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418B1 - Retaining wall system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418B1
KR102411418B1 KR1020200102770A KR20200102770A KR102411418B1 KR 102411418 B1 KR102411418 B1 KR 102411418B1 KR 1020200102770 A KR1020200102770 A KR 1020200102770A KR 20200102770 A KR20200102770 A KR 20200102770A KR 102411418 B1 KR102411418 B1 KR 102411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late
soil
hous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789A (en
Inventor
정대일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엘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4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21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4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하좌우로 적층 결합되고 내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과 토사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배수관과 접촉하는 부직포 및 바닥면과 상기 옹벽블록 사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토사와 접촉되어 토사 중량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압력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플레이트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A retaining wall block stacked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having a drain pipe formed therein, a nonwoven fabric having one side in contact with the drain pipe, and a housing coupl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A pressure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soil and soil to press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weight of soil and soil, a rear plate receiving pressure from the pressure plate, and a front plate opening forward by receiving pressure transmitted to the rear plate It includes an outlet having a.

Description

옹벽 시스템 {Retaining wall system}Retaining wall system {Retaining wall system}

본 발명은 옹벽 및 옹벽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and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옹벽은 기초, 벽체, 배수시설 및 뒷채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로, 철도, 하천, 운하, 항만, 호안, 방조제, 교대 등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옹벽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이 적절하게 계획되고 시공될 때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데, 옹벽은 중력식, 반중력식, 캔틸레버식, 부벽식 옹벽 등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선반식, 상자형, 조립형, 보강토 옹벽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a foundation, a wall, a drainage facility, and a backfill material, and is used very widely, such as roads, railways, rivers, canals, ports, revetments, seawalls, and bridges. Each element constituting such a retaining wall system can fulfill its function when properly planned and constructed. , prefabricated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와 같은 옹벽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호우시에 수압이 증가하고 지반의 전단 강도가 감소하면, 옹벽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옹벽이 무너지면, 토사가 도로, 철도, 하천, 운하 등에 쏟아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옹벽을 다시 설치해야되는 문제가 있다.Despite the development of such retaining walls, when the water pressure increases and the shear strength of the ground decreases during heavy rain, the retaining wall collapses. When a retaining wall collapses, a safety accident occurs as soil and soil are poured into roads, railroads, rivers, and canals, etc.,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taining wall must be reinstall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옹벽 및 옹벽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t was devised based on the technical background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taining wall and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revent the retaining wall from collapsing in adva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적층 결합되고 내부에 배수관이 형성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과 토사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배수관과 접촉하는 부직포 및 바닥면과 상기 옹벽블록 사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토사와 접촉되어 토사 중량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압력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플레이트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taining wall block stacked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having a drain pipe formed therein, a nonwoven fabric having one side contacting the drain pipe, and a floor and the retaining wall dispos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oil. A housing coupled between blocks and a pressure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soil to press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weight of soil and soil, a rear plate receiving pressure from the pressing plate, and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rear plate It may include a discharge unit having a front plate that is received and opened forward.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내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may include an inner plat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in parallel to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제1 돌출부재,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돌출부재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 상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to couple the front plate and the housing, a second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to be coupled to the inner plate and the housing, and the rear A third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plate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일단부가 상기 후방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토사 지반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plate, one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and the other end may be installed in the soil.

또한, 상기 옹벽블록과 상기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끼움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itting block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discharge unit.

또한, 상기 옹벽블록은, 일측면에 복수 개로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또한, 상기 부직포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may have a coupling groov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옹벽 시공방법은, 지반을 터파기한 후 이를 다짐하여 레벨을 잡는 기초단계, 터파기한 지반에 끼움블록을 서로 이격되도록 연속하여 설치하고, 상기 끼움블록 사이에 배출부를 설치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 일단부가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타단부가 토사가 형성되는 지반에 설치하는 가압설치단계, 상기 끼움블록 및 상기 배출부 상부에 옹벽블록의 외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연속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단계를 반복하여 소정 높이의 옹벽을 축조하는 반복적층단계 및 상기 옹벽블록과 토사 사이에 부직포를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반복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최상단에 마감블록을 설치하고 옹벽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ndation step of digging the ground and then compacting it to obtain a level, continuously installing fitting blocks in the dug grou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tting blocks. A foundation bloc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discharge unit, a pressur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unit and installing the other end in the ground where soil is formed, the fitting block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lamination step of successively stacking so as to be laminated, a repeated lamination step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of a predetermined height by repeating the lamination step, a bonding step of bonding a nonwoven fabric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oil, and a finishing block at the top of the repeatedly lamin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It can be done in a finishing step of installing the wall and conne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s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및 옹벽 시공 방법은, 토사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옹벽의 설치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oil from pouring, shorten the installation period of the retaining wall, and prevent the retaining wall from collaps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옹벽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옹벽블록과 부직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출부가 토사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또 따른 옹벽 시스템의 분리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shown i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shown in FIG. 1 and the nonwoven fabric.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art shown in FIG. 1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soil.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retaining wall system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lso,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directly on”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under"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옹벽 시스템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옹벽블록과 부직포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omb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nonwoven fabric shown in FIG. It is a drawin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에서 부직포(500) 쪽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였고, 부직포(500)에서 옹벽블록(100) 쪽을 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며, 옹벽블록(100)에서 끼움블록(400) 및 배출부(300)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고. 끼움블록(400) 및 배출부(300)에서 옹벽블록(10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1 to 3, i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the nonwoven fabric 500 side is defined as the rear,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side in the nonwoven fabric 500 is defined and described as the front,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In (100), the fitting block 400 and the discharge part 300 are defined downward. In the fitting block 400 and the discharge unit 300,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side is defined up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10)은 도로 등에 설치되어 토사가 도로 등으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옹벽 시스템(10)은 호우가 발생하게 되어 토사의 중량이 증가하면 옹벽 시스템(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on a road or the like to prevent soil and soil from pouring into the road. At this time,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may increa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when heavy rain occurs and the weight of the soil increases.

이때, 토사의 무게에 의해 옹벽 시스템(10)의 일부가 파손되면서 옹벽 시스템(10)의 하단부 전방이 개방되어 도로 등이 설치된 방향으로 일부가 배출되면서 옹벽 시스템(10)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게 함으로써, 옹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par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is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soil, the front of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is opened and a part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ad, etc. is installed,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is reduc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taining wall from collapsing,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옹벽 시스템(10)은 옹벽블록(100), 배출부(300), 끼움블록(400) 및 부직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옹벽블록(100), 배출부(300), 끼움블록(400)은 콘크리트 등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1 to 3 ,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may include a retaining wall block 100 , a discharge unit 300 , a fitting block 400 , and a nonwoven fabric 500 . At this time,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the discharge unit 300 , and the fitting block 4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concrete or the like.

옹벽블록(100)은 돌기(101) 및 배수관(11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may include a protrusion 101 and a drain pipe 110 .

옹벽블록(100)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옹벽블록(10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옹벽블록(100)은 서로 간에 콘크리트 등으로 결합됨으로써, 후방에 형성되는 토사가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옹벽블록(100)의 후방에는 돌기(101)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block 1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concrete.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may be formed in plurality,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coupled to each other with concrete or the like, thereby preventing the soil formed in the rea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front. At this time, the projection 101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돌기(101)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옹벽블록(100)의 후방면에 복수 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101)의 단부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옹벽블록(100) 후방에 결합되는 부직포(500)와 탈착이 용이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01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In addition, the end of the protrusion 101 may be formed to be curved, it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plastic material. Through this,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nonwoven fabric 500 coupled to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배수관(110)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옹벽블록(100)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수관(110)은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하방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관(110)은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호우시 토사에 흡수되는 물을 배수관(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drain pipe 110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In this case, the drain pipe 110 may have a front end formed below the rear end. That is, the drain pipe 110 may be inclined. Through this, water absorbed in the soil during heavy rain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pipe 110 .

배출부(300)는 하우징(301), 전방플레이트(310), 내부플레이트(330), 후방플레이트(350) 및 가압플레이트(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 300 may include a housing 301 , a front plate 310 , an inner plate 330 , a rear plate 350 , and a pressure plate 370 .

하우징(301)은 배출부(30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1)은 적층된 옹벽블록(100)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부(300)는 내부에 중공부(301a, 301b)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1)은 상부면에 하방으로 걸림부재(30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01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discharge unit 300 . In addition, the housing 30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cked retaining wall block 100 . In this case, the discharge part 300 may have hollow parts 301a and 301b formed therein. The housing 301 may have a lower engaging member 303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걸림부재(303)는 복수 개의 층으로 적층된 옹벽블록(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층에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부재(303)는 다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The engaging member 303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on the layer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downwardly protruding engaging member 303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again.

걸림부재(303)의 후방을 향해 돌출된 부분은 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걸림부재(303)는 삼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후방플레이트(350)에 형성된 제3 돌출부재(351)가 결합될 수 있다. Th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rear of the locking member 303 may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oward the rear. The locking member 303 may have a triangular cross-section so that the third protruding member 351 formed on the rear plate 350 may be coupled thereto.

걸림부재(303)는 토사에 의해 가압되어 압력이 일정 이상 가해지게 되면 파손되어 걸림부재(303)가 파손되면서 후방플레이트(350)가 전방을 향해 쓰러질 수 있다. 후방플레이트(350)가 쓰러짐으로써, 후방플레이트(350)에 가해진 압력이 전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303 is pressurized by the earth and sand, and when a pressure is applied over a certain level, the locking member 303 may be damaged and the rear plate 350 may fall forward. As the rear plate 350 collap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ear plate 350 may be transmitted to the front.

호우가 발생하기 전에 걸림부재(303)는 가압플레이트(370)에서 발생되는 압력을 견딜 수 있고, 호우가 발생하여 한계 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걸림부재(303)는 파손될 수 있다.Before the heavy rain occurs, the engaging member 303 can withstand the pressure generated by the pressure plate 370, and when the heavy rain occurs and a pressure greater than the limit is generated, the engaging member 303 may be damaged.

즉, 걸림부재(303)는 호우가 발생하기 전에 가압플레이트(370)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견딜 수 있고, 호우가 발생하여 한계치 이상 압력이 발생될 때 파손될 수 있다.That is, the locking member 303 can withstand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plate 370 before the heavy rain occurs, and may be damaged when the heavy rain occurs and pressure above the threshold is generated.

전방플레이트(31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01)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플레이트(310)는 상단부에 제1 돌출부재(31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3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housing 301 . In addition, the front plate 310 may have a first protruding member 311 protruding from an upper end thereof.

제1 돌출부재(311)는 하우징(301)의 상부면에 삽입되어 전방플레이트(310)와 하우징(301)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재(311)는 후방에서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휘거나 부러질 수 있어, 제1 돌출부재(311)가 부러지면 전방플레이트(310)가 전방으로 개방되며 후방에서 압력을 가하는 토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1 to couple the front plate 310 and the housing 301 . In additio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may be bent or broken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rear, and when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is broken, the front plate 310 is opened to the front and th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rear The soi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내부플레이트(3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01)의 내부에 내부플레이트(330)와 이격되어 내부플레이트(330)와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플레이트(330)는 상단부에 제2 돌출부재(33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plate 33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late 330 inside the housing 301 and installed parallel to the inner plate 330. Also, the inner plate 330 may include A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may be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제2 돌출부재(331)는 하우징(301) 상부면에 삽입되어 내부플레이트(330)와 하우징(301)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재(331)는 후방에서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휘거나 부러질 수 있어, 제2 돌출부재(331)가 부러지면 내부플레이트(330)가 전방으로 쓰러지면서 내부플레이트(330)와 이격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310)를 가압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01 to couple the inner plate 330 and the housing 301 .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may be bent or broken when a predetermined or mor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rear, and when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is broken, the inner plate 330 falls forward while the inner plate 330 is broken. It is possible to press the front plate 3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tallation.

후방플레이트(35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01)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후방플레이트(350)는 상단부에 제3 돌출부재(351)가 하우징(30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돌출부재(351)는 상기 하우징(301)의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부재(30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방플레이트(350)가 하우징(30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ar plate 35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301 . In addition, the rear plate 350 may have a third protruding member 351 protruding inward of the housing 301 at an upper end thereof. In this case, the third protruding member 35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303 formed inside the housing 301 . Through this, the rear plate 35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301 .

가압플레이트(37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플레이트(370)는 상단부가 후방플레이트(350)의 상단부와 접촉될 수 있고, 하단부가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가압플레이트(37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며 형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plate 37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 addition, the pressure plate 370 may have an upper en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350, and a low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pressure plate 37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또한, 가압플레이트(370)와 후방플레이트(350)는 밀착될 수 있어, 가압플레이트(370)와 후방플레이트(350)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plate 370 and the rear plate 350 can be in close contact, a hollow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ressure plate 370 and the rear plate 3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of soil into the interior.

호우가 발생하기 전에는 가압플레이트(370)의 상부에 토사가 적층되어 후방플레이트(350)를 가압한 상태일 수 있다.Before the heavy rain occurs, soil may be stacked on top of the pressing plate 370 to press the rear plate 350 .

호우가 발생하면 가압플레이트(370) 상부에 적층된 토사는 물이 유입되어 토사의 무게가 증대됨에 따라, 후방플레이트(350)의 상단부를 가압함으로써, 걸림부재(303)의 한계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When heavy rain occurs, the soil stacked on the pressure plate 370 is increased in weight as water flows in.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350, a pressure higher than the limit value of the engaging member 303 can be applied. have.

이때, 걸림부재(303)가 파손되면서, 가압플레이트(370)와 후방플레이트(350)가 하우징(301)의 내부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플레이트(370)와 후방플레이트(350)가 기울어짐으로써, 내부플레이트(330)가 가압될 수 있다. 이때, 호우의 양이 많아져 내부플레이트(330)에 압력이 제2 돌출부재(331)가 견딜 수 있는 한계치 이상 가해지면, 제2 돌출부재(331)가 파손되어 내부플레이트(330)가 전방플레이트(310)로 기울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engaging member 303 is damaged, the pressure plate 370 and the rear plate 350 may be inclined into the housing 301 . In addition, as the pressure plate 370 and the rear plate 350 are inclined, the inner plate 330 may be pressed.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heavy rain increases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ner plate 330 more than the limit that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can withst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is damaged and the inner plate 330 is the front plate. (310) can be inclined.

이때, 내부플레이트(330)가 기울어짐으로써, 전방플레이트(310)가 가압될 수 있다. 이때, 호우의 양이 더욱 증가하여 전방플레이트(310)에 압력이 제1 돌출부재(311)가 견딜 수 있는 한계치 이상 가해지면 제1 돌출부재(311)가 파손되어 전방플레이트(310)가 전방으로 쓰러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inner plate 330 is inclined, the front plate 310 may be pressed.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heavy rain is further increased and pressure is applied to the front plate 310 more than the limit that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can withstand, the first protruding member 311 is damaged and the front plate 310 moves forward. can fall

즉, 호우가 발생할 때, 가압플레이트(370)가 후방플레이트(350)를 가압하는 압력이 걸림부재(303)의 한계치 이상 가해지고, 제1 돌출부재(311) 및 제2 돌출부재(331)의 한계치 이상 가해짐에 따라, 후방플레이트(350), 내부플레이트(330) 및 전방플레이트(310)를 순차적으로 쓰러져 한계치 이상 가해진 압력에 따라서 토사가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a heavy rain occurs,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late 370 pressing the rear plate 350 is applied more than the limit value of the engaging member 303 , and the first protrusion member 311 and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are As more than the threshold is applied, the rear plate 350, the inner plate 330, and the front plate 310 are sequentially knocked down, and the soil may be discharged forwar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above the threshold.

이를 통해,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배출부(300)가 한계치 이상 압력이 가해지면, 전방플레이트(310)가 개방되어 토사를 전방으로 배출함으로써, 옹벽이 한계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져서, 상부 또는 옹벽 전체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옹벽이 무너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pressure of the discharge part 300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art is applied more than the limit value, the front plate 310 is opened and the soil is discharged forward, so that the pressure more than the limit value is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so that the upper part or the entire retaining wall is collapsing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retaining wall collapse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jor accident.

부직포(50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옹벽블록(100)의 후방에 옹벽블록(1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부직포(500)는 옹벽블록(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수관(110)과 연결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50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500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10 formed inside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이때, 부직포(500)는 수분의 흡수가 우수한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부직포(500) 내부에는 염분 등을 포함할 수 있어, 호우가 발생하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수분의 흡수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nonwoven fabric 500 may be a nonwoven fabric having excellent moisture absorption.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nonwoven fabric 500 may include salt and the like, and when a heavy rain occurs, water absorption may be improved by osmotic pressure.

부직포(500)는 상하좌우에 서로 접촉하면서 연결될 수 있고, 부직포(500)의 전면에는 결합홈(5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홈(501)는 옹벽블록(100)의 후방에 형성된 돌기(10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옹벽블록(100)과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500 may be connec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a coupling groove 501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500 . 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501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01 form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so that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출부가 토사의 압력에 의해 개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art shown in FIG. 1 is opened by the pressure of soil.

호우가 발생하게 되면, 토사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가압플레이트(370)의 압력이 증가하고, 가압플레이트(370)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면, 가압플레이트(370)가 후방플레이트(350)에 가하는 압력이 증가하여 한계치 이상의 압력이 발생됨에 따라, 걸림부재(303)를 파손시킬 수 있다.When heavy rain occurs,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plate 370 increases as the weight of the soil increases,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ing plate 370 increases, the pressing plate 370 is applied to the rear plate 350 As the pressure is increased to generate more than a limit value, the locking member 303 may be damaged.

걸림부재(303)가 파손되면 후방플레이트(350)와 가압플레이트(37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토사가 하우징(30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중공부(301b)로 유입될 수 있다. When the locking member 303 is damaged, the rear plate 350 and the pressure plate 370 are inclined forward, and soil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301b formed in the housing 301 .

이때, 제2 중공부(301b)에 유입된 토사와 기울어진 가압플레이트(370)와 후방플레이트(350)의 상부에 적층되는 토사와 후방플레이트(350)가 하우징(301) 내부에 형성된 내부플레이트(33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il introduced into the second hollow portion 301b, the inclined pressure plate 370, and the soil and the rear plate 350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plate 350 are formed inside the housing 301 ( 330) can be pressed to the side.

토사가 내부플레이트(330)를 한계 이상 가압하면, 내부플레이트(330)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재(331)가 파손되어 내부플레이트(330)가 전방플레이트(310)로 기울어지면서, 토사가 제1 중공부(301a)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soil presses the inner plate 330 more than the limit,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late 330 is damaged and the inner plate 330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plate 310, 1 may be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01a.

이때, 토사는 제1 중공부(301a)에 유입된 토사와 기울어진 가압플레이트(370), 후방플레이트(350) 및 내부플레이트(330) 상부에 적층되는 토사와 내부플레이트(330)가 전방플레이트(310)의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il and the inner plate 330 stacked on the soil and the inclined pressing plate 370, the rear plate 350 and the inner plate 330 with the soil introduced into the first hollow part 301a are the front plate ( 310) can be pressed to the side.

토사가 전방플레이트(310)를 한계 이상 가압하면, 전방플레이트(310) 상부에 형서오딘 제2 돌출부재(331)가 파손되어 전방플레이트(310)가 전방으로 쓰러질 수 있다.When the soil presses the front plate 310 more than the limit,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331 on the front plate 310 may be damaged and the front plate 310 may fall forward.

이를 통해, 한계 이상 압력을 받는 옹벽 시스템(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방으로 토사를 배출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옹벽 시스템(10)의 전체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ire retaining wall system 10 from collapsing by reduc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that is subjected to more than the limit pressure by discharging the soil forward.

또한, 토사를 배출시키는 배출부(300)가 파손됨에 따라 옹벽 시스템(10)의 일부를 보수함으로써, 옹벽 시스템(10)의 보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repairing a part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as the discharge unit 300 for discharging soil is damaged, the repair time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can be shorten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의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st of the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configurations wit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승강부(600)는 본체(610), 제1 롤러(620), 샤프트(630), 벨트(640), 제2 롤러(650) 및 보조샤프트(6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unit 600 may include a body 610 , a first roller 620 , a shaft 630 , a belt 640 , a second roller 650 , and an auxiliary shaft 660 .

본체(610)는 사각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301)의 상부와 옹벽블록(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610)의 중심에는 본체(610)와 결합되는 제1 롤러(620)가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6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01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In this case, the first roller 620 coupled to the main body 610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610 .

제1 롤러(620)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에 샤프트(630)가 형성되어 본체(6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620)의 외측면에는 벨트(64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홈(미도시)이 형성되고, 방지홈(미도시)에 벨트(640)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620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shaft 63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to be connected to the body 610 . In addition, a prevention groove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belt 640 from being separat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ller 620 , and the belt 640 may be coupled to the prevention groove (not shown).

벨트(640)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부가 제1 롤러(62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 롤러(65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The belt 64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one en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ller 62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ller 650 .

제2 롤러(650)는 후방플레이트(350)에 형성된 제3 돌출부재(35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롤러(650)의 중심에는 보조샤프트(660)가 형성되어 제2 롤러(650)가 제3 돌출부재(351)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oller 65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rotruding member 351 formed on the rear plate 350 . In addition, the auxiliary shaft 66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roller 650 , so that the second roller 65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protruding member 351 .

이를 통해, 후방플레이트(350)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후방플레이트(350)의 걸림부재(303)가 파손되어 후방플레이트(350)가 기울어지게 되면, 내부플레이트(330)로 전달되는 압력이 벨트(640)에 의해 상쇄되어 내부플레이트(330)로 전달되는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하우징(301)의 내구도를 강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trength of the rear plate 350 can be strengthened, and when the locking member 303 of the rear plate 350 is damaged and the rear plate 350 is inclined,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inner plate 330 is applied to the belt. By reducing the pressure offset by the 640 and transmitted to the inner plate 330 , the durability of the housing 301 may be enhanc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또 따른 옹벽 시스템의 분리사시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shown in FIG. 6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는 대부분의 구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st of the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only configurations with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삽입부(700)는 하우징(301)의 내부에 삽입되어 하우징(301)과 분리가 가능할 수 있으면서, 토사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케이스(710) 및 플레이트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7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301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301 , and may include a case 710 and a plate part 730 to discharge soil to the outside.

케이스(710)는 하우징(301)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하우징(30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측판(711) 및 제2 측판(7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710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711 and a second side plate 713 so as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housing 301, and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301 with front and rear openings. have.

제1 측판(711)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하우징(301)의 상부에 위치하는 판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측판(713)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어 하우징(301)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판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판(711)과 제2 측판(713)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ide plate 7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lat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01 , and the second side plate 713 is formed in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301 . It can be installed inside the plate. In this case, the first side plate 711 and the second side plate 713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integrally formed.

이때, 제1 측판(711)의 전방, 후방 및 내부에는 플레이트부(730)가 설치되어 케이스(710)의 전방 및 후방을 폐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te part 730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rear, and inside of the first side plate 711 to close the front and rear of the case 710 .

플레이트부(730)는 전방플레이트(731), 내부플레이트(733) 및 후방플레이트(7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730 may include a front plate 731 , an inner plate 733 , and a rear plate 735 ,

전방플레이트(731)는 판 형상 형성되고, 케이스(710)의 단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케이스(710)의 전방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710)의 전방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전방플레이트(731)의 상부는 제1 돌출부재(731a)가 형성되어 전방플레이트(731)의 상단부가 하우징(301)의 내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ront plate 731 is formed in a plate shape, is formed wid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case 710 and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case 710 , thereby closing the front of the case 710 . In this case, a first protrusion member 731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plate 73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731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301 .

내부플레이트(733)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7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내부플레이트(733)의 상단부는 제2 돌출부재(733a)가 형성되어 내부플레이트(733)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측판(711)의 내측과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plate 733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stalled inside the case 710 .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733 is formed with a second protruding member (733a)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711, the inner plate 733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후방플레이트(735)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710)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710)의 후방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후방플레이트(735)의 상부에는 제3 돌출부재(735a)가 형성되어 후방플레이트(735)의 상단부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측판(711)의 내측과 연결할 수 있다.The rear plate 735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se 710 , thereby closing the rear of the case 710 . In this case, a third protrusion member 735a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late 735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735 an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plate 711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이를 통해, 후방에서 토사로 인한 압력이 증가하면 제1 돌출부재(731a), 제2 돌출부재(733a) 및 제3 돌출부재(735a)가 파손되면서, 후방플레이트(735), 내부플레이트(733) 및 전방플레이트(731)가 전방으로 쓰러지면서 토사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 파손된 플레이트부(730)는 새로운 케이스(710)를 교체함으로써,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pressure due to soil increases from the rear, the first protruding member 731a, the second protruding member 733a, and the third protruding member 735a are damaged, and the rear plate 735, the inner plate 733 And the front plate 731 can be discharged forward while collapsing forward. In this case, the damaged plate part 730 may be easily repaired by replacing the new case 710 .

즉, 토사의 압력이 증가하여 순차적으로 플레이트부(730)가 파손되면, 토사를 제거한 후, 케이스(710)를 제거함으로써, 파손된 플레이트부(730)를 동시에 교체하여 옹벽 시스템(10)을 보수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ressure of the soil increases and the plate part 730 is sequentially damaged, the retaining wall system 10 is repaired by simultaneously replacing the damaged plate part 730 by removing the soil and then removing the case 710 . It can shorten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facilitate mainten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 방법은 지반을 터파기한 후 이를 다짐하여 레벨을 잡는 기초단계, 터파기한 지반에 끼움블록(400)을 서로 이격되도록 연속하여 설치하고, 끼움블록(400) 사이에 배출부(300)를 설치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 일단부가 배출부(300)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타단부가 토사가 형성되는 지반에 설치하는 가압설치단계, 끼움블록(400) 및 배출부(300) 상부에 옹벽블록(100)의 외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연속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적층단계를 반복하여 소정 높이의 옹벽을 축조하는 반복적층단계, 옹벽블록(100)과 토사 사이에 부직포(500)를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반복 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최상단에 마감블록(미도시)을 설치하고 옹벽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는 마감단계를 통해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oundation step of taking the level by compacting the ground after excavating it, continuously installing the fitting blocks 400 in the dug grou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between the fitting blocks 400 A foundation block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discharge unit 300 on the 300) a lamination step of successively laminating so that the outer surfaces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upper part, a repeated lamination step of repeating the lamination step to build a retaining wall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nonwoven fabric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the soil ( 500),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through the finishing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block (not shown) on the top of the repeatedly stacked retaining wall structures and conne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s to each oth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may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옹벽 시스템 100: 옹벽블록
101: 돌기 110: 배수관
300: 배출부 301: 하우징
301a: 제1 중공부 301b: 제2 중공부
303: 걸림부재 310: 전방플레이트
311: 제1 돌출부재 330: 내부플레이트
331: 제2 돌출부재 350: 후방플레이트
351: 제3 돌출부재 370: 가압플레이트
400: 끼움블록
500: 부직포
501: 결합홈 600: 승강부
610: 본체 620: 제1 롤러
630: 샤프트 640: 벨트
650: 제2 롤러 660: 보조샤프트
700: 삽입부 710: 케이스
711: 제1 측판 713: 제2 측판
730: 플레이트부 731: 전방플레이트
731a: 제1 돌출부재 733: 내부플레이트
733a: 제2 돌출부재 735: 후방플레이트
735a: 제3 돌출부재
10: retaining wall system 100: retaining wall block
101: projection 110: drain pipe
300: discharge unit 301: housing
301a: first hollow part 301b: second hollow part
303: locking member 310: front plate
311: first protrusion member 330: inner plate
331: second protrusion member 350: rear plate
351: third protrusion member 370: pressing plate
400: fitting block
500: non-woven fabric
501: coupling groove 600: elevating part
610: body 620: first roller
630: shaft 640: belt
650: second roller 660: auxiliary shaft
700: insert 710: case
711: first side plate 713: second side plate
730: plate portion 731: front plate
731a: first protrusion member 733: inner plate
733a: second protrusion member 735: rear plate
735a: third protrusion member

Claims (9)

상하좌우로 적층 결합되고 내부에 배수관이 형성되며 서로 연결된 옹벽블록;
상기 옹벽블록과 토사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배수관과 접촉하는 부직포; 및
바닥면과 상기 옹벽블록 사이에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토사와 접촉되어 토사 중량에 따라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로부터 압력을 전달받는 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압력을 전달받아 전방으로 개방되는 전방플레이트를 갖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옹벽 시스템.
Retaining wall blocks that are stacked up and down, left and right, have drainage pipes formed therein,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nonwoven fabric dispos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oil,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drain pipe; and
A housing coupl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a pressure plat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 contact with soil to press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weight of soil and soil, a rear plate receiving pressure from the pressure plate, and the rear plate Retaining wall system including a discharge portion having a front plate that is opened forward by receiving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후방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내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옹벽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ischarge unit,
and an inner plat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in parallel with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에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Retaining wall system including a locking member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을 결합하는 제1 돌출부재;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돌출부재;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 상단부에 상기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3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옹벽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protrusion memb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and coupling the front plate and the housing;
a second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plate and coupled to the inner plate and the housing; and
The retaining wall system including a third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housing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일단부가 상기 후방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토사 지반에 설치되는 옹벽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e plate,
A retaining wall system in which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rear plate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 the soi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과 상기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는 끼움블록을 더 포함하는 옹벽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etaining wal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itting block installed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discharge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은, 일측면에 복수 개로 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옹벽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etaining wall block is a retaining wall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one sid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옹벽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nonwoven fabric is
A retaining wall system in which a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jection.
지반을 터파기한 후 이를 다짐하여 레벨을 잡는 기초단계;
터파기한 지반에 끼움블록을 서로 이격되도록 연속하여 설치하고, 상기 끼움블록 사이에 배출부를 설치하는 기초블록설치단계;
일단부가 상기 배출부의 상단부와 접촉되고 타단부가 토사가 형성되는 지반에 설치하는 가압설치단계;
상기 끼움블록 및 상기 배출부 상부에 옹벽블록의 외측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연속하여 적층하는 적층단계;
상기 적층단계를 반복하여 소정 높이의 옹벽을 축조하는 반복적층단계;
상기 옹벽블록과 토사 사이에 부직포를 결합하는 결합단계; 및
상기 반복적층된 옹벽구조물의 최상단에 마감블록을 설치하고 옹벽구조물을 서로 연결하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fter digging the ground, the foundation step of taking the level by compacting it;
A foundation block installation step of continuously installing fitting blocks on the dug groun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stalling a discharge part between the fitting blocks;
a pressur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unit and the other end in the ground where soil is formed;
a lamination step of continuously laminating the fitting block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on the discharge part so that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repeated lamination step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of a predetermined height by repeating the lamination step;
a bonding step of bonding a nonwoven fabric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soil;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nishing step of installing a finishing block on the uppermost end of the repeatedly lamin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ne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s to each other.
KR1020200102770A 2020-08-14 2020-08-14 Retaining wall system KR1024114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70A KR102411418B1 (en) 2020-08-14 2020-08-14 Retaining wa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770A KR102411418B1 (en) 2020-08-14 2020-08-14 Retaining wal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89A KR20220021789A (en) 2022-02-22
KR102411418B1 true KR102411418B1 (en) 2022-06-22

Family

ID=8049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770A KR102411418B1 (en) 2020-08-14 2020-08-14 Retaining wal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41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60Y1 (en) 2005-10-18 2006-01-11 (주)경동기술공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Auxiliary Falling Rock Prevention Net for Road
JP2006037700A (en) 2004-06-21 2006-02-09 Asurakku:Kk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772841B1 (en) 2017-02-07 2017-08-30 양동혁 Fance for preventing stone-drop
KR101944376B1 (en) 2017-12-27 2019-01-31 (유)이안지오텍 Vegetation inhibition block bod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7700A (en) 2004-06-21 2006-02-09 Asurakku:Kk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KR200405960Y1 (en) 2005-10-18 2006-01-11 (주)경동기술공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Auxiliary Falling Rock Prevention Net for Road
KR101772841B1 (en) 2017-02-07 2017-08-30 양동혁 Fance for preventing stone-drop
KR101944376B1 (en) 2017-12-27 2019-01-31 (유)이안지오텍 Vegetation inhibition block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789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082B1 (en) Temporary levee structure
KR100485742B1 (en) Water-storage tank
KR20220012525A (en) 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and wire mesh assembly
US1746566A (en) Sewer construction
KR101145393B1 (en) Bi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CN109680657B (en) Spillwa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411418B1 (en) Retaining wall system
JP4517207B2 (en) Construction for storage and infiltration of rainwater, etc.
CN107100099B (en) Reinforcing method for railway culvert
KR100734047B1 (en) Sump system and the setting method
KR200433220Y1 (en) Sump system
KR102127377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KR101111655B1 (en) method for reinforced of soft ground by using top pile
KR101770268B1 (en) Detention unit block and reservoir water tank structure for infiltration and detention of rain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KR102139448B1 (en) Block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592102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wall for foundation retaining of earth of building
CN110042859B (en) Retaining wall reverse filter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920688B1 (en) Structure for reinforced of soft ground by using top pile
CN210369029U (en) Reverse filtering body of retaining wall
KR100919755B1 (en) Retaining wall block for reinforcement ground
KR100665985B1 (en) The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self drainage
CN219118226U (en) U-shaped retaining wall formed by connecting prefabricated cantilever retaining walls
KR100627628B1 (en) Connection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of Harbors at Deep Sea Using with Caisson
KR200405621Y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breast for road
KR101653722B1 (en) A structure for drainage and this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