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870B1 -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 Google Patents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870B1
KR102410870B1 KR1020200088665A KR20200088665A KR102410870B1 KR 102410870 B1 KR102410870 B1 KR 102410870B1 KR 1020200088665 A KR1020200088665 A KR 1020200088665A KR 20200088665 A KR20200088665 A KR 20200088665A KR 102410870 B1 KR102410870 B1 KR 102410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or
image
model
terrain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6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0144A (en
Inventor
홍기호
원진희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디투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투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디투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00088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870B1/en
Publication of KR2022001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Abstract

본 발명은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으로서, 시뮬레이터 제작을 위해 획득한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서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 상기 공간 정보에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 상기 공간 정보에서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 상기 공간 정보에서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 및 상기 지형 생성부와 타일 맵 생성부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 및 건물 모델 생성부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와,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와,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와, 지형 생성부와 타일 맵 생성부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 및 건물 모델 생성부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 항공사진과 DEM만 적용한 시뮬레이터 지형 구축 방식과 달리,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현실감 있는 무인 비행체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실세계의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인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을 활용에 맞게 분류, 추출, 변환하고 실감 영상 가시화를 통해 드론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지역 방문 없이도 실제 지역의 3차원 영상의 드론 조종 연습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실제 지역에서의 드론 조종 시의 안정성 확보될 수 있으며, 실제 지역 방문 없이 해당 지역에 따른 드론 조정 연습으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nd more specifically, to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 terrain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from the included spatial information; a tile map generator for generating a tile map i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ti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nsory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the land cover map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3D model meta file using the building model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rranging the generated model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imulator terrain data; and a sensory image visualization unit that provides a sensory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the terrain generation unit, the tile map generation unit, the emotional image region generation unit, and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the immersive image is applied a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rain generator that generates simulator terrain data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re used to apply a tile map to the simulator terrain data. A tile map generator that generates a tile map, 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that generates an immersive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land cover, a 3D model meta file using the building model, and the generated model on the simulator terrain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that provides immersive image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the terrain generation unit, the tile map generation unit, the deep image region generation unit, and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to be plac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ata Unlike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y and DEM-only simulator terrain construction method by including parts, a realistic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is produced using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photograph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istic simulator imag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the realistic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various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such as aerial photography, DEM, land cover map, building model, etc. By providing a simulation image, it is possible to practice drone control with a 3D image of the real area without visiting the actual area, thereby ensuring stability when controlling the drone in the real area, and adjust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area without visiting the actual area Practice can save you time and money.

Description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 applied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본 발명은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항공사진과 DEM만 적용한 시뮬레이터 지형 구축 방식과 달리,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현실감 있는 무인 비행체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realistic images are applied, and more specifically, unlike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y and DEM-only simulator terrain construction method, various It relates to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realistic images are applied to provide realistic simulator images by producing realistic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s using spatial information.

다양한 산업에서 무인비행체가 활용되면서 세계 무인비행체 시장 규모가 2015년 40억 달러에서 2024년 147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현재 무인비행체 운용 시 비행 공간 제약 및 가시권 밖 비행 등의 어려움이 있다.As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the global unmanned aerial vehicle market is expected to surge from $4 billion in 2015 to $14.7 billion in 2024. .

일반적인 무인비행체 시뮬레이터는 영상의 표출 화면, 속도, 고도, 비행자세 등으로 무인비행체의 조종 연습에 주로 개발이 이루어져 있다. 특히, 무인비행체 교육기관에서는 취미 오락용 무인비행체 시뮬레이터를 조종자 훈련에 활용하고 있다.The general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is mainly developed to practice the opera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the image display screen, speed, altitude, and flight posture. In particular, unmanned aerial vehicle education institutions are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for hobby and entertainment for pilot training.

이와 같이, 기존 비행 시뮬레이터는 항공사진과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지형의 현실감을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무인비행체(드론)와 같이 조종사의 시야거리 내 저고도 비행 시뮬레이터에서는 현실감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즉, 무인비행체 시뮬레이터의 현실감을 키우기 위해서는 실제 지형을 모델링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에 최근 공간 데이터 분야는 근접 항공영상 및 측량 장비 발달로 고해상도 정사영상, DEM과 이를 활용한 고정밀 3D 건물 모델 생성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비행체 시뮬레이터는 실 지형이 아닌 가상의 공간으로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에 따라 현실감이 떨어지고, 실제 조종과 모의 조정 사이의 차이로 인한 조종 훈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6841호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isting flight simulator expresses the realism of the terrain using aerial photos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sense of reality is lowered in a low-altitude flight simulator within the pilot's field of view, such as an unmanned aerial vehicle (drone).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the method of modeling and manufacturing the actual terrain is effective. Accordingly, in the field of spatial data, it has become possible to create high-resolution orthographic images, DEMs, and high-precision 3D building models using the development of close-up aerial imaging and surveying equipment. However, as the conventional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provides a simulation image by modeling in a virtual space instead of real terrain, the sense of reality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piloting training is reduced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real and simulated control.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016841 is disclosed as a prior art document.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와,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와,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와, 지형 생성부와 타일 맵 생성부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 및 건물 모델 생성부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 항공사진과 DEM만 적용한 시뮬레이터 지형 구축 방식과 달리,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현실감 있는 무인 비행체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viously proposed methods, and includes a terrain generator that generates simulator terrain data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and a simulator terrain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 tile map generator that generates a tile map from data, 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that generates a sensory image region for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land cover, and a 3D model meta file using the building model A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that arranges the model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simulator terrain data, a terrain generating unit, a tile map generating unit, an emotional image region generating unit, and a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By including the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unit provided,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y and DEM-only simulator terrain construction method, using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photograph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to create realistic imag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realistic images are applied, which can provide realistic simulator images by manufactur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또한, 본 발명은, 실세계의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인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을 활용에 맞게 분류, 추출, 변환하고 실감 영상 가시화를 통해 드론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지역 방문 없이도 실제 지역의 3차원 영상의 드론 조종 연습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실제 지역에서의 드론 조종 시의 안정성 확보될 수 있으며, 실제 지역 방문 없이 해당 지역에 따른 드론 조정 연습으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ies, extracts, and converts various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such as aerial photography, DEM, land cover map, and building model, according to utilization, and provides a drone simulation image through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thereby real-world visitation. It is possible to practice drone control of a real area 3D image without it, and thus the stability of the drone control in the actual area can be secured.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은,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으로서,As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realistic images are applied,

시뮬레이터 제작을 위해 획득한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서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a terrain generator for generating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graphs from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aerial photograph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obtained for the production of the simulator;

상기 공간 정보에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a tile map generator for generating a tile map i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ti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상기 공간 정보에서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sensory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the land cover map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상기 공간 정보에서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 및a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3D model meta file using the building model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rranging the generated model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imulator terrain data; and

상기 지형 생성부와 타일 맵 생성부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 및 건물 모델 생성부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nsory image visualization unit that provides a sensory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the terrain generation unit, the tile map generation unit, the emotional image region generation unit, and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 정보는,Preferably, the spatial information comprises:

공공기관에서 배포하는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하되, 각각의 공간 정보는 구축 목적이 상이하여 서로 다른 좌표계로 구성되어 있는 바, 시뮬레이터의 기준 좌표계(UTM52)를 지정 후 원천 지형 자료 간 좌표계를 일치시켜 사용될 수 있다.It includes aerial photo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but each spati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due to different construction purposes. ), it can be used by matching the coordinate system between source topographic data.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형 생성부는,Preferably, the terrain generating unit,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되,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는 대규모 지역 생성을 위하여 텍스쳐 타일 맵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The simulator terrain data is generated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but the simulator terrain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texture tile map to generate a large-scale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일 맵 생성부는,Preferably, the tile map generator comprises: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되, 타일 맵은 높이 타일 맵으로 생성될 수 있다.A tile map is generated o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but the tile map may be generated as a height tile map.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일 맵 생성부는,More preferably, the tile map generator comprises:

높이 타일 맵 생성 시, 원본 DEM의 픽셀 해상도는 5m급이지만 시뮬레이터에서 현실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1m 이상의 해상도로 높이 맵을 생성하고, 해상도 변경에 따른 샘플링을 위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When generating a height tile map, the pixel resolution of the original DEM is 5m, but in order to improve the realism in the simulator, a height map can be created with a resolution of 1m or higher, and an interpolation algorithm for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olution change can be appli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는,More preferably, the sensory image region generating unit comprises:

시뮬레이터에서 물이 흐르는 효과, 나무 및 풀 등이 바람에 흔들리는 효과 같은 실감영상 효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토지 피복도를 활용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되, 토지 피복도를 이용한 마스크 이미지 생성 처리와, 실감 영상 효과 생성 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rder to reflect realistic image effects such as the effect of flowing water and the effect of trees and grass swaying in the wind in the simulator, an immersive image area is created using the land cover map, and mask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sing the land cover map and the sensory image effect are generated It can be done as a process of process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모델 생성부는,More preferably,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건물 모델의 정보 파일은, 2D 벡터 지도와 3D 모델 파일로 구성되고, 2D 벡터 지도는 shp 파일로 건물의 2D정보, ID, 건물분류, 건물명, 3D 파일명의 속성정보로 구성되고, 3D 모델은 시뮬레이터 지형에 배치하기 위해 shp 파일정보로 지형 구축영역의 건물을 검색한 후 중점좌표, 건물명, 모델 파일명의 파라미터를 json 형식의 메타파일로 생성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file of the building model consists of a 2D vector map and a 3D model file, and the 2D vector map is a shp file and consists of 2D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D, building classification, building name,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file name, and the 3D model is a simulator After searching for a building in the terrain construction area with shp file information to place it on the terrain, the parameters of the central coordinates, the building name, and the model file name can be created in a json format meta file.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물 모델 생성부는,Even more preferably,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모델 배치 툴을 사용하여 생성된 메타파일과 3D 모델 파일로 시뮬레이터 지형에 배치할 수 있다.Metafiles and 3D model files generated using the model placement tool can be placed on the simulator terrain.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와,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와,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와, 지형 생성부와 타일 맵 생성부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 및 건물 모델 생성부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 항공사진과 DEM만 적용한 시뮬레이터 지형 구축 방식과 달리,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현실감 있는 무인 비행체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the immersive image is applied a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rain generator that generates simulator terrain data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and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re used to apply a tile map to the simulator terrain data. A tile map generator that generates a tile map, 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that generates a immersive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the land cover map, generates a 3D model meta file using the building model, and applies the generated model to the simulator terrain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that provides immersive image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the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the terrain generating unit, the tile map generating unit, the deep image region generating unit, and the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to be placed in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data Unlike the existing aerial photography and DEM-only simulator terrain construction method by including parts, a realistic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is produced using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photograph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istic simulator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에 따르면, 실세계의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인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을 활용에 맞게 분류, 추출, 변환하고 실감 영상 가시화를 통해 드론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지역 방문 없이도 실제 지역의 3차원 영상의 드론 조종 연습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실제 지역에서의 드론 조종 시의 안정성 확보될 수 있으며, 실제 지역 방문 없이 해당 지역에 따른 드론 조정 연습으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the realistic im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various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such as aerial photography, DEM, land cover map, building model, etc. By providing a simulation image, it is possible to practice drone control with a 3D image of the real area without visiting the actual area, thereby ensuring stability when controlling the drone in the real area, and adjust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area without visiting the actual area Practice can save you time and mone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기초 공간정보로 사용되는 위성영상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기초 공간정보로 사용되는 토지피목지도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텍스쳐 타일 맵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높이 타일 맵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실감 영상 지역 분류 및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3D 모델 메타 파일 생성 및 모델 배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공간 정보의 좌표계 정보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unctional blocks.
2 is a view showing a satellite image used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and cover map used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xture tile map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ight tile map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lassifying and generating a sensory image reg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3D model meta file generation and model arrangement process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기초 공간정보로 사용되는 위성영상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기초 공간정보로 사용되는 토지피목지도를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텍스쳐 타일 맵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높이 타일 맵을 일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실감 영상 지역 분류 및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3D 모델 메타 파일 생성 및 모델 배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공간 정보의 좌표계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100)은, 지형 생성부(110), 타일 맵 생성부(120),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 건물 모델 생성부(140), 및 실감 영상 가시화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unctional blocks, and FIG. 2 is a basic space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 satellite image used as information as an example,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land title map used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exture tile map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nd FIG. 5 is a height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ile map as an example, an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lassifying and generating a sensory image region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illustrating a 3D model meta file creation and model arrangement process of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coordinate system information of spatial information of 1 to 8, the drone simulator system 100 to which a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rain generator 110, a tile map generator 120, and a sensory image reg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enerator 130 , a building model generator 140 , and a sensory image visualization unit 150 .

지형 생성부(110)는, 시뮬레이터 제작을 위해 획득한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서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형 생성부(110)는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되,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는 대규모 지역 생성을 위하여 텍스쳐 타일 맵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형 생성부(110)는 실감영상을 반영하는 드론 시뮬레이터에 적용되는 시뮬레이터 지역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terrain generating unit 110 is configured to generate simulator terrain data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graphs from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aerial photograph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obtained for simulator production. to be. The terrain generator 110 generates simulator terrain data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but the simulator terrain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form of a texture tile map for large-scale region generation. Here, the terrain generating unit 110 serves to generate a simulator area applied to a drone simulator that reflects a realistic image.

또한, 공간 정보는 공공기관에서 배포하는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한다. 이때,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들의 공간 정보는 구축 목적이 상이하여 서로 다른 좌표계로 구성되어 있는 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의 기준 좌표계(UTM52)를 지정 후 원천 지형 자료 간 좌표계를 일치시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patial information includes aerial photograph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At this time, spatial information of aerial photography, Digital Elevation Model (DEM), land cover, and building models are composed of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due to different construction purposes. ), it can be used by matching the coordinate system between source topographic data.

타일 맵 생성부(120)는, 공간 정보에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타일 맵 생성부(120)는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되, 타일 맵은 높이 타일 맵으로 생성될 수 있다.The tile map generator 12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tile map i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tiliz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n spatial information. The tile map generator 120 generates a tile map i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but the tile map may be generated as a height tile map.

또한, 타일 맵 생성부(120)는 높이 타일 맵 생성 시, 원본 DEM의 픽셀 해상도는 5m급이지만 시뮬레이터에서 현실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1m 이상의 해상도로 높이 맵을 생성하고, 해상도 변경에 따른 샘플링을 위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보간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프로그램 실행 시간이 다소 증가하지만 부드러운 높이 맵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generating the height tile map, the tile map generator 120 generates a height map with a resolution of 1 m or higher to improve realism in the simulator although the pixel resolution of the original DEM is 5 m, and interpolates for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olution change. Algorithms can be applied. In this case, if the interpolation algorithm is used, the program execution time is slightly increased, but a smooth height map can be generated.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는, 공간 정보에서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는 시뮬레이터에서 물이 흐르는 효과, 나무 및 풀 등이 바람에 흔들리는 효과 같은 실감영상 효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토지 피복도를 활용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되, 토지 피복도를 이용한 마스크 이미지 생성 처리와, 실감 영상 효과 생성 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 이미지는 지형 구축과 동일한 타일 맵 생성 규격을 적용하고, 검정 배경에 분류된 영역을 흰색으로 마스킹 하여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로 생성한다.The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13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sensory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the land cover map in the spatial information. The sensory image region generating unit 130 generates a sensory image region using the land cover map to reflect the sensory image effects such as the effect of flowing water and the effect of shaking trees and grass in the wind in the simulator. The mask image generating process and the sensory image effect generating process may be performed. Here, the mask image is generated as a gray scale image by applying the same tile map generation standard as for terrain construction, and masking the area classified on a black background with white.

또한,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에 적용되는 지역의 토지 피복도를 이용한 마스크 이미지가 생성되고, 실감 영상 효과를 생성하여 적용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6 , the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130 may generate a mask image using the land cover of the region applied to the simulator, and generate and apply a sensory image effect.

건물 모델 생성부(140)는, 공간 정보에서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건물 모델 생성부(140)는 건물 모델의 정보 파일은, 2D 벡터 지도와 3D 모델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The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140 is configured to generate a 3D model meta file by using a building model from spatial information, and to place the generated model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imulator terrain data. In the building model generator 140 , the building model information file may be composed of a 2D vector map and a 3D model file.

또한, 건물 모델 생성부(140)의 2D 벡터 지도는 shp 파일로 건물의 2D정보, ID, 건물분류, 건물명, 3D 파일명의 속성정보로 구성되고, 3D 모델은 시뮬레이터 지형에 배치하기 위해 shp 파일정보로 지형 구축영역의 건물을 검색한 후 중점좌표, 건물명, 모델 파일명의 파라미터를 json 형식의 메타파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건물 모델 생성부(140)는 모델 배치 툴을 사용하여 생성된 메타파일과 3D 모델 파일로 시뮬레이터 지형에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2D vector map of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140 is a shp file and is composed of 2D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D, building classification, building name,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file name, and the 3D model is shp file information to be placed on the simulator terrain. After searching for a building in the terrain construction area, the parameters of the central coordinates, the building name, and the model file name can be created in a json format meta file. Here, the building model generator 140 may place the meta file and the 3D model file generated using the model arrangement tool on the simulator terrain.

실감 영상 가시화부(150)는, 지형 생성부(110)와 타일 맵 생성부(120)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 및 건물 모델 생성부(140)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실감 영상 가시화부(150)는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의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현실감 있는 무인 비행체 시뮬레이터로 구현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여 실제 지역에서의 드론을 조정하는 시뮬레이션 효과를 갖도록 기능할 수 있다.The sensory image visualization unit 150 is configured to execute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the terrain generation unit 110 , the tile map generation unit 120 , the emotional image region generation unit 130 , and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140 . It is a configuration that provides an immersive image according to the The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unit 150 uses various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such as aerial photograph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to create realistic images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drone simulator implemented as a realistic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It can function to have a simulation effect of controlling a drone in a real area by provid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100)은 실제 지역과 유사하게 3차원으로 생성하여 실제 지역 방문 없이 드론 조종 연습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안전성 확보 및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특히 가상공간으로 구현된 기존의 시뮬레이터와 비교하여 지형 특성에 따라 논이 바람에 흔들리거나, 물이 흐르는 효과, 비, 눈, 바람, 구름 등의 여러 가지 기상효과, 주간, 야간에 따른 시간의 변화에 따른 지형 변화 등의 다양한 현실감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론 경찰, 물류 관리, 시설 관리, 촬영감독, 산림관리, 해안선 관리, 및 드론 스포츠 등의 다양한 분야에 범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simulato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reated in three dimensions similar to the real area and implemented so that drone piloting practice is possible without visiting the real area, thereby securing safety and reducing costs, especially in virtual space. Compared to the existing simulator implemented, the rice paddy field shakes in the wind or water flows according to the terrain characteristics, various weather effects such as rain, snow, wind, and clouds, and the terrain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during the day and night Various realistic effects such a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drone police, logistics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cinematography supervision, forest management, coastline management, and drone sport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은,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와,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와,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와,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와, 지형 생성부와 타일 맵 생성부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 및 건물 모델 생성부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 항공사진과 DEM만 적용한 시뮬레이터 지형 구축 방식과 달리,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의 다양한 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현실감 있는 무인 비행체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여 현실감 있는 시뮬레이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실세계의 다양한 형태의 공간정보인 항공사진, DEM, 토지피복도, 건물모델 등을 활용에 맞게 분류, 추출, 변환하고 실감 영상 가시화를 통해 드론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지역 방문 없이도 실제 지역의 3차원 영상의 드론 조종 연습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실제 지역에서의 드론 조종 시의 안정성 확보될 수 있으며, 실제 지역 방문 없이 해당 지역에 따른 드론 조정 연습으로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the sensory image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rain generator that generates simulator terrain data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and a simulator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 tile map generator that generates a tile map from the terrain data, 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that generates a sensory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land cover, and a 3D model meta file using the building model, An immersive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a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that arranges the generated model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imulator terrain data, a terrain generating unit, a tile map generating unit, an emotional image region generating unit, and a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By including a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unit that provides It is possible to provide realistic simulator images by produc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simulator with a realistic image. In particular, various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such as aerial photography, DEM, land cover map, building model, etc. can be classified, extracted, and converted to suit the application. And by providing a drone simulation image through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it is possible to practice drone control with a 3D image of the real area without visiting the actual area, thereby ensuring stability when controlling the drone in the real area, and visiting the actual area. It will be possible to save time and money by practicing drone adjustments according to the area without the ne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110: 지형 생성부
120: 타일 맵 생성부
130: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
140: 건물 모델 생성부
150: 실감 영상 가시화부
100: drone simulato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terrain generation unit
120: tile map generator
130: realistic image region generating unit
140: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150: realistic image visualization unit

Claims (8)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100)으로서,
시뮬레이터 제작을 위해 획득한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하는 공간 정보에서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형 생성부(110);
상기 공간 정보에서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는 타일 맵 생성부(120);
상기 공간 정보에서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대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는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
상기 공간 정보에서 건물 모델을 이용하여 3D 모델 메타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을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의 해당 지역에 배치하는 건물 모델 생성부(140); 및
상기 지형 생성부(110)와 타일 맵 생성부(120)와 심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 및 건물 모델 생성부(140)를 통해 제작된 드론 시뮬레이터의 실행에 따른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실감 영상 가시화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 정보는,
공공기관에서 배포하는 항공사진, DEM(Digital Elevation Model), 토지 피복도, 및 건물 모델을 포함하되, 각각의 공간 정보는 구축 목적이 상이하여 서로 다른 좌표계로 구성되어 있는 바, 시뮬레이터의 기준 좌표계(UTM52)를 지정 후 원천 지형 자료 간 좌표계를 일치시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As a drone simulator system 100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a terrain generating unit 110 for generating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graphs from spatial information including aerial photographs obtained for simulator produc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land cover, and building models;
a tile map generator 120 that generates a tile map i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130 for generating a sensory image region for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the land cover map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 building model generating unit 140 for generating a 3D model meta file using a building model from the spatial information and arranging the generated model in a corresponding area of the simulator terrain data; and
A sensory image that provides an immersive imag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drone simulator produced through the terrain generator 110 , the tile map generator 120 , the emotional image region generator 130 , and the building model generator 140 . Including the visualization unit 150,
The spatial information is
It includes aerial photos,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land cover maps, and building models distributed by public institutions, but each spatial information is composed of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due to different construction purposes. ),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sed by matching the coordinate system between the source topographic dat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 생성부(110)는,
고해상도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를 생성하되,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는 대규모 지역 생성을 위하여 텍스쳐 타일 맵 형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rrain generating unit 110,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realistic images are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ulator terrain data is generated using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but the simulator terrain data is generated in the form of a texture tile map for large-scale region generation.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맵 생성부(120)는,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활용하여 시뮬레이터 지형 데이터에 타일 맵을 생성하되, 타일 맵은 높이 타일 맵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or 3, wherein the tile map generator 120 comprises: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a tile map is generated on the simulator terrain data by using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the tile map is generated as a height tile ma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맵 생성부(120)는,
높이 타일 맵 생성 시, 원본 DEM의 픽셀 해상도는 5m급이지만 시뮬레이터에서 현실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1m 이상의 해상도로 높이 맵을 생성하고, 해상도 변경에 따른 샘플링을 위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ile map generator 120,
When generating the height tile map, the pixel resolution of the original DEM is 5m, but in order to improve realism in the simulator, the height map is created with a resolution of 1m or higher, and an interpolation algorithm for sampling according to the resolution change is applied. Drone simulator system with video appli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감 영상 지역 생성부(130)는,
시뮬레이터에서 물이 흐르는 효과, 나무 및 풀 등이 바람에 흔들리는 효과 같은 실감영상 효과를 반영하기 위하여 토지 피복도를 활용한 실감 영상 지역을 생성하되, 토지 피복도를 이용한 마스크 이미지 생성 처리와, 실감 영상 효과 생성 처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ory image region generator (130) comprises:
In order to reflect the realistic image effects such as the effect of flowing water and the effect of trees and grass swaying in the wind in the simulator, an immersive image area is created using the land cover map, and mask image generation processing using the land cover map and the sensory image effect are generated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rocess of proces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모델 생성부(140)는,
건물 모델의 정보 파일은, 2D 벡터 지도와 3D 모델 파일로 구성되고, 2D 벡터 지도는 shp 파일로 건물의 2D정보, ID, 건물분류, 건물명, 3D 파일명의 속성정보로 구성되고, 3D 모델은 시뮬레이터 지형에 배치하기 위해 shp 파일정보로 지형 구축영역의 건물을 검색한 후 중점좌표, 건물명, 모델 파일명의 파라미터를 json 형식의 메타파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140,
The information file of the building model consists of a 2D vector map and a 3D model file, and the 2D vector map is a shp file and consists of 2D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D, building classification, building name,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3D file name, and the 3D model is a simulator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realistic imag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after searching for a building in the terrain construction area with shp file information to place it on the terrain, the parameters of the central coordinates, the building name, and the model file name are created in a json format meta fi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 모델 생성부(140)는,
모델 배치 툴을 사용하여 생성된 메타파일과 3D 모델 파일로 시뮬레이터 지형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영상을 적용한 드론 시뮬레이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uilding model generation unit 140,
A drone simulator system to which a realistic imag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laced on the simulator terrain as a meta file and 3D model file created using a model placement tool.
KR1020200088665A 2020-07-17 2020-07-17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KR1024108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665A KR102410870B1 (en) 2020-07-17 2020-07-17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665A KR102410870B1 (en) 2020-07-17 2020-07-17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144A KR20220010144A (en) 2022-01-25
KR102410870B1 true KR102410870B1 (en) 2022-07-07

Family

ID=8004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665A KR102410870B1 (en) 2020-07-17 2020-07-17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8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9652B1 (en) * 2022-04-19 2022-08-08 (주)디투이노베이션 High-precision 3-dimension data conversion automation method for virtual environment establish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47B1 (en) * 2017-03-06 2018-06-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about safety diagnostic of dangerous reservoir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167643A (en) 2018-07-06 2019-01-08 北京航空航天大学 A kind of UAV Communication signal simulation generation method based on GIS geographical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921A (en) * 2016-03-30 2017-10-12 팅크웨어(주)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nmanned air vehicle
KR101928817B1 (en) * 2016-12-29 2019-03-12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Combat simulation systems based spatial db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947B1 (en) * 2017-03-06 2018-06-27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about safety diagnostic of dangerous reservoir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CN109167643A (en) 2018-07-06 2019-01-08 北京航空航天大学 A kind of UAV Communication signal simulation generation method based on GIS geographical environme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1
비특허 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144A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7057B2 (en) Realistic 3D virtual world creation and simulation for training automated driving systems
US201803495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simulating a realistic 3d virtual world
US11113864B2 (en) Generative image synthesis for training deep learning machines
EP34104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simulating a realistic 3d virtual world
WO2019239211A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mulated scenes from open map data for machine learning
Halik et al. Geovisualisation of relief in a virtual reality system on the basis of low-level aerial imagery
CN112560137A (en) Multi-model fus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smart city
KR101405891B1 (en) Reality display system of air inteligence and method thereof
CN116342783B (en) Live-action three-dimensional model data rendering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KR102410870B1 (en) A drone simulator system with realistic images
Gao et al. Large-scale synthetic urban dataset for aerial scene understanding
Spielhofer et al. 3D point clouds for representing landscape change
US5969723A (en) Method for incorporating high detail normal vector information into polygonal terrain databases and image display system which implements this method
Fukuda et al. Integration of a structure from motion into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for architectural and urban simulation: demonstrated in real architectural and urban projects
Wells Generating enhanced natural environments and terrain for interactive combat simulations (genetics)
US11270521B2 (en) Creation of a simulation scene from a specified view point
Galazka et al. CiThruS2: Open-source photorealistic 3d framework for driving and traffic simulation in real time
Dinkov Generation of 3D panoramic map for tourism management applications
KR102429652B1 (en) High-precision 3-dimension data conversion automation method for virtual environment establishment
Joy et al. 3D GIS–RETROSPECTIVE FLOOD VISUALISATION
Hruby et al. Real geographies in virtual space: a practical workflow for geovisualization with immersive vr
Gałązka et al. CiThruS2: Open-Source Virtual Environment for Simulating Real-Time Drone Operations and Piloting
Zhang et al. A simulation environment for drone cinematography
US20060022980A1 (en) Material coded imagery for computer generated forces
CN117373317A (en) Cesium-based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performance sim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