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520B1 - 핑거 스탑 줄자 - Google Patents
핑거 스탑 줄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8520B1 KR102408520B1 KR1020200074006A KR20200074006A KR102408520B1 KR 102408520 B1 KR102408520 B1 KR 102408520B1 KR 1020200074006 A KR1020200074006 A KR 1020200074006A KR 20200074006 A KR20200074006 A KR 20200074006A KR 102408520 B1 KR102408520 B1 KR 1024085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ade
- finger
- housing
- tape measure
- bra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3/1046—Details of external structure thereof, e.g. shapes for ensuring firmer hol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2—Means for damp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3—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characterised by layout or indicia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3/1046—Details of external structure thereof, e.g. shapes for ensuring firmer hold
- G01B3/1048—Integrated means for affixing or hol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3/1007—Means for locking
- G01B2003/1015—Means for locking engaging the tape in a direction transversal to the tape itself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33—Means for activating the locking, braking or releasing of the tape, e.g. butt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01B2003/1033—Means for activating the locking, braking or releasing of the tape, e.g. buttons
- G01B2003/1038—Means for activating the locking, braking or releasing of the tape, e.g. buttons by translatory motion ope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 G01B2003/1066—Index sliding on t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 릴의 외면에 감기어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인출 또는 회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줄자는, 하우징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저면을 노출시키는 핑거 리세스, 및 입구의 상부에 노출된 슬라이드 버튼,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브레이크 판과 브레이크 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 포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포크는 해제 상태에서 핑거 리세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잠금 상태에서는 핑거 리세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블레이드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줄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인출 거리 및 회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핑거 스탑 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줄자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탄성 지지되는 릴(reel), 릴에 코일 형태로 감겨진 블레이드(blade), 블레이드의 단부에 결합된 엔드 훅(end hook)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측정을 위해서 블레이드를 엔드 훅이 결합된 단부에서부터 인출하며,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여 대상의 길이 또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릴(reel)은 태엽 스프링 및 태엽 스프링을 수용하는 보빈(bobbin)을 포함하며, 보빈의 외면에 블레이드가 감긴 상태로 제공되어 하우징으로 인출되고, 상기 태엽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인출된 블레이드는 보빈에 감기는 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는 하우징 외부로 노출된 버튼을 포함하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을 통해서 블레이드의 복귀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거나 정지된 블레이드를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브레이크 방식 외에도 손가락을 이용한 핑거 스탑 방식의 줄자도 있다.
미국특허 제8,806,770호를 보면, 후크가 복귀하면서 손가락과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 손가락 보호 부재(guard member)를 별도로 장착한 줄자가 개시되어 있으며, 하우징에 별도로 형성된 입구와 그 전방에 장착된 보호 부재 사이에 손가락을 위치시키고 블레이드가 복귀하는 것을 손가락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손가락 보호 부재를 별도로 장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복잡하고, 손가락에 의해 눌리는 면에 의해서만 블레이드를 정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용이한 제어가 힘들다.
미국특허 제8,898,922호를 보면, 하우징의 하부에 핑거 리세스(finger recess)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블레이드의 잠금 포인트(lock point)를 핑거 리세스의 전방, 즉 입구에 가깝게 형성한 줄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줄자는 핑거 브레이킹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블레이드의 저면 중 일부만 좁은 폭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충분한 저지력(drag force)를 제공할 수가 없다.
본 발명은 핑거 스탑 방식의 선행 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가 요소 없이 구조가 간단한 방식의 핑거 스탑 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손가락을 누르는 지점에 반대 지지 구조를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상하면에서 핑거 스탑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핑거 스탑 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핑거 리세스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조절할 수 있되, 블레이드의 저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하여 전면적으로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핑거 스탑 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양손의 사용을 모두 고려하여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왼손 사용을 고려하고, 왼손잡이 사용자의 오른손 사용을 고려할 수 있는 핑거 스탑 줄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라이드 방식의 일반 브레이크와 핑거 스탑 브레이크 간의 상호 협력 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드 브레이크에 의한 작동을 개선할 수 있는 핑거 스탑 줄자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 릴의 외면에 감기어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인출 또는 회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줄자는, 하우징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저면을 노출시키는 핑거 리세스, 및 입구의 상부에 노출된 슬라이드 버튼,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브레이크 판과 브레이크 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 포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포크는 해제 상태에서 핑거 리세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잠금 상태에서는 핑거 리세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블레이드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내부 좌우 단부에 브레이크 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케이스의 외면에 제1 탄성층이 일체로 성형되고, 제2 케이스의 외면에 제2 탄성층이 일체로 성형되며, 제1 탄성층 및 제2 탄성층은 핑거 리세스의 후방에서 하우징의 내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블레이드 지지면을 형성하고, 브레이크 포크는 잠금 상태로 이동하면서 블레이드 지지면 상에서 블레이드의 상면과 먼저 접하고, 슬라이드 버튼의 추가 이동에 의해서 브레이크 포크는 블레이드 지지면을 통과하면서 블레이드 지지면의 후단에서 블레이드를 가압할 수 있다.
핑거 리세스의 폭은 블레이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전체 폭이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핑거 리세스의 측면 좌우 경계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서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왼손의 악력이 작을 수 있기 때문에 핑거 리세스의 왼쪽 측면 노출 부분을 높게 형성하여 좀 더 넓은 면에서 저항력을 형성하게 할 수 있고, 반대로 왼손잡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오른손의 악력이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른쪽 핑거 리세스의 오른쪽 측면 노출 부분을 높게 형성하여 오른손으로 줄자를 쥐었을 때 좀 더 편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가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오른손잡이 사용자를 위한 줄자의 경우 핑거 리세스의 오른쪽 측면 노출 부분보다 왼쪽 측면 노출 부분을 더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손가락 보호를 위해 핑거 리세스에서 블레이드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의 오른쪽 측면의 모서리는 핑거 리세스의 인접한 측면 경계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하여 블레이드의 측면에 의해서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대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의 왼쪽 측면의 모서리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핑거 리세스의 측면 노출 부분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는데, 여기서도 블레이드의 좌측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블레이드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선(tangent)은 하우징을 통과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줄자를 잡는 경우에도 손가락이 다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 릴의 외면에 감기어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인출 또는 회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줄자에서, 하우징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하우징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저면을 노출시키는 핑거 리세스를 포함하되, 핑거 리세스의 폭은 블레이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전체 폭이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다.
핑거 리세스에서 블레이드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며, 블레이드의 측면의 모서리는 핑거 리세스의 인접한 측면 경계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설계할 수가 있다.
핑거 리세스에서 블레이드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며, 블레이드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블레이드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선(tangent)은 하우징을 통과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핑거 리세스의 측면 좌우 경계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서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핑거 스탑 줄자는 하우징에 부가 요소를 장착할 필요 없이 하우징의 저면에 핑거 리세스를 관통 형성하는 간단한 방식의 핑거 스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핑거 스탑 줄자는 손가락을 누르는 지점에서 브레이크 포크를 위치시킴으로써 반대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손가락으로 블레이드의 저면을 누르는 동시에 브레이크 포크가 핑거 스탑의 상면을 양면에서 접촉시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핑거 스탑 줄자는 핑거 리세스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조절할 수 있되, 블레이드의 저면이 모두 노출되도록 하여 전면적으로 충분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핑거 스탑 줄자는 양손의 사용을 모두 고려하여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왼손 사용 및 안전을 고려하고, 왼손잡이 사용자의 오른손 사용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오른손 사용 및 안전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핑거 스탑 줄자는 슬라이드 방식의 일반 브레이크와 핑거 스탑 브레이크 간의 상호 협력 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슬라이드 브레이크에 의한 작동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와 좌우 형상을 비교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의 핑거 리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에서 도 4의 V-V'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케이스와 브레이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의 핑거 스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핑거 스탑 줄자에서 브레이크에 의한 스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와 좌우 형상을 비교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의 핑거 리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에서 도 4의 V-V'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케이스와 브레이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의 핑거 스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핑거 스탑 줄자에서 브레이크에 의한 스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와 좌우 형상을 비교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핑거 스탑 줄자의 핑거 리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줄자(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140), 릴(140)의 외면에 감기어 하우징(110)의 입구(112)로부터 인출 또는 회수되는 블레이드(16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제1 케이스(120)와 제2 케이스(1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릴(140)은 제1 케이스(120) 및 제2 케이스(130)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되며, 블레이드(160)가 감기는 보빈 및 보빈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 및 스프링에 대해서는 이전 다른 줄자의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프링은 태엽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안쪽 단부는 릴(140)의 회전축에 고정되며, 바깥쪽 단부는 블레이드(160)의 단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은 블레이드(160)를 감기 위한 힘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하우징(110) 외부로 인출된 블레이드(160)가 하우징의 입구(112)를 통해 내부로 복귀하여 릴(140)의 외면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줄자(100)는 측정 가능한 최대 길이에 따라 3.5m, 5.5m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블레이드(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160)의 재질 또는 폭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제공될 수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160)의 단부에는 후크(17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저면에는 핑거 리세스(114)가 형성될 수 있다. 핑거 리세스(114)는 하우징(110)의 저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케이스(120) 및 제2 케이스(130)의 하부에 형성된 리세스 홈을 서로 맞춤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중공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서 하우징(110)의 내부가 노출되어야 하지만,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은 블레이드(160)가 통과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블레이드(160)의 저면이 핑거 리세스(114)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줄자(100)는 블레이드(160)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브레이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150)는 입구(112)의 상부에 노출된 슬라이드 버튼(152), 슬라이드 버튼(152)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1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브레이크 판(154)과 브레이크 판(154)의 단부에 형성되어 블레이드(16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 포크(156)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포크(156)는 브레이크(150)가 해제된 상태, 즉 해제 상태에서 핑거 리세스(11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잠금 상태에서는 핑거 리세스(114)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블레이드(160)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핑거 리세스(114)의 폭(Wf)은 블레이드(160)의 폭(Wb)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저면에서 핑거 리세스(114)를 통해서 블레이드(160)의 제1 측면 모서리(162-1) 및 제2 측면 모서리(162-2)가 모두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160)의 저면이 전체 폭으로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좌우 전면적으로 노출된 블레이드(160)의 저면을 가압함으로써 좀 더 안정적으로 블레이드(160)를 정지시킬 수가 있다. 참고로, 종래 기술에는 손가락 보호를 위해 블레이드의 저면 중 중앙부만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 이상으로 블레이드를 가압해야 하는 문제점을 있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줄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핑거 리세스(114)의 측면 좌우 경계는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좌우 측면에서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서 노출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왼손의 악력이 작을 수 있기 때문에 핑거 리세스의 왼쪽 측면 노출 부분을 높게 형성하여 좀 더 넓은 면에서 저항력을 형성하게 할 수 있고, 반대로 왼손잡이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오른손의 악력이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오른쪽 핑거 리세스의 오른쪽 측면 노출 부분을 높게 형성하여 오른손으로 줄자를 쥐었을 때 좀 더 편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가 있다.
도 3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줄자(100)는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사용을 가정한 것으로서, 오른손잡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잡았을 때, 손바닥이 닿는 제1 케이스(120)에서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114-1)의 높이(h1)가 반대쪽인 제2 케이스(130)에서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서 노출되는 부분(114-2)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케이스(120) 측에서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114-1)을 통해서는 블레이드(160)의 제1 측면 모서리가 보이지 않지만, 제2 케이스(130) 측에서 핑거 리세스(114)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114-2)을 통해서는 블레이드(160)의 제2 측면 모서리(162-2)가 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핑거 스탑 줄자에서 도 4의 V-V' 방향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를 보면, 손가락 보호를 위해 핑거 리세스(114)에서 블레이드(160)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160)의 오른쪽 측면의 모서리(162-1)는 핑거 리세스(114)의 인접한 측면 경계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하여 블레이드(160)의 측면에 의해서 오른손이나 그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대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160)의 왼쪽 측면의 모서리(162-2)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핑거 리세스(114)의 측면 노출 부분에 의해서 측면에서 보일 정도로 노출될 수 있는데, 여기서도 블레이드(160)의 제2 측면 모서리(162-2)로부터 블레이드(160)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선(tangent)은 하우징(110)을 통과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왼손으로 줄자를 잡는 경우에도 손가락이 전체적으로 구부러지면서 블레이드(160)의 저면을 누르기 때문에, 제2 측면 모서리(162-2)가 손가락과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60)의 상부로 바로 브레이크 포크(156)가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블레이드(160)의 저면을 누르는 경우, 블레이드(160)의 상면에서는 브레이크 포크(156)가 블레이드(160)의 상면과 접하여 양면에서 블레이드(16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케이스와 브레이크의 분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10)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하고, 부품 형성으로 인한 공간 차지를 최소로 하기 위해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130)의 내부 좌우 단부에 브레이크 판(15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134)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4)는 브레이크 판(154)의 좌우 측면만 수용할 수 있으며, 제2 케이스(130)의 외벽보다 낮게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에서 브레이크(150)의 설치 공간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34)에 의해서 브레이크 판(154)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136)이 제2 케이스(13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 케이스(120)에서도 유사한 구조의 가이드 돌기 및 레일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핑거 스탑 줄자의 핑거 스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핑거 스탑 줄자에서 브레이크에 의한 스탑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브레이크(150)의 슬라이드 버튼(152)이 해제 위치(①)에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포크(156)는 핑거 리세스(114)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F)으로 블레이드(160)의 저면을 지지하여 올린다면, 블레이드(160)의 상면 및 하면은 각각 브레이크 포크(156) 및 손가락(F)에 의해서 저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블레이드(160)를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릴(140)의 외면에 감겨 있으며, 릴(14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손가락(F)이 해제되면 블레이드(160)가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케이스(130)의 외면에는 고무 재질의 제2 탄성층(1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중사출 또는 압축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케이스(120)의 외면에도 제1 탄성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층 및 제2 탄성층(132)은 외부로부터 케이스의 표면을 보호하고, 줄자가 떨어져도 지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케이스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탄성층 및 제2 탄성층(132)은 핑거 리세스(114)의 후방에서 하우징(110)의 내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블레이드 지지면(132-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150)의 슬라이드 버튼(152)이 잠금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중간 위치(②)에서 브레이크 포크(156)는 블레이드 지지면(132-1) 근처에서 블레이드(160)의 상면과 먼저 접할 수 있다(a).
사용자가 슬라이드 버튼(152)을 더욱 내려 가장 아래인 잠금 위치(③)까지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버튼(152)의 추가 이동에 의해서 브레이크 판(154)이 부분적으로 꺾이면서 브레이크 포크(156)는 블레이드 지지면(132-1)을 통과하게 되고, 브레이크 포크(156)는 블레이드 지지면(132-1)의 후단에서 블레이드(160)를 견고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무 재질의 블레이드 지지면(132-1)은 블레이드(160)와의 접촉 저항을 증가시키고, 브레이크 포크(156)가 블레이드(160)의 상면을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포크(156)에 의해서 블레이드(160)는 블레이드 지지면(132-1)의 후단에서 S자 형상으로 꺾일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견고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줄자 110 : 하우징
120 : 제1 케이스 130 : 제2 케이스
140 : 링 150 : 브레이크
160 : 블레이드 170 : 후크
120 : 제1 케이스 130 : 제2 케이스
140 : 링 150 : 브레이크
160 : 블레이드 170 : 후크
Claims (9)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 상기 릴의 외면에 감기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인출 또는 회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줄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저면을 노출시키는 핑거 리세스; 및
상기 입구의 상부에 노출된 슬라이드 버튼,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브레이크 판 및 상기 브레이크 판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 포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포크는 해제(release) 상태에서 상기 핑거 리세스의 상부에 위치하고, 잠금(lock) 상태에서는 상기 핑거 리세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을 가압하고,
상기 해제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블레이드의 저면을 누르면, 상기 브레이크 포크가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과 접촉하여 반대 지지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 리세스의 측면 좌우 경계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서 상기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 좌우 단부에 상기 브레이크 판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면에 제1 탄성층이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면에 제2 탄성층이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1 탄성층 및 상기 제2 탄성층은 상기 핑거 리세스의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까지 연장 형성되어 블레이드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브레이크 포크는 잠금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면 상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면과 먼저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의 추가 이동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포크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면을 통과하면서 상기 블레이드 지지면의 후단에서 상기 블레이드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리세스의 폭은 상기 블레이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전체 폭이 상기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삭제
-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 상기 릴의 외면에 감기어 상기 하우징의 입구로부터 인출 또는 회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줄자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저면을 노출시키는 핑거 리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핑거 리세스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입구보다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핑거 리세스의 폭은 상기 블레이드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전체 폭이 상기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되고,
상기 핑거 리세스의 측면 좌우 경계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좌우 측면에서 상기 핑거 리세스에 의해서 노출되는 부분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리세스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의 모서리는 상기 핑거 리세스의 인접한 측면 경계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리세스에서 상기 블레이드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측면의 모서리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접선(tangent)은 상기 하우징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 스탑 줄자.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4006A KR102408520B1 (ko) | 2020-06-18 | 2020-06-18 | 핑거 스탑 줄자 |
US17/349,778 US11668551B2 (en) | 2020-06-18 | 2021-06-16 | Measuring tape with finger sto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4006A KR102408520B1 (ko) | 2020-06-18 | 2020-06-18 | 핑거 스탑 줄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6430A KR20210156430A (ko) | 2021-12-27 |
KR102408520B1 true KR102408520B1 (ko) | 2022-06-13 |
Family
ID=7902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4006A KR102408520B1 (ko) | 2020-06-18 | 2020-06-18 | 핑거 스탑 줄자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668551B2 (ko) |
KR (1) | KR1024085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86077S1 (en) * | 2021-04-04 | 2023-05-16 | Apex Brands, Inc. | Tape measure case |
USD999075S1 (en) * | 2022-01-12 | 2023-09-19 | Mucktape, LLC | Tape meas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98850A1 (en) * | 2001-12-18 | 2005-09-15 | Dane Scarborough | Tape measure that incorporates a belt type marking device |
CN100507435C (zh) | 2004-03-03 | 2009-07-01 | 菲斯科工具有限公司 | 能够接触到卷绕的尺片的卷尺 |
US20130133215A1 (en) * | 2011-11-29 | 2013-05-30 | Tobias Mckay Bridges | Tape measure with finger drag brake |
US20140352165A1 (en) * | 2011-07-29 | 2014-12-04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Tape measure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95069A (en) * | 1994-08-09 | 1995-03-07 | Chen; Chi-Chung | Two-stage brake device of a tape measure |
US5657551A (en) * | 1995-07-10 | 1997-08-19 | Index Measuring Tape Co., Ltd. | Tapeline having an easy-release stop mechanism |
US5791581A (en) * | 1996-11-27 | 1998-08-11 | The Stanley Works | Tape rule blade hook shock absorbers |
US6085433A (en) * | 1998-10-15 | 2000-07-11 | Li; Shinh Lin | Tape measure with innovated brake structure |
US6167635B1 (en) * | 1998-11-09 | 2001-01-02 | Index Measuring Tape Co., Ltd. | Pushing suspending device of a measuring tape |
US6161299A (en) * | 1998-11-09 | 2000-12-19 | Index Measuring Tape Co., Ltd. | Rapid brake device for a tap rule |
US6249986B1 (en) * | 1999-08-04 | 2001-06-26 | The Stanley Works | Rule assembly with protective film |
US6256901B1 (en) * | 2000-01-07 | 2001-07-10 | Hsin-Yun Lin | Measuring tape |
US6470590B1 (en) * | 2000-09-13 | 2002-10-29 | Shih-Lin Lee | Brake device for a tape rule |
DE20212750U1 (de) * | 2002-08-20 | 2002-10-17 | Yang, Ching-Chun, Tai-Shan Hsiang, Taipeh | Sekundärbremsvorrichtung für ein Maßband |
US7174656B1 (en) * | 2005-06-29 | 2007-02-13 | Smith Leslie G | Tape measure system |
US20070056182A1 (en) * | 2005-09-15 | 2007-03-15 | Anthony Di Bitonto | Tape measure with temporary braking mechanism |
EP3232150A1 (en) * | 2016-04-12 | 2017-10-18 | Irwin Industrial Tool Company | Tape measure with flexible finger brake |
-
2020
- 2020-06-18 KR KR1020200074006A patent/KR1024085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6-16 US US17/349,778 patent/US1166855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198850A1 (en) * | 2001-12-18 | 2005-09-15 | Dane Scarborough | Tape measure that incorporates a belt type marking device |
CN100507435C (zh) | 2004-03-03 | 2009-07-01 | 菲斯科工具有限公司 | 能够接触到卷绕的尺片的卷尺 |
US20140352165A1 (en) * | 2011-07-29 | 2014-12-04 |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 Tape measure |
US20130133215A1 (en) * | 2011-11-29 | 2013-05-30 | Tobias Mckay Bridges | Tape measure with finger drag brak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668551B2 (en) | 2023-06-06 |
KR20210156430A (ko) | 2021-12-27 |
US20210396505A1 (en) | 2021-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8520B1 (ko) | 핑거 스탑 줄자 | |
US6578266B2 (en) | Safety utility razor knife | |
US6126255A (en) | Retaining device for a detachable drawer track | |
CN103129190B (zh) | 印章及用于自行上墨印章之印台 | |
US4998356A (en) | Carpenter's tape measure with push on-push off locking mechanism | |
CA1193856A (en) | Power returnable coilable rule with improved blade locking assembly | |
CA1298465C (en) | Measuring tape guide | |
CA2394133C (en) | Gripping device for a cooking utensil | |
US6167635B1 (en) | Pushing suspending device of a measuring tape | |
US5434373A (en) | Pen receptacle for detachably receiving a pen | |
CN110341308B (zh) | 打印装置 | |
US4976048A (en) | Tape measure lock | |
US4489494A (en) | Tape locking device | |
JPS606673B2 (ja) | かみそり用具 | |
US5001843A (en) | Carpenter's tape machine | |
JPS62500819A (ja) | シ−トの束の収容器 | |
US4899460A (en) | Tape measuring ruler brake | |
US4998350A (en) | Knife and sheath | |
CN208469389U (zh) | 一种推式卡片盒 | |
KR101013114B1 (ko) | 수납 용기 | |
JPS61386A (ja) | ドライシエ−バ | |
KR102637060B1 (ko) | 푸쉬 버튼을 이용한 핑거 스탑 줄자 | |
WO1996013795A1 (en) | Grip-conforming trigger mechanism for a hand-held bar code scanner | |
AU636605B2 (en) | Shaving systems | |
US3484030A (en) | Tape dispen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