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438B1 -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438B1
KR102410438B1 KR1020150063868A KR20150063868A KR102410438B1 KR 102410438 B1 KR102410438 B1 KR 102410438B1 KR 1020150063868 A KR1020150063868 A KR 1020150063868A KR 20150063868 A KR20150063868 A KR 20150063868A KR 102410438 B1 KR102410438 B1 KR 10241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sealing member
container
heating
w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30918A (en
Inventor
이와오 사토우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0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9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를 지장 없이 가열하는 것이다.
본 장치(1)는, 물티슈 수납체를 수용하는 장치 용기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티슈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8)가 형성된 상면 봉지 부재(3)와, 물티슈 수납체를 상면 봉지 부재(3)를 향해 탄성 가압하는 수납체 탄성 가압 수단(6, 7)과, 상면 봉지 부재(3)에 설치된 발열체를 가지며, 물티슈를 가열하는 수용체 가열 수단(15)과, 취출구(8)의 상방을 개방 가능하게 봉지하는 덮개 부재(10)와, 물티슈 수납체로부터 외부로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를 취출구(8)의 주위의 부재에 누르는 물티슈 누름 수단(33)을 구비한다.
It is to heat the wet tissue taken out of the wet tissue container without any problem.
The device 1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device container body 2 for accommodating the wet tissue storage body, and includes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having an outlet 8 for taking out the wet wipes, and the wet tissue storage body on the top surface. Receptacle heating means (15) for heating the wet tissue, which has a housing elastic pressing means (6, 7) for elastically pressing toward the sealing member (3), a heating elemen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and an outlet (8) A cover member (10) for sealing the upper side of the diaphragm so as to be able to be opened is provided, and a wet tissue pressing means (33) for pressing the wet tissue at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storage body against the member around the ejection port (8).

Description

물티슈 가열 장치{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Wet tissue heating device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본 발명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물티슈를 그 사용 시에 공급 가능하게 하기 위한 물티슈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heating device for enabling supply of wet wipes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when used.

종래, 물수건의 대용품으로서, 손 닦기용, 주방용, 화장실 청소용, 어린아이나 환자의 엉덩이 닦기용 등의, 일회용 타입의 물티슈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Conventionally, as a substitute for a wet towel, disposable type wet wipes, such as for wiping hands, for cleaning the kitchen, for cleaning the bathroom, and for wiping the buttocks of children or patients, have been widely used.

특히, 어린아이나 환자의 엉덩이 닦기용의 물티슈를, 동기 등의 기온이 낮은 시기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티슈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사용 시에 어린아이나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when a wet tissue for wiping the buttocks of a child or a patient is used in a period when the temperature is low, such as the winter s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wet tissue is low, which causes discomfort to the child or the patient during use.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1, 2에는, 가요성의 용기(비닐 봉투 등)에 수용된 물티슈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n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s accommodated in a flexible container (such as a plastic bag).

일본국 특허 제3278305호 공보Japanese Patent No. 3278305 Publication 일본국 특허 제4384761호 공보Japanese Patent No. 4384761 Publication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물티슈 가열 장치는, 그 내부에 수납된 물티슈 수납체를 상방으로부터 가열하는 것이지만, 최상층의 물티슈는 그 일부가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상태에 있다. 최상층의 물티슈는, 사용자가 다음에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부분에 대해서도, 사용 시에 적절히 가열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heats the wet tissue container housed therein from above, but the uppermost layer of the wet tissue is partially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Since the uppermost layer of the wet tissue is to be used next by the user,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needs to be properly heated at the time of use.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가, 덮개 부재 아래에 형성된 개방 공간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당해 부분의 물티슈의 가열이 불충분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wet tissue at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exists in the open space formed under the cover memb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of the wet tissue in the portion becomes insufficient.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는, 히터를 내장한 덮개의 하면을,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에 누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having a built-in heater can be pressed against the wet tissue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그러나, 특허 문헌 2의 구성에 있어서는, 히터를 내장한 비교적 큰 중량의 덮개를 개폐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Patent Document 2, it is necessary to open and close the lid having a relatively large weight with a built-in heater, and improvement in operability has been demanded.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를 지장 없이 가열할 수 있는 물티슈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heating the wet tissue in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without any hindranc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의 물티슈 가열 장치는, 상면 개구를 가지며, 물티슈 수납체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용기 본체와, 상기 상면 개구를 봉지(封止)하도록 상기 장치 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티슈를 취출하기 위한 물티슈 취출구가 형성된 상면 봉지 부재와, 상기 물티슈 수납체를 상기 상면 봉지 부재를 향해 탄성 가압하기 위한 수납체 탄성 가압 수단과, 상기 상면 봉지 부재에 설치된 발열체를 가지며, 상기 물티슈를 가열하기 위한 수용체 가열 수단과,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상방을 개방 가능하게 봉지하기 위한 덮개 부재와, 상기 물티슈 수납체로부터 외부로 꺼내진 부분의 상기 물티슈를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주위의 부재에 누르기 위한 물티슈 누름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irst aspect includes an apparatus container bod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ing for accommodating a wet tissue storage body, and the apparatus container so as to seal the upper surface opening.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having a wet tissue outlet for taking out wet tissues, a housing elastic pressing means for urging the wet tissue housing toward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It has a heating element and includes a container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wet tissue, a cover member for sealing an upper side of the wet tissue outlet so as to be openable, and the wet tissue at a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around the wet tissue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wet tissu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on the member of the.

제2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은, 제1 양태에 의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 취출구는, 상기 상면 봉지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티슈 누름 수단은, 상기 덮개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닫혀진 상기 덮개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wet tissue outlet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a rec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and the wet tissue pressing means includes: It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otrusion projecting into the concave portion from the inside of the closed cover member.

제3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은, 제2 양태에 의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third aspec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the protrusion has a hollow structur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protrus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제4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은, 제2 또는 제3 양태에 의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단 주연부와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주연부가 근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or third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periphery of the protrusion and the periphery of the wet tissue outlet are adjacent to each other.

제5 양태에 의한 본 발명은,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의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전체를 위로부터 덮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fifth asp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second to fourth asp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by a plane covering the entirety of the wet tissue outlet from above. .

본 발명에 의하면, 물티슈 수용체로부터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를 지장 없이 가열할 수 있는 물티슈 가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t tissue heating device capable of heating the wet tissue in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container without any hindr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를 비스듬하게 전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를 비스듬하게 후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를, 그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상면 봉지 부재를 비스듬하게 전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상면 봉지 부재의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상면 봉지 부재를 비스듬하게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5에 나타낸 상면 봉지 부재를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승강 재치대(載置臺)의 상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승강 재치대의 이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장치 용기 본체를 비스듬하게 전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장치 용기 본체를 비스듬하게 후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내부에 물티슈 수용체를 수납하는 모습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1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내부에 물티슈 수용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의 덮개 부재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6의 (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장치 용기 본체로부터 상면 봉지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의 단면 위치를 나타낸 도.
도 17의 (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며, 장치 용기 본체에 상면 봉지 부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a)의 단면 위치를 나타낸 도.
도 18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16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는 설명도.
도 1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17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하는 설명도.
도 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전력 공급 차단 수단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물티슈 가열 장치에 있어서의 물티슈 누름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22는 도 21의 A-A선을 따른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obliquely from all directions;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s viewed obliquely from the rear;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member is opened.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as viewed obliquely from the front direction;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5;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shown in Fig. 5 as viewed obliquely from above;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shown in Fig. 5 as viewed obliquely from below;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table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lifting platform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as viewed obliquely from the front direc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as viewed obliquely from the rear;
1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t tissu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1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t tissu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Fig.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cover member of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 14;
Fig. 16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hutoff means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is removed from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b) is a diagram showing the cross-sectional position of (a).
Fig. 17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power supply shutoff means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and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b) is a diagram showing the cross-sectional position of (a).
Fig. 1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interrupting means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n explanatory view corresponding to the state shown in Fig. 16;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interrupting means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n explanatory view corresponding to the state shown in Fig. 17;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echanism for preventing an erroneous operation of a power supply interrupting means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Fig. 21 is a top view for explaining a wet tissue pressing means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Fig. 2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1;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용기(예를 들면 비닐 봉투) 안에 복수장의 물티슈가 수용된 물티슈 수용체를 그 내부에 수납하고,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된 물티슈를 그 사용 시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In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wet tissue container containing a plurality of wet tissues is accommodated in a container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a plastic bag), and the wet tissue heated to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is used when using it. to supply to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1)는, 물티슈 수납체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용기 본체(2)와, 장치 용기 본체(2)의 상면 개구를 봉지하도록 장치 용기 본체(2)에 장착된 상면 봉지 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상면 봉지 부재(3)는, 봉지 부재 고정 수단(4)에 의해, 장치 용기 본체(2)에 대해 해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1 to 4 ,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pparatus container body 2 for accommodating a wet tissue storage body, and an upper opening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to seal.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attached to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is provided.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being releasably fixed to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by the sealing member fixing means 4 .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의 내부에는, 물티슈 수납체를 상면 봉지 부재(3)의 하면을 향해 탄성 가압하기 위한 수납체 탄성 가압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수납체 탄성 가압 수단(5)은, 장치 용기 본체(2)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티슈 수납체가 상면에 재치되는 승강 재치대(6)와, 승강 재치대(6)의 하면과 장치 용기 본체(2)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부재(7)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3 , inside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 the housing elastic pressing means 5 for urging the wet tissue storage body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provided. The housing elastic pressing means 5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 and includes a lifting table 6 on which the wet tissue housing body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table 6 and the device. It has a spring member (7)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container body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봉지 부재(3)의 중앙부에는, 장치 용기 본체(2)의 내부로부터 물티슈를 취출하기 위한 물티슈 취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물티슈 취출구(8)는, 상면 봉지 부재(3)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9)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3 and 4 ,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a wet tissue outlet 8 for taking out the wet wipes from the inside of the device container body 2 is formed. The wet tissue outlet 8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9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상면 봉지 부재(3)의 상면에는 덮개 부재(10)가 경첩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 부재(10)에 의해 상면 봉지 부재(3)의 오목부(9)의 상면이 봉지되어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a lid member 10 is hing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9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sealed by the lid member 10. .

덮개 부재(10)는, 판스프링 부재(11)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으며, 또, 덮개 부재(10)의 전측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원 푸쉬 기구(도시를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폐쇄 상태에 있는 덮개 부재(10)의 전측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덮개 부재(10)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또, 개방 상태에 있는 덮개 부재(10)를 닫고, 그 전측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덮개 부재(10)가 폐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면 한쪽의 손이 여유가 없는 경우에도, 덮개 부재(10)의 개폐 동작을 다른 쪽의 손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The cover member 10 is elastically pressed in the opening direction by the leaf spring member 11, and a one-push mechanism (not shown) in which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by pressing the front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member 10. are being prepared For this reason, by pressing the front center part of the lid member 10 in a closed state, the lid member 10 is opened automatically. Moreover, the lid member 10 is fixed in a closed state by closing the lid member 10 in an open state, and pressing the front center part.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open and close the lid member 10 with the other hand, even when one hand has no slack, for example.

덮개 부재(10)의 조작 개소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12)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개소에 장식(12A)이 표시되어 있다. 또, 어두운 곳에서도 조작 개소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 수단(12)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개소를 내측으로부터 비추기 위한 LED(발광체)(12B)가 설치되어 있다. LED광의 투과성을 부여하기 위해, LED광이 투과하는 부분의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함과 함께, 거기에 사용하고 있는 수지 착색료의 원료로서 탄소를 최대한 줄이고 있다. As the display means 12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location of the cover member 10 to a user, as shown in FIGS. 1-3, the decoration 12A is displayed at the operation location. Moreover, as the display means 12 for making the operation location recognizable even in a dark place, as shown in FIG. 3, the LED (light-emitting body) 12B for illuminating the operation location from the inside is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of LED light, while making the thickness of the member of the part which LED light transmits thin, carbon as a raw material of the resin coloring agent used there is reduced as much as possible.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봉지 부재(3)를 장치 용기 본체(2)에 대해 해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봉지 부재 고정 수단(4)은, 후크 기구를 가지는 제1 봉지 부재 고정 수단(13)과, 눌러끼움(클램프) 기구를 가지는 제2 봉지 부재 고정 수단(14)을 가진다. 제1 봉지 부재 고정 수단(13)은, 상면 봉지 부재(3)의 좌우 양측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후크 부재(13A)를 가진다. 제2 봉지 부재 고정 수단(14)은, 상면 봉지 부재(3)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걸어 맞춤편(14A)을 가진다. 5 and 6 , the sealing member fixing means 4 for releasably fixing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to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is a first sealing member fixing means having a hook mechanism. It has (13) and the 2nd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4 which has a press-fitting (clamp) mechanism. The first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3 has hook members 13A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swing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The second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4 has engaging pieces 14A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봉지 부재(3)는 환상의 중공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면 봉지 부재(3)의 내부에는, 물티슈 취출구(8)를 둘러싸도록 하여 발열체(수납체 가열 수단)(15)가 설치되어 있다. 발열체(15)는, 예를 들면 마이카·크롬·히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이메탈 스위치에 의해 온도 제어를 행하여, 온도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7 and 8, the top sealing member 3 has an annular hollow structure, and inside the top sealing member 3, the wet tissue outlet 8 is surrounded by a heating element (heating the housing). means) 15 is provided.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5 is comprised, for example by a mica-chrome heater, performs temperature control with a bimetal switch, and is comprised so that temperature may be maintained substantially constant.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16)이 상면 봉지 부재(3)의 후면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전원 케이블(16)을 통하여 발열체(15)에 전력이 공급된다. 발열체(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도시를 생략)가 상면 봉지 부재(3)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에 대해 전원 케이블(16)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1 and 2 , a power cable 16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sealing member 3 , and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ing element 15 through the power cable 16 . A terminal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element 15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and a power cable 16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is terminal.

전원 케이블(16)은 상면 봉지 부재(3)에 대해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물티슈의 보온을 필요로 하지 않는 시기에는, 상면 봉지 부재(3)로부터 전원 케이블(16)을 빼 두어, 물티슈 가열 장치(1)를 물티슈 수용체의 단순한 수납 용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power cable 16 is detachable from the top sealing member 3, for example, at a time when wet tissue insulation is not required, pull out the power cable 16 from the top sealing member 3, The wet tissue heating device 1 can be used as a simple storage container for the wet tissue container.

도 9 및 도 10은, 물티슈 수용체가 재치되는 승강 재치대(6)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승강 재치대(6)는, 그 좌우 양측의 상면에 오목부(6A)를 가지고 있으며, 중앙부(6B)의 상면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물티슈 수용체의 좌우 단부의 강성이 높은 경우에도, 물티슈 수용체의 중앙 부분을, 승강 재치대(6)의 볼록형상의 중앙부(6B)로 적절히 밀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물티슈 수용체의 중앙 부분을 상면 봉지 부재(3)의 하면에 대해 적절히 누를 수 있어, 물티슈의 양호한 가열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9 and 10 are enlarged views of the lifting platform 6 on which the wet tissue container is placed. The raising/lowering mounting table 6 has the recessed part 6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and left both sides,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part 6B protrudes relatively. Accordingly, for example, even whe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wet tissue container have high rigidity,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t tissue container can be appropriately pushed up by the convex central portion 6B of the lifting table 6 . According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wet tissue container can be appropriately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so that a good heating state of the wet tissue can be secured.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재치대(6)의 이면 중앙부에는 ?F은 통형상 부분(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F은 통형상 부분(17)의 내측에 스프링 부재(7)의 상단이 끼워 맞춰진다. 장치 용기 본체(2)의 저면 중앙부에도 ?F은 통형상 부재(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F은 통형상 부재(18)의 내측에 스프링 부재(7)의 하단이 끼워 맞춰진다. 이와 같이 스프링 부재(7)의 상단 및 하단을 각 ?F은 통형상 부재(17, 18)에 끼워 맞춤으로써, 스프링 부재(7)의 탈락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0, ?F is a cylindrical portion 17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ck surface of the lifting platform 6, and, as shown in Fig. 3, -F is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7. The upper end of the spring member 7 is fitted. A cylindrical member 18 is also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ottom face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and the lower end of the spring member 7 is fitted inside the cylindrical member 18 as ?F. In this way, by fit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pring member 7 to the tubular members 17 and 18 each ?F, the spring member 7 is reliably prevented from falling off.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의 후측의 내벽면에는, 한 쌍의 안내 부재(19A)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재치대(6)의 후면에는, 장치 용기 본체(2)의 후측의 내벽면에 돌출 설치된 각 안내 부재(19A)가 삽입되는 각 안내 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1,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19 A of a pair of guide members are extended in an up-down direction, and are protrudingly provide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evating table 6, each guide groove 20A into which each guide member 19A protruded and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is inserted is formed. has been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의 전측의 내벽면에는, 4개의 안내 부재(19B)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재치대(6)의 전면에는, 장치 용기 본체(2)의 전측의 내벽면에 돌출 설치된 각 안내 부재(19B)가 삽입되는 각 안내 홈(20B)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2 ,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four guide members 19B are extended in the up-down direction, and are provided to protrud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9 ,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table 6, each guide groove 20B into which each guide member 19B protruded and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front side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is inserted is formed. has been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의 좌우의 내벽면에는, 각 한 쌍의 안내 홈(21A, 21B)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재치대(6)의 좌우의 측면에는, 장치 용기 본체(2)의 좌우의 내벽면에 형성된 각 안내 홈(21A, 21B)에 삽입되는 각 안내 부재(22A, 22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11 and 12, a pair of guide grooves 21A and 21B ar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 surfaces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9 and 10,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lifting platform 6, each guide inserted into each guide groove 21A, 21B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 surfaces of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Members 22A and 22B are provided to protrude.

장치 용기 본체(2)측에 설치된 안내 부재(19A, 19B) 및 안내 홈(21A, 21B)과, 승강 재치대(6)측에 설치된 안내 홈(20A, 20B) 및 안내 부재(22A, 22B)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승강 재치대(6)의 승강 동작이 안내되므로, 당해 승강 동작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Guide members 19A, 19B and guide grooves 21A, 21B provided on the device container main body 2 side, and guide grooves 20A, 20B and guide members 22A, 22B provided on the lifting platform 6 side is slidably fit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by, since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movement of the raising/lowering mounting table 6 is guided, the said raising/lowering operation can be stabilized.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재치대(6)의 전면 중앙부에는, 예를 들면 적색의 마킹(23)이 표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의 전벽에는 표시창(24)이 형성되어 있다. 마킹(23) 및 표시창(24)에 의해, 물티슈의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 표시 수단(25)이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red marking 23 is displayed on the front center part of the raising/lowering mounting table 6, for example. 11 and 12 , a display window 24 is formed on the front wall of the device container body 2 . The remaining amount display means 25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et tissue is constituted by the marking 23 and the display window 24 .

즉, 물티슈의 소비에 수반하여 물티슈 수용체가 얇아지고, 이것에 따라 승강 재치대(6)가 상승하면, 승강 재치대(6)의 전면 중앙부의 적색의 마킹(23)이, 장치 용기 본체(2)의 표시창(24)으로부터 보이게 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물티슈의 잔량이 적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wet tissue container becomes thinner as the wet wipes are consumed, and the lifting platform 6 rises accordingly, a red marking 23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lifting table 6 is displayed on the device container body 2 ) is visible from the display window 24 .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wet tissue is small.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의 좌우 측벽의 상부 중앙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제1 봉지 부재 고정 수단(13)의 후크 부재(13A)가 걸리는 걸림 가장자리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장치 용기 본체(2)의 좌우 측벽의 상부 중앙에는, 도 5에 나타낸 제2 봉지 부재 고정 수단(14)의 걸어 맞춤편(14A)이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개구(14B)가 형성되어 있다. 11 and 12, at the upper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device container body 2, the hook member 13A of the first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3 shown in Figs. A portion 13B is formed. Moreover, in the upper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the engaging opening 14B into which the engaging piece 14A of the 2nd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4 shown in FIG. 5 engages is formed. .

이와 같이 후크 기구를 가지는 제1 봉지 부재 고정 수단(13)에 더하여, 눌러끼움(클램프) 기구를 가지는 제2 봉지 부재 고정 수단(14)을 설치했으므로, 제1 봉지 부재 고정 수단(1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도, 제2 봉지 부재 고정 수단(14)에 의해, 상면 봉지 부재(3)가 장치 용기 본체(2)로부터 간단하게는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first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3 having a hook mechanism, the second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4 having a clamping mechanism is provided, so that the first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3 is caught. Even when the state is cancelled, the second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4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from being easily removed from the device container body 2 .

상면 봉지 부재(3)는, 그 하반부가 장치 용기 본체(2)의 상면 개구를 통하여 장치 용기 본체(2)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면 봉지 부재(3)와 장치 용기 본체(2)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보적인 형상이, 전후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전후의 역장착을 방지하고 있다.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formed so that the lower half may be fitted inside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through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and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are provided with mutually complementary shapes. This complementary shape is formed asymmetric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or the left-right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front-rear reverse mounting.

물티슈 가열 장치(1)의 내부에 물티슈 수용체를 수납할 때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에 대한 상면 봉지 부재(3)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상면 봉지 부재(3)를 장치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장치 용기 본체(2)의 상면 개구를 통하여, 물티슈 수용체(26)를 승강 재치대(6) 상에 재치한다. 승강 재치대(6) 상에 재치된 물티슈 수용체(26)에 대해, 위로부터 상면 봉지 부재(3)를 씌우고, 상면 봉지 부재(3)의 하면으로 물티슈 수용체(26)를 스프링 부재(7)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밀어 넣는다. When the wet tissu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wet tissue heating device 1, as shown in FIG. 13, the fixing stat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to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is released, and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removed from the device container body (2). Then, the wet tissue container 26 is placed on the lifting platform 6 through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 With respect to the wet tissue container 26 placed on the lifting table 6,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covered from above, and the wet tissue container 26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of the spring member (7). It resists the elastic force and pushes it downward.

물티슈 수용체(26)를 하방으로 충분히 밀어 넣음으로써, 상면 봉지 부재(3)의 걸어 맞춤편(14A)이 장치 용기 본체(2)의 걸어 맞춤 개구(14B)에 걸어 맞춰져, 상면 봉지 부재(3)의 잠정적인 고정 상태가 달성된다. 이 상태로 상면 봉지 부재(3)의 후크 부재(13A)를 조작하여, 장치 용기 본체(2)의 걸림 가장자리부(13B)에 걺으로써,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에 대한 상면 봉지 부재(3)의 고정이 완료된다. By sufficiently pushing the wet tissue container 26 downward, the engaging piece 14A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opening 14B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and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engaged. A tentative fixed state of is achieved. In this state, by manipulating the hook member 13A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to engage with the engaging edge portion 13B of the device container body 2, as shown in FIG. The fixing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completed.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면 봉지 부재(3)의 내부에는 발열체(15)(도 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발열체(15)로부터의 열에 의해 상면 봉지 부재(3)의 하면이 가열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티슈 수용체(26)의 상면은 상면 봉지 부재(3)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물티슈 수납체(26) 내의 복수의 물티슈에 있어서, 최상층의 물티슈로부터 하층을 향해 열이 전해져 가게 된다. 따라서, 다음에 사용되는 최상층의 물티슈를 가장 잘 가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heating element 15 ( FIG. 7 )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heated by the heat from the heating element 15 . As shown in Fig. 14,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wet tissue container 26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ealing member 3, in the plurality of wet wipes in the wet tissue container 26,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most wet tissue to the lower layer. will go Therefore, it is best to heat the uppermost wet tissue used next.

물티슈를 사용할 때에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부재(10)를 개방하여, 상면 봉지 부재(3)에 형성된 물티슈 취출구(8)를 통하여 물티슈(27)를 취출한다. 물티슈(27)의 소비에 수반하여 물티슈 수용체(26)의 두께가 얇아진 경우에도, 스프링 부재(7)에 의해 승강 재치대(6)가 상방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물티슈 수용체(26)의 두께의 감소에 따라 승강 재치대(6)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물티슈 수용체(26)의 사용 기간의 전체에 걸쳐, 물티슈 수용체(26)의 상면이 상면 봉지 부재(3)의 하면에 눌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When using wet wipes, as shown in FIG. 15 , the cover member 10 is opened and the wet wipes 27 are taken out through the wet tissue outlet 8 formed i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wet tissue container 26 is reduced due to the consumption of the wet wipes 27 , since the lifting and lowering table 6 is elastically pressed upward by the spring member 7 , the thickness of the wet tissue container 26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decrease, the lifting platform 6 moves upward.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wet tissue container 26 can be maintained in a pressed state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over the entire period of use of the wet tissue container 26 .

상기 서술한 구성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1)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에 대한 상면 봉지 부재(3)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여, 비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발열체(수납체 가열 수단)(15)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 공급 차단 수단(28)을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wet tissue heat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cts the attachment stat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to the device container body 2 as shown in FIGS. 16 and 17 , , a power supply interrupting means 28 for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ing element (storage body heating means) 15 in the unmounted state is provided.

즉,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열체(15)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위치(29)가 상면 봉지 부재(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29)는, 그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피조작편(30)을 가진다. 한편, 상면 봉지 부재(3)를 장치 용기 본체(2)에 장착했을 때에 스위치(29)를 전환 조작하는 조작편(31)이 장치 용기 본체(2)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편(31)은, 승강 재치대(6)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장치 용기 본체(2)에 설치된 안내 부재(19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6 and 17 , a switch 29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element 15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The switch 29 has an operated piece 30 for switching the conduction state and the disconnection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attached to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the operation piece 31 which switches the switch 29 is provided in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 The operation piece 3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uide member 19B provided in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in order to guide the raising/lowering operation|movement of the raising/lowering mounting table 6 .

장치 용기 본체(2)의 상면 개구에 상면 봉지 부재(3)를 장착하면,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용기 본체(2)측의 조작편(31)이 스위치(29)의 피조작편(30)에 맞닿아, 피조작편(30)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29)가 차단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전환되어, 발열체(15)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개시된다. Whe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pening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operation piece 31 on the apparatus container main body 2 side can be operated by the switch 29. Abuts against the operating piece 30, the to-be-operated piece 30 is pressed upward and rises. Thereby, the switch 29 is switched from the cut-off state to the conduction state, and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5 is started.

이것과는 반대로, 상면 봉지 부재(3)를 장치 용기 본체(2)로부터 떼어 내면, 스위치(29)의 피조작편(30)에 대한 조작편(31)으로부터의 가압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피조작편(30)이 강하하여, 스위치(29)가 도통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전환되어, 발열체(15)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Contrary to this, whe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removed from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the pressure of the switch 29 from the operating piece 31 to the operated piece 30 is released. As a result, the operated piece 30 descends, the switch 29 is switched from the conduction state to the cutoff state, and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15 is cut off.

또, 도 3에 나타낸 표시 수단(12)은, 그 LED(12B)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발열체(15)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Moreover, the display means 12 shown in FIG. 3 is comprised so that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LED 12B may be interrupted|blocked simultaneously with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heat generating element 15 being interrupted|blocked.

도 20(및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29)의 피조작편(30)의 주위에는, 피조작편(30)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 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차폐 부재(32)는, 통형상 부재의 일부를 그 축선 방향으로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어, 차폐 부재의 절결부(32A)에 조작편(31)이 삽입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20 (and Figs. 5 and 6), around the operated piece 30 of the switch 29, a shield member 32 is provided to prevent erroneous operation of the operated piece 30. has been The shielding member 32 is formed by cutting out a part of the cylindrical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peration piece 31 can be inserted into the cutout 32A of the shielding member.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1)에 의하면, 장치 용기 본체(2)로부터 상면 봉지 부재(3)를 떼어 내면, 발열체(15)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상면 봉지 부재(3)에 접속된 전원 케이블(16)이 콘센트에 꽂아진 상태인 채여도, 상면 봉지 부재(3)의 제거에 의해 발열체(15)의 가열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 상태에 있는 상면 봉지 부재(3)와의 접촉에 의한 열상 등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떼어낸 상태에 있는 상면 봉지 부재(3)를 난방 기구로서 사용하는 등의 오사용을 확실히 방지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removed from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15 is cut off. Even if the power supply cable 16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remains plugged into the outlet, the heating state of the heating element 15 is canceled by the removal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Thereby, the thermal injury etc. by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n a heated state can be prevented reliably. Moreover, misuse, such as using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n a removed state as a heating appliance, can also be prevented reliably.

또, 스위치(29)의 피조작편(3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편(31)이, 승강 재치대(6)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해 장치 용기 본체(2)에 설치된 안내 부재(19B)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함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a guide member 19B provided in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2 so that an operation piece 31 for operating the operated piece 30 of the switch 29 guides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table 6 . Since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 while being able to aim at the simplification of a structur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표시 수단(12)의 LED(12A)에 대한 전력의 공급은, 발열체(15)에 대한 전력의 공급이 차단됨과 동시에 차단되도록 했으므로, 사용자는, 표시 수단(12)의 점등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물티슈 가열 장치(1)가 가열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LED 12A of the display means 12 is interrupted at the same time that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15 is cut off, the user can check the lighting state of the display means 12 . ,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wet tissue heating device 1 is in a heating state.

또, 스위치(29)의 피조작편(30)의 주위에 차폐 부재(32)를 설치했으므로, 떼어 내진 상면 봉지 부재(3)의 스위치(29)의 피조작편(30)이 오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ielding member 32 is provided around the operated piece 30 of the switch 29, it is prevented that the operated piece 30 of the switch 29 of the detached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is erroneously operated. can be prevented

상기 서술한 구성에 더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는, 물티슈 수납체(26)로부터 외부로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27)를, 물티슈 취출구(8)의 주위의 부재에 누르기 위한 물티슈 누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wet tissu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t tissue presser for pressing the wet tissue 27 at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storage body 26 to the member around the wet tissue outlet 8 . means are available.

즉,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티슈 누름 수단으로서, 덮개 부재(10)의 내측에, 덮개 부재(10)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상면 봉지 부재(3)의 오목부(9)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33)는 중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내부에 단열재(34)가 설치되어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4 , as a wet tissue pressing means, inside the cover member 10 , in the closed state of the cover member 10 , it protrudes into the recess 9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3 . A protrusion 33 is formed. 3 and 22, the protrusion 33 has a hollow structur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4 is provided therein.

도 3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33)의 하면은, 물티슈 취출구(8)의 전체를 위로부터 덮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부(33)의 하단 주연부와 물티슈 취출구(8)의 주연부가 근접해 있다. 이 때문에, 물티슈 수납체(26)로부터 물티슈 취출구(8)를 통하여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27)는, 덮개 부재(10)의 하면에 설치된 돌출부(33)에 의해 물티슈 취출구(8)의 주연부에 가압된다. As shown in FIGS. 3 and 22 ,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3 is formed by a flat surface covering the entire wet tissue outlet 8 from above. Further, the lower periphery of the protrusion 33 and the periphery of the wet tissue outlet 8 are close to each other. For this reason, the wet tissue 27 at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housing 26 through the wet tissue outlet 8 is placed on the periphery of the wet tissue outlet 8 by the protrusion 33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10 . pressurized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물티슈 가열 장치(1)에 의하면, 덮개 부재(10)의 내측에 돌출부(33)를 형성하고, 물티슈 취출구(8)를 통하여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27)를, 물티슈 취출구(8)의 주연부(가열 상태에 있다)에 누르도록 했으므로, 물티슈(27)를 확실히 가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et tissue he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portion 33 is formed inside the cover member 10 and the wet tissue 27 is taken out through the wet tissue outlet 8 . is pressed against the periphery of the wet tissue outlet 8 (which is in a heated state), so that the wet wipes 27 can be reliably heated.

또, 돌출부(33)의 내부에 단열재(34)를 설치했으므로, 물티슈 취출구(8) 부근의 보온성이 높아지며, 이것에 의해, 물티슈 취출구(8)를 통하여 꺼내진 부분의 물티슈(27)를 보다 한층 확실히 가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4 is provided inside the protrusion 33, the heat retention in the vicinity of the wet tissue outlet 8 is increased, and thereby, the wet tissue 27 at the portion taken out through the wet tissue outlet 8 is further removed. You can definitely heat it up.

1 물티슈 가열 장치 2 장치 용기 본체
3 상면 봉지 부재 4 봉지 부재 고정 수단
5 수납체 탄성 가압 수단 6 승강 재치대
6A 승강 재치대의 오목부 6B 승강 재치대의 볼록부
7 스프링 부재 8 물티슈 취출구
9 상면 봉지 부재의 오목부 10 덮개 부재
11 판스프링 부재 12 표시 수단
12A 덮개 부재의 조작 개소를 나타내는 장식(표시 수단)
12B LED(표시 수단) 13 제1 봉지 부재 고정 수단
13A 후크 부재 13B 걸림 가장자리부
14 제2 봉지 부재 고정 수단 14A 걸어 맞춤편
14B 걸어 맞춤 개구 15 발열체(수납체 가열 수단)
16 전원 케이블
17 승강 재치대의 ?F은 통형상 부분
18 장치 용기 본체의 ?F은 통형상 부분
19A, 19B 장치 용기 본체의 안내 부재
20A, 20B 승강 재치대의 안내 홈
21A, 21B 장치 용기 본체의 안내 홈
22A, 22B 승강 재치대의 안내 부재
23 마킹 24 표시창
25 잔량 표시 수단 26 물티슈 수용체
27 물티슈 28 전력 공급 차단 수단
29 스위치 30 스위치의 피조작편
31 스위치의 피조작편을 조작하는 조작편
32 차폐 부재 33 돌출부(물티슈 누름 수단)
34 단열재
1 Wet tissue heating device 2 Device container body
3 Top sealing member 4 Encapsulation member fixing means
5 Accommodation body elastic pressurization means 6 Elevating platform
6A Concave part of elevating table 6B Concave part of elevating base
7 Spring member 8 Wet tissue outlet
9 Concave portion of upper sealing member 10 Cover member
11 Leaf spring member 12 Indicating means
12A Decoration indicating the operation point of the cover member (indicating means)
12B LED (display means) 13 1st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3A Hook member 13B Interlocking edge
14 2nd sealing member fixing means 14A fastening piece
14B Engagement opening 15 Heating element (storage body heating means)
16 power cable
17 ?F of the lifting platform is the cylindrical part
18 The ?F of the device container body is the cylindrical part
19A, 19B Guide member of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Guide groove for 20A, 20B elevator platform
21A, 21B Guide groove of the device container body
22A, 22B Elevating platform guide member
23 Marking 24 Display
25 Remaining amount indication means 26 Wet tissue container
27 Wet wipes 28 Means of shutting off the power supply
29 Switch 30 Controlled piece of switch
31 Operation piece that operates the operated piece of the switch
32 Shielding member 33 Projection (wet tissue pressing means)
34 Insulation

Claims (5)

상면 개구를 가지며, 물티슈 수납체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 용기 본체와,
상기 상면 개구를 봉지(封止)하도록 상기 장치 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티슈를 취출하기 위한 물티슈 취출구가 형성된 상면 봉지 부재와,
상기 물티슈 수납체를 상기 상면 봉지 부재를 향해 탄성 가압하기 위한 수납체 탄성 가압 수단과,
상기 상면 봉지 부재에 설치된 발열체를 가지며, 상기 물티슈를 가열하기 위한 수용체 가열 수단과,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상방을 개방 가능하게 봉지하기 위한 덮개 부재와,
상기 물티슈 수납체로부터 외부로 꺼내진 부분의 상기 물티슈를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주위의 부재에 누르기 위한 물티슈 누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물티슈 취출구는, 상기 상면 봉지 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티슈 누름 수단은, 상기 덮개 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며, 닫혀진 상기 덮개 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오목부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는 중공 구조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있는,
물티슈 가열 장치.
A device container body having a top opening and accommodating a wet tissue container;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detachably mounted on the apparatus container body to seal the upper surface opening and having a wet tissue outlet for taking out wet tissues;
an accommodating body elastic pressing means for urging the wet tissue accommodating body toward the upper sealing member;
a container heating means having a heating elemen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and heating the wet tissue;
a cover member for sealing an upper side of the wet tissue outlet so as to be openable;
and wet tissu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the wet tissue at the portion taken out from the wet tissue housing to a member around the wet tissue outlet;
The wet tissue outlet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a reces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The wet tissue pressing mean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and has a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closed cover member into the recess,
The protrusion has a hollow structur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inside the protrusion,
Wet tissue heat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단 주연부와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주연부가 근접해 있는, 물티슈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wer periphery of the protrusion and a periphery of the wet tissue outlet are adjacent to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물티슈 취출구의 전체를 위로부터 덮는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물티슈 가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by a plane covering the entirety of the wet tissue outlet from above.
KR1020150063868A 2014-05-14 2015-05-07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KR10241043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00970A JP6475423B2 (en) 2014-05-14 2014-05-14 Wet tissue heating device
JPJP-P-2014-100970 2014-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918A KR20150130918A (en) 2015-11-24
KR102410438B1 true KR102410438B1 (en) 2022-06-17

Family

ID=54560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868A KR102410438B1 (en) 2014-05-14 2015-05-07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75423B2 (en)
KR (1) KR102410438B1 (en)
CN (1) CN105078336B (en)
HK (1) HK1217623A1 (en)
TW (1) TWI68927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6225A (en) * 2015-11-04 2017-05-25 サミー株式会社 Slot machine
JP6954658B2 (en) * 2019-05-08 2021-10-27 コンビ株式会社 Wet wipe warmer
JP6976584B2 (en) * 2019-05-08 2021-12-08 コンビ株式会社 Wet wipe warmer
JP6808875B1 (en) * 2020-06-12 2021-01-06 湖州新峰木塑複合材料有限公司 Wet wipe warmer
JP7335674B1 (en) 2022-07-29 2023-08-30 正法 村上 Wet tissue dispens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496A (en) * 2002-07-12 2004-02-12 Pigeon Corp Wet tissue 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8305B2 (en) * 1994-10-28 2002-04-30 コンビ株式会社 Wet tissue heating device
TW501918B (en) * 1999-04-23 2002-09-11 Toa Machine Industry Inc Wet-sheet packing body manufacturing method
JP4384761B2 (en) 1999-09-14 2009-12-16 コンビ株式会社 Wet tissue warmer
DE60023811T2 (en) * 1999-09-14 2006-07-20 Combi Corp. Warming device for wet wipes and cloth lifting plate
JP3574418B2 (en) * 2001-05-07 2004-10-06 コンビ株式会社 Wet tissue heating device
CN1279867C (en) * 2003-08-22 2006-10-18 贝亲株式会社 Wet napkin heater
JP6017116B2 (en) * 2011-04-07 2016-10-26 凸版印刷株式会社 Sealed label and packaging container
US20130020346A1 (en) * 2011-07-18 2013-01-24 Sung Hae Lee Apparatus for storing, warming, and dispensing cleansing tissue and the like
CN102910363B (en) * 2012-11-13 2015-06-24 金红叶纸业集团有限公司 Packing box
CN203436262U (en) * 2013-06-29 2014-02-19 张秀英 Heater for wet tissu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1496A (en) * 2002-07-12 2004-02-12 Pigeon Corp Wet tissue 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78336B (en) 2019-11-01
TW201607487A (en) 2016-03-01
TWI689273B (en) 2020-04-01
HK1217623A1 (en) 2017-01-20
JP6475423B2 (en) 2019-02-27
CN105078336A (en) 2015-11-25
JP2015216993A (en) 2015-12-07
KR20150130918A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438B1 (en)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US8209868B2 (en) Device with an illuminated button assembly
US20220104649A1 (en) Electric kettle
KR101037656B1 (en)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KR102410439B1 (en) Apparatus for heating wet tissue
JP2012081245A (en) Electric kettle
GB2497978A (en) Liquid heating vessel and control
KR100735913B1 (en) A valve for a hot and cold water dispenser
JP5447611B2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JP5321273B2 (en) Electric kettle
KR20170001022A (en) Button Type Plug Receptacle
KR101272672B1 (en) Pot type water purifier
JP2019042268A (en) Electric kettle
CN205214978U (en) Water jug
CA2966439A1 (en) Automatic heated fluid dispenser
KR200468056Y1 (en) The safty cover of pot handle
KR102495584B1 (en) Wet tissue warmer
KR20180055003A (en) Cock Safety Device
JP7215798B2 (en) drain plug device
JP2019080642A (en) Biological information device, attachment device for toilet, and toilet device
JP5617968B2 (en) Electric kettle
CA2966407C (en) Inductively heatable fluid reservoir
JP3108120U (en) Wet tissue and baby bottle heating device
JP3793206B2 (en) Electric heat pot
KR790001484Y1 (en) Motor switch for automatic extrusion of air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