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580B1 -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580B1
KR102407580B1 KR1020150135281A KR20150135281A KR102407580B1 KR 102407580 B1 KR102407580 B1 KR 102407580B1 KR 1020150135281 A KR1020150135281 A KR 1020150135281A KR 20150135281 A KR20150135281 A KR 20150135281A KR 102407580 B1 KR102407580 B1 KR 102407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orifice
hole
circulation line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899A (ko
Inventor
이재민
김학규
이승호
이정재
강성호
최영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5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580B1/ko
Publication of KR2017003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냉매 방향에 따른 팽창 특성을 확실하게 구분이 가능하며 차량 진동에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이 개시된다. 양방향 오리피스는 냉매 유동 방향에 따라 냉매의 팽창 특성을 다르게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 수단이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BOTH DIRECTION ORIFICE AND HEAT PUMP SYSTEM FOR VEHICL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냉매 팽창 수단인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리피스(Orifice)는 유체를 분출시키는 홀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냉매의 교축 수단으로 작용한다. 오리피스는 크게 단방향 오리피스와 양방향 오리피스로 구분된다.
단방향 오리피스는 냉매가 일 방향으로만 유동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좌우 대칭인 오리피스 홀이 적용되기 때문에 냉매 방향에 따라 동일한 팽창 특성을 갖는다.
양방향 오리피스는 냉매가 양방향으로 유동하는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냉매 방향에 따라 팽창 특성이 상이하다. 이러한 양방향 오리피스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에 적용된다.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선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14호(2015.01.14)에 개시된바 있다.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하나의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공조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와, 공조케이스 외부에서 열교환하기 위한 실외 열교환기 및 냉매의 유동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방향조절밸브를 구비한다. 따라서, 방향조절밸브에 의한 냉매의 유동방향에 따라 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실내 열교환기가 냉방용 열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실내 열교환기가 난방용 열교환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시 양방향 오리피스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냉방시 양방향 오리피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양방향 오리피스(1)는 내부 유로 상에 내부 플러그(5)가 유동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내부 유로 상에는 격벽 부재 상에 중앙 홀(3)이 형성됨과 아울러, 외측면에 스파이럴 홈(7)이 형성되어 있다. 난방시, 내부 플러그(5)는 냉매의 정압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하고, 내부 플러그(5)가 중앙 홀(3)을 막아 냉매는 가장자리의 스파이럴 홈(7)을 통해 이동하여 팽창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양방향 오리피스(1)는 냉방시, 내부 플러그(5)가 냉매 정압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내부 플러그(5)가 중앙 홀(3)을 개방하여 냉매는 중앙 홀(3)을 통해 이동하여 팽창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양방향 오리피스는 냉매 흐름에 의해 형성되는 정압에 의해 움직이는 내부 플러그를 통해 냉매 이동 방향에 따른 2가지 팽창 특성을 갖는다.
상기 종래의 양방향 오리피스는 수평 설치 또는 수직 설치와 같이 제품 장착 방법에 따라 작동성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오리피스 내부를 움직이는 내부 플러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차량 주행 중 내부 플러그의 유동에 의해 공조가 작동하는 조건은 물론 공조가 작동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4714호(2015.01.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8623호(2013.07.10)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118710호(1993.05.14)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냉매 방향에 따른 팽창 특성을 확실하게 구분이 가능하며 차량 진동에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는 냉매 유동 방향에 따라 냉매의 팽창 특성을 다르게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 수단이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 순환라인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와,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냉매 순환라인을 유동하는 냉매를 교축하는 양방향 오리피스와,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냉매 순환라인을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와, 냉매 순환라인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순환라인과, 냉매순환라인을 유동하는 냉매와 냉각수 순환라인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쿨런트-냉매 열교환기와, 냉각수 순환라인에 설치되고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와 냉각수 순환라인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양방향 오리피스는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 수단이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판 스프링에 의해 냉매 방향에 따른 팽창 특성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내부 유로를 변경하거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내부 플러그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냉매 방향에 따른 팽창 특성을 확실하게 구분이 가능하며 차량 진동에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난방시 양방향 오리피스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냉방시 양방향 오리피스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냉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판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모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모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난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냉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판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의 판 스프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냉매 유동 방향에 따라 냉매의 팽창 특성을 다르게 형성한다.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한다. 탄성 수단은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및 판 스프링(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원통형 배관 부재의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배관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 부재로 막혀 있으며, 상기 격벽 부재에 제1 오리피스 홀(110) 및 제2 오리피스 홀(120)이 형성된다.
제1 오리피스 홀(110) 및 제2 오리피스 홀(120)은 모두 냉매의 유동 통로로서, 제2 오리피스 홀(120)은 제1 오리피스 홀(110)에 대해 이격 형성된다.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은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오리피스 홀은 한 쌍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오리피스 홀의 개수 및 그 형성 위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판 스프링(2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며, 자체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판 스프링(200)의 일 측은 배관 내부에 고정되며, 타 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 4를 참조하면, 판 스프링(200)의 상부는 배관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는 고정되지 않아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200)은 하부가 배관에 고정되고 상부가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 스프링(200)의 고정 부위는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이 이격된 방향,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하 방향 중 한 곳이어야 한다.
상기 판 스프링(200)은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서,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중 하나만을 개방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모두를 개방한다.
상기 판 스프링(200)은 제1 오리피스 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부(210)가 형성되며, 제2 오리피스 홀(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폐쇄부(230)가 형성된다. 개방부(210)는 판 스프링(200)의 두께 방향으로 양측을 관통 형성한 것이며, 제1 오리피스 홀(110)의 내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개방부(210)는 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그 밖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방부(210)는 판 스프링(200)의 고정 부위와 인접한 곳에 형성되고, 폐쇄부(230)는 판 스프링(200)의 고정 부위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위에 형성된다. 아울러, 판 스프링(200)은 개방부(210)의 외측 영역을 적어도 일부 절개한 절개부(220)를 구비한다. 절개부(220)는 냉매의 유동시 판 스프링(200)이 더욱 잘 변형되도록 하며, 판 스프링을 이루는 부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원가 절감에 유리하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난방 시, 냉매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하며, 판 스프링(200)은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힘을 받아 격벽 부재에 밀착된다. 이때, 개방부(210)와 마주하는 제1 오리피스 홀(110)은 개방되어 냉매는 제1 오리피스 홀(110)을 통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유동된다. 또한, 폐쇄부(230)와 마주하는 제2 오리피스 홀(120)은 폐쇄되어 냉매가 제2 오리피스 홀(120)을 통해서는 유동하지 못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냉방 시, 냉매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며, 판 스프링(200)은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힘을 받아 판 스프링의 고정된 부위의 반대 측이 격벽 부재로부터 떨어지며 굴곡 변형된다. 이때, 폐쇄부(230)와 마주하는 제2 오리피스 홀(120)이 개방되어 냉매는 제1 오리피스 홀(110) 및 제2 오리피스 홀(120)을 통해 유동한다.
결국,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판 스프링의 형상과 무관하게 항상 열려있는 오리피스 홀과 판 스프링의 움직임에 의해 개폐되는 오리피스 홀로 구성되어,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에서 서로 다른 냉매 유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에 의해 냉매 방향에 따른 팽창 특성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내부 유로를 변경하거나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내부 플러그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냉매 방향에 따른 팽창 특성을 확실하게 구분이 가능하며 차량 진동에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질 뿐 아니라 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냉방 모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난방 모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냉매 순환라인(313)과, 압축기(301)와, 실외 열교환기(311)와, 양방향 오리피스(100)와, 증발기(303)와, 냉각수 순환라인(315)과,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와, 히터코어(3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축기(301)는 냉매 순환라인(313)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냉매 유동 방향으로 압축기(301)의 상류 측에는 어큐뮬레이터(309)가 설치된다. 어큐뮬레이터(309)는 압축기(301)로 공급되는 냉매 중에서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여 압축기(301)로 기상 냉매만 공급되도록 한다. 실외 열교환기(311)는 공조케이스(323)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 순환라인(313)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냉매 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를 교축하는 것으로서, 실외 열교환기(311)와 증발기(303)의 사이에 배치된다. 증발기(303)는 공조케이스(323)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323) 내부의 공기와 냉매 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킨다.
냉각수 순환라인(315)은 엔진(325)을 통과하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통로로서,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냉매 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한다. 냉각수 순환라인(315) 상에는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워터 펌프(317)가 구비된다.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는 냉매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와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킨다. 히터코어(319)는 냉각수 순환라인(315)에 설치되고 공조케이스(3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조케이스(323) 내부의 공기와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킨다.
아울러, 공조케이스(323)의 내부에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303)와 히터코어(319)가 순차로 설치되고, 증발기(303)와 히터코어(319)의 사이에 온도조절도어(321)가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냉방 모드 시, 압축기(30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삼방향 밸브를 지나 실외 열교환기(311)에서 외기와 열교환 한 후 양방향 오리피스(100)를 지나 증발기(303)를 통과하면서 공조케이스(323)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한 후 삼방향 밸브와 어큐뮬레이터(309)를 지나 압축기(301)를 순환한다.
이와 동시에,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히터코어(319)를 지나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순환하며,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냉매 순환라인(313)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한다.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지난 냉각수는 엔진(325)을 지나 다시 히터코어(319)를 순환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난방 모드 시, 압축기(30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는 삼방향 밸브를 지나 증발기(303)를 통과하면서 공조케이스(323)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한 후 양방향 오리피스(100)를 지나고 이방향 밸브(305)를 지나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 지난 후 어큐뮬레이터(309)를 지나 압축기(301)를 순환한다.
이와 동시에,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는 히터코어(319)를 지나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순환하며,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냉매 순환라인(313)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한다.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지난 냉각수는 엔진(325)을 지나 다시 히터코어(319)를 순환한다.
난방 모드 시, 증발기(303)에서 냉매열이 방열되어 난방열로 작용하며,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를 통해 엔진(325)의 폐열을 회수하여 냉매의 기화 에너지로 사용한다.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한다. 탄성 수단은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한다.
상기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증발기를 이용하여 냉방 및 난방열을 공급함으로써 내연기관 차량과 공용화 가능하며, 저온 영역에서 외기온에 무관하게 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의 착상과 무관하게 작동이 가능하며, 하나의 팽창장치(양방향 오리피스:100)를 이용하여 공조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고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양방향 오리피스 110 : 제1 오리피스 홀
120 : 제2 오리피스 홀 200 : 판 스프링
210 : 개방부 220 : 절개부
230 : 폐쇄부
301 : 압축기 303 : 증발기
305 : 이방향 밸브 307 : 쿨런트-냉매 열교환기
309 : 어큐뮬레이터 311 : 실외 열교환기
313 : 냉매 순환라인 315 : 냉각수 순환라인
317 : 워터 펌프 319 : 히터코어
321 : 온도조절도어 323 : 공조케이스
325 : 엔진

Claims (7)

  1. 냉매 유동 방향에 따라 냉매의 팽창 특성을 다르게 형성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의 양방향 오리피스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 수단이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인 제1 오리피스 홀(110);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이격 형성되고, 냉매의 유동 통로인 제2 오리피스 홀(120); 및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서,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중 하나만을 개방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모두를 개방하는 판 스프링(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오리피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20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측이 배관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오리피스.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은 냉매의 유동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판 스프링(200)은 제1 오리피스 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개방부(210)가 형성되며, 제2 오리피스 홀(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폐쇄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오리피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210)는 판 스프링(200)의 고정 부위와 인접한 곳에 형성되고, 폐쇄부(230)는 판 스프링(200)의 고정 부위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오리피스.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200)은 개방부(210)의 외측 영역을 적어도 일부 절개한 절개부(2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오리피스.
  7. 냉매 순환라인(313)에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여 배출하는 압축기(301)와, 공조케이스(323)의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 순환라인(313)을 순환하는 냉매와 실외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311)와, 냉매 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를 교축하는 양방향 오리피스(100)와, 공조케이스(323)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323) 내부의 공기와 냉매 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303)와, 냉매 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순환라인(315)과, 냉매순환라인(313)을 유동하는 냉매와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쿨런트-냉매 열교환기(307)와, 냉각수 순환라인(315)에 설치되고 공조케이스(323)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조케이스(323) 내부의 공기와 냉각수 순환라인(315)을 유동하는 냉각수를 열교환시키는 히터코어(319)를 포함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이 있어서,
    상기 양방향 오리피스(100)는 내부에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이 이격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탄성 수단이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 중 일부를 폐쇄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다수개의 오리피스 홀을 모두 개방하며,
    냉매의 유동 통로인 제1 오리피스 홀(110);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이격 형성되고, 냉매의 유동 통로인 제2 오리피스 홀(120); 및 냉매의 유동력에 의해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서, 냉매의 일 방향 유동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중 하나만을 개방하고, 냉매의 타 방향 유동시 상기 제1 오리피스 홀(110)과 제2 오리피스 홀(120) 모두를 개방하는 판 스프링(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150135281A 2015-09-24 2015-09-24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407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81A KR102407580B1 (ko) 2015-09-24 2015-09-24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281A KR102407580B1 (ko) 2015-09-24 2015-09-24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899A KR20170036899A (ko) 2017-04-04
KR102407580B1 true KR102407580B1 (ko) 2022-06-14

Family

ID=5858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281A KR102407580B1 (ko) 2015-09-24 2015-09-24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58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8710A (ja) 1991-10-30 1993-05-14 Zexel Corp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のオリフイス構造
KR960011393A (ko) * 1994-09-10 1996-04-20 고상근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냉장고 내의 냉동부하 측정에 관한 기술
KR20130078623A (ko) 2011-12-30 2013-07-10 (주)아드반텍 양방향 오리피스 및 전기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484714B1 (ko) 2012-03-12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1715723B1 (ko) * 2013-04-23 2017-03-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899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69781B (zh) 空调
KR101526427B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20180087142A (ko) 차량의 열펌프 시스템용 밸브
US20180080676A1 (en) Air conditioner
US6691924B1 (en) Expansion valve having an internal bypass
CN106926665B (zh) 车辆空调设备及具有其的车辆
EP1959214B1 (en) Expansion valve mechanism
JP6476152B2 (ja) スライド式切換弁及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JP5687026B2 (ja) 三方弁および該三方弁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KR102541514B1 (ko) 히트펌프용 일체형 통합제어밸브
CN105004109A (zh) 六通阀及具有该六通阀的冷暖型空调器
US7451782B2 (en) Flow path control valve
KR101712069B1 (ko) 자동차용 히트펌프식 냉난방시스템
KR102407580B1 (ko) 양방향 오리피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JP6553539B2 (ja) 統合弁装置
US20190154270A1 (en) Heat pump apparatus for air renewal in domestic rooms and the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00073731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N111503730B (zh) 空调器和控制空调器的方法
US20090113906A1 (en) Air Damper Units With Improved Air Flow
KR20110055798A (ko) 냉매시스템
US20190128577A1 (en) Heat exchanger
KR102644750B1 (ko) 히트 펌프 사이클
KR10170366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64499B1 (ko) 공조장치의 팽창밸브
KR100882518B1 (ko) 공기조화기용 용량 가변 팽창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