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565B1 -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565B1
KR102408565B1 KR1020200116559A KR20200116559A KR102408565B1 KR 102408565 B1 KR102408565 B1 KR 102408565B1 KR 1020200116559 A KR1020200116559 A KR 1020200116559A KR 20200116559 A KR20200116559 A KR 20200116559A KR 102408565 B1 KR102408565 B1 KR 10240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bestos
support
accommodation
accommod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4331A (ko
Inventor
정용국
정승건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청정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청정나라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청정나라
Priority to KR102020011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5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석면텍스의 해체과정 중은 물론 석면텍스의 해체완료 후에도 석면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어 유출될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Asbestos dismantling device with improved workability}
본 발명은 석면텍스의 해체과정 중은 물론 석면텍스의 해체완료 후에도 석면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어 유출될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면이란 섬유모양을 갖는 광물성 규산염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고, 보건학적으로 가장 문제시되는 석면은 백석면(chrysotile), 청석면(crocidolite) 및 갈석면(amosite) 등 3종류이며 이 밖에도 안소필라이트(Anthophylite), 트레모라이트(Tremolite), 악티노라이트(Actinolite)등의 석면이 있다.
이들 석면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전체 사용량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백석면이고, 석면함유물질(Asbestos Containing Material, ACM)이란 순수한 석면만으로 제조되거나 석면에 다른 섬유물질이나 비섬유질을 혼합한 물질로서 중량비로 1% 이상의 석면을 함유한 물질이다.
이러한 석면은 통상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모든 건축용 자재 예컨대, 밀보드ㆍ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ㆍ내화재ㆍ보온재ㆍ단열재등 그 용도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그런데, 이러한 석면에 대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석면 분진을 장기간 호흡기를 통해 흡수하게 되면 석면폐(폐선유증), 폐암악성중피종(肺癌惡性中皮腫)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중에서도 악성중피종은 그로씨트라이트 즉, 청석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이는 흉막(胸膜)과 복막(腹膜)의 중피(中皮)에 발생하는 악성종암(惡性腫癌)인 것이다.
따라서, 석면을 취급하는 작업자 중에는 석면폐에 걸리거나 폐암, 악성중피종으로 사망하는 예가 많고,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청석면 및 갈석면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에 제조 등의 금지물질로 규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용도 법률로서 특별히 규제되고 있고, 석면의 해체ㆍ제거작업을 "석면함유설비 또는 건축물의 파쇄, 개ㆍ보수 등으로 인하여 석면분진이 흩날릴 우려가 있고 작은 입자의 석면 폐기물이 발생되는 작업"으로 정의하여 산업안전보건법의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까다로운 허가조건으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천장바닥재 철거는 대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석면으로된 천장바닥재를 천장바닥면에서 뜯어 제거하고,
천장바닥면에 고착된 석면 찌꺼기를 긁어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공정 시 석면의 비산물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하여 석면 제거 이전에 천장 작업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 부분에 일정한 두께의 비닐 시트 혹은 방진 시트로 밀폐하는 준비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석면을 제거하는 종래 기술은 작업자가 건축물 내에서 직접 수작업으로 석면 슬러지를 제거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작업자가 오랫동안 석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석면에 의한 피해가 극심하고 작업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천장의 석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예정구역의 실내 전체의 벽체, 바닥면, 출입문, 창문, 환기구 뿐만 아니라 작업부위를 제외한 천장면까지도 일정한 두께의 비닐 시트 혹은 방진 시트로 밀폐하여 석면 분진의 유출을 최소화하는 사전작업을 반드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전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의 장기화로 막대한 작업경비가 소요되는 경제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장기간 석면에 노출될 위험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석면이 마련된 천장부를 비닐 등의 부재로 밀폐하여 작업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전의 선행기술은 석면의 비산을 방지하는 데 중심을 두고 있고, 석면을 제거하는 장치의 설치시의 편리성이나 안정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구체적으로, 석면은 일반적으로 작업 대상 구조물의 천장부에 마련되고, 그 재질의 특성상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부서지기 쉬운 특징이 있다.
또한, 석면의 교체 작업 시 천장부에 마련된 석면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 시기가 된 석면만을 교체한다.
따라서, 석면 제거 장치를 천장부에 설치 시 천장부와 밀착시키기 위해 너무 많은 하중을 가하는 경우 교체 대상이 아닌 석면이 파손될 수가 있고, 이는 작업의 지연 및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석면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거함과 아울러 석면이 마련된 작업 대상 구조물에 공간상의 제약 없이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 중 석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2993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2993호의 경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부에 부착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닐부재를 포함한 석면공간 밀폐 저장부로 석면 작업 영역을 밀폐하여 석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석면의 제거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석면공간 밀폐 저장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탄성 가변 포스트가 하강할 경우, 상기 탄성 가변 포스트를 따라 하강하는 석면공간 밀폐 저장부의 비닐부재의 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개방된 상기 비닐부재의 상부를 통해 석면 분진이 외부방향으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56299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석면텍스의 해체작업과정 중은 물론 석면텍스의 해체완료 후에도 석면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어 유출될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석면텍스가 수용되는 수용틀과;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폐쇄하는 하부 고정시트와; 상기 수용틀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수용틀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수용틀의 내부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가 해체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틀의 상부를 폐쇄하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을 폐쇄하는 석면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틀의 하부 가장자리에 상기 수용틀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바닥판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의 전측부 일측, 전측부 중간, 전측부 타측 및 상기 바닥판의 후측부 일측, 후측부 중간, 후측부 타측에 각각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의 개방구 주변의 상기 수용틀의 하부부위 마다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시트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의 개방구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고정시트에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를 통해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고정피스가 분리된 후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절개부에서 상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절개부를 폐쇄하는 부착시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하부 고정시트에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상부방향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상부 또는 상기 관통구의 상부방향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상부에 상기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패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받침부는 상기 수용틀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을 각각 받침지지하는 일측 받침판 및 타측 받침판과; 상기 일측 받침판의 전측부와 후측부 및 상기 타측 받침판의 전측부와 후측부에서 각각 상기 일측받침판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받침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 전측 및 하부 후측과 접하는 전측연장판 및 후측연장판과; 상기 일측 받침판의 중간부와 상기 타측 받침판의 중간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중간 받침판의 하부에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 중간부에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수직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주변의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바닥면 일측부와 내측 바닥면 타측부에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일측수직판과 상기 타측수직판 사이에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너트부재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과 타측수직판에 면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용틀의 상부에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상부가 밀착되고, 하부 내측에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수용틀의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에 삽입되고, 내면에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수용틀의 내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상기 수용틀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하부패킹몸체와; 상기 하부패킹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는 상부패킹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수용틀의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에 삽입되고, 내면에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수용틀의 내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상기 수용틀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하부패킹몸체와; 상기 하부패킹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패킹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고,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는 상부패킹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용틀의 상하폭은 30mm ~ 6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가 내부에 수용된 수용틀의 상부를 수용틀 상부마감부를 통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석면텍스의 해체과정 과정 중은 물론 석면텍스의 해체완료 후에도 상기 수용틀의 내부에 수용된 석면분진이 상기 수용틀의 외부방향으로 비산되어 유출될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하부 고정시트에 절개부가 형성 및 절개부가 형성된 일예의 하부 고정시트에서 부착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일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연장부가 형성 및 연장부가 형성된 일예의 수용틀의 하부에서 일예의 하부 고정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일예의 수용틀에서 일예의 패킹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느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2는 일예의 수용틀에서 다른예의 패킹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5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6은 일예의 수용틀의 상부에 패킹부재가 고정 및 일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하부 고정시트가 하부 고정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지지대의 상부에 일예의 수용틀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은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가 상승하여 패킹부재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주변에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9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고정피스를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0은 일예의 수용틀의 내부에 해체완료된 석면텍스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은 일예의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수용틀 상부마감부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2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석면마감부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3은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가장자리가 수용틀의 사면에 부착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석면마감부의 가장자리가 일예의 수용틀 주변의 석면텍스의 하부면에 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5는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와 함께 상부가 폐쇄된 일예의 수용틀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6은 지지대로부터 상부가 폐쇄된 일예의 수용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9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1은 다른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연장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3은 다른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복수의 하부 고정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F - F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36은 다른예의 수용틀로부터 다른예의 복수의 하부 고정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8은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를 수직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7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9는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로부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0은 또 다른예의 복수의 하부 고정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1은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또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를 수직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2는 또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로부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 - A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용틀(10), 하부 고정시트(20), 받침부(30), 지지대(40), 수용틀 상부마감부 및 석면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용틀(10)은 일예로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수용틀(10)의 하부에는 개방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틀(10)의 내측에는 해체완료된 석면텍스가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고정시트(20)는 상기 수용틀(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시트(20)는 일예로 투명재질의 비닐 시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테이프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예로,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하부 고정시트(20)로부터 양면테이프의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수용틀(10)의 하부를 받침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받침판(310), 타측 받침판(320), 전측연장판(330), 후측연장판(340) 및 중간 받침판(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받침판(310)은 상기 수용틀(10)의 전측부에서 후측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일측과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 일측을 받침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 받침판(320)은 상기 일측 받침판(3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타측과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 타측을 받침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측연장판(330)은 상기 일측 받침판(310)의 전측부와 상기 타측 받침판(320)이 전측부에서 상기 일측 받침판(310)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 받침판(3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직연장되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전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후측연장판(340)은 상기 일측 받침판(310)의 후측부와 상기 타측 받침판(320)의 후측부에서 상기 일측 받침판(310)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 받침판(3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직연장되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후측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받침판(350)은 상기 일측 받침판(310)의 중간부 하부와 상기 타측 받침판(320)의 중간부 하부 사이에 상기 수용틀(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에 부착된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 중간부를 받침지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중간 받침판(350)의 하부 중간부에는 고정브라켓(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1)의 전측과 후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1)의 하부 중간부에는 후술할 상기 지지대(40)의 높낮이 조절가능한 연장바(41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부재(411)가 수직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 주변의 상기 고정브라켓(31)의 내측 바닥면 일측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일측수직판(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 주변의 상기 고정브라켓(31)의 내측 바닥면 타측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3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타측수직판(3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판(312)과 상기 타측수직판(313)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40)의 높낮이 조절가능한 연장바(410)의 상부에 형성된 볼트부재(411)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9)가 수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지지대(40)의 연장바(410)를 회전시켜 상기 일측수직판(312)과 상기 타측수직판(313) 사이에 위치한 상기 너트부재(9)에 상기 연장바(410)의 볼트부재(411)를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9)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312)과 상기 타측수직판(313)에 면접촉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너트부재(9)가 회전될 우려가 없어 상기 너트부재(9)의 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부재(9)와 상기 볼트부재(411)의 결합상태가 해제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4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클램프고정부(420)에 의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420)가 구비된 삼각지지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수용틀(10)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의 다른 석면텍스의 하부부위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30),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와 함께 상기 수용틀(10)을 일정높이로 수평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는 상기 수용틀(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석면마감부는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석면마감부는 각각 난연성 비닐 등의 난연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석면마감부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예의 하부 고정시트에 절개부가 형성 및 절개부가 형성된 일예의 하부 고정시트에서 부착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전측부 일측, 전측부 중간, 전측부 타측 및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후측부 일측, 후측부 중간, 후측부 타측에는 각각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7)는 '+'형상 또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절개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를 통해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고정피스가 분리된 후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절개부(7)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7)의 주변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부위에는 상기 절개부(7)를 각각 폐쇄하는 부착시트(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착시트(70)는 일예로 투명재질의 비닐 시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착시트(70)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절개부(7)의 주변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부위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부착시트(70)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절개부(7)의 주변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부위에 테이프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다른예로, 상기 부착시트(70)의 상부 가장자리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고, 상기 부착시트(70)로부터 양면테이프의 이형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부착시트(70)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절개부(7)의 주변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일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연장부가 형성 및 연장부가 형성된 일예의 수용틀의 하부에서 일예의 하부 고정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수용틀(10)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사각틀 형태의 연장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2)로 인해 상기 수용틀(10)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상기 수용틀(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서로 접할 수 있어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부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용틀(10)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 사이를 통해 석면분진이 유출될 위험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일예의 수용틀에서 일예의 패킹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느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10)의 상부에 패킹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90)는 상기 수용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사각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90)의 상부는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의 다른 석면텍스의 하부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90)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수용틀(10)의 상부 가장자리가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90)는 일예로, 하부패킹몸체(910)와 상부패킹몸체(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하부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내측에 상기 수용틀(10)의 상부 가장자리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틀(10)의 외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내면부위 및 상기 수용틀(10)의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내면부위에는 상기 수용틀(10)의 외면 및 상기 수용틀(10)의 내면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틀(10)의 외면 및 상기 수용틀(10)의 내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고정날개(9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날개(911)를 통해 상기 상기 하부패킹몸체(910)가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방향으로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패킹몸체(920)는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상부에 환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패킹몸체(920)의 내측에는 중공부(9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패킹몸체(920)의 상부는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의 다른 석면텍스의 하부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2는 일예의 수용틀에서 다른예의 패킹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C - C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5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패킹부재(90)는 다른예로,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와 상기 상부패킹몸체(92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패킹몸체(920)는 도 12 내지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상부에서 상기 하부패킹몸체(9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도 16은 일예의 수용틀의 상부에 패킹부재가 고정 및 일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하부 고정시트가 하부 고정시트가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은 지지대의 상부에 일예의 수용틀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10)의 상부에 상기 패킹부재(90)가 구비 및 상기 수용틀(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고정시트(20)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10)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받침부(30)의 내측에 안착고정될 수 있다.
도 18은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가 상승하여 패킹부재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주변에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410)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틀(1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패킹부재(90)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 주변의 다른 석면텍스(3)의 하부부위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9는 전동드릴을 이용하여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고정피스를 분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에 형성될 수 있는 절개부(7)를 수직관통하는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를 통해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를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고정피스(8)는 상기 수용틀(10)의 내부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를 분리할 수 있는 상기 수용틀(10) 내부의 작업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피스(8)에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를 용이하게 결합시켜 상기 고정피스(8)를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틀(10)의 상하폭(도 2의 D)은 30mm ~ 60mm 인 것이 좋다.
상기 수용틀(10)의 상하폭(D)이 30mm 미만인 경우,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를 분리할 수 있는 상기 수용틀(10) 내부의 작업공간의 상하폭이 협소해져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가 분리완료되기 전에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면과 접하게 되어 상기 고정피스(8)의 분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수용틀(10)의 상하폭(D)이 60mm 초과인 경우,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를 분리할 수 있는 상기 수용틀(10) 내부의 작업공간의 상하폭이 너무 커져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를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에 결합하기가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20은 일예의 수용틀의 내부에 해체완료된 석면텍스가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를 이용하여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의 고정피스(8)의 분리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절개부(7)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이탈될 수 있고, 이상태에서 상기 절개부(7)의 주변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하부부위에는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7)를 각각 폐쇄하는 부착시트(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피스(8)가 분리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는 자중에 의해 상기 수용틀(10)의 내부로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다.
도 21은 일예의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수용틀 상부마감부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수용틀(10)의 내부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가 해체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1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패킹부재(90)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3)가 설치되었던 공간(S)의 하부 사이로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가 인입되어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수용틀(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길이 또한 상기 수용틀(1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석면마감부가 인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의 설치 완료 후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석면마감부(60)는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3)가 설치되었언 공간(S)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해체된 석면텍스(3)가 설치되었던 공간(S)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석면마감부(6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는 상기 수용틀(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석면마감부(6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길이 또한 상기 수용틀(1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가장자리가 수용틀의 사면에 부착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석면마감부(60)의 설치 완료 후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의 가장자리는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의 하부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수용틀(10)의 외측 사면에 각각 테이프(2)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도 24는 석면마감부의 가장자리가 일예의 수용틀 주변의 석면텍스의 하부면에 부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석면마감부(60)의 가장자리는 상기 수용틀(10)의 상부 주변의 다른 석면텍스(3)의 하부면에 테이프(2)를 통해 부착고정될 수 있다.
도 25는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와 함께 상부가 폐쇄된 일예의 수용틀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후,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바(410)와 함께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에 의해 상부가 폐쇄된 수용틀(10)이 하강될 수 있다.
도 26은 지지대로부터 상부가 폐쇄된 일예의 수용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틀(10)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수용틀(10)이 해체된 석면텍스(3)를 폐기할 수 있는 장소로 운반된 후 상기 수용틀(10)로부터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와 해체된 석면텍스(3)가 각각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10)은 세척후 재사용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3)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를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를 통해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어 석면텍스(3)의 해체과정 과정 중은 물론 석면텍스(3)의 해체완료 후에도 상기 수용틀(10)의 내부에 수용된 석면분진이 상기 수용틀(10)의 외부방향으로 비산되어 유출될 우려가 없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9의 D - D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결합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인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는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도 27 내지 도 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수용틀(10), 상기 하부 고정시트(20), 상기 받침부(30), 상기 지지대(40),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50) 및 상기 석면마감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상기 수용틀(10)의 하부에 바닥판(11)이 수평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닥판(11)의 전측부 일측, 전측부 중간, 전측부 타측 및 상기 바닥판(11)의 후측부 일측, 후측부 중간, 후측부 타측에 각각 개방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1은 다른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연장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1 및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1)의 개방구(110) 주변의 상기 수용틀(10)의 하부부위 마다 상기 개방구(11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3은 다른예의 수용틀의 하부에 복수의 하부 고정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4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F - F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는 도 33 내지 도 3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11)의 개방구(110)를 폐쇄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양면테이프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 가장자리를 상기 바닥판(11)의 개방구(110) 주변의 상기 바닥판(11) 부위에 부착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일측부 또는 타측부에는 상기 바닥판(11)으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를 간편하게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시트(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시트(21)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스트(21)의 상부가 상기 바닥판(11)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1)의 개방구(110) 주변의 상기 수용틀(10)의 하부부위 마다 상기 개방구(11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상기 연장부(12)로 인해 상기 바닥판(11)이 형성된 상기 수용틀(10)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상기 수용틀(1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방구(110) 주변의 상기 바닥판(11)의 하부부위마다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할 수 있어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부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개방구(110)를 통해 석면분진이 유출될 위험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6은 다른예의 수용틀로부터 다른예의 복수의 하부 고정시트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8은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를 수직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37의 G - G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9는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로부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36 및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중간부에는 도 38 및 도 3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상기 절개부(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개부(7)의 상부방향의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에는 패드부재(80)의 하부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재(80)에도 드라이버 비트(51)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상기 절개부(7)를 수직관통하면서 상기 수용틀(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 상기 절개부(7)는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벌어지면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상기 절개부(7)의 하부방향으로 이탈될 경우, 상기 절개부(7)는 상기 수용틀(10)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좁혀지면서 폐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절개부(7)를 통해 석면분진이 상기 수용틀(10)의 외부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0은 또 다른예의 복수의 하부 고정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는, 도 4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에는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관통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3)의 상부방향의 복수개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20)의 상부에는 상기 드라이버 비트(51)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상기 절개부(7)가 형성되는 상기 패드부재(80)의 하부가 부착구비될 수 있다.
도 41은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또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를 수직관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2는 또 다른예의 하부 고정시트로부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상기 관통구(13)를 수직관통하면서 상기 수용틀(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패드부재(80)의 절개부(7)는 도 4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틀(1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벌어지면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전동드릴(5)의 드라이버 비트(51)가 도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패드부재(80)의 절개부(7)의 하부방향으로 이탈될 경우, 상기 패드부재(80)의 절개부(7)는 상기 수용틀(10)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좁혀지면서 폐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패드부재(80)의 절개부(7)와 상기 관통구(13)를 통해 석면분진이 상기 수용틀(10)의 외부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0; 수용틀, 20; 하부 고정시트,
30; 받침부, 40; 지지대,
50; 수용틀 상부마감부, 60; 석면마감부.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바닥판이 형성 및 상기 바닥판의 전측부 일측, 전측부 중간, 전측부 타측 및 상기 바닥판의 후측부 일측, 후측부 중간, 후측부 타측에 각각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석면텍스가 수용되는 수용틀과;
    상기 바닥판의 개방구 주변의 상기 수용틀의 하부부위 마다 상기 개방구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폐쇄하는 하부 고정시트와;
    상기 수용틀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수용틀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수용틀의 내부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가 해체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틀의 상부를 폐쇄하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을 폐쇄하는 석면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2.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석면텍스가 수용되는 수용틀과;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폐쇄하고,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하부 고정시트와;
    상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를 통해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의 고정피스가 분리된 후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절개부에서 상기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절개부를 폐쇄하는 부착시트와;
    상기 수용틀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수용틀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수용틀의 내부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가 해체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틀의 상부를 폐쇄하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을 폐쇄하는 석면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3.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석면텍스가 수용되는 수용틀과;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폐쇄하고, 전동드릴의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하부 고정시트와;
    상기 절개부의 상부방향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상부 또는 상기 관통구의 상부방향의 상기 하부 고정시트의 상부에 상기 드라이버 비트가 수직으로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패드부재와;
    상기 수용틀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수용틀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수용틀의 내부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가 해체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틀의 상부를 폐쇄하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을 폐쇄하는 석면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4.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석면텍스가 수용되는 수용틀과;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에 형성된 개방구를 폐쇄하는 하부 고정시트와;
    상기 수용틀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을 각각 받침지지하는 일측 받침판 및 타측 받침판과, 상기 일측 받침판의 전측부와 후측부 및 상기 타측 받침판의 전측부와 후측부에서 각각 상기 일측 받침판의 상부방향 및 상기 타측 받침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 전측 및 하부 후측과 접하는 전측연장판 및 후측연장판과, 상기 일측 받침판의 중간부와 상기 타측 받침판의 중간부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받침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틀의 하부를 받침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도록 상기 받침부와 함께 상기 수용틀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받침부의 중간 받침판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고정되며, 하부 중간부에 상기 지지대의 상부가 수직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관통공 주변의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 바닥면 일측부와 내측 바닥면 타측부에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직연장형성되는 일측수직판 및 타측수직판과;
    상기 일측수직판과 상기 타측수직판 사이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부와 나사결합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일측수직판과 타측수직판에 면접촉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수용틀의 내부로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가 해체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수용틀의 상부를 폐쇄하는 수용틀 상부마감부와;
    상기 수용틀 상부마감부의 상부와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 하부 사이로 인입되어 해체된 석면텍스가 설치되었던 공간을 폐쇄하는 석면마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의 하부 가장자리에 상기 수용틀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시트는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의 개방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의 상부에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상부가 밀착되고, 하부 내측에 상기 수용틀의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수용틀의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에 삽입되고, 내면에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수용틀의 내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상기 수용틀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하부패킹몸체와;
    상기 하부패킹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는 상부패킹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수용틀의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에 삽입되고, 내면에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수용틀의 내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틀의 외면 및 상기 수용틀의 내면에 밀착고정되는 고정날개가 형성되는 하부패킹몸체와;
    상기 하부패킹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패킹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고, 상부가 해체하고자 하는 석면텍스 주변에 밀착되는 상부패킹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틀의 상하폭은 30mm ~ 6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16559A 2020-09-11 2020-09-11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KR10240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59A KR102408565B1 (ko) 2020-09-11 2020-09-11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59A KR102408565B1 (ko) 2020-09-11 2020-09-11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31A KR20220034331A (ko) 2022-03-18
KR102408565B1 true KR102408565B1 (ko) 2022-06-14

Family

ID=8093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59A KR102408565B1 (ko) 2020-09-11 2020-09-11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5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00B1 (ko) * 2008-06-09 2011-03-31 주식회사 두석건설 석면 제거장치
KR101562993B1 (ko) * 2015-02-25 2015-10-23 주식회사 한국석면환경조사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9252A (en) * 1999-06-04 2000-11-21 Browning; Thomas D. Glove box for cutting a hole in a ceiling
KR20100046097A (ko) * 2008-10-25 2010-05-06 한광진 석면 천장텍스 철거 기구 와 이를 사용한 석면 천장텍스철거 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200B1 (ko) * 2008-06-09 2011-03-31 주식회사 두석건설 석면 제거장치
KR101562993B1 (ko) * 2015-02-25 2015-10-23 주식회사 한국석면환경조사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31A (ko)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261A (en) High efficiency air filter
KR102408565B1 (ko) 작업성이 향상된 석면 해체장치
JP4754420B2 (ja) 建材撤去装置
KR101562993B1 (ko)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
WO2015030436A1 (ko) 엘리베이터 케이지 벽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03224B1 (ko) 흡입구에 경사체가 내설된 분리형 음압기
JP5678327B2 (ja) 放射性物質の取扱い
KR101562672B1 (ko)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
KR101026200B1 (ko) 석면 제거장치
KR20120122130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유리판 고정장치
KR20090113655A (ko) 천장 국소부위의 석면 제거장치
KR20170040058A (ko) 보양비닐용 다목적 캐리어
CN210622639U (zh) 一种钢质非隔热型防火窗
JP2007327260A (ja) 天井改修方法および膜天井構造
EP0404983A1 (de) Installationsbaustein oder -block
KR100903071B1 (ko)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의 제거방법
JP502631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の取替え方法
US20170312842A1 (en) Arc Gouging Box
JP5927835B2 (ja) 付着物の除去方法
KR101124222B1 (ko) 석면 제거장치
KR20110007954A (ko) 뿜칠석면의 고형화 정도 측정장치 및 고형화 정도 측정방법
KR20110124736A (ko) 텍스 석면의 비산 방지를 위한 시트
JP5779870B2 (ja) 付着物の処理方法、仕切り壁の設置方法、及び、仕切り壁
KR101471593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20100086454A (ko) 석면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