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041B1 -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041B1
KR102407041B1 KR1020210181198A KR20210181198A KR102407041B1 KR 102407041 B1 KR102407041 B1 KR 102407041B1 KR 1020210181198 A KR1020210181198 A KR 1020210181198A KR 20210181198 A KR20210181198 A KR 20210181198A KR 102407041 B1 KR102407041 B1 KR 102407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unctional food
health functional
powd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경묵
홍성아
김은혜
김한솔
이남희
이수정
김현숙
이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버스골프
원경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버스골프, 원경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버스골프
Priority to KR1020210194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 B65D51/283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said element being a film or a foil ruptured by a sharp element, e.g. a cutter or a pier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의 건강기능식품과 고농축 파우더로 제작되는 건강기능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함께 담아 소비자가 두 주요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1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용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Powder And Liquid Fusion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의 건강기능식품과 고농축 파우더로 제작되는 건강기능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함께 담아 소비자가 두 주요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바쁜 일상에 식사를 거를 때가 종종 발생하고, 특히 아침 일찍 출근하는 학생이나 직장인들은 아침을 간단한 커피와 빵으로 대용하곤 한다.
또한, 장거리 여행자가 버스나 기차에서 식사를 하기가 마땅찮아 식사를 거르고 넘기는 경우도 빈번하며, 이를 위해서 기차역이나 정류장에서 판매하는 간식은 값이 비싸고, 영양이 부족한 것으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이때, 식사대용으로 각종곡물과 갈아서 영양곡물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경우가 있고, 즉석에서 물과 혼합하여 마시는 경우가 있는데, 물과 영양 곡물이 희석되는 것이 용이 하지 않아 장시간 흔들어야 하는 불편함과, 물에 영양곡물을 넣어야 잘 희석되는데, 영양곡물에 물을 넣으면 잘 희석 되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장기간 보관된 물과 영양곡물이 변질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독성으로 변하여도, 그 상태를 미리 소비자가 알 수가 없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6499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8520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액상의 건강기능식품과 고농축 파우더로 제작되는 건강기능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함께 담아 소비자가 두 주요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는, 제1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용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는,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과 다른 종류의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는 제2 용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은, 액상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는,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비타민C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는 제2 용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은, 액상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비타민C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이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과 혼합될 수 있도록 수용해 두었던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주는 제2 용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용기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용기캡; 및 상부가 상기 용기캡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측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하측을 지지 및 밀봉하고 있던 상기 용기캡의 하측면을 찢으면서 하강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두었던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주는 푸쉬형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캡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의 외측을 덮고 삽입되는 외관;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내측 나사산; 상기 외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측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면서 형성되는 밀폐막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하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형 용기는, 외경이 상기 내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며, 하측이 상기 차단막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측이 상기 내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관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하측으로 눌러줌에 따라 상기 차단막을 찍으면서 하부가 상기 내관의 하측으로 누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용 용기; 및 사용자가 상기 수용 용기를 누출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관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체결링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링 안착홈이 상기 체결링과 대향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은, 액상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비타민C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이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과 혼합될 수 있도록 수용해 두었던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주는 제2 용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용기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용기캡; 및 상부가 상기 용기캡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측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하측을 지지 및 밀봉하고 있던 상기 용기캡의 하측면을 찢으면서 하강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두었던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주는 푸쉬형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캡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의 외측을 덮고 삽입되는 외관;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내측 나사산; 상기 외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측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면서 형성되는 밀폐막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하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푸쉬형 용기는, 외경이 상기 내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며, 하측이 상기 차단막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측이 상기 내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관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하측으로 눌러줌에 따라 상기 차단막을 찍으면서 하부가 상기 내관의 하측으로 누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용 용기; 및 사용자가 상기 수용 용기를 누출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관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링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체결링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링 안착홈이 상기 체결링과 대향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용기부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 수납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수납함은,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용기부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부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용기부를 수납하며, 전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에 안착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함의 하부 일측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납함이 노출됨에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수납함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레일; 및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함의 하부 타측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납함이 노출됨에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수납함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 상측에 상기 수납함의 하부 일측이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롤러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홈;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후단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돌기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홈; 상기 제1 측면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으로 상기 제1 체결돌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전진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지지 실린더; 및 상기 제2 측면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으로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전진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지지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하측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롤러 바디;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1 지지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을 상승시켜 주는 제1 롤러 지지대; 및 상기 롤러 바디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2 지지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타측을 상승시켜 주는 제2 롤러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별로 용기에 담아서 휴대가 가능하고, 필요한 시간에 경구 섭취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섭취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제2 용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 용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제2 용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8의 제2 용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용기 수납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용기 수납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5의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6의 제1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6의 제1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6의 제1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롤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10)는, 제1 용기부(100)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100)는, 제1 건강 기능식품(P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측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110)와, 수용되어 있는 제1 건강 기능식품(P1)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게 위한 중간 막(120)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20)는, 제1 용기부(100) 및 제2 용기부(200)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100)는, 제1 건강 기능식품(P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2 용기부(200)는, 제1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1 건강 기능식품(P1)과 다른 종류의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수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30)는, 제1 용기부(100) 및 제2 용기부(200)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100)는, 제1 건강 기능식품(P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건강 기능식품(P1)은, 액상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용기부(200)는, 제1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비타민C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수용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40)는, 제1 용기부(10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부(200a)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100)는, 제1 건강 기능식품(P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건강 기능식품(P1)은, 액상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부(200a)는, 제1 용기부(100)의 상측 주둥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비타민C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제2 건강 기능식품(P2)이 제1 건강 기능식품(P1)과 혼합될 수 있도록 수용해 두었던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제1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준다.
도 9는 도 8의 제2 용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부(200a)는, 용기캡(210) 및 푸쉬형 용기(220)를 포함한다.
용기캡(210)은, 제1 용기부(100)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푸쉬형 용기(220)는, 상부가 용기캡(2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용기캡(210)의 내측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에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하측을 지지 및 밀봉하고 있던 용기캡(210)의 하측면을 찢으면서 하강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두었던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제1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준다.
도 11을 참조하면, 용기캡(210)은, 외관(211), 내측 나사산(212), 내관(213) 및 차단막(214)을 포함한다.
외관(211)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제1 용기부(100)의 상측 주둥이의 외측을 덮고 삽입된다.
내측 나사산(212)은, 제1 용기부(100)의 상측 주둥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관(211)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내관(213)은, 외관(211)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외관(211)의 내주면과 상측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면서 형성되는 밀폐막에 의해 지지되어 외관(211)의 내측에 설치된다.
차단막(214)은, 내관(213)의 하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푸쉬형 용기(220)는, 수용 용기(221) 및 누름판(222)을 포함한다.
수용 용기(221)는, 외경이 내관(213)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수용하며, 하측이 차단막(214)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측이 내관(213)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내관(213)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하측으로 눌러줌에 따라 차단막(214)을 찍으면서 하부가 내관(213)의 하측으로 누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경사면을 형성한다.
누름판(222)은, 사용자가 수용 용기(221)를 누출 수 있도록 수용 용기(221)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내관(213)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링(213a)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용 용기(221)는, 체결링(213a)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링 안착홈(221a)이 체결링(213a)과 대향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50)는, 제1 용기부(100) 및 제2 용기부(200)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100)는, 제1 건강 기능식품(P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건강 기능식품(P1)은, 액상의 콜라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용기부(200)는, 제1 용기부(100)의 상측 주둥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비타민C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제2 건강 기능식품(P2)이 제1 건강 기능식품(P1)과 혼합될 수 있도록 수용해 두었던 제2 건강 기능식품(P2)을 제1 용기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용기부(200)의 용기캡(210) 및 푸쉬형 용기(220)의 구성은 상술한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40)의 용기캡(210) 및 푸쉬형 용기(220)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50)는, 용기 수납함(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수납함(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용기부(100)를 보관한다.
도 14는 도 13의 용기 수납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용기 수납함(300)은, 케이스부(3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32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31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손잡이(S)를 구비한다.
수납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용기부(100)가 수납되며, 케이스부(310)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수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용기 수납함(300)은, 다수 개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보관 및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수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수납부(320)는, 수납함(321), 제1 레일(322) 및 제2 레일(323)을 포함한다.
수납함(321)은, 제1 용기부(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용기부(100)를 수납하며, 전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케이스부(310)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S)에 안착된다.
제1 레일(322)은, 수납 공간(S)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수납함(321)의 하부 일측이 설치되며, 수납 공간(S)으로부터 수납함(321)이 노출됨에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수납함(321)의 일측을 지지한다.
제2 레일(323)은, 수납 공간(S)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수납함(321)의 하부 타측이 설치되며, 으로부터 수납함(321)이 노출됨에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수납함(321)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납부(32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321)을 다단으로 수납 및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수납 및 분리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20은 도 16의 제1 레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레일(322)은, 제1 슬라이더(3221), 제2 슬라이딩홈(3222), 제2 슬라이더(3223), 롤러부(3224), 제1 측면홈(3225), 제2 측면홈(3226), 제1 지지 실린더(3227) 및 제2 지지 실린더(322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레일(323)은, 제1 레일(322)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레일(322)의 제1 슬라이더(3221), 제2 슬라이딩홈(3222), 제2 슬라이더(3223), 롤러부(3224), 제1 측면홈(3225), 제2 측면홈(3226), 제1 지지 실린더(3227) 및 제2 지지 실린더(3228)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슬라이더(3221)는, 수납 공간(S)의 하부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B)을 따라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슬라이딩홈(3222)은, 제1 슬라이더(3221)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슬라이더(3223)는, 제2 슬라이딩홈(3222)을 따라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 상측에 수납함(321)의 하부 일측이 설치된다.
롤러부(3224)는, 제2 슬라이딩홈(3222)에 안착되는 제2 슬라이더(3223)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딩홈(3222)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제1 측면홈(3225)은, 제2 슬라이더(3223)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L1)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2 슬라이딩홈(3222)으로부터 제2 슬라이더(322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딩홈(3222)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측면홈(3226)은, 제2 슬라이더(3223)의 후단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돌기(L2)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제2 슬라이딩홈(3222)으로부터 제2 슬라이더(3223)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슬라이딩홈(3222)의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1 지지 실린더(3227)는, 제1 측면홈(3225)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으로 제1 체결돌기(L1)를 지지하며, 제1 체결돌기(L1)가 전진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 또는 오일 등의 유체를 제1 롤러 지지대(32242)로 공급한다.
제2 지지 실린더(3228)는, 제2 측면홈(3226)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으로 제2 체결돌기(L2)를 지지하며, 제2 체결돌기(L2)가 전진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공기 또는 오일 등의 유체를 제2 롤러 지지대(32243)로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레일(322)은, 수납함(321)을 다단으로 이동시켜 줄 수 있다.
도 23은 도 22의 롤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롤러부(3224)는, 롤러 바디(32241), 제1 롤러 지지대(32242) 및 제2 롤러 지지대(32243)를 포함한다.
롤러 바디(32241)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슬라이더(3223)의 하측을 회전하면서 지지한다.
제1 롤러 지지대(32242)는, 롤러 바디(32241)의 일측을 지지하되, 제1 지지 실린더(3227)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롤러 바디(32241)의 일측을 상승시켜 준다.
제2 롤러 지지대(32243)는, 롤러 바디(32241)의 타측을 지지하되, 제2 지지 실린더(3228)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롤러 바디(32241)의 타측을 상승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롤러부(3224)는, 제2 슬라이더(3223)이 전진함에 따라 유체를 공급받는 제1 롤러 지지대(32242) 및 제2 롤러 지지대(32243)에 의해 롤러 바디(32241)를 상승시켜 제2 슬라이더(3223)의 전진을 저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무리한 힘으로 제2 슬라이더(3223)를 잡아 당길 시 수용되어 있는 용기들이 흔들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40, 50: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100: 제1 용기부
200: 제2 용기부
210: 용기캡
211: 외관
212: 내측 나사산
213: 내관
214: 차단막
220: 푸쉬형 용기
221: 수용 용기
222: 누름판
300: 용기 수납함
310: 케이스부
320: 수납부
321: 수납함
322: 제1 레일
3221: 제1 슬라이더
3222: 제2 슬라이딩홈
3223: 제2 슬라이더
3224: 롤러부
32241: 롤러 바디
32242: 제1 롤러 지지대
32243: 제2 롤러 지지대
3225: 제1 측면홈
3226: 제2 측면홈
3227: 제1 지지 실린
3228: 제2 지지 실린더
323: 제2 레일

Claims (5)

  1. 제1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용기부;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는 제2 용기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용기부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 수납함;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수납함은,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측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케이스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용기부가 수납되며, 상기 케이스부에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부를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용기부를 수납하며, 전단에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케이스부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에 안착되는 수납함;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함의 하부 일측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납함이 노출됨에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수납함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레일; 및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함의 하부 타측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상기 수납함이 노출됨에 따라 전후 길이 방향으로 다단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수납함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수납 공간의 하부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 상측에 상기 수납함의 하부 일측이 설치되는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롤러부;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후단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일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측면홈;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후단 타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체결돌기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슬라이딩홈으로부터 상기 제2 슬라이더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슬라이딩홈의 타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측면홈;
    상기 제1 측면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으로 상기 제1 체결돌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체결돌기가 전진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지지 실린더; 및
    상기 제2 측면홈의 전단에 설치되어 후단으로 상기 제2 체결돌기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체결돌기가 전진함에 따라 수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지지 실린더;를 포함하는,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은,
    액상의 기능식품으로 이루어지는,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이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과 혼합될 수 있도록 수용해 두었던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주는 제2 용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용기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개구부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용기캡; 및
    상부가 상기 용기캡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용기캡의 내측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해 두며, 사용자가 상측을 누르면 하측을 지지 및 밀봉하고 있던 상기 용기캡의 하측면을 찢으면서 하강하여 내부 공간에 수용해 두었던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상기 제1 용기부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시켜 주는 푸쉬형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캡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의 외측을 덮고 삽입되는 외관;
    상기 제1 용기부의 상측 주둥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외관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내측 나사산;
    상기 외관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관의 내주면과 상측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면서 형성되는 밀폐막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관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관; 및
    상기 내관의 하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며,
    상기 푸쉬형 용기는,
    외경이 상기 내관의 내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제2 건강 기능식품을 수용하며, 하측이 상기 차단막의 상측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측이 상기 내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내관의 내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하측으로 눌러줌에 따라 상기 차단막을 찍으면서 하부가 상기 내관의 하측으로 누출될 수 있도록 하부가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용 용기; 및
    사용자가 상기 수용 용기를 누출 수 있도록 상기 수용 용기의 상측 개구부를 밀폐하면서 설치되는 누름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관은,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링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용기는,
    상기 체결링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링 안착홈이 상기 체결링과 대향하면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강 기능식품과 혼합될 제2 건강 기능식품은,
    고농축 파우더로 이루어지는,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하측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롤러 바디;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1 지지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일측을 상승시켜 주는 제1 롤러 지지대; 및
    상기 롤러 바디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2 지지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상기 롤러 바디의 타측을 상승시켜 주는 제2 롤러 지지대;를 포함하는,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KR1020210181198A 2021-12-02 2021-12-17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KR102407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561A KR102407047B1 (ko) 2021-12-02 2021-12-31 혼합섭취를 돕는 다층구조 식품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18 2021-12-02
KR20210170918 2021-12-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61A Division KR102407047B1 (ko) 2021-12-02 2021-12-31 혼합섭취를 돕는 다층구조 식품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041B1 true KR102407041B1 (ko) 2022-06-13

Family

ID=819842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198A KR102407041B1 (ko) 2021-12-02 2021-12-17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KR1020210194561A KR102407047B1 (ko) 2021-12-02 2021-12-31 혼합섭취를 돕는 다층구조 식품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61A KR102407047B1 (ko) 2021-12-02 2021-12-31 혼합섭취를 돕는 다층구조 식품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070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8135A1 (en) * 2004-11-23 2006-05-25 Cho Young K Cap allowing addition of adjunct into a container
KR100985208B1 (ko) 2008-03-14 2010-10-05 김의환 건강식품을 탑재시킨 용기의 기능성 뚜껑
KR20200119051A (ko) * 2019-04-09 2020-10-19 김기호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210064991A (ko) 2019-11-26 2021-06-03 엄재풍 인체에 필요한 영양요소 및 곡물과 건강보조식품, 물통이 구비된 비상 간식 및 성인병 예방을 위한 곡물채소류와 물, 건강보조식품을 혼합하기위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8135A1 (en) * 2004-11-23 2006-05-25 Cho Young K Cap allowing addition of adjunct into a container
KR100985208B1 (ko) 2008-03-14 2010-10-05 김의환 건강식품을 탑재시킨 용기의 기능성 뚜껑
KR20200119051A (ko) * 2019-04-09 2020-10-19 김기호 이액형 화장품 용기
KR20210064991A (ko) 2019-11-26 2021-06-03 엄재풍 인체에 필요한 영양요소 및 곡물과 건강보조식품, 물통이 구비된 비상 간식 및 성인병 예방을 위한 곡물채소류와 물, 건강보조식품을 혼합하기위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047B1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796A (en) Dual insulated container
US9856053B2 (en) Detachable storage container for a drinks container
CN103129824A (zh) 能够排气的饮料容器封闭件
KR101916400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PL1541496T3 (pl) Pojemnik do dozowania odrębnych produktów
KR102407041B1 (ko) 파우더 및 액상의 융복합 건강기능식품 용기
KR101503798B1 (ko) 액상과 고체제의 분리 저장 및 동시 음용이 가능한 용기
US20090308873A1 (en) Storage Container Having Two-Compartment Structure
CN204192208U (zh) 储物药盒水杯
KR20140095987A (ko) 분할형 음료용기
CN204872180U (zh) 抽拉式三腔烟盒
JP3226268U (ja) ボトル
KR101780997B1 (ko) 텀블러
US20150210462A1 (en) Combined medicament and beverage container
CN209499352U (zh) 一种可单手开启闭合杯盖的杯子
CN201870335U (zh) 多用途分隔杯
CN212606883U (zh) 一种方便面的包装结构
CN205321977U (zh) 多功能杯子
CN109820392B (zh) 一种可转换调节的保温杯
US9278794B2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CN211431437U (zh) 一种双腔体化妆盒
CN209290950U (zh) 折叠水瓶
CN209595404U (zh) 一种水杯
KR20170139184A (ko) 방수 블루투스 스피커를 겸비한 휴대용 목욕용품 케이스
EP1431201A1 (en) Single-piece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food products to be directly consum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