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044B1 -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044B1
KR102409044B1 KR1020200120249A KR20200120249A KR102409044B1 KR 102409044 B1 KR102409044 B1 KR 102409044B1 KR 1020200120249 A KR1020200120249 A KR 1020200120249A KR 20200120249 A KR20200120249 A KR 20200120249A KR 102409044 B1 KR102409044 B1 KR 10240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terminals
educatio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2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7595A (en
Inventor
정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20012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44B1/en
Publication of KR2022003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5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sychia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자료 제공부, 온라인 학습 관리부 및 보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제공부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강의자료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는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에 강의자료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providing unit,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and an auxiliary management unit. The data providing unit may be installed by providing lecture material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efore the lecture start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lecture material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on the screens of terminals on the basis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ucation modes, and manage the lectures.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through the images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by pre-installing lecture materials in a plurality of terminals before lectures start, and synchronizing lecture materials of instructors and traine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to conduct a le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DATA TRAFFIC) applied to

Description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Education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education management system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육 관리 시스템 및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nd an operating method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2020년 초반부터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학원 등을 포함한 교육기관에서 집합교육에 많은 어려움이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집합교육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다양한 온라인 교육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Due to the corona virus that has occurred since the beginning of 2020,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rivate institutes, are complaining of many difficulties in group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group education, research on various online education methods is currently underway.

(특허공개문헌) KR 제10-2001-0074254 (공개일자, 2001.08.04)(Patent Publication) KR 10-2001-0074254 (published date, 2001.08.0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에 강의자료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by pre-installing lecture materials in a plurality of terminals before lectures start, and synchronizing lecture data of instructors and traine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to conduct lectures. It is to provide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that can reduce the load (DATA TRAFFIC) 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자료 제공부, 온라인 학습 관리부 및 보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제공부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 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 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providing unit,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and an auxiliary management unit. The data providing unit may be installed by providing lecture material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efore the lecture start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ucation modes, and manage the lecture.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through the images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은 상기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모드,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실습문제가 제공되는 실습모드 및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퀴즈가 제공되는 대회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may include a lecture mode in which the lecture is conducted, a practice mode in which a practice problem related to the lecture is provided, and a competition mode in which a quiz related to the lecture is provid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제1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강의모드에서 강의되고 있는 상기 제1 강의자료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first lecture material among the lecture materi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The same page as the page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being displayed and being lectured in the lecture mode may be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terminal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미리 설치된 제1 강의자료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사의 영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display first lecture materials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pre-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images of the instructors provided from outside of them may be displayed separatel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강사의 영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는 감소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the ratio of the instructor's image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creases, the system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o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may decreas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제1 강의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시스템 로드는 일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ystem load may be constant as the ratio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reas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실습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모드에 상응하는 제2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대회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회모드에 상응하는 제3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practic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provides a second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ractice mode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It can be displayed on their screen.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competit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third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competition mode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ca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로 나누어 관리하는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management units for divid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uxiliary management unit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강사로부터 상기 교육생들에게 제공되는 상기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관리부에 포함되는 상기 서브 관리부들은 상기 교육생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may manage the lecture provided from the instructor to the trainees. The sub management units included in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traine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통해서 전달되는 단말기 영상을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may be determined through a terminal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의 상태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출결정보, 상기 교육생의 자세정보 및 상기 교육생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rainee's departure decision, the trainee's postur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e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eedback information may include an answer to the trainee's ques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에서는, 자료 제공부가 강의 시작 전에, 강의 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온라인 학습 관리부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 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providing unit may provide and install the lecture material to a plurality of terminals before the lecture start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may provide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ucation modes, and manage the lecture.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through the images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or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such description and descrip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에 강의자료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by pre-installing lecture materials in a plurality of terminals before lectures start, and synchronizing lecture materials of instructors and traine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provided by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to conduct a le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DATA TRAFFIC) applied to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ewly recognized thr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의 강의모드에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실습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대회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9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ecture mode among education modes us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embodiments in a lecture mode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actice mode among the training modes us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mpetition mode among training modes us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uxiliary management unit includ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includ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s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efines otherwise,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의 강의모드에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실습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교육모드들 중 대회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ecture mode among the education modes us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1 is a view for explaining embodiments in the lecture mode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actice mode among the education modes us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FIG.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mpetition mode among the training modes us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은 자료 제공부(100),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 및 보조 관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료 제공부(100)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자료(CD)는 강의를 위한 PPT파일, 실습 및 퀴즈를 위해 제공되는 프로그램파일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의 용량이 큰 파일들일 수 있다. 강의 중에 데이터의 용량이 큰 파일들을 전송하는 경우,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여 강의 영상이 끊겨 원활한 강의가 이루어질 수 없다.1 to 6 ,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providing unit 100 ,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 and an auxiliary management unit 300 . The data providing unit 100 may be installed by providing the lecture data (C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before the lecture starts. For example, the lecture material (CD) may include a PPT file for lectures and a program file provided for practice and quizzes, and may be files with a large data capacity. When files with a large amount of data are transmitted during lectures, data traffic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increases and the lecture video is cut off, so that a smooth lecture cannot be conduct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자료 제공부(100)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제공하여 미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400)은 제1_1 단말기(411), 제1_2 단말기(412) 내지 제N_M 단말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들(400)은 교육생들의 각각에게 배정된 단말기일 수 있다. 자료 제공부(100)는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에 미리 설치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ata providing unit 100 includ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dvance by providing the lecture data CD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before the lecture starts.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may include a first_1 terminal 411 , a first_2 terminal 412 to an N_Mth terminal 450 .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may be terminals assigned to each of the trainees. The data providing unit 100 may pre-install the lecture data (CD) in the first_1 terminal 411 to the N_M terminal 450 before the lecture starts.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강의자료(CD)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교육모드들은 강의모드(CM), 실습모드(PM) 및 대회모드(FM)를 포함할 수 있다. 강의모드(CM)에서는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통해서 강의의 내용을 수강할 수 있고, 실습모드(PM)에서는 강의와 관련되는 실습문제가 제공되어 교육생이 실습문제를 풀 수 있다. 또한, 대회모드(FM)에서는 강의와 관련되는 퀴즈가 제공되어 교육생들 간에 흥미를 유도할 수 있다.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provides a control signal (CS) for displaying lecture materials (C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on the screens of terminals based 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raining modes, and manages the lectures. can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may include a lecture mode (CM), a practice mode (PM), and a competition mode (FM). In the lecture mode (CM), the contents of the lecture can be taken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and in the practice mode (PM),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the lecture are provided so that the trainee can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addition, in the competition mode (FM), a quiz related to a lecture may be provided to induce interest among traine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강의자료(CD) 중 제1 강의자료(CD1)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강의모드(CM)에서 강의되고 있는 제1 강의자료(CD1)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가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모드(CM) 동안, 강사의 강의내용이 제1 강의자료(CD1)의 9페이지를 나타내는 경우,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1 강의자료(CD1)의 9페이지를 나타내는 제어신호(CS)를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는 제어신호(CS)에 따라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N_M 단말기(450)의 화면에 제1 강의자료(CD1)의 9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CM) among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i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CS) of the lecture data (CD).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so that the same page as the page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being lectured in the lecture mode CM is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For example, during the lecture mode (CM), when the lecture content of the instructor indicates 9 pages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controls the display of 9 pages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The signal CS may be provided to the first_1st terminal 411 to the N_Mth terminal 450 . In this case, the 1st_1st terminal 411 to the N_M terminal 450 displays the 9th page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on the screen of the 1st_1st terminal 411 to the N_Mth terminal 45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S. may be displayed.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강사의 강의자료(CD)와 교육생들의 강의자료(CD)가 동기화되면, 강사의 강의 내용 및 교육생들의 강의자료(CD)가 매칭될 수 있어 교육생들의 혼란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강의자료(CD)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CS)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CD)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CM), when the lecture data (CD) of the instructor and the lecture data (CD) of the trainees are synchronized, the lecture content of the instructor and the lecture data (CD) of the trainees are matched This can prevent confusion among trainees. In additio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installs the lecture materials (C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before the start of the lecture, and receives the control signal (CS) provided by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DATA TRAFFIC) applied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by synchronizing the lecture data (CD) of the instructor and the trainee and proceeding the lecture.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은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미리 설치된 제1 강의자료(CD1) 및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사의 영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강의모드(CM)로 동작하는 동안,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는 제1 강의자료(CD1), 채팅창(CW) 및 강사의 영상(TI)이 구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강의자료(CD1)는 강의 시작 전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어서, 강의 중에는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트래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강사의 영상(TI)은 강의 중에 실시간으로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400)로 전달되기 때문에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트래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CM) among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are pre-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1 The lecture material CD1 and the image of the instructor provided from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may be divided and displayed. For example,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CM),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include the first lecture data CD1, the chatting window CW, and the instructor. The images TI of may be separated and disposed.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efore the lecture starts, data traffic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may not be affected during the lectur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structor's video TI is transmitted from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in real time during a lecture, data traffic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may be affect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강사의 영상(TI)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강사의 영상(TI)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4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감소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가 감소할 수 있다. 반면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강사의 영상(TI)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로부터 복수의 단말기들(400)로 전달되는 데이터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시스템 로드가 증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the ratio of the instructor's image TI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decreases, the system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may decrease. For example, as the ratio of the instructor's image TI having the same resolution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decreas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decreases. can decrease In this case, the system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may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as the ratio of the instructor's image TI having the same resolution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increas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to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increases. can do. In this case, the system load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may increase.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제1 강의자료(CD1)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로드는 일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강의자료(CD1)는 강의 시작 전에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강의 중에는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데이터 트래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들(400)의 화면에서 제1 강의자료(CD1)가 차지하는 면적이 제1 면적(A1)에서 제2 면적(A2)으로 감소하더라도 시스템 로드에는 변화가 없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as the ratio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increases, the system load may be constant. For example,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efore the lecture starts. During a lecture, data traffic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may not be affected. Even if the area occupied by the first lecture material CD1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decreases from the first area A1 to the second area A2, there may be no change in the system load.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실습모드(PM)로 동작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실습모드(PM)에 상응하는 제2 강의자료(CD2)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강의자료(CD2)는 실습을 위한 프로그램 파일일 수 있다. 교육 관리 시스템(10)이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대회모드(FM)로 동작하는 동안,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제어신호(CS)에 기초하여 대회모드(FM)에 상응하는 제3 강의자료(CD3)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강의자료(CD3)는 퀴즈문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파일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operates in the practice mode (PM)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is in the practice mode (PM) based on the control signal (CS). The corresponding second lecture material CD2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For example, the second lecture material CD2 may be a program file for practice.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operates in the competition mode (FM)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i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CS) based on the third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competition mode (FM) (CD3)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s of terminals. For example, the third lecture material CD3 may be a program file including a quiz question.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은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강의자료(CD)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CS)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CD)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installs the lecture materials (C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before the start of the lecture,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CS) provided by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the instructo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DATA TRAFFIC) applied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by synchronizing the lecture data (CD) of the trainee and proceeding the lecture.

도 7은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9는 도 1의 교육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보조 관리부의 동작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includ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and FIGS.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operations of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included in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f FIG. 1 .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보조 관리부(300)는 복수의 단말기들(400)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판단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300)는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로 나누어 관리하는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강사는 강의를 진행할 수 있고, 보조강사는 보조 관리부(30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에 따라 피드백 정보(FI)를 제공할 수 있다. 교육생들은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통해서 보조강사에게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400)은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1_9 단말기(419), 제2_1 단말기(421) 내지 제2_9 단말기(429) 및 제3_1 단말기(431) 내지 제3_9 단말기(439)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300)는 제1 서브 관리부(310), 제2 서브 관리부(320) 및 제3 서브 관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7 to 9 ,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300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hrough the images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 management units that manage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by divid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auxiliary management units. The instructor may conduct a lecture, and the assistant instructor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FI accor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hrough the assistant management unit 300 . The trainees may provid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o the assistant instructor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may include a first_1 terminal 411 to a first_9 terminal 419 , a second_1 terminal 421 to a second_9 terminal 429 , and a third_1 terminal 431 to a third_9 terminal. (439) may be included.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sub management unit 310 , a second sub management unit 320 , and a third sub management unit 330 .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는 보조강사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강사의 수가 3인 경우, 제1 군 단말기(410)는 제1_1 단말기(411) 내지 제1_9 단말기(4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군 단말기(410)는 제1 서브 관리부(310)와 연결되어 제1 상태정보(SI1) 및 제1 피드백 정보(FI1)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보조강사는 제1 서브 관리부(310) 및 제1 군 단말기(41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FI)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군 단말기(420)는 제2_1 단말기(421) 내지 제2_9 단말기(4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군 단말기(420)는 제2 서브 관리부(320)와 연결되어 제2 상태정보(SI2) 및 제2 피드백 정보(FI2)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보조강사는 제2 서브 관리부(320) 및 제2 군 단말기(42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FI)를 송신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3 군 단말기(430)는 제3_1 단말기(431) 내지 제3_9 단말기(4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군 단말기(430)는 제3 서브 관리부(330)와 연결되어 제3 상태정보(SI3) 및 제3 피드백 정보(FI3)를 전달할 수 있다. 제3 보조강사는 제3 서브 관리부(330) 및 제3 군 단말기(43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수신하고, 피드백 정보(FI)를 송신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number of assistant managers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assistant instructors.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assistant instructors is 3, the first group terminal 410 may include a first_1 terminal 411 to a first_9 terminal 419 . The first group terminal 4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b management unit 310 to transmit the first state information SI1 and the first feedback information FI1. The first assistant instructor may receiv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through the first sub management unit 310 and the first group terminal 410 and transmit the feedback information FI. Also, the second group terminal 420 may include a second_1 terminal 421 to a second_9 terminal 429 . The second group terminal 4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ub management unit 320 to transmit the second state information SI2 and the second feedback information FI2. The second assistant instructor may receiv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hrough the second sub management unit 320 and the second group terminal 420 and transmit the feedback information FI. In the same manner, the third group terminal 430 may include a 3_1 terminal 431 to a 3_9 terminal 439 . The third group terminal 430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sub management unit 330 to transmit the third state information SI3 and the third feedback information FI3. The third assistant instructor may receiv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hrough the third sub management unit 330 and the third group terminal 430 and transmit the feedback information FI.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는 강사로부터 교육생들에게 제공되는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 보조 관리부(300)에 포함되는 서브 관리부들은 교육생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F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는 복수의 단말기들(400)을 통해서 전달되는 단말기 영상을 통해서 판단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may manage lectures provided from instructors to trainees. The sub management units included in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300 may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FI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trainees. For exampl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may be determined through a terminal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교육생의 상태정보(SI)는 교육생의 출결정보, 교육생의 자세정보 및 교육생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화면(DIS)에는 영상 틀(IF)이 포함될 수 있다. 출석체크 시간동안, 교육생이 영상 틀(IF) 내에 위치하고 있으면 출석이 인정될 수 있고, 교육생이 영상 틀(IF)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출석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강의 중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단말기 영상을 체크하여 교육생의 화면이탈 여부 및 집중도를 파악할 수 있다. 화면이탈 여부는 영상 틀(IF)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고, 집중도는 단말기 영상에 포함되는 교육생의 눈의 정보를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rainee's departure decision, the trainee's posture information, and the trainee's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creen DIS of the terminal may include an image frame IF. During the attendance check time, if the trainee is located within the video frame (IF), attendance may be recognized, and if the trainee is not located within the video frame (IF), it may not be recognized as attendance. In addition, by checking the terminal image at regular time intervals during the lect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rainee deviated from the screen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Whether the screen deviated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image frame (IF), and the degree of concentration can be determined through information on the eyes of the trainees included in the terminal image.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드백 정보(FI)는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강사는 제1 서브 관리부(310) 및 제1 군 단말기(410)를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제1_1 단말기(411)를 사용하는 교육생의 상태정보(SI)가 "질문있음"인 경우, 제1 보조강사는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1 서브 관리부(310) 및 제1 군 단말기(410)에 포함되는 제1_1 단말기(411)를 통해서 교육생에게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교육생의 상태정보(SI)는 단말기의 영상에 교육생의 동작으로 표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eedback information FI may include an answer to the trainee's question. For example, the first assistant instructor may receiv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hrough the first sub management unit 310 and the first group terminal 410 . When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 using the 1_1 terminal 411 is "I have a question", the first assistant instructor provides an answer to the trainee's question with the first sub management unit 310 and the first group terminal 410 ) may provide an answer to the trainee through the first terminal 411 included in the first_1.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 may be expressed as the trainee's motion on the image of the terminal.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자료 제공부(100)가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CD)를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제공하여 설치할 수 있다(S100).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강의자료(CD)를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CS)를 제공하고, 강의를 관리할 수 있다(S200). 보조 관리부(300)가 복수의 단말기들(400)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교육생들의 상태정보(SI)를 판단할 수 있다(S300). 본 발명에 따른 교육 관리 시스템(10)의 동작방법에서는, 강의 시작 전에, 복수의 단말기들(400)에 강의자료(CD)를 미리 설치하고, 온라인 학습 관리부(2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CS)에 따라 강사 및 교육생의 강의자료(CD)를 동기화하여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교육 관리 시스템(10)에 걸리는 부하(DATA TRAFFIC)를 감소시킬 수 있다.1 to 10,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providing unit 100 before the lecture starts, lecture data (C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400 It can be provided and installed (S100).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provides a control signal (CS) for displaying lecture materials (C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on the screens of terminals based 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raining modes, and manages the lectures. It can be (S200).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300 may determine the status information SI of the trainees through the images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S300 ).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lecture starts, the lecture material (CD) is installed in advance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400 , and the control signal CS provided by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200 .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DATA TRAFFIC) applied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 by synchronizing the lecture data (CD) of the instructor and trainee and proceeding the lecture.

10: 교육 관리 시스템 100: 자료 제공부
200: 온라인 학습 관리부 300: 보조 관리부
400: 복수의 단말기들
10: education management system 100: material provision department
200: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300: assistant management unit
400: a plurality of terminals

Claims (13)

강사의 강의 시작 전에, 강의자료를 복수의 단말기들에 제공하여 설치하는 자료 제공부;
미리 정해진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에 상응하는 상기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강의를 관리하는 온라인 학습 관리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되는 교육생들의 영상을 통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를 판단하는 보조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강의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시스템 로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어신호로만 상기 강의자료를 제어하고,
상기 강사의 강의가 제공되는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와 별도로 구성되는 상기 보조 관리부는 상기 시스템 로드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미리 정해진 보조관리 수로 나누어 각각 관리하는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의 각각은 상응하는 복수의 단말기들과만 연결되며,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는 상응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의 각각에 별도로 전달되고, 상기 강사와 구분되는 보조강사 별로 담당하는 상기 복수의 서브 관리부들의 각각은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교육생의 상태정보는 일정한 시간간격동안 미리 정해진 영상 틀에서 이탈여부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Before the instructor's lecture starts, a data providing unit for installing by providing lecture materials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education modes, and managing the lecture; and
and an auxiliary management unit for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through the images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plurality of terminal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controls the lecture material only with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system load is kept constant as the ratio of the lecture material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reases or decreases,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to which the instructor's lecture is provide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 management units that divide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auxiliary management units and manage each in order to prevent the system load from increasing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management units is connected only to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terminals, and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is separately transmitted to each of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sub management units, and is in charge of each auxiliary instructor distinct from the instruct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management units to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trainee departs from a predetermined image frame for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은 상기 강의를 진행하는 강의모드,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실습문제가 제공되는 실습모드 및 상기 강의와 관련되는 퀴즈가 제공되는 대회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include a lecture mode in which the lecture is conducted, a practice mode in which a practice problem related to the lecture is provided, and a competition mode in which a quiz related to the lecture is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강의자료 중 제1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어 상기 강의모드에서 강의되고 있는 상기 제1 강의자료의 페이지와 동일한 페이지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first lecture material among the lecture materials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same page as the page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being lectured in the lecture mode is display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be displayed 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강의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미리 설치된 제1 강의자료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강사의 영상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lectur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education modes,
The screen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a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divided into a first lecture material pre-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an image of an instructor provided from the outsid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강사의 영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에 해당하는 시스템 로드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ystem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applied to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decreases as the ratio of the instructor's image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decrea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화면에서 상기 제1 강의자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시스템 로드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ystem load is constant as the ratio of the first lecture material on the screen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ncrea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실습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습모드에 상응하는 제2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교육 관리 시스템이 상기 복수의 교육모드들 중 상기 대회모드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대회모드에 상응하는 제3 강의자료를 상기 단말기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practice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second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practice mode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While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es in the competit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raining modes,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displays the third lecture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competition mode on the screens of the terminal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학습 관리부는 강사로부터 상기 교육생들에게 제공되는 상기 강의를 관리하고,
상기 보조 관리부에 포함되는 상기 서브 관리부들은 상기 교육생들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에 상응하는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unit manages the lecture provided from the instructor to the trainees,
The sub-management units included in the auxiliary management unit provide feedbac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provided from the traine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들의 상태정보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을 통해서 전달되는 단말기 영상을 통해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s is determined through the terminal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생의 상태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출결정보, 상기 교육생의 자세정보 및 상기 교육생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trainee is,
The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information on departure decision of the trainee, posture information of the traine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e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교육생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관리 시스템.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eedback information education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the trainee.
삭제delete
KR1020200120249A 2020-09-18 2020-09-18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09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49A KR102409044B1 (en) 2020-09-18 2020-09-18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49A KR102409044B1 (en) 2020-09-18 2020-09-18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595A KR20220037595A (en) 2022-03-25
KR102409044B1 true KR102409044B1 (en) 2022-06-16

Family

ID=8093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249A KR102409044B1 (en) 2020-09-18 2020-09-18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044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979B1 (en) 2001-05-03 2004-08-04 주식회사 넷채널 Method of on-line educating for network apparatus using simulation interfa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same
KR20030075085A (en) * 2002-03-15 2003-09-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on-line lecture system
KR20100078289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엑센코리아 Apparatus and method of learning service in on-line learning system
KR20170057571A (en) * 2015-11-17 2017-05-25 (주) 에이스탁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lecture service
KR20170017979A (en) * 2017-02-06 2017-02-15 주식회사 아이티스테이션 System For Estimating Lecture Attention Level, Checking Course Attendance, Lecture Evaluation And Lecture Feedback
KR20190062169A (en) * 2018-10-23 2019-06-05 주니어데이비드승준 신 Method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service in real time interac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595A (en)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monson et al. Distance education 3rd edition: Definition and glossary of terms
Smith 9 Teacher decision making in the
US20110200979A1 (en) Online instructional dialogs
Blakely A model for distance education delivery
KR102409044B1 (en)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Marr The transformation of distance learning at Open University: the need for a new pedagogy for online learning?
KR20140003381A (en) Real-time learning system
Beatty Teaching a hybrid-flexible course
Mühlhäuser et al. Digital lecture halls keep teachers in the mood and learners in the loop
Barker Reforming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Case Study Report of a College Model.
Kaban Us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the COVID-19 pandemic
Barker Dilemmas at a distance
Ho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ractive television
Nixon et al. Developing the “virtual” classroom: a business school example
Wikle Planning Considerations for Online Certificates and Degrees in GIS.
Llamas-Nistal et al. Teach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education of the future
Green et al. Preparing for an Online ABET Visit
Clement Essentials for Principals: How To Interview, Hire, and Retain High-Quality New Teachers.
Crossman A Cd Rom Based Laboratory In Fluid Mechanics
Cordover A comparison of a distance education and locally based course in an urban university setting
Burgess et al. Keep Calm and Tutor Online! Rhody’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Stout et al. Ft. Hood and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Collaboration and Distance Learning.
KR20240029007A (en)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system using whiteboard sharing and monitoring for each user and method thereof
Lillie et al. Principles and procedures in technical assistance: An approach to educational change
KR20230029154A (en) On-line education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