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36B1 - Airba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ba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36B1
KR102408036B1 KR1020200092183A KR20200092183A KR102408036B1 KR 102408036 B1 KR102408036 B1 KR 102408036B1 KR 1020200092183 A KR1020200092183 A KR 1020200092183A KR 20200092183 A KR20200092183 A KR 20200092183A KR 102408036 B1 KR102408036 B1 KR 10240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back
airbag
airbag device
shape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1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18064A (en
Inventor
시미즈 타까유끼
나까시마 아쯔시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1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80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60R2021/207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in head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자세에 관계없이 해당 승차인을 확실하게 구속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좌석면을 형성하는 시트 쿠션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시트백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에 장비되는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와 적어도 상기 시트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전개하는 에어백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의 측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와 승차인의 두부 상방에서 전개하는 상부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은 수용 전에 평면 형상으로 펼친 상태에서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롤링되거나 또는 접힌 긴 봉 형상으로 압축된다. 적어도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의 상기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여 접힘으로써 접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음부를 상기 시트백의 상방에 수용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device capable of reliably restraining an occupant regardless of the occupant's posture in the seat. An airbag device equipped on a vehicle seat having a seat cushion forming a seat surface and a seatback forming a backrest, comprising: an inflator for generating inflation gas; be prepared The airbag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ward the front and an upper chamber deployed above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airbag is roll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flattened state before being accommodated or compressed into a folded long rod shape. A folded portion is formed by folding, including at leas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and the folded portion is accommodated above the seatback.

Figure 112020077508081-pat00004
Figure 112020077508081-pat00004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Airbag device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장비되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자세에 관계없이 해당 승차인을 확실하게 구속 가능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device equipped on a seat of a vehicle. In particular, it relates to an airbag device capable of reliably restraining an occupant regardless of the occupant's posture sitting in a seat.

차량의 고장 발생시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하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에어백은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의 중심 부근에서 팽창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이른바 운전자용 에어백, 자동차의 창문 내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전개하여 차량 가로 방향의 충격이나 횡전, 전복 사고 때에 승차인을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 나아가 차량 가로 방향의 충격시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해 승차인과 사이드 패널 사이에서 전개하는 사이드 에어백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다.It is well known that one or a plurality of airbags are installed in a vehicle to protect occupants in the event of a vehicle breakdown. Airbags are, for example, so-called driver's airbags that inflate near the center of the steering wheel to protect the driver, and a curtain that deploys from the inside of the window of the vehicle downward to protect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lateral impact or rollover or rollover accident. There are various types of airbags, such as side airbags deployed between an occupant and a side panel in order to protect occupants in the event of an impac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최근에는 차량의 자동 운전 기술의 진보에 따라 승차인이 시트를 크게 리클라이닝하여 릴랙스한 자세 등 다양한 착석 자세를 취하는 것이 상정되며 그와 같은 상황에 있어서도 승차인을 적절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In recent years, it is assumed that passengers take various sitting postures, such as a relaxed posture by reclining the seat greatly with advances in vehicle automatic driving technology, and it is necessary to properly protect the occupants in such a situation.

그러나 차량용 시트에 탑재되는 주지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의 좌우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에어백을 전개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자세의 승차인을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어려웠다.However, since a well-known side airbag device mounted on a vehicle seat deploys an airbag from one or bo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it is difficult to properly protect occupants in various posture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좌석에 착석한 승차인의 자세에 관계없이 해당 승차인을 확실하게 구속 가능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bag device capable of reliably restraining an occupant regardless of the occupant's posture.

이하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좌석에 착석할 때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하고, 좌표축을 가리킬 때는 '전후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할 때에, 승차인의 우측을 '우측 방향', 승차인의 좌측을 '좌측 방향'으로 하고, 좌표축을 가리킬 때는 '좌우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의 두부(頭部) 방향을 '상방', 승차인의 요부(腰部) 방향을 '하방'이라고 하며, 좌표축을 가리킬 때는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ir effects will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ssenger sits in the seat in the direction of travel in the normal posture, the direction the passenger is facing is 'front'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ar', and when pointing to the coordinate axis, the It is said In addition, when a passenger sits in a seat in a regular posture, the right side of the passenger is referred to as 'right direction' and the left side of the passenger is referred to as 'left direction', and when pointing to the coordinate axis, it is referred to as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ddition, when a passenger is seated in a seat in a regular posture,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passenger is referred to as 'upward' and the direction of the passenger's lumbar region is referred to as 'downward', It is sai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석면을 형성하는 시트 쿠션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시트백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에 장비되는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와, 적어도 상기 시트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전개하는 에어백을 구비한다. 상기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와, 승차인의 두부 상방에서 전개하는 상부 챔버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은 수용 전에 평면 형상으로 펼친 상태로부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롤링되거나 또는 접힌 긴 봉 형상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의 상기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여 접힘으로써 접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음부를 상기 시트백의 상방에 수용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는 반드시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성형할 필요는 없고 비대칭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bag device equipped on a vehicle seat having a seat cushion forming a seat surface and a seatback forming a backrest, an inflator generating an inflation gas, and at least the inflator accommodated in the seatback. and an airbag deployed by the inflation gas emitted from the airbag. The airbag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ward the front, and an upper chamber deployed above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airbag is roll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unfolded state in a planar shape before being accommodated or compressed into a folded long rod shape. And a folded portion is formed by folding in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and the folded portion is accommodated above the seatback.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air' side chamber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but may be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여기서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의 상기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여 접힘으로써 접음부를 형성하고'라고 되어 있는데, 접음부가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뿐만 아니라 사이드 챔버에 대응하는 곳의 상방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 취지이다.Here, it is stated that 'a fold is formed by folding including a pl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It is intended not to exclude inclusion.

본 발명과 같이 시트백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와, 승차인의 두부 상방에서 전개하는 상방 챔버를 포함함으로써, 에어백은 돔(dome) 형상으로 전개하고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측부로부터 상부 전체를 덮게 된다. 그 결과, 적어도 좌우 방향, 상방, 비스듬한 상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확실하게 구속 가능하고, 승차인의 두부로부터 요부에 걸쳐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that deploy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ward the front, and an upper chamber that deploys above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airbag is deployed in a dome shape and is seated on the seat. It covers the entire upper part from the side of the passenger. As a result, at least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upward, and obliquely upward can be reliably restrain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operly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head to the waist.

또한 긴 봉 형상의 에어백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을 접어 수용함으로써, 상기 접음부의 전개가 조금 지연되게 된다. 즉, 접히지 않는 사이드 챔버가 최초에 전개하고, 승차인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한다. 또한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을 접음으로써 승차인의 두부를 덮는데 충분한 용량의 에어백이 시트백의 상방에 확보 가능해진다.In addition, by folding and accommodat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 rod-shaped upper chamber of the airbag, the deployment of the folded portion is slightly delayed. That is, the non-folding side chamber is deployed first, and the occupant's lateral movement is quickly restrained. In addition, by fold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an airbag with sufficient capacity to cover the head of the occupant can be secured above the seatback.

상기 접음부가 상기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승차인의 두부의 상방을 덮도록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olding part is deployed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head of the passenger over the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접음부(상부 챔버)가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승차인의 두부 상방을 덮도록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의 두부에 대미지(damage)를 줄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가령 접음부가 헤드레스트의 전방으로부터 전개했을 경우에는 에어백이 승차인의 두부를 직격하고, 두부 상해 및/또는 경부 장해의 위험성이 있다.By deploying the folding portion (upper chamber) over the headrest to cover the top of the passenger's head, the possibility of inflicting damage to the passenger's hea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folded portion is deployed from the front of the headrest, the airbag directly hits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re is a risk of head injury and/or neck injury.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좌우 대칭으로 성형할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the folde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substantially symmetrical left and right.

에어백을 좌우 대칭으로 접음으로써 차량 시트의 파 사이드(far side), 니어 사이드(near side)를 의식하는 일 없이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다양한 시트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folding the airbag symmetrically,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iversally to various seats without being aware of the far side and the near side of the vehicle seat.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오메가(Ω) 형상 또는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역오메가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오메가 형상 또는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에 대해서는 실시예 중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봉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을 시트백의 일측면으로부터 상부를 통하여 타측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시트백의 가장자리부(연부)(緣部)(좌연부, 상연부, 우연부)를 따라 배치한다. 그때 시트백의 상부의 좌우 방향 단부로부터 좌우 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하는 것이 되접혀져 다시 상기 단부 방향(외측)을 향하여 연장할 때의, 해당 중심 부근의 제1 되접힘부와, 상기 제1 되접힘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여 시트백 상부의 단부 부근에서 중심을 향하여 되접히는 제2 되접힘부를 가지는 형태가 오메가 형상 또는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이다. 그리고 제1 되접힘부가 제2 되접힘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태가 오메가 형상이고, 반대로 제1 되접힘부가 제2 되접힘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태가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이다.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the folding portion may be formed into an omega (Ω) shape or an inverted omega shape (reverse omega shape). The omega shape or the inverted omega 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uring the embodiment,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airbag compressed in the shape of a rod is disposed approximately along the edge (edge) (left edge, upper edge, accidental part) of the seat back so as to reac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eat back through the top. At that time, when what extends from the left-right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toward the cent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folded back and extended toward the end direction (outward) again, the first folded portion near the center and the first folded A shape having a second fold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folded back toward the center near an en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is an omega shape or an inverted omega shape. In addition, the shape in which the first folded part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second folded part is an omega shape, and the shape in which the first folded part is positioned above the second folded part is an inverted omega shape.

접음부를 오메가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에어백이 전개할 때에, 상기 접음부가 상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기세가 강해지고, 헤드레스트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에어백(상부 챔버)이 상기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전방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By molding the folding part into an omega shape, when the airbag is deployed, the force of the folding part to deploy upward becomes strong, and even when the headrest is relatively large, it is easy for the airbag (upper chamber) to climb over the headrest and protrude forward. lose

한편, 접음부를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에어백이 전개했을 때에, 상기 접음부가 좌우 폭 방향을 향하여 전개하기 쉬워지고, 승차인 두부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bag is deployed by forming the folding part into an inverted omega shape, the folding part easily deploys i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and it becomes possible to quickly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passenger's hea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M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M자 형상에 대해서는 실시예 중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봉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을 시트백의 일측면으로부터 상부를 통하여 타측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시트백의 가장자리부(좌연부, 상연부, 우연부)를 따라 배치한다. 그리고 시트백의 상부의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한 것이 중심 방향 또는 하측을 향하여 되접히는 제3 되접힘부와, 상기 제3 되접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중심 부근에서 되접히는 제4 되접힘부를 가지도록 하는 형태가 M자 형상이다.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the folding portion may be formed into an M-shape. The M-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mong the embodiments,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airbag compressed in the shape of a rod is disposed approximately along the edge of the seatback (left edge, upper edge, and accidental part) so as to reac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eatback through the top. And a third folded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is folded back toward the center or downward, and a fourth folded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third folded portion and folded back near the center. The shape to have the folded portion is an M-shape.

접음부를 M자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에어백이 전개했을 때에, 상기 접음부가 좌우 폭 방향을 향하여 전개하기 쉬워지고, 승차인의 두부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 가능해진다.By forming the folds into an M shape, when the airbag is deployed, the folds become easier to deploy i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and the movement of the head of the occupa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can be quickly restrained.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 비대칭으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음부를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S자 형상 또는 Z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S자 형상, Z자 형상에 대해서는 실시예 중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봉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을 시트백의 일측면으로부터 상부를 통하여 타측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시트백의 가장자리부(좌연부, 상연부, 우연부)를 따라 배치한다. 그리고 시트백의 상부의 좌우 방향의 일방의 단부(제1 단부)로부터 타방의 단부(제2 단부)를 향하여 연장한 봉 형상의 에어백이 제2 단부의 근방에서 제1 단부를 향하여 돌아가도록 되접히는 제5 되접힘부와, 상기 제5 되접힘부로부터 연장하여 제1 단부에 있어서 다시 제2 단부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되접히는 제6 되접힘부를 가지도록 하는 형태가 S자 형상, Z자 형상이다. 또한 S자 형상과 Z자 형상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반대가 된다.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the folded portion may be formed to be left and right asymmetrical. For example, the foldable portion may be formed into an S-shape or a Z-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The S-shape and the Z-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uring the embodiment, which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The airbag compressed in the shape of a rod is disposed approximately along the edge of the seatback (left edge, upper edge, and accidental part) so as to reach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eatback through the top. And the first end of the seatback is folded back so that the rod-shaped airbag extending from one end (first 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oward the other end (second end) is rotated toward the first en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end. S-shaped and Z-shaped to have a fifth foldable portion and a sixth foldable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fifth foldable portion and is folded back so as to extend from the first end toward the second end again. Also, in the S-shape and the Z-shape,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접음부를 S자 형상이나 Z자 형상과 같이 좌우 비대칭으로 성형함으로써, 시트백의 좌우 일측에서의 전개가 빨라지고 타측에서 전개가 늦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개가 빠른 쪽을 니어 사이드(도어측)에 배치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 승차인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즉, 니어 사이드, 파 사이드에 의해 접는 방향(S자 또는 Z자)이 상이한 에어백을 구분해서 사용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 승차인을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forming the folding part asymmetrically like an S-shape or a Z-shape, deployment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seatback is accelerated and deployment on the other side is delayed.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dequately protect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That is, by using the airbags having different folding directions (S-shape or Z-shape) according to the near side and the far side, it becomes possible to properly protect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상기 상부 챔버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 상단 부근으로부터 전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upper chamber may be configured to deploy from near the rear upper end of the seatback.

상부 챔버가 시트백의 상단의 후연 부근으로부터 전개함으로써 해당 상부 챔버가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전방을 향하여 승차인의 두부를 덮도록 되기 때문에, 에어백이 승차인의 두부에 직접 부딪쳐 충격을 부여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Since the upper chamber deploys from near the trailing edge of the top of the seatback so that the upper chamber climbs over the headrest and covers the occupant's head forward, it is possible to avoid direct impact of the airbag on the occupant's head. can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된 팽창 가스는 상기 사이드 챔버로부터 상기 상부 챔버에 흐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의 각각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lation ga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may be configured to flow from the side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In this case, the inflator is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팽창 가스가 사이드 챔버로부터 상부 챔버에 흐르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초에 사이드 챔버가 전개하여 승차인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configuring the inflation gas to flow from the side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it becomes possible to initially deploy the side chamber to quickly restrain the occupant's lateral movement.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 중, 상기 접음부로부터 하방 부분을 상기 시트백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할 수 있다.Among the long rod-shaped airbags, a lower portion from the folded portion may be accommodat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의 각각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inflato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승차인의 흉부 영역, 복부 영역 및 요부 영역에 걸친 범위 내에 배치할 수 있다.The inflator may be disposed within a range spanning a chest region, an abdominal region, and a lumbar region of the passenger.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을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1 접속 부재를 상기 승차인의 두부 영역, 흉부 영역, 복부 영역 및 요부 영역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the long rod-shaped airbag to the seatback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head region, a chest region, an abdominal region, and a lumbar region of the occupant.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의 단부 근방과 상기 시트 쿠션의 측부에 접속된 제2 접속 부재를 구비한 구조로 할 수 있다.It can be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2nd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end vicinity of the said elongate rod-shaped airbag, and the side part of the said seat cushion.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차량용 시트에 탑재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고, (a)가 차량 좌우 방향의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고, (b)가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차량용 시트에 관해서는 투시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에 채용되는 에어백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고, (a)가 에어백을 전개한 상태(수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가 롤링한 상태(수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작동 상태(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a)가 차량 좌우 방향의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고, (b)가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a)~(e)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바리에이션(variations)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1 shows a state in which an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seat, (a) shows a state seen from th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b) shows a state seen from the front. In addition, it is shown in perspective with respect to a vehicle seat.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an airbag employed in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airbag deployed state (state before accommodation), (b) is a rolled state (state at the time of accommodation); ) is a front view showing
Fig. 3 shows the operating state (airbag deployment state)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a side view in the vehicle left-right direction, and (b) shows a front view.
4 (a) to (e)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variations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용 시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에 표시하는 '전'이란 승차인이 정규 자세로 진행 방향을 향하여 좌석에 착석했을 때에 승차인이 향하고 있는 방향, '후'란 '전'과 반대 방향, '내'란 차량 폭 방향의 내측(승차인측), '외'란 차량 폭 방향 외측(도어 패널측)을 각각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before' indicated in each figure is the direction the passenger is facing when seat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in the normal posture, 'rear' is the direction opposite to 'before', and 'in' is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inner side (occupant side) and 'outside' indicate the vehicle width direction outer side (door panel side), respectively.

(제1 실시예)(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를 차량용 시트(2,3)에 탑재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a), 정면도(b)이고, 차량용 시트(2,3)에 관해서는 투시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에 채용되는 에어백(14)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이고, (a)가 에어백(14)을 전개한 상태(수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b)가 롤링한 상태(수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side view (a), a front view (b)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vehicle seats 2 and 3; It shall be shown through perspective. Fig. 2 shows the structure of the airbag 14 employed in the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a) is a plan view showing the airbag 14 in a deployed state (state before accommodation), ( 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olled state (state at the time of accommodation).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는 좌석면을 형성하는 시트 쿠션(3)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시트백(2)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에 장비된다. 에어백 장치(1)는 시트백(2)의 좌우 측부에 수용되고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한 쌍의 인플레이터(12a, 12b)와, 롤링되거나 또는 접힌 상태로 시트백(2) 내에 수용되어 인플레이터(12a, 12b)로부터 방출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전개하는 에어백(14)을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트백(2)은 헤드레스트 일체형이 되어 있는데 헤드레스트를 별도 부재로서 장비한 시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quipped on a vehicle seat having a seat cushion 3 forming a seat surface and a seatback 2 forming a backrest. The airbag device 1 is accommodat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back 2 and includes a pair of inflators 12a and 12b that generate inflation gas, and are accommodated in the seatback 2 in a rolled or folded state and include the inflators 12a and 12b. ) and an airbag 14 deployed by the inflation gas emitted from the airbag 14 .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 back 2 has a headrest integral type,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a seat equipped with a headrest as a separate member.

에어백(14)은 시트백(2)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고, 적어도 승차인의 요부로부터 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16a, 16b)와, 한 쌍의 사이드 챔버(16a, 16b)들을 연결하고, 에어백(14)의 전개시에 승차인의 두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챔버(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사이드 챔버(16a, 16b)는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챔버(18)는 수용 전의 펼친 상태로 에어백(14)의 길이 방향 중심에 위치하고(도 2), 사이드 챔버(16a, 16b)와 동일 패브릭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The airbag 14 is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2 toward the front, and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16a and 16b, and a pair of side chambers 16a that restrict movement of at least the shoulder from the occupant's lumbar portion. , 16b)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chamber 18 located above the head of the occupant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can be symmetrical. In addition, the upper chamber 18 i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airbag 14 in the unfolded state before being accommodated (FIG. 2), and is integrally molded with the same fabric as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에어백(14)의 상부 챔버(18)는 사이드 챔버(16a, 16b)와 유체 연통되어 있고, 인플레이터(12a, 12b)로부터 방출된 팽창 가스는 사이드 챔버(16a, 16b)로부터 상부 챔버(18)로 흘러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챔버(18)는 시트백(2)의 상연부 부근으로부터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승차인의 두부를 감싸도록 전개한다(도 3).The upper chamber 18 of the airbag 14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ide chambers 16a, 16b, and the inflation ga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12a, 12b flows from the side chambers 16a, 16b to the upper chamber 18 is meant to flow in. And the upper chamber 18 is developed so as to cover the head of the occupant over the headrest from the vicinity of the upper edge of the seatback 2 (FIG. 3).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는 롤링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14)을 시트백(2)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접속 부재(탭(tab))(22a, 22b, 22c, 22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 부재(22a, 22b, 22c, 22d)는 시트백(2)의 좌우 측부에 있어서 인플레이터(12a, 12b)의 상부와 하부에 한 개씩 배치된다. 또한 인플레이터(12a, 12b)는 에어백(14)의 인플레이터 도입부(20a, 20b)로부터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The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first connecting members (tabs) 22a, 22b, 22c, 22d for fixing the airbag 14 compressed in a rolling shape to the seatback 2 . are do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22a, 22b, 22c, 22d are disposed one at a time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flators 12a and 12b 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seat back 2 . Further, the inflators 12a and 12b are introduced from the inflator introduction portions 20a and 20b of the airbag 14 .

제1 접속 부재(22a, 22b, 22c, 22d)를 인플레이터(12a, 12b)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백(14)의 전개 초기 단계에서 가장 큰 압력이 발생하는 장소 부근(인플레이터 주변)을 고정할 수 있고, 에어백(14)의 전개 거동이 안정되게 된다.By installing the first connecting members 22a, 22b, 22c, and 22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flators 12a and 12b, the vicinity of the place where the greatest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initial stage of deployment of the airbag 14 (around the inflator) is fixed. This makes the deployment behavior of the airbag 14 stable.

또한 제1 접속 부재는 시트백(2)의 좌우 측부에 있어서 승차인의 두부 영역, 흉부 영역으로부터 복부 영역, 요부 영역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모든 범위를 구속,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can be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seatback 2 from the head region and chest region to the abdomen region and lumbar region of the occupant. In this case, it becomes possible to restrain and protect the entire range of the occupants seated in the seat.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는 나아가 수용 상태의 에어백(14)의 하단 부근에 연결된 제1 단부(24a1, 24b1)와, 시트 쿠션(3)의 측부에 연결된 제2 단부(24a2, 24b2)를 가지는 띠 형상의 제2 접속 부재(24a, 24b)를, 시트의 좌우 양측에 설치하고 있다. 제2 접속 부재(24a, 24b)는 에어백(14)과 동일 소재(직물)에 의해 형성된 테더(tether)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접속 부재(24a, 24b)의 제1 단부(24a1, 24b1)는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챔버(16a, 16b)의 하단부 부근에 연결되어 있다.The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has first ends 24a1 and 24b1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airbag 14 in the accommodated state, and second ends 24a2 and 24b2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s of the seat cushion 3 . ), belt-shaped second connection members 24a and 24b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heet.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and 24b may be tether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abric) as the airbag 14 . Here, the first ends 24a1 and 24b1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and 24b are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s of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in the deployed state.

도 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 장치(1)의 작동 상태(에어백(14)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a)가 차량 폭 방향의 측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고, (b)가 정면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Fig. 3 shows the operating state (the deployed state of the airbag 14) of the airbag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rein (a) shows a side view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b) is a front view It shows what it looks like in

차량의 측면 충돌 등이 발생하면 인플레이터(12a, 12b)로부터 팽창 가스가 방출되고 에어백(14)이 팽창 및 전개한다. 에어백(14)의 팽창이 시작되면 가스가 최초에 사이드 챔버(16a, 16b)에 흐르고 그 후에 상부 챔버(18)에 흘러 들어간다. 그러면 사이드 챔버(16a, 16b)가 시트백(2)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고, 이어서 승차인의 두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챔버(18)가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전방을 향하여 전개한다.When a vehicle side collision or the like occurs, inflation gas is released from the inflators 12a and 12b, and the airbag 14 is inflated and deployed. When the airbag 14 starts to inflate, the gas first flows into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and then into the upper chamber 18 . Then,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are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2 toward the front, and then the upper chamber 18 located above the head of the occupant is deployed forward over the headrest.

본 실시예에 관한 에어백(14)은 승차인의 요부로부터 견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16a, 16b)와, 이들 한 쌍의 사이드 챔버(16a, 16b)들을 연결하고, 승차인의 두부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챔버(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14)은 돔 형상으로 전개하고, 시트(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을 좌우 및 상부로부터 덮도록 된다. 그 결과 적어도 좌우 방향, 상방, 비스듬한 상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확실하게 구속 가능하고, 승차인의 두부로부터 요부에 걸쳐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airbag 1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16a and 16b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houlder from the occupant's waist, and the pair of side chambers 16a and 16b, Since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ntain the upper chamber 18 located above the head of a person, the airbag 14 deploys in the dome shape, and covers the occupant seated on the seat 3 from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part. As a result, at least the movement of the occupa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upward, and obliquely upward can be reliably restrain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properly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head to the concave portion.

또한 팽창 가스가 사이드 챔버(16a, 16b)로부터 상부 챔버(18)에 흐르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최초에 사이드 챔버(16a, 16b)가 전개하여 승차인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xpansion gas is configured to flow from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to the upper chamber 18,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are initially deployed to quickly restrict the occupant's lateral movement. have.

상부 챔버(18)는 시트백(2)의 상단의 후연 부근에서 전개한다. 상부 챔버(18)가 시트백(2)의 상단의 후연 부근에서 전개함으로써, 상기 상부 챔버(18)가 승차인의 후두부의 뒤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덮도록 된다. 이 때문에 상부 챔버(18)가 에어백(14)의 전개시에 승차인의 두부에 직접 충격을 부여하는 것이 회피 가능하다. 또한 시트백과 헤드레스트가 별도 부재로서 구성될 경우에는 연결 부재(18)는 시트백 상단부에서 헤드레스트를 초월하여(타고 넘어) 전방으로 전개하는 모습이 된다.The upper chamber 18 deploys near the trailing edge of the top of the seatback 2 . The upper chamber 18 is deployed near the trailing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2, so that the upper chamber 18 is covered from the back to the front of the occupant's back. For this reason, it is avoidable that the upper chamber 18 directly applies an impact to the head of the occupant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In addition, when the seatback and the headrest are configured as separate members, the connecting member 18 extends forward beyond the headrest (over riding) at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또한 복수의 제1 접속 부재(22a, 22b, 22c, 22d)에 의해 에어백(14)을 시트백(2)에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14)의 전개시에 시트백(2)과 에어백(1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 가능하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차량의 충돌시에 승차인이 에어백(14)에 접촉했을 때에, 승차인이 에어백(14)과 시트백(2)의 틈새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일 없이 확실하게 승차인을 구속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airbag 14 is fixed to the seatback 2 by the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members 22a, 22b, 22c, 22d,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seatback 2 and the airbag 14.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gaps in the As a result, for example, when an occupant contacts the airbag 14 at the time of a vehicle collision, the occupant can be reliably restrained without protruding from the gap between the airbag 14 and the seatback 2 . can

또한 에어백(14)의 하단 부근과 시트 쿠션(3)의 측부를 연결하는 띠 형상의 제2 접속 부재(24a, 24b)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2,3)에 착석하고 있는 승차인의 요부 부근에 있어서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승차인의 중심 위치에 가까운 요부가 에어백(14)을 외측으로 밀어 넘어뜨리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제2 접속 부재(24a, 24b)에 의해 에어백(14)을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고, 승차인이 가로 방향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사태를 회피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belt-shaped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and 24b connecting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airbag 14 and the side of the seat cushion 3 are provided, the occupants seated on the seats 2 and 3 are The restraint performance in recessed part vicinity can be improved. That is, when the recessed portion close to the center position of the occupan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bag 14 is pushed down, the airbag 14 is reliably held b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and 24b, and the passenger is boarded. It becomes possible to avoid the situation in which the phosphorus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제2 접속 부재(24a, 24b)의 제1 단부(24a1, 24b1)를 사이드 챔버(16a, 16b)의 전단부 부근에 연결함으로써, 사이드 챔버(16a, 16b)의 전개 자세를 적절한 상태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가령 제2 접속 부재(24a, 24b)의 제1 단부(24a1, 24b1)를 사이드 챔버(16a, 16b)의 후단부 부근에 연결한 경우에는 에어백(14)이 전개했을 때에 사이드 챔버(16a, 16b)의 전방 부분이 날뛰어 거동이 안정되지 않는 사태가 예상된다. 이러한 점에서 제2 접속 부재(24a, 24b)의 제1 단부(24a1, 24b1)를 사이드 챔버(16a, 16b)의 전단부 부근에 연결하면 전개한 사이드 챔버(16a, 16b)의 전방 부분의 자세를 적절히 보유 지지(제어) 가능하고, 승차인의 구속 성능이 향상한다.Further, by connecting the first ends 24a1, 24b1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24b to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s of the side chambers 16a, 16b, the deployed posture of the side chambers 16a, 16b is maintained in an appropriate state. can support For example, when the first ends 24a1, 24b1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24b are connected near the rear ends of the side chambers 16a, 16b,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the side chambers 16a, 16b ), a situation in which the movement is not stable is expected due to a rampage in the front part. In this regard, when the first ends 24a1 and 24b1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s 24a and 24b are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front ends of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the postur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deployed side chambers 16a, 16b can be properly held (controlled), and the restraint performance of the occupant is improv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긴 봉 형상의 에어백(14)의 상부 챔버(18)에 대응하는 곳을 접음으로써 접음부(100)를 형성하고, 상기 접음부(100)를 시트백(2)의 상방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긴 봉 형상의 에어백(14) 중 접음부(100)보다 하방의 부분은 시트백(2)의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된다. 또한 접음부(100)에는 사이드 챔버(16a, 16b)의 상방 일부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part 100 is formed by fold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18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14, and the folding part 100 is accommodated above the seatback 2 has been A portion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14 that is lower than the folded portion 100 is accommod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2 . Moreover, the upper part of the side chambers 16a, 16b may be contained in the folding|folding part 100. As shown in FIG.

긴 봉 형상의 에어백(14)의 상방 부분을 접어서 수용함으로써, 상기 접음부(100)의 전개가 조금 지연되게 된다. 즉, 접혀 있지 않은 사이드 챔버(16a, 16b)의 주로 하측이 최초에 전개하고, 승차인의 가로 방향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한다. 또한 에어백(14)의 상방 부분을 접음으로써 승차인의 두부를 덮는 데 충분한 용량의 에어백이 시트백(2)의 상방에 확보 가능해진다.By folding and accommod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14 , the deployment of the foldable portion 100 is slightly delayed. That is, the mainly lower side of the side chambers 16a and 16b that are not folded is deployed first, and the lateral movement of the occupant is quickly restrained. In addition, by f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irbag 14 , an airbag with a capacity sufficient to cover the head of the occupant can be secured above the seatback 2 .

그리고 접음부(100)(상부 챔버(18))가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승차인의 두부 상방을 덮도록 전개함으로써, 승차인의 두부에 대미지를 부여하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 가령 접음부(100)가 헤드레스트의 전방에서 전개한 경우에는 에어백(14)이 승차인의 두부를 직격하고 두부 상해 및/또는 경부 장해의 위험성이 있다.And by unfolding the folding part 100 (upper chamber 18)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passenger's head over the headrest, the possibility of giving damage to the passenger's hea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For example, when the folded portion 100 is deployed from the front of the headrest, the airbag 14 directly hits the head of the occupant, and there is a risk of head injury and/or neck injury.

도 4(a)~(e)는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의 접음부(100)의 바리에이션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접음부(100)를 시트백(2)의 뒤쪽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4(a) to (e)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variations of the folding part 100 of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ing the folding part 100 as viewed from the back of the seatback 2 .

도 4(a), (b)는 접음부(100)의 오메가 형상의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으로 성형한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봉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14)은 시트백(2)의 일측면에서 상부를 통하여 타측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시트백(2)의 가장자리부(좌연부, 상연부, 우연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이때 시트백(2)의 상부의 좌우 방향 단부에서 좌우 방향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한 봉 형상의 에어백(14)이 되접힘되어 다시 상기 단부 방향(외측)을 향하여 연장할 때의 상기 중심 부근에 제1 되접힘부(101L, 101R)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되접힘부(101L, 101R)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고 시트백(2) 상부의 단부 부근에서 중심을 향하여 되접히는 제2 되접힘부(102L, 102R)가 형성된다. 4 (a) and (b)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folded portion 100 is molded into an inverted omega shape of the omega shape. In this example, the airbag 14 compressed in the shape of a rod is disposed approximately along the edge (left edge, upper edge, accidental part) of the seatback 2 so as to reach the other side through the top from one side of the seatback 2 . do. At this time, when the rod-shaped airbag 14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part of the seat back 2 toward the cent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folded back and extended toward the end direction (outside) again, the first Fold-back portions 101L and 101R are formed. Also, second folded portions 102L and 102R extending from the first folded portions 101L and 101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olded back toward the center are formed near th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2 .

그리고 제1 되접힘부(101L, 101R)가 제2 되접힘부(102L, 102R)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형태가 오메가 형상(a)이고, 반대로 제1 되접힘부(101L, 101R)가 제2 되접힘부(102L, 102R)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형태가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b)이다.And the form in which the 1st fold-down parts 101L, 101R is located below the 2nd fold-back parts 102L, 102R is an omega shape (a), Conversely, the 1st fold-down part 101L, 101R is a 2nd form The omega shape (b) is inverted in the form to be positioned above the folded portions 102L and 102R.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음부(100)를 오메가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에어백(14)이 전개했을 때에 상기 접음부(100)(18)가 상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기세가 강해지고, 헤드레스트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에어백(14)(상부 챔버(18))이 상기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전방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As shown in Fig. 4(a), by forming the folded portion 100 into an omega shape,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the force of the folding portions 100 and 18 to deploy upward becomes strong, and the head Even when the rest is relatively large, it is easy for the airbag 14 (upper chamber 18) to climb over the headrest and project forward.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음부를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에어백(14)이 전개했을 때에 상기 접음부(100)(18)가 좌우 폭 방향을 향하여 전개하기 쉬워지고 승차인의 두부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b),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by forming the folds into an inverted omega shape, the folds 100 and 18 are more likely to be deployed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and It becomes possible to quickly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he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도 4(c)는 접음부(100)를 M자 형상으로 성형한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봉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14)은 시트백(2)의 일측면에서 상부를 통하여 타측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시트백(2)의 가장자리부(좌연부, 상연부, 우연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그리고 시트백(2)의 상부 좌우 방향의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봉 형상의 에어백(14)이 중심 방향 또는 하측을 향하여 되접히는 제3 되접힘부(103L, 103R)가 형성되고 나아가 상기 제3 되접힘부(103L, 103R)에서 하방으로 연장하여 중심 부근에서 되접히는 제4 되접힘부(104)가 형성된다.4( c )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olding part 100 is molded into an M-shape. In this example, the airbag 14 compressed in the shape of a rod is disposed approximately along the edge (left edge, upper edge, accidental part) of the seatback 2 so as to reach the other side through the top from one side of the seatback 2 . do. In addition, third folded portions 103L and 103R are formed in which the rod-shaped airbag 14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seatback 2 is folded back toward the center or downward, and further, the third A fourth folded portion 104 that extends downwardly from the folded portions 103L and 103R and is folded back near the center is formed.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음부(100)를 M자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에어백(14)이 전개했을 때에 상기 접음부(100)(상부 챔버(18))가 좌우 폭 방향을 향하여 전개하기 쉬워지고, 승차인의 두부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신속하게 구속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4(c), by forming the folded portion 100 into an M-shape, when the airbag 14 is deployed, the folded portion 100 (upper chamber 18) is directed i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It becomes easy to deploy, and it becomes possible to quickly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head of a occupant in the left-right direction.

도 4(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백(14)의 상부 챔버(18)에 상당하는 부분을 좌우 대칭으로 접음으로써, 차량 시트의 파 사이드, 니어 사이드를 의식하는 일 없이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장치를 다양한 시트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4(a) to 4(c), by folding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18 of the airbag 14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being aware of the far side and the near side of the vehicle seat It becomes possible to apply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iversally to various seats.

도 4(d), (e)는 접음부(100)를 S자 형상 또는 Z자 형상으로 성형한 예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봉 형상으로 압축된 에어백(14)은 시트백(2)의 일측면에서 상부를 통하여 타측면에 도달하도록 대략 시트백(2)의 가장자리부(좌연부, 상연부, 우연부)를 따라서 배치된다. 그리고 도 4(d)에 나타내는 S자 접기의 경우에는 시트백(2)의 상부 좌우 방향의 일방의 단부(제1 단부(121))에서 타방의 단부(제2 단부(122))를 향하여 연장한 봉 형상의 에어백(14)이 제2 단부(122) 근방에서 제1 단부(121)를 향하여 돌아오도록 되접히는 제5 되접힘부(105)가 형성되고, 상기 제5 되접힘부(105)에서 연장하여 제1 단부(121)에 있어서 다시 제2 단부(122)를 향하여 연장하도록 되접히는 제6 되접힘부(106)가 형성된다. 또한 S자 형상과 Z자 형상은 제1 단부(121)와 제2 단부(122)가 반대가 된다.4 (d) and (e)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folding part 100 is molded into an S-shape or a Z-shape. In this example, the airbag 14 compressed in the shape of a rod is disposed approximately along the edge (left edge, upper edge, accidental part) of the seatback 2 so as to reach the other side through the top from one side of the seatback 2 . do. And in the case of the S-folding shown in Fig. 4(d), the seat back 2 extends from one end (first end 121) in the upper left-right direction toward the other end (second end 122). A fifth folded portion 105 is formed in which the rod-shaped airbag 14 is folded back toward the first end 121 near the second end 122, and in the fifth folded portion 105 A sixth folded-back portion 106 that extends from the first end 121 to extend back toward the second end 122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S-shape and the Z-shape, the first end 121 and the second end 122 are opposite to each other.

접음부(100)를 S자 형상이나 Z자 형상과 같이 좌우 비대칭으로 성형함으로써 시트백(2)의 좌우 일측에서의 전개가 빨라지고, 타측에서 전개가 늦어지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개가 빨라지는 쪽을 니어 사이드(도어측)에 배치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 승차인을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즉, 니어 사이드, 파 사이드에 의해 접는 방향(S자 또는 Z자)이 상이한 에어백을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측면 충돌시에 승차인을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By forming the folding part 100 asymmetrically, such as an S-shape or a Z-shape, the deployment on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seatback 2 is accelerated, and deployment is delayed on the other side, so for example, the side with faster deployment By arranging it on the near side (door side), it is possible to properly protect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That is, by using the airbags having different folding directions (S-shape or Z-shape) according to the near side and the far side, it becomes possible to appropriately protect th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이탈하는 일 없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That is, it can be suitably changed without devia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Claims (17)

좌석면을 형성하는 시트 쿠션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시트백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에 장비되는 에어백 장치로서,
팽창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와,
적어도 상기 시트백 내에 수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팽창 가스에 의해 전개하는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의 측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전개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와 승차인의 두부의 상방에서 전개하는 상부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은 수용 전에 평면 형상으로 펼친 상태에서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롤링되거나 또는 접힌 긴 봉 형상으로 압축되고,
승차인의 두부를 덮을 수 있는 용량을 시트백의 상방에 확보하도록, 적어도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의 상기 상부 챔버에 대응하는 곳을 포함하여 접힘으로써 접음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음부를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 수용하며,
상기 상부 챔버는 상기 접음부가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승차인의 두부 상방을 덮도록 전개시켜 승차인의 두부에 대미지를 부여하는 가능성을 저하시키도록, 상기 시트백의 뒤쪽 상단 부분에서 전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An airbag device equipped in a vehicle seat having a seat cushion forming a seat surface and a seatback forming a backrest, the airbag device comprising:
an inflator that generates inflation gas;
an airbag accommodated in at least the seatback and deployed by the inflation ga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The airbag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deployed from the side of the seatback toward the front and an upper chamber deployed above the head of the occupant,
The airbag is compressed into a long rod shape that is rolled or fold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lanar shape before being accommodated,
A folding portion is formed by folding at least in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chamber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to secure a capacity to cover the head of the passenger above the seatback, and the folding portion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back accept,
The upper chamber is configured to deploy at the upper rear portion of the seatback, such that the fold is deployed over the headres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passenger's hea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nflicting damage to the passenger's head airba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가 상기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타고 넘어 승차인의 두부 상방을 덮도록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ing part is deployed so as to climb over a headrest of the vehicle seat and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head of a passe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 대칭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오메가(Ω)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ing portion is formed in an omega (Ω) 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거꾸로 된 오메가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 an inverted omega 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M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to an M 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좌우 비대칭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asymmetrically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S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ded portion is formed in an S-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음부는 상기 시트백의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Z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ba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ding portion is formed in a Z-shape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seatback.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 중 상기 접음부보다 하방 부분이 상기 시트백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than the folded portion is accommod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seatback.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방출된 팽창 가스는 상기 사이드 챔버로부터 상기 상부 챔버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inflation ga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is configured to flow from the side chamber to the upper cha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챔버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inflato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chamber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가 상기 승차인의 흉부 영역, 복부 영역 및 요부 영역에 걸친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ator is disposed within a range spanning a chest region, an abdominal region, and a lumbar region of the passeng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을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고정하는 제1 접속 부재가 상기 승차인의 두부 영역, 흉부 영역, 복부 영역 및 요부 영역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first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the long rod-shaped airbag with respect to the seatback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head region, a chest region, an abdominal region, and a lumbar region of the occupa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봉 형상의 에어백의 단부 근방과 상기 시트 쿠션의 측부에 접속된 제2 접속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econd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vicinity of the end of the long rod-shaped airbag and the side of the seat cushion.
제1항에 기재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the airba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KR1020200092183A 2019-08-07 2020-07-24 Airbag apparatus KR1024080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45373 2019-08-07
JPJP-P-2019-145373 2019-08-07
JPJP-P-2020-101896 2020-06-11
JP2020101896A JP7450461B2 (en) 2019-08-07 2020-06-11 air ba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8064A KR20210018064A (en) 2021-02-17
KR102408036B1 true KR102408036B1 (en) 2022-06-14

Family

ID=7466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183A KR102408036B1 (en) 2019-08-07 2020-07-24 Airba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50461B2 (en)
KR (1) KR1024080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24708A1 (en) * 2021-04-16 2024-02-21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5642A1 (en) 2011-07-12 2013-01-17 Zodiac Aerospace Bonnet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100042A1 (en) * 2010-03-09 2011-09-10 Dainese Spa COVERAGE ASSEMBLY FOR A SEAT AND SEAT SUITABLE FOR A USER PROTECTION.
US9238425B2 (en) * 2011-12-28 2016-01-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eat
JP6517662B2 (en) 2015-10-26 2019-05-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6399004B2 (en) 2016-01-20 2018-10-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Crew protection device
SE541676C2 (en) * 2016-12-22 2019-11-26 Autoliv Dev Air 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an air bag device
JP6783715B2 (en) 2017-07-11 2020-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irba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5642A1 (en) 2011-07-12 2013-01-17 Zodiac Aerospace Bonnet 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50461B2 (en) 2024-03-15
KR20210018064A (en) 2021-02-17
JP2021024558A (en) 202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270B1 (en) Air bag device and vehicle seat provided with an air bag device
CN114340945B (en)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JP7288510B2 (en) air bag device
CN114901520B (en) Airbag device
CN112585040B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with additional airbag
EP4043295A1 (en)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CN112424032B (en) Occupant restraint device
EP3922517A1 (en) Side airbag device
JP7270826B2 (en)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CN112339697B (en) Airbag device
KR102408036B1 (en) Airbag apparatus
WO2022075216A1 (en) Airbag device
WO2023282021A1 (en) Airbag device
EP4368460A1 (en) Airbag device
WO2022210077A1 (en) Airbag device
JP2023119079A (en) Seat built-in air ba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