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929B1 - Variable safety blind - Google Patents

Variable safety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929B1
KR102411929B1 KR1020210138326A KR20210138326A KR102411929B1 KR 102411929 B1 KR102411929 B1 KR 102411929B1 KR 1020210138326 A KR1020210138326 A KR 1020210138326A KR 20210138326 A KR20210138326 A KR 20210138326A KR 102411929 B1 KR102411929 B1 KR 10241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variable
blind
body por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8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덕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3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9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9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06Means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acceleration on patients, e.g. suspension systems of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6Restraining en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ollision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60Y2200/116Ambulan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망을 롤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안전망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망은 합성 수지 재질의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메쉬망을 포함한다.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afety net; a first body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afety net to accommodate the safety net in the form of a roll; and a second body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net, wherein the safety net includes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mesh network made of an elastic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include

Description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VARIABLE SAFETY BLIND}Variable Safety Blinds {VARIABLE SAFETY BLIND}

본 발명은 안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차량에서 신변 보호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안전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bli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blind that can be used for personal protection in an emergency vehicle.

주취자, 강력 범죄자, 테러 용의자 등 위험 인물을 경찰 순찰차나 구급차 등의 긴급차량으로 이동시에는 위험인물의 갑작스러운 난동으로부터 경찰관, 소방관 등 현장대응요원의 신변을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When moving dangerous people such as drunks, violent criminals, and terrorist suspects to emergency vehicles such as police patrol cars or ambulances,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the safety of on-site response personnel such as police officers and firefighters from sudden riots of dangerous people.

경찰 순찰차의 경우 경찰관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하여 순찰차의 내부의 1열과 2열 사이에 고정형의 투명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으나, 2열에 주취자, 강력 범죄자, 테러 용의자 등과 함께 탑승하여 이동시에는 주취 폭력, 폭행 등 난동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한 안전대책이 없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a police patrol car, a fixed transparent barrier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ws of the inside of the patrol car to protect the officers. There are no safety measures in case of riots.

또한, 소방차의 경우에도 주취자, 강력 범죄자, 테러 용의자 등을 구급차로 이동시에 난동이 있을 경우에 대비한 소방대원 등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차단막 등의 대비책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fire engine, there is no countermeasure such as a blocking screen to protect the safety of firefighters in case there is a riot when a drunken person, a violent criminal, or a terrorist suspect is transported by an ambulanc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09444호(이하 '444특허'로 약칭한다)는 구급차의 내부 천장에 설치되며 롤 형태로 권취되어 풀리거나 전재되는 안전망과, 안전망의 하단에 설치되어 구급차의 침대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환자 보호용 침대 안정망을 개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ior art Korean Patent No. 10-1709444 (hereinafter abbreviated as '444 patent') is a safety net installed on the interior ceiling of an ambulance and wound up in a roll shape to be unwound or transferred, and a safety net at the bottom of the safety net. Disclosed is a safety net for patient protection including a fixing means install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bed of the ambulance.

하지만 상기 444특허의 경우 단순히 롤 형태의 안전망이 구급차의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전망 끝단의 고리가 시설물에 고정될 수 있는 구성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다양한 차량의 실내 크기나 주변 시설물의 상태에 따라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444 patent, it merely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oop at the end of the safety net can be fixed to the facility while the roll-type safety net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ambulance. A structure that can respond is not disclosed.

한국등록특허 제10-1709444호(2017.02.2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9444 (2017.02.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긴급차량의 다양한 실내공간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한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afety blin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stably fixed in response to various indoor spaces of an emergency vehic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망을 롤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안전망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망은 합성 수지 재질의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safety net; a first body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afety net to accommodate the safety net in the form of a roll; and a second body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net, wherein the safety net includes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made of synthetic resin, and a mesh network made of an elastic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made including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망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sh network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일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망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sh network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may be formed of a urethane material.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각각은 상하측에 각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a connection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is detachably connected.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각각은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연결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may have a coupling groov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for coupl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have.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외부 구조물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n adhesive portion for bonding to an external structure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착부의 표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압축 동작에 의한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bonding part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hat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center in order to facilitate bonding by a compression opera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접착부의 표면의 초기 위치 및 압축 위치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압축레버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compression le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compression position of the surface of the bond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에는 외부 구조물에 형성된 고리와의 결합을 위한 카라비너가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carabiner for coupling with a ring formed on an external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art.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안전망의 권취 및 풀림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body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first button for controlling the winding and unwinding operation of the safety net.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안전망을 롤 형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망의 권취 및 풀림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afety net in the form of a roll, and may include a second button portion for controlling winding and unwinding operations of the safety net.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는 상기 연결부에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고리부 및 상기 한 쌍의 고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ariable safety blin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hook parts that can be fit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an elastic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pair of hook parts to each other.

일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of a corrugated pip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는 긴급차량의 다양한 실내공간에 대응하여 안전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긴급차량의 현장대응요원의 신변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otect the safety of the field responders of the emergency vehicle by allowing the safety net to be fixed in response to various indoor spaces of the emergency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는 개선된 안전망 구조를 채택하여 가시성을 확보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while securing visibility by adopting an improved safety net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안전망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에 적용된 안전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제1 몸체부와 제1 연결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가 도 5의 연결구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afety net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of Figure 1 is unfolde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fety net applied to the variable safety blind of Figure 1;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of FIG. 1 are separated.
5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that can be coupled to the body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connector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안전망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safety net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100)는 제1 몸체부(150a), 안전망(155) 및 제2 몸체부(1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variable safety blin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body portion 150a, a safety net 155 and a second body portion 150b.

제1 몸체부(150a)는 안전망(155)의 일측에 연결되어 안전망을 롤 형태로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body portion 150a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afety net 155 and serves to accommodate the safety net in the form of a roll.

제1 몸체부(150a)의 외측에는 버튼부(153)가 형성되는데, 버튼부(153)는 안전망(155)의 권취 및 풀림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button part 15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art 150a, and the button part 153 serves to control the winding and unwinding operation of the safety net 155.

제1 몸체부(150a)는 안전망(155)을 롤 형태로 권취 가능하도록 원통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부(153)의 동작에 의하여 안전망(155)을 권취하거나 풀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dy portion 150a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afety net 155 can be wound in a roll shape, and the safety net 155 can be wound or un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portion 153 . It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allows

상기 권취 및 풀림 구조는 버튼부(153)의 누름 동작을 통하여 자동으로 취 또는 풀림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태옆 장치 등의 구조물을 포함하거나 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동작이 되는 모터 장치 등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ding and unwinding structure may include a structure such as a side-by-side device or a motor device operated by electric force so that an automatic take-up or unwinding operation can be made through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153. can

제2 몸체부(150b)에는 안전망(155)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몸체부(150b)는 제1 몸체부(150a)와 달리 내부에 권리 구조물이 포함되지 않고 안전망(155)의 타측이 고정되는 부분만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safety net 15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150b. The second body portion 150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unlike the first body portion 150a, only a portion 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net 155 is fixed without a right structure is included therein.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안전망(155)은 제1 몸체부(155a)에 권취되어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중에는 제1 몸체부(155a)에서 풀릴 수 있다.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safety net 155 may be received by being wound around the first body portion 155a, and may be releas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55a during use.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제2 몸체부(150b)도 제1 몸체부(155a)와 같이 내부에 안전망(155)을 권취시키거나 풀림 동작을 수행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안전망(155)은 제1 몸체부(155a) 및 제2 몸체부(155b) 모두에 권취되어 수용되고, 사용중에는 풀림 동작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50b may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 safety net 155 is wound or unwinding, like the first body portion 155a. In this case, the safety net 155 may be wound and accommodated in both the first body portion 155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55b, an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through an unwinding operation during use.

이 경우에는 제2 몸체부(155b)의 외측에도 제1 몸체부(155a)와 같이 권리 및 풀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부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a button portion for performing a right and unlock operation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55b as in the first body portion 155a.

제1 몸체부(155a) 및 제2 몸체부(155b) 각각은 상하측에 각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120a, 120b, 130a, 130b)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155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55b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s 120a, 120b, 130a, 130b, each of which can be adjusted in height, are detachably connected.

제1 몸체부(155a)의 상측에는 제1 연결부(120a)가 하측에는 제1 연결부(130a)가 연결되며, 제2 몸체부(155b)의 상측에는 제2 연결부(120b)가 하측에는 제2 연결부(130b)가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0a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155a,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30a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0b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55b,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20b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155b. The connection part 130b is connected.

연결부(120a, 120b, 130a, 130b)는 높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는데, 예를 들어 내부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복수의 걸림턱을 통하여 몇 개의 단으로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s (120a, 120b, 130a, 130b) adopt a structure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for example, a spring is built-in therein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in several steps through a plurality of locking jaws. have.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두 개의 원통형 모듈의 결합 구조에서 나사 구조를 통하여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가 구성되는 등의 다양한 실시예도 가능하다.However,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such as configur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rough a screw structure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wo cylindrical modules,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it at a desired position.

연결부(120a, 120b, 130a, 130b)의 일단에는 제1 몸체부(155a) 제2 몸체부(155b)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A coupling protrusion for coupling with the first body part 155a and the second body part 155b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s 120a, 120b, 130a, and 130b.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20a)의 일단에 나사 형태의 결합돌기(127a)가 나타나 있을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a screw-shaped coupling protrusion 127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제1 몸체부(155a) 및 제2 몸체부(155b) 각각은 상측 및 하측에 연결부의 결합돌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함홈이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155a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55b may have a defect groov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돌기(127a)와의 결합을 위한 결함홈(154a)가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a defect groove 154a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127a is shown.

도 4에서는 나사 형태의 결합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돌기부에 형성된 탄성 돌기부가 결합홈 내부에서 돌출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의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Although FIG. 4 shows a screw-type coupling typ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a method in which the elastic protrusion formed on th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may be used.

연결부(120a, 120b, 130a, 130b)의 다단에는 외부 구조물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110a, 110b, 140a, 140b)가 형성된다.Adhesive portions 110a, 110b, 140a, and 140b for bonding to external structures are formed at multiple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s 120a, 120b, 130a, and 130b.

접착부(110a, 110b, 140a, 140b)의 표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압축 동작에 의한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rfaces of the adhesive portions 110a, 110b, 140a, and 140b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that increases in depth toward the center in order to facilitate adhesion by a compression operation.

연결부(120a, 120b, 130a, 130b)의 측면에는 접착부(110a, 110b, 140a, 140b)의 초기 위치 및 압축 위치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압축레버(112a, 112b, 135a, 135b)가 형성될 수 있다.Compression levers (112a, 112b, 135a, 135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compression position of the bonding parts (110a, 110b, 140a, 140b)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parts (120a, 120b, 130a, 130b) hav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몸체부(150a)를 긴급차량의 특정 위치에서 천장 및 바닥면에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 제1 몸체부(150a)의 높이보다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가 훨씬 높은 경우에 제1 연결부(120a, 130a)를 제1 몸체부(150a)에 연결하고 제1 연결부(120a, 130a)의 각각의 높이를 맞추어 제1 접착부(110a, 140a)가 바닥과 천장에 닿게 한 다음 압축레버(112a, 142a)를 조작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wants to fix the first body part 150a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at a specific loca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when the height from the floor to the ceiling is much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body part 150a Connec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s 120a and 130a to the first body portion 150a, and match the respective heights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s 120a and 130a so that the first bonding portions 110a and 140a are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ceiling. By manipulating the compression levers 112a and 142a, the fixing force may be strengthened.

제1 접착부(110a, 140a)는 내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탄성 재질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압축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바닥과 천장이 직물이 아닌 매끄러운 플라스틱, 유리, 금속 등의 재질인 경우에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portions 110a and 140a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an elastic material with a concave interior and are configured to be compressed and fixed. The fixing force may be further strengthened.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2 몸체부(150b)를 긴급차량의 특정 위치에서 천장 및 바닥면에 고정하고 싶은 경우에 제2 몸체부(150b)의 높이보다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가 훨씬 높은 경우에 제2 연결부(120b, 130b)를 제2 몸체부(150b)에 연결하고 제2 연결부(120b, 130b)의 각각의 높이를 맞추어 제2 접착부(110b, 140b)가 바닥과 천장에 닿게 한 다음 압축레버(112b, 142b)를 조작하여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user wants to fix the second body part 150b to the ceiling and the floor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emergency vehicle, the second body part 150b is much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body part 150b. Connect the connecting parts (120b, 130b) to the second body part (150b), match the respective heights of the second connecting parts (120b, 130b) so that the second adhesive parts (110b, 140b)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 ceiling, and then press the compression lever ( 112b, 142b) can be manipulated to strengthen the fixing force.

연결부(120a, 120b, 130a, 130b)의 외측에는 외부 구조물에 형성된 고리와의 결합을 위한 카라비너(125a, 125b, 135a, 135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20a, 130a)에는 제1 카라비너(125a, 135a)가 형성되고, 제2 연결부(120b, 130b)에는 제2 카라비너(125b, 135b)가 형성될 수 있다.Carabiners (125a, 125b, 135a, 135b) for coupling with a ring formed on an external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arts (120a, 120b, 130a, 130b). Specifically, first carabiners 125a and 135a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s 120a and 130a, and second carabiners 125b and 135b may be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s 120b and 130b.

카라비너(125a, 125b, 135a, 135b)는 예를 들어, 긴급차량 내부의 손잡이부와 같은 고리 영역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차량 내부의 위치에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접착부(110a, 110b, 140a, 140b)와 동시에 사용되거나 접착부(110a, 110b, 140a, 140b) 대신에 고정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The carabiner (125a, 125b, 135a, 135b) is, for example, a part that can be fixed to a ring region such as a handle part inside an emergency vehicle, and the adhesive parts 110a, 110b, 140a, 140b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and serves to strengthen the fixing force instead of the adhesive portion (110a, 110b, 140a, 140b) or used at the same time.

도 3은 도 1의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에 적용된 안전망의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fety net applied to the variable safety blind of Figure 1;

도 3을 참조하면 안전망(155)은 제1 필름(155a), 메쉬망(155b) 및 제2 필름(155b)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 the safety net 155 includes a first film 155a, a mesh network 155b, and a second film 155b.

제1 필름(155a) 및 제2 필름(155b)은 합성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메쉬망(155b)은 일정 경도 이상을 가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first film 155a and the second film 155b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the mesh network 155b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certain hardness or more.

예를 들어, 제1 필름(155a) 및 제2 필름(155b)은 자동차 도장면에 부착되는 PPF(Paint Protection Film)과 같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메쉬망(155b)은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film 155a and the second film 155b may be formed of a urethane material such as PPF (Paint Protection Film) attached to an automobile painting surface, and the mesh network 155b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such as I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메쉬망(155b)은 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을 정도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관통홀이 구성되는 격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mesh network 155b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ufficient to have elasticity enough to be wound in a roll shape, and may have a lattice structure in which various types of through holes are configured.

안전망(155)은 메쉬망(155b)의 전후면에 제1 필름(155a) 및 제2 필름(155b)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거나 메쉬망(155b)이 필름에 함침된 구조가 되도록 제1 필름(155a) 및 제2 필름(155b)이 메쉬망(155b)의 상하면에 일체로 성형되도록 이중 사출 등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safety net 155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the first film 155a and the second film 155b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esh network 155b, or the first film so that the mesh network 155b has a structure impregnated in the film. (155a) and the second film (155b)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such as double injection to be integrally mol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esh network (155b).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의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that can be coupled to the body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결구(200)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100)의 연결부(120a, 120b, 130a, 130b)에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고리부(210, 230) 및 한 쌍의 고리부(210, 230)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or 200 is a pair of hook portions 210 and 230 and a pair of ring portions 210 and 230 that can be fitted in the connection portions 120a, 120b, 130a, 130b of the variable safety blind 100 to each other. It may include an elastic connection part 220 for connecting.

고리부(210, 23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거나 일정 경도 이상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리부(210) 및 제2 고리부(23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ing parts 210 and 230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hardness or higher. For example, the first r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ring portion 230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etal material.

탄성 연결부(220)는 일정 힘 이상에서 연장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길이가 연장되거나 수축 가능한 주름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lastic connection part 2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can be extended beyond a certain force,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corrugated pipe structure that can be extended or contracted in length.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가 도 5의 연결구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safety bli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n parallel by the connector of FIG.

도 6과 같이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100a) 및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100b)가 이어지도록 설치가 필요한 경우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에 도 5와 같은 연결구(200a, 200b)를 끼울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when installation is required so that the variable safety blind 100a and the variable safety blind 100b are connected, the connectors 200a and 200b as shown in FIG. 5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ed portion.

이렇게 연결구(200a, 200b)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100a, 100b)의 맨좌측 및 맨우측의 연결부들만 바닥 및 천장에 고정시키거나 카라비너를 통하여 외부 구조물에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case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parts connected to the connectors 200a and 200b in this way, only the leftmost and rightmost connecting parts of the variable safety blinds 100a and 100b are fixed to the floor and ceiling, or connected to an external structure through a carabiner and fixed. can do 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100)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안전망(155)의 사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고 높이 조절 가능한 연결부의 구조를 이용하여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The variable safety blin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above, and the us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safety net 155 are improved, and it can be fixed in response to various positions in the room by using the structure of the height-adjustable connection part. make it

이에 따라 긴급차량의 1열과 2열의 차단뿐만 아니라 2열 내에서의 좌석 간 차단막을 생성시킬 수 있어 긴급차량에서 돌발상황으로부터 현장대응요원의 신변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not only block the first and second rows of emergency vehicles, but also create a barrier between the seats in the second row, effectively protecting the safety of field responders from unexpected situations in emergency vehicle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110a, 140a: 제1 접착부
112a, 142a: 제1 압축레버 120a, 130a: 제1 연결부
125a, 135a: 제1 카라비너 127a: 결합돌기
150a: 제1 몸체부 110b, 140b: 제2 접착부
112b, 142b: 제2 압축레버 120b, 130b: 제2 연결부
125b, 135b: 제2 카라비너 150b: 제2 몸체부
153: 버튼부 154a: 결합홈
155: 안전망 155a: 제1 필름
155b: 메쉬망 155c: 제2 필름
200: 연결구 210: 제1 고리부
220: 탄성 연결부 230: 제2 고리부
100: variable safety blind 110a, 140a: first adhesive
112a, 142a: first compression lever 120a, 130a: first connection part
125a, 135a: first carabiner 127a: coupling projection
150a: first body portion 110b, 140b: second adhesive portion
112b, 142b: second compression lever 120b, 130b: second connection part
125b, 135b: second carabiner 150b: second body portion
153: button portion 154a: coupling groove
155: safety net 155a: first film
155b: mesh network 155c: second film
200: connector 210: first ring portion
220: elastic connection portion 230: second hook portion

Claims (13)

안전망;
상기 안전망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망을 롤 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안전망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망은 합성 수지 재질의 제1 필름 및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메쉬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각각은 상하측에 각각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safety net;
a first body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afety net to accommodate the safety net in the form of a roll; and
and a second body part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afety net,
The safety net is made of a first film and a second film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mesh net of an elastic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s a variable safety blind that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he height-adjustable connection part is detachably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According to claim 1,
The mesh network is a variable safety blind formed of a metal materi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망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필름 및 상기 제2 필름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esh network is formed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are variable safety blinds formed of a urethane materi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2 몸체부 각각은 상측 및 하측에 상기 연결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on upper and lower sides for coupling the connecting portion,
A variable safety blind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는 외부 구조물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가 형성된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According to claim 1,
A variable safety blind having an adhesive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for bonding to an external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의 표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압축 동작에 의한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앙으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는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urface of the bonding part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and a variable safety blind formed in a concave shape that becomes deeper toward the center in order to facilitate bonding by compression oper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접착부의 표면의 초기 위치 및 압축 위치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압축레버가 형성된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8. The method of claim 7,
A variable safety blind provided with a compression lev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the initial position and compression position of the surface of the bonding part in the conne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외부 구조물에 형성된 고리와의 결합을 위한 카라비너가 형성된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According to claim 1,
A variable safety blind provided with a carabiner for coupling with a ring formed on an external structure in the connec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에는 상기 안전망의 권취 및 풀림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버튼부가 형성된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According to claim 1,
A variable safety blind having a first button portion for controlling the winding and unwinding operation of the safety net is formed on the first body por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안전망을 롤 형태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전망의 권취 및 풀림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safety net in the form of a roll, and a variable safety blind including a second button portion for controlling the winding and unwinding operation of the safety n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끼워질 수 있는 한 쌍의 고리부 및 상기 한 쌍의 고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According to claim 1,
A variable safety blind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hooks that can be fitted into the connection and an elastic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pair of hooks to each oth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부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는 주름관인 가변형 안전 블라인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astic connection part is a variable safety blind that is a corrugated pipe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KR1020210138326A 2021-10-18 2021-10-18 Variable safety blind KR1024119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326A KR102411929B1 (en) 2021-10-18 2021-10-18 Variable safety bli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326A KR102411929B1 (en) 2021-10-18 2021-10-18 Variable safety bli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929B1 true KR102411929B1 (en) 2022-06-22

Family

ID=8221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8326A KR102411929B1 (en) 2021-10-18 2021-10-18 Variable safety bli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92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995A (en) * 1994-08-25 1996-03-05 Warashina Fukushikai Sumiirono Sato Curtain for attendance
KR19980045185U (en)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Standing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bus
KR19990029568A (en) * 1997-09-05 1999-04-26 이토 요시히코 Portable screen assembly
KR200351968Y1 (en) * 2003-10-22 2004-06-02 임성황 Roll Screen Multifunction Board
JP2010195383A (en) * 2009-02-02 2010-09-09 Fukuoka Kanaami Kogyo Kk Crime prevention net for taxi driver
KR20130004071U (en) * 2011-12-26 2013-07-04 유철 Safety net structure for building structure
KR101709444B1 (en) 2016-09-07 2017-02-22 한국소방산업기술원 Bed safety net for patient prote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6995A (en) * 1994-08-25 1996-03-05 Warashina Fukushikai Sumiirono Sato Curtain for attendance
KR19980045185U (en)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Standing passenger protection device of bus
KR19990029568A (en) * 1997-09-05 1999-04-26 이토 요시히코 Portable screen assembly
KR200351968Y1 (en) * 2003-10-22 2004-06-02 임성황 Roll Screen Multifunction Board
JP2010195383A (en) * 2009-02-02 2010-09-09 Fukuoka Kanaami Kogyo Kk Crime prevention net for taxi driver
KR20130004071U (en) * 2011-12-26 2013-07-04 유철 Safety net structure for building structure
KR101709444B1 (en) 2016-09-07 2017-02-22 한국소방산업기술원 Bed safety net for patient prot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3219T3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reserve lifeline portion
US20170332742A1 (en)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US8356692B1 (en) Release mechanism for harness system
US20100012425A1 (en) Stop Element For A Securing Device
CA2677116A1 (en) Rapid intervention drag stretcher devices
KR102411929B1 (en) Variable safety blind
US9238156B2 (en) Personal fall limiter arrangement and user connection arrangement therefor
US7000439B2 (en) Appendage restraint system
KR20180000583U (en) Wide type jamb of elevator for keeping emergency rescue portable ladder
ES2219127B1 (en) AIRCRAFT SECURITY SYSTEM.
TW201907980A (en) Drop device connector
KR101683245B1 (en) Descending Life Lines Experience Apparatus for Education
JP5744565B2 (en) Fire hydrant equipment
US6082491A (en) Inflatable slide for attachment to a house window
US9816295B1 (en) Emergency entry control system
KR101906579B1 (en) Firefighting structure system for lifesaving in case of architecture fire
CN109173108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fire-fighting high level escape apparatus
EP3619381B1 (en) Locking mechanism with multiple stage locking verification
JPH10306669A (en) Sheet shutter
EP2374750B1 (en) Handrail for a fire-fighting rescue cage
US20230390595A1 (en) Harness shock absorber assembly, harness shock absorber, fall protection safety or scba harness and method of retrofitting a harness shock absorber
CN205479413U (en) Improvement structure of baffle of fire prevention gate
JP4809344B2 (en) Internal security door in aircraft
JPH06221796A (en) Automatic developed bulletproof device
IT201900003445A1 (en) MECHANICAL EMERGENCY DEVICE, FOR QUICK RELEASE OF SEAT BELT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