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005B1 - 생리 컵 - Google Patents

생리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005B1
KR102412005B1 KR1020207010673A KR20207010673A KR102412005B1 KR 102412005 B1 KR102412005 B1 KR 102412005B1 KR 1020207010673 A KR1020207010673 A KR 1020207010673A KR 20207010673 A KR20207010673 A KR 20207010673A KR 102412005 B1 KR102412005 B1 KR 102412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tem
menstrual cup
menstrual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452A (ko
Inventor
앤드류 로스 밀러
제인 하트만 아담
Original Assignee
더 플렉스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플렉스 컴퍼니 filed Critical 더 플렉스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0008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 A61F5/455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 A61F5/4553Genital or anal receptacles for collecting urine or discharge from female member placed in the vagina, e.g. for catamen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1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having venting or deodorant means, e.g. filters ; having antiseptic means, e.g. bacterial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61M31/007Injectors for solid bodies, e.g. supposi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2005/4415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venting by manual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질에 사용하기 위한 생리 컵 및 어플리케이터가 설명된다. 생리 컵은 유체를 유지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갖고 컵의 최상부에 연결되고 컵의 바닥을 통해 개방 공동을 통해 연장하는 스템 장치를 가진다. 스템은 컵의 측면과 림을 작동시켜 컵의 더 쉬운 삽입 및 제거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터는 여러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고 접힌 컵을 파지하여 컵을 질 내의 전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어플리케이터는 생리 컵의 제거를 보조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생리 컵
[0001]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생리 컵들(cups) 및 그 사용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0002] 생리 컵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Goddard의 미국 특허 제 1,891,761 호, Hagedom의 미국 특허 제 1,996,242 호, Chalmers의 미국 특허 제 2,089,113 호, Crawford의 미국 특허 제 5,827,248 호, Crawford의 의장 특허 제 D323,212 호에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들은 탐폰들(tampons) 및 생리대들과 같은 다른 월경 장치들에 대한 대체물로서 흔히 사용된다.
[0003] 전형적인 생리 컵은 질에 삽입되어 월경들을 포착하도록 설계된 컵과 같은 장치이다. 컵이 제거되기 전에 붕괴되어야 하는 전통적인 생리 컵들은 질 벽과 시일(seal)을 형성한다. 전통적인 컵들에 존재하는 공기 평형 홀들(holes)은 사용자가 측벽을 눌러 평형 구멍들을 수직 방위로 회전시킬 때 컵의 위와 아래의 공기 압력을 평형화한다. 전통적인 생리 컵들은 다중 재사용용으로 설계되고 사용자의 마음대로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0004] 그러나, 공지된 생리 컵들은 많은 단점들을 가진다. 삽입 및 제거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덜 이상적인 수집 방법들에 의지하게 하는 특정한 난점들을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된 컵들은 일반적으로 컵의 제거를 보조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있고, 당겨질 때 그리고 컵과 질 사이에 형성된 시일로 인해 제거를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제거를 금지하게 하는, 컵과 질 및 자궁경부 사이에 기계적 흡입력을 생성하는 작은 파지 스템(gripped stem)만을 가진다. 컵들도 또한 삽입하기가 어렵다. 기존 컵들은 접힌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손재주와 파지 강도를 요구하고 사용자의 손가락들을 질 내에 삽입할 것을 요구하는 특정 접힘 기술들에 의해 삽입된다. 특히 손재주 또는 파지 강도가 떨어지는 개인들에게 기존 컵들의 삽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누출 없는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 컵은 질 내에서 완전히 펼쳐져야 하지만, 기존 생리 컵들은 종종, 컵 자체의 기계적 스프링 힘들 하에서 완전히 펼쳐지지 않고 사용자가 형상을 검사하기 위해 공동 내로 더 진입할 것을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펼침을 완료하기 위해서 컵을 조작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 컵들이 신체 내에 이상적으로 배치되지 않으면, 착용자는 누출 및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0005] 따라서, 종래 기술의 하나 이상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개선된 생리 컵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0006] 본 출원은 종래 기술에 비해 사용 및 기능을 개선한 생리 컵들 및 그 사용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0007] 몇몇 실시예들은 펼쳐진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원형 둘레를 규정하는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rim)을 갖춘 리셉터클(receptacle)을 가지는 생리 컵(cup)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생리 컵은 공동을 내부에 규정하는 내벽 표면을 갖춘 측벽을 가진다. 또한, 공동은 제1 개구를 갖춘 접힘 가능한 림(rim)에 근접한 최상부 부분 및 제2 개구를 갖춘 바닥 부분을 가지며, 공동은 유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생리 컵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및 그 사이에 긴 중간 부분을 갖는 긴 스템(stem)으로 구성된다. 스템은 유체 시일(seal)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2 개구 내에 안착된다. 긴 스템은 견인력이 그의 원위 단부에 가해질 때 내벽 표면에 견인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은 2 개의 별도 위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접힘 위치는 접힘 가능한 림의 일부분이 공동의 중심을 향해 내부로 최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장시키도록 변형되는 곳에 존재한다. 전개 위치는 또한, 최상부 부분의 제1 개구가 펼쳐진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의 일반적으로 원형 둘레에 일치하도록 접힘 가능한 림이 펼쳐지는 곳에 존재한다.
[0008] 다른 실시예들에서, 컵의 바닥 부분은 스템과의 간섭 끼워 맞춤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0009]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템은 스템의 길이를 따르는 지점에 배치된 정지부(stop)를 더 포함한다.
[0010]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컵은 실리콘(silicone) 재료 및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된다.
[0011]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일은 측벽보다 더 두껍도록 재료로 보강되도록 구성된다.
[0012] 다른 실시예들에서, 시일은 반경 방향 시일 및 와이퍼 시일(wiper sea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0013]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템은 홈의 깊이가 측벽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접힘 가능한 림과 리셉터클의 측벽 내에 형성된 홈과 협력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링을 포함하며, 스템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당겨질 때 접힘 가능한 림, 측벽 및 내벽에 대해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0014]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템은 접힘 가능한 림의 연속적인 연장부이다.
[0015]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템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여 이에 의해 공기 압력이 접힘 위치 및 전개 위치 각각에서 적절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긴 구멍을 더 포함한다.
[0016] 다른 실시예들에서, 컵은 컵의 제거를 위한 압력을 평형화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한다.
[0017]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은 긴 스템을 통해 배치된다.
[0018]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홀은 최상부 부분 근처의 컵의 측벽을 통해 배치된다.
[0019]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템의 원위 단부는 파지 향상부들을 더 포함한다.
[0020] 다른 실시예들에서, 파지 향상부들은 릿지들(ridges), 나선형 릿지들, 루프(loop), 링(ring) 및 독립 구조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0021]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컵은 파릴렌(parylene)으로 피복된다.
[0022]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긴 스템의 근위 단부는 리셉터클의 내벽에 연결되며 긴 중간 부분은 원위 단부가 리셉터클 아래로 연장되도록 리셉터클의 바닥 부분의 제2 개구 및 공동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0023] 여전히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링은 컵으로 오버 몰딩된다.
[0024]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텝은 스트링이며 스트링은 컵으로 성형된다.
[0025]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트링은 공동-성형 및 오버 몰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에 의해 컵 내로 성형된다.
[0026] 다른 실시예들은 외벽 및 그의 최상부 근처에 원뿔 공동을 규정하는 윤곽이 형성된 내벽을 갖춘 원통형 본체를 가지는 생리 컵용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공구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어플리케이터는 원통형 본체와 미끄럼 방식으로 맞물리고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적어도 2 개의 긴 패들들(paddles)을 가지며, 여기서 긴 패들들은 근위 단부 근처에 연결되고 원위 단부에서 분리되어 패들들의 근위 단부는 생리 컵의 본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작동기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추고 원통형 본체와 미끄럼 방식으로 맞물려서 이에 의해 원위 단부의 개구가 생리 컵 스템과 맞물리고 원통형 본체를 통해 근위 부분으로 미끄러질 때 스템에 간섭 방식으로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작동기 기구를 가진다. 작동기 기구는 생리 컵과의 간섭 맞물림이 컵으로부터 떨어진 작동기 기구의 축 방향 변위에 의해 컵의 접힘을 유발하는 삽입 및 제거 위치를 가진다. 작동기 기구는 작동기 기구가 컵과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고 패들들이 컵을 삽입하기 위해서 상향 운동으로 미끄러질 때 적어도 2 개의 패들들이 컵을 동심으로 흔들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개 위치를 가진다.
[0027] 다른 실시예들에서, 원통형 본체는 그의 내벽에 배치된 복수의 릿지들을 더 포함하고 패들들 및 어플리케이터와의 맞물림이 생리 컵과의 접촉을 초래하도록 어플리케이터의 최상부 부분 근처에 수축 구역을 규정하도록 구성된다.
[0028] 여전히 다른 실시예들에서, 작동기 기구는 최대 원위 위치가 최대 반경 방향 개구와 관련되고 최대 근위 위치가 최소 반경 방향 개구와 관련되는 수축 구역을 통과하는 스플라잉 플라스틱 스템(splayed plastic stem)이다.
[0029] 다른 실시예들은 생리 컵을 얻는 단계를 요구하는 생리 컵의 삽입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외벽 및 그의 최상부 근처에 원뿔 공동을 규정하는 윤곽이 형성된 내벽을 갖는 원통형 본체를 가지는 어플리케이터를 얻는 단계가 이어진다. 부가적으로, 어플리케이터는 원통형 본체와 미끄럼 방식으로 맞물리고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적어도 2 개의 긴 패들들을 가지며, 여기서 긴 패들들은 근위 단부 근처에 연결되고 원위 단부에서 분리되며, 패들들의 근위 단부는 생리 컵의 본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어플리케이터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가지며 원통형 본체 및 적어도 2 개의 패들들과 미끄럼 방식으로 맞물려서 작동기 기구가 긴 패들들 사이에 동심으로 배치되고 원통형 본체의 최상부 부분 근처의 생리 컵과 간섭 방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작동기 기구를 가진다. 작동기 기구는 생리 컵과의 간섭 맞물림이 컵으로부터 떨어진 작동기 기구의 축 방향 변위에 의해 컵의 접힘을 유발하는 삽입 및 제거 위치를 가진다. 부가적으로, 작동기 기구가 컵과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고 패들들이 컵을 삽입하기 위해서 상향 운동으로 미끄러질 때 적어도 2 개의 패들들이 컵을 동심으로 흔들도록 구성될 수 있는 전개 위치를 가진다. 이어서 생리 컵은 설명된 어플리케이터 내로 접히고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전개될 수 있다.
[0030] 다른 방법들은 반전된 생리 컵이 펼쳐진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원형 둘레를 규정하는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을 갖춘 리셉터클을 가지는 반전된 컵을 설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리 컵의 제작 방법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생리 컵은 공동을 내부에 규정하는 내벽 표면을 갖는 측벽을 가진다. 또한, 공동은 제1 개구를 갖춘 접힘 가능한 림에 근접한 최상부 부분 및 제2 개구를 갖춘 바닥 부분을 가지며, 여기서 공동은 유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생리 컵은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및 그 사이에 긴 중간 부분을 갖는 긴 스템으로 구성된다. 스템은 유체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2 개구 내에 안착된다. 긴 스템은 견인력이 그의 원위 단부에 가해질 때 내벽 표면에 견인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은 2 개의 별도 위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접힘 위치는 접힘 가능한 림의 일부분이 공동의 중심을 향해 내부로 최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을 연장시키도록 변형되는 곳에 존재한다. 전개 위치는 또한, 최상부 부분의 제1 개구가 펼쳐진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의 일반적으로 원형 둘레에 일치하도록 접힘 가능한 림이 펼쳐지는 곳에 존재한다.
[0031] 부가적으로, 반전된 생리 컵 설계와 정렬되도록 구성된 성형 공구가 얻어져야 한다.
[0032] 일단 공구 및 설계가 완료되면, 컵은 공구를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고 이어서 컵은 공구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컵은 원하는 최종 형상으로 복귀되어야 한다.
[0033] 추가의 실시예들 및 특징들이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며, 명세서의 검토시 당업자에게 부분적으로 자명해지거나 본 개시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성 및 장점들에 대한 추가의 이해는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는 명세서 및 도면들의 나머지 부분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 있다.
[0034]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서 제시되고 본 발명의 범주의 완전한 인용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는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이 더욱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0035]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0036] 도 2는 생리 컵에 사용하기 위한 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0037] 도 3은 생리 컵의 일부로서 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0038] 도 4는 생리 컵의 스템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0039] 도 5는 생리 컵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0040]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0041]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0042]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0043] 도 9는 생리 컵의 공동으로부터 스템이 제거된 생리 컵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0044] 도 1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른 생리 컵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0045] 도 11은 작동 스템을 갖춘 생리 컵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0046] 도 12는 스템이 제거된 컵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예시한다.
[0047] 도 13a 및 도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작동을 예시한다.
[0048] 도 14a 및 도 14b는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스템의 다양한 위치들을 예시한다.
[0049] 도 15는 공지된 사례들에 따른 생리 컵을 삽입하기 위한 접는 방식을 예시한다.
[0050] 도 16은 제거 동안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0051] 도 1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생리 컵의 삽입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0052]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 장치를 예시한다.
[0053] 도 1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 장치를 예시한다.
[0054] 도 2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 장치의 분해도를 예시한다.
[0055] 도 2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0056] 도 2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제작 공정 흐름을 예시한다.
[0057] 도 23은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성형된 컵의 반전된 설계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0058] 도 24는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반전된 설계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0059]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전된 설계의 성형 공구 세트(mold tooling set)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0060] 도 2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전된 설계의 성형 공구의 사시도를 예시한다.
[0061] 도 2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구으로부터 반전된 성형 컵의 제거 공정을 예시한다.
[0062] 도 2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전된 성형 컵의 복귀 공정을 예시한다.
[0063] 이제 도면들로 돌아가면, 많은 실시예들은 생리 컵 및 질 내에 생리 컵의 개선된 삽입 및 제거를 위한 어플리케이터 시스템(applicator system)을 생리 컵의 사용 방법들과 함께 포함한다.
[0064] 많은 실시예들에서, 생리 컵은 개방 최상부 부분으로부터 개구부로 구성되는 바닥 부분으로 연장하는 리셉터클(receptacle)을 형성하는 본체, 및 컵의 측벽에(예를 들어, 최상부 부분의 길이를 따라 또는 그 근처에) 연결되고 바닥 부분의 개구를 통해 내부 리셉터클 구역을 통해 연장하여 스템이 컵 아래로부터 접근 가능하게 하는 스템을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스템은 컵의 측벽을 기계적으로 작동시켜 스템의 작동으로 또한 컵의 측벽을 작동시킴으로써 컵의 측벽을 따라 접힘을 생성하여 질에 대한 시일을 붕괴시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0065] 많은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은 유체를 수집하기에 적합한 공동을 규정하는 내벽 표면 및 대향된 외벽 표면을 갖는 벽을 포함한다. 개방된 최상부는 질 내의 해부학적 맞춤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직경, 및 가요성과 탄성을 갖는데 적합한 미리 결정된 두께 및 강성을 갖춘 립(lip)을 가진다. 컵의 바닥 부분의 개구는 리셉터클로부터 임의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스템 구성요소와 접속하는 시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템은 컵의 제거를 위해 파지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바닥 부분의 개구 아래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컵의 바닥으로부터 당겨질 때, 스템은 측벽(예를 들어, 최상부 개구 근처)을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변형시켜 최소 누출로 질로부터 컵의 제거를 보조하고 컵이 제거된 후에 월경들의 쏟아버림을 보조한다.
일반적인 조립체
[0066]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생리 컵은 도면 부호 7로 총칭하여 표시된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질(도시되지 않음)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컵 및 스템 조립체(7)는 원뿔 같은 형상을 형성하는 측벽(14)으로 구성되는 리셉터클 부분(13)을 포함한다. 측벽(14)은 유체(도시되지 않음)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공동(16)을 규정하는 내벽 표면(15) 및 외벽 표면(17)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리셉터클(13)은 다소 길 수 있고 일반적으로, 개방된 최상부 또는 상부 부분(18)으로부터 바닥 또는 하부 부분(19)에 위치된 개구로 연장하며, 여기서 바닥/하부 부분(19)은 최상부 단부(18)보다 직경이 더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컵(7)은 원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하부 부분(19)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시일(6)로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컵 조립체(7)는 또한, 측벽(14)의 길이를 따라 내벽 표면(15)에 부착될 수 있는 스템(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부착 지점은 측벽의 최상부 근처, 예를 들어 림(rim)(1) 바로 아래에 있을 수 있다.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스템(8)은 공동(16)을 통해 시일(6)을 지나 연장하고 컵 아래에서 파지될 수 있는 파지 바닥 단부(20)를 포함한다.
[0067]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컵 조립체(7)는 적어도 2 개의 구성인 전개된 구성 및 접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림(1) 및 측벽(14)이 펼처진 상태에서 원형 둘레를 일반적으로 규정하는 전개된 구성에서의 컵(7)을 예시한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컵(7)은 일반적으로, 접힘 구성으로 접을 수 있게 허용하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전개된 구성은 림(1)이 컵(7)과 질 벽들(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게 한다. 접힘 구성은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스템의 실시예들
[0068]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많은 실시예들은 컵의 상부 부분 근처에서 컵의 측벽에 몇몇 방식으로 부착된 스템(8)을 포함한다. 도 2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스템(8)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몇몇 실시예들은 제거될 수 있는 생리 컵의 별도 부분으로서 스템(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템(8)은 근위 단부(11) 및 원위 단부(12)를 갖는 긴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원위 단부는 생리 컵의 바닥 부분(19)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일(6)을 통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0069] 도 1에 예시되지만 스템(8)의 실시예로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많은 실시예들은 스템(8) 내에 배치된 구멍(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스템(8) 내에 배치될 때 구멍은 스템(8)의 긴 부분의 전체 길이를 근위 단부(11)로부터 원위 단부(12)까지 연장할 수 있다. 그러한 구멍은 생리 컵(7)의 제거 및 삽입 동안 공동 내부 및 외부의 공기 압력을 평형화하도록 설계된다. 컵이 전개된 형상일 때(도 1에 도시됨) 질 벽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멍(2)이 폐쇄되어 사용시 흡입 시일이 형성되게 한다. 제거를 위해서, 스템(8)을 아래로부터 당기면 구멍(2)을 수직으로 지향시킴으로써 컵 위와 아래 영역 사이에 공기를 위한 도관을 생성한다. 따라서, 구멍으로 구성된 스템(8)을 당기면 컵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시일의 파괴를 보조한다. 구멍으로 구성된 컵은 컵의 측벽(14)을 사용자의 손가락들로 압축하여 시일을 파괴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컵을 제거하게 한다.
[0070] 도 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근위 단부(11)에서 긴 스템 부분에 연결되는 링(ring) 부분(3)을 갖춘 스템을 추가로 예시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링 부분은 컵 부분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생리 컵(7)의 측벽(14)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링 부분(3)은 컵(7) 및 스템(8)과 유사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어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설명된 작동 공정 동안 탄성적인 조작을 허용할 것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링에 근위 단부(11)의 연결은 연결이 안전하고 작동 동안 분리되지 않도록 간섭 끼워 맞춤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스템이 작동될 때, 탄성 링 부분(3)은 컵의 측벽(14)이 작동되고 이전에 언급된 접힘을 생성하도록 컵(7)의 측벽(14)과 협력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0071] 사용 중에, 생리 컵(7)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작동될 때, 스템(8)은 생리 컵(7)의 개방 바닥 단부(19)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그러한 이동에 의해서, 스템은 컵(7)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여 임의의 보유 액체가 컵(7)의 리셉터클(13)을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템의 많은 그러한 실시예들은 스템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배치된 정지부(stop)(5)를 가진다. 정지부는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고 또한 스템(8)의 일체 부분일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정지부(5)는 스템의 직경을 포함하고 스템 자체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다. 더 큰 직경은 스템(8)이 컵(7)의 시일(6)을 통해 너무 멀리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측벽(14)이 미리 결정된 거리를 변형시키게 하고, 정지부(5)가 컵(7)에서 바닥에 떨어진 후에 스템(7)에 가해지는 추가적인 힘이 컵(7)으로 전달되어 제거를 보조한다.
[0072] 스템(8)의 많은 실시예들은 스템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될 수 있는 파지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원위 단부(12) 근처의 스템의 길이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 차원 릿지들(dimensional ridges)(10)을 포함할 수 있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스템을 예시한다. 그러한 릿지들(10)은 사용자가 컵(7)의 제거를 보조하기 위해 스템을 더 양호하게 파지하게 한다.
[0073]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도 3은 스템(8)의 원위 단부(12)가 개구(20A)를 포함할 수 있는 스템(8)을 예시한다. 개구(20A)는 도 9b에 추가로 예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템(8)을 단일 손가락으로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구(20A)를 갖춘 실시예들은 핀치 그립(pinch grip)으로 스템(8)을 적절하게 파지하지 못 할 수 있는 손재주가 많지 않은 사용자들에 의한 측벽(14)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개구(20A)는 루프(loop) 또는 링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개구(20A)로 구성된 스템(8)은 또한, 스템(8)을 파지하여 컵(7)을 작동시키기 위한 추가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서 개구(20A) 아래로 연장하는 그의 작은 부분(20B)을 가질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개구(20A)는 스템(8)의 연속적인 부분일 수 있고, 환언하면 나중에 추가되기보다는 스템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구성된 스템(8)은 또한, 사용자가 최상부 개구(18) 위로부터 스템(8)을 당김으로써 스템(8)을 재설정할 때 스템 공칭 위치를 나타내는 촉각 피드백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작은 릿지(21)를 가질 수 있다.
[0074] 또한, 도 3은 많은 실시예들에 통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컵(7)의 림(1) 및 측벽(14)에 연속적으로 통합된 스템(8)을 예시한다. 컵(7)의 림(1) 및 측벽(14)에 스템(8)의 연속적인 통합은 제작 가능성을 개선하고 사용 후 세척될 부품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0075]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은 간단한 스트링 기구(string mechanism)(8a)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링 기구는 스템(8)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근위 부분은 컵의 상부 부분(18)에서 림(1)에 연결되며 원위 부분은 컵의 하부 부분(19)에서 측벽(14)을 통해 연장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되지만, 스템(8)은 컵(7)의 제거를더욱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한 임의의 수의 형태들을 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76] 컵의 실시예
[0077] 이제, 도 4로 돌아가면,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생리 컵은 유체(도시되지 않음)를 수집하기 위한 내부 공동(16)을 형성하는 리셉터클 부분을 가진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컵(7)은 리셉터클의 바닥 부분(19) 근처에 위치된 시일(6)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시일(6)은 그를 통과하는 스템(8)의 일부분과 맞물림으로써 유체 불투과성 장벽(barrier)(유체는 도시되지 않음)을 생성하고 공동(16)이 유체(도시되지 않음)를 수집하게 하는 간섭 끼워 맞춤을 갖는 환형 형상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시일은 바람직하게, 리셉터클(13)의 측벽(14)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갖춘 강화된 측벽을 가진다. 이러한 증가된 두께는 도 5에서 치수(A)로 예시된다.
[0078] 다른 실시예들에서, 리셉터클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컵의 림(1) 근처에 위치되는 홈(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홈은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된, 스템(8)에 부착된 링과 협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템(8)을 링(3)과 통합한 컵(7)의 실시예들은 컵의 림(1)을 통해 배치되고 스템(8)의 근위 단부(11)가 스템의 링(3)과 맞물려서 상호 연결된 스템(8)과 컵(7) 조립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연결 홀(9)을 가질 수 있다.
[0079] 컵(7)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버 몰드 공정으로부터 형성된 컵(7)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 몰드 실시예에서, 스템(8)은 스템(8)을 포획하여 컵(7)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버 몰딩되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오버 몰딩된 설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템(8)은 시일(6)을 통해 아래로 당겨져 컵(7)의 측벽(14)을 작동시킨다.
[0080]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컵(7)은 반원형이고 시일은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컵에 측 방향으로 위치된다. 예를 들어, 컵은 도 6 내지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컵(7)의 바닥 부분(19)이 반원형 횡단면을 갖는 보울(bowl)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오버 몰드 실시예들에 따라서, 스템은 컵(7)의 상부 부분에 있는 립(1)으로부터 컵(7)의 하부 부분에 있는 측벽의 일부분을 통해 아래로 연장하여 시일(6)이 컵(7)의 중심 축에 측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많은 실시예들은 윤곽이 있는 림(1a)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림은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윤곽이 있는 에지들(edges)(1b)을 가질 수 있다.
[0081] 명세서 전체에 걸쳐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삽입 및 제거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생리 컵에 관한 것이다. 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컵(7)의 많은 실시예들은 컵(7)의 측벽(14) 내에 배치된 구멍(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명확성을 위해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시일로부터 제거된 스템(8)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실시예들에서 컵(7)의 공동 부분(16)은 그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2)을 가진다. 구멍(2)은 측벽의 두께를 통해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템(8) 내부에 배치된 구멍(2)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사용 중에, 흡입 시일이 사용 시 형성되게 하는 전개된 형상으로 컵이 있을 때, 구멍(2)은 질 벽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된다. 스템(8)을 아래로부터 당기면 유사하게, 구멍(2)을 수직으로 지향시켜 컵(7)의 위와 아래 영역 사이에 공기를 위한 도관을 생성한다. 공기 도관은 차례로, 흡입을 해제하고 컵(7)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컵 조립체의 작동
[0082] 컵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컵 및 스템의 작동에 관한 실시예들을 이제 참조하면, 도 10은 컵(7)의 바닥 부분 근처에서 시일(6)을 통한 스템(8)의 작동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8)을 하향 운동으로 시일(6)을 통해 당기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측벽(14)의 내벽(15)에 비례 힘을 가하고 컵의 측벽에 접힘(14A)을 생성한다. 측벽(14)과 림(1)의 접힘은 이전에 논의된 접힘 구성으로 컵(7)을 배치한다. 접힘 구성에서, 스템은 측벽(14) 및 림(1)을 리셉터클(13)의 중심 쪽으로 당겨서 측벽 및 림이 미리 결정된 거리에서 접히도록 작용한다.
[0083]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접힘은 컵(7)과 질 벽들(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시일이 해제되어 스템 아래로 간단히 당김으로써 컵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구멍(2)과 정렬된다. 도 10은 구멍이 스템 내에 배치되고 파지 수단이 일련의 반경 방향 릿지들(10)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컵의 작동을 예시한다.
[0084] 도 11은 원위 단부(12)에 개구(20A)를 갖춘 스템을 포함한 실시예들에 따른 생리 컵(7)의 유사한 작동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는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개구(20A)를 통해 걸린 단일 손가락으로 사용자가 아래로 당겨서 컵의 측벽(14)을 작동시키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실시예들은 삽입으로부터 형성된 시일을 완화하도록 작용하고 컵(7)을 전개 상태로 배치하는 구멍들(2)을 측벽 내에 가질 수 있다. 전형적인 생리 컵이 적절하게 삽입될 때 컵과 질 벽들과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적인 흡입 때문에 제자리에 유지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컵의 측벽들을 광범위하게 수동 조작함이 없이 시일을 더 쉽게 파괴할 수 있게 한다. 여러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의해 예시되지만, 도면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임의의 적합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85] 이제, 도 12 내지 도 14b로 돌아가면, 컵(7) 및 스템(8) 작동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12는 스템(8)이 공동(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거된 실시예들에 따른 컵(7)을 도시한다. 컵(7)의 사용이 주기적 세척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컵의 공동(16)으로부터 스템(8)을 제거하는 능력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뿐만 아니라 시일(6)의 더 용이한 세척을 허용하여 컵의 사용을 더 위생적으로 어필하게(appealing) 할 수 있다.
[0086]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컵(7)의 스템(8) 및 측벽(14)은 다양한 방식들로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도 13a는 스템(8)이 핀치(pinch)와 같은 쥐기로 파지될 수 있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스템 및 컵은 사용자가 스템(8)을 작동시킬 때 개구(20A)가 핀치와 같은 쥐기에 의해 압축될 수 있도록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스템(8)의 해제시, 개구(20A)는 사용자가 컵의 최상부 측으로부터 스템(8)을 수동으로 당김으로써 스템(8)을 재설정할 때까지 컵과 스템 사이의 간섭 시일(6)의 마찰로 인해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파지 영역 위의 스템(8) 상의 작은 릿지(21)(도 12 및 14b에 가장 잘 예시됨)는 스템을 재설정할 때 얼마나 멀리 당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자들에게 촉감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측벽은 또한, 스템(8)이 작동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0087]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템(8)은 후크(hook) 같은 쥐기로 단일 손가락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는 스템(8)의 원위 단부(12)에서 개구(20A)를 통해 걸린 사용자들의 손가락을 예시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하향 운동으로 당겨지고 컵(7)의 스템(8)과 측벽(14)을 작동시킬 것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또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템(8)은 스템(8)에 위치된 정지부(5)로 인해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0088]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은 스템(8)의 운동은 도 14a 및 도 14b에 가장 잘 예시된다. 예를 들어, 전개된 위치에서, 스템(8)은 개구(20A)가 컵(7)의 바닥 부분(19) 근처에 위치되도록 도 1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동 내에 위치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작동될 때 스템(8)은 도 1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구가 컵의 바닥 부분(19)으로부터 원위 부분에 위치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시일(6)을 통과하는 스템(8)은 더 긴 질 관들을 포함한 더 넓은 범위의 사용자 해부학적 구조를 수용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스템 길이를 제공한다. 스템(8)은 컵(7)의 공동에 존재하고 스템(8) 파지 영역(20A)이 근위 상태(도 10a)로 위치되고 원위 상태(도 10b) 및 이들 사이의 임의의 상태로 측벽을 작동시킴이 없이 위치될 수 있도록 여분의 길이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의 추가 편향은 측벽을 작동시키기 시작한다.
[0089] 당업계에 공지된 많은 기술들에 따라서, 삽입을 위한 하나의 접는 방법이 도 15에 예시된다.
[0090]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컵(7)은 제거뿐만 아니라 삽입 위해서 부분적으로 접힐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그리고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거를 위한 부분 접힘이 도 16에 추가로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생리 컵들은 미리 결정된 변형 구성으로 컵의 제거를 허용한다. 특히, 스템(8) 상의 정지부(5)의 존재는 리셉터클(13) 체적이 크게 유지되도록 하여 제거 동안 유체 유출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0091]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삽입 후 컵(7)의 자연적인 스프링 힘은 스템(8)을 공칭 위치로 복원할 뿐만 아니라 컵을 그의 자연적인 이완 상태로 개방하는데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많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컵(7)은 액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임의의 유형의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컵(7)은 의료 등급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컵(7)과 스템(8)은 동일한 재료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컵(7)과 스템(8)은 상이한 재료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템(8)은 스트링(string)으로 만들어진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컵(7)은 파릴렌(parylene)과 같은 수분 장벽으로 피복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의 실시예들
[0092] 다양한 실시예들은 또한,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70)로 컵을 제거 및 삽입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한 많은 실시예들에서, 어플리케이터는 도 17에 분해도로 도시된 3 개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 요소는 주요 본체(22), 작동기(29) 및 삽입용 패들들(paddles)(32)을 포함한다.
[0093] 이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터 본체(22)는 원뿔 형상일 수 있고 컵 외벽 표면(17)과 형상이 대응하는 내부 윤곽들(26)을 갖춘 수용 공동(23)을 더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수용 공동(23)은 경사져서 나선 방식으로 질(도시되지 않음) 내로 전진 될 때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컵(7)을 동심으로 중심 맞추는 역할을 하는 선단 에지(leading edge)(36)를 생성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22)의 본체는 수용 공동(23) 바로 아래의 원통형 샤프트(shaft)(24)의 말단에 수축 구역을 생성하는 리브들(ribs)(25)로 형성된 내부 원통형 샤프트(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94]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실시예들에서 작동기(29)는 파지 기구(27) 및 핸들(handle)(28)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 기구(27)는 본체(22)의 리브들(25)에 의해 형성된 수축 구역을 통해 뒤로 당겨질 때 (도 19에 도시된)원통형 횡단면으로 소성 변형되는 2 개의 곡선 빔들(beams)(30)로 구성될 수 있다.
[0095]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빔들(30)의 원위 단부는 빔이 직진할 때 스템(8)의 외경보다 더 작은 내경을 형성하는 톱니(31)를 포함한다. 톱니(31)는 컵(7)의 스템(8) 주위를 클램핑하여 삽입 및 제거 동안 컵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톱니는 빔들에 부착된 연속 구조물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이 예시되지만, 임의의 수의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96]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패들들(32)은 어플리케이터 본체(22) 내에 끼워 맞춰지고 작동기(29)를 둘러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실시예들은 컵(7)의 적절한 삽입 및 제거를 보장하기 위해서 패들들(32)을 이용한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패들들(32)은 어플리케이터 본체(22)의 홈들(35)과 접속하는 스냅들(snaps)(33)을 가질 수 있다. 스냅들(33)은 돌출 본체들(3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패들들(32)을 삽입하기 위한 도 21에 도시된 전개 위치로 및/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을 제거하기 위한 후퇴 위치로 수동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돌출 본체들(34)은 사용자들의 개선된 기능성을 위해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패들들(32)의 많은 실시예들은 더 큰 가요성 및/또는 중량 저감성들을 허용하기 위해 제거된 재료의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97]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어플리케이터(17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7)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컵(7)을 제거하기 위해서, 어플리케이터(170)가 먼저 질(도시되지 않음) 내로 삽입되고 나선형으로 전진되어, 본체(22)의 선단 에지(36)는 컵 스템(8) 및 어플리케이터(170)에 대해 컵(7)을 동심으로 중심 맞추는 외벽 표면(17)에 나사 결합력을 가한다. 일단 컵(7)이 어플리케이터 수용 공동(23) 내에 놓이도록 어플리케이터가 전진되면, 사용자는 작동기(29)의 핸들(28)을 잡아당겨 빔(30)과 톱니(31)가 컵 스템(8)에 클램핑되고 아래로 당겨짐으로써 월경들의 제거 및 쏟아붓기에 최적화된 위치로 컵 림(1) 및 측벽(14)을 작동시키고 접히게 한다. 어플리케이터(170)는 이어서 질(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월경들이 쏟아내어 질 수 있다.
[0098]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서, 어플리케이터(170)는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컵(7)을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컵(7)을 삽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돌출 본체들(34)을 밀어서 패들들(32)(도 21에 도시됨)을 전개시킴으로써 패들들(32)을 미끄러지게 할 수 있다. 컵(7)은 반으로 접혀서 패들들(32)에 삽입된다. 패들들(32)의 외경은 컵(7)의 접힌 직경에 대응한다. 이어서 어플리케이터(21) 및 컵(7)은 질(도시되지 않음) 내로 삽입된다. 일단 컵(7)이 원하는 위치에 있으면, 사용자는 돌출 본체들(34)을 아래로 당겨서 패들들(32)을 아래로 미끄러지게 하여 컵(7)이 그의 자체 스프링력 하에서 전개된 형상(도시되지 않음)으로 팽창하게 한다.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면, 컵이 질(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추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직은 손가락 삽입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보다 덜 민감하다는 것에 주목한다.
[0099]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어플리케이터를 통한 생리 컵의 삽입 및 제거는 탄성 장치에 의해 보조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서, 탄성 장치는 어플리케이터 내에 배치되고 본체(22), 패들들(32) 및 작동기(29) 사이의 맞물림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00100] 이제, 도 22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생리 컵의 제작 공정이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 설명된다. 측벽을 작동시키기 위한 통합된 스템 시스템을 갖춘 생리 컵의 특성 및 복잡성을 고려하면, 그러한 제품의 설계 및 제작은 전통적인 성형 공정보다 더 복잡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생리 컵은 예를 들어, 의료 등급 실리콘 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00101] 탄성 재료로 만들어진 생리 컵의 전통적인 제작 공정은 원하는 구성으로 컵을 설계하는 것을 포함할 것이다. 전형적인 생리 컵 설계들은 컵 부분 및 컵의 바닥 부분에 부착된 하부 스템 부분을 가진다. 이전 설계들을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사출 성형을 사용한다. 성형 공구는 통상적으로, 일단 제거되면 최종 제품 또는 생리 컵이 남게되는 여러 부품들로 구성된다. 제품 주변으로부터 과도한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약간의 트리밍(trimming)만 요구될 수 있다. 그러한 전통적인 공정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신규한 설계를 적절하게 생성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 소비와 너무 많은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그 때문에 새로운 제작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00102] 본 명세서에 설명된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작 공정은 도 22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 도 22는 반전된 성형 설계가 먼저 생성되는 공정(220)을 예시한다. 일단 반전된 설계가 생성되면(220), 그에 따라 컵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성형 공구가 제작될 수 있다(230).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작 공구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공구가 제자리에 놓이면, 반전된 부품이 성형될 수 있다(240). 성형 공정 동안 또는 그 이전에, 최종 제품의 제조를 보조하기 위해서 복귀 공구 고정 기구가 얻어질 수 있다(270). 일단 성형 공정이 완료되면, 반전된 성형 컵이 공구(25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일단 공구으로부터 제거되면, 제품은 반전된 부품을 뒤집어 그의 최종 사용 상태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복귀 공정들(26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반전된 설계
[00103]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용이한 제거를 위해 측벽을 작동시키는 스템을 갖춘 생리 컵의 설계는 컵이 반전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더 양호하게 용이해질 것이다. 도 23은 많은 실시예들에 따른 컵(7) 및 스템(8)을 갖춘 반전된 성형 컵 설계(280)를 예시한다. 도 23에 예시된 것은 외벽(17)이 성형 공구의 바닥 절반과 접촉하는 동안 노출되는 내벽(15)이다. 환언하면, 도 23은 생리 컵의 도 1과 비교하여 반전된 형상을 예시한다.
[00104] 도 24를 참조하면, 반전된 컵 설계(280)의 횡단면도가 예시된다. 도 1에 예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요소가 반전된 설계로 도 24에 예시되어 있음을 도 24에서 볼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 부분(19)으로 보였던 반전은 이제, 제작을 위한 설계의 상부 부분으로 보인다. 도 23 및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반전된 설계는 컵을 성형하고 부품을 추출하는 공구 및 전체 공정을 단순화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법들을 개선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대로의" 구성으로 컵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생리 컵의 원하는 형상 및 크기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갖춘 훨씬 더 복잡한 공구를 요구할 것이다. 설계를 반전시킴으로써, 공구는 두 가지 구성요소들로 단순화될 수 있다.
성형 공구
[00105] 이제, 도 25 및 도 26으로 돌아가면, 반전된 성형 공구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예시된다. 도 2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전된 성형 공구 설계의 횡단면도를 예시한다. 반전된 성형 공구(290)는 도 2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중 구성요소들, 즉 최상부 구성요소(290A) 및 바닥 구성요소(290B)를 포함할 수 있다. 최상부 구성요소(290A)는 도 25에서 도면 부호 300으로 표시된 컵의 내부 표면에 대응할 수 있는 성형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구성요소(290B)는도 25에서 도면 부호 305로 표시된 컵의 외부 표면에 대응할 수 있다. 두 구성요소들은 결합될 수 있고 반전된 부품(280)은 임의의 수의 공정들을 사용하여 성형될 수 있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성형 공정은 사출 성형 또는 오버 몰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출 및 복귀
[00106] 이제, 도 27 및 도 28로 돌아가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제거 또는 추출 공정이 설명된다. 도 27은 성형 공구의 일부분이 제거되고 반전된 성형 부품(280)이 공구의 일부분에 남아있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로봇 아암(robotic arm)(350)은 공구로부터 반전된 성형 부품(280)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로봇 아암(350)은 로봇 아암(350)이 공구으로부터 부품(280)을 추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임의의 수의 필요한 공구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화된 취급 및 개선된 처리 시간을 허용할 수 있는 간단한 제거 방법을 예시한다. 로봇 아암이 예시되지만, 임의의 수의 추출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00107] 일단 반전된 성형 부품(280)이 공구으로부터 제거되면, 원하는 최종 제품 형상으로 복귀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서, 반전 공구(360)는 반전된 성형 형상(280)을 원하는 최종 제품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설계되고 사용될 수 있다. 복귀 공구(360)는 임의의 수의 형태들을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템 부분이 플레이트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간단한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스템 부분은 컵의 하부 부분을 그의 반전된 형상으로 맞물리게 하고 컵이 원하는 최종 제품 형상을 취할 때까지 하부 부분을 누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스템은 성형 공구의 일부분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귀 공구는 성형 공구의 일부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로봇 아암(350)은 복귀 공정 동안 반전된 부품(280)을 취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균등론
[00108] 위의 논의로부터 추론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개념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다양한 배열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임의의 특정 양태들로 설명되었지만, 많은 추가의 수정들과 변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측면들에서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생리 컵(cup)으로서,
    리셉터클(receptacle) - 상기 리셉터클은 펼쳐진 상태에서 원형 둘레를 규정하는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resiliently foldable rim), 그리고 제1 개구를 갖춘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에 근접한 최상부 부분 및 제2 개구를 갖춘 바닥 부분을 가지며 유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공동(cavity)을 내부에 규정하는 내벽 표면을 갖는 측벽을 가짐 -; 및
    측벽에 부착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및 그 사이에 긴 중간 부분을 갖는 긴 스템(elongated stem)을 포함하며;
    상기 긴 스템은 그와 함께 유체 시일(seal)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2 개구 내에 안착되며;
    상기 긴 스템의 원위 단부의 조작으로 견인력을 내벽 표면에 가하여 측벽 내의 접힘이 생성되며;
    상기 리셉터클은 다음의 적어도 2 개의 위치들:
    측벽 내의 접힘이 공동의 중심을 향해 내부로 연장하는 접힘 위치; 및
    최상부 부분의 제1 개구가 펼쳐진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림의 원형 둘레에 일치하도록 접힘 가능한 림이 펼쳐지는 전개 위치를 가질 수 있는,
    생리 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바닥 부분은 스템과의 간섭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을 형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생리 컵.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스템의 길이 일부를 따라 배치된 정지부(stop)를 더 포함하는,
    생리 컵.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실리콘(silicone) 재료 및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되는,
    생리 컵.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측벽보다 더 두껍도록 재료로 보강되도록 구성되는,
    생리 컵.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반경 방향 시일(radial seal) 및 와이퍼 시일(wiper sea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리 컵.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홈의 깊이가 측벽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접힘 가능한 림과 리셉터클의 측벽 내에 형성된 홈과 협력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탄성적으로 접힘 가능한 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템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당겨질 경우, 상기 링은 접힘 가능한 림, 측벽 및 내벽에 대해 당겨지도록 구성되는,
    생리 컵.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접힘 가능한 림의 연속적인 연장부인,
    생리 컵.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를 통해 연장하여 이에 의해 공기 압력이 접힘 위치 및 전개 위치 각각에서 적절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 긴 구멍(elongated aperture)을 더 포함하는,
    생리 컵.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의 제거를 위한 압력을 평형화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더 포함하는,
    생리 컵.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긴 스템을 통해 배치되는,
    생리 컵.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최상부 부분 근처의 컵의 측벽을 통해 배치되는,
    생리 컵.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원위 단부는 파지 향상부들을 더 포함하는,
    생리 컵.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향상부들은 릿지들(ridges), 나선형 릿지들, 루프(loop), 링(ring) 및 독립 구조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리 컵.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컵은 파릴렌(parylene)으로 피복되는,
    생리 컵.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긴 스템의 근위 단부는 리셉터클의 내벽에 연결되며 그리고 긴 중간 부분은 원위 단부가 리셉터클 아래로 연장되도록 리셉터클의 바닥 부분의 제2 개구 및 공동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생리 컵.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207010673A 2017-09-15 2018-09-14 생리 컵 KR102412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59050P 2017-09-15 2017-09-15
US62/559,050 2017-09-15
PCT/US2018/051187 WO2019055855A1 (en) 2017-09-15 2018-09-14 MENSTRUAL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452A KR20200083452A (ko) 2020-07-08
KR102412005B1 true KR102412005B1 (ko) 2022-06-22

Family

ID=6571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673A KR102412005B1 (ko) 2017-09-15 2018-09-14 생리 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57395B2 (ko)
EP (1) EP3681446B1 (ko)
JP (1) JP7042347B2 (ko)
KR (1) KR102412005B1 (ko)
AU (1) AU2018334244A1 (ko)
CA (1) CA3075980A1 (ko)
TW (1) TWI767057B (ko)
WO (1) WO2019055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1383A1 (de) * 2017-01-25 2018-07-26 Fun Factory Gmbh Hygieneprodukt, insbesondere Menstruationstasse mit ergonomischer Form
ES2684068B2 (es) * 2017-03-28 2019-03-05 Univ Catalunya Politecnica Recipiente para la retencion menstrual y vaciado
USD837980S1 (en) * 2017-12-22 2019-01-08 Filip Sedic Menstrual cup
US10888450B2 (en) * 2017-12-22 2021-01-12 LELO Inc. Menstrual cups and methods of use
US20200375788A1 (en) * 2019-05-13 2020-12-03 Christy J. Zhang Menstrual cup with longitudinal ribbing
WO2021006424A1 (ko) * 2019-07-10 2021-01-14 임지원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밀봉형 생리컵 및 생리컵 키트
KR102268427B1 (ko) * 2019-07-10 2021-06-22 임지원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한 밀봉형 생리컵
DE102019127053A1 (de) 2019-10-08 2021-04-08 Grünspecht Naturprodukte Gmbh Menstruationstasse
US20210113363A1 (en) * 2019-10-21 2021-04-22 Courtney Rose Evans Menstrual cup with structural features
US11154416B2 (en) * 2019-11-05 2021-10-26 The Flex Company Menstrual cup
CN115023204A (zh) * 2019-11-25 2022-09-06 李知首 月经杯
WO2021174130A1 (en) * 2020-02-28 2021-09-02 Ramos Charise D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an intra-vaginal fluid collection device
US11234857B2 (en) * 2020-04-03 2022-02-01 The Flex Company Tunable stiffness menstrual device
WO2021248130A1 (en) * 2020-06-05 2021-12-09 The Flex Company Menstrual disc with release mechanism
USD939085S1 (en) * 2020-06-11 2021-12-21 Anyan Meng Menstrual cup
USD965780S1 (en) * 2020-07-21 2022-10-04 The Flex Company Menstrual device with holes and ridges
US11717435B2 (en) * 2021-04-19 2023-08-08 Lyv Life Inc. Menstrual disc and methods of use
WO2022225817A1 (en) * 2021-04-19 2022-10-27 Tulia Feminine Care Co. Expandable and retractable menstrual cup
US11931288B2 (en) * 2021-05-21 2024-03-19 Carolyn P. SMULLIN Collapsible intravaginal cups
USD995775S1 (en) 2021-07-14 2023-08-15 Tangelo Tendencies, Inc. Portion of a menstrual cup
EP4147682A1 (en) 2021-09-13 2023-03-15 Ecareyou Innovation, S.L. Menstrual cup with easy extraction system
US11534329B1 (en) * 2021-11-18 2022-12-27 Casco Bay Molding Reusable menstrual discharge collection device
WO2023119332A1 (en) * 2021-12-24 2023-06-29 Priya Ranjan Pramod Device for collecting menstrual fluid
USD1013870S1 (en) 2022-05-24 2024-02-06 Menstrual Mates, Inc. Menstrual cup
KR102601292B1 (ko) * 2022-09-27 2023-11-13 성창임 교체형 생리혈 처리 기구
KR102662664B1 (ko) * 2023-11-07 2024-04-30 이유빈 인체모방기술을 적용한 인체공학적 생리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0827A1 (en) 2001-04-07 2002-10-17 The University Of Salford Menstrual fluid collection device
GB2425260A (en) 2005-04-20 2006-10-25 Kea Flex Mouldings Ltd Intra-vaginal catamenial device with outlet
CN201612751U (zh) 2009-12-18 2010-10-27 陈刚 一种女性用卫生杯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1761A (en) * 1932-10-06 1932-12-20 Cokzene Company Vaginal receptacle
US1996242A (en) 1933-03-11 1935-04-02 Kate Woodburn Catamenial receptacle
US2089113A (en) 1935-07-11 1937-08-03 Leona W Chalmers Catamenial appliance
US2321340A (en) * 1941-04-09 1943-06-08 Carl C Waterbury Rubber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157180A (en) * 1962-04-03 1964-11-17 Maurice I Bakunin Catamenial receptacle
US3595236A (en) * 1969-03-17 1971-07-27 Kimberly Clark Co Coating to aid tampon insertion and tampons coated therewith
US3841333A (en) * 1974-01-07 1974-10-15 K Zalucki Menses collector
US4486191A (en) * 1982-08-12 1984-12-04 Technology Unlimited Inc. Tampon
US4810247A (en) * 1985-11-21 1989-03-07 Glassman Jacob A Urinary catheter and penile-cup
US4799929A (en) 1986-12-31 1989-01-24 Knowles Charlene G Catamenial appliance
USD323212S (en) 1989-06-30 1992-01-14 The Keeper Co., Inc. Menstrual cup
US6264638B1 (en) 1989-12-07 2001-07-24 Ultrafem, Inc. Intravaginal drug delivery system and discharge collection device
US5342331A (en) * 1993-01-11 1994-08-30 Silber Arthur L Toxicity resistant tampon structure
US5476455A (en) * 1993-01-11 1995-12-19 Silber; Arthur L. Toxicity resistant tampon structure
US5827248A (en) * 1993-11-18 1998-10-27 The Keeper Co., Inc. Menstrual cup
JP3026468U (ja) 1995-12-28 1996-07-12 清太郎 原田 女性用漏屎尿受け具
WO1999013810A1 (en) * 1997-09-12 1999-03-25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A catamenial collector and methods of use
CN101031262A (zh) * 2004-09-23 2007-09-05 迪娃国际有限公司 月经杯
AU2006100036A4 (en) * 2006-01-17 2006-02-23 Baslar Pty Ltd Vaginal Cup
EP2038815B1 (en) * 2006-07-06 2012-05-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ast calibration of three-dimensional (3d) sensors
US8434489B2 (en) 2009-10-23 2013-05-07 Conceptus, Inc. Contraceptive devices and methods
US8346979B1 (en) * 2011-07-06 2013-01-01 Koamtac, Inc. Connectivity sled for electronic pairing and physical coop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CA2849734C (en) * 2011-09-22 2021-10-26 Pelvalon, Inc. Intra-vaginal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fecal incontinence
US8795248B2 (en) * 2011-10-31 2014-08-05 Alfred A. Shihata Device and method for menstrual blood collection
WO2012126416A2 (zh) * 2012-05-07 2012-09-27 华为技术有限公司 线路处理板和交换网系统
BR112015002746A2 (pt) * 2012-08-09 2017-07-04 Mithra Pharmaceuticals S A dispositivo intrauterino
CN202908901U (zh) 2012-10-08 2013-05-01 深圳市宝安区大浪兄弟数码记忆体制造厂 月经杯
WO2015012776A1 (en) * 2013-07-23 2015-01-29 Federal Medikal Ithalat Ihracat Ticaret Limited Sirketi Menstrual cup
US20150164680A1 (en) * 2013-12-13 2015-06-18 Teng-Lai Chen Sanitary product structure for human body with functions of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US10016308B2 (en) * 2015-03-26 2018-07-10 Chante' Knox Absorbent menstrual cup
CN105147457B (zh) * 2015-08-25 2018-09-21 广州天沅硅胶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月经杯
US10959873B2 (en) * 2016-07-27 2021-03-30 Amanda Wilson Cups for collecting catameni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0827A1 (en) 2001-04-07 2002-10-17 The University Of Salford Menstrual fluid collection device
GB2425260A (en) 2005-04-20 2006-10-25 Kea Flex Mouldings Ltd Intra-vaginal catamenial device with outlet
CN201612751U (zh) 2009-12-18 2010-10-27 陈刚 一种女性用卫生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75980A1 (en) 2019-03-21
US10357395B2 (en) 2019-07-23
KR20200083452A (ko) 2020-07-08
JP7042347B2 (ja) 2022-03-25
JP2020534119A (ja) 2020-11-26
EP3681446B1 (en) 2022-08-03
WO2019055855A1 (en) 2019-03-21
EP3681446A4 (en) 2021-06-02
EP3681446A1 (en) 2020-07-22
TWI767057B (zh) 2022-06-11
US20190083296A1 (en) 2019-03-21
WO2019055855A8 (en) 2019-05-16
TW201914552A (zh) 2019-04-16
AU2018334244A1 (en)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005B1 (ko) 생리 컵
JP2020534119A5 (ko)
AU2021277620B2 (en) Insertable sleeve for speculum and use thereof
CA2993093C (en) Ergonomic menstrual cup
EP1804745B1 (en) An external urinary catheter
EP2192877B1 (en) Vacuum assisted prosthetic sleeve and socket utilizing a double membrane liner
US20100312204A1 (en) Menstrual Cup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160109503A (ko) 삽입형 생리 컵
US11013633B2 (en) Menstrual cup and extractor system
US20210137725A1 (en) Intravaginal device
US11723789B2 (en)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an intra-vaginal fluid collection device
US20230016976A1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menstrual cup
US20230019578A1 (en) Menstrual collection device, applicator and a method of inserting a menstrual collection device with an applicator
WO20071386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rinary device and resulting urinary device
EP0616797A1 (en) Insertion tube for a vaginal cup
TWI761741B (zh) 月亮杯、月亮杯輔助裝置及月亮杯的組合
KR102557218B1 (ko) 수술용 배액 시스템 및 사용 방법
WO2019157236A1 (en) Flexible socket interface
EP4042988A1 (en) Menstrual cup
EP4164570A1 (en) Vaginal fluid absorption and odor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