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227B1 -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227B1
KR102410227B1 KR1020200152208A KR20200152208A KR102410227B1 KR 102410227 B1 KR102410227 B1 KR 102410227B1 KR 1020200152208 A KR1020200152208 A KR 1020200152208A KR 20200152208 A KR20200152208 A KR 20200152208A KR 102410227 B1 KR102410227 B1 KR 102410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valve
damping force
wheel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558A (ko
Inventor
강상욱
배승훈
정재경
최인준
Original Assignee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2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227B1/ko
Publication of KR20220065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0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B60G17/08Characteristics of fluid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025/044Suspensions with automatic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은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를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사이를 입출하는 작동유체; 및 상기 제1실린더 내측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삽입 장착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A TWO-WHEELED VEHICLE SUSPENSION WITH VARIABLE DAMPING FORCE}
본 발명은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는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삽입되는 제2피스톤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의 밸브 둘레에는 동일한 형상 및 배치로 천공된 다수개의 입출공을 포함하여, 상기 제2피스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입출공의 개폐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노면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감쇠력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운영 중인 전동킥보드 중 공유 전동킥보드는 서울시에서만 10,000 대 이상 운행 중이고 서비스 이용자는 500,000 명을 넘고 있다.
이와 같이 공유 킥보드 뿐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의 킥보드 이용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킥보드에 장착된 서스펜션 즉, 쇼크업소버의 구성이 미흡하여 전동 퀵보드의 승차감이 상당히 좋지 않아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불만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쇼크업소버은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을 억제하거나 감쇄하는 역할을 하며, 차체 또는 프레임과 휠 사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체의 상하방향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와 같은 쇼크업소버의 형태 중, 복통형 쇼크업소버는 내부튜브와 외부튜브로 구비되는 실린더와, 상기 내부튜브 내부에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밸브와, 일단이 피스톤 밸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실린더의 외부에 위치되는 피스톤 로드 및 실린더의 말단에 설치되어 피스톤 밸브와 마주보는 바디 밸브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통형 쇼크업소버의 내부튜브와 외부튜브 사이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실은 가스가 충전된 가스실과 오일이 충전된 오일실로 각각 구분되어진다.
이러한 쇼크업소버에는 감쇠력 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노면 및 주행 상태에 따라 승차감이나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감쇠력 가변형 쇼크업소버가 있는데, 이러한 감쇠력 가변형 쇼크업소버에는 외장형 감쇠력 가변밸브를 구비한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쇠력 가변형 쇼크업소버는, 그루브링 또는 오링의 압입시 발생되는 이물질이 세퍼레이터 튜브 내에 남게 될 우려가 많으며, 위의 복잡한 압입 과정과 스웨이징(또는 코킹)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제조 공정이 복잡할 뿐 아니라 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 그루브링 및 오링은 불량 가능성 및 파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신뢰성 있는 쇼크업소버의 제작을 더욱 어렵게 하기도 한다.
이렇듯, 자동차에 장착되는 가변형 쇼크 업소버 즉, 서스펜션을 전동 킥보드에 장착하기에는 장치가 복잡할 뿐 아니라 이에 따른 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하여 장착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에 장착되었던 쇼크 업소버 보다 구성이 간단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전자 제어가 가능할 뿐 아니라 노면의 상태에 따라 감쇠력 가변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용 서스펜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04-0023059호 (공개일자 2004년 03월 18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밸브 둘레에 천공된 고정입출공을 갖는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의 삽입공에 삽입 장착되고 제어입출공을 갖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고, 노면의 상태에 따른 감쇠력 가변을 위해 상기 제2피스톤이 회전하여 동일한 형상 및 배치를 갖는 상기 고정입출공과 상기 제어입출공의 겹침과 어긋남에 따른 상기 입출공의 개폐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감쇠력의 가변이 가능하여 전동 킥보드와 같은 이륜차의 충격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은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를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사이를 입출하는 작동유체; 및 상기 제1실린더 내측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삽입 장착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피스톤은 일단에 구비되는 원판형의 제1밸브; 및 상기 제1밸브의 둘레를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의 고정입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스톤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밸브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밸브; 및 상기 제2밸브의 둘레를 따라 천공되며, 상기 고정입출공과 배치 및 형상이 동일한 다수개의 제어입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은 노면의 거칠기를 센싱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제2피스톤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충격감지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신호를 전송받아 노면의 거친 정도를 다수개의 단계로 분류하는 노면조도분류모듈; 및 상기 단계에 따라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입출공과 상기 제어입출공의 배치 상태에 따른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량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제1밸브를 고정하는 길이 방향의 제1로드; 및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1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제2밸브를 고정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의 제2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에 의하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삽입되는 제2피스톤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제2피스톤의 밸브에 동일한 형상 및 배치를 갖는 고정입출공 및 제어입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피스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입출공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입출공과 상기 제어입출공의 어긋남 정도에 따른 입출공의 개폐량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서스펜션의 감쇠력이 효율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킥보드와 같은 이륜차에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의 고정입출공 및 제어입출공의 배치에 따른 입출공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제2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린더(100), 제2실린더(200), 작동유체(300), 피스톤(400), 충격감지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00)는 상기 제2실린더(200) 내부에 삽입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을 따라 왕복 직선 운동 하는 상기 피스톤(400)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0)는 상기 제2실린더(200)와의 이격 공간에 상기 작동유체(300)가 내부에 충전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00)는 후술할 제1로드(413)의 진입시 상기 작동유체(300)가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밸브(미도시)를 왕복하며 상기 제1실린더(100) 및 상기 제2실린더(200) 사이 틈새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실린더(200)는 상기 제1실린더(100)를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200)는 내부에 상기 제1실린더(100)가 삽입 장착되고, 상기 작동유체(300)가 충전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실린더(2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서스펜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상기 작동유체(300)인 오일과 가스가 분할된 상태로 충전되는 것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제1실린더(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300)는 상기 제1실린더(100)와 상기 제2실린더(200) 사이를 입출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후술할 고정입출공(412) 및 제어입출공(422)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상기 제1밸브(411) 및 상기 제2밸브(421)에 의해 유체저항을 발생시킨다.
상기 피스톤(400)은 상기 제1실린더(100) 내측면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00)은 제1피스톤(410) 및 상기 제1피스톤(410)에 삽입 장착되는 제2피스톤(4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피스톤(400)은 제1피스톤(410) 및 제2피스톤(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410)은 후술할 삽입공(414)을 포함하여 상기 삽입공(414)으로 상기 제2피스톤(42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피스톤(420)은 상기 제1피스톤(4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면 상태에 따라 제어되는 모터(700)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작동유체(300)가 입출하는 입출공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피스톤(410)은 이중 구조로 구성된 상기 피스톤(400)의 외부에 배치고 중심부에 상기 제2피스톤(420)이 삽입되는 삽입공(414)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피스톤(410)은 제1밸브(411), 고정입출공(412), 제1로드(413) 및 삽입공(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411)는 상기 제1피스톤(4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후술할 제2밸브(421)와 함께 상기 제1실린더(100) 내주면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밸브(411)는 상기 제1실린더(100)와 직경이 동일하거나 소정으로 작은 원판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유체(300)의 압력을 받아 상기 제1실린더(100) 내부를 왕복 직선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밸브(411)는 후술할 제2밸브(421)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밸브(421)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한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고정입출공(412)은 상기 제1밸브(411)의 둘레를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입출공(412)은 상기 제1밸브(411)에 구비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입출공(422)과 동일한 형상 및 배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입출공(4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유체(300)가 입출되는 입출공의 개폐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입출공(412)은 회전이나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맞닿아 있는 제어입출공(4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유체(300)가 입출되는 입출공의 개폐량이 조절되어 노면 상태에 적합한 감쇠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고정입출공(412)은 상기 제어입출공(422)과 맞닿아 있도록 구비되고 노면의 거칠기에 따라 필요한 감쇠력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입출공(422)의 회전에 의해 완전한 개방, 일부분의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1로드(413)는 상기 제1밸브(411)를 고정하는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로드(413)는 일단이 상기 제1밸브(4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결되어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밸브(411)와 연통되어 통공된 상기 삽입공(414)에 의해 후술할 제2로드(423)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로드(413)는 내부에 제2로드(423)가 삽입된 상태로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되어 압축 또는 인장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삽입공(414)은 상기 제1밸브(411)와 상기 제1로드(413)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통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공(414)은 통공된 홀 형상으로 상기 제2로드(423)가 상기 제1피스톤(4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공(414)은 상기 제2로드(423)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직경이 상기 제2로드(423)의 직경과 유사하거나 소정으로 작게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2피스톤(420)은 상기 제1피스톤(410)에 삽입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피스톤(420)은 상기 제1피스톤(410)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1)의 피스톤(400)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피스톤(410)에 삽입되어 상기 제1피스톤(410)과 함께 상기 제1실린더(100) 내주면을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피스톤(420)은 제2밸브(421), 제어입출공(422) 및 제2로드(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밸브(421)는 상기 제2피스톤(420)의 일단에 구비되는 원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밸브(411)와 함께 상기 제1실린더(100) 내주면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밸브(421)는 상기 제1실린더(100)와 직경이 동일하거나 소정으로 작은 원판형 또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유체(300)의 압력을 받아 상기 제1실린더(100) 내부를 왕복 직선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밸브(421)는 상기 제1밸브(411)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밸브(411)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한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입출공(422)은 상기 제2밸브(421)의 둘레를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입출공(422)은 상기 제2밸브(421)에 구비되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통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동일한 형상 및 배치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700)의 작동으로 인한 상기 제2로드(423)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유체(300)가 입출되는 입출공의 개폐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어입출공(422)은 노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로드(423)의 회전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여 상기 고정입출공(412)과의 겹침이나 어긋나는 정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입출공(422)은 필요 감쇠력에 따라 회전이나 이동함으로써 맞닿아 있는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겹침, 일부 어긋남 또는 어긋남 상태가 단계별로 수행되어 상기 작동유체(300)가 입출되는 입출공의 개폐량이 조절되어 상기 서스펜션(1)이 노면 상태에 적합한 감쇠력을 갖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제어입출공(422)은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맞닿아 있도록 구비되고 노면의 거칠기에 따라 필요한 감쇠력이 구현될 수 있도록 단계별 회전에 의해 완전한 개방, 일부분의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제2로드(423)는 상기 제2밸브(421)를 고정하고 상기 삽입공(414)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로드(423)는 일단이 상기 제2밸브(4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결되어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4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로드(423)는 상기 제1밸브(411) 및 상기 제1로드(413)에 삽입된 상태로 차량의 차체측 또는 차륜측에 연결되어 압축 또는 인장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로드(423)는 상기 모터(70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700)의 작동으로 일정 각도 회전 또는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로드(423)는 상기 충격감지부(500)에서 감지된 노면의 거친 정도를 후술할 노면조도분류모듈(610)에서 도출한 신호를 전송받은 후술할 개폐량제어모듈(62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700)가 작동하여 상기 모터(70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로드(423)는 노면상태에 적합한 개폐량 즉,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상기 제어입출공(422)이 맞닿아 형성하는 상기 작동유체(300)의 입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모터(70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로드(423)는 일측에 상기 제2로드(423)를 단계별로 회전시키는 모터(7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터(700)는 상기 제2피스톤(420)을 일정 각도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상기 충격감지부(500)는 노면의 거칠기를 센싱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격감지부(500)는 주행 중인 노면의 거친 정도 즉, 노면 조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감지된 센서를 상기 제어부(700)에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700)가 노면에 적합한 감쇠력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70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감지부(500)는 노면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 즉, 자이로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감지부(500)는 지구중력을 기준으로 노면의 경사각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노면의 경사각을 디지털 값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충격감지부(500)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터(7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충격감지부(500)에서 센싱한 노면의 거칠기 값을 전송받아 상기 값으로 노면의 상태를 거칠기에 따라 기설정된 다수개의 단계로 분류하고, 각단계에 적합화된 감쇠력을 갖을 수 있도록 상기 제2로드(423)를 회전시켜 상기 제어입출공(422)과 상기 고정입출공(412)에 의한 상기 작동유체(300)의 입출을 위한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는 노면조도분류모듈(610) 및 개폐량제어모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면조도분류모듈(610)은 상기 충격감지부(500)에서 신호를 전송받아 노면의 거친 정도를 다수개의 단계로 분류하는 모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면조도분류모듈(610)은 노면의 거칠기를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3개 혹은 그 이상의 단계로 분류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충격감지부(500)에서 감지된 값으로 노면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노면조도분류모듈(610)은 노면의 거친정도에 따라 노면이 보도블록, 아스팔트 또는 이보다 매끈한 노면인지를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에 따라 보도블록은 1단계, 아스팔트는 2단계, 매끈한 노면 상태를 3단계로 분류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로 전송하여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이 각단계별로 적합한 개폐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은 상기 단계에 따라 상기 모터(7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상기 제어입출공(422)의 개폐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은 감쇠력이 많이 필요한 보도블록단계 즉, 1단계일 때는 상기 제2로드를 회전시켜 상기 제어입출공(422)이 상기 고정입출공(412)과 갭쳐져 입출공이 완전히 개방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모터(700)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은 감쇠력이 비교적 적게 필요한 매끈한 노면 단계 즉, 3단계일 때는 상기 제2로드(423)를 상기 제어입출공(422)과 상기 고정입출공(412)이 어긋나 입출공이 폐쇄될 수 있는 각도로 상기 모터(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은 아스팔트 단계 즉, 2단계인 중간 거칠기 정도에서는 이에 맞는 감쇠력을 갖도록 상기 입출공의 일부가 개방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모터(700)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량제어모듈(620)은 사륜차와는 달리 다양한 노면 즉, 아스팔트 , 인도, 매끈한 블록이 깔린 도로 또는 흙으로 덮힌 도로등 다양한 형태의 도로를 주행하는 킥보드와 같은 이륜차에 적합한 충격제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에 의하면, 실린더 내의 피스톤을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삽입되는 제2피스톤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제2피스톤의 밸브에 동일한 형상 및 배치를 갖는 고정입출공 및 제어입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피스톤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어입출공이 회전하여 상기 고정입출공과 상기 제어입출공의 어긋남 정도에 따른 입출공의 개폐량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도 서스펜션의 감쇠력이 효율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킥보드와 같은 이륜차에 장착이 용이하면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100 : 제1실린더 200 : 제2실린더
300 : 작동유체 400 : 피스톤
410 : 제1피스톤 411 : 제1밸브
412 : 고정입출공 413 : 제1로드
414 : 삽입공 420 : 제2피스톤
421 : 제2밸브 422 : 제어입출공
423 : 제2로드 500 : 충격감지부
600 : 제어부 610 : 노면조도분류모듈
620 : 개폐량제어모듈 700 : 모터

Claims (6)

  1.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를 이격된 상태로 둘러싸는 제2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사이를 입출하는 작동유체; 및
    상기 제1실린더 내측면을 따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제1피스톤; 및
    상기 제1피스톤에 삽입 장착되는 제2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은,
    일단에 구비되는 원판형의 제1밸브; 및
    상기 제1밸브의 둘레를 따라 천공되는 다수개의 고정입출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피스톤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밸브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밸브; 및
    상기 제2밸브의 둘레를 따라 천공되며, 상기 고정입출공과 배치 및 형상이 동일한 다수개의 제어입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제1밸브를 고정하는 길이 방향의 제1로드; 및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1로드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피스톤은,
    상기 제2밸브를 고정하고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길이 방향의 제2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노면의 거칠기를 센싱하는 충격감지부;
    상기 제2피스톤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충격감지부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신호를 전송받아 노면의 거친 정도를 다수개의 단계로 분류하는 노면조도분류모듈; 및
    상기 단계에 따라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고정입출공과 상기 제어입출공의 배치 상태에 따른 개폐량을 조절하는 개폐량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5. 삭제
  6. 삭제
KR1020200152208A 2020-11-13 2020-11-13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KR102410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08A KR102410227B1 (ko) 2020-11-13 2020-11-13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208A KR102410227B1 (ko) 2020-11-13 2020-11-13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58A KR20220065558A (ko) 2022-05-20
KR102410227B1 true KR102410227B1 (ko) 2022-06-20

Family

ID=8180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208A KR102410227B1 (ko) 2020-11-13 2020-11-13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2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171A (ja) 2011-01-12 2012-08-02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ダンパ
CN105226910A (zh) 2015-10-21 2016-01-06 天津大学 一种汽车减振器振动能量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1818B2 (ja) * 1996-03-26 2006-05-3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KR100435344B1 (ko) * 2001-12-18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서스펜션 장치의 쇽 업소버
KR100482108B1 (ko) 2002-09-10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가변 감쇠력을 가지는 쇽업소오버
KR101897071B1 (ko) * 2016-05-17 2018-09-12 자동차부품연구원 에너지 회생 및 서스펜션 제어가 가능한 휠 서스펜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5171A (ja) 2011-01-12 2012-08-02 Honda Motor Co Ltd 減衰力可変ダンパ
CN105226910A (zh) 2015-10-21 2016-01-06 天津大学 一种汽车减振器振动能量回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558A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448C (zh) 对流量、加速度敏感的减震器
US7273138B2 (en) Damping force variable valve and shock absorber using same
US5293968A (en) Dual-tube shock absorber
KR100527732B1 (ko) 공압 현가장치
US10919595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CN102996698A (zh) 缓冲器
CN103836108B (zh) 压力缓冲设备和悬挂设备
US20120279815A1 (en) Shock absorber
WO2017057214A1 (ja) シリンダ装置
KR102410227B1 (ko) 감쇠력 가변이 가능한 이륜차 서스펜션
US11649873B1 (en) User-adjustable multi-stage shock absorbers
KR100769523B1 (ko)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RU2319620C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рессора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165057B1 (ko) 차량의 현가 시스템
KR100776565B1 (ko)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JP3198843B2 (ja) 減衰力可変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0623276B1 (ko) 감쇠력가변식 쇼크업소버
KR200178173Y1 (ko) 차량용 완충기
KR20090100545A (ko) 쇽업소버
KR100482143B1 (ko) 감쇠력 제어수단을 갖춘 차량용 쇽업소버
JPH08170681A (ja) セルフポンピング式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7127200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50093179A (ko) 차고 조정식 쇽업소버
KR101719335B1 (ko) 비저항성 에어 서스펜션 장치
KR20050048825A (ko) 차량용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