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461B1 -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 Google Patents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461B1
KR102410461B1 KR1020220028911A KR20220028911A KR102410461B1 KR 102410461 B1 KR102410461 B1 KR 102410461B1 KR 1020220028911 A KR1020220028911 A KR 1020220028911A KR 20220028911 A KR20220028911 A KR 20220028911A KR 102410461 B1 KR102410461 B1 KR 102410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dware
disposed
girder
uni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영표
한형관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피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주식회사 장헌산업, (주)피티씨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102022002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4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는 거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배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거더와 상기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철물 및 상기 받침부재 상에 배치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철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거더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결합되는 제2단위 연결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girder, a support memb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girder, a connection hardware connect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 member, and a cantilever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the connection hardware comprising: ,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is embedded in the girder,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irder, and at least a part is embedded in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first It may include a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coupled to the unit connection hardware.

Description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짐 방지를 위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secure sufficient rigidity to prevent sagging, has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to resist bending moment, and is easy to install,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of workers. It is an invention about a technology that can prevent it.

거더교는 교대나 교각을 세우고 그 위에 거더를 거치한 다음, 거더의 상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사람 또는 차량 등을 지지하는 바닥판을 형성하게 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거더에는 거푸집 및 동바리가 설치 또는 해체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거푸집 및 동바리의 설치 및 해체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거푸집 및 동바리의 해체 작업은 고공인 교량의 바닥판 하부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현저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거푸집과 동바리를 생략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하프덱과, 하프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 및 연결구조가 필요하다. 특히, 교량 내 캔틸레버는 한끝이 고정되고 다른 끝이 자유로운 형태이나, 한끝 단부만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많은 휨모멘트를 받기 때문에 변형되기 쉬우므로 강도 설계에 주의를 요하게 된다. 또한 시공의 특성상 난이도가 높아서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가 있다. In a girder bridge, an abutment or a pier is built, a girder is mounted on it, and concrete is pou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to form a floor plate that supports people or vehicles.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the formwork and the girder are installed or dismantled on the girder, and in this process,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a fall accident of the worker. In addition, a lot of time and money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formwork and the copper ba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conomic feasibility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dismantling of the formwork and poles is carried out under the bottom plate of the high-altitude bridg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becomes significa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half-deck made of precast that can omit the formwork and moving parts, and a pedestal and connection structure that can stably support the half-deck are needed. In particular, the cantilever in the bridge has one end fixed and the other end free, but it is easy to deform because only one end is fixed and receives a lot of bending moment, so attention is required in strength design. In addition, due to the nature of construction, the difficulty is high, and there is an important problem that must be prepared for safety accident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212482호 - 교량용 브라켓을 이용한 반단면데크 및 그 시공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12482 - Half-section deck using a bridge brack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처짐 방지를 위해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 invention design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can secure sufficient rigidity to prevent sagging, has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to resist bending moment, and is easy to install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for workers.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는 거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배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거더와 상기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철물 및 상기 받침부재 상에 배치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철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거더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결합되는 제2단위 연결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girder, a support member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girder, a connection hardware connect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 member, and a cantilever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the connection hardware comprising: ,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is embedded in the girder,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irder, and at least a part is embedded in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first It may include a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coupled to the unit connection hardware.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은 단일의 H형강을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unit connecting iron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iron may be formed by cutting a single H-shaped steel.

상기 연결철물은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 사이에 배치되는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길이 방향에 수직일 수 있다.The connection hardware may include a cut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the cut surface may be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상면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상면에는 상부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복부에는 제1하부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복부에는 제2하부 결합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2하부 결합부는 볼트를 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An upper coupling part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a first lower coupling part is disposed on the abdomen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in the abdomen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A second lower coupling part is disposed, and the first low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part may be screwed through a bolt.

상기 절단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사이에는 에폭시(Epoxy)가 배치될 수 있다.An epox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ng iron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iron corresponding to the cut surface.

상기 상부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2상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상면에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2상부 결합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oupling part includes a first upp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upper coupling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upper coupling pa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Guides may be included.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및 상기 거더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펜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bottom portion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girder and a fence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cantilever includes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lower surfac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It may include a sid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ence portion.

상기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는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may includ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partially embedded in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oth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상기 연결철물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여 콘크리트가 매립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hardware may includ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crete is embedded by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는 연결철물을 통한 거더와 받침부재의 조립으로, 캔틸레버를 거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antilever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on the girder by assembl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ing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hardware.

또한, 별도의 해체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dismantling process is unnecessary,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n operator.

또한, 시공 과정에서 처짐 발생을 차단할 수 있고, 거더에 안정적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occurrence of defle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transmit the load stably to the girder, there is an advantage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더와 받침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와 연결철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와 연결철물의 결합 구조를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을 통한 거더와 받침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배치 영역에서 받침부재와 캔틸레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 배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받침부재와 캔틸레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더와 받침부재의 결합 구조를 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더 상에 제1단위 연결철물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와 연결철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따른 받침부재와 연결철물의 결합구조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따른 연결철물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girder and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4 .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ide surface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irder and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and a cantilever in an arrangement area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and a cantilever in an area other than a connecting hardware arrangemen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process of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and 14 are views illustrat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views illustrating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irder and the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is coupled to a gir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and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FIG. 21 from another angl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FIG. 23 from another ang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or substituted with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as A,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i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and another elem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upper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upper (above) or lower (below) is not only when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Also includes cases in which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a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의 개념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체의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더와 받침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와 연결철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5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을 통한 거더와 받침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배치 영역에서 받침부재와 캔틸레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 배치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받침부재와 캔틸레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mbination of a girder and a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 4 from another angle, Figure 6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irder and a support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upport member and a cantilever in an arrangement area of a connection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onnection hardware arran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cantilever in an area other than the area.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10)는, 받침부재(200), 캔틸레버 하프덱(300) 및 을포함할 수 있다. 1 to 10 , the cantilever structure 10 for a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00 , a cantilever half deck 300 and .

거더(100)는 교대나 교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거더(1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거더(100)는 콘크리트 재질의 I 형 거더일 수 있다. 거더(100)는 상부플랜지(120), 하부플랜지(130) 및 복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irder 100 may be disposed on an abutment or a pier. A plurality of girders 1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irder 100 may be an I-type girder made of concrete. The girder 100 may include an upper flange 120 , a lower flange 130 , and an abdomen 110 .

받침부재(200)는 상부플랜지(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거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동일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프리캐스트(precast) 되어,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철물(400)을 통해 거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캔틸레버 하프덱(300)을 지지하고, 바닥판과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로서 거동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0, and may be equ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precast and may be coupled to the girder 100 through the connecting hardware 400 as shown in FIG. 11 . The support member 200 supports the cantilever half-deck 300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to act as a single structure.

받침부재(200)는 바닥부(210)와, 펜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상부플랜지(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상부플랜지(120)과 동일 높이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펜스부(220)는 바닥부(210)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바닥부(21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펜스부(220)는 바닥부(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210 and a fence portion 220 . The bottom part 21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 The bottom portion 21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120 in a right angle direction. The fence part 220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an end of the bottom part 210 , an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art 210 . The fence part 22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art 210 .

바닥부(210)의 하면과 펜스부(220)의 외면을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는 모따기면(212)이 형성될 수 있다. 펜스부(220)의 외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펜스부(220)의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경사면(222)일 수 있다. A chamfered surface 212 may be formed in a corner region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nce part 220 . The outer surface of the fence unit 220 may be an inclined surface 222 having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fence unit 220 becomes thinner as it goes upward.

펜스부(220)는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시 누수를 방지하는 거푸집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켄틸레버 하프덱(300)이 바깥측으로 이탈을 방지하여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판이 최외측 경계선을 형성하여 켄틸레버 하프덱(300)의 시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펜스부(220) 상단에는 안전 난간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ence unit 220 serves as a formwork to prevent water leakage when the concrete floor plate is poured. In addition, the cantilever half-deck 300 is prevented from departing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construction stabilit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accuracy of the cantilever half deck 300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outermost boundary of the bottom plate. There is an advantage of forming a safety handrail at the top of the fence unit 220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operator.

받침부재(200)는 연결철근(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철근(240)은 일부가 받침부재(20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받침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 As shown in FIG. 4 , a part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may be dispos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nd the other par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연결철근(240)을 통하여 받침부재(200)와 캔틸레버 하프덱(300) 및 바닥판(190)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연결철근(240)은 복수로 구비되어 받침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철근(240)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일 수 있다. 연결철근(240)이 배치되는 받침부재(200)의 영역을 제1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철물(400)이 배치되는 받침부재(200)의 영역을 제2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cantilever half deck 300 and the bottom plate 190 can be firmly maintained throug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 A plurality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24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a rectangle. An area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is disposed may be defined as a first area. In addition, the reg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which the connecting hardware 400 is disposed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region.

받침부재(200)는 제1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215)은 거더(100)의 상부플랜지(120)과 마주하는 받침부재(200)의 단부면에서 위에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홈(215)은 복수로 구비되어 중심에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홈(215)은 상부플랜지(120)과 받침부재(200)를 연결할 때 제1볼트(435)를 체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first groove 215 . The first groove 215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on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facing the upper flange 120 of the girder 100 .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215 may be provided to b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center. The first groove 215 provides a space for fastening the first bolt 435 when the upper flange 120 and the support member 200 are connected.

연결철물(400)은 거더(100)와 받침부재(2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철물(400)은 거더(100)와 받침부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철물(400)은 H형강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hardware 400 may connect 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hardware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 The connecting hardware 400 may be an H-shaped steel.

연결철물(400)은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은 상호 분리와 결합이 볼트 체결을 통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위 연결철물(410)은 거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단위 연결철물(410)은 거더의 상부플랜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단위 연결철물(420)은 받침부재(200)에 포함될 수 있다. 단일 규격의 H형강을 절단하여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hardware 400 may include a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a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can be freely separated and combined through bolting.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may be coupled to the girder 100 .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may be included in the upper flange 120 of the girder.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may be includ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a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may be formed by cutting the H-beam steel of a single standard, respectively.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1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더(100)와 받침부재(200)는, 작업자에 의한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조립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11 , 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ing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ssembling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by an operator.

제1단위 연결철물(410)은 일부가 거더(100) 내 매립되고, 나머지가 거더(10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단위 연결철물(420)은 일부가 받침부재(200) 내 매립되고, 나머지가 받침부재(200)의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철물(400)이 외부로 돌출함으로써 받침부재(200)의 높이가 증가되므로, 처짐 방지를 위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볼트 체결을 위한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 part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may be embedded in the girder 100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to protrude above the girder 100 . A part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may be embedd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to protrude above the support member 200 .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increased as the connecting hardware 400 protrudes to the outside, sufficient rigidity to prevent sagging can be secured, and the installation for bolting is eas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사이에는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면은, 연결철물(40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절단면(405)과, 제1절단면(405)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절단면(406)과, 제2절단면(406)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절단면(4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절단면(406)은 제1절단면(405)과 제3절단면(407)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와 거더(100)의 결합 시,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각각 절단면에 대응되는 면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A cut su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As shown in FIG. 6 , the cut surface is a first cut surface 40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ardware 400 , and a second cut surface 406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ut surface 405 . and a third cut surface 407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xtended end of the second cut surface 406 . The second cut surface 406 may b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cut surface 405 and the third cut surface 407 , respectively. When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girder 100 are coupled, th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ut surfaces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410)은 제1돌출부(4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419)는 제2절단면(406)에 대응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의 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419)는 제2절단면(406)과 제3절단면(407)을 연결하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의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419)의 외면은 곡면일 수 있다. 제1돌출부(419)의 단면 형상은 반원형일 수 있다.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419 . The first protrusion 419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ut surface 406 . The first protrusion 419 may be disposed in a corner region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connecting the second cut surface 406 and the third cut surface 407 .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419 may be curv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419 may be semicircular.

제1돌출부(419)와 마주하는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외면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42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429)의 단면 형상은 제1돌출부(419)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부(419) 및 제2홈(429)을 통하여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 간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facing the first protrusion 419, a second groove 429 having a shape that is recessed inward than other regions may be forme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groove 429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protrusion 419 .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may be firmly maintained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419 and the second groove 429 .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은 복수의 결합부를 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는 제1결합부(430), 제2결합부(440), 제3결합부(217) 및 제4결합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430 , a second coupling part 440 , a third coupling part 217 , and a fourth coupling part 218 .

제1결합부(430)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430)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 내 복부판의 측면 중 제1단위 연결철물(410) 내 상부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4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단위 연결철물(410) 내 복부판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430)는 제1절단면(405)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430)는 후술할 제1볼트(435)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4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 The first coupling part 43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plate i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430 may be provided to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 The first coupling part 43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cut surface 40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coupling part 430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a first bolt 435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제2결합부(440)는 제2단위 연결철물(410)의 상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제1결합부(430)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복부판(424, 도 5참조)의 측면 중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상부판(422, 도 5 참조)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복부판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제1절단면(405)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결합부(440)는 제1볼트(435)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coupling part 430 .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plate 422 (refer to FIG. 5) in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abdominal plate 424 (refer to FIG. 5) in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can be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cut surface 40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olt 435 passes.

제1결합부(430)와 제2결합부(440)는 각각 상호 수직한 복수의 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440)는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연결 플렌지(4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판부(441)와, 제1판부(441)의 연장된 단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판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볼트(435)가 결합되는 홀은 제1판부(441)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43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late part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respectiv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includes a first plate part 441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flange 424 in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and the first plate part ( It may include a second plate part 422 bent from the extended end of the 441 . At this time, a hole to which the first bolt 435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portion 441 .

제1볼트(435)는 각각 제1결합부(430)의 홀과 제2결합부(440)의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볼트(435)는 제1결합부(430)의 홀과 제2결합부(440)의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볼트(435)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는 제1결합부(430) 또는 제2결합부(440)와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olt 435 may be coupled to the hole of the first coupling part 430 and the hol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 respectively. The first bolt 435 may be screwed into the hole of the first coupling part 430 and the hol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 A nut for strengthening coupling force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430 or the second coupling part 44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end of both ends of the first bolt 435 .

제3결합부(217)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결합부(217)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 내 복부판의 측면 중 제1단위 연결철물(410) 내 하부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결합부(217)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단위 연결철물(410) 내 복부판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3결합부(217)는 제3절단면(407)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결합부(217)는 후술할 제2볼트(219)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217)는 거더(100)의 상부플랜지(12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coupling part 217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 The third coupling part 217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late i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 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units 217 may be provided to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 The third coupling part 217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third cut surface 40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hird coupling part 217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a second bolt 219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The third coupling part 217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of the girder 100 .

제4결합부(218)는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결합부(218)는 제3결합부(217)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결합부(218)는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복부판의 측면 중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하부판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결합부(218)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단위 연결철물(420) 내 복부판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4결합부(218)는 제3절단면(407)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결합부(218)는 후술할 제2볼트(219)가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4결합부(218)는 제1홈(215)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홈(215) 내 매립되는 콘크리트(215a, 도 8참조)를 통하여 제4결합부(218)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be disposed to face the third coupling part 217 .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plate in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among the side surfac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dominal plate in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The fourth coupling portion 218 may be disposed to overlap the third cut surface 40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a second bolt 219 to be described later passes.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215 . Accordingly, the fourth coupling portion 218 may b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concrete 215a (refer to FIG. 8 ) embedded in the first groove 215 .

제2볼트(219)는 각각 제3결합부(217)의 홀과 제4결합부(218)의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볼트(219)는 제3결합부(217)의 홀과 제4결합부(218)의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볼트(219)에는 제3결합부(217)와의 결합력 강화를 위한 너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너트는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슬리브가 될 수 있다. The second bolt 219 may be coupled to the hole of the third coupling part 217 and the hole of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 respectively. The second bolt 219 may be screwed into the hole of the third coupling part 217 and the hole of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 A nut for strengthening coupling force with the third coupling part 217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lt 219 . The nut may be fixed to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by welding. The nut may be a sleeve threaded on the inner surface.

한편,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은 접착제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접착제는 에폭시(Epoxy)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는 제3절단면(407)이 포함된 콘크리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접착제를 통하여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이 결합 시, 제3결합부(217)와 제4결합부(218)는 생략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The adhesive may include epoxy. The adhesive may be disposed on the concrete surface including the third cut surface 407 . In some cases, wh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are coupled through an adhesive, the third coupling part 217 and the fourth coupling part 218 may be omitted.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결합력 강화를 위해, 연결철물(400)의 상면에는 추가 연결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연결재(500)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접합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연결재(50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상면에 용접에 의해 결할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 an additional connecting material 5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ardware 400 in order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 have. The additional connecting member 500 may be disposed on the joint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 The additional connecting material 500 has a plate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by welding. In addition, it may be joined to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and the upper surface by welding.,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2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3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3 and 14 are views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하여, 연결철물(400)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419)는 제2절단면(406)에 대응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의 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13 and 14 , for easy coupling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the connection hardware 400 may include a guide. The guide 419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ut surface 406 .

가이드(419)는 복수의 판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판부 사이에는 제2단위 연결철물 복부판(429)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판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상호 이격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단위 연결철물(420)이 제1단위 연결철물(410)을 향하여 낙하 시, 제2단위 연결철물 복부판(429)이 가이드(419) 내 결합 공간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guide 419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 parts, and a coupling space for coupling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abdominal plate 429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 parts. The plurality of plate portions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 shape in which the mutually spaced distance increases toward the upper side. Therefore, when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falls toward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abdominal plate 429 can be easily seated in the coupling space in the guide 419. have.

연결철물(400)은 관통홀(40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403)은 제1단위 연결철물(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4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03)은 연결철물(40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관통홀(403)은 거더(100) 내 매립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410)의 영역과, 받침부재(200) 내 매립되는 제2단위 연결철물(42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403) 내 콘크리트가 매립되어, 연결철물(400)과 거더(100), 연결철물(400)과 받침부재(200) 간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hardware 400 may include a through hole 403 . The through-hole 403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420 . The through hole 403 may have a shape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hardware 400 . The through hole 403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410 buried in the girder 100 and in the area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20 buri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ccordingly, the concrete in the through hole 403 is buried,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hardware 400 and the girder 100 , and the connecting hardware 400 and the supporting member 200 can be firmly maintained.

도 1, 도 2,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받침부재(200) 상에는 캔틸레버 하프덱(3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하프덱(300)은 서로 다른 받침부재(200) 상에 양단이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받침부재(200)를 기준으로, 받침부재(200) 상에는 복수의 캔틸레버 하프덱(300)이 각각 서로 간격(G)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1, 2, 9 and 10 , the cantilever half deck 30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200 . As shown in FIG. 2 , the cantilever half-deck 300 may be dispos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placed on different supporting members 200 . 9 and 10 , based on a single supporting member 200 , a plurality of cantilever half-decks 30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ing member 200 with an interval G from each other.

캔틸레버 하프덱(300)은 거더(100) 및 받침부재(200) 상에 놓이는 하면부(310)와, 하면부(31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측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부(310)는 거더(100)의 상면 및 바닥부(2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320)는 펜스부(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면부(310)와 측면부(320)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닥판(190)은 거더(100)의 상면, 캔틸레버 하프덱(300)의 상면 및 받침부재(2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캔틸레버 하프덱(300)은 연결철물(4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antilever half-deck 300 may include a lower surface portion 310 placed on 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 and a side portion 320 protruding upward from one end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310 . The lower surface portion 3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210 . The side part 3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ence part 220 . The low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side portion 32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bottom plate 19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100 , the upper surface of the cantilever half-deck 30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 The cantilever half deck 300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hardware 400 .

캔틸레버 하프덱(300)의 하면과 받침부재(200)의 상면 사이에는 고무패드(6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무패드(600)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A rubber pad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cantilever half-deck 3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 The rubber pad 60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90)은 배수 처리를 위해 횡방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서와 같이 바닥판(190)은 외측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거나, 도 15의 (b)에서와 같이 바닥판(190)은 외측으로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부재(200) 및 캔틸레버 하프덱(300) 또한 바닥판(190)의 경사각의 대응하도록 거더(100)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5 , the bottom plate 190 may have a lateral inclination for drainage treatment. For example, as in (a) of FIG. 15, the bottom plate 190 may have an outwardly downward inclination, or as in FIG. 15(b), the bottom plate 190 may have an outwardly upward inclination. . In this case,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cantilever half-deck 300 may als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girder 100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plate 190 .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제4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6 and 17 are views illustrating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캔틸레버 하프덱(300) 내에는 철근(700)과 긴장재(800)가 배치될 수 있다. 16 and 17 , the reinforcing bar 700 and the tension member 800 may be disposed in the cantilever half-deck 300 .

철근(700)은 연결철근(240)이 배치되는 받침부재(200)의 제1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철근(700)은 복수의 캔틸레버 하프덱(300) 각각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이웃한 캔틸레버 하프덱(300) 간 철근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 영역에서 상호 이음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bar 7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of the supporting member 200 on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is disposed. The reinforcing bars 700 protrude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cantilever half-decks 300 , and the reinforcing bars between adjacent cantilever half-decks 300 may be mutually joined in a region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16 .

받침부재(200)의 제2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연결볼트가 배치될 수 있다. A connection bol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다.So far, 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in detail through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에 따르면, 연결철물을 통한 거더와 받침부재의 조립으로, 캔틸레버를 거더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antilever can be quickly and easily installed on the girder by assembl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ing member through the connecting hardware.

또한, 별도의 해체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공정이 단순화되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a separate dismantling process is unnecessary,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of an operator.

또한, 시공 과정에서 처짐 발생을 차단할 수 있고, 거더에 안정적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occurrence of defle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transmit the load stably to the girder, there is an advantage of securing structural stability.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연결철물의 형상 및 연결철물의 결합 구조에 따른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other par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necting hardware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ng hardware. Therefore, in the following, only the characteristic parts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used for the remaining parts.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캔틸레버 구조체의 사시도 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더와 받침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더 상에 제1단위 연결철물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와 연결철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2는 도 21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철물의 사시도 이고, 도 24는 도 2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ntilever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girder and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is coupled on the gird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view showing FIG. 21 from another angle,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hardwa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view showing FIG. 23 from another angle.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는, 받침부재(200), 캔틸레버 하프덱(300) 및 연결철물(1400)을 포함할 수 있다.18 to 24 , 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200 , a cantilever half deck 300 , and a connecting hardware 1400 .

거더(100)는 교대나 교각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거더(10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거더(100)는 콘크리트 재질의 I 형 거더일 수 있다. 거더(100)는 상부플랜지(120), 하부플랜지(미도시) 및 복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irder 100 may be disposed on an abutment or a pier. A plurality of girders 1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irder 100 may be an I-type girder made of concrete. The girder 100 may include an upper flange 120 , a lower flange (not shown) and an abdomen 110 .

받침부재(200)는 상부플랜지(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거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동일하게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프리캐스트(precast) 되어, 도 18에서와 같이 연결철물(1400)을 통해 거더(100)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는 캔틸레버 하프덱(300)을 지지하고, 바닥판과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체로서 거동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 100, and may be equal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 supporting member 200 is precast and may be coupled to the girder 100 through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as shown in FIG. 18 . The support member 200 supports the cantilever half-deck 300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to act as a single structure.

받침부재(200)는 바닥부(210)와, 펜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상부플랜지(1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상부플랜지(120)과 동일 높이에서 직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펜스부(220)는 바닥부(210)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바닥부(21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펜스부(220)는 바닥부(2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210 and a fence portion 220 . The bottom part 21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20 . The bottom portion 21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flange 120 in a right angle direction. The fence part 220 is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an end of the bottom part 210 , and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art 210 . The fence part 22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art 210 .

바닥부(210)의 하면과 펜스부(220)의 외면을 연결하는 코너 영역에는 모따기면이 형성될 수 있다. 펜스부(220)의 외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펜스부(220)의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A chamfered surface may be formed in a corner region conne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ence part 220 . The outer surface of the fence unit 220 may be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fence unit 220 becomes thinner as it goes upward.

펜스부(220)는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 시 누수를 방지하는 거푸집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켄틸레버 하프덱(300)이 바깥측으로 이탈을 방지하여 시공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바닥판이 최외측 경계선을 형성하여 켄틸레버 하프덱(300)의 시공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펜스부(220) 상단에는 안전 난간을 형성하여 작업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fence unit 220 serves as a formwork to prevent water leakage when the concrete floor plate is poured. In addition, the cantilever half-deck 300 is prevented from departing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construction stability.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struction accuracy of the cantilever half deck 300 can be improved by forming the outermost boundary of the bottom plate. There is an advantage of forming a safety handrail at the top of the fence unit 220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operator.

받침부재(200)는 연결철근(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철근(240)은 일부가 받침부재(20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받침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 As shown in FIG. 18 , a part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may be dispos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nd the other part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연결철근(240)을 통하여 받침부재(200)와 캔틸레버 하프덱(300) 및 바닥부(210)의 결합이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연결철근(240)은 복수로 구비되어 받침부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의 상방으로 돌출된 연결철근(240)의 단면 형상은 장방형일 수 있다. 연결철근(240)이 배치되는 받침부재(200)의 영역을 제1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연결철물(1400)이 배치되는 받침부재(200)의 영역을 제2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cantilever half deck 300 and the bottom part 210 can be firmly maintained throug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 A plurality of connecting reinforcing bars 24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protruding upward of the support member 200 may be a rectangle. An area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which the connecting reinforcing bar 240 is disposed may be defined as a first area. In addition, the region of the support member 200 in which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is disposed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region.

받침부재(200)는 제1홈(1215, 도 21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홈(1215)은 거더(100)의 상부플랜지(120)과 마주하는 받침부재(200)의 단부면에서 위에서부터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홈(1215)은 복수로 구비되어 중심에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홈(1215)은 상부플랜지(120)과 받침부재(200)를 연결할 때 볼트(1450, 도 21 참조)를 체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support member 200 may include a first groove 1215 (refer to FIG. 21 ). The first groove 1215 may be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top on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200 facing the upper flange 120 of the girder 100 . A plurality of first grooves 1215 may be provided to b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center. The first groove 1215 provides a space for fastening the bolt 1450 (refer to FIG. 21 ) when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20 and the support member 200 .

연결철물(1400)은 거더(100)와 받침부재(20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철물(1400)은 거더(100)와 받침부재(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철물(1400)은 H형강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may connect 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 member 200 .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may be an H-shaped steel.

연결철물(1400)은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은 상호 분리와 결합이 볼트 체결을 통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은 거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은 상부플랜지(12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은 받침부재(200)에 포함될 수 있다. 단일 규격의 H형강을 절단하여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hardware 1400 may include a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a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can be freely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bolt fastening.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may be coupled to the girder 100 .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may be included in the upper flange 120 .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may be includ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a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may be respectively formed by cutting an H-beam steel of a single standard.

거더(100)와 받침부재(200)는, 작업자에 의한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조립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The girder 100 and the supporting member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assembling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1420 by an operator.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은 일부가 거더(100) 내 매립되고, 나머지가 거더(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은 일부가 받침부재(200) 내 매립되고, 나머지가 받침부재(2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철물(1400)이 외부로 돌출함으로써 받침부재(200)의 깊이가 증가되므로, 쳐짐 방지를 위한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볼트 체결을 위한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 part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may be embedded in the girder 100 ,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girder 100 . A part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1420 may be embedd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nd the rest may be dispos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member 200 . Since the depth of the support member 200 is increased as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protrudes to the outside, sufficient rigidity to prevent sagging can be secured, and the installation for bolting is eas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사이에는 절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은, 연결철물(14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연결철물(1400)을 대략 1/2로 구획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절단면은 연결철물(14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200)와 거더(100)의 결합 시,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각각 절단면에 대응되는 면은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A cut surf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The cut surface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and may be formed in a region dividing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in about half. The cut surface may b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 When the support member 200 and the girder 100 are coupled, the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ut surfaces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1420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r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은 복수의 결합부를 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는 상부 결합부(1470)와 하부 결합부(1430, 1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The plurality of coupling parts may include an upper coupling part 1470 and lower coupling parts 1430 and 1440 .

상부 결합부(1470)는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470)는 일부가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상면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가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470)는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470)는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상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coupling part 14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A part of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1420 by welding.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by welding.

상부 결합부(147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부 결합부(1470)는 제1상부 결합부(1472)와 제2상부 결합부(1474)를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ortions 147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may include a first upper coupling part 1472 and a second upper coupling part 1474 .

한편,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상면에는 가이드(148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1480)는 제1상부 결합부(1472)와 제2상부 결합부(147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1480)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1480)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상부 결합부(1472)와 제2상부 결합부(1474)가 결합된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이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1480)를 통하여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절단면에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결합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Meanwhile, a guide 148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 The guide 14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coupling part 1472 and the second upper coupling part 1474 . The guide 148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central portion protrudes upward. The guide 1480 may be formed in a “∧” shape in cross section. Therefor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to which the first upper coupling part 1472 and the second upper coupling part 1474 are coupled is coupled to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the guide 1480 is Through this,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1420 may be guided to the cut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

한편, 연결철물(1400)은 관통홀(140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403)은 제1단위 연결철물(1410)과 제2단위 연결철물(14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03)은 연결철물(400)의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관통홀(1403)은 거더(100) 내 매립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영역과, 받침부재(200) 내 매립되는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1403) 내 콘크리트가 매립되어, 연결철물(1400)과 거더(100), 연결철물(1400)과 받침부재(1200) 간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Meanwhile,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may include a through hole 1403 . The through hole 1403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The through hole 1403 may have a shape penetrating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hardware 400 . The through hole 1403 may be formed in the area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1410 buried in the girder 100 and in the area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1420 buried in the support member 200 .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crete in the through hole 1403 is buri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and the girder 100 , and the connecting hardware 1400 and the supporting member 1200 can be firmly maintained.

하부 결합부(1430, 1440)는 상부 결합부(147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결합부(1430, 1440)는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복부(1414)와,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복부(1424)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결합부(1430, 144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결합부(1430, 144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1단위 연결철물(1410)의 복부(1414)와, 제2단위 연결철물(1420)의 복부(1424)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coupling parts 1430 and 1440 may be disposed below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 The lower coupling parts 1430 and 1440 may be disposed on the abdomen 1414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abdomen 1424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The lower coupling portions 1430 and 1440 may have a plate shape.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portions 1430 and 1440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bdomen 1414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the abdomen 1424 of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

하부 결합부(1430, 1440)는 제1단위 연결철물(1410)에 결합되는 제1하부 결합부(1430)와, 제2단위 연결철물(1420)에 결합되는 제2하부 결합부(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 결합부(1430)와 제2하부 결합부(1440)는 상호 면접촉될 수 있다. 제1하부 결합부(1430)와 제2하부 결합부(1440)는 볼트(1450)를 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볼트(1450)는 제1하부 결합부(1430)와 제2하부 결합부(14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너트와 결합될 수 있다. 볼트(145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coupling parts 1430 and 1440 are a first lower coupling part 1430 coupled to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1410 and a second lower coupling part 1440 coupled to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1420. may include The first lower coupling part 1430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part 1440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lower coupling part 1430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part 1440 may be screwed through a bolt 1450 . The bolt 1450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first lower coupling portion 1430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portion 1440 , and may be coupled to a nut. A plurality of bolts 145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부 결합부(1430, 1440)는 상부 결합부(1470)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 결합부(1430, 1440)와 상부 결합부(1470)는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coupling parts 1430 and 1440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 The lower coupling parts 1430 and 1440 and the upper coupling part 1470 may be disposed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by being combined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인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100: 거더
110 : 복부판 120 : 상부플랜지
130 : 하부플랜지 190 : 바닥판
200 : 받침부재 210 : 바닥부
220 : 펜스부 240 : 연결철근
300 : 캔틸레버 310 : 하면부
320 : 측면부 400 : 연결철물
410 : 연결철물 420 : 제2단위 연결철물
430 : 제1결합부 435 : 제1볼트
440 : 제2결합부 500 : 추가 연결재
600 : 고무패드 700 : 철근
800 : 긴장재
10: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100: girder
110: abdomen plate 120: upper flange
130: lower flange 190: bottom plate
200: support member 210: bottom
220: fence unit 240: connecting reinforcing bar
300: cantilever 310: lower part
320: side part 400: connecting hardware
410: connecting hardware 420: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430: first coupling part 435: first bolt
440: second coupling part 500: additional connection material
600: rubber pad 700: reinforcing bar
800: tension material

Claims (10)

거더;
상기 거더의 측면에 배치되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받침부재;
상기 거더와 상기 받침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철물; 및
상기 받침부재 상에 배치되는 캔틸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철물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거더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거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단위 연결철물;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결합되는 제2단위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은 단일의 H형강을 절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복부,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상부 및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하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제1하부 결합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복부,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상부 및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하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제2하부 결합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하부 결합부와 상기 제2하부 결합부는 볼트를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girder;
a support member made of precast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irder;
a connecting hardware connecting the girder and the supporting member; and
and a cantilever disposed on the support member;
The connecting hardware is
at least part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is embedded in the girder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irder;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is embedded in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member to be coupled to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The first unit connecting iron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iron are formed by cutting a single H-beam,
A first lower coupling part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abdomen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 second lower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the abdomen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hardware,
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in which the first low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lower coupling part are screwed through a bo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은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 사이에 배치되는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면은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hardware includes a cut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on hardware and the second unit connection hardware,
The cut surface is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iron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ir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상면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상면에는 상부 결합부가 배치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5. The method of claim 4,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in which an upper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unit connecting ir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과 상기 제2단위 연결철물의 사이에는 에폭시(Epoxy)가 배치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5. The method of claim 4,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in which epoxy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unit connecting iron and the second unit connecting iron corresponding to the cu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부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상부 결합부와 제2상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 연결철물의 상면에는 상기 제1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2상부 결합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per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upper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upper coupling portio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including a guide disposed between the first upper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upper coupling part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unit connecting hardw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거더의 측면에 결합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펜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바닥부의 상면 및 상기 거더의 상면에 배치되는 하면부와, 상기 펜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bottom part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irder, and a fence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bottom part,
The cantilever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 lower surface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a sid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fenc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 내 매립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including a connecting reinforcing bar partly embedded in the support member and the other part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철물은 일측면으로부터 타측면을 관통하여 콘크리트가 매립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교량용 캔틸레버 구조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hardware is a cantilever structure for a bridge includ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ncrete is embedded by passing throug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KR1020220028911A 2022-03-07 2022-03-07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KR1024104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11A KR102410461B1 (en) 2022-03-07 2022-03-07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911A KR102410461B1 (en) 2022-03-07 2022-03-07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461B1 true KR102410461B1 (en) 2022-06-22

Family

ID=82216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911A KR102410461B1 (en) 2022-03-07 2022-03-07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46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57B1 (en) * 2010-07-09 2010-11-22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upport material of construction sidewalk for bridge
KR101593885B1 (en) * 2015-08-31 2016-02-12 표옥근 Shock and elastic absorbing connection assembly and, absorb type sky-walk with thereof
KR101699888B1 (en) * 2016-08-11 2017-01-26 (주) 효성 Cantilever part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699464B1 (en) * 2016-11-14 2017-02-13 (주)셈텍 A cantilever system having the function of vibration proofing shock absorber
KR102186545B1 (en) * 2020-07-21 2020-12-03 조우일 Detachable support bracket of cantilev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ntilever bridge using the same
KR102212482B1 (en) 2020-07-27 2021-02-04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Half deck with supporting brack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57B1 (en) * 2010-07-09 2010-11-22 동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Support material of construction sidewalk for bridge
KR101593885B1 (en) * 2015-08-31 2016-02-12 표옥근 Shock and elastic absorbing connection assembly and, absorb type sky-walk with thereof
KR101699888B1 (en) * 2016-08-11 2017-01-26 (주) 효성 Cantilever part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1699464B1 (en) * 2016-11-14 2017-02-13 (주)셈텍 A cantilever system having the function of vibration proofing shock absorber
KR102186545B1 (en) * 2020-07-21 2020-12-03 조우일 Detachable support bracket of cantilev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ntilever bridge using the same
KR102212482B1 (en) 2020-07-27 2021-02-04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Half deck with supporting bracke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789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asymmetric section steel beam
KR101227715B1 (en) Structure for SRC structured high rise building
KR101920417B1 (en) Seismic retrofit structure
KR101066424B1 (en) Bridge structure using wood dec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93872B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KR101390169B1 (en) Arch type footpath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0644349A (en) Superstructure for wide box girder and short tower cable-staye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967734B1 (en) Steel concrete composite crossbeam
KR100758994B1 (en) Reinforced beam with vertical h-steel or i-steel for stiffness,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962788B1 (en)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girder and composite deck-plate and temporary bridge therewith
KR20190084712A (en) Prefabricated column assembly with foundation reinforcement part
KR102410461B1 (en)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KR200439935Y1 (en) device of fixing tower crane for bridge
KR102487850B1 (en) Cantilever precast half-deck including integral support and cantilev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0796216B1 (en) A complex girder with concrete and h section steel in a building
KR100719957B1 (en)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formed spacer and the connection details
KR102374011B1 (en) Bridge with reduced negative moment at the support
KR101415695B1 (en) Structure for clean room using composite beam
KR20200013911A (en) Cross section stiffnesses enhanced saddle sttached temporary bridge and method 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2470469B1 (en)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KR100656428B1 (en) A precast railing
KR102416758B1 (en)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antilever structure for bridge
KR101984211B1 (en) Wide composit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connecting part of girders and column
KR20170123371A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upp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lower precast concrete column and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KR101193796B1 (en) Seismic Reinforcing Method of Column & Girde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