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846B1 -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846B1
KR102409846B1 KR1020200077608A KR20200077608A KR102409846B1 KR 102409846 B1 KR102409846 B1 KR 102409846B1 KR 1020200077608 A KR1020200077608 A KR 1020200077608A KR 20200077608 A KR20200077608 A KR 20200077608A KR 102409846 B1 KR102409846 B1 KR 10240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talyst
heat exchange
hydroge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846B9 (ko
KR20220000083A (ko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김윤구
신현수
황선덕
김용제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200077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8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6916 priority patent/WO2021261795A1/ko
Publication of KR2022000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846B1/ko
Publication of KR10240984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84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2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e.g. avoiding explosions, or improving the yield by suppressing side-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85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5/00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촉매 반응에 의해 물로 재결합하여 주는 촉매부와, 촉매부에서의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촉매부의 열을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APPARATUS FOR RECOMBINING HYDROGEN AND OXYGEN}
본 발명은 수소 재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학반응 후 발생하는 수소를 산소와 재결합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석에너지의 고갈로 인하여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중에서 지속 가능하며, 2차 오염이 적은 에너지로 수소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수소는 가스로 존재하는 만큼 사용, 저장 부분에 제약이 많으며, 유출 시에는 산소와 반응하여 폭발의 위험성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수소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 폭발한계 미만으로 또는 폭발한계를 초과하도록 처리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하거나 사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37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수소의 폭발범위 온도 이내로 관리하면서 수소와 산소가 혼합된 혼합가스 내에서 수소와 산소를 재결합하여 물을 생성하기 위한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는,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촉매 반응에 의해 물로 재결합하여 주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에서의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촉매부의 열을 상기 냉각부로 전달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수소와 산소를 촉매 반응으로 물로 재결합하여 수소가스를 안전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부는 열매체를 통과시키는 열매체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촉매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촉매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촉매부에서 발생하는 반응열을 냉각부로 열 전달하여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촉매부에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 핀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열교환핀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촉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핀부 몸체; 및 상기 핀부 몸체의 끝단에서 복수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촉매부에 접촉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촉매부의 반응열을 효과적으로 열전달하여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촉매부에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열교환 핀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촉매부 쪽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메인 열교환 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열교환 핀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서브 열교환 핀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열교환 면적으로 넓게 확보하여 촉매부의 반응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부는 수소와 산소의 산화 반응을 일으키며, 소수성을 가지는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수소와 산소 혼합가스에 수증기가 혼합되더라도 촉매부의 촉매 반응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촉매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에 수분을 공급하여 수소의 폭발 농도 범위에서 폭발을 방지하여 촉매 반응을 하도록 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수소가스의 폭발범위 농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촉매 반응을 하여 물로 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부의 혼합가스 이송경로 상에 촉매부와 열교환부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의 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 상기 수조 내부의 물속에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환기구 부; 및 상기 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부; 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혼합가스로 수분을 공급하여 수소가스가 폭발 농도 범위 내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촉매 반응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에 따르면, 수소 혼합가스의 사용에 있어서, 폭발범위를 벗어나도록 수소와 산소의 촉매 반응을 통해 물로 재결합하여 수소가스를 안전한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을 열교환 하여 냉각부로 회수함으로써, 반응열에 의한 촉매 반응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온도 상승으로 인한 수소가스 폭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가스에 수분을 공급하여 수소가스가 폭발범위 농도 내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촉매 반응을 일으켜서 물로 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촉매부와 열교환부 및 냉각부를 발췌하여 보인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촉매부와 열교환부 및 냉각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5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수분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는, 수소와 산소를 촉매 반응을 통해 물로 재결합하는 촉매부(100), 상기 촉매부(100)에서의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는 냉각부(200) 및 상기 촉매부(100)의 열을 상기 냉각부(200)로 전달하는 열교환부(300)를 구비한다.
상기 촉매부(100)와 상기 냉각부(200) 사이에 상기 열교환부(300)가 배치되어, 촉매부(100)에서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냉각부(200)로 전달되어 열교환 됨으로써, 수소가스의 폭발범위 이내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200)는 열교환부(300)의 중심에서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열매체 이송관(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열매체 이송관(210)은 열전달 효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환경에 따라서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매체 이송관(210)은 수소 혼합가스의 이동경로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거나, 상하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열매체 이송관(210)의 일단에는 열매체가 공급되는 입구(21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열교환된 열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13)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열매체 이송관(210) 주변에 상기 열교환부(300)가 밀착되어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촉매부(100)는 냉각부(20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링 또는 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열교환부(300)는 냉각부(200)와 촉매부(100) 사이에 배치되며, 대략 도넛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다만, 열교환부(300)는 공기 또는 수증기 등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로 다공성 형상이나 격자구조 즉, 다수의 유로를 가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열교환기(300)의 제1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300)는 냉각부(200)의 외주에 밀착되는 파이프형의 결합부(310), 상기 결합부(310)의 외측에서 상기 촉매부(100)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열교환 핀부(320)를 가진다. 상기 열교환 핀부(320)는 결합부(3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며, 끝단이 상기 촉매부(100)에 접촉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열교환 핀부(320) 사이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공기와 수증기 등의 유체가 유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 핀부(320)는 결합부(310)에서 끝단까지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판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0')는 파이프형의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열교환 핀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 핀부(320')는 결합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열교환 핀부(320')는 결합부(310)에 연결되는 핀부 몸체(321)와, 핀부 몸체(321)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분기부(323)를 가진다. 분기부(323)는 핀부 몸체(321)의 끝단에서 동일한 두께로 분기되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촉매부(100)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로써, 열교환 핀부(320)와 촉매부(100)의 접촉지점을 늘릴 수 있고, 열교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열교환부(300')의 분기부(323)는 핀부 몸체(321)의 길이보다 짧고, 한 쌍이 대칭되게 분기된 형상을 가진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300")는 냉각부(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부(310)와, 결합부(310)의 외측에서 촉매부(100) 쪽으로 향하도록 돌출되게 연장되는 열교환 핀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열교환 핀부(320")는 결합부(310)에 연결되는 핀부 몸체(321")와, 핀부 몸체(321")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분기부(323")를 가진다. 상기 분기부(323")는 핀부 몸체(321")에서 3가닥으로 분기되어 촉매부(100)에 접촉된다. 상기 분기부(323")는 핀부 몸체(321")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1300)은 냉각부(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부(1310)와, 결합부(1310)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연결되어 촉매부(100)에 접촉되는 메인 열교환 핀부(1320)와, 메인 열교환 핀부(1320) 사이마다 배치되는 서브 열교환 핀부(133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열교환 핀부(1320)는 결합부(1310)에 연결되는 핀부 몸체(1321)와, 핀부 몸체(1321)에서 복수로 분기되는 분기부(1323)를 가진다. 상기 분기부(1323)는 핀부 몸체(1321)에서 3가닥으로 분기되어 촉매부(100)에 접촉된다. 서브 열교환 핀부(1330)는 결합부(1310)의 외측에서 촉매부(100)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메인 열교환 핀부(1320) 사이에 교번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서브 열교환 핀부(1330)는 메인 열교환 핀부(1320)의 핀부 몸체(1321)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고, 핀부 몸체(132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열교환부(1300)는 유체의 이동통로를 확보하면서도, 유체와의 접촉면적, 즉 열교환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5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부(2300)는 냉각부(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부(2310)와, 결합부(2310)의 외측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열교환 핀부(1320)를 구비한다. 열교환 핀부(1320)는 촉매부(100) 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부(2310)에서부터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좋다. 이처럼, 열교환 핀부(1320)가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길이를 길게 확보하여 열교환 면적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열교환부(300,300',300",1300, 230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결합부와 열교환 핀부가 방열판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촉매부(100)는 소수성을 가지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수성을 가진 촉매는 소수성의 다공성 지지체, 예를 들어 소수성 제올라이트, 소수성 실리카, 소수성 카본을 이용한 촉매 또는 소수성을 부여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어, 불소 고분자 수지류, 유기 실란을 다공성 소재(제올라이트, 실리카, 카본, 티타니아, 세리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중 어느 하나)와 혼합하여 코팅한 촉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촉매의 소수성의 정도는 표면 접촉각을 90 내지 160도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수성을 가지는 촉매는 수소와 산소의 산화 반응 특성을 가지는 촉매로서, 바람직하게는 백금족 귀금속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백금과 산화 반응 특성을 갖는 철, 니켈, 코발트, 구리, 금, 은, 텅스텐 등의 촉매 물질을 이용하여 산화 반응 특성을 부여한 촉매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재결합장치는, 촉매부(100)로 공급되는 혼합가스로 수분을 공급하여 폭발 농도 범위 내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수분 공급부(5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분 공급부(500)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510), 상기 수조(510) 내의 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520), 수조(510) 내부의 물속에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디퓨져부(530), 수조(510)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54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510)는 상기 촉매부(100)와 열교환부(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공급되는 혼합가스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물이 일정 수위 수용된다. 또한, 상기 촉매부(100)와 열교환부(300)에서 생성된 물이 수조(510)로 흘러내려 수용된다.
상기 수위 조절부(520)는 수조(510) 내부에 위치되는 입구(521a)와, 수조(510) 외측에 위치되는 출구(521b)를 갖는 배관(521)을 구비한다. 입구(521a)와 출구(521b) 사이에는 소위 'U' 자형 절곡구간(52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조(510) 내의 물 수위가 입구(521a)보다 높아지면, 입구(521a)로 물이 유입되어 출구(521b)로 배출됨으로써, 일정 수위로 조절될 수 있고,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디퓨져부(530)는 수조(510) 내외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수소와 산소가 포함된 혼합가스를 공급받으며, 수조(510) 내부에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수조(510) 내부의 물속에서 혼합가스를 분출한다. 이러한 가스 디퓨져부(530)는 복수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부(540)는 수조(510)에 설치되어 수조(510) 내의 물을 일정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가열한다. 이러한 히터부(540)는 수조(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 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541)와, 수조(510)의 물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42), 온도센서(542)의 측정온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스위칭 되어 히터(541)로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543)를 구비한다. 스위칭부(543)는 온도에 따라서 스위칭 연결 및 단락되는 바이메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 재결합장치의 작용 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디퓨져부(530)를 통해서 수조(510) 내부로 공기와 수소 혼합가스를 공급한다. 그리고, 히팅부(540)를 구동하여 수조(510)의 물을 가열한다. 그러면, 수조(510)의 물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어 수증기가 발생하여 수조(510)의 상부에 위치한 촉매부(100)와 열교환부(300)로 공급된다. 또한, 수조(510) 내의 물속으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수분을 포함한 채로 상승하여 촉매부(100)로 이동된다.
이처럼 공급되는 혼합가스는 충분한 수분이 공급된 환경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수소 폭발 농도 범위에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 중 수소 가스 폭발 농도 범위는 LEL(Lower Explosion Limit) 3.75 Mol%, UEL(Upper Explosion Limit) 75.1 Mol%(ASTM E 681)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 수분 공급부(500)에서 혼합가스로 수분 즉, 수증기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폭발 농도 범위 내에서 폭발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기 중 수소와 공기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수소의 폭발 농도 범위는, 혼합가스 전체 부피에서 수증기의 부피가 약 35% 이상에서는 폭발(Detonation) 한계점을 벗어나게 되며, 약 60% 이상에서는 화재(Burn) 한계점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폭발 및 화재 한계점을 벗어날 수 있도록 수분 공급부(500)에서 혼합가스로 충분한 수분, 증기를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수소의 폭발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폭발 농도 범위 내의 수소가 포함된 혼합가스는 촉매부(100)에서 수소와 산소의 촉매 반응 때문에 재결합되어 물을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물은 수조(510)로 회수된다.
그리고 촉매부(100)에서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는 열교환부(300)를 통해서 냉각부(200)로 전달하여 줌으로써, 촉매 반응에 의한 열이 수소가스의 자연발화 온도 범위(500 ∼ 571℃)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촉매 반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열교환부(300)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냉각부(200)에는 수냉식 또는 공랭식으로 열매체를 순환시켜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촉매부(100)에서의 반응열을 열교환부(300)와 냉각부(200)를 이용하여 낮춰줌으로써, 반응열과 수분에 의한 촉매 반응 저하를 방지하고, 촉매 반응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촉매부(100)를 소수성 지지체의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열교환부(300) 및 수분 공급부(500)에서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촉매 반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가스를 가스 디퓨져부(530)를 이용하여 수조(510) 내의 물속에서 버블링시켜서 공급함으로써, 혼합가스에 수분이 효과적으로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촉매부 200..냉각부
300,300',300",1300,2300..열교환부 310,1310,2310..결합부
320,320',320",2320..열교환 핀부 1320..메인 열교환 핀부
1330..서브 열교환 핀부 500..수분 공급부
510..수조 520..수위 조절부
530..가스 디퓨져부 540..히팅부

Claims (12)

  1.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촉매 반응에 의해 물로 재결합할 때 수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소수성을 가지는 촉매부;
    상기 촉매부에서의 촉매 반응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촉매부와 결합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촉매부에서 발생한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열교환부와 결합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부는 불소 고분자 수지류, 유기 실란을 다공성 소재와 혼합하여 코팅한 촉매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소재는 제올라이트, 실리카, 카본, 티타니아, 세리아,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열매체를 통과시키는 열매체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촉매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와 상기 촉매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을 중심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호의 재결합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촉매부에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열교환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핀부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상기 촉매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핀부 몸체; 및
    상기 핀부 몸체의 끝단에서 복수로 분기되어 연장되며, 상기 촉매부에 접촉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매체 이송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촉매부에 접촉되게 연장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메인 열교환 핀부; 및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촉매부 쪽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메인 열교환 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열교환 핀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서브 열교환 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부로 공급되는 혼합가스에 수분을 공급하여 수소의 폭발 농도 범위에서 폭발을 방지하여 촉매 반응을 하도록 하는 수분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부의 혼합가스 이송경로 상에 촉매부와 열교환부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수조 내의 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수조 내부의 물속에서 상기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디퓨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12. 삭제
KR1020200077608A 2020-06-25 2020-06-25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KR102409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08A KR102409846B1 (ko) 2020-06-25 2020-06-25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PCT/KR2021/006916 WO2021261795A1 (ko) 2020-06-25 2021-06-03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608A KR102409846B1 (ko) 2020-06-25 2020-06-25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083A KR20220000083A (ko) 2022-01-03
KR102409846B1 true KR102409846B1 (ko) 2022-06-17
KR102409846B9 KR102409846B9 (ko) 2022-12-27

Family

ID=79281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608A KR102409846B1 (ko) 2020-06-25 2020-06-25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9846B1 (ko)
WO (1) WO202126179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195A (ja) 1999-06-28 2001-02-13 Basf Ag 熱交換板を備えた反応器
US20030079867A1 (en) 2001-06-08 2003-05-01 Min Chang Increased heat exchange in two or three phase slurry
US20030161786A1 (en) * 2002-02-04 2003-08-28 Bernd Eckardt Method for the catalytic oxidation of a gas, recombination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system which includes the recombination device
JP2009216707A (ja) 2008-03-07 2009-09-24 Areva Np Gmbh 気体流内を一緒に運ばれる水素を酸素と触媒式再結合する方法と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再結合システム
US20140134067A1 (en) * 2012-11-12 2014-05-15 Ceramatec, Inc. Fixed bed reactor heat transfer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26724C2 (ru) 1998-09-30 2004-04-10 Сименс Акциенгезелльшафт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рекомбинации водорода и кислорода в газовой смес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195A (ja) 1999-06-28 2001-02-13 Basf Ag 熱交換板を備えた反応器
US20030079867A1 (en) 2001-06-08 2003-05-01 Min Chang Increased heat exchange in two or three phase slurry
US20030161786A1 (en) * 2002-02-04 2003-08-28 Bernd Eckardt Method for the catalytic oxidation of a gas, recombination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system which includes the recombination device
JP2009216707A (ja) 2008-03-07 2009-09-24 Areva Np Gmbh 気体流内を一緒に運ばれる水素を酸素と触媒式再結合する方法と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再結合システム
US20140134067A1 (en) * 2012-11-12 2014-05-15 Ceramatec, Inc. Fixed bed reactor heat transf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61795A1 (ko) 2021-12-30
KR102409846B9 (ko) 2022-12-27
KR20220000083A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789A (en) Energy conversion system
JP5506929B2 (ja) タンクレス温水システム用のコイル管熱交換器
RU99116626A (ru)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м конвертером, система с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им конвертер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вывод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резервуаром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CA2372312C (en) Heating system for liquids
KR102409846B1 (ko)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장치
US9279581B2 (en) Steam boiler for a steam reformer
KR102409847B1 (ko) 수소와 산소의 재결합방법 및 시스템
KR101926704B1 (ko) 연료 처리장치 및 연료전지 시스템
TW590792B (en) Reaction device with a heat-exchanger
CN105782962A (zh) 一种催化燃烧节能供热系统
KR20150035995A (ko) 고온에서 화학 해리 반응을 수행하는 기기 및 장치
WO2010139852A1 (en) A method for supplying combustion air to a flue gas air preheater, a preheating apparatus, and an air guide sleeve
JPS6018879B2 (ja) 熱交換装置
JP6387521B2 (ja) 水素生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システム
JP5895169B2 (ja) 水素生成装置
WO2005077820A1 (ja) 燃料改質装置
JP2008002748A (ja) 排出水素ガスの燃焼熱利用システム及び方法
JP493134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4480949B2 (ja) 反応装置及び反応方法
CN217585265U (zh) 基于真空烧结炉的热能利用系统
CN219868538U (zh) 一种电加热设备
CN219161046U (zh) 一种全预混冷凝换热器及电器设备
US11641811B2 (en) Spraying and re-heating vapor reactor and generator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41651B1 (ko) 연료 개질장치
RU2264853C1 (ru) Способ рекомбинации водорода и кислорода, находящихся в газовой смеси, рекомбинатор водорода и кислор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