 대면 전극에 구비된 제3 전극탭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대면 전극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외측 계면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성능 측정방법{CELL PERFORMANCE MEASURING METHOD}
본 발명은 셀 성능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 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이 도포된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권취한 젤리 롤(Jelly-roll)형,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 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 필름으로 권취한 스택/폴딩형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작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앤 폴딩 셀의 폴딩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앤 폴딩 셀의 폴딩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10)는 다수개의 단위셀(12)들을 분리필름(11)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적층시킨 후 일방향으로 차례로 폴딩하여 전극 조립체(10)를 형성시킨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스택/폴딩형 전극 조립체(10)의 단위셀(12)들에 대해 셀 성능을 분석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15647호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스택/폴딩형의 단위 셀들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는 셀 성능 측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은, 제1 전극탭을 구비하는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탭을 구비하는 제2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된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위셀의 최외각에서 상기 제1 전극과 대면되는 측에 상기 제2 전극과 동일 극성을 갖고, 제3 전극탭을 구비하는 대면 전극을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두고 더 적층시키는 추가 적층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에 구비된 제1 전극탭과 상기 대면 전극에 구비된 제3 전극탭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대면 전극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외측 계면 분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셀의 외면에 대면 전극을 더 구비시켜 계면간 성능 차이를 측정하여 단위 셀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앤 폴딩 셀의 폴딩 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앤 폴딩 셀의 폴딩 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1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1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2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2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1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1 단위셀의 측정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2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2 단위셀의 측정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제1 단위셀을 수용하는 수용단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제1 단위셀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제2 단위셀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을 통해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을 통해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충방전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1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1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은 단위셀(110)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제1 전극(111), 분리막(114), 및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된 단위셀(110)의 최외각에서 대면 전극(121)을 더 적층시키는 추가 적층단계, 및 제1 전극(111) 및 대면 전극(12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외측 계면 분석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은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내측 계면 분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2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적용되는 제2 단위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셀 성능 측정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셀 성능 측정방법은 제1 전극탭(115)을 구비하는 제1 전극(111), 분리막(114), 및 제2 전극탭(116)을 구비하는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된 단위셀(110)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추가 적층단계는 단위셀(110)의 최외각에서 제1 전극(111)과 대면되는 측에 제2 전극(112)과 동일 극성을 갖고, 제3 전극탭(122)을 구비하는 대면 전극(121)을 분리막(114)을 사이에두고 더 적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전극탭(115) 및 제2 전극탭(116)은 단위셀(110)의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전극탭(122)은 단위셀(110)의 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추가 적층단계는 일례로 대면 전극(121)을 제1 전극(111)의 외측에 비접합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적층단계는 다른 예로 대면 전극(121)을 제1 전극(111)의 외측에 라미네이션(lamination)시켜 접합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한편, 단위셀(110)은 예를 들어 중앙측에 제2 전극(112)이 위치되며, 제2 전극(112)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 전극(111)이 각각 위치되는 바이셀(Bi-ce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이셀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다수개의 바이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이셀은 제1 전극(111)이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이 양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이셀(110)로 이루어지며,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바이셀은 제1 전극(211)이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2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제2 바이셀(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2 바이셀(210)은 제1 바이셀(110)과 같이 제1 전극(211)에 제1 전극 탭(215)이 구비되고, 제2 전극(212)에 제2 전극탭(216)이 구비되며, 대면 전극(221)에 제3 전극탭(222)이 구비되어, 각각 측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리막(214)은 제1 전극(211), 제2 전극(212), 및 대면 전극(221) 사이를 절연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1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1 단위셀의 측정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2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개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에서 제2 단위셀의 측정 영역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4,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단위셀(110)의 외측 영역(CO)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단위셀(110)에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1 전극(111)과 대면 전극(12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전극(111)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5)과 대면 전극(121)에 구비된 제3 전극탭(1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전극(111) 및 대면 전극(12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단위셀(110)을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단위셀(110)에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1 전극(111)과 대면 전극(12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측정부(150)(측정부 상품명:PNE, 전압값:0-5V/8A, 오차범위 ±0.1%)에서는 저항값 또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저항값이 낮거나, 전류값이 클 수록 계면간 성능이 좋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50)는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미도시)와,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미도시)와,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미도시), 및 전지 용량을 측정하는 용량 측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다수개의 단위셀(110)들의 외측 계면을 각각 분석하여 외측 계면간 셀 성능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예를 들어 제1 전극(111)과 대면 전극(121)을 접합시켰을때와 접합시키지 않았을 때의 계면간 셀 성능을 측정하여, 대면 전극(121)의 비접합 시와 접합 시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예를 들어 제1 바이셀(110) 및 제2 바이셀(210)의 외측 계면을 각각 분석하여 제1 바이셀(110) 및 제2 바이셀(210) 간의 셀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단위셀의 내측 영역(CI)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단위셀(110)에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2 전극(112)과 중앙부에 위치되는 제1 전극(11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2 전극(112)에 구비된 제2 전극탭(116)과, 제1 전극(111)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단위셀(110)을 전해액에 함침시킨 후 단위셀(110)에서 최외각에 위치되는 제2 전극(112)과 중앙부에 위치되는 제1 전극(110)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측정부(150)에서는 저항값 또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저항값이 낮거나, 전류값이 클 수록 계면간 성능이 좋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바이셀(110)의 계면간 성능 차이 및 제2 바이셀(210)의 계면간 성능 차이를 각각 측정하여, 제1 바이셀(110)과 제2 바이셀(210) 간의 셀 성능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바이셀(110)의 외측 영역(CO) 및 내측 영역(CI)의 셀 성능과, 제2 바이셀(210)의 외측 영역(AO) 및 내측 영역(AI)의 셀 성능 서로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동시에 수행하여 제1 바이셀(110)과 제2 바이셀(210)의 전체 영역(CF,AF)의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동시에 수행하여 제1 바이셀(110)의 전체 저항값 및 전류값을 측정하고, 제2 바이셀(210)의 전체 저항값 및 전류값을 측정하여, 제1 바이셀(110) 및 제2 바이셀(210)의 저항값과 전류값을 비교하여 셀 성능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제1 바이셀(110) 및 제2 바이셀(210)에서 제1 전극(111,211)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5)과 대면 전극(121)에 구비된 제3 전극탭(122,2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전극(112,212)에 구비된 제2 전극탭(116,216)과 제1 전극(111,211)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5,2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바이셀(110) 및 제2 바이셀(210)의 전체 계면간 성능차이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된 제1 바이셀(110) 및 제2 바이셀(210)의 전체 저항값과 전체 전류값을 통해 충전,방전 곡선으로 나타낼 수 있고, 충전,방전 곡선의 특성을 확인하여 셀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전류-전압커브 또는 내부 저항값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전류-전압커브를 이용하여 DCIR(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및 HPPC(hybrid pulse power characterization)등을 확인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제1 단위셀을 수용하는 수용단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제1 단위셀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제2 단위셀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11을 참고하면, 제1 전극탭(115)을 구비하는 제1 전극(111), 분리막(114), 및 제2 전극탭(116)을 구비하는 제2 전극(112)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된 단위셀(110)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단위셀(110)의 최외각에서 제3 전극탭(122)을 구비하는 대면 전극(121)을 더 적층시키는 추가 적층단계와, 제1 전극(111) 및 대면 전극(12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외측 계면 분석단계와,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내측 계면 분석단계, 및 단위셀(110)을 전지 케이스(130)의 수용부(131)에 전해액과 함께 수용시켜 실링(Sealing)하는 수용단계를 포함한다.(참조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과 비교할 때, 단위셀(110)을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130)에 수용하는 수용단계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간략히 기술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추가 적층단계는 단위셀(110)의 최외각에서 제1 전극(111)과 대면되는 측에 제2 전극(112)과 동일 극성을 갖고, 제3 전극탭(122)을 구비하는 대면 전극(121)을 분리막(114)을 사이에두고 더 적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전극탭(115) 및 제2 전극 탭(116)은 단위셀(110)의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 전극탭(122)은 단위셀(110)의 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위 셀(110)은 예를 들어 중앙측에 제2 전극(112)이 위치되며, 제2 전극(122)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 전극(111)이 각각 위치되는 바이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추가 적층단계는 바이셀의 최외각 양측에 대면 전극(121)을 각각 적층시킬 수 있다.
아울러, 추가 적층단계는 일례로 대면 전극(121)을 제1 전극(111)의 외측에 비접합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적층단계는 다른 예로 대면 전극(121)을 제1 전극(111)의 외측에 라미네이션시켜 접합 형태로 적층시킬 수 있다.
한편, 바이셀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바이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이셀은 제1 전극(111)이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이 양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이셀(110)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바이셀은 제1 전극(111)이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제2 전극(112)은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제2 바이셀(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참조)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수용단계는 추가 적층단계를 수행한 후에 단위셀(110)을 전지 케이스(130)에 전해액과 함께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에서, 수용단계는 제1 전극 탭(115)에 제1 전극리드(117)를 연결시키고, 제2 전극탭(116)에 제2 전극리드(118)를 연결시키며, 제3 전극탭(122)에 제3 전극리드(123)를 연결시키는 리드연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리드(117)와, 제2 전극리드(118), 및 제3 전극리드(123)의 단부는 전지 케이스(1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리드(117)와, 제2 전극리드(118), 및 제3 전극리드(123)는 측정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측정부(150)는 제1 전극리드(117)를 통해 제1 전극탭(1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리드(118)를 통해 제2 전극탭(116)과 연결되며, 제3 전극리드(123)를 통해 제3 전극탭(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참조 도 7)
이때, 제1 바이셀(110)을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130)에 수용시켜 제1 이차전지(100)를 형성시키고, 제2 바이셀(210)을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130)에 수용시켜 제2 이차전지(200)를 형성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도 8을 참고하면,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2 전극(112)에 구비된 제2 전극탭(116)과, 제1 전극(111)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전극(111) 및 제2 전극(112)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전극리드(117) 및 제 2 전극리드(118)을 통해 제1 전극탭(115) 및 제2 전극탭(122)을 측정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참조 도 7)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전극(111)에 구비된 제1 전극탭(115)과 대면 전극(121)에 구비된 제3 전극탭(12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1 전극(111) 및 대면 전극(121)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외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전극리드(117) 및 제 3 전극리드(123)을 통해 제1 전극탭(115) 및 제3 전극탭(122)을 측정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참조 도 7)
도 8 및 도 10을 참고하면,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제1 바이셀(110)의 계면간 성능 차이 및 제2 바이셀(210)의 계면간 성능 차이를 각각 측정하여, 제1 바이셀(110)과 제2 바이셀(210) 간의 셀 성능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도 5 참조)
< 실험예 1 >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을 통해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외측 계면과, 내측 계면, 전체 계면의 계면간 성능차이 각각 측정하였다. 도 14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직류 저항(DCIP; 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나타낸다. 여기서,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최외각에는 대면전극을 적층하였다. 그리고,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 및 제3 전극 탭을 저항 측정기(측정부 상품명:PNE, 전압값:0-5V/8A, 오차범위 ±0.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직류 저항을 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제1 바이셀의 외측 계면 저항값(C-O)이 제2 바이셀의 외측 계면 저항값(A-O) 보다 작고, 제1 바이셀의 내측 계면 저항값(C-I)이 제2 바이셀의 내측 계면 저항값(A-I) 보다 크며, 제1 바이셀의 전체 저항값(C-F)이 제2 바이셀의 전체 저항값(A-F) 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이셀의 외측 계면 저항값(C-O)이 제2 바이셀의 외측 계면 저항값(A-O) 보다 작고, 제1 바이셀의 내측 계면 저항값(C-I)이 제2 바이셀의 내측 계면 저항값(A-I) 보다 크지만, 제1 바이셀의 전체 저항값(C-F)이 제2 바이셀의 전체 저항값(A-F) 보다 작으므로, 도 14에 도시된 제1 바이셀의 셀 성능은 제2 바이셀의 셀 성능 보다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셀 성능 측정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단위셀 성능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 실험예 2 >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을 통해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충방전 성능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외측 계면 및 내측 계면을 포함하는 전체 계면간 성능차이 각각 측정하였다. 도 15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전압(Voltage, V)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충방전 용량(Capacity, mAh)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최외각에는 대면전극을 적층하였다. 그리고, 제1 바이셀 및 제2 바이셀의 제1 전극탭과 제2 전극탭 및 제3 전극 탭을 저항 및 전류 측정기(측정부 상품명:PNE, 전압값:0-5V/8A, 오차범위 ±0.1%)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각각의 전체 저항값과 전체 전류값을 측정하여 충전,방전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즉, 저항값과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압값 및 용량값을 추출하였다. 여기서, 전압값은 V(전압값)=I(전류값)*R(저항값) 식을 통해서 구하고, 용량값은 전류값(I)에 시간(t)을 곱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SOC 10% 및 25℃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도 15에 도시된 하방향을 향하는 방전 그래프에서 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제1 바이셀의 전체 계면의 전압값(C)이 제2 바이셀의 전체 계면 전압값(A)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1 바이셀의 전체 계면의 방전 용량이 제2 바이셀의 방전 용량 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바이셀의 전체 계면의 충방전 성능이 제2 바이셀의 전체 계면의 충방전 성능 보다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셀 성능 측정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단위셀 성능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 성능 측정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전극 조립체
11: 분리필름
12: 단위셀
100,200: 이차전지
110: 단위셀(제1 바이셀)
111,211: 제1 전극
112,212: 제2 전극
114,214: 분리막
115,215: 제1 전극탭
116,216: 제2 전극탭
117,217: 제1 전극리드
118,218: 제2 전극리드
121,221: 대면 전극
122,222: 제3 전극탭
123,223: 제3 전극 리드
130: 전지 케이스
131: 수용부
150 : 측정부
210: 단위셀(제2 바이셀)

Claims (11)

  1. 제1 전극탭을 구비하는 제1 전극, 분리막, 및 제2 전극탭을 구비하는 제2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접합된 단위셀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단위셀의 최외각에서 상기 제1 전극과 대면되는 측에 상기 제2 전극과 동일 극성을 갖고, 제3 전극탭을 구비하는 대면 전극을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두고 더 적층시키는 추가 적층단계; 및
    상기 제1 전극에 구비된 제1 전극탭과 상기 대면 전극에 구비된 제3 전극탭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대면 전극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외측 계면 분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에 구비된 제2 전극탭과, 상기 제1 전극에 구비된 제1 전극탭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사이의 계면간 성능차이를 측정하는 내측 계면 분석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위 셀은 중앙측에 상기 제2 전극이 위치되며, 상기 제2 전극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제1 전극이 각각 위치되는 바이셀(Bi-cell)로 이루어지고,
    상기 추가 적층단계는 상기 바이셀의 최외각 양측에 상기 대면 전극을 각각 적층시키고,
    상기 추가 적층단계는 상기 대면 전극을 상기 제1 전극의 외측에 비접합 형태로 적층시키는 셀 성능 측정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탭 및 상기 제2 전극 탭은 상기 단위셀의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전극탭은 상기 단위셀의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셀 성능 측정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적층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단위셀을 전지 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수용시키는 수용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성능 측정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용단계는 상기 제1 전극 탭에 제1 전극리드를 연결시키고, 상기 제2 전극 탭에 제2 전극리드를 연결시키며, 상기 제3 전극 탭에 제3 전극 리드를 연결시키는 리드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셀 성능 측정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셀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상기 바이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이셀은 상기 제1 전극이 음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이 양극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이셀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바이셀은 상기 제1 전극이 양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은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제2 바이셀로 이루어지는 셀 성능 측정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계면 분석단계 및 상기 내측 계면 분석단계는,
    상기 제1 바이셀의 계면간 성능 차이 및 상기 제2 바이셀의 계면간 성능 차이를 각각 측정하여,
    상기 제1 바이셀과 상기 제2 바이셀 간의 셀 성능 차이를 분석하는 셀 성능 측정방법.
KR1020180151257A 2018-11-29 2018-11-29 셀 성능 측정방법 KR102412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257A KR102412587B1 (ko) 2018-11-29 2018-11-29 셀 성능 측정방법
US17/296,368 US20210396810A1 (en) 2018-11-29 2019-11-25 Method for measuring cell performance
CN201980076131.9A CN113661398A (zh) 2018-11-29 2019-11-25 电芯性能测量方法
PCT/KR2019/016273 WO2020111695A1 (ko) 2018-11-29 2019-11-25 셀 성능 측정방법
EP19889603.7A EP3865887A4 (en) 2018-11-29 2019-11-25 METHOD OF MEASURING CELL POW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257A KR102412587B1 (ko) 2018-11-29 2018-11-29 셀 성능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51A KR20200064751A (ko) 2020-06-08
KR102412587B1 true KR102412587B1 (ko) 2022-06-23

Family

ID=7085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257A KR102412587B1 (ko) 2018-11-29 2018-11-29 셀 성능 측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96810A1 (ko)
EP (1) EP3865887A4 (ko)
KR (1) KR102412587B1 (ko)
CN (1) CN113661398A (ko)
WO (1) WO2020111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0530A1 (zh) * 2021-02-09 2022-08-1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719B1 (ko) * 1997-08-04 2005-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면저항측정용전지및이를이용하는저항측정방법
JP2012079582A (ja) * 2010-10-04 2012-04-19 Nec Corp 二次電池、二次電池の正極または負極の抵抗測定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正極または負極の劣化程度診断方法
JP5850492B2 (ja) * 2011-10-13 2016-02-03 学校法人早稲田大学 電池システムおよび電池の評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492B2 (ja) * 1980-01-10 1983-11-10 永楽産業株式会社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等の建築金物類と電線管相互のコネクタ−
JP2000285909A (ja) * 1999-03-31 2000-10-13 Mitsubishi Cable Ind Ltd リチウムイオン2次電池の電極板試験装置
JP4832229B2 (ja) * 2006-01-23 2011-12-0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0481601C (zh) * 2007-05-30 2009-04-22 李文华 三电极电化学电池
KR101528001B1 (ko) 2012-06-22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761971B1 (ko) * 2013-10-10 2017-07-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쇼트 측정장치
WO2015085580A1 (en) * 2013-12-13 2015-06-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corporating reference electrodes into battery pouch cells
KR101688569B1 (ko) * 2014-02-06 2016-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셀 및 절연저항 불량 확인 방법
CN104181436A (zh) * 2014-08-13 2014-12-03 江苏安瑞达新材料有限公司 一种锂电池隔膜抗短路能力的测试方法
US20170222280A1 (en) * 2014-09-29 2017-08-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Laminated battery
CN105261781B (zh) * 2015-10-28 2018-11-16 广东烛光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化学电池及其制备方法
KR102018849B1 (ko) * 2015-11-11 2019-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돌출 연장부와 탭 연결부를 구비한 전극 리드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CN106058302A (zh) * 2016-06-25 2016-10-26 芜湖格利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三电极监控电芯内部短路的方法
KR102038611B1 (ko) * 2016-10-25 2019-10-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것의 수명 예측 장치
CN109073709B (zh) * 2016-11-04 2020-12-04 株式会社Lg化学 用于估计二次电池的反应的方法和用于该方法的包括电池单元的二次电池
CN106707185B (zh) * 2016-12-14 2019-06-07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软包装锂离子二次电池性能评估方法
CN107026282A (zh) * 2017-06-02 2017-08-08 中天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三电极体系及其测试方法
CN108107092B (zh) * 2017-11-17 2019-09-27 清华大学 一种带有参比电极的锂离子电池的浸润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719B1 (ko) * 1997-08-04 2005-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면저항측정용전지및이를이용하는저항측정방법
JP2012079582A (ja) * 2010-10-04 2012-04-19 Nec Corp 二次電池、二次電池の正極または負極の抵抗測定方法、および、二次電池の正極または負極の劣化程度診断方法
JP5850492B2 (ja) * 2011-10-13 2016-02-03 学校法人早稲田大学 電池システムおよび電池の評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751A (ko) 2020-06-08
EP3865887A4 (en) 2021-12-15
US20210396810A1 (en) 2021-12-23
CN113661398A (zh) 2021-11-16
WO2020111695A1 (ko) 2020-06-04
EP3865887A1 (en)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228B2 (ja) 電極積層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JP6788107B2 (ja) 電池セルのための電極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電極ユニット
US20140205879A1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JP2011155015A (ja) タブ−リード結合部の電極間抵抗差を最小化した電極組立体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化学セル
KR101792572B1 (ko) 절연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전극을 포함하는 전지셀
US20120129037A1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cell
CN110178257B (zh) 电极组件和用于制造电极组件的方法
KR101789066B1 (ko) 복합 구조의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US20110104550A1 (en)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EP2940776B1 (en) Electrode assembly of stepped structure
KR101984314B1 (ko) 이차전지
JP7221122B2 (ja) 電池セルの電極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及び電池セル
KR20200043402A (ko) 배터리 단자 용 리드 탭
US11362383B2 (en) Secondary battery
US10454132B2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bi-cell and full-cell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412587B1 (ko) 셀 성능 측정방법
KR20180081926A (ko) 실링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용 전극조립체
KR20140069702A (ko) 배터리 셀 전극 리드,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연결 구조, 방법 및 배터리 팩
KR101650860B1 (ko) 분리막의 열 수축성이 억제된 전지셀
US20200168875A1 (en) Secondary battery
TWI500199B (zh) 包含多電極組件的二次電池
KR101327767B1 (ko) 배터리 셀
KR101491060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0613469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616502B1 (ko) 슬릿을 이용하여 연결된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