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660B1 -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 Google Patents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660B1
KR102410660B1 KR1020200181594A KR20200181594A KR102410660B1 KR 102410660 B1 KR102410660 B1 KR 102410660B1 KR 1020200181594 A KR1020200181594 A KR 1020200181594A KR 20200181594 A KR20200181594 A KR 20200181594A KR 102410660 B1 KR102410660 B1 KR 10241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nozzle
water
condenser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석
Original Assignee
박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석 filed Critical 박양석
Priority to KR102020018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모듈이 구비되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냉각 사이클 모듈과, 응축기가 내장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창이 형성되는 실외기 케이스와, 흡입창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 팬과, 상기 흡입창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창 정면에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분사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기구로 구성되는 분사 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응축기가 내장되는 실외기의 위치를 그늘로 만드는 것 보다 훨씬 더 실외기 주위 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에어컨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는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Air conditioner with efficiency improvement module}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 배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모듈이 구비되는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기후 위기가 가속되면서 여름 기온은 해가 바뀔수록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불과 이십년 전만 해도 수은주가 섭씨 32도를 넘겨도 중부지방은 그 해의 최고 더운 날씨로 기록되었지만 최근에는 중부지방도 때로는 섭씨 40도에 근접하는 날씨가 기록되고 있다.
기후 위기로 인한 여름 기온의 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에어컨의 보급률 또한 상당히 증가하여 에어컨은 거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한 여름의 전력 사용량은 해가 갈수록 점차 증가되어 2012년 여름에는 최대 전력 공급량을 초과하는 전력 수요가 발생되어 비상 정전사태가 벌어지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여름 피크 타임에서 에어컨의 전력 수요량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에어컨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에어컨의 효율이 증가되기 위해서는 증발기의 증발 온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응축기가 응축되는 환경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있다. 증발기 내부의 압력은 고정되므로 증발기의 증발 온도를 낮추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에어컨의 효율 증가를 위해서는 보통 응축기 주위의 온도를 낮추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진다.
특히 증발기가 내장되는 실외기는 통상적으로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실외에 설치되는데, 한여름의 실외 온도가 높아 응축기가 외부로 방출시키는 열량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때 응축기 주위의 온도를 조금이라도 낮출 수 있도록 실외기가 설치된 위치를 그늘로 만들어 주는 방법이 종종 사용된다.
하지만 그늘의 위치는 계속 바뀌고, 실외기의 위치를 그늘로 만들어주더라도 주위의 더운 바람이 실외기를 향해 불어오므로 실외기의 위치를 그늘로 만들어줌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키는 정도에는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40341호(공고일자: 2020. 07. 31)
이에 본 발명은 응축기가 내장되는 실외기의 위치를 그늘로 만드는 것 보다 훨씬 더 실외기 주위 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에어컨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는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가 차례로 냉매관으로 연결되는 냉각 사이클 모듈과, 상기 응축기가 내장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창이 형성되는 실외기 케이스와, 상기 흡입창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 팬과, 상기 흡입창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창 정면에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분사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기구로 구성되는 분사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물을 공급하는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응축수조와, 응축수조에 수집된 응축수를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수 이송 펌프와, 응축수조와 응축수 이송 펌프와 상기 분사 노즐을 차례로 연결시키는 응축수 이송관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응축수 이송관의 말단에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길이의 튜브로서 양 단이 모두 상기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양 단 사이에 채워지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양 단 사이의 전 구간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압력 균일 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압력 균일 튜브의 소정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압력 균일 튜브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은 길이 방향에 바람직하게는 벨로즈 또는 구름 볼이 설치되어 벨로즈의 형태 변형 또는 구름 볼의 각도 변화로 노즐의 단부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노즐의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단부로부터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판 형태의 분사 가이드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분사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사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노즐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은 응축기가 내장되는 실외기의 위치를 그늘로 만드는 것 보다 훨씬 더 실외기 주위 온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에어컨의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에서 실외기의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효율 증가 원리를 나타내는 ts 선도,
도 4는 도 2에서 분사 노즐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분사 가이드의 사시도,
도 6은 코안다 효과의 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도 5의 분사 가이드에 도 6의 원리가 적용되는 개념도,
도 8의 (a)와 (b)는 분사 가이드의 유무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비교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사이클 모듈(20)과, 실외기 케이스(10)와, 송풍 팬(30)과, 분사 모듈(40)로 구성된다.
냉각 사이클 모듈(20)은 통상적인 냉각용 또는 냉동용 사이클을 말하며, 냉매가 압축기(22)를 통과하여 응축기(21)에서 액화되면서 열을 방출하고, 팽창밸브(24)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감된 상태로 증발기(23)를 통과하면서 기화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 또는 냉동 작용을 하는 사이클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증발기(23)는 실내기(미도시)에 내장되고 압축기(22)와 응축기(21)와 팽창밸브(24)는 실외기에 내장되나, 기기 구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의 증발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어(25)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케이스(10)는 응축기(21)가 내장되는 케이스이다. 실외기 케이스(10)에는 또한 압축기(22)와 팽창밸브(24)가 내장될 수도 있으나, 팽창밸브(24)는 필요에 따라 실내기(미도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실외기 케이스(10)에는 도 1의 사진에 나타난 것처럼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12)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창(11)이 형성되어, 흡입창(12)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응축기(21)로부터 배출되는 열을 전달 받아 배출창(11)으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이 형성된다.
송풍 팬(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 공기를 응축기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송풍 팬(30)은 도 1의 사진에 표현된 실외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며, 흡입창(12)을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야 하므로 흡입창(12)의 크기와 위치는 송풍 팬(30)이 회전되면서 송풍팬(30)의 블레이드가 그리는 궤적으로 형성되는 원에 대응된다.
분사 모듈(40)은 흡입창(12)에 설치되는 분사 노즐(41)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분사 모듈(40)은 흡입창(12) 정면에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41)과, 분사 노즐(41)에 물을 공급하는 기구로 구성된다. 분사 모듈(40)은 흡입창(12)과 바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흡입창(12)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분사 모듈(40)은 물을 흡입창(12)에 분사함으로써 한여름의 더운 공기가 응축기(21)로 유입됨으로 인해 응축기(21)로부터 많은 열을 전달받지 못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흡입창(12)으로 유입되는 더운 공기를 최대한 식혀서 유입되는 공기가 응축기(21)로부터 최대한 많은 열량을 전달받을 수 있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분사 모듈(40)이 흡입창(12)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응축기(21) 주위의 온도를 급감시켜 얻어지는 효율에 대한 원리가 도 3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분사 모듈(40)이 없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냉각 사이클 모듈(20)의 냉매가 순환하면서 변하는 상태의 변화 경로는 1지점과 2지점과 3지점과 4지점을 차례로 경유하는 경로이다.
이때 응축기(21)를 통과하는 냉매의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경로가 2에서 3으로 변하는 위치인데, 이 과정에서 냉매는 액화되면서 품고 있던 잠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그런데 분사 모듈(40)이 설치되어 물이 응축기(21)를 향하여 분사되면 응축기(21) 주변의 온도가 급감하므로 응축기(21)로부터 주변으로 전달 될 수 있는 열량의 크기가 대폭 증가된다. 즉 응축기(21)는 열역학 2법칙에 의해 보다 더 큰 열량을 주위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분사 모듈(40)로 인하여 응축기(21) 주위 온도가 내려가면 도 3의 그래프에서 냉매는 2지점에서 3지점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2 지점에서 3-1지점으로 변하게 된다. 2 지점에서 3-1지점으로 변화하면 냉매는 2 지점에서 3지점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비해 온도가 더 낮아지면서 많은 열량이 외부로 방출된다.
냉매는 일단 3지점이 아니라 3-1지점으로 변하게 되면, 이후에 팽창밸브(24)를 거치면서 온도가 내려가는 과정에서 4지점이 아니라 4-1지점의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분사 모듈(40)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기(미도시)에서 증발기(23)가 흡수하는 열량은 기액 혼합상태의 냉매인 4 지점의 냉매가 1지점까지 기화되는 과정에서 흡수하는 열량에 해당된다.
분사 모듈(4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냉매는 팽창 밸브(24)를 통과하면서 4지점이 아니라 4-1지점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냉매가 실내기(미도시)에서 증발하는 과정은 4-1지점에서 1지점까지 변화하게 되므로 냉매가 흡수하는 실내의 열량은 훨씬 커져, 냉각 효율 또한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분사 모듈(40)은 상수도관(43)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도 하지만, 실내기(미도시)에 설치된 증발기(23)에서 응결되는 응축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즉 분사 모듈(40)에는 증발기(23)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응축수조(4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분사 모듈(40)은 응축수조(45)에 수집된 응축수를 분사 노즐(41)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응축수 이송 펌프(47)와, 응축수조(45)와 응축수 이송 펌프(47)와 분사 노즐(41)을 차례로 연결시키는 응축수 이송관(4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냥 버려질 수도 있는 응축수가 분사 모듈(40)에 이용됨으로 인해 상수도관(43)을 통한 상수도의 소비량은 대폭 절약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 이송관(42)에는 필요에 따라 분사 노즐(41)에 공급되는 물이 응축수와 상수도 중에서 선택될 수 있게 응축수 이송관(42)과 상수도관(43)이 만나는 지점에 삼방 밸브(48)가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분사 노즐(41)이 응축수 이송관(42)에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한가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할 때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에 가까운 분사 노즐(41)의 수압이 가장 높고,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에서 분사 노즐(41)이 멀어질수록 분사 노즐(41)의 수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분사 노즐(41)의 설치 위치가 공급 측에서 멀수록 수압이 낮아지는 문제는 분사 노즐(41)이 병렬로 설치되더라도 동일하게 발생되며, 오로지 모든 분사 노즐이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에 대해 동일한 거리로 설치될 경우에만 동일한 수압으로 균일하게 분사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처럼 모든 분사 노즐(41)이 물이 공급되는 측, 즉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과 동일한 거리로 설치되려면 각 분사 노즐(41)마다 별도의 공급관이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에 연결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폐곡선 또는 다각형 형태처럼 일정한 길이의 튜브로서 양 단이 모두 상기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양 단 사이에 채워지는 응축수가 양 단 사이의 전 구간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압력 균일 튜브(44)가 도입된다.
압력 균일 튜브(4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압력 균일 튜브(44)는 이처럼 양 끝단이 모두 응축수 이송관(42)의 말단에 연결됨으로써 압력 균일 튜브(44) 내부는 전 구간에 걸쳐 균일한 압력으로 형성되고, 분사 노즐(41)은 모두 압력 균일 튜브(44)에 설치되므로 모든 분사 노즐(41)에서 분사되는 수압은 균일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분사 노즐(41)은 압력 균일 튜브(44)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방사상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41)은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수단이 마련된다. 이때 분사 노즐(41)의 분사 각도가 조절 가능한 수단은 노즐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라면 어떤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분사 노즐의 각도를 가능하게 해 주는 구조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름 베어링과 유사한 각도조절 볼(412) 형태로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으며 또는 분사 노즐(41)의 일정 부위가 벨로즈 형태(미도시)로 형성되어 각도 가변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분사 노즐(41)은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되면 분사 노즐(41)의 분사 압력에 따라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최대한 분사되는 물의 증발로 온도가 감소되는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또는 자세하게 도시되진 않았지만 분사 노즐(41)은 압력 균일 튜브(44)를 감싸는 브라켓에 설치되고, 압력 균일 튜브(44)를 감싸는 브라켓의 회전에 따라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미도시)
한편, 분사 노즐(41)의 끝단인 노즐 단부(414)에는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판 형태로 형성되는 분사 가이드(415)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분사 가이드(415)는 분사되는 물의 흐름을 분사 가이드(415)의 길이만큼 또는 분사 가이드(415)의 길이보다 더 멀리까지 직진될 수 있는 층류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분사 노즐(41)에서 분사되는 물이 분사 가이드(415)가 없는 경우 보다 더 큰 공간에 고르게 퍼지면서 증발될 수 있게 해 주는 부재이다.
분사 가이드(415)로 인해 물이 멀리까지 직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원리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빠르게 분사되는 유체는 그 속도로 인해 압력이 낮게 형성되어, 주위 대기로부터 압력을 받아 일정한 길이만큼은 직진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공기와의 마찰과 주위 압력의 불균일성 등으로 인해 직진하는 유체는 금방 와류로 형성된다.
그런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벽면을 따라 분사되는 경우에는 공기의 압력은 벽면 반대 측인 도 6 (b)에서 상부로부터 하부로만 작용되므로, 분사되는 유체는 벽면에 밀착되어 직진하게 된다.
특히 이때 벽면이 곡면인 경우에는 날개에 양력이 형성되는 원리와 유사하게 분사 흐름의 압력은 더욱 낮아지고 주위 압력으로 인한 밀착 효과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곡면을 따라 분사되는 유체는 곡면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곡면이 끝나는 지점까지 와류의 형성이 억제된다.
와류가 한번 형성되면 주위와의 열교환이 활발하게 일어나므로, 분사 노즐(41)에서 분사되는 유체는 최대한 응축기(21)에 가까운 지점에서 와류로 형성되어 기화될수록 응축기(21)의 열을 많이 뺏어올수가 있다. 그런데 송풍 팬(30)이 응축기(21)의 정면에서 맹렬하게 주변 공기를 흡입하므로, 분사되는 물은 흡입 공기로 인하여 형성되는 강렬한 바람으로 인해 곧바로 와류로 형성되면서 응축기(21)에서 상대적으로 먼 지점에서 기화되어 정작 응축기(21) 표면의 온도는 낮추기 힘들 수 있다.
이때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분사 노즐(41)에 분사 가이드(415)가 설치되면 분사되는 물은 분사 가이드(415) 표면을 따라 층류로 형성되며 분사 가이드(415)를 벗어나서도 일정한 지점까지는 층류로 형성되므로 최대한 멀리 분사된 후에야 와류로 형성된다.
또한 와류로 형성되는 지점이 분사 노즐(41)에서 최대한 먼 지점이어야 하는 또다른 이유는 와류로 형성되는 지점이 응축기(21)에 가까워야만 한다는 이유로 분사 노즐(41)이 응축기(21) 방향을 향하게 되면 응축기(21) 표면에서 국소 부위만 냉각되어 분사 노즐(41)로 인한 분사되는 물의 증발로 발휘되는 냉각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도 분사 가이드(415)가 설치됨으로써 분사된 물이 최대한 분사 노즐(41)에서 먼 지점에서 와류로 형성된다면 분사된 물은 보다 넓은 범위로 확산되면서 응축기(21) 표면을 식힐 수 있다.
이때 분사 가이드(415)는 분사 가이드(415)를 따라 직진되는 물이 분사 가이드(415)를 벗어나서도 빠른 속도로 최대한 먼 거리까지 직진성이 유지되도록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사 가이드(415)로 인해 분사되는 물(CW)이 주변 공기 압력(OA)을 받아 보다 멀리 뻗어가면서도 더 큰 범위로 확장될 수 있도록 분사 가이드(41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단부(414)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분사 가이드(415)가 마련되면 분사 노즐(41)로부터 분사되는 물(CW)은 보다 멀리 그리고 더 넓게 확장될 수 있어 응축기(21)의 표면의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냉각 작용이 일어나 응축기(21)로부터 더 많은 열량이 배출되는 만큼 실내에서는 더 많은 열량을 추출시켜 냉방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가이드(415)의 작용이 분사 가이드(415)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관찰 할 수 있는 작용 개념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8의 (a)에서는 분사 노즐(41)로부터 분사된 물은 최대한 응축기(21)에 가까운 거리에서 기화되려면 멀리까지 확산되지 못하고 분사노즐(41) 근처에서 기화된다.
반면에 도 9의 (b)에서는 분사 노즐(41)로부터 분사된 물이 분사 노즐(41)로부터 먼 거리까지 직진되면서 확장되어 훨씬 넓은 범위에 걸쳐 응축기(21)의 표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 가이드(15)가 설치되면 응축수나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과도하게 크지 않더라도 일정한 거리까지는 분사되는 물의 직진성이 유지될 수 있어, 도 2에 도시된 응축수 이송 펌프(47)의 용량이 너무 크지 않더라도 냉각 효과가 원활하게 수행되어 소비 전력과 제작 비용이 모두 절감되는 효과 또한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W : 분사되는 물 OA : 주변 공기 압력
10 : 실외기 케이스 11 : 배출창
12 : 흡입창 20 : 냉각 사이클 모듈
21 : 응축기 22 : 압축기
23 : 증발기 24 : 팽창 밸브
25 : 드라이어 26 : 냉매관
30 : 송풍 팬 40 : 분사 모듈
41 : 분사 노즐 42 : 응축수 이송관
43 : 상수도관 44 : 압력 균일 튜브
45 : 응축수조 46 : 응축수 탱크
47 : 응축수 이송 펌프 48 : 삼방 밸브
411 : 고정부 412 : 각도조절 볼
413 : 분사량 조절 게이지 414 : 노즐 단부
415 : 분사 가이드

Claims (7)

  1.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가 차례로 냉매관으로 연결되는 냉각 사이클 모듈과;
    상기 응축기가 내장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창과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 창이 형성되는 실외기 케이스와;
    상기 흡입창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 팬과;
    상기 흡입창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창 정면에서 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분사 노즐에 물을 공급하는 기구로 구성되는 분사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물을 공급하는 기구는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응축수조와, 응축수조에 수집된 응축수를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수 이송 펌프와, 응축수조와 응축수 이송 펌프와 상기 분사 노즐을 차례로 연결시키는 응축수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이송관의 말단에는 일정한 길이의 튜브로서 양 단이 모두 상기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양 단 사이에 채워지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양 단 사이의 전 구간에 걸쳐 일정한 압력을 가지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는 압력 균일 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압력 균일 튜브의 소정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되, 상기 분사 노즐은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압력 균일 튜브상에 방사상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 균일 튜브로 둘러싸이는 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분사 노즐은 길이 방향에 벨로즈 또는 구름 볼이 설치되어 벨로즈의 형태 변형 또는 구름 볼의 각도 변화로 노즐의 단부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노즐의 단부에는 노즐의 단부로부터 물이 분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판 형태의 분사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 가이드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는며,
    상기 분사 가이드는 분사 노즐의 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81594A 2020-12-23 2020-12-23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KR10241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94A KR102410660B1 (ko) 2020-12-23 2020-12-23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94A KR102410660B1 (ko) 2020-12-23 2020-12-23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660B1 true KR102410660B1 (ko) 2022-06-22

Family

ID=8221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94A KR102410660B1 (ko) 2020-12-23 2020-12-23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6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354U (ko) * 1999-05-26 2000-12-26 전주범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효율 증대장치
US20120137650A1 (en) * 2010-12-02 2012-06-07 Rolls-Royce Plc Fluid impingement arrangement
KR20120106276A (ko) * 2011-03-18 2012-09-26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환풍기용 분무장치
KR102140341B1 (ko) 2020-03-10 2020-07-31 김영구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354U (ko) * 1999-05-26 2000-12-26 전주범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효율 증대장치
US20120137650A1 (en) * 2010-12-02 2012-06-07 Rolls-Royce Plc Fluid impingement arrangement
KR20120106276A (ko) * 2011-03-18 2012-09-26 다연산업 주식회사 축사 환풍기용 분무장치
KR102140341B1 (ko) 2020-03-10 2020-07-31 김영구 에어컨 실외기용 차양 덮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91861B2 (ja) スポットエアコン
US20220316779A1 (en) Carbon dioxide refrigerating system and refrigerating method thereof
AU2020276755B2 (en) Flash closed heat exchanger
CN102494372A (zh) 一种双冷源全新风除湿机及其控制方法
CN104613574B (zh) 基于能量梯级利用的温湿度独立控制空调系统
KR102410660B1 (ko) 효율 향상 모듈이 구비된 에어컨
CN207991017U (zh) 雾化喷淋装置和制冷机组
US7942391B2 (en) Evaporative cooling tower and method
KR101913720B1 (ko) 하이브리드 공기조화 시스템
CN103277848B (zh) 一种无需排水的节能型家用空调器
KR101664999B1 (ko) 냉각탑 상부 일체형 냉동시스템
CN211316654U (zh) 一种蒸发式冷凝器及其空气调节系统
JP4899036B2 (ja) 空冷式冷房装置の排熱抑制装置とそれを用いた空冷式冷房システム
CN203258772U (zh) 一种无需排水的节能型家用空调器
CN110762908A (zh) 一种蒸发式冷凝器及其空气调节系统
US20210247082A1 (en) Energy-saving air conditioner
CN202133306U (zh) 一种真空蒸发降温装置
WO2012063277A1 (ja) 空調室外機冷却装置および熱交換システム
CN210050935U (zh) 闪蒸式空调
CN114484613A (zh) 一种热泵空调及其控制方法
KR102160016B1 (ko) 공기 순환기와 에어컨 실외기의 연동 시스템
CN105757856A (zh) 一种具有电动调节阀的家用蒸发冷却式空调
CN206459388U (zh) 空调蒸发器蒸发冷凝装置
CN109764447A (zh) 一种基于室内水景的空气调温调湿系统
CN106524596A (zh) 空调蒸发器蒸发冷凝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