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887B1 -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 Google Patents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887B1
KR102409887B1 KR1020220020909A KR20220020909A KR102409887B1 KR 102409887 B1 KR102409887 B1 KR 102409887B1 KR 1020220020909 A KR1020220020909 A KR 1020220020909A KR 20220020909 A KR20220020909 A KR 20220020909A KR 102409887 B1 KR102409887 B1 KR 10240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module
support
opening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곤
Original Assignee
(주)씨케이에스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케이에스감리단 filed Critical (주)씨케이에스감리단
Priority to KR102022002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4Jacks with screw an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면에 노출된 맨홀뚜껑을 지면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한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는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된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조절개구와 연통되는 받침개구가 관통 형성된 뚜껑받침모듈의 설치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하는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이고, 조절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조절베이스모듈에 돌출 형성되고 중심 부분에 고정나사부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고정실린더부재와, 고정실린더부재와 마주보도록 받침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뚜껑받침모듈에 관통 형성되는 조절관통부와, 조절관통부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 부분에 조절나사부가 관통 형성되는 조절지지부재와, 고정실린더부재의 고정나사부와 조절지지부재의 조절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HEIGH AND INCLINATION ADJUSTMENT DEVICE OF MANHOLE LID AND MANHOLE ASSEMBLY EQUIPPED WITH THIS}
본 발명은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면에 노출된 맨홀뚜껑을 지면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한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의 상하도 및 전기통신 관로 등을 검사하거나 청소하기 위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지면에 마련된 것으로, 매설된 배관의 굵기나 방향이 전환되는 곳이나 기점, 교차점, 길이가 긴 직선부의 중간 등에 설치된다. 맨홀은 입구가 지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나 인도를 보행하는 행인의 통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해 맨홀뚜껑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맨홀들은 대부분이 지면 상에 형성된 맨홀의 상부 측에서 맨홀뚜껑이 지면에서 돌출되지 않고 지면과 수평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맨홀뚜껑은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안전과 보행하는 행인의 안정 등의 이유로 포장이 완료된 도로의 지면과 일치하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반 침하현상으로 도로가 유실되거나 파손되어 도로의 평탄작업을 위해 지면에 대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지면의 높이가 상승되어 기존 맨홀의 높이와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면의 높이가 맨홀의 높이와 어긋나거나 도로가 경사진 경우 또는 바닥면의 경사가 1도 내지 2도만 각도가 틀어져서 기울어져도 맨홀의 중심 센터가 비틀어지고, 작업통로가 형성된 맨홀프레임 간의 결합부에 틈새가 발생하고, 틈새 사이로 누수가 발생하며, 이물질과 오수 등이 스며들어서 작업자가 다니는 통로가 폐쇄되거나 악취로 인하여 작업을 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맨홀프레임의 내측 결합 부분에서는 한쪽으로 기울어진 맨홀 프레임에 의해 일방향의 가압 하중이 크게 발생하고, 기울어진 측의 맨홀프레임이 일부분을 큰 하중으로 누르게 됨에 따라 맨홀프레임이 찌그러져서 사용이 불가능하여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로의 높이 및 경사도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그때마다 맨홀을 다시 설치하여야 하므,로 이러한 재설치 작업도 번거롭고 복잡하였고, 작업기간 등의 장기화로 인하여 보수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810호 (발명의 명칭 : 맨홀 구조체의 경사조절장치, 2021. 10. 1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면에 노출된 맨홀뚜껑을 지면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키기 위한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는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된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조절개구와 연통되는 받침개구가 관통 형성된 뚜껑받침모듈의 설치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하는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이고, 상기 조절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에 돌출 형성되고, 중심 부분에 고정나사부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고정실린더부재; 상기 고정실린더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받침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뚜껑받침모듈에 관통 형성되는 조절관통부; 상기 조절관통부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 부분에 조절나사부가 관통 형성되는 조절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실린더부재의 고정나사부와 상기 조절지지부재의 조절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관통부는, 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삽탈홀부; 및 상기 삽탈홀부가 연통되되, 상기 삽탈홀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걸림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지지부재는, 상기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걸림홀부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삽탈홀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림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거나 상기 걸림홀부의 폭 방향을 축으로 상기 걸림홀부에서 회전 가능한 조절걸림레버; 및 상기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조절걸림레버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탈홀부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삽탈홀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삽탈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조절제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홀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조절걸림레버의 길이는, 상기 삽탈홀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걸림홀부의 폭과 같거나 작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조립체는 출입개구가 형성된 맨홀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출입개구와 연통되는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조절베이스모듈;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개구와 연통되는 받침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뚜껑받침모듈; 상기 뚜껑받침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개구를 개폐하는 맨홀뚜껑; 및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뚜껑받침모듈의 설치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모듈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은, 상기 맨홀본체에 적층 결합되고, 상기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판 형상의 조절베이스부재; 및 상기 조절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뚜껑받침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조절날개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뚜껑받침모듈은,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개구 중 제1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판 형상의 받침베이스부재; 상기 맨홀뚜껑이 결합되도록 상기 받침개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받침베이스부재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받침개구 중 상기 제1개구와 연통되는 제2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관 형상의 뚜껑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베이스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받침날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조립체는 상기 조절베이스모듈과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받침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적층 지지되고, 상기 조절개구와 상기 받침개구를 연통시키는 유지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높이유지모듈; 상기 뚜껑받침모듈에 적층 지지되는 가림부재; 상기 조절베이스모듈과 상기 뚜껑받침모듈 사이의 공간을 폐쇄 또는 밀폐하기 위해 상기 조절베이스모듈과 상기 뚜껑받침모듈을 감싸는 커버모듈; 및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의 설치높이 또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맨홀본체와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을 연결시키고, 상기 출입개구와 상기 조절개구를 연통시키는 더미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더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에는, 상기 높이유지모듈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상기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유지가이드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뚜껑받침모듈의 하단부에는, 상기 뚜껑받침모듈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유지모듈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가 포함되며, 상기 높이유지모듈은, 상기 유지가이드부재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유지개구가 관통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높이유지부재; 및 상기 높이유지부재의 상단부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회전지지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안착부가 형성되는 받침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의 상부와 상기 뚜껑받침모듈의 하부를 감싸도록 밴드 형상 또는 중공관 형상을 나타내는 탄성커버부재;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의 상부에 상기 탄성커버부재의 하부를 접촉 또는 밀착시키는 조절결합부재; 및 상기 뚜껑받침모듈의 하부에 상기 탄성커버부재의 상부를 접촉 또는 밀착시키는 받침결합부재;를 포함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에 따르면, 지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면에 노출된 맨홀뚜껑을 지면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반 침하현상으로 도로가 유실되거나 파손되어 도로의 평탄작업을 위해 지면에 대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하더라도, 지면과 맨홀뚜껑을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의 높이가 맨홀조립체의 높이와 어긋나거나 도로가 경사진 경우 또는 맨홀조립체의 바닥면의 경사각이 틀어지더라도 맨홀조립체의 중심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작업통로를 형성하는 모듈들 사이를 안정되게 밀폐시키며, 모듈들 사이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며, 작업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조립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분산 지지하면서도 맨홀조립체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의 높이 및 경사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모듈을 교체하지 않고, 지면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고, 작업을 단순화시키며, 신속한 유지보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조립체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과정에서 모듈들의 재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베이스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본체와의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작업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커버모듈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받침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뚜껑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작업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커버모듈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선행문헌에 비해 높이조절 및 경사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관통부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조절지지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조절지지부재가 조절관통부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지지부재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관통부에서 조절지지부재의 구속력을 향상시키고, 조절지지부재가 조절관통부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지지부재의 형상적 특징을 통해 조절걸림부재는 걸림홀부에서 조절제한부재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볼트와 조절지지부재 사이의 나사 결합을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유지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의 유동성을 제한하는 한편,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조절된 뚜껑받침모듈의 높이조절 상태 및 경사조절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유지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베이스모듈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유지모듈과 뚜껑받침모듈 사이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는 한편, 높이유지모듈에서 뚜껑받침모듈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림부재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조립체의 상부에서 조절베이스모듈과 뚜껑받침모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모듈의 유지보수 및 재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모듈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조립체의 둘레에서 조절베이스모듈과 뚜껑받침모듈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모듈의 유지보수 및 재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모듈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베이스모듈과 탄성커버부재 사이의 결합력 및 뚜껑받침모듈과 탄성커버부재 사이의 결합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조절된 뚜껑받침모듈의 배치 구조에 상관없이 맨홀조립체의 둘레에서 조절베이스모듈과 뚜껑받침모듈 사이를 안정되게 폐쇄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조절베이스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높이조절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뚜껑받침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조절모듈의 조절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정단면을 나타내고, (b)는 평단면을 나타내며, (c)는 측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지면의 상승에 따라 맨홀뚜껑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맨홀뚜껑이 경사진 제1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에서 지면의 경사에 따라 맨홀뚜껑이 경사진 제2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는 맨홀본체(10)에 결합되고, 맨홀본체(10)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 및 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맨홀뚜껑(60)의 설치높이 및 경사각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는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과, 맨홀뚜껑(60)과, 조절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베이스모듈(20)은 출입개구(11)가 형성된 맨홀본체(10)에 결합된다. 조절베이스모듈(20)에는 출입개구(11)와 연통되는 조절개구(211)가 관통 형성된다.
조절베이스모듈(20)은 맨홀본체(10)에 적층 결합되고 조절개구(211)가 관통 형성되는 판 형상의 조절베이스부재(21)와, 조절베이스부재(21)의 가장자리에서 뚜껑받침모듈(4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조절날개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날개부재(23)에는 커버모듈(80)의 탄성커버부재(81)가 적층 지지되도록 한다.
조절베이스모듈(20)은 높이유지모듈(3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조절개구(211)가 관통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유지가이드부재(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가이드부재(22)는 조절베이스부재(21)의 중심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뚜껑받침모듈(40)은 조절베이스모듈(20)의 상부에 배치된다. 뚜껑받침모듈(40)은 조절베이스모듈(20)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조절모듈(70)을 매개로 조절베이스모듈(20)과 결합되도록 한다. 뚜껑받침모듈(40)에는 조절개구(211)와 연통되는 받침개구가 관통 형성된다.
뚜껑받침모듈(40)은 조절베이스모듈(20)의 상부에 배치되고 받침개구 중 제1개구(411)가 관통 형성되는 판 형상의 받침베이스부재(41)와, 맨홀뚜껑(60)이 결합되도록 받침개구의 가장자리에서 받침베이스부재(41)의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받침개구 중 제1개구(411)와 연통되는 제2개구(421)가 관통 형성되는 중공관 형상의 뚜껑받침부재(42)와, 받침베이스부재(41)의 가장자리에서 조절베이스모듈(20)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받침날개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받침모듈(40)에서 받침베이스부재(41)의 하단부에는 뚜껑받침모듈(40)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높이유지모듈(30)의 상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부(43)가 포함되어 높이유지모듈(30)과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뚜껑받침부재(42)의 상단부에는 맨홀뚜껑(60)이 끼움 결합되는 뚜껑안착부(422)가 포함될 수 있다.
받침날개부에는 커버모듈(80)의 탄성커버부재(81)가 적층 지지되도록 한다.
맨홀뚜껑(60)은 뚜껑받침모듈(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받침개구를 개폐한다. 맨홀뚜껑(60)은 뚜껑받침모듈(40)에 구비된 뚜껑안착부(422)에 끼움 결합되어 받침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조절모듈(70)은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40)의 설치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한다. 조절모듈(7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60)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뚜껑(60)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는 고정실린더부재(71)와, 조절관통부(72)와, 조절지지부재(73)와, 조절볼트(7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실린더부재(71)는 조절개구(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조절베이스모듈(20)에 돌출 형성된다. 고정실린더부재(71)의 중심 부분에는 고정나사부(711)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어 조절볼트(76)의 나사 결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고정실린더부재(71)가 뚜껑받침모듈(40)의 받침베이스부재(4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경우, 조절베이스부재(21)에 구비되는 조절지지부재(73)의 마모 또는 파손을 초래하므로, 고정실린더부재(7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베이스모듈(20)에서 조절베이스부재(2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관통부(72)는 고정실린더부재(71)와 마주보도록 받침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뚜껑받침모듈(40)에 관통 형성된다.
조절관통부(7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삽탈홀부(721)와, 삽탈홀부(721)가 연통되되 삽탈홀부(72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걸림홀부(7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절지지부재(73)는 삽탈홀부(721)의 길이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절지지부재(73)는 걸림홀부(722)에서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걸림홀부(722)에서의 회전에 대응하여 삽탈홀부(721)에서는 선회하는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조절지지부재(73)는 조절관통부(72)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절지지부재(73)의 중심 부분에는 조절나사부(731)가 관통 형성되어 조절볼트(76)의 나사 결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조절지지부재(73)는 조절걸림레버와, 조절제한부재(7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걸림레버는 조절나사부(731)가 구비된 상태로 걸림홀부(722)에 끼움 결합된다. 조절레버는 뚜껑받침모듈(40)의 설치높이 또는 경사각에 대응하여 삽탈홀부(721)의 길이 방향으로 걸림홀부(72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거나 걸림홀부(722)의 폭 방향을 제한축으로 걸림홀부(722)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특히, 걸림홀부(722)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조절걸림레버의 길이는 삽탈홀부(721)의 폭보다 크고 걸림홀부(722)의 폭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므로, 조절걸림레버는 걸림홀부(722)에서 조절제한부재(75)를 축으로 기설정된 예각 이내에서 피벗 운동은 가능할지라도, 조절제한부재(75)를 축으로 기설정된 예각 이상으로는 회전되지 않게 되므로, 조절나사부(731)에서 조절볼트(76)의 나사 결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조절제한부재(75)는 조절나사부(731)가 구비된 상태로 조절걸림레버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삽탈홀부(721)에 끼움 결합된다. 조절제한부재(75)는 뚜껑받침모듈(40)의 설치높이 또는 경사각에 대응하여 삽탈홀부(721)의 길이 방향으로 삽탈홀부(721)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제한축을 중심으로 하는 조절걸림레버의 회전에 대응하여 조절제한부재(75)는 삽탈홀부(7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한축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제한각 이내에서 선회 가능하다.
조절볼트(76)는 고정실린더부재(71)의 고정나사부(711)와 조절지지부재(73)의 조절나사부(731)에 나사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조절볼트(76)에는 머리부가 생략됨에 따라 조절볼트(76)의 나사 결합 과정에서 조절볼트(76)의 상단부가 조절지지부재(73)에 삽입될 수 있고, 조절볼트(76)를 이용한 조절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조립체는 높이유지모듈(30)과, 가림부재(50)와, 커버모듈(80)과, 더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유지모듈(30)은 조절베이스모듈(20)과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뚜껑받침모듈(40)이 회전 가능하게 적층 지지되도록 한다. 높이유지모듈(30)에는 조절개구(211)와 받침개구를 연통시키는 유지개구(311)가 관통 형성된다.
높이유지모듈(30)은 조절베이스모듈(20)에 구비된 유지가이드부재(22)와 나사 결합되되 유지개구(311)가 관통 형성된 중공관 형상의 높이유지부재(31)와, 높이유지부재(31)의 상단부에 링 형상으로 구비되되 뚜껑받침모듈(40)에 구비된 회전지지부(43)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안착부가 형성되는 받침지지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높이유지모듈(30)은 유지가이드부재(22)와의 나사 결합량을 조절함에 따라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뚜껑받침모듈(40)을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지지부(43)와 회전안착부는 도 8과 도 9에 도시된 점선원의 원호와 일치되도록 호 형상을 나타내므로, 높이유지모듈(30)은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회전된 뚜껑받침모듈(40)의 회전 상태를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다.
가림부재(50)는 뚜껑받침모듈(40)의 상부에 적층 지지된다. 가림부재(50)는 조절모듈(70)의 조절관통부(72)를 폐쇄 또는 밀폐함에 따라 조절관통부(7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림부재(50)는 뚜껑받침부재(42)가 통과하는 받침통과부(501)가 관통 형성된 판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통해 뚜껑받침모듈(40)의 상부에서 조절관통부(72)를 폐쇄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커버모듈(80)은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 사이의 공간을 폐쇄 또는 밀폐하기 위해 탄성을 가지고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을 감싼다. 커버모듈(80)은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의 둘레에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모듈(80)은 조절베이스모듈(20)의 상부와 뚜껑받침모듈(40)의 하부를 감싸도록 밴드 형상 또는 중공관 형상을 나타내는 탄성커버부재(81)와, 조절베이스모듈(20)의 상부에 탄성커버부재(81)의 하부를 접촉 또는 밀착시키는 조절결합부재(83)와, 뚜껑받침모듈(40)의 하부에 탄성커버부재(81)의 상부를 접촉 또는 밀착시키는 받침결합부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커버부재(81)는 탄성을 가지고 조절베이스모듈(20)의 상부인 조절날개부재(23)와 뚜껑받침모듈(40)의 하부인 받침날개부재(44)를 감싸므로, 이들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커버부재(81)는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경사진 뚜껑받침모듈(40)의 경사 상태에 대응하여 재단할 수 있다.
조절결합부재(83)에는 조절결합부(831)가 구비되어 조절결합부재(83)의 밴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받침결합부재(82)에는 받침결합부(821)가 구비되어 받침결합부재(82)의 밴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더미부재는 조절베이스모듈(20)의 설치높이 또는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맨홀본체(10)와 조절베이스모듈(20)을 연결시킨다. 더미부재에는 출입개구(11)와 조절개구(211)를 연통시키는 더미개구가 관통 형성된다.
조절모듈(70)의 경사 조절각이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 더미부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본체(10)와 조절베이스모듈(20) 사이에 결합할 수 있다.
맨홀본체(10)의 매립 깊이가 조절모듈(70)의 높이 조절량이 한계보다 큰 경우, 도시되지 않았지만, 더미부재는 맨홀본체(10)와 조절베이스모듈(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맨홀뚜껑(60)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에 따르면, 지면의 형태에 대응하여 지면에 노출된 맨홀뚜껑(60)을 지면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하중에 의한 지반 침하현상으로 도로가 유실되거나 파손되어 도로의 평탄작업을 위해 지면에 대한 덧씌우기 작업을 실시하더라도, 지면과 맨홀뚜껑(60)을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지면의 높이가 맨홀조립체의 높이와 어긋나거나 도로가 경사진 경우 또는 맨홀조립체의 바닥면의 경사각이 틀어지더라도 맨홀조립체의 중심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작업통로를 형성하는 모듈들 사이를 안정되게 밀폐시키며, 모듈들 사이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며, 작업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맨홀조립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안정되게 분산 지지하면서도 맨홀조립체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면의 높이 및 경사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모듈을 교체하지 않고, 지면의 높이 및 경사를 조절하고, 작업을 단순화시키며, 신속한 유지보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맨홀조립체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지보수 과정에서 모듈들의 재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절베이스모듈(2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본체(10)와의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작업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커버모듈(80)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뚜껑받침모듈(4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뚜껑(60)을 안정되게 지지하고, 작업통로를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커버모듈(80)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모듈(7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선행문헌에 비해 높이조절 및 경사조절을 위한 조작을 간편하게 하고,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40)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4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관통부(72)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조절지지부재(73)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조절지지부재(73)가 조절관통부(72)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지지부재(73)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관통부(72)에서 조절지지부재(73)의 구속력을 향상시키고, 조절지지부재(73)가 조절관통부(72)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지지부재(73)의 형상적 특징을 통해 조절걸림부재(74)는 걸림홀부(722)에서 조절제한부재(75)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볼트(76)와 조절지지부재(73) 사이의 나사 결합을 명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유지모듈(30)의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뚜껑받침모듈(40)의 유동성을 제한하는 한편,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조절된 뚜껑받침모듈(40)의 높이조절 상태 및 경사조절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유지모듈(3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베이스모듈(20)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높이유지모듈(30)과 뚜껑받침모듈(40) 사이의 접촉 면적을 향상시키는 한편, 높이유지모듈(30)에서 뚜껑받침모듈(4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림부재(5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조립체의 상부에서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모듈(70)의 유지보수 및 재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모듈(80)의 결합 관계를 통해 맨홀조립체의 둘레에서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절모듈(70)의 유지보수 및 재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모듈(80)의 세부 결합 관계를 통해 조절베이스모듈(20)과 탄성커버부재(81) 사이의 결합력 및 뚜껑받침모듈(40)과 탄성커버부재(81) 사이의 결합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조절베이스모듈(20)을 기준으로 조절된 뚜껑받침모듈(40)의 배치 구조에 상관없이 맨홀조립체의 둘레에서 조절베이스모듈(20)과 뚜껑받침모듈(40) 사이를 안정되게 폐쇄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맨홀본체 11: 출입개구 20: 조절베이스모듈
21: 조절베이스부재 211: 조절개구 22: 유지가이드부재
23: 조절날개부재 30: 높이유지모듈 31: 높이유지부재
311: 유지개구 32: 받침지지부재 40: 뚜껑받침모듈
41: 받침베이스부재 411: 제1개구 42: 뚜껑받침부재
421: 제2개구 422: 뚜껑안착부 43: 회전지지부
44: 받침날개부재 50: 가림부재 501: 받침통과부
60: 맨홀뚜껑 70: 조절모듈 71: 고정실린더부재
711: 고정나사부 72: 조절관통부 721: 삽탈홀부
722: 걸림홀부 73: 조절지지부재 731: 조절나사부
74: 조절걸림부재 75: 조절제한부재 76: 조절볼트
80: 커버모듈 81: 탄성커버부재 82: 받침결합부재
821: 받침결합부 83: 조절결합부재 831: 조절결합부

Claims (6)

  1.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된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조절개구와 연통되는 받침개구가 관통 형성된 뚜껑받침모듈의 설치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하는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이고,
    상기 조절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조절베이스모듈에 돌출 형성되고, 중심 부분에 고정나사부가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고정실린더부재;
    상기 고정실린더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받침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뚜껑받침모듈에 관통 형성되는 조절관통부;
    상기 조절관통부에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심 부분에 조절나사부가 관통 형성되는 조절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실린더부재의 고정나사부와 상기 조절지지부재의 조절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관통부는,
    지면의 경사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삽탈홀부; 및
    상기 삽탈홀부가 연통되되, 상기 삽탈홀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지지부재는,
    상기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걸림홀부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삽탈홀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걸림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거나 상기 걸림홀부의 폭 방향을 축으로 상기 걸림홀부에서 회전 가능한 조절걸림레버; 및
    상기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상태로 상기 조절걸림레버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탈홀부에 끼움 결합되되, 상기 삽탈홀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삽탈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조절제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홀부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조절걸림레버의 길이는,
    상기 삽탈홀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걸림홀부의 폭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출입개구가 형성된 맨홀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출입개구와 연통되는 조절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조절베이스모듈;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개구와 연통되는 받침개구가 관통 형성되는 뚜껑받침모듈;
    상기 뚜껑받침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받침개구를 개폐하는 맨홀뚜껑; 및
    상기 조절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뚜껑받침모듈의 설치높이와 경사각을 조절하는 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모듈은,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조립체.


KR1020220020909A 2022-02-17 2022-02-17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KR10240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09A KR102409887B1 (ko) 2022-02-17 2022-02-17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909A KR102409887B1 (ko) 2022-02-17 2022-02-17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887B1 true KR102409887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909A KR102409887B1 (ko) 2022-02-17 2022-02-17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45Y1 (ko) * 2008-04-16 2009-05-14 장기문 높낮이 조절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20120016566A (ko) * 2010-08-16 2012-02-24 황인성 맨홀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2193143B1 (ko) * 2020-05-12 2020-12-18 계원토건 주식회사 맨홀용 각도 및 높이 조절장치
KR102313810B1 (ko) 2020-07-30 2021-10-15 선철원 맨홀 구조체의 경사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45Y1 (ko) * 2008-04-16 2009-05-14 장기문 높낮이 조절 및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맨홀
KR20120016566A (ko) * 2010-08-16 2012-02-24 황인성 맨홀의 경사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KR102193143B1 (ko) * 2020-05-12 2020-12-18 계원토건 주식회사 맨홀용 각도 및 높이 조절장치
KR102313810B1 (ko) 2020-07-30 2021-10-15 선철원 맨홀 구조체의 경사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3883B2 (en) Integrated frame and cover system
US4454039A (en) Frame and cover members for constructing apertures in road surfaces
AU2013346862B2 (en) Closure for locking a covering
FR2611071A1 (fr) Panneau lumineux pour publicite au sol
US4281944A (en) Manhole cover support
US10233609B2 (en) Floating manhole cover assembly
US20070081857A1 (en) Four parts manhole enabling an easy install and height adjustment
US5899024A (en) Manhole adjustment ring
US5732512A (en) Manhole opening structure
KR102409887B1 (ko) 맨홀뚜껑의 높이 및 경사 조절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맨홀조립체
KR20110093249A (ko) 압력 조절체를 갖는 맨홀 덮개
EP3231945A1 (fr) Regard pour réseau souterrain
US9121157B2 (en) Manhole riser extension assembly
KR100966491B1 (ko) 차수문의 경첩결합구조
KR102225833B1 (ko) 잠금형 방수 맨홀뚜껑
KR102062807B1 (ko) 맨홀용 보수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는 맨홀 보수방법
EP0587971B1 (fr) Clef de verrouillage pour couvercle de regard de chaussée
KR100746633B1 (ko) 맨홀
CZ9903199A3 (cs) Kryt pro šachty na ulicích a chodnících
KR200497164Y1 (ko) 맨홀에 구비되는 추락방지용 중간 덮개 잠금장치
KR20190061321A (ko) 개폐가 용이한 맨홀
KR101774935B1 (ko)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KR1011905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 뚜껑 조립체
KR102084709B1 (ko) 탄성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뚜껑
KR20090020254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