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511B1 -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511B1
KR102412511B1 KR1020200109509A KR20200109509A KR102412511B1 KR 102412511 B1 KR102412511 B1 KR 102412511B1 KR 1020200109509 A KR1020200109509 A KR 1020200109509A KR 20200109509 A KR20200109509 A KR 20200109509A KR 102412511 B1 KR102412511 B1 KR 10241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nique
block chai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462A (ko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5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이에 의하면,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DID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참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2 DID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1 DID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DID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한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 상기 콘텐츠와 상기 고유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고유 특징을 포함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판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CONTENTS USING BLACKCHAIN DID}
본 발명은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을 통한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다수의 개인에 의해 창작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제작되어 유통되고 있다. 기존에는 전문성을 갖춘 제작자들에 의해서 콘텐츠가 한정적으로 제작되었지만, 현재는 콘텐츠의 제작 주체가 일반 개인까지 폭넓게 확대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콘텐츠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기 때문에, 콘텐츠의 무분별한 공유나 무단 도용 등의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콘텐츠의 권리자를 식별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반면, 기술의 발전으로 콘텐츠의 복제는 과거에 비해 보다 용이해졌고, 보다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권리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권리자를 식별하고 관리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8005호(2016.06.0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체인 DID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 장치 및 콘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장치는,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색부; 와,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의 등록을 통하여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검증부; 및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참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2 DID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1 DID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DID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고유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유 특징에 대응하는 고유한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한 후,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제1 DID 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 상기 콘텐츠와 상기 고유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고유 특징을 포함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유사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유사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도록 상기 검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일치도가 제2임계값 이상인 중복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콘텐츠의 표절 여부를 판별하도록 상기 검증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DID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정당권리자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정당권리자는, 상기 콘텐츠의 생성자, 권리자 및 소유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콘텐츠 관리 방법에 의하면,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와,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참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2 DID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1 DID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DID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고유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유 특징에 대응하는 고유한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한 후,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제1 DID 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 상기 콘텐츠와 상기 고유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고유 특징을 포함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유사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유사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일치도가 제2임계값 이상인 중복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콘텐츠의 표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DID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정당권리자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정당권리자는, 상기 콘텐츠의 생성자, 권리자 및 소유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의 소유권이나 저작권 문제가 없고, 가짜 콘텐츠 걱정이 없는 안전한 콘텐츠의 저장과 관리 및 유통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불법적인 콘텐츠에 대한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특정 콘텐츠에 대한 진위 여부를 제공함으로써 유료 또는 무료로 사용하는 이용자에게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통한 분산원장 관리를 통하여 가짜 콘텐츠에 대한 대비책을 제공하고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블록체인과 DID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블록체인과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를 블록에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사용하는 DID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를 블록체인 기반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 ID)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가 관리하는 콘텐츠는 오디오, 이미지, 동영상, 2D 영상, 3D 영상, 360도 영상, AR 영상, VR 영상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작권이나 소유권 등의 권리가 발생할 수 있는 한, 텍스트 등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검색부(110), 검증부(120), 등록부(미도시)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검색부(110)는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색부(110)는 콘텐츠를 검색하여, 콘텐츠에 삽입된 DID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DID 정보는 콘텐츠의 정당권리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정당권리자는 콘텐츠의 생성자, 권리자 및 소유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부(120)는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검증부(120)는 콘텐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식별정보(Content IDentity: CID)는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개념으로, 콘텐츠의 고유 특징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고유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콘텐츠 식별정보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A가 소정 계조로 구성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고유 특징을 가진다면, 이러한 특징에 대응하여 4비트의 숫자로 구성되는 콘텐츠 식별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증부(120)는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 콘텐츠와 고유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고유 특징을 포함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등록부(미도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DID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해당 콘텐츠와 가장 높은 정확도로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 참조 콘텐츠의 DID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에 DID 정보를 발급 및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참조 콘텐츠의 DID 정보인 제2 DID 정보를 콘텐츠의 DID 정보인 제1 DID 정보로 설정하고, 제1 DID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콘텐츠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콘텐츠의 고유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유 특징에 대응하여 고유한 콘텐츠 식별정보를 콘텐츠에 부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 식별정보를 DID 정보와 대응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등록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동일 콘텐츠에 대한 DID 정보와 콘텐츠 식별정보를 서로 대응되도록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콘텐츠 식별정보와 DID 정보를 동일한 블록에 함께 저장하거나, 각각을 저장한 블록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콘텐츠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와 유사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유사 콘텐츠가 검색되면,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도록 검증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일치도가 제2임계값 이상인 중복 콘텐츠가 검색되면, 콘텐츠의 표절 여부를 판별하도록 검증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블록체인과 DID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과 DID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관리할 수 있다.
D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는, 블록체인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ID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오픈(인터넷) 유사검색을 통하여 DID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DID 정보와 콘텐츠 고유정보를 분산관리하고 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불법적으로 생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진위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텐츠 A는 DID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 A의 진위여부를 판단한다(S210).
콘텐츠 B는 DID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유사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유사 데이터들 중에서 가장 정확도 높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매칭한다(S220).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매칭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DID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DID 정보를 콘텐츠 B의 DID 정보로 발급한 후(S230), 콘텐츠 B의 DID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한다(S240). 예를 들어, 콘텐츠 B와 유사도가 가장 높은 콘텐츠 M이 매칭되었다면, 콘텐츠 B와 콘텐츠 M은 동일한 콘텐츠로 간주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M의 DID 정보가 rightcopy.Inc라면, 콘텐츠 B의 DID 정보로 rightcopy.Inc을 발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블록체인과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과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식별정보(CID)는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개념으로서, 콘텐츠의 고유 특징에 대응하여 할당되는 고유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DID 정보를 삽입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현재 생성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생성자, 권리자 또는 소유자의 DID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는, DID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DID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서, 콘텐츠 식별정보와 DID 정보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분산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콘텐츠 식별정보는 콘텐츠 특징을 분석하고(AI 활용 가능), 분석된 특징을 가지는 고유한 ID이다. 콘텐츠 식별정보와 DID 정보의 저장 형태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기 제출된 DID 정보와 콘텐츠 식별정보 중에서 콘텐츠 식별정보 값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특징을 복원하고, 이를 콘텐츠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가 블록체인에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유사도를 판단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유사도가 나타나면 콘텐츠의 진위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중복되는 콘텐츠가 블록체인에 등록되는 경우에는, 콘텐츠가 블록체인에 등록되기 전에 진위 여부와 표절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중복되는 콘텐츠는 유사도가 거의 100%에 가까워 동일 콘텐츠로 판단되는 경우이거나, DID 정보가 동일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A가 생성되는 경우,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현재 생성되고 있는 콘텐츠 A에, 생성자, 권리자 또는 소유자의 DID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A에 콘텐츠 식별정보를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 A와 다른 콘텐츠와의 유사도를 검색한다(S310). 유사도 검색 결과 콘텐츠 A가 중복되지 않으면 AI를 통해 콘텐츠 A의 고유한 특징을 추출한다(S320). 이 경우, 추출된 고유 특징에 대응하여 콘텐츠 식별정보(CID)를 생성한다(S330).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A를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CID) 정보와 함께 블록(310)에 기록하고, 해당 블록(310)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등록한다(S340).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복수개의 블록(301, 302, 303 ?)이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노드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콘텐츠 A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C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콘텐츠 A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50, S360).
콘텐츠 식별정보(CID)에 기초하여 콘텐츠 A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콘텐츠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S370), 복원된 고유 특징과 콘텐츠 A를 비교하여 콘텐츠 A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블록체인을 통해 콘텐츠 A와 유사한 콘텐츠가 추출되면(S380), 콘텐츠 A 또는 유사한 콘텐츠의 진위 여부나 소유권을 판단할 수 있다(S39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DID 정보 및 콘텐츠 식별정보를 블록에 저장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블록체인은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로서, 거래내역을 기록한 원장을 다수의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거래 내역을 묶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구성하고, 해시값을 이용하여 이전 블록과 이후 블록을 체인 형태로 연결한 뒤, 이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투피(P2P) 방식으로 다수의 노드에 복사하여 분산 저장한다.
블록체인은 다양한 데이터를 중앙 서버 한곳에 저장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참여한 노드들에 분산한다. 거래내역은 블록이라는 단위로 정리되어 시간별로 이어지는 특징이 있고,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 및 이후 블록과 연결되는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과거 블록의 내용을 위조 및 변조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블록체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가한 모든 사람이 모든 거래내역을 기록한 원장을 가지기 때문에, 거래의 투명성이 높고 거래내역을 관리하는 거대한 중앙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권위있는 제3의 중개기관이 없더라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누구나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서는, 다수의 거래내역을 묶어 하나의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거래의 최소 단위는 트랜잭션이다. 트랜잭션이란 더 이상 분할할 수 없는 업무 처리의 최소 단위로 정의된다. 거래내역이 많든 적든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마다 한번씩 새로운 블록을 구성할 수 있다.
인터넷 등 온라인에서 거래가 발생한 경우, 각각의 트랜잭션 별로 하나의 거래내역을 구성한다. 이러한 거래내역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이러한 해시 연산 과정을 거쳐, 하나의 트랜잭션이 하나의 해시값에 대응하는 1:1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하나의 블록에는 하나의 루트해시가 존재한다. 루트해시란 모든 하위 해시들을 다시 해시 함수로 변환한 최종 해시값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400)의 루트해시(420)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거래내역(410)에 1:1로 대응하는 해시값(430)을 생성하고, 두 개의 해시를 합쳐 하나의 상위 해시(440)를 생성하고, 그 상위 해시 2개를 합쳐 다시 더 상위의 해시(420)를 생성한다. 만일, 해시의 개수가 홀수이면 맨 마지막 하나의 해시는 자기 자신과 해시 연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최종적으로 트리의 최상위 지점에 하나의 루트해시(420)가 생성된다.
하나의 블록에는 반드시 하나의 루트해시가 존재한다. 만일, 거래내역 중 하나라도 위변조할 경우, 해당 해시값과 그 상위의 모든 해시값이 변경되어 결과적으로 루트해시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블록의 루트해시만 비교해보면, 그 하위에 있는 해시를 일일이 비교 검사하지 않더라도 데이터가 위변조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새로 구성된 블록은 타임스탬프 서버에 의해 생성된 시간이 기록되어,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된다. 타임스탬프는 전자문서가 특정한 시점에 존재하고 있었다는 존재 증명과 그 이후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다는 내용 증명을 해주는 일종의 전자 도장이다.
하나의 새로운 블록을 구성한 경우, 체인 형태로 이전부터 이어져 내려오던 블록체인의 맨 끝에 새로운 블록을 연결시킨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 복사되어 분산 저장된다. 노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체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서로 데이터를 복사하여 동일한 자료를 분산 저장하고 있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는 원본과 사본의 구별이 없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노드들은 다른 노드에 있는 데이터를 복사하여 저장함으로써 서로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다. 이때 해당 데이터 전체를 100% 동일하게 복사하여 저장한 노드를 풀 노드라고 하고, 전체 데이터의 일부분만 복사하여 저장한 노드를 라이트 노드라고 한다.
만일,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가 해킹 당해 데이터가 위변조되더라도, 해당 해시값을 가지고 있는 전 세계 모든 노드의 해시값을 동시에 위변조하지 않는 한, 조작 사실이 드러나고 정상적인 데이터로 인정받지 못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가 사용하는 DID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를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 ID)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DID란 분산 아이디로서, 탈중앙화된 신원 증명이다. DID는 기존 신원확인 방식과 달리, 중앙 시스템에 의해 통제되지 않으며, 개개인이 자신의 정보에 완전한 통제권을 가질 수 있게 한다.
DID는 중앙화된 시스템을 요구하지 않는데, 분산원장이나 다른 탈중앙화 시스템이 등록 또는 정박해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 신원확인과는 달리 암호화폐 사용자들이 자금을 관리하듯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DID의 핵심 특징은 복수의 DID 보유 가능, 퍼블릭과 프라이빗 등 여러 체인에서 사용, 오직 사용자의 키를 통해서만 DID 접근, 오프체인에 저장되는 신원 요청 정보, 여러 장치와 클라우드에 걸쳐 복수의 신원 허브 보유 가능 등 블록체인의 특성을 활용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급기관(500)은 최초로 고객의 실명을 확인한 뒤, 사용자 단말(510)에 분산 ID를 발급한다(S501). 여기서, 발급기관(500)은 금융회사와 공공기관 등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산 ID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환경에서 신분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발급기관(500)은 발급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520)에 분산 저장한다(S502).
사용자 단말(510)은 검증을 위해 발급받은 분산 ID를 이용 기관(530)에 제출한다(S503).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10)은 발급받은 분산 ID를 내부 정보지갑(ex: 바이오 인증 공동앱)에 저장한 뒤, 비대면 금융거래를 위해 실명확인이나 로그인 등 본인의 신원을 증명해야 하는 시점에 제출할 수 있다.
이용 기관(53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520)를 통해 분산 ID를 검증하여, 신원확인 및 자격증명을 수행한다(S50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콘텐츠에서 DID 정보를 검색한다(S601).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한다(S602).
만일,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S602-Yes),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한다(S603).
반면,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S602-No), 유사 검색을 통해 콘텐츠에 DID 정보를 발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S613), 참조 콘텐츠의 DID 정보를 검색한 후(S614), 참조 콘텐츠의 DID 정보를 콘텐츠의 DID 정보로 설정한다(S615). 이 경우, 콘텐츠의 DID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한다(S616).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콘텐츠 관리 장치(100)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콘텐츠 관리 장치 110: 검색부
120: 검증부 130: 제어부
400: 블록 410: 거래내역
420: 루트해시 430: 해시값
500: 발급기관 510: 사용자 단말
52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13)

  1.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에 DID(Decentralized IDentity: 분산 ID)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검색부;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검증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DID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참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2 DID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1 DID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DID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도록 상기 등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의 고유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유 특징에 대응하는 고유한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한 후,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제1 DID 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DID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 상기 콘텐츠와 상기 고유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고유 특징을 포함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DID 정보와 콘텐츠 고유 ID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유사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유사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도록 상기 검증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일치도가 제2임계값 이상인 중복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콘텐츠의 표절 여부를 판별하도록 상기 검증부를 제어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ID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정당권리자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정당권리자는, 상기 콘텐츠의 생성자, 권리자 및 소유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8. 콘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 DID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에 상기 DID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가장 정확하게 매칭되는 참조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참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2 DID 정보를 상기 콘텐츠의 상기 DID 정보인 제1 DID 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DID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의 고유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된 고유 특징에 대응하는 고유한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콘텐츠에 부여한 후,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상기 제1 DID 정보와 대응되게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상기 DID 정보 및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블록에서 상기 콘텐츠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고유 특징을 복원하고, 상기 콘텐츠와 상기 고유 특징을 비교하여 상기 콘텐츠가 상기 고유 특징을 포함하는지 판단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새롭게 등록되는 경우,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유사도가 제1임계값 이상인 유사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콘텐츠와 일치도가 제2임계값 이상인 중복 콘텐츠가 검색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콘텐츠의 표절 여부를 판별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ID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정당권리자에 대한 것이고,
    상기 정당권리자는, 상기 콘텐츠의 생성자, 권리자 및 소유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0200109509A 2020-08-28 2020-08-28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1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09A KR102412511B1 (ko) 2020-08-28 2020-08-28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509A KR102412511B1 (ko) 2020-08-28 2020-08-28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62A KR20220028462A (ko) 2022-03-08
KR102412511B1 true KR102412511B1 (ko) 2022-06-22

Family

ID=8081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509A KR102412511B1 (ko) 2020-08-28 2020-08-28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3387A (ko) 2022-11-18 2024-05-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권자의 주권 강화를 위한 did 기반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825B1 (ko) * 2022-09-19 2023-02-06 주식회사 레드윗 Ipfs를 위해 콘텐츠 id를 분배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40291B1 (ko) * 2022-12-05 2023-06-08 주식회사 스펙토리 블록체인 기반 공모전 출품작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547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Government & Public Corporation System Engineering Ltd コンテンツデータ、コンテンツ不正検出の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1981630B1 (ko) * 2018-08-22 2019-05-23 주식회사 한국기술지원 블록체인을 통한 콘텐츠 저작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005B1 (ko) 2015-02-05 2016-06-1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리 위변조 감지시스템
KR102084674B1 (ko) * 2018-05-30 2020-03-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2133649B1 (ko) * 2018-11-15 2020-07-13 전중훤 컨텐츠 분산 저장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00093262A (ko) * 2019-01-28 2020-08-05 주식회사 린아레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지식 공유 서비스의 원본 컨텐츠 증명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547A (ja) * 2007-12-26 2009-07-16 Hitachi Government & Public Corporation System Engineering Ltd コンテンツデータ、コンテンツ不正検出の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KR101981630B1 (ko) * 2018-08-22 2019-05-23 주식회사 한국기술지원 블록체인을 통한 콘텐츠 저작권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3387A (ko) 2022-11-18 2024-05-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저작권자의 주권 강화를 위한 did 기반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462A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511B1 (ko) 블록체인 did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5380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forgery of financial institution proof documents on basis of block chain
US11632238B2 (en) Traceability of edits to digital documents via distributed ledgers
CN108701145B (zh) 用于分布式网络节点内的数字身份管理和许可控制的系统和方法
CN110110500B (zh) 具备侵权即时检测的去中心化图像版权保护系统及方法
JP7060221B2 (ja) 物品情報管理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342867B (zh) 签名验签方法和装置
KR10195426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서 관리 서버
US20230120897A1 (en) Apparatus for cryptographic resource transfer based on quantitative assessment regarding non-fungible tokens
JP7504794B2 (ja) 分散データレコード
US20160342977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asset transactions
CN108009445B (zh) 一种半中心化的可信数据管理系统
EP3652885B1 (en) Secure token passing via blockchains
CN107851284A (zh) 用于分散式所有权记录和鉴定的系统和方法
KR101798119B1 (ko) 주주명부를 등록하고 주식 소유권 이전을 기록하고 등록된 주주명부 파일을 검증하는 방법 및 서버
US11368289B1 (en) Video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blockchain
US11769146B1 (en) Blockchain transactional identity verification
US20220329446A1 (en) Enhanced asset management using an electronic ledger
US11323245B2 (en) Method for linking block-chain using hyper-chain, and apparatus therefor
CN112801778B (zh) 联盟式不良资产区块链系统
KR20210059165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미술작품 저작권 p2p 거래시스템
KR20200063295A (ko) 인공지능형 rm 블록체인모듈·스마트 tcv형 연구비관리중개모듈·클라우드 컴퓨팅 모듈·빅데이터 플랫폼제어모듈로 이루어진 abcd형 국가연구개발사업 일원화 연구비관리장치 및 방법
EP3902227A1 (en) Method for sharing and verifying blocks and electronic documents between nodes in blockchain
CN106326752B (zh) 一种用于区块链的程控加密文件存储系统及其方法
Bradić et al. Creating own NFT token using erc721 standard and solidity programming langu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