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988B1 -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988B1
KR102407988B1 KR1020190072727A KR20190072727A KR102407988B1 KR 102407988 B1 KR102407988 B1 KR 102407988B1 KR 1020190072727 A KR1020190072727 A KR 1020190072727A KR 20190072727 A KR20190072727 A KR 20190072727A KR 102407988 B1 KR102407988 B1 KR 10240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ransaction
vehicle
image data
blockchai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725A (ko
Inventor
김홍진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72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98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차량용 블랙박스,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모바일 단말은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PREVENTING COUNTERFEIT AND TAMPERING OF BLACK BOX DATA AND APPARATUS THEROF}
아래 실시예들은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불리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는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기술 기반의 데이터 대변 방지 기술이다. 블록체인에서 개별의 트랜잭션(transaction, 거래)은 탈중앙화된 전자장부에 쓰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사용자들의 컴퓨터에서 서버가 운영되어 중앙은행 없이 개인 간의 자유로운 거래가 가능하다. 블록체인의 블록에 들어 있는 트랜잭션의 내역을 원장(ledger)이라고 한다.
블랙박스(black box)는 카메라와 녹화장치가 내장된 충격 감지 장치이다. 블랙박스는 비행기, 자동차, 선박 및 철도차량 등의 탈것에 내장되며, 사고 발생 시 그 경위 등의 파악을 위하여 중요하게 이용될 수 있다.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되어 동영상 및 음성을 녹화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이 검증됨으로써,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블록체인 노드 중 신뢰할 수 없는 노드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전송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및 상기 공공기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트랜잭션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함;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이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트랜잭션을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함-;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상기 공공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공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을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함-;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상기 공공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공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및 상기 공공기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를 수행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보험사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를 수행한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보험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참여 노드 간의 데이터 공유 및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험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차량용 블랙박스(110), 차량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이하, 제1 모바일 단말)(120), 차량이 가입된 보험사(이하, 제1 보험사)(130) 및 공공기관(140)을 포함한다. 차량용 블랙박스(110)는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고, 차량의 충돌과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110)는 생성된 데이터를 제1 모바일 단말(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120)은 휴대성이 높은 컴퓨터 장치이다. 제1 모바일 단말(120)은 터치 입력을 가진 표시 화면이나 소형 자판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computer) 및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차량용 블랙박스(110)로부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한다. 제1 트랜잭션은 제1 모바일 단말(120)과 관련된 정보 및 차량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120)과 관련된 정보는 제1 모바일 단말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하고,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의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생성된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는 노드 및 공공기관(140)에 대응하는 노드를 포함한다.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는 노드는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공공기관(140)에 대응되는 노드는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블록체인 노드에서 영상 데이터 및 제1 트랜잭션이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블록체인 노드가 많아질수록,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더 효과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후술한다.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제3 트랜잭션을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하는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도 있다.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모바일 단말(12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3a 및 도 3b를 통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보험사(130)는 차량을 운전하다가 충돌 사고가 발생한 경우 충돌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생한 사고가 차량과 사람 간의 충돌 사고 또는 차량과 차량 간의 충돌 사고에 해당하는 경우, 제1 보험사(130)는 충돌 사고와 관련하여 차량의 사용자 및 상대방 간의 과실 비율을 산정 및 합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한다. 제1 보험사(130)는 영상 데이터 및 제1 트랜잭션이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보험사(130)는 제1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다. 제1 보험사(130)는 생성된 제2 트랜잭션을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하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보험사(130)의 동작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2a 및 도 2b를 통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공공기관(140)은 차량을 운전하다가 충돌 사고가 발생한 경우 해당 충돌 사고와 관련된 공적 업무를 처리하는 기관이다. 공공기관은 사고를 담당하는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 및 출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생한 사고가 차량과 사람 간의 충돌 사고 또는 차량과 차량 간의 충돌 사고에 해당하고, 차량의 사용자 및 상대방의 과실 여부가 분명치 않거나 차량의 사용자 및 상대방 사이의 과실 비율이 분명치 않은 경우, 공공기관(140)은 과실 여부 및 과실 비율을 판정할 수 있다.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공공기관(14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한다. 공공기관(140)은 영상 데이터 및 제1 트랜잭션이 모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이 검증됨으로써,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블록체인 노드 중 신뢰할 수 없는 노드에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전송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될 수도 있다.
도 1b는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110)는 충돌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111). 충돌 데이터를 감지한 차량용 블랙박스(110)는 충돌 전후의 상황을 촬영한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112).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블랙박스(110)는 생성된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110)는 생성된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를 제1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113).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전송된 블랙박스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c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제1 모바일 단말(120)의 CTN, 차량의 번호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121).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생성된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모바일 단말(120)은 영상 데이터 원본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른 노드들에서 제1 모바일 단말(120)의 CTN, 차량의 번호 및 영상 데이터 원본에 기초하여 트랜잭션이 생성되고, 생성된 트랜잭션 및 제1 트랜잭션이 비교됨으로써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즉, 트랜잭션이 검증될 수 있다)(122). 검증 결과 제1 모바일 단말(120)에서 전송되는 제1 트랜잭션이 위조 및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이 생성될 수 있다(123).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보험사(220)는 제1 모바일 단말(21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보험사(220)는 도 1의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고, 제1 모바일 단말(210)은 도 1의 모바일 단말(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보험사(22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다.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해시는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 및 제1 모바일 단말(210)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보험사(220)는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보험사(220) 및 제2 보험사(230) 외 자동차 보험을 제공하는 다른 보험사들(240)(250)에 대응되는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험사(230)에 대응되는 노드는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다른 보험사들(240)(250)에 대응되는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 다른 보험사들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또한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1 보험사(220)는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험사(220)는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험사(220)는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고,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공공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공공기관은 도 1의 공공기관(140)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원본이 공공기관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가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모순되는지 여부가 공공기관에서 판단될 수 있다. 공공기관에서 판단이 이루어지면, 제1 보험사(220)는 공공기관으로부터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보험사(230)에서도 제1 보험사(220)에서 전파하는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보험사(230)에서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되는 방식은 제1 보험사(220)에서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보험사(240) 및 제4 보험사(250)에서도 제2 트랜잭션 또는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후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트랜잭션이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과 동기화(synchronize)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이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보험사(23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제2 트랜잭션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보험사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보험사(220)는 제1 모바일 단말(210)의 CTN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221). 제1 보험사(220)는 생성된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제1 보험사(220)는 다른 블록체인 노드(예를 들어,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230))에서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제2 보험사(23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공공기관에 전송함으로써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즉, 트랜잭션이 검증될 수 있다)(222).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는 제1 보험사(2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공공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제2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검증 결과 제2 트랜잭션이 위조 및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생성될 수 있다(223). 검증 결과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이 위조 및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트랜잭션이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 및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이 동기화될 수 있다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310)은 도 1의 제1 모바일 단말(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해시는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 및 차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제2 모바일 단말(32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제1 모바일 단말(310) 및 제2 모바일 단말(320) 외 다른 모바일 단말들(330)(340)에 대응되는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단말(320)에 대응되는 노드는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다른 모바일 단말들(330)(340)에 대응되는 노드를 더 포함하는 경우, 다른 모바일 단말들 각각에 대응되는 노드 또한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제2 모바일 단말(320)의 사용자의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고,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공공기관에 전송할 수 있다. 공공기관은 도 1의 공공기관(140)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 원본이 공공기관에 보관되어 있으므로,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가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와 모순되는지 여부가 공공기관에서 판단될 수 있다. 공공기관에서 판단이 이루어지면, 제1 모바일 단말(310)은 공공기관으로부터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도 제1 모바일 단말(310)에서 전파하는 제3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제3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되는 방식은 제1 모바일 단말(310)에서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모바일 단말(330) 및 제4 모바일 단말(340)에서도 제3 트랜잭션 또는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제3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관련된 보다 상세한 사항은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후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생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트랜잭션이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과 동기화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이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제3 트랜잭션과 동기화될 수 있다.
도 3b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차량의 번호 및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311). 제1 모바일 단말(310)은 생성된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310)은 다른 블록체인 노드(예를 들어,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제2 모바일 단말(320))에서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고, 제2 모바일 단말(32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공공기관에 전송함으로써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즉, 트랜잭션이 검증될 수 있다)(312).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는 제1 모바일 단말(310)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공공기관에 전송함으로써 제3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검증 결과 제3 트랜잭션이 위조 및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생성될 수 있다(313). 검증 결과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이 위조 및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이 생성될 수 있다. 제3 트랜잭션이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3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 및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이 동기화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검증을 위하여 제1 모바일 단말 또는 제1 보험사는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410). 제1 모바일 단말은 도 1의 제1 모바일 단말(120)에 대응되고, 제1 보험사는 도 1의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될 수 있다. 생성된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 및 기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트랜잭션이 검증될 수 있다(420). 트랜잭션 생성의 주체가 제1 모바일 단말인 경우, 트랜잭션은 도 1의 제1 트랜잭션 또는 도 3의 제3 트랜잭션에 대응될 수 있다. 트랜잭션이 제1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1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도 1의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도 1의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되는 경우,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도 1의 공공기관(14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트랜잭션이 제3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3의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도 3의 제2 모바일 단말(32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3의 다른 모바일 단말들(330)(340)에 대응되는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랜잭션 생성의 주체가 제1 보험사인 경우, 트랜잭션은 도 2의 제2 트랜잭션에 대응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2의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도 2의 제2 보험사(230)에 대응되는 노드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2의 자동차 보험을 제공하는 다른 보험사들(240)(250)에 대응되는 노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트랜잭션이 도 1의 제1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경우, 도 2의 제2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경우 및 도 3의 제3 트랜잭션에 대응되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 검증 방법을 묶어 설명한다.
트랜잭션의 검증(420)을 위하여, 트랜잭션 생성의 주체는 자신의 개인키(private key)를 통한 서명 값 및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노드로 전달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노드에서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들 간의 모순 여부가 판단되거나, 공공기관을 통하여 데이터와 그 원본이 비교됨으로써, 트랜잭션이 검증될 수 있다. 공공기관은 도 1의 공공기관(140)에 대응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검증을 위하여 트랜잭션의 검증(420) 이후에 합의 프로토콜이 수행될 수 있다(430). 구체적으로, 생성된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노드에서 합의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블록체인 노드에서 수행되는 합의 알고리즘은 PoW(Proof of Work, 작업증명), PoS(Proof of Stake, 지분증명) 및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프랙티컬 비잔틴 오류 허용) 등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노드에서 합의 알고리즘이 수행됨으로써, 새로운 블록이 생성 및 검증될 수 있다. 새로운 블록의 검증 방식은 어떠한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시로써, 합의 알고리즘이 PoW 방식에 의하는 경우, 블록을 처음 생성한 노드는 다른 노드에게 블록 정보 및 정보의 검증을 위한 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키 정보는 논스(nonce)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노드에서 새로운 블록의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참여 노드 간의 데이터 공유 및 검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해시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은 해시함수로 생성된 값을 블록체인 원장으로 하는 보험사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모바일 단말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보험사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2의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되고, 모바일 단말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도 3의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될 수 있다.
보험사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모바일 단말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부에서는 원장 데이터(510)가 공유되므로, 데이터의 무단 삭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보험사 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CTN 기반의 키를 이용하므로,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 간 인증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제1 보험사(220) 또는 도 3의 제1 모바일 단말(310)에서 영상 데이터, CTN 및 차량 정보(530) 중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520)에 의하여 검증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각 노드(520)에 의한 검증 과정 및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위조 및 변조의 난이도가 점점 높아지고, 데이터의 검증이 철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모바일 단말은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610). 차량용 블랙박스는 도 1의 차량용 블랙박스(110)에 대응되고, 제1 모바일 단말은 도 1의 제1 모바일 단말(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을 생성한다(620). 제1 트랜잭션은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 및 차량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은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630).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제1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및 공공기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한다. 제1 보험사는 도 1의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고, 공공기관은 도 1의 공공기관(140)에 대응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모바일 단말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영상 데이터 및 차량과 관련된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모바일 단말은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할 수 있다.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바일 단말은 도 3의 제2 모바일 단말(32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보험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보험사는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710). 제1 보험사는 도 1의 제1 보험사(130)에 대응되고, 제1 모바일 단말은 도 1의 제1 모바일 단말(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보험사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한다(720).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영상 데이터 및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보험사는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730).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다른 블록체인 노드는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한다. 제2 보험사는 도 2의 제2 보험사(230)에 대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및 상기 공공기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트랜잭션을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은 상기 공공기관에 보관되고,
    상기 제3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수신된 상기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상기 해시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공공기관으로 전송되고, 상기 공공기관에서 상기 해시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에 기초하여 계산된 인증 해시의 비교됨으로써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제1 트랜잭션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함-;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이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함-;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상기 공공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공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모바일 단말의 동작 방법.
  8.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을 포함함-;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에 포함됨-은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어 상기 공공기관에 보관되고,
    상기 제2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보험사로 수신된 상기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상기 해시가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상기 공공기관으로 전송되고, 상기 공공기관에서 상기 해시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에 기초하여 계산된 인증 해시가 비교됨으로써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을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함-;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상기 공공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공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보험사에 가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제1 보험사의 동작 방법.
  12.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3.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로부터 상기 차량의 충돌과 관련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을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제1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 및 상기 공공기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3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트랜잭션을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트랜잭션을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상기 충돌의 상대 차량의 사용자의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
    를 수행하고,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은 상기 공공기관에 보관되고,
    상기 제3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 수신된 상기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상기 해시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로부터 상기 공공기관으로 전송되고, 상기 공공기관에서 상기 해시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에 기초하여 계산된 인증 해시의 비교됨으로써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제1 트랜잭션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함;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Cellular Telephone Number)을 포함함; 및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1 모바일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잭션의 위조 및 변조 여부가 상기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중인 다른 블록체인 노드에서 판단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트랜잭션과 관련된 원장(ledger)이 생성되는,
    제1 모바일 단말.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포함함-;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검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서 전파되는 트랜잭션을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해시를 상기 공공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공공기관으로부터 상기 제2 모바일 단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제1 모바일 단말.
  20. 차량용 블랙박스, 상기 차량의 사용자의 제1 모바일 단말, 상기 차량이 가입된 제1 보험사 및 공공기관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1 보험사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 해시를 포함하는 제2 트랜잭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트랜잭션을 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단계-상기 제2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충돌의 상대 차량이 가입된 제2 보험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함-
    를 수행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은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을 포함함-;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차량의 번호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제1 트랜잭션에 포함됨-은 제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어 상기 공공기관에 보관되고,
    상기 제2 트랜잭션은,
    상기 제2 보험사로 수신된 상기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되는 상기 해시가 상기 제2 보험사에서 상기 공공기관으로 전송되고, 상기 공공기관에서 상기 해시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원본에 기초하여 계산된 인증 해시가 비교됨으로써 위조 및 변조 여부가 판단되고,
    상기 제2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는
    상기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상기 제1 모바일 단말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모바일 단말의 CTN을 포함함-의 조합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1 보험사.
KR1020190072727A 2019-06-19 2019-06-19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0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27A KR102407988B1 (ko) 2019-06-19 2019-06-19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27A KR102407988B1 (ko) 2019-06-19 2019-06-19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25A KR20200144725A (ko) 2020-12-30
KR102407988B1 true KR102407988B1 (ko) 2022-06-13

Family

ID=74088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27A KR102407988B1 (ko) 2019-06-19 2019-06-19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582A1 (ko) * 2022-09-29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02224A1 (en) 2020-09-29 2022-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st method of storage device implemented in multi-chip package (mc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mcp including the tes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6B1 (ko) * 2015-11-18 2016-02-01 주식회사 웨이브스트링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101880935B1 (ko) * 2018-03-07 2018-07-23 유비벨록스(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 검증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장치, 이에 의한 디지털 영상 생성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영상의 검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1059A (ko) * 2013-05-03 2014-11-12 이성훈 차량에서 전송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
KR20170123766A (ko) * 2016-04-29 2017-11-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중복 거래 방지 단말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중복 거래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6B1 (ko) * 2015-11-18 2016-02-01 주식회사 웨이브스트링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101880935B1 (ko) * 2018-03-07 2018-07-23 유비벨록스(주)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위변조 검증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장치, 이에 의한 디지털 영상 생성방법, 및 이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영상의 검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582A1 (ko) * 2022-09-29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725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13167B (zh) 一种智能终端的信息保护方法、系统以及可读存储介质
EP3814946B1 (e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blockchain-based recordkeeping
US11531661B2 (en) Vehicle incident documentation for blockchain
CA3058013C (en) Managing sensitive data elements in a blockchain network
EP3824403B1 (e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blockchain-based recordkeeping
US10958436B2 (en) Methods contract generator and validation server for access control of contract data in a distributed system with distributed consensus
CN114144781A (zh) 身份验证和管理系统
CN110795501A (zh) 基于区块链的可验证声明的创建方法、装置、设备及系统
CN111767578B (zh) 一种数据检验方法、装置及设备
EP3933624B1 (en) Blockchain-based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related hardware
CN108985569A (zh) 一种车辆风险评估方法、服务器
CN113472720B (zh) 数字证书密钥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0778452B2 (en) Blockchain ledger authentication
KR102407988B1 (ko)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조 및 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9818965B (zh) 个人身份验证装置及方法
CN114207613A (zh) 用于激励式入侵检测系统的技术
KR10235591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전자 데이터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186994A (zh) 一种数字货币钱包应用的使用方法、终端及系统
CN112906045A (zh) 一种手机盾访问记录存证和告警方法及计算机系统
US1187475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cyber inspection of connected and autonomous electrical vehicles using smart charging stations
CN112511510B (zh) 一种授权认证方法、系统、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953682A (zh) 银行云计算门户网站页面的防篡改方法、装置及相关产品
CN112507370A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电子证照核验方法
CN117829972A (zh) 银行数据处理方法和装置
Liu Improving the security and reliability of application systems with blockchai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