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010B1 -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010B1
KR102408010B1 KR1020200143104A KR20200143104A KR102408010B1 KR 102408010 B1 KR102408010 B1 KR 102408010B1 KR 1020200143104 A KR1020200143104 A KR 1020200143104A KR 20200143104 A KR20200143104 A KR 20200143104A KR 102408010 B1 KR102408010 B1 KR 102408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relic
head
simulated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945A (ko
Inventor
정수봉
Original Assignee
플링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링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플링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80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94Unusual game types, e.g. virtual co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개시된다.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은, 모의 유물이 매립된 유물발굴현장을 모사한 체험 테이블, 모의 유물을 발굴하는 게임을 안내하는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생성기,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에게 게임의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키오스크 및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모의 유물의 발굴에 사용하는 발굴 도구를 포함하되, 발굴 도구는,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헤드 및 헤드가 착탈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Realistic artifact discovery game system}
본 발명은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습 교구(校具)는 어린 아이의 지능개발 및 학습능력 향상 등의 목적을 가지며, 효과적으로 어린 아이를 학습시키기 위한 도구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널리 판매되고 있는 학습교구는 다양한 문자 및 숫자가 적혀져 있는 퍼즐을 단순히 조합하는 숫자놀이 및 글자 맞추기 등의 교구나 다양한 블록을 조립하여 여러가지 형상의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조립블록 형식의 교구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구는 단순하여 학습효과가 미비하고, 여러번 반복하게 되면 흥미가 떨어져 단순히 맞추는 놀이의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4625호(2013.07.29)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굴 도구를 이용하여 모의 발굴현장에서 매립된 모의 유물을 수작업으로 발굴하게 하고, 발굴한 모의 유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은, 모의 유물이 매립된 유물발굴현장을 모사한 체험 테이블, 상기 모의 유물을 발굴하는 게임을 안내하는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생성기, 상기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게임의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키오스크 및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의 유물의 발굴에 사용하는 발굴 도구를 포함하되, 상기 발굴 도구는,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헤드 및 상기 헤드가 착탈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을 가진 헤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발굴 도구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키오스크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가 발굴 도구 사용에 따른 촉각을 느끼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부,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결합부, 상기 통신부, 상기 햅틱부 및 상기 충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벽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 및 상기 헤드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돌기가 압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햅틱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굴 도구를 상기 체험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굴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햅틱부는 상기 발굴 도구가 상기 모의 유물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햅틱부가 상기 발굴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로부터 상기 헤드의 결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의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상기 본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햅틱부에 의하여 상기 발굴 도구가 상기 모의 유물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상기 모의 유물이 발견된 경우, 유물이 발견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은, 사용자가 발굴 도구를 이용하여 모의 발굴현장에서 매립된 모의 유물을 수작업으로 발굴하게 하고, 발굴한 모의 유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과 같은 어린이가 놀이를 통해 우리 문화재의 개념과 가치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발굴 도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굴 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굴 도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굴 도구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발굴 도구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굴 도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굴 도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굴 도구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100)은, 체험 테이블(110), 홀로그램 생성기(120), 키오스크(130) 및 발굴 도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험 테이블(110)은 유물발굴현장을 모사한 테이블이다.
즉, 체험 테이블(110)은 흙, 바위, 식물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된 모의 자연환경이 테이블 위에 형성되고, 형성된 모의 자연환경에 모의 유물이 매립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홀로그램 생성기(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의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예를 들어, 홀로그램 생성기(120)는 사용자의 인터렉션(interaction)을 돕기 위하여 게임진행을 안내하는 NPC(Non-Player Character)를 3차원 영상으로 출력하거나, 발굴 대상 유물의 모습을 3차원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키오스크(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에게 게임 진행을 위한 각종 게임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컴퓨터 장치이다.
즉, 키오스크(130)는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받아 게이머로 등록하고, 게임 진행에 따른 가상의 유물발굴현장, 게이머에게 부여된 캐릭터, 유물발굴현장으로 이동하는 캐릭터, 퀘스트, 게임진행요령 등을 영상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오스크(130)는 유물발굴 시, 캐릭터 이동 시, 랭킹 출력 시에 상응하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물발굴현장을 모사한 체험 테이블(110)의 중앙에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생성기(120)가 설치되고, 체험 테이블(1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키오스크(13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키오스크(130)는 게임에 참여하는 각 사용자에 할당되며, 각 사용자는 해당 키오스크(130) 앞에서 게임에 착수할 수 있다.
발굴 도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체험 테이블(110)에 매립된 모의 유물을 발굴하는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발굴 도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괭이, 호미, 모종삽, 붓 등과 같은 다양한 발굴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굴 도구(140)는, 곡괭이, 호미, 모종삽, 붓 등과 같은 다양한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헤드(141) 및 헤드(141)가 착탈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본체(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로 하는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을 가진 헤드(141)를 본체(142)에 결합하여 발굴 도구(14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42)는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145), 통신부(146), 햅틱부(147), 충전부(148) 및 제어부(14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45)는 헤드(141)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헤드(141)가 끼움결합되도록 본체(142)에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의 내벽에는, 헤드(141)가 결합부(145)에 끼움결합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결합부(145)는, 결합홈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가 헤드(141) 결합에 의하여 압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헤드(141)가 결합된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6)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키오스크(130)와 통신하는 통신수단이다.
햅틱부(147)는 사용자가 발굴 도구 사용에 따른 촉각을 느끼도록, 진동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햅틱부(147)는 사용자가 발굴 도구(140)를 손으로 잡고 체험 테이블(110)의 자연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 발굴 도구(140)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햅틱부(147)는 발굴 도구(14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햅틱부(147)는 발굴 도구(140)가 모의 유물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햅틱부(147)는 모의 유물을 식별하는 유물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모의 유물에는 유물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식별기가 장착될 수 있다.
충전부(148)는 발굴 도구(140) 즉, 본체(142)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충전부(148)는 배터리,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9)는 기본적으로, 본체(14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49)는 햅틱부(147)가 발굴 도구(140)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9)는 결합부(145)에 구비되어 헤드(141)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로부터 헤드(141) 결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본체(142)의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본체(142)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9)는 햅틱부(147)의 모의 유물을 식별하는 유물감지센서에 의하여 발굴 도구(140)가 모의 유물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모의 유물이 발견된 경우, 유물이 발견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통신부(146)를 통해 키오스크(1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142)의 일단에 결합부(145)가 형성되며, 결합부(145) 제외한 본체(142)의 구성부들(통신부(146), 햅틱부(147), 충전부(148) 및 제어부(149))은 캡슐(143)에 포함되어 본체(14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방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게임 방법은,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이름을 입력받아 게이머를 등록하는 준비 단계(S71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등록된 게이머에게 퀘스트를 부여하는 시작 단계(S72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사용자 입력을 통해 유물발굴을 위하여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진행 단계(S730), 사용자가 발굴 도구(140)를 이용하여 체험 테이블(110)에서 직접 발굴작업을 수행하는 발굴 단계(S740), 사용자가 발굴한 모의 유물조각들을 맞추어 결합하는 퍼즐맞추기 단계(S75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발굴된 모의 유물의 설명 내용을 홀로그램과 소리로 출력하는 유물설명 단계(S760) 및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이 게임 참여자들의 게임수행 결과를 출력하고 랭킹을 부여하는 게임결과 제공 단계(S7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110: 체험 테이블
120: 홀로그램 생성기
130: 키오스크
140: 발굴 도구
141: 헤드
142: 본체
145: 결합부
146: 통신부
147: 햅틱부
148: 충전부
149: 제어부

Claims (7)

  1.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모의 유물이 매립된 유물발굴현장을 모사한 체험 테이블;
    상기 모의 유물을 발굴하는 게임을 안내하는 홀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홀로그램 생성기;
    상기 게임에 참여하는 사용자에게 상기 게임의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키오스크; 및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의 유물의 발굴에 사용하는 발굴 도구를 포함하되,
    상기 발굴 도구는,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헤드 및 상기 헤드가 착탈되며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키오스크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가 발굴 도구 사용에 따른 촉각을 느끼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부;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를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결합부, 상기 통신부, 상기 햅틱부 및 상기 충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햅틱부가 상기 발굴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로부터 상기 헤드의 결합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본체의 각 구성이 동작하도록 상기 본체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햅틱부에 의하여 상기 발굴 도구가 상기 모의 유물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상기 모의 유물이 발견된 경우, 유물이 발견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키오스크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발굴용 도구의 머리형상을 가진 헤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발굴 도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홈;
    상기 결합홈의 내벽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 및
    상기 헤드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돌기가 압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헤드가 결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결합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발굴 도구를 상기 체험 테이블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발굴 도구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부는 상기 발굴 도구가 상기 모의 유물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7. 삭제
KR1020200143104A 2020-10-30 2020-10-3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KR102408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04A KR102408010B1 (ko) 2020-10-30 2020-10-3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04A KR102408010B1 (ko) 2020-10-30 2020-10-3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945A KR20220057945A (ko) 2022-05-09
KR102408010B1 true KR102408010B1 (ko) 2022-06-14

Family

ID=8158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104A KR102408010B1 (ko) 2020-10-30 2020-10-30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0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422A (ja) * 2003-07-30 2005-02-24 Samii Kk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KR100991233B1 (ko) * 2010-07-19 2010-11-01 (주)이랑애니픽스 디지털 발굴 체험장치
JP2011036346A (ja) * 2009-08-07 2011-02-24 Sega Corp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ペ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058B1 (ko) * 2010-12-02 2012-08-24 전자부품연구원 마커 기반 3차원 입체 시스템
KR20130004625U (ko) 2012-01-19 2013-07-29 김삼희 지층 속 공룡화석 발굴, 조립체험 키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422A (ja) * 2003-07-30 2005-02-24 Samii Kk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JP2011036346A (ja) * 2009-08-07 2011-02-24 Sega Corp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ペ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ゲーム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991233B1 (ko) * 2010-07-19 2010-11-01 (주)이랑애니픽스 디지털 발굴 체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945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902B2 (ja) 対話型ペインティングゲーム及び関連するコントローラ
Israr et al. Tactile brush: drawing on skin with a tactile grid display
JP492679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Terziman et al. The King-Kong Effects: Improving sensation of walking in VR with visual and tactile vibrations at each step
US20110248837A1 (en) Generating Virtual Stimulation Devices and Illusory Sensations Using Tactile Display Technology
JP200927699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2015223394A (ja)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の制御方法、ビデオ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90000069A (ko) 가상 체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760981A (zh) 一种磁场可视化及交互方法
Zhang et al. Exploring virtual environments by visually impaired using a mixed reality cane without visual feedback
KR102408010B1 (ko) 실감형 유물 발굴 게임 시스템
KR101712836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를 위한 영상 구현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vett et al. An interface to virtual environments for people who are blind using Wii technology‐mental models and navigation
CN109166388A (zh) 一种面向地震安全教育的虚拟训练与体验方法
Giannopoulos et al. Touching the void: exploring virtual objects through a vibrotactile glove
Kammer et al. Simulating LEGO mindstorms robots to facilitate teaching computer programming to school students
Mohd Rahim et al. Development of 3D Tawaf simulation for hajj training application using virtual environment
Liarokapis et al. A pervasive augmented reality serious game
JP4397410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Luxton-Reilly et al. A simple framework for interactive games in CS1
KR102495213B1 (ko) 증강 현실 기반의 스크린 스포츠 체험 장치 및 방법
KR20090011683A (ko) 실제로봇과 가상로봇이 연동하는 게임 시스템 및 방법
JP2019080743A (ja) 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Fassbender et al. Using a dance pad to navigate through the virtual heritage environment of macquarie lighthouse, Sydney
KR20220070902A (ko) 멀미저감 및 피칭 진동기능을 제공하는 몰입형 가상현실기반 중장비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