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116B1 - Press apparatus - Google Patents

Press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116B1
KR102409116B1 KR1020200179759A KR20200179759A KR102409116B1 KR 102409116 B1 KR102409116 B1 KR 102409116B1 KR 1020200179759 A KR1020200179759 A KR 1020200179759A KR 20200179759 A KR20200179759 A KR 20200179759A KR 102409116 B1 KR102409116 B1 KR 10240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rt
height difference
sensing
mold
sen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200179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1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1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5/00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machine or the operator, specially adapted for apparatus or machine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금형부; 및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에 마련되고,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 device, comprising: a first mold part; a second mold part disposed to face the first mold part; and a sens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nd measur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two or more points.

Description

프레스 장치{PRESS APPARATUS}Press device {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후화 등에 의한 비평형차를 감지함으로써, 제품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는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 apparatu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in product quality in advance by detecting a non-equilibrium difference due to aging or the like.

일반적으로 프레스 가공(성형)은, 2개 이상의 서로 대응하는 금형을 사용하여, 그 금형 사이에 금속 또는 비금속 등의 소재(모재)를 금형을 매개로 전단, 굽힘, 압축 등의 작업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In general, press working (molding) means using two or more mold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performing shearing, bending, compression, etc. do.

프레스 가공 중 하나의 방식은 동력식 프레스가 이용될 수 있는데, 동력식 프레스는 기계식 프레스와 액압 프레스로 구분될 수 있고, 일예로 기계식 프레스는 고속 생산성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주로 크랭크 프레스 방식이 적용되기도 한다.As one method of press working, a power press may be used, and the power press may be divided into a mechanical press and a hydraulic press. do.

반면 액압 프레스는 소음 진동이 적고 무엇보다 소재(모재)에 큰 하중의 인가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나, 다만 가공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ydraulic press provides the advantage of low noise and vibration and, above all, the application of a large load to the material (base material), however, there may be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cessing speed is slow.

그리고 액압 프레스(유압 프레스)를 기반으로 하는 드로잉시에는 필요에 따라 1차 드로잉(drawing)과 추가의 2차 리드로잉(redrawing)을 거치게 되고, 2차 드로잉까지 수행하는 경우 딥 드로잉이라고도 하며, 리드로잉은 제품에 따라 펀치수단이 여러번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면서 진행되고, 이에 따라 펀치수단의 "가공 행정(stroke)"(예를 들어, 펀치와 다이를 통한 소재 드로잉시 펀치의 하강 스트로크를 의미함)이 늘어나게 되고, 드로잉된 소재의 취입과 취출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도 가공 행정(stroke)이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drawing based on a hydraulic press (hydraulic press), primary drawing and additional secondary redrawing are performed as needed. Drawing proceeds by repeatedly descending and ascending the punch means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product, and accordingly, the “working stroke” of the punch means (for example, it means the lowering stroke of the punch when drawing a material through a punch and a die) ) is increased, and a processing stroke is also increased to secure a space for taking in and taking out the drawn material.

한편, 상기와 같은 프레스 가공을 위한 프레스 장치는, 상형과 하형이 쌍을 이루게 되고, 이때 노후화로 인해 상형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바와 같이, 하형에 대한 상형의 평행차가 설계된 평행차와 상이하게 되는 등, 상형과 하형의 비평행차가 발생 시 제품 주름 등과 같은 제품의 정밀도가 저하되어 품질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s device for press working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are paired, and at this time, as the upper mold is inclined to either side due to aging, the parallel difference of the upper mold to the lower mold is different from the designed parallel When the non-parallel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mold and the lower mold occurs, the precision of the product, such as product wrinkles, is lower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quality problems occur, so the need for improvement is reques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의 비평형차를 감지하여, 제품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ss device that detects a non-equilibrium difference between a pair of molds and prevents deterioration of product precision in advance.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제1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금형부; 및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에 마련되고,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를 측정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s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mold portion; a second mold part disposed to face the first mold part; and a sens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nd measur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two or more points.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의 공간에서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1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재와, 제2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2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재와,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3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3 감지부재 및 제4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4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4 감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a first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first point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 a second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a second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second point, and a third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third point It may include a third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the height difference, and a fourth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a fourth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fourth point.

또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를 둘러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로 진입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surrounding the first mold portion and the second mold por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that are hinged to the main body and rotate in a direction entering or leaving between the first mold and the second mold,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에 마련되며, 다이얼 게이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감지부재, 상기 제2 감지부재, 상기 제3 감지부재 및 상기 제4 감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the first sensing member,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third sensing member,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and including a dial gauge.

또한, 상기 제1 금형부는, 상기 제2 금형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직부는, 하단이 상기 제2 금형부의 상면에 맞닿으며, 상단이 상기 제1 금형부와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상단에 마련되는 헤드부재;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재가 상기 제1 금형부의 하단에 맞닿도록 상기 헤드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연장부재에 마련되며, 기설정된 높이 구간 마다 서로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되는 마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ld part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mold part, and the vertical part has a lower end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and an upper end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nsing unit , an extension member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portion; a head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an elastic member provided under the head memb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head member so that the head member abuts against a lower end of the first mold part; and a marking member provided on the extension membe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xtension member, and having different colors or different characters 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ach preset height section.

또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감지부재와, 상기 제2 감지부재와, 상기 제3 감지부재 및 상기 제4 감지부재가 수용되는 복수 개의 오목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높이차와, 상기 제2 높이차와, 상기 제3 높이차 및 상기 제4 높이차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h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the first sensing member,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third sensing member,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A concave groove may be provided, and 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measuring the first height difference, the second height difference, the third height difference, and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감지부재와, 상기 제2 감지부재와, 상기 제3 감지부재 및 상기 제4 감지부재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1 높이차와, 상기 제2 높이차와, 상기 제3 높이차 및 상기 제4 높이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높이와 상이한지 여부를 연산하여, 평행차의 이상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ignals from the first sensing member,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third sensing member,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the first height difference, the second height difference, , by calculat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third height difference and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height,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a parallel difference is abnormal.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노후화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금형부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한 쌍의 금형부의 비평형차를 사전에 감지하여, 제품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s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duct quality deterioration in advance by detecting in advance the non-equilibrium difference of the pair of mold part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mold part generated due to aging, et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수직부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다른 형태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또 다른 형태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감지부의 노출 형태가 변화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제2 금형부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part is rotated in a different direction in FIG. 1 .
3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sensing unit of the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sensing unit of the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posure form of the sensing unit of FIG. 4 is changed.
6 is a view showing an upper view of the second mold part of the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직부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다른 형태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또 다른 형태의 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감지부의 노출 형태가 변화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장치의 제2 금형부의 상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part is rotated in a different direction in FIG. 1, and FIG. 3 is a sensing unit of another type of the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type of sensing unit of the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osure form of the sensing unit of FIG. 4 is changed, and FIG. 6 is this view It is a view showing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old part of the press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스 장치(100)는, 본체부(110), 제1 금형부(120), 제2 금형부(130), 수직부(140), 감지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간략하게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를 이용하여 모재를 프레스 가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레스 장치(100)의 구조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평행차가 기설정된 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판별하도록 하여 제품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1 to 4 , the press apparatus 100 includes a body part 110 , a first mold part 120 , a second mold part 130 , a vertical part 140 , a sensing part 150 , The control unit 160 may be included, and briefly, the base material is press-worked using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ress apparatus 100 of this embodiment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aralle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is different from a preset value, so that the precision of the product is lowered prevent in advance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지부(150)가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고, 이때 감지부(150)의 실시예에 따라 수직부(140)가 마련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으며, 수직부(140)가 마련되면서도 감지부(150)의 위치가 수직부(140)에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들 실시예가 서로 조합될 수도 있고, 이들의 실시예와 종래 기술이 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음을 언급하여 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ing unit 150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In this case, the vertical unit 140 may be provi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sensing unit 150 , and the vertical unit 140 may be omitted. ) is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150 may not be provided on the vertical portion 140, thes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another embodiment may be possible by combining these embodiments with the prior art. mention the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프레스 장치(10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를 둘러싸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금형부(130)가 본체부(110)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고, 제1 금형부(120)가 제2 금형부(130)를 향해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동작을 이룰 수 있게 본체부(110)에 제1 금형부(12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110 is a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press apparatus 100, and may form a structure surrounding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but the shape is limited. No, the control unit 16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second mold part 130 is provided in a fixed form to the body part 110 , and the first mold part 120 approaches or separates the second mold part 130 toward the second mold part 130 to achieve an operation. The first mold part 120 may be provided in the body part 110 to be movable up and down.

또한, 본체부(110)는 제1 금형부(120)가 상하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동력식 프레스 또는 액압 프레스 방식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 에도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 다면 다양한 방식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프레스 방식의 구조 및 이를 위한 구동 장치는 공지된 메카니즘에 갈음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such as a power press or a hydraulic press method so that the first mold part 120 can move up and down, an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as long as it does not conflict with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may be applied,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s-type structure and the driving device therefor will be omitted in lieu of a known mechanism.

더불어 이하에서는 본체부(110)에 마련될 수 있는 제1 금형부(120)가 상부에 마련되고 제2 금형부(130)가 하부에 마련되어, 제1 금형부(12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금형부(130)와 맞닿게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금형부(120)의 하부 이동에 의한 프레스 가공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1 금형부(120)가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구조로 마련되고, 제2 금형부(130)의 상하 이동에 의해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the first mold part 120 that can be provided in the body part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the second mold part 130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and the first mold part 120 moves in the lower direction. 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mold part 130 .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press working by mov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mold part 120 , and the first mold part 120 is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body part 110 ,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econd mold part 130 are provided. Press working may be performed by movement.

제1 금형부(120)는, 한 쌍의 금형 중 하나로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first mold part 120, as one of the pair of molds, may be provid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body part 110 as mentioned above.

제1 금형부(120)는, 프레스 가공의 작업 형태에 따라, 즉 전단, 굽힘, 압축 등의 작업 여부에 따라 하중이 크게 이루어지거나, 가열이 이루어지거나, 모재가 성형되는 완제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제2 금형부(130)와 대향하는 면에 음각 구조 및/또는 양각 구조가 형성되거나, 전달 날이 마련되거나, 또는 이들이 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mold part 120, according to the work type of press working, that is, depending on whether shearing, bending, compression, etc. is performed, a large load is made, heating is made, or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nished product in which the base material is molded. A engraved structure and/or an embossed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econd mold unit 130 , a transfer blade may be provided, or a structure in which these may be combined, and known techniques may be applied.

이러한 제1 금형부(120)는, 상하 이동을 통해 제2 금형부(130)와 함께 모재를 프레스 가공할 수 있고, 프레스 가공이 완료되면 또 다른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즉 가공된 완제품은 배출되고 새로운 모재가 가공될 수 있도록,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제1 금형부(120)는 본체부(110)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에 의해 제2 금형부(130)로부터 이격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The first mold part 120 can press-work the base material together with the second mold part 130 through vertical movement, and when the press-working is completed, another press working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processed finished product is The first mold part 120 is driven to be provided in the body part 110 so that a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so that the discharged and new base material can be processed. An operatio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mold part 130 by the device may be performed.

그리고 제1 금형부(120)는, 제2 금형부(130)와 더불어 형상/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가 서로 마주하는 면의 형상이 원형, 다각형 등을 이룰 수 있다. And the first mold part 120, the shape/form is not limited together with the second mold part 130, for example, the surface where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face each other. The shape of may be a circle, a polygon, or the like.

다만,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금형부(120)의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제3 모서리 및 제4 모서리를 언급하는 것이며(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음), 이들 모서리는 제1 금형부(120)의 하면에서 가상의 사각형에 대한 각 모서리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However,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the first edge, the second edge, the third edge, and the fourth edge of the first mold part 120 are referred to (which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se edges are 1 It may mean each corner point of the imaginary quadrang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part 120 .

즉 제1 금형부(120)의 하면이 원형을 이루더라도, 원형 내에 마련되는 가상의 사각형에 대한 각 모서리 지점을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제3 모서리 및 제4 모서리인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ld part 120 forms a circle, each corner point of the virtual rectangle provided in the circle may be defined as a first corner, a second corner, a third corner, and a fourth corner. .

그뿐만 아니라 수직부(140)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의 높이 가변에 무관하게 제1 금형부(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 또는 하단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마련될 수도 있다(도 3 참조).In addition, the vertical part 140 is located at the top or bottom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mold part 120 irrespective of the height variation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An elastic body such as a coil spring may be provided (see FIG. 3 ).

제2 금형부(130)는, 한 쌍의 금형 중 제1 금형부(120) 이외의 다른 하나로서, 제1 금형부(120)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고정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닥면에 직접 맞닿게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mold part 130 is another one of the pair of molds other tha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mold part 120, and as mentioned above, the body part ( 11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fixed to, and may be install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더불어 제2 금형부(130)는, 프레스 가공의 작업 형태에 따라 제1 금형부(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 구조 및/또는 양각 구조가 형성되거나, 전단 작업을 위해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cond mold part 130 has an intaglio structure and/or an embossed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mold part 120 depending on the work type of press working, or a through hole is formed for shearing. Likewi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러한 제2 금형부(130)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므로, 제1 금형부(120)와 더불어 공지된 형상, 구조 메카니즘이 적용될 수 있고, 공지기술과 조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이룰 수 있다.Sinc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the second mold part 130 , a known shape and structure mechanism may be applied together with the first mold part 120 , and another embodiment may be achieved by combining it with a known technology.

수직부(140)는,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봉/바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감지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vertical portion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rod/ba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nsing unit 150 may be installed therein.

수직부(140)는, 감지부(150)가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높이차를 측정할 경우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로 진입될 수 있고, 높이차를 측정하지 않는 평시에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를 간섭하지 않도록 제1 금형부(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e vertical part 140 is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when the sensing part 150 measure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It may enter through the gap,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ld part 1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in normal times when the height difference is not measured.

한편 감지부(150)가 높이차를 측정하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가 상하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에 수직부(140)가 위치되도록 회전을 이룰 수도 있다.Meanwhile, even if the sensing unit 150 does not measure the height difference,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the safety of the operator. Rotation may be achieved so that the vertical portion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mold portions 130 .

이는, 작업자가 제1 금형부(120) 및/또는 제2 금형부(130)의 사후 관리 또는 제품 배출의 작업 등과 같이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에 작업자의 손이 위치될 경우, 수직부(140)가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에 간섭되는 상태로 마련되어 제1 금형부(120)의 하부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압착 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operator is plac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such as post-management of the first mold part 120 and/or the second mold part 130 or the operation of product discharge. When the hand is positioned, the vertical part 140 is provided in a state where it interferes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to prevent the lower movement of the first mold part 120, such as a compression accident, etc. is to prevent

이러한 수직부(140)는, 선택에 따라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로 진입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본체부(110), 제1 금형부(120) 및 제2 금형부 중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The vertical part 140 is rotated in a direction entering or moving away from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ccording to the selection. 2 It may be hinge-coupled to any one of the mold parts.

예를 들어 수직부(14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벗어는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이외에 제1 금형부(120) 또는 제2 금형부(130)에 마련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vertical part 140, as shown in FIGS. 1 and 2, is inserted into or taken off from the body part 110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 structure that is hinged to have a structure that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may be formed, and in addition, it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mold part 120 or the second mold part 130 .

더불어 수직부(140)는,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형부(120)가 4개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제1 모서리, 제2 모서리, 제3 모서리 및 제4 모서리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 4 모서리에 각각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어, 본체부(110)의 전방 좌우 및 후방의 좌우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14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or example, when the first mold part 120 includes a first corner, a second corner, a third corner, and a fourth corner positioned at four corners, they may be provided adjacent to each of these four corners, respectively, the main body It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left and right and rear left and right of the unit 110 .

이는 제1 금형부(120)가 제2 금형부(130)와 평행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인 것을 판별할 수 있게, 제1 금형부(120)의 4개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가 이웃한 다른 모서리에 대비하여 높이가 낮거나 높게 형성되는 것을 판별함으로써, 평행차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first mold part 120 is not parallel to the second mold part 130 and is inclin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mold part 120 is adjacent to each other. By determining whether the height is low or high compared to other corners,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parallelism.

감지부(150)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높이차를 측정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and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t two or more points. height difference can be measured.

예를 들어 감지부(150)는, 제1 금형부(120)의 4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제4 감지부재(1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수직부(140) 또는 제2 금형부(130)에 마련될 수 있고, 다이얼 게이지를 포함하거나, 상하 이동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마킹부재(A1, A2, A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50 includes a first sensing member 151 , a second sensing member 152 , and a third sensing member 153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mold unit 120 . , may include a fourth sensing member 154, may be provided on the vertical portion 140 or the second mold por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may include a dial gauge or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vertical movement It may include a marking member (A1, A2, A3) that is.

여기서, 제1 감지부재(151)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의 공간의 제1 지점(제1 모서리일 수 있음)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높이차인 제1 높이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감지부재(152)는 제1 지점과 이격되는 제2 지점(제2 모서리일 수 있음)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높이차인 제2 높이차를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sensing member 151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20 at a first point (which may be a first corner)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2 A first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old units 130 may be measured. The second sensing member 152 measures a second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t a second point (which may be a second corne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oint. can do.

또한, 제3 감지부재(153)는 제3 지점(제3 모서리일 수 있음)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높이차인 제3 높이차를 측정할 수 있다. 제4 감지부재(154)는 제4 지점(제4 모서리일 수 있음)에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높이차인 제4 높이차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may measure a third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t a third point (which may be a third corner). The fourth sensing member 154 may measure a fourth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at a fourth point (which may be a fourth corner).

이와 같은 감지부(150)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A specific embodiment of such a sensing unit 150 is as follow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150)는 다이얼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어,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제4 감지부재(154)가 다이얼 게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o 3 , th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 dial gauge, and the first sensing member 151 , the second sensing member 152 ,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 and the fourth sensing unit The member 154 may consist of a dial gauge.

여기서 다이얼 게이지는, 길이의 변화량 측정에 사용되는 기계적 계측기로서, 원형의 눈금판을 갖는 변위 측정기일 수 있으며, 1m 내지 1cm 간격의 눈금이 표시될 수 있고, 스핀들과 연결되며 측정되는 물품/구성에 맞닿는 측정자(측정봉)(1505), 코일스프링, 톱니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메카니즘은 공지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dial gauge is a mechanical measuring instrument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change in length, and may be a displacement measuring instrument having a circular scale plate, scales at intervals of 1 m to 1 cm may be displayed, and connected to the spindle and in contact with the item/configuration to be measured. It may include a measurer (measuring rod) 1505, a coil spring, a gear wheel, and the like, and the mechanism for this will be omitted in lieu of the known technology.

이러한 감지부(150)는, 수직부(140)의 상단에 고정 장치(클램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감지부(150)의 측정자(1505)는 제1 금형부(120)의 하면에 맞닿도록 상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The sensing unit 1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unit 140 by a fixing device (clamp). It may be disposed toward the top so as to abut (see FIGS. 1 and 2 ).

여기서 감지부(150)의 높이 측정의 기준점(고정값)은 제2 금형부(130)의 상면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수직부(140)가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수직부(140)의 하단이 제2 금형부(130)의 상면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reference point (fixed value)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sensing unit 150 may be formed ba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130 , and for this purpose, the vertical part 14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20 . In the state disposed between the two mold parts 130 ,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art 140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130 .

반면 초기 설계값에서는 제1 금형부(120)의 하부에 감지부(150)의 상단이 맞닿게 마련되다가, 노후화 등의 이유로 제1 금형부(120)가 기울어져 제1 금형부(120)의 하단에 감지부(150)의 상단이 닿지 않고 이격될 수 있다(탄성체가 없는 경우).On the other hand, in the initial design value,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part 15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first mold part 120 , but the first mold part 120 is tilted due to deterioration due to deterioration of the first mold part 120 .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unit 150 may be spaced apart without touching the lower end (if there is no elastic body).

이때 수직부(140)의 상부에는 감지부(150)가 위치되어, 제2 금형부(130)에 대한 제1 금형부(120)의 높이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nsing unit 150 is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part 140 to measure a change in height of the first mold part 120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ld part 130 .

한편, 제1 금형부(120)의 기울어짐에 관계없이, 즉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의 높이 가변에 무관하게 제1 금형부(120)가 탄성 지지될 수 있게, 수직부(140)의 상단에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가 마련될 수도 있다.Meanwhile,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mold part 120 , that is, regardless of the height variation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the first mold part 120 will be elastically supported. To this end, an elastic body such as a coil spring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40 .

한편 다이얼 게이지는, 측정자(1505)가 하부를 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중력 등의 영향으로 인해, 측정자(1505)가 하부를 향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측정자(1505)가 상부를 향하는 경우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감지부(150)의 측정자(1505)가 하부를 향해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al gauge is generally designed so that the measurer 1505 faces downward, and due to the influence of gravity, etc., in case the measurer 1505 faces the lower side, the measurement error occurs when the measurer 1505 faces upward. Since it may occur, as shown in FIG. 3 , the measurer 1505 of the sensing unit 150 may be provided downward.

이때 감지부(150)의 높이 측정의 기준점(고정값)은 제2 금형부(130)의 상면이 아닌, 제1 금형부(120)의 하면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수직부(140)가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수직부(140)의 상단이 제1 금형부(120)의 하면에 맞닿게 마련될 수 있고, 수직부(140)의 하단에는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point (fixed value)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sensing unit 150 may be formed ba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ld part 120, no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130, and for this purpose, the vertical part ( In a state where 1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art 140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ld part 120, An elastic body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40 .

즉, 제2 금형부(130)와 수직부(140)의 하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수직부(140)의 하단은 높이 가변이 가능한 탄성체가 마련되더라도, 수직부(140)의 상단이 제1 금형부(130)의 위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감지부(150)는 제1 금형부(120)에 대한 제2 금형부(130)의 상대적 높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an elastic body with a variable heigh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40 so that a gap is not formed between the second mold portion 13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40 ,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40 is the second Since the first mold part 130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the sensing unit 150 may detect a change in the relative height of the second mold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first mold part 120 .

이때 수직부(140)의 상단이 제1 금형부(130)의 하단에 대응되도록, 수직부(140)는 본체부(110)가 아닌, 제1 금형부(130)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140 corresponds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mold portion 130 , the vertical portion 140 is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rst mold portion 130 , not to the body portion 110 . may be hinged.

이러한 수직부(140)에 마련되는 감지부(150)는, 측정자(1505)가 하부를 향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측정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Since the sensing unit 150 provided on the vertical portion 140 may have the measurer 1505 facing downward, a measurement error may be minimiz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감지부(150)는,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가 서로 평행하지 않을 시,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제4 감지부재(154) 중 어느 하나의 후술되는 마킹부재(A1, A2, A3)의 표시가 상이하게 이루어져 평행차에 이상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4 and 5 , the sensing unit 150 includes a first sensing member 151 and a second sensing member when the first mold unit 120 and the second mold unit 130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152),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the fourth sensing member 154, any one of the later-described marking members (A1, A2, A3) is made differently, it can be inform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arallel difference .

예를 들어 감지부(150)는, 연장부재(1501), 헤드부재(1502), 탄성부재(1503) 및 마킹부재(A1, A2, A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n extension member 1501 , a head member 1502 , an elastic member 1503 , and marking members A1 , A2 , and A3 .

연장부재(1501)는, 감지부(150)의 높이 가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관/봉/바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수직부(1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직부(140)와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수직부(140)의 내측에서 관/봉/바가 상하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tension member 1501 is a configuration that makes the height of the sensing unit 150 variabl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tube/rod/bar, and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portion 140 , for example, the vertical portion (140) and a double tube structure can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tube / rod / bar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vertical portion (140).

헤드부재(1502)는, 연장부재(1501)의 상단에서 연장부재(1501)가 수직부(1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걸림될 수 있고(수직부 내부로 연장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 이를 위해 수직부(140)의 단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부재(1502)의 상면이 측정 대상(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금형부(120)일 수 있음)에 맞닿을 수 있다. 이때 제1 금형부(120)와 헤드부재(1502)의 충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헤드부재(1502)의 상면에는 패드(고무, 실리콘 재질 등일 수 있음)가 마련될 수 있다.The head member 1502 may be caught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1501 so that the extension member 1501 is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140 (to prevent the extension member from falling out into the vertical portion), for this purpose It may be mad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ertical portion 140 ,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1502 may be in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target (which may be the first mold portion 120 in this embodiment). In this case, a pad (which may be made of rubber, silicon,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member 1502 to prevent a collision soun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head member 1502 .

탄성부재(1503)는, 제1 금형부(120)의 기울어짐에 관계없이 헤드부재(1502)가 제1 금형부(120)에 맞닿을 수 있도록, 헤드부재(1502)의 하부에 마련되어 헤드부재(150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503)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연장부재(1501)의 내외측에서 헤드부재(1502)를 상부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수직부(140)는 탄성부재(1503)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1503)의 하단이 맞닿는 돌기/가름판(141) 등이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1503 is provided under the head member 1502 so that the head member 1502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mold part 120 regardless of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mold part 120 . 1502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1503 may be formed of a spring to support the head member 1502 in an upward direction at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extension member 1501 . In this case, the vertical portion 14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partition plate 141 or the like wit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503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portion 140 so as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1503 .

마킹부재(A1, A2, A3)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감지부(150)의 돌출 정도를 한 눈에 인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연장부재(150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부재(1501)의 외측 둘레면에 마련될 수 있다. The marking members (A1, A2, A3)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ensing unit 150 at a glance, and the extension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xtension member 1501. It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501 .

그리고 마킹부재(A1, A2, A3)는, 기설정된 높이 구간 마다 서로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될 수 있다. And the marking members (A1, A2, A3)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colors or different characters or combinations thereof for each predetermined height section.

예를 들어 수직부(140)로부터 감지부(150)가 돌출된 높이(이하 '돌출 높이'로 명칭함)가 0mm이상에서 3mm이하인 영역은,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의 평행차가 정상 범위인 구간인 제1 구간(도 5 참조, A1에 대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높이가 3mm초과에서 6mm 이하인 구간은 오차 범위 구간인 제2 구간(도 5 참조, A2에 대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더불어 돌출 높이가 6mm 초과인 구간은 위험 범위 구간인 제3 구간(도 5 참조, A3에 대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여기서 3mm 등의 단위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정의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형 및/또는 제품 종류 등에 따라 설계값이 달라질 수 있음).For example, the area where the height at which the sensing unit 150 protrudes from the vertical portion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trusion height') is 0 mm or more and 3 mm or less,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 130) may be defined as a first section (refer to FIG. 5, corresponding to A1) that is a section in which the parallel difference is within a normal range. In addition, a s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height is greater than 3 mm and less than or equal to 6 mm may be defined as a second section (refer to FIG. 5 , corresponding to A2) that is an error range section. In addition, the s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height exceeds 6 mm may be defined as the third section (refer to FIG. 5, corresponding to A3), which is a dangerous range section (a unit such as 3 mm is defin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so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esign valu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old and/or product).

이때 마킹부재(A1, A2, A3)는, 제1 구간, 제2 구간, 제3 구간에 각각에 대하여 서로 상이한 색상/문자가 형성될 수 있고, 색상 및 문자는 제1 구간에서 제3 구간으로 갈수록 채도/명도가 높게 이루어지거나(낮게 이루어질 수도 있음), 문자(도형을 포함할 수 있음)의 크기가 커지거나 숫자가 커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자가 감지부(150)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이외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arking member (A1, A2, A3), 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the third section can be formed with different colors/characters for each, the color and the character from the first section to the third section Saturation/brightness may be made higher (it may be made lower), or the size of characters (which may include figures) or numbers may be increased,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n operator visually inspecting the state of the sensing unit 150 .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as .

도 6을 참조하면, 감지부(150)는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제4 감지부재(154)가 거리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and thus a first sensing member 151 , a second sensing member 152 , a third sensing member 153 , and a fourth sensing member 154 . ) may be configured as a distance sensor.

여기서 거리 센서는, 적외선 등을 통해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높이차를 측정할 수 있고,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및 제4 감지부재(154) 각각이 거리 센서의 작동을 통해 제1 높이차, 제2 높이차, 제3 높이차 및 제4 높이차 각각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 센서에 대한 메카니즘은 공지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Here, the distance sensor may measure the height differenc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through infrared rays or the like, and the first sensing member 151 and the second sensing member 152,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154 each measure the first height difference, the second height difference, the third height difference, and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istance sensor. can Here, the mechanism for the distance sensor will be omitted in lieu of the known technology.

이러한 감지부(150)는, 앞서 언급된 다이얼 게이지가 측정 대상에 직접 맞닿는 것과 달리, 거리 센서가 적외선을 통해 측정하므로 측정 대상(제1 금형부(120) 일 수 있음)에 맞닿지 않아도 되므로 수직부(140)에 마련될 필요 없이 제2 금형부(130)의 상면에 수용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Unlike the aforementioned dial gauge in direct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target, the sensing unit 150 does not have to touch the measurement target (which may be the first mold unit 120 ) because the distance sensor measures through infrared rays, so it is vertical. It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accommod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art 130 without the need to be provided on the part 140 .

이때 감지부(150)는 제1 금형부(120)의 프레스 작동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제2 금형부(130)에 삽입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금형부(130)에는 오목한 홈을 이루는 오목홈부(131, 132, 133, 134)가 마련되고, 4개의 오목홈부(131, 132, 133, 134) 각각에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제4 감지부재(154)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삽입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15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serted into the second mold part 130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press operation of the first mold part 120 , for example, the second mold part 130 . Concave groove portions 131 , 132 , 133 , 134 forming a concave groove are provided in each of the four concave groove portions 131 , 132 , 133 , 134 , respectively, a first sensing member 151 and a second sensing member 152 . ,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154 may be provided in an inserted form without protruding outward.

게다가 본 실시예의 프레스 장치(100)는, 제1 감지부재(151), 제2 감지부재(152), 제3 감지부재(153) 및 제4 감지부재(154) 각각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In addition, the press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receive a signal from each of the first sensing member 151, the second sensing member 152,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154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60 (refer to FIG. 1).

제어부(160)는, 제1 감지부재(151)에서 측정된 제1 높이차, 제2 감지부재(152)에서 측정된 제3 높이차, 제3 감지부재(153)에서 측정된 제3 높이차 및 제4 감지부재(154)에서 측정된 제4 높이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높이와 상이한지 여부를 연산하여, 제1 높이차 내지 제4 높이차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 측정 값이 상이한 경우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평행차의 이상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the first height difference measured by the first sensing member 151, the third height difference measured by the second sensing member 152, the third height difference measured by the third sensing member 153 And by calculating whether at least one of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measured by the fourth sensing member 154 is different from the other height, any one of the first height difference to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on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aralle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

여기서 제1 높이차 내지 제4 높이차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와의 측정 값 차이가 0mm이상에서 3mm이하인 경우 평행차가 정상인 구간으로 판별할 수 있고, 측정 값 차이가 3mm초과에서 6mm 이하인 경우 오차 범위 구간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측정 값 차이가 6mm 초과인 경우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위험 범위 구간인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구간이 임의 설정된 것이므로, 측정값 차이는 변경될 수 있다).Here, if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height differences has a difference of 0 mm or more to 3 mm or less with the other, it can be determined as a section where the parallelism is normal,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values is more than 3 mm and less than 6 mm, the error range It can be determined as a section, and when the difference in measured values is more than 6 mm, it can be determined as a section in the risk range where product defects occur (however, this is because the section is set arbitrari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so the measured value Differences are subject to change).

이때 제어부(160)는, 정상 구간, 오차 범위 구간, 위험 범위 구간 각각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알림할 수 있으며, 각 구간은 서로 상이한 색상 및 알람음의 소리 크기 등을 통해 알림할 수 있고, 이외에 다양한 변형예를 통해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may notify the operator for each of the normal section, the error range section, and the danger range section, and each section may be notified through different colors and sound levels of the alarm sound, etc., in addition to various modifications An example can be made to be recognizable by the operator.

더불어,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는, 가스 스프링(압축 가스를 이용 가능), 유압잭 등에 의해 기울어짐이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가 앞서 언급된 감지부(1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판별된 제1 금형부(120)와 제2 금형부(130) 평행차의 이상여부를 통해, 4개의 모서리에 해당되는 가스 스프링 및/또는 유압잭을 제어하여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may be adjusted by a gas spring (compressed gas may be used), a hydraulic jack, etc. The gas spring and/or hydraulic jack corresponding to the four corners are controlled through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parallel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120 and the second mold part 130 determined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ing part 150 . can be achieved 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는, 노후화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금형부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한 쌍의 금형부의 비평형차를 사전에 감지하여, 제품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pres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in advance the non-equilibrium difference of the pair of mold part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mold part generated due to aging, etc., thereby preventing product quality deterioration in advan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프레스 장치 110 : 본체부
120 : 제1 금형부 130 : 제2 금형부
131, 132, 133, 134 : 오목홈부 140 : 수직부
141 : 가름판 150 : 감지부
151 : 제1 감지부재 152 : 제2 감지부재
153 : 제3 감지부재 154 : 제4 감지부재
1501 : 연장부재 1502 : 헤드부재
1503 : 탄성부재 1505: 측정자
A1, A2, A3 : 마킹부재 160 : 제어부
100: press device 110: body part
120: first mold part 130: second mold part
131, 132, 133, 134: concave groove 140: vertical part
141: divider 150: sensing unit
151: first sensing member 152: second sensing member
153: third sensing member 154: fourth sensing member
1501: extension member 1502: head member
1503: elastic member 1505: measurer
A1, A2, A3: marking member 160: control unit

Claims (7)

제1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금형부;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에 마련되고, 2개 이상의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를 둘러싸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로 진입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복수 개가 이격되게 마련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금형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금형부는 상기 본체부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사이의 공간에서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1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1 감지부재와, 제2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2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2 감지부재와, 제3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3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3 감지부재 및 제4 지점에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의 높이차인 제4 높이차를 측정하는 제4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복수 개의 상기 수직부에 마련되며, 다이얼 게이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감지부재, 상기 제2 감지부재, 상기 제3 감지부재 및 상기 제4 감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금형부는, 상기 제2 금형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직부는, 하단이 상기 제2 금형부의 상면에 맞닿으며, 상단이 상기 제1 금형부와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수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상단에 마련되는 헤드부재;
상기 헤드부재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재가 상기 제1 금형부의 하단에 맞닿도록 상기 헤드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게 상기 연장부재에 마련되며, 기설정된 높이 구간 마다 서로 상이한 색상 또는 상이한 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이 형성되는 마킹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킹부재는, 상기 높이 구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색상 또는 문자가 상기 높이 구간에서 점차로 채도 또는 명도가 높게 이루어지거나, 상기 문자의 크기가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a first mold part;
a second mold part disposed to face the first mold part;
a sens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nd measuring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two or more points;
a body part surrounding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nd
It is hinged to the main body part, and rotates in a direction entering or away from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part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in the vertical portion,
The second mold part is fixed to the body part,
The first mold part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body part,
The sensing unit,
a first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a first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first point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 second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a second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nd a third height difference that measure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third point A third sensing member and a fourth sensing member for measuring a fourth height difference that i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at a fourth point,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and includes the first sensing member including a dial gauge,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third sensing member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The first mold part is provided above the second mold part,
The vertical portion,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ld portion, the upper end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ld portion,
The sensing unit,
an extension member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vertical portion;
a head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member;
an elastic member provided under the head member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head member so that the head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a lower end of the first mold part; and
It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membe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xtension member, and includes a marking member in which a different color or a different character or a combination thereof is formed for each predetermined height section,
The marking member is a pres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each of the height section, the color or character is made to gradually increase the saturation or brightness in the height section, or the size of the character is formed to incre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형부와, 상기 제2 금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감지부재와, 상기 제2 감지부재와, 상기 제3 감지부재 및 상기 제4 감지부재가 수용되는 복수 개의 오목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높이차와, 상기 제2 높이차와, 상기 제3 높이차 및 상기 제4 높이차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concave grooves in which the first sensing member,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third sensing member,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are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mold part and the second mold part wealth is provided,
The sensing unit comprises a distance sensor for measuring the first height difference, the second height difference, the third height difference, and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재와, 상기 제2 감지부재와, 상기 제3 감지부재 및 상기 제4 감지부재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제1 높이차와, 상기 제2 높이차와, 상기 제3 높이차 및 상기 제4 높이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높이와 상이한지 여부를 연산하여, 평행차의 이상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Signals are received from the first sensing member, the second sensing member, the third sensing member, and the fourth sensing member, the first height difference, the second height difference, and the third height difference And by calculating whether at least any one of the fourth height difference is different from the other height, the press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arallel difference is abnormal.
KR1020200179759A 2020-12-21 2020-12-21 Press apparatus KR1024091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9A KR102409116B1 (en) 2020-12-21 2020-12-21 Pres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759A KR102409116B1 (en) 2020-12-21 2020-12-21 Press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116B1 true KR102409116B1 (en) 2022-06-22

Family

ID=8221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759A KR102409116B1 (en) 2020-12-21 2020-12-21 Press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116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004U (en) * 1984-06-28 1986-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ress-type gap measurement tool
JPH06134520A (en) * 1992-10-27 1994-05-17 Copal Co Ltd Roll leveler
JPH0649377Y2 (en) * 1988-03-15 1994-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ress die with parallelism adjustment function
JP2001113399A (en) * 1999-10-18 2001-04-24 Toyota Motor Corp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press machine
KR20140001463A (en) * 2012-06-27 2014-0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accuracy in pressing device
JP2014145776A (en) * 2014-04-07 2014-08-14 Skg:Kk Parallelism measurement device
KR102047095B1 (en) * 2018-06-21 2019-11-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old apparatus, Experiment apparatus for mold die measure and the measuring method
KR102167176B1 (en) * 2019-07-19 2020-11-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arallelism measuring and mol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004U (en) * 1984-06-28 1986-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ress-type gap measurement tool
JPH0649377Y2 (en) * 1988-03-15 1994-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Press die with parallelism adjustment function
JPH06134520A (en) * 1992-10-27 1994-05-17 Copal Co Ltd Roll leveler
JP2001113399A (en) * 1999-10-18 2001-04-24 Toyota Motor Corp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press machine
KR20140001463A (en) * 2012-06-27 2014-0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for measuring accuracy in pressing device
JP2014145776A (en) * 2014-04-07 2014-08-14 Skg:Kk Parallelism measurement device
KR102047095B1 (en) * 2018-06-21 2019-11-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old apparatus, Experiment apparatus for mold die measure and the measuring method
KR102167176B1 (en) * 2019-07-19 2020-11-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arallelism measuring and mol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2205B2 (en) Cushion pad tilt confirmation device and method
US9423321B2 (en) Tire testing machine
EP2543980B1 (en) Wheel balancer with means for determining tyre uniformity
KR102409116B1 (en) Press apparatus
KR100395180B1 (en) Mold and molding quality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54171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ynamic deformation of press mold
JP2010139262A (en) Measuring method and measuring device
KR101974087B1 (en) Measuring touch probe, measuring system, method for laser-optical determination of the height of a strand guide roller, and use of the measuring system
KR20070021410A (en) Inspection apparatus of panel for automobile
EP2781377A1 (en) Tyre mounting and demounting apparatus with load belt apparatus
US3943634A (en) Device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gap between rollers in a roller stand
KR101802429B1 (en) Press brake
CN109843570A (en) Press device
US20210402672A1 (en) Tilting Measurement of a Thermoforming Mould
US20200307138A1 (en) Press load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s machine
JPH0341275B2 (en)
JP2012006287A (en) Method and apparatus of detecting release force of vulcanizing mold
EP3117913A1 (en) Extrusion press provided with a device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eccentricity of a mandrel of such a press
CN210321680U (en) Rotor excircle detection machine
KR2014012849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speed of extruded material, and extruder having the same
JP2009226440A (en) Press machine inspection device
JP2019072752A (en) Adjusting method of metal mold press device and metal mold press device
JPH09145350A (en) Radius of curvature measuring apparatus
EP3799970B1 (en) System for monitoring standard parts
CN212431955U (en) Controllable pressure measurement siz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