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568B1 -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568B1
KR102406568B1 KR1020200189399A KR20200189399A KR102406568B1 KR 102406568 B1 KR102406568 B1 KR 102406568B1 KR 1020200189399 A KR1020200189399 A KR 1020200189399A KR 20200189399 A KR20200189399 A KR 20200189399A KR 102406568 B1 KR102406568 B1 KR 10240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haft
support hole
locking shaft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회
진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드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드론
Priority to KR1020200189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회전지지공(1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회전지지공(111)에 삽입되어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121)이 형성된 록킹축(120); 상기 록킹축(120)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화물투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 및 하부에는 화물(300)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축지지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공(141)의 상부에는 축지지공(141)의 직경(D3)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D4)으로 상향 개구된 축이탈홈(142)이 축지지공(1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탈홈(142)을 통해 록킹축(120)이 선택적으로 이탈되면서 자중에 의해 화물(300)과 함께 투하되는 투하프레임(140);을 포함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CARGO DROPPING APPARATUS FOR CARGO TRANSPORTATION DRONE}
본 발명은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운반 드론에 설치되어 운반대상인 화물이 화물운반 드론에 장착되도록 록킹하거나 장착된 화물이 화물운반 드론으로부터 분리 및 투하되도록 언록킹하는데 이용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화물운반 드론에는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도록 드론의 몸체에 화물을 고정시키고 목적지에 도착해서는 고정된 화물을 분리시켜 투하하기 위한 화물투하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2140396호 '드론용 구명튜브 투하장치'가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개구부(11,21)가 형성된 상판(10) 및 하판(20)과, 상판개구부(11)의 테두리에 환상으로 다수 설치된 하판설치부재(40)와, 상판(10)에 형성된 다수의 구명튜브설치공(12)과, 구명튜브설치공(12)에 각각 설치된 걸쇠(30)와, 하판(20)의 상면에 형성된 투하봉(22)과, 하판(20)의 하면에 원형으로 형성된 링기어(23)와, 링기어(23)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24)와, 상부에 형성된 힌지(51)에 의해 걸쇠(30)에 장착되는 구명튜브(50)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모터를 구동하여 피니언기어(24)를 회전하고 피니언기어(24)에 맞물린 링기어(23)가 움직이면 하판(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쇠(30)가 힌지(51) 밖으로 이탈하면서 투하동작되는 것과 같이 작동 매커니즘이 복잡하고 부피와 중량이 커서 드론의 배터리 전력을 과도하게 소비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과중하게 하며 동작신뢰성이 낮아 투하시점에 투하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40396호(2020.07.27), 드론용 구명튜브 투하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 매커니즘 및 구조가 간소하고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여 드론의 배터리 전력을 대폭 절약할 수 있고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며 동작신뢰성을 극대화하여 적시에 화물을 투하시킬 수 있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를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회전지지공(1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회전지지공(111)에 삽입되어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121)이 형성된 록킹축(120); 상기 록킹축(120)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화물투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 및 하부에는 화물(300)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축지지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공(141)의 상부에는 축지지공(141)의 직경(D3)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D4)으로 상향 개구된 축이탈홈(142)이 축지지공(1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탈홈(142)을 통해 록킹축(120)이 선택적으로 이탈되면서 자중에 의해 화물(300)과 함께 투하되는 투하프레임(140);을 포함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록킹축(120)은 둘레면상에서 축중심을 기준을 대향하는 두 위치에 상호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면(1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두 위치 사이의 직경(D1)은 두 절개면(121) 사이의 직경(D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축지지공(141)은 상기 직경(D1)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D3)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이탈홈(142)의 폭(D4)은 상기 직경(D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면서 상기 직경(D1)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록킹축(120)의 둘레면 상에서 두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직경(D2)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두 절개면(121)이 형성된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지 않아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부는 상기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 저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고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되며 하단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턱(152)이 내향 돌출된 슬라이딩홈(151)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부에 상기 단턱(152)에 지지되도록 슬라이딩홈(151)에 측방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럭(1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50)을 통해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베이스프레임(110)은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회전지지공(111)이 형성되고, 록킹축(120)은 회전지지공(111)에 삽입되어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121)이 형성되며, 구동모터(130)는 록킹축(120)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화물투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투하프레임(140)은 하부에 화물(300)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축지지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공(141)의 상부에는 축지지공(141)의 직경(D3)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D4)으로 상향 개구된 축이탈홈(142)이 축지지공(1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탈홈(142)을 통해 록킹축(120)이 선택적으로 이탈되면서 자중에 의해 화물(300)과 함께 투하되는 것과 같이, 작동 매커니즘 및 구조가 간소하고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여 드론의 배터리 전력을 대폭 절약할 수 있고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며 동작신뢰성을 극대화하여 적시에 화물을 투하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록킹축(120)은 둘레면상에서 축중심을 기준을 대향하는 두 위치에 상호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면(1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두 위치 사이의 직경(D1)은 두 절개면(121) 사이의 직경(D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축지지공(141)은 상기 직경(D1)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D3)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이탈홈(142)의 폭(D4)은 상기 직경(D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면서 상기 직경(D1)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록킹축(120)의 둘레면 상에서 두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직경(D2)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두 절개면(121)이 형성된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지 않아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록킹축(120)을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록킹 및 언록킹 상태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작신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고정프레임(150)은 상부가 상기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 저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고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되며 하단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턱(152)이 내향 돌출된 슬라이딩홈(15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부에 상기 단턱(152)에 지지되도록 슬라이딩홈(151)에 측방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럭(1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50)을 통해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베이스프레임(110)이 드론(200)의 몸체(210)에 직결된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유지보수가 빈번한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100)를 드론 몸체(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으며 탈착 작업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가 드론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하프레임이 록킹축에 장착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하프레임이 록킹축에 고정되도록 록킹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록킹축에 고정된 투하프레임이 언록킹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투하프레임이 언록킹되면서 투하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이 고정프레임을 통해 드론의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론용 화물투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운반 드론(200)에 설치되어 운반대상인 화물이 화물운반 드론(200)에 장착되도록 록킹하거나 장착된 화물이 화물운반 드론(200)으로부터 분리 및 투하되도록 언록킹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 록킹축(120), 구동모터(130) 및 투하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록킹축(120), 구동모터(130) 및 투하프레임(140)이 장착될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에 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회전지지공(1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두 개의 회전지지공(111)이 측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삽입되는 록킹축(120)의 양측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의 회전지지공(111)이 배치될 수도 있고, 회전지지공(111)과 록킹축(120) 사이에는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축(120)은 투하프레임(140)을 베이스프레임(1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축부재로서, 상기 회전지지공(111)에 삽입되어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121)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록킹축(1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수단으로서, 상기 록킹축(120)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화물투하 제어신호에 따라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30)로 회전각 및 회전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서보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축부에는 나사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축(120)의 단부에는 구동모터(130)의 나사공(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122)이 형성되어 두 나사공(131,122)에 연속 삽입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장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130)의 바디에는 나사공(133)이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110) 상에서 구동모터(130)의 나사공(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115)이 형성되어 두 나사공(133,115)에 연속 삽입되는 체결나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30)는 화물운반 드론(200)의 회로부(미도시)로부터 화물투하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회로부와의 회로연결을 위한 신호선(132)이 구비된다.
상기 투하프레임(140)은 화물(300)이 화물운반 드론(2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화물(300)에 결합되는 프레임 구조물로서, 하부에는 화물(300)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축지지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공(141)의 상부에는 축지지공(141)의 직경(D3)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D4)으로 상향 개구된 축이탈홈(142)이 축지지공(1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축(120)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탈홈(142)을 통해 록킹축(120)이 선택적으로 이탈되면서 자중에 의해 화물(300)과 함께 투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하프레임(140)의 하단 둘레에는 하향 개구된 나사공(143)이 형성되어 이 나사공(143)을 통해 회전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통해 투하프레임(140)을 화물(300)에 견고하게 고정장착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축(120)은 둘레면상에서 축중심을 기준을 대향하는 두 위치에 상호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면(1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두 위치 사이의 직경(D1)은 두 절개면(121) 사이의 직경(D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지지공(141)은 상기 직경(D1)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D3)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이탈홈(142)의 폭(D4)은 상기 직경(D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경(D1)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록킹축(120)의 둘레면 상에서 두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축(120)이 90도 더 수평축 회전하면 상기 직경(D2)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두 절개면(121)이 형성된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지 않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축(120)을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록킹 및 언록킹 상태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작신뢰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프레임(110), 록킹축(120), 구동모터(130) 및 투하프레임(14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작동 매커니즘 및 구조가 간소하고 부피 및 중량을 최소화하여 드론의 배터리 전력을 대폭 절약할 수 있고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며 동작신뢰성을 극대화하여 적시에 화물을 투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100)는 베이스프레임(110)을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프레임(150)은 상부가 상기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 저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고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되며 하단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턱(152)이 내향 돌출된 슬라이딩홈(151)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부에 상기 단턱(152)에 지지되도록 슬라이딩홈(151)에 측방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럭(1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50)을 통해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150)과 슬라이딩블럭(112)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공(154,114)이 형성되어 두 나사공(154,114)에 연속 삽입되는 체결나사(155)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50)의 슬라이딩홈(151)에 삽입된 슬라이딩블럭(112)이 고정프레임(150) 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150)의 상부에는 나사공(153)이 상향 개구되어 이 나사공(153)을 통해 체결나사로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견고하게 고정프레임(1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150)을 통해 베이스프레임(110)을 착탈 가능하게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장착할 수 있어,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이 드론(200)의 몸체(210)에 직결된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유지보수가 빈번한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100)를 드론 몸체(2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장착할 수 있으며 탈착 작업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110...베이스프레임 111...회전지지공
112...절개면 120...록킹축
121...절개면 130...구동모터
140...투하프레임 141...축지지공
142...축이탈홈 150...고정프레임
200...화물운반 드론 300...화물

Claims (3)

  1.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에 장착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회전지지공(111)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10);
    상기 회전지지공(111)에 삽입되어 수평축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둘레면에는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절개면(121)이 형성된 록킹축(120);
    상기 록킹축(120)의 단부에 축결합되어 입력되는 화물투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30); 및
    하부에는 화물(300)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하게 삽입되는 축지지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축지지공(141)의 상부에는 축지지공(141)의 직경(D3)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폭(D4)으로 상향 개구된 축이탈홈(142)이 축지지공(14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의 수평축 회전에 따라 상기 축이탈홈(142)을 통해 록킹축(120)이 선택적으로 이탈되면서 자중에 의해 화물(300)과 함께 투하되는 투하프레임(140);을 포함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축(120)은 둘레면상에서 축중심을 기준을 대향하는 두 위치에 상호 평행하게 절개된 절개면(1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으면서 상기 축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두 위치 사이의 직경(D1)은 두 절개면(121) 사이의 직경(D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상기 축지지공(141)은 상기 직경(D1)과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D3)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이탈홈(142)의 폭(D4)은 상기 직경(D2)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축(120)이 수평축 회전하면서 상기 직경(D1)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록킹축(120)의 둘레면 상에서 두 절개면(121)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어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직경(D2)이 수평하도록 배치되면 두 절개면(121)이 형성된 부위가 상기 축지지공(141)의 내주면에 지지되지 않아 록킹축(120)이 축지지공(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는 상기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 저면에 고정되도록 체결되고 하부에는 측방으로 개구되며 하단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턱(152)이 내향 돌출된 슬라이딩홈(151)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상부에 상기 단턱(152)에 지지되도록 슬라이딩홈(151)에 측방 삽입되는 슬라이딩블럭(11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프레임(150)을 통해 화물운반 드론(200)의 몸체(21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KR1020200189399A 2020-12-31 2020-12-31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KR10240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399A KR102406568B1 (ko) 2020-12-31 2020-12-31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399A KR102406568B1 (ko) 2020-12-31 2020-12-31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568B1 true KR102406568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399A KR102406568B1 (ko) 2020-12-31 2020-12-31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5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30B1 (ko) * 2015-10-20 2017-02-15 씨제이대한통운 (주) 비행유닛 기반 화물낙하장치 및 시스템
KR20170123383A (ko) * 2016-04-28 2017-11-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배용 드론 탈부착형 운반장치
KR20180051754A (ko) * 2016-11-09 2018-05-17 강준모 비상 통신을 위한 메시지 전달용 드론
KR102140396B1 (ko) 2019-04-05 2020-07-31 박주현 드론용 구명튜브 투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30B1 (ko) * 2015-10-20 2017-02-15 씨제이대한통운 (주) 비행유닛 기반 화물낙하장치 및 시스템
KR20170123383A (ko) * 2016-04-28 2017-11-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택배용 드론 탈부착형 운반장치
KR20180051754A (ko) * 2016-11-09 2018-05-17 강준모 비상 통신을 위한 메시지 전달용 드론
KR102140396B1 (ko) 2019-04-05 2020-07-31 박주현 드론용 구명튜브 투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568B1 (ko) 화물운반 드론용 화물투하장치
EP2664525A1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20100133372A1 (en) Portable winch assembly actuated by auxiliary handheld torquing device
CN104684822A (zh) 锁紧装置
WO1999007600A1 (en) Emergency exit system
CN111279547B (zh) 天线支架、天线组件及可移动平台
WO2018194728A1 (en) Aircraft plug door with in-plane load transfer capacity and methods of use
KR0135968B1 (ko) 좌향 당김문 및 우향 당김문 겸용 도어로크 핸들장치
CN108100258B (zh) 用于货运飞行器中的货盘的防振动装置
US5833217A (en) Detachable two-handed crank handle for nautical winch
WO2014048148A1 (zh) 一种硬开顶集装箱
JP2009107719A (ja) コンテナ、パレット、コンテナ装置、コンテナドーリ、貨物輸送方法
CN101875466A (zh) 一种电梯轿厢吊顶
US7441748B2 (en) Hoisting and pulling device
KR101987891B1 (ko) 스프링 리턴 타입 액추에이터
US10081976B2 (en) Double hinged access panel for aircraft
JPH03161379A (ja) プリンタの駆動力伝達装置
WO2018051401A1 (ja) 電動スライダー及び電動スライドファスナーシステム
CN220151129U (zh) 门铰链轴体
CN219406105U (zh) 无人车的风窗组件和无人车
KR102261915B1 (ko) 무인비행체의 적재함 체결장치
JP4129776B2 (ja) トレーラ
CN220130941U (zh) 一种用于集装箱的加强稳定结构
CN221191451U (zh) 一种定向调节装置
CN212332477U (zh) 车载冰箱及开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