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791B1 -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791B1
KR102410791B1 KR1020220030695A KR20220030695A KR102410791B1 KR 102410791 B1 KR102410791 B1 KR 102410791B1 KR 1020220030695 A KR1020220030695 A KR 1020220030695A KR 20220030695 A KR20220030695 A KR 20220030695A KR 102410791 B1 KR102410791 B1 KR 10241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floor
frame
installation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두석
Original Assignee
오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두석 filed Critical 오두석
Priority to KR102022003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신호등(100)은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고 하단에는 수설치부(111)가 마련되는 광원함(110)과, 바닥면 위에 지지되는 것으로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어지는 틀지지부(121)가 마련되고 틀지지부(121) 상단에는 암설치부(122)가 마련되는 설치틀(120)과, 설치틀(120)을 바닥면에 단단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앵커들(130)과, 그리고 광원함(110)과 설치틀(120)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방향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격자형 간격유지체(140)을 포함하며, 설치틀(120)은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매립기준선(12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Floor typed signal light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본 발명은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현장에서 설치가 쉽고 간편하고 고정력이 우수한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보행신호등이 잘 보이지 않는 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왕복4차로 이상인 도로중에서 보행자 통행이 빈번하고 보행자 횡단사고가 잦은 보호구역에 설치되고 있다.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이미 조성되어 있는 인도에 보도블럭을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도블럭이 설치되어 있는 인도의 단면 구조를 도 1에 예를 들어 도시하였고, 종래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도 2에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며, 그리고 종래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도 3에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미 조성되어 있는 인도는 지면(1) 위에 배수성이 좋은 입도조정쇄석으로 된 기층(2)이 형성되어 있고, 기층(2) 위에 배수성이 좋은 모래 등으로 된 안전층(3)이 형성되어 있다. 보도블럭(4)은 안전층(3) 위에 평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정부의 설치 기준에 따르면, 기층(2), 안전층(3), 보도블럭(4)의 높이는 각각 100mm, 30mm, 60m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제작, 운반 및 현장 설치의 편의를 위하여 단위모듈형태로 되어 있고, 현장에서 작업 상황에 맞게 필요한 수만큼의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설치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10)은 단위모듈형태의 광원함(11)과 설치틀(12)로 구성되어 있다.
광원함(11)은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어 있고, 하단에는 수설치부(13)가 마련되어 있다. 수설치부(13)는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얇은 직사각형의 결합돌기들(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설치틀(12)은 안전층(3) 또는 기층(2) 위에 놓여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게 되는 틀지지부(15)가 마련되어 있고 틀지지부(15) 상단에는 암설치부(16)가 마련되어 있다. 암설치부(16)는 안 테투리면을 따라 결합돌기들(14)이 결합되게 되는 얇은 직사각형의 결합홈들(17)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도 3에 흐름도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은 인도에서 보도블럭들(4)을 제거하는 단계(S10), 바닥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단계(S20), 고른 바닥면에 설치틀을 원하는 길이만큼 이어서 설치하는 단계(S30), 설치틀에 광원함을 설치하는 단계(S40)로 되어 있다. 단계(S30)는 설치틀을 바닥면에 길이방향으로 이어서 올려 놓고 그 위에 흙이나 모래 등을 채워서 설치틀을 지지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은 광원함의 표면들이 인도의 표면에 맞게 일정하게 노출되게 하기 위하여 보도블럭들을 제거하고 필요한 높이에 맞추어 바닥면을 평평하게 고르는 작업이 까다롭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다.
또한, 바닥면에 설치틀을 올려 놓고 흙이나 모래 등을 채워서 설치틀을 지지하는 작업에서, 틀지지부 상단면에 남아 있는 흙이나 모래 등을 다시 제거하는 작업이 까다롭고 많은 시간이 요구되었다.
또한, 설치틀이 채워진 흙이나 모래 등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된다고는 하나, 바닥면이 완전히 평평하지 않을 경우 원하는 지지력을 얻기 어려웠고, 이는 잦은 보행에 따라 설치틀이 바닥면에서 들썩 거리면서 광원함에 부분적으로 다른 크기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파손으로 이어지기 쉬웠다.
더하여, 남아 있는 흙이나 모래 등이 말끔하게 제거되지 않는 경우, 광원함과 설치틀 사이에 남아 있는 흙이나 모래 등이 끼이게 되어 부분적으로 다른 크기의 여러 여유 공간들이 생기게 되고, 이는 잦은 보행에 따라 광원함에 부분적으로 다른 크기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파손으로 이어지기 쉬웠다.
[선행문헌] 등록특허 제102033524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현장에서 설치가 쉽고 간편하고 바닥면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파손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고, 하단에는 수설치부가 마련되는 광원함; 및 바닥면 위에 지지되는 것으로,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어지는 틀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틀지지부 상단에는 암설치부가 마련되는 설치틀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틀은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매립기준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매립기준선이 상기 틀지지부의 상단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과, 상기 설치틀을 상기 바닥면에 단단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앵커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앵커들은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틀지지부에 마련되는 격자형 틀의 홈에 끼워지는 머리부와 상기 바닥면 속에 박히는 끝이 뾰족한 다리부를 갖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함과 상기 설치틀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방향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격자형 간격유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 부분들이 상기 틀지지부에 있는 각각의 격자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과,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테두리와 모서리가 비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고, 하단에는 수설치부가 마련되는 광원함; 바닥면 위에 지지되는 것으로,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어지는 틀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틀지지부 상단에는 암설치부가 마련되는 설치틀; 및 상기 설치틀을 상기 바닥면에 단단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앵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앵커들이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틀지지부에 마련되는 격자형 틀의 홈에 끼워지는 머리부와 상기 바닥면 속에 박히는 끝이 뾰족한 다리부를 갖는 것과, 상기 설치틀은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매립기준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함과 상기 설치틀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방향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격자형 간격유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 부분들이 상기 틀지지부에 있는 각각의 격자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과,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테두리와 모서리가 비어 있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인도에서 보도블럭들을 제거하는 단계(S110); 틀지지부가 매립되어질 높이만큼 바닥면을 파내고 파낸 부위를 고르고 다지는 단계(S120); 상기 파낸 부위에 상기 틀지지부가 매립되게 설치틀을 설치하는 단계(S130); 앵커들을 박아 상기 설치틀을 상기 파낸 부위에 고정하는 단계(S140); 상기 틀지지부의 격자형 공간에 흙이나 모래 등을 채우는 단계(S150); 상기 틀지지부 위에 남아 있는 흙이나 모래를 치우는 단계(S160); 격자형 간격유지체를 상기 틀지지부 위에 놓는 단계(S170); 및 상기 설치틀에 광원함을 설치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에 따르면, 현장에서 설치가 쉽고 간편하고 바닥면에 대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파손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보도블럭이 설치되어 있는 인도의 단면을 예를 들어 보여준 도면;
도 2는 종래의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종래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틀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앵커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격자형 간격유지체의 사시도; 및
도 8은 도 4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경찰청이 제공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 표준지침에 따르면,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횡단보도의 연석 후방에 일정한 기준으로 설치되어 보행신호의 상태를 녹색, 녹색점멸, 적색으로 표출하는 장치인 표출부, 교통신호제어기에 설치된 옵션보드로부터 보행신호등의 상태를 수집하여 표출부의 등화를 제어하는 장치인 제어부, 그리고 교통신호제어기에 설치되어 해당 보행신호등의 신호상태 등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장치인 옵션보드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표출부의 구성을 개선하고자 하기에,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표출부를 바닥형 보행신호등으로 부르기로 하고, 다른 제어부와 옵션보드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이미 조성되어 있는 인도에 보도블럭을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설치하게 되고, 보도블럭이 설치되어 있는 인도의 단면 구조는 도 1을 참조하면 된다. 본 발명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같은 크기와 형태의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필요한 수만큼 여러개 길게 이어서 완성되게 됨으로, 하나의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명으로 다른 보행신호등들의 설명을 대신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신호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틀지지부의 사시도, 도 6은 도 4의 앵커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4의 격자형 간격유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모듈형태의 바닥형 보행신호등(100)은 단위모듈형태의 광원함(110)과 설치틀(120), 다수의 앵커들(130), 그리고 격자형 간격유지체(140)를 포함한다.
광원함(110)은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는 것으로, 하단에는 수설치부(111)가 마련된다. 수설치부(111)는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얇은 직사각형의 결합돌기들(112)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설치틀(120)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으로,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어지는 틀지지부(121)가 마련되고 틀지지부(121) 상단에는 암설치부(122)가 마련된다. 틀지지부(121)는 흙이나 모래 등이 채워지는 격자형 공간(123)이 형성되고, 격자형 틀(124)에는 앵커(130)의 머리부(131)가 끼워지는 홈들(125)이 중앙선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암설치부(122)는 안 테투리면을 따라 결합돌기들(112)이 결합되게 되는 얇은 직사각형의 결합홈들(126)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또한, 설치틀(120)은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매립기준선(127)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매립기준선(127)은 오목하게 홈으로 형성되거나 구별이 쉽게 색칠될 수 있다. 매립기준선(127)은 틀지지부(121)의 상단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행신호등(100)이 주변의 다른 제거되지 않은 보도블럭들에 비해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기 위해서는, 광원함(110)이 설치틀(120)에 설치되었을 때, 바닥면 위로 돌출되는 높이가 제거된 보도들럭들의 높이와 같아야 하고, 틀지지부(121)는 바닥면 속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어야 한다.
다수의 앵커들(130)은 설치틀(120)을 바닥면에 단단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형으로 형성되고, 격자형 틀(124)의 홈(125)에 끼워지는 머리부(131)와 바닥면 속에 박히는 다리부(132)를 갖는다. 머리부(131)는 홈(125)에 끼워지면 격자형 틀(124)의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다리부(132)는 단단한 바닥면에도 쉽게 박힐 수 있게 끝이 뾰족하다.
격자형 간격유지체(140)는 광원함(110)과 설치틀(120), 구체적으로 틀지지부(121)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것으로, 틀지지부(121)의 격자형 틀(124) 위에 놓인다. 이때, 간격유지체(140)가 격자형 틀(124) 위에 놓이면, "╋" 부분들은 각각의 격자형 공간(123)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격자형 간격유지체(140)는 테두리와 모서리가 비어 있다. 이로 인하여, 암설치부(122)의 안쪽 테두리, 특히 안쪽 모서리 구석에 제대로 치워지지 않은 흙이나 모래 등이 일부 남아 있다 하더라도 간격유지체(140)가 정상적으로 놓일 수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설치방법은 인도에서 보도블럭들을 제거하는 단계(S110), 틀지지부(121)가 매립되어질 높이만큼 바닥면을 파내고 파낸 부위를 고르고 다지는 단계(S120), 파낸 부위에 틀지지부(121)가 매립되게 설치틀(120)을 설치하는 단계(S130), 앵커들(130)을 박아 설치틀(120)을 파낸 부위에 고정하는 단계(S140), 틀지지부(121)의 격자형 공간(123)에 흙이나 모래 등을 채우는 단계(S150), 틀지지부(121) 위에 남아 있는 흙이나 모래를 치우는 단계(S160), 격자형 간격유지체(140)를 틀지지부(121) 위에 놓는 단계(S170), 설치틀(120)에 광원함(110)을 설치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
단계(S110)에서는, 인도에서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설치하려는 구역에 있는 보도블럭들을 들어서 제거한다.
단계(S120)에서는, 보도블럭들이 제거된 구역을 틀지지부(121)가 매립되어질 높이만큼 파낸다. 파낸 부위는 평평하고 고르게 다져야 하는데, 작업 구역이 넓지 않아 롤러와 같은 대형 장비를 사용할 수 없어 이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단계(S130)에서는, 바닥면이 평평하고 고르게 다져진 파낸 부위에 틀지지부(121)를 매립하여 설치틀(120)을 설치한다. 이때, 틀지지부(121)의 바깥 테두리면에 있는 매립기준선(127)이 파낸 부위와 같은 선상에 있게 설치한다. 이 작업에 또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데, 매립기준선(127)이 있어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작업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단계(S140)에서는, 설치틀(120)에 앵커들(130)을 박아 바닥면에 설치틀(120)을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중간에 있는 홈(125)에 앵커(130)를 먼저 적당히 박은 후 다른 홈(125)에 있는 앵커(130)들을 충분히 박은다. 그런후, 앵커(130)들을 다시 한번 세게 박으면, 설치틀(120)이 어느 한쪽으로 들뜨지 않고 바닥면에 평평하고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단계(S150)에서는, 틀지지부(121)의 격자형 공간(123)에 흙이나 모래 등을 채운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닥면에 대한 설치틀(120)이 고정력이 더욱 강해지게 되고, 고정력이 틀지지부(121)의 전체에 고르게 작용될 수 있다.
단계(S160)에서는, 격자형 공간(123) 속에 채워지고 틀지지부(121) 위에 남아 있는 흙이나 모래를 치운다. 설치틀(120)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고, 암설치부(122)의 안쪽 테두리, 특히 안쪽 모서리 구석에 있는 흙이나 모래 등을 치우는 작업이 까다롭고 완성도가 높지 않았다.
단계(S170)에서는, 격자형 간격유지체(140)를 틀지지부(121) 위에 놓는다. 이때, 간격유지체(140)는 테두리와 모서리가 비어 있기 때문에, 암설치부(122)의 안쪽 테두리, 특히 안쪽 모서리 구석에 제대로 치워지지 않은 일부 흙이나 모래 등을 피해 간격유지체(140)가 놓일 수 있다.
단계(S180)에서는, 설치틀(120)에 광원함(110)을 설치한다. 틀지지부(121)에 격자형 간격유지체(140)가 적용되기 때문에 틀지지부(121) 위에 흙이나 모래 등이 조금 남아 있더라도 광원함(110)을 설치하는데 지장이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 의 까다로움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100 : 바닥형 보행신호등 110 : 광원함
111 : 수설치부 112 : 결합돌기들
120 : 설치틀 121 : 틀지지부
122 : 암설치부 123 : 격자형 공간
124 : 격자형 틀 125 : 홈들
126 : 결합홈들 127 : 매립기준선
130 : 앵커들 131 : 머리부
132 : 다리부 140 : 격자형 간격유지체

Claims (16)

  1.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고, 하단에는 수설치부가 마련되는 광원함; 및
    바닥면 위에 지지되는 것으로,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어지는 틀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틀지지부 상단에는 암설치부가 마련되며, 바깥 테두리면을 따라 매립기준선이 형성되는 설치틀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함과 상기 설치틀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방향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격자형 간격유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기준선은 상기 틀지지부의 상단과 같은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틀을 상기 바닥면에 단단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앵커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앵커들은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틀지지부에 마련되는 격자형 틀의 홈에 끼워지는 머리부와 상기 바닥면 속에 박히는 끝이 뾰족한 다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 부분들이 상기 틀지지부에 있는 각각의 격자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테두리와 모서리가 비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8. LED와 같은 광원과 제어회로판 등의 여러 필요 부속품들이 밀폐되게 내장되고, 하단에는 수설치부가 마련되는 광원함;
    바닥면 위에 지지되는 것으로, 흙이나 모래 등으로 지지되어지는 틀지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틀지지부 상단에는 암설치부가 마련되는 설치틀;
    상기 설치틀을 상기 바닥면에 단단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앵커들; 및
    상기 광원함과 상기 설치틀 사이에 위치하여 높이 방향으로 공간을 유지하는 격자형 간격유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앵커들은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틀지지부에 마련되는 격자형 틀의 홈에 끼워지는 머리부와 상기 바닥면 속에 박히는 끝이 뾰족한 다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 부분들이 상기 틀지지부에 있는 각각의 격자형 공간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간격유지체는 테두리와 모서리가 비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형 보행신호등.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20030695A 2022-03-11 2022-03-11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KR10241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95A KR102410791B1 (ko) 2022-03-11 2022-03-11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695A KR102410791B1 (ko) 2022-03-11 2022-03-11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791B1 true KR102410791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695A KR102410791B1 (ko) 2022-03-11 2022-03-11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7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33A (ko) * 2014-07-17 2016-01-28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KR20170033176A (ko) * 2015-09-16 2017-03-24 김제용 지지부를 구비한 블럭 옹벽용 개비온
KR102033524B1 (ko) * 2019-06-05 2019-10-17 주식회사 더오성 바닥 신호등용 몰드와 이를 이용한 몰드 결합체 및 바닥 신호등 시공방법
KR102063297B1 (ko) * 2019-05-30 2020-01-07 대화전설(주)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733A (ko) * 2014-07-17 2016-01-28 송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신호등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벽돌고정 파레트
KR20170033176A (ko) * 2015-09-16 2017-03-24 김제용 지지부를 구비한 블럭 옹벽용 개비온
KR102063297B1 (ko) * 2019-05-30 2020-01-07 대화전설(주) 배전용 전신주의 매립장치
KR102033524B1 (ko) * 2019-06-05 2019-10-17 주식회사 더오성 바닥 신호등용 몰드와 이를 이용한 몰드 결합체 및 바닥 신호등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078B1 (en) Tactile detectable warning ramps for pedestrian pathways
KR102410791B1 (ko) 바닥형 보행신호등 및 그 설치방법
CN112211056B (zh) 一种市政道路铺设结构及其铺设方法
KR100712404B1 (ko)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KR102356736B1 (ko) 바닥 신호등 시공방법
KR100712403B1 (ko)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및 시공방법
KR200437489Y1 (ko) 보차도 경계블록용 설치구
JP2008095403A (ja) コンクリート床構造
CN215164277U (zh) 一种具有分离式底座的发光地砖
JP6982356B1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の成型方法
KR102550676B1 (ko) 지중매립등 시공방법
CN204875428U (zh) 一种市政道路用具有防滑板面的预制板
KR200380691Y1 (ko) 보도블록
JPH0649807A (ja) 発光素子付樹木保護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20685680U (zh) 一种装配式混凝土人行道结构
CN212223501U (zh) 一种市政道路修筑用路缘石
KR101868816B1 (ko) 안전 유도형 태양광 경계석
CN215253318U (zh) 一种市政雨污水管道用检查井
CN213173200U (zh) 一种防积水地砖
KR100712405B1 (ko) 보도블록 시공 보조장치
CN216237960U (zh) 一种荧光路沿石
CN211446453U (zh) 一种防滑建筑瓷砖
JPH1072809A (ja) 不整地用基座
KR200435456Y1 (ko) 시각장애인용 매립형 점자블록 설치부재
KR100978910B1 (ko) 지주용 보호커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