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523B1 - 설계 ve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계 ve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8523B1 KR102408523B1 KR1020190179423A KR20190179423A KR102408523B1 KR 102408523 B1 KR102408523 B1 KR 102408523B1 KR 1020190179423 A KR1020190179423 A KR 1020190179423A KR 20190179423 A KR20190179423 A KR 20190179423A KR 102408523 B1 KR102408523 B1 KR 1024085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tisfaction
- design
- coefficient
- quality
- verification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OOYGSFOGFJDDHP-KMCOLRRFSA-N kanamycin A sulfate Chemical group OS(O)(=O)=O.O[C@@H]1[C@@H](O)[C@H](O)[C@@H](CN)O[C@@H]1O[C@H]1[C@H](O)[C@@H](O[C@@H]2[C@@H]([C@@H](N)[C@H](O)[C@@H](CO)O2)O)[C@H](N)C[C@@H]1N OOYGSFOGFJDDHP-KMCOLRRF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60 com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42 design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30 function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은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 VE 검증 시스템은, 항목별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긍정적 질문 및 부정적 질문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품질속성으로 도출하는, 품질속성 도출부;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의 품질속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족위치를 도출하는, 만족위치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로 도출된 만족위치를 항목별로 도출함으로써 항목별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계 VE 검증 시스템이 개시된다.
VE(Value Engineering)는 가치공학 또는 가치분석으로 사물 자체가 아니라 사물의 가치에 눈을 돌려서 그 사물의 가치를 높여가는 노력을 하는 가치향상 기법이다. 건설분야에서 건설 VE는 최저 생애주기비용으로 시설물의 기능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 설계목표달성을 위하여 실시하는 조직적 노력을 의미한다. 건설 VE는 시설물에 요구되는 기능을 개선하거나 불필요한 기능을 제거하여 시설물의 가치를 제고하고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2016년 2월 5일자로 출원된 등록특허공보 제 10-1745567호는 '건설물의 친환경 가치공학 의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원안에 대비하여 최종 개발된 대안이 요구사항을 얼마나 반영하였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 VE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원안 설계 또는 대안 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별 만족 정도를 검증할 수 있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시설물의 기능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설계 VE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설계 VE 검증 시스템은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 VE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항목별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긍정적 질문 및 부정적 질문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품질속성으로 도출하는, 품질속성 도출부;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의 품질속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족위치를 도출하는, 만족위치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로 도출된 만족위치를 항목별로 도출함으로써 항목별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긍정적 질문은 복수의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정적 질문은 복수의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만족 수준은 복수의 평가 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는, 상기 입력부의 상기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품질속성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속성 데이터는, 매력적 품질속성, 일원적 품질속성, 당연적 품질속성, 무관심 품질속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는, 상기 품질속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만족계수 및 불만족계수는 , 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여기서, S는 만족계수, D는 불만족계수, A는 매력적 품질속성의 개수, O는 일원적 품질속성의 개수, M은 당연적 품질속성의 개수, I는 무관심 품질속성의 개수이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는, 상기 만족계수, 불만족계수 및 상기 입력부의 만족수준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족위치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만족위치는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 사이의 위치로 획득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만족위치는, 에 의해 획득될 수 있고, 여기서, P는 만족위치, S는 만족계수, D는 불만족계수, L은 만족수준, Max은 최대조사범위(5), Min은 최소조사범위(1)이다.
일 측에 따르면, 대안 채택을 위한 판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에 원안 설계와 대안 설계에 대한 항목별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의 응답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는 원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 및 대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를 각각 산출할 수 있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로부터 산출된 원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 및 대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를 비교하여, 원안 설계에 대한 대안 설계의 만족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원안 설계 또는 대안 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별 만족 위치들을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에 의하면,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에 의하면, 원안 설계 또는 대안 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별 만족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에 의하면, 시설물의 기능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요구사항 항목별 중요도와 함께 작성된 품질모델을 도시한다.
도 3은 카노모델 품질분석 결과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2는 요구사항 항목별 중요도와 함께 작성된 품질모델을 도시한다.
도 3은 카노모델 품질분석 결과 그래프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2는 요구사항 항목별 중요도와 함께 작성된 품질모델을 도시하고, 도 3은 카노모델 품질분석 결과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은 입력부(100), 품질속성 도출부(200), 만족위치 도출부(300), 판별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VE 설계 과정은 전체적으로 바라보면 시작단계, 사전연구단계, 분석연구단계, 실행단계로 나눌 수 있다. 시작단계 후 사전연구단계는 발주자 요구사항 측정 단계, 설계 대상 선택 단계를 포함한다. 사전연구단계 후 분석연구단계는 기능 분석 단계, 아이디어 생성 단계, 아이디어 평가 단계, 대안 검증 단계를 포함한다. 분석연구단계 후 실행단계에서 채택된 설계 대안으로 시공을 시작한다.
위 프로세스 중 발주자 요구사항 측정 단계와 대안 검증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의 입력부(100)에 발주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품질모델의 충족 여부를 파악하는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만족수준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에서, 상기 긍정적 질문은 복수의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부정적 질문은 복수의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족 수준은 복수의 평가 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된 상기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에 대한 응답 데이터는 품질속성 도출부(2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200)는 상기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품질속성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품질속성 데이터는 매력적 품질속성, 일원적 품질속성, 당연적 품질속성, 무관심 품질속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200)는 최고 빈도를 나타내는 유형을 항목별 최종 유형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은 입력부(100)와 품질속성 도출부(200)에 발주자의 요구사항 항목별 만족 정도를 분류할 때 카노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카노 모델은 제공된 서비스의 특성에 따라 발주자의 만족도를 여러 유형으로 나누는 이원적 분석 방법이다. 카노의 분석 방법을 통하여 품질특성이 6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매력적 품질 (Attractive Quality) 속성은 고객이 무엇인가에 의해 충족이 되면 만족을 주지만 충족되지 않더라도 하는 수 없다고 받아들이는 품질 요소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경쟁우위로 작용한다. 둘째, 일원적 품질(One-Dimensional Quality) 속성은 일반적인 서비스 품질인식으로, 충족되면 만족하게 되고, 충족되지 않으면 불만족을 나타내는 품질요소이다. 셋째, 당연적 품질(Must-Be Quality) 속성은 당연히 있어야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충족되면 당연하지만, 충족되지 않으면 심각한 불만을 일으키는 품질 요소이다. 네번째, 고객이 신경 쓰지 않는 품질요소이다. 다섯째, 역(逆) 품질(Reverse Quality) 속성은 충족이 되면 불만을 일으키고, 충족이 되지 않으면 만족을 일으키는 품질요소이다. 여섯째, 회의적 품질(Questionable Quality)속성은 일반적으로 나올 수 없는 응답이며 설문을 이해하지 못했거나 품질속성에 대해 이해가 낮을 경우 나타난다.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200)에 산출된 품질속성 데이터는 만족위치 도출부(3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300)는 상기 품질속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는 정규화된 값일 수 있다.
상기 만족계수 및 상기 불만족계수는 아래의 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S는 만족계수, D는 불만족계수, A는 매력적 품질속성의 개수, O는 일원적 품질속성의 개수, M은 당연적 품질속성의 개수, I는 무관심 품질속성의 개수이다.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300)는 상기 만족계수, 불만족계수 및 상기 입력부의 만족수준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족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만족위치는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 사이의 위치로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만족위치는 아래의 식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P는 만족위치, S는 만족계수, D는 불만족계수, L은 만족수준, Max은 최대조사범위(5), Min은 최소조사범위(1)이다.
그 다음,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의 판별부(400)는 원안 설계와 대안 설계에 대한 요구사항 반영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100)에 원안 설계와 대안 설계에 대한 항목별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의 응답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300)는 원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 및 대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를 각각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별부(400)는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300)로부터 산출된 원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 및 대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를 비교하여 원안 설계에 대비하여 대안 설계의 만족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별부(400)는 상기 원안 설계 또는 대안 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항목별 만족 위치들을 비교하여 항목별 만족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안 설계가 일반 농구장이고, 대안 설계는 다양한 구기종목이 가능한 멀티코트인 경우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이 적용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설계 대상인 농구장에 대한 발주자의 요구사항이 이용성, 대중성, 미관성, 시공성, 유지성의 항목으로 도출될 수 있으며, 이는 도 2와 같은 품질모델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품질모델은 발주자의 요구사항 중 '이용성'의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경우를 나타낸다.
입력부(100)에서, '이용성' 항목에 대한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본 예시에서는 6명의 엔지니어 및 연구원이 입력부(100)에 상기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에 대한 응답을 하였다.
[표 1]을 참조하여, '이용성'에 대한 긍정적 질문은 ① 마음에 든다 ② 기대된다 ③ 중립이다 ④ 용인할 수 있다 ⑤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의 다섯 가지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용성'에 대한 부정적 질문은 ① 마음에 든다 ② 기대된다 ③ 중립이다 ④ 용인할 수 있다 ⑤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의 다섯 가지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용성' 항목에 대한 긍정적 질문 및 부정적 질문은 원안 설계와 대안 설계에 대해서 각각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용성' 항목에 대한 만족 수준은 ⑤ 매우 만족스럽다 ④ 만족스럽다 ③ 중립이다 ② 만족스럽지 않다 ① 매우 만족스럽지 않다 의 다섯 가지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만족 수준 데이터는 원안 설계 및 대안 설계에 대해서 각각 획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항목들에 대해서도 이러한 긍정적 질문 및 부정적 질문들의 응답이 수행될 수 있고, 만족 수준에 대한 응답이 수행될 수 있다.
품질속성 도출부(200)는 [표 2]에서와 같이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된 응답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하여 품질속성으로 도출 및 분류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표 1]의 '이용성'에 대한 긍정적 질문에 '① 마음에 든다'의 평가 척도가 선택되고, '이용성'에 대한 부정적 질문에 '② 기대된다'의 평가 척도가 선택될 경우, [표 2]의 상단의 집계표에서 긍정적 질문의 품질 요소인'마음에 듦'의 행과 부정적 질문의 품질 요소인'기대'의 열이 겹치는 셀에 있는 A가 선택될 수 있다. 이에, [표 2]의 하단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이용성'에 대한 품질속성은 매력적 품질속성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300)는 항목별 품질속성 빈도수를 이용하여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산출할 수 있고, 그 다음 항목별 만족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200) 및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300)에서, 위 입력부(100)에 입력된 데이터를 가공 및 처리한 결과, [표 3]에서와 같이 원안설계의 항목별 품질속성 및 만족위치 데이터가 출력되었다.
여기서, 품질속성(A, O, M, I, R, Q) 행에 기재된 숫자들은 항목별 빈도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용성' 항목의 품질속성 열의 'A' 행에는 '3'이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입력부(100)를 통해 응답한 6명 중 3명이 선택한 품질속성이 'A'임을 나타낸다. 즉, '이용성' 항목에 대한 'A' 품질속성 빈도수는 '3'이다.
마찬가지로, [표 4]에서와 같이 대안설계의 항목별 품질속성 및 만족위치 데이터가 출력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a)에서와 같이, 원안 설계의 항목별 만족계수 및 불만족계수가 도시될 수 있고, 도 3(b)에서와 같이, 대안 설계의 항목별 만족계수 및 불만족계수가 도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0)에 발주자들의 원안 설계에 대한 항목별 만족수준 응답데이터가 [표 5]에서와 같이 입력되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0)에 발주자들의 대안 설계에 대한 항목별 만족수준 응답데이터가 [표 6]에서와 같이 입력되었다.
이 때, 판별부(400)를 통하여 도출된 만족 위치들은 [표 7]에서와 같다. 즉, 상기 판별부(400)를 통해, 원안설계 및 대안설계에 대한 항목별 만족위치가 파악될 수 있고, 항목별 만족위치 비교를 통해 어느 항목에 개선이 필요할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출된 만족위치를 살펴보면, 현재의 대안의 만족위치(AP)가 원안의 만족위치(OP)에 비해 +1 쪽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대안이 원안에 비해 만족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대안에 대하여 모든 항목별 요구사항에서 만족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원안 및 대안을 비교하여, 원안의 각 항목별 요구사항의 만족위치(P)가 모두 마이너스( - ) 값으로 불만족임을 알 수 있고, 이 중에서 만족위치 값이 가장 작은 유지성 항목이 가장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한, 대안의 각 항목별 요구사항은 만족이고, 원안에 비해 만족위치 값 모두 개선되었지만, 만족위치 값이 가장 작은 미관성과 유지성 항목은 추가로 개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VE 설계 과정은 시설물의 기능 및 성능이 향상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야 한다. 시설물의 기능이 개선되기 위해서는 발주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품질모델 범위 내에서 아이디어 도출 및 대안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VE 설계 과정에서 발주자의 요구사항의 확인 및 분석이 수행되며 이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평가를 거치게 된다.
그러나, 발주자가 요구하는 품질모델이 얼마나 대안개발에 반영되었는지를 검증하는 프로세스 없이 대안 개발에 대한 요구사항의 반영 정도를 검증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이 필요하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은 시설물의 기능 및 성능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 VE 검증 시스템(10)은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할 수 있고, 원안 설계 또는 대안 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별 만족 정도를 검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설계 VE 검증 시스템
100: 입력부
200: 품질속성 도출부
300: 만족위치 도출부
400: 판별부
100: 입력부
200: 품질속성 도출부
300: 만족위치 도출부
400: 판별부
Claims (8)
-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 VE 검증 시스템에 있어서,
항목별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
긍정적 질문 및 부정적 질문에 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품질속성으로 도출하는, 품질속성 도출부;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의 품질속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만족위치를 도출하는, 만족위치 도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로 도출된 만족위치를 항목별로 도출함으로써 항목별 요구사항 반영 정도를 검증하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긍정적 질문은 복수의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부정적 질문은 복수의 평가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만족 수준은 복수의 평가 척도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되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속성 도출부는, 상기 입력부의 상기 긍정적 질문과 부정적 질문에 대한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수의 품질속성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품질속성 데이터는, 매력적 품질속성, 일원적 품질속성, 당연적 품질속성, 무관심 품질속성을 포함하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는, 상기 품질속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산출하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는, 상기 만족계수, 불만족계수 및 상기 입력부의 만족수준 응답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족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만족위치는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 사이의 위치로 획득되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대안 채택을 위한 판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에 원안 설계와 대안 설계에 대한 항목별 긍정적 질문, 부정적 질문 및 만족 수준의 응답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는 원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 및 대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만족위치 도출부로부터 산출된 원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 및 대안 설계에 대한 만족 위치를 비교하여, 원안 설계에 대한 대안 설계의 만족 여부를 판별하거나,
상기 원안 설계 또는 대안 설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별 만족 위치들을 판별하는,
설계 VE 검증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423A KR102408523B1 (ko) | 2019-12-31 | 2019-12-31 | 설계 ve 검증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9423A KR102408523B1 (ko) | 2019-12-31 | 2019-12-31 | 설계 ve 검증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885A KR20210085885A (ko) | 2021-07-08 |
KR102408523B1 true KR102408523B1 (ko) | 2022-06-14 |
Family
ID=7689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9423A KR102408523B1 (ko) | 2019-12-31 | 2019-12-31 | 설계 ve 검증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852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5567B1 (ko) | 2016-02-05 | 2017-06-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설물의 친환경 가치공학 의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9
- 2019-12-31 KR KR1020190179423A patent/KR1024085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5567B1 (ko) | 2016-02-05 | 2017-06-13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설물의 친환경 가치공학 의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리우쥔난 외 3인, ‘카노모델을 활용한 VE대안 검증방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6, 통권 207호 pp. 923-932 (2019.12.01.) 1부.* |
리우쥔난, ‘발주자 요구사항 만족도 확인을 위한 Kano 모델 기반 VE 대안 검증방법’, 경북대학교 공학석사학위논문 (2019.0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5885A (ko) | 2021-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oseph et al. | The fog of feedback: Ambiguity and firm responses to multiple aspiration levels | |
US2017030054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in Data Modeling | |
CN116011883B (zh) | 一种金融风控决策规则的调优方法、系统及存储介质 | |
CN108647869A (zh) | 工程评估方法和装置 | |
CN108268886A (zh) | 用于识别外挂操作的方法及系统 | |
CN112200459B (zh) | 一种配电网数据质量分析评价方法及系统 | |
CN115456695A (zh) | 一种店铺选址的分析方法、装置、系统及介质 | |
CN116595328A (zh) | 一种基于知识图谱的数据评分卡模型智能构建装置及方法 | |
US20130013244A1 (en) | Pattern based test prioritization using weight factors | |
KR102408523B1 (ko) | 설계 ve 검증 시스템 | |
Sainath et al. | Framework for progressive evaluation of lean construction maturity using multi-dimensional matrix | |
Parreiras et al. | The a posteriori decision in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s with smarts, promethee II, and a fuzzy algorithm | |
Hornungová | Development of Concepts and Model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19 Century to the Present | |
KR20140115525A (ko) | 디자인 브랜드 가치평가 및 검사 시스템 및 방법 | |
KR101210449B1 (ko) | 연구과제 시장성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그 기록매체 | |
Arifin et al. | Entrepreneurial orientation, role of the government, and partnership on marketing performance of furniture export SMEs: a study on furniture export companies in Jepara | |
KR20220052200A (ko) | 기계학습 기반 부하예측 모델의 비교 검증 시스템 및 방법 | |
CN117056761A (zh) | 一种基于x-dbscan算法的客户细分方法 | |
Surdu et al. | Old risks, new reference points? An organizational learning perspective into the foreign market exit and Re-entry behavior of FIRMS | |
US10650332B1 (en) | Buyer-provider matching algorithm | |
Feng et al. | Potential and Influencing Factors of Intra-Industry Trade between China and RCEP Partners: Evidence from the Grain Industry | |
US20210103855A1 (en) | Automated model training device and automated model training method for spectrometer | |
CN113326252B (zh) | 数据库的参数调整方法及参数调整装置、电子设备 | |
CN112488743A (zh) | 一种满意度预测方法、网络设备及存储介质 | |
Tamura et al. | Requirements for Design Methodology for Local Oriented Manufacturing in Developing Count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