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559B1 -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559B1
KR102406559B1 KR1020200101637A KR20200101637A KR102406559B1 KR 102406559 B1 KR102406559 B1 KR 102406559B1 KR 1020200101637 A KR1020200101637 A KR 1020200101637A KR 20200101637 A KR20200101637 A KR 20200101637A KR 102406559 B1 KR102406559 B1 KR 10240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ncrete
cover
hollow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161A (en
Inventor
권순웅
권일
Original Assignee
권순웅
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웅, 권일 filed Critical 권순웅
Priority to KR102020010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559B1/en
Publication of KR20220021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1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슬래브의 복수 개 리브 사이에 형성된 중공을 덮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단 각각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래브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는 수직부;를 포함한다.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covering the hollow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of the slab; and vertical portion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inserted into connection groov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la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escription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슬래브{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슬래브로서, 프리캐스팅된 슬래브에서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슬래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and a slab including the same, and to a cover in a precast slab and a slab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층고가 높은 창고구조물, 물류창고와 같은 건축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많은 하중을 견디는 PC부재, 즉 프리캐스팅된 부재가 요구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such as a warehouse structure with a high floor height or a distribution warehouse, a PC member that can withstand a lot of load, that is, a precast member is required.

공장에서 제작한 PC 기둥, PC 보, PC 슬래브 등 PC 부재를 현장으로 운송, 양중하여 조립한 후 부재 간의 접합부와 PC 슬래브의 상부에 토핑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일체화시킨다.PC members such as PC columns, PC beams, and PC slabs manufactured in the factory are transported to the site, lifted, and assembled, and then topping concrete is poured on the site and integrated on the junction between the members and the upper part of the PC slab.

한편, 슬래브에 있어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자중을 줄이면서 하중은 충분히 받칠 수 있도록 RPS(Rib-plus Precast concrete Slab)공법으로 제조된 리브를 가진 슬래브가 활용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deflection in the slab, a slab with ribs manufactured by the RPS (Rib-plus Precast concrete Slab) method is used so that the load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while reducing its own weight.

그런데, 이러한 슬래브의 내부에는 리브 형성을 위해 사용된 스티로폼이 내장됨으로써, 슬래브에서의 천공 및 용접작업 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심각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tyrofoam used for forming the ribs is embedded in the slab,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fire occurs during drilling and welding in the slab, resulting in serious personal injur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1900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119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재에 취약하지 않도록 스티로폼이 내장되지 않는 슬래브 및 이에 포함된 커버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ab in which Styrofoam is not embedded and a cover included therein so as not to be vulnerable to fi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슬래브의 복수 개 리브 사이에 형성된 중공을 덮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연결고정된 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의 양단 각각에서 종방향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가 중공을 덮은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슬래브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요철구조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covering the hollow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of the slab; and connect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art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art as a structu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horizontal part, and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without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part covers the hollow It includes a vertical portion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is made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여기에서, 상기 수평부는 양측 테두리부가 양측의 상기 리브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부보다 폭이 클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portion may be wider than the vertical portion so that both edge portion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ibs on both si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mbodiment,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이때,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기 돌기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may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외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된 융기라인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융기라인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raised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the raised line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상기 수직부는 일례로서 상기 수평부와 일체형으로서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방절곡되어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portion as an example and integral with the horizontal portion may take a structure that is bent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extended.

또한, 상기 수직부는 다른 일례로서 상기 수평부에 리벳결합되어 연결된 투피스 구조를 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vertical portion may take a two-piece structure connected by riveting to the horizontal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및 건축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의 타설 시 콘크리트가 복수 개의 상기 리브 사이의 중공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중공을 덮는 상술된 커버;를 포함하는 슬래브가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the above-mentioned cover covering the hollow so as to block the concrete from entering the hollow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when pouring the topping concrete at the construction site; a slab including a slab may be provided.

여기에서, 상기 바닥부 및 리브는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Here, the bottom portion and the rib may be formed by one-time concrete pouring.

또한, 상기 중공은 상기 바닥부 및 리브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된 몰드가 탈거되어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low may be an empty space formed by removing the mold disposed before the concrete pouring of the floor and ribs.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장치는 중공을 가진 슬래브를 제조하도록 장치프레임의 하부에 몰드가 연결되고 상부에 진동모터가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중공을 가진 슬래브를 제조하면서 아울러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여서 내구성이 우수한 슬래브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한 슬래브 제조방법은 몰드 배치단계, 콘크리트 타설단계, 몰드 탈거단계, 및 커버단계로 구성됨으로써, 몰드가 탈거된 공간인 중공을 가진 슬래브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ld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pparatus frame and a vibration motor is configured in the upper part to manufacture a slab having a hollow, so that a slab having a hollow inside is manufactured while also increasing the density of concrete. can be produced, and the slab manufacturing method by such a manufacturing device is composed of a mold placing step, a concrete pouring step, a mold removing step, and a cover step, so that a hollow slab that is a space from which the mold is removed can be smoothly and easily manufactured. have a possible effect.

또한, 상술된 슬래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슬래브는 내부에 스티로폼이 존재하지 않고 중공이 구성됨으로써, 스티로폼에 의한 화재를 막을 수 있어서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 특히 심각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In addition, the slab manufactured by the above-described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does not contain Styrofoam and is hollow,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caused by Styrofoam. have an advantage

나아가, 본 발명의 슬래브는 바닥부와 복수 개의 리브가 복수번의 타설이 아닌 한번의 타설로 이루어짐으로써, 콜드조인트가 없는 구조적으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기존의 슬래브에서 스티로폼의 부력 등 스티로폼에 의한 여러가지 설계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설계치수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Furthermore, the slab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structurally excellent durability without a cold joint because the bottom and a plurality of ribs are poured once instead of a plurality of tim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ave accurate design dimensions with few design errors.

그리고, 본 발명의 슬래그에 포함된 커버는 슬래그의 중공을 덮도록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시 중공에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아울러 커버의 착탈이 원활함에 따라 슬래브 제품의 내부 상태, 즉 커버의 개방 시 중공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커버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됨으로써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 타설 시 토핑 콘크리트의 접합(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nd, the cover included in the sl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hollow of the slag, so tha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concrete into the hollow during concrete pouring. Concrete pouring status can be visually confirmed through the hollow when opening of the cover, and furthermore,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the cover,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adhesive) force of the topping concrete when pouring the topping concrete in the field.

도 1은 프리캐스팅된 슬래브가 포함된 건축물이다.
도 2는 도 1의 건축물에서 보에 슬래브가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RPS공법으로 제조된 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건축물 화재로 인하여 도 3의 슬래브 바닥부가 붕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슬래브 바닥부 붕괴 이후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슬래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는 도 3의 슬래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은 와이어매쉬의 배근, 도 8은 강연선의 인입, 도 9는 철근의 배근, 도 10은 바닥부 콘크리트의 타설, 도 11은 스티로폼의 매입, 도 12는 리브 및 상부마감부 콘크리트의 타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의 슬래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a)는 와이어매쉬, 강연선, 및 철근의 배근, 도 13(b)는 바닥부 콘크리트의 타설, 도 13(c)는 스티로폼의 매입, 도 13(d)는 리브 및 상부마감부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6의 슬래브가 현장에 설치된 후 현장에서 추가로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가 현장에 설치된 후 현장에서 추가로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의 슬래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슬래브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슬래브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일체형 커버가 다른 일례로서 조립형 커버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일체형 커버가 다른 일례로서 조립형 커버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도 16의 슬래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3(a)는 와이어매쉬, 강연선, 및 철근의 배근, 도 23(b)은 몰드와 진동모터를 가진 슬래브 제조장치의 배치, 도 23(c)은 바닥부 및 리브 콘크리트의 타설, 도 23(d)은 몰드의 탈거 및 커버의 설치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슬래브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structure including a precast slab.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slab is seated on the beam in the building of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ab manufactured by the RPS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4 is a view showing the collapse of the slab floor of FIG. 3 due to a building fire.
5 is a view showing the generation of toxic gas after the collapse of the bottom of the slab of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ab of FIG.
7 to 12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of Fig. 3, Fig. 7 is the reinforcement of the wire mesh, Fig. 8 is the inlet of the stranded wire, Fig. 9 is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and Fig. 10 is the pouring of the floor concrete; 11 is a view showing the embedding of Styrofoam,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pouring of the rib and the upper finished part concrete.
13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of FIG. 6 , FIG. 13 (a) is the reinforcement of wire mesh, stranded wire, and reinforcing bars, FIG. 13 (b) is the pouring of floor concrete, and FIG. 13 (c) is Styrofoam embedding, FIG. 13(d)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ribs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concrete are poured.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topping concrete is additionally poured at the site after the slab of FIG. 6 is installed at the site.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topping concrete is additionally poured in the field after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ield.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lab before the topping concrete of FIG. 15 is poured.
17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lab of FIG. 16 .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of the slab of FIG. 16 .
1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integrated cover of FIG. 18 is implemented as an assembled cover as another example.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integrated cover of FIG. 19 is implemented as an assembled cover as another example.
22 is a flowchart showing a slab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of FIG. 16, FIG. 23 (a) is the arrangement of wire mesh, stranded wire, and reinforcing bars, FIG. 23 (b) is the arrangement of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mold and a vibration motor; 23 (c)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floor and rib concrete is poured, and FIG. 23 (d) is the removal of the mol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cover.
2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24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upper', 'upper', 'upper surface', 'lower', 'lower', 'lower surface', 'side', etc. are based on the drawings, and in fact, elements or components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s placed.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프리캐스팅된 슬래브로 건축된 건축물이고, 도 2는 도 1의 건축물에서 보에 슬래브가 안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RPS공법으로 제조된 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building constructed with a precast slab, FIG. 2 is a view showing that the slab is seated on a beam in the building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ab manufactured by the RPS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을 참조하면, 물류창고와 같은 건축물(A)은 그 특성상 고하중용 바닥(G) 콘크리트로 구조설계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건축물(A)에는 프리캐스팅된 슬래브(10)가 사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tructure (A) such as a distribution warehouse is structurally designed with a high-load floor (G) concrete due to its characteristics, and a precast slab 10 is used for such a building (A).

건축물(A)은 복수 개의 기둥(1)이 서로 이격되어 바닥(G)에 세워지고, 복수 개의 기둥(1) 중에서 근접한 두 개의 기둥(1)에는 보(2)가 안착되어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2)는 두 개의 보(2)에는 미리 제조된 복수 개의 슬래브(10)가 서로 인접되게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the building (A), a plurality of columns (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rected on the floor (G), and beams (2) are seated and installed on two adjacent columns (1) among the plurality of columns (1), facing each other The beam 2 may be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slabs 10 seat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two beams 2 .

건축물(A)이 물류센터와 같이 큰 경우에는 슬래브(10)의 위에 놓이는 많은 물류들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슬래브(10)의 두께(상하 높이)가 두꺼워야 하는데, 이와 같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우 중량이 커짐에 따라 긴 길이의 슬래브(10)에서 보(2)가 받쳐주지 않는 중간부위가 쳐지게 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래브(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이 낮아지도록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중은 리브(12)에 의해 충분히 받쳐질 수 있도록 RPS(Rib-plus Precast concrete Slab)공법으로 제조된다.If the building (A) is large like a distribution center, the thickness (top and bottom height) of the slab 10 should be thick to support the load of many logistics placed on the slab 10. As this size increases, the middle part that the beam 2 does not support in the long-length slab 10 is sagged. It is manufactured by RPS (Rib-plus Precast concrete Slab) method so that a space not filled with concrete is formed and the load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ribs 12 .

즉, 슬래브(10)의 제조과정에서 먼저 바닥부(11)를 콘크리트로 타설한 후, 바닥부(11)에 스티로폼(E)(Expandable Polystylene(EPS), 발포폴리스티렌)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리브(12)와 상부마감부(13)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슬래브(10)는 내부의 스티로폼(E)이 차지하는 부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That i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lab 10, the floor 11 is first poured with concrete, and then Styrofoam (E) (Expandable Polystylene (EPS), expanded polystyrene) is seated on the floor 11. 12)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so that the slab 10 has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is not filled in the portion occupied by the Styrofoam (E) inside.

그런데,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10)는 스티로폼(E)이 내장된 구조로 인하여 화재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However, the slab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of being vulnerable to fir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tyrofoam (E) is embedded.

도 4는 도 1의 건축물 화재로 인하여 슬래브의 바닥부가 붕괴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슬래브 바닥부 붕괴 이후 유독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llapse of the floor of the slab due to the building fire of FIG. 1 , and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toxic gas is generated after the collapse of the floor of the slab of FIG. 4 .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축물(A)의 건축과정에서 천정의 배관작업 등을 위해 슬래브(10)에서 천공 및 용접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슬래브(10)에 내장된 스티로폼(E)에 용접열기가 전달됨으로써 스티로폼(E)이 녹게 되고, 아울러 용접 및 산소절단 과정에서 불꽃이 발생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 내부의 스티로폼(E)에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genera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uilding (A), drilling and welding are performed in the slab 10 for the plumbing work of the ceiling, etc. is transmitted, the Styrofoam (E) is melted, and sparks are generated during the welding and oxygen cutting process, thereby causing a fire in the Styrofoam (E) inside the slab 10 as shown in Fig. 4(a).

슬래브(10) 내부에는 스티로폼(E)의 화재로 인하여 가스가 점차적으로 차게 되며, 결국에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의 콘크리트가 터지면서 아래의 작업자에게 떨어짐에 따라,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The inside of the slab 10 is filled with gas gradually due to the fire of the Styrofoam (E), and eventually the concrete of the slab 10 bursts as shown in FIG. 4(b) by the pressure of the gas, and the worker below As it falls, a number of casualties occur.

나아가, 이러한 슬래브(10) 콘크리트의 손상에 따라 슬래브(10)에 내장된 스티로폼(E)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E)의 연소로 인한 유독가스가 상당량 발생함에 따라, 더욱 큰 인명피해가 발생하게 된다.Furthermore, as the Styrofoam (E) embedded in the slab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amage to the concrete of the slab 10, a significant amount of toxic gas is generated due to the combustion of the Styrofoam (E) as shown in FIG. As a result, greater human casualties occur.

실제로 이와 같은 화재는 이천 물류창고에서 발생함으로써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함에 따라, 종래기술에 따른 스티로폼(E)이 내장된 슬래브(10)는 화재에 취약한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In fact, as such a fire occurs in the Icheon logistics warehouse and causes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the slab 10 in which the styrofoam (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embedded has a serious problem of being vulnerable to fire.

그러면 종래기술에 따른 슬래브(10)의 구조에 대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n, the structure of the slab 10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6 .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RPS공법으로 제조된 슬래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슬래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ab manufactured by the RPS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ab of FIG. 3 .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래브(10)는 일정 폭을 가지면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슬래브(1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와이어매쉬(M)와, 강연선(S), 철근(R)이 배치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바닥부(11), 리브(12), 상부마감부(13)가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nventional slab 10 has a structure formed to be elongated while having a certain width. The slab 10 is basically a wire mesh (M), a strand (S), and a reinforcing bar (R) therein. This is arranged, and as a part formed by pouring concrete, the bottom part 11, the rib 12,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bottom to top.

또한, 슬래브(10)는 바닥부(11)와 상부마감부(13) 사이에서 스티로폼(E)이 위치하는데, 이러한 스티로폼(E)은 복수 개의 리브(12) 사이에 스티로폼(E)이 내장된 구조를 이룬다.In addition, in the slab 10, styrofoam (E)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part 11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and this styrofoam (E) has a styrofoam (E) embedd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 make up the structure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슬래브(10)가 제조되는 과정을, 도 7 내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10 of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2 and 13 .

도 7 내지 도 12는 도 3의 슬래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7은 와이어매쉬의 배근, 도 8은 강연선의 인입, 도 9는 철근의 배근, 도 10은 바닥부 콘크리트의 타설, 도 11은 스티로폼의 매입, 도 12는 리브 및 상부마감부 콘크리트의 타설을 나타낸 도면이다.7 to 12 are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of Fig. 3, Fig. 7 is the reinforcement of the wire mesh, Fig. 8 is the inlet of the stranded wire, Fig. 9 is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and Fig. 10 is the pouring of the floor concrete; 11 is a view showing the embedding of Styrofoam,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pouring of the rib and the upper finished part concrete.

또한, 도 13은 도 6의 슬래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3(a)는 와이어매쉬, 강연선, 및 철근의 배근, 도 13(b)는 바닥부 콘크리트의 타설, 도 13(c)는 스티로폼의 매입, 도 13(d)는 리브 및 상부마감부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 1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of FIG. 6 , FIG. 13 (a) is wire mesh, stranded wire, and reinforcement of reinforcing bars, FIG. 13 (b) is pouring of floor concrete, FIG. 13 (c) ) is a styrofoam embedding, and FIG. 13(d)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ribs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concrete are poured.

도면을 참조하면, 슬래브(1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매쉬(M)를 배근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연선(S)을 인입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R)을 배근한다. 이에 따라, 도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매쉬(M), 강연선(S), 및 철근(R)이 배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rder to manufacture the slab 10, the wire mesh M is first reinforced as shown in FIG. 7, and the stranded wire S is drawn in as shown in FIG. 8, as shown in FIG. Reinforce the reinforcing bar (R) as shown. Accordingly, the wire mesh (M), the strand (S), and the reinforcing bar (R)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13 (a).

이후 도 10 및 도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의 바닥부(11)를 형성시키기 위해 콘크리트를 1차로 타설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S. 10 and 13 ( b ), concrete is primarily poured to form the bottom part 11 of the slab 10 .

다음으로, 도 11 및 도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로폼(E)을 바닥부(11)의 상면에 안착시켜서 슬래브(1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Next, as shown in FIGS. 11 and 13 ( c ), Styrofoam (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1) and positioned inside the slab (10).

그 다음으로, 도 12 및 도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2) 및 상부마감부(13)를 형성시키기 위해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한다.Next, as shown in FIGS. 12 and 13 ( d ), concrete is poured secondarily to form the ribs 12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

이와 같이 제조된 슬래브(10)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공장에서 제조되어 건축현장으로 운송되며, 건축현장에서 두 개의 보(2)에 올려서 배치된 후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슬래브(10)를 덮는 토핑 콘크리트(T)가 현장에서 타설된다.The slab 10 manufactured in this way is manufactured in advance in a factory in a precast method and transported to a construction site, and after being placed on two beams 2 at the construction site, additionally as shown in FIG. 14 . Topping concrete (T) covering the slab (10) is poured on-site.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종래의 슬래브(10)는, 콘크리트를 1차로 타설하여 바닥부(11)를 형성시킨 후 스티로폼(E)을 바닥부(11)에 안착시켜 배치시키기 위한 배치시간이 일정 정도 소요된다.In the conventional slab 10 manufactured through such a process, the placement time for placing the Styrofoam (E) on the floor portion 11 after forming the floor portion 11 by first pouring concrete is constant. it takes some

이에 따라,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여 리브(12) 및 상부마감부(13)를 형성시켰을 때, 바닥부(11)의 콘크리트와 리브(12) 및 상부마감부(13)의 콘크리트 사이에는 콜드조인트가 생겨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ib 12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secondarily, a cold joint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of the bottom part 11 and the concrete of the rib 12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may cause structural problems.

즉, 콜드조인트(cold joint)는 1차로 타설한 콘크리트의 표면이 경화한 상태에서 2차로 콘크리트를 붓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연속적인 접합면, 즉 불량한 이음부로서, 이러한 콜드조인트에 의하여 1차 타설된 콘크리트와 2차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일체화가 되지 않음에 따라, 종래의 슬래브(10)는 구조적으로 시공불량이라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a cold joint is a discontinuous joint surface, that is, a poor joint, that occurs when concrete is poured secondarily while the surface of the first poured concrete is hardened. As the concrete and the secondary poured concrete are not completely integrated, the conventional slab 10 may have a serious problem of structurally poor construction.

또한, 리브(12) 및 상부마감부(13) 형성을 위해 콘크리트를 2차로 타설하는 과정에서, 2차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스티로폼(E)에 부력이 작용함으로써, 즉 스티로폼(E)과 바닥부(11) 사이에 2차 콘크리트가 침투함으로써, 스티로폼(E)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변경됨에 따라, 슬래브(10) 제품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설정위치가 실제로는 전혀 맞지 않는 불규칙한 제품이 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for the second time to form the rib 12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the buoyancy force acts on the Styrofoam (E) by the secondary pouring concrete, that is, the Styrofoam (E) and the bottom part As the secondary concrete penetrates between (11), the position of the Styrofoam (E) is changed without being fixed, and the setting position of the components in the slab (10) product is actually an irregular product that does not fit at all.

나아가,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인하여 리브(12)가 형성됨과 동시에 스티로폼(E)을 덮는 상부마감부(13)가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슬래브(10)는 내부의 스티로폼(E) 위치와 함께 내부의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육안으로 전혀 확인할 수 없는 심각한 한계점이 있다.Furthermore, due to the secondary concrete pouring, the rib 12 is formed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13 covering the Styrofoam (E) is form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onventional slab 10 is formed with the internal Styrofoam (E) position. There is a serious limitation that the state of concrete pouring cannot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그리고, 종래의 슬래브(10)는 스티로폼(E)이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스티로폼(E)에 물이 침투하기 때문에, 스티로폼(E)에 침투한 물을 빼내기 위해 물구멍을 별도로 만드는데, 이러한 물구멍은 위에 전술된 바와 같은 용접작업에 의한 스티로폼(E)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물구멍을 통해 용접열기나 불꽃이 스티로폼(E)에 전달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And, in the conventional slab 10, since water penetrates the Styrofoam (E) during the concrete pouring process of the Styrofoam (E), a water hole is separately made to drain the water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Styrofoam (E). These water holes are described above Styrofoam (E) can also cause fires due to welding work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heat of welding or flame is transmitted to the Styrofoam (E) through the water hole, which may cause a fire.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100)는 상술된 문제점 및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에 스티로폼이 없이 중공(H)만 형성된 구성을 취한다.The slab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s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hollow (H) is formed without Styrofoam therein,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limitation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슬래브(100)에 대해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가 현장에 설치된 후 현장에서 추가로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된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토핑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의 슬래브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슬래브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opping concrete is additionally poured at the site after the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site, and FIG.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lab before the topping concrete of FIG. 15 is poured, and FIG. It is a plan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lab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일정 폭을 가지면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슬래브(100)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와이어매쉬(M)와, 강연선(S), 철근(R)이 배치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바닥부(110)와, 복수 개의 리브(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med to be elongated while having a certain width. The slab 100 is basically a wire mesh (M), a strand (S), and a reinforcing bar (R) therein. ) is disposed, and includes a bottom portion 110 and a plurality of ribs 120 sequentially from bottom to top as a part formed by pouring concrete.

이때 복수 개의 리브(120)는 바닥부(110)의 상부에 세워져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ibs 120 are formed standing up on the bottom portion 110 .

또한,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복수 개 리브(120) 사이의 중공(H)을 덮는 커버(19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190 covering the hollow (H)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0).

상기 커버(190)는 건축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T)의 타설 시 콘크리트가 복수 개 리브(120) 사이의 중공(H)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중공(H)을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ver 190 serves to cover the hollow (H) so as to block the concrete from entering the hollow (H)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0) when the topping concrete (T) is po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참고로, 토핑 콘크리트(T)는 프리캐스팅된 구조체(슬래브(100) 등)가 현장에서 설치된 후 그 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즉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일컫는다.For reference, the topping concrete T refers to concrete poured on the precast structure (slab 100, etc.) after it is installed on site, that is, concrete poured on sit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바닥부(110) 및 리브(120)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다.Specifically, in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art 110 and the rib 120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once.

후술되는 슬래브 제조장치(200)의 몰드(220)를 사용함으로써, 슬래브(100)의 바닥부(110)와 리브(120)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다.By using the mold 220 of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rib 120 of the slab 100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once.

즉, 복수 개의 몰드(220)가 슬래브(100)의 중공(H)이 될 부분에 배치되어 위치고정된 후, 콘크리트가 복수 개의 몰드(220) 사이에 타설되어 몰드(220)의 양측과 하측에 콘크리트가 인입되어 타설됨으로써, 바닥부(110)와 복수 개의 리브(120)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plurality of molds 220 are disposed in the portion to be hollow (H) of the slab 100 and fixed,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plurality of molds 220 to both s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mold 220 . As the concrete is introduced and poured, the bottom part 110 and the plurality of ribs 120 may be formed.

종래의 슬래브는 콘크리트의 1차 타설 시 바닥부(도 13(b)의 11)가 형성되고, 다음으로 스티로폼(도 13(c)의 E) 배치 후 2차 타설 시 리브(도 13(d)의 12)가 형성됨으로써, 바닥부(11)와 리브(12) 사이에 콜드조인트가 생겨서 구조적으로 시공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바닥부(110)와 리브(120)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됨으로써, 바닥부(110)와 리브(120) 사이에 콜드조인트가 전혀 생기지 않아서 바닥부(110)와 리브(120)가 완전히 일체화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lab, the bottom part (11 in Fig. 13(b)) is formed during the first pouring of concrete, and then, the ribs (Fig. 13(d)) 12) is formed, a cold joint is formed between the floor portion 11 and the rib 12,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tructural defect may occur. On the other hand,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or portion 110 As the and rib 120 are formed by pouring concrete once, there is no cold joint between the floor 110 and the rib 120 at all, and as the floor 110 and the rib 120 are completely integrated, structurally It has excellent durability with no problems at all.

또한, 본 발명의 슬래브(100)에서 중공(H)은 몰드(220)가 탈거되어 형성된 구조이다.In addition, in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H has a structure formed by removing the mold 220 .

즉, 상기 중공(H)은 바닥부(110) 및 리브(120)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된 몰드(220)가 탈거되어 형성된 빈 공간이다.That is, the hollow H is an empty space formed by removing the mold 220 disposed before the concrete pouring of the floor 110 and the rib 120 .

종래의 슬래브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 부분을 갖도록, 1차 콘크리트 타설로 바닥부(도 13(b)의 11)를 형성시키고 바닥부(11) 상에 스티로폼(도 13(c)의 E)을 안착시킨 후, 2차 콘크리트 타설로 스티로폼(E)의 양측에는 리브(도 13(d)의 12), 스티로폼의 상측에는 상부마감부(도 13(d)의 13)를 형성시켰다.In order to reduce the weight of the conventional slab, the bottom part (11 of FIG. 13(b)) is formed by pouring the first concrete so that the inside has a part where concrete is not filled, and Styrofoam (FIG. 13) on the bottom part 11 After seating E) in (c), the ribs (12 in Fig. 13(d)) on both sides of the Styrofoam (E) by secondary concrete pouring, and the upper finishing part on the upper side of the Styrofoam (13 in Fig. 13(d)) was formed.

이와 같이 종래의 슬래브는 중공이 형성된 구조가 아닌, 스티로폼이 내장된 구조를 취하는데, 스티로폼으로 인하여 화재에 상당한 취약하게 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크다.As such, the conventional slab takes a structure in which Styrofoam is embedded rather than a structur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즉, 종래의 슬래브에서 이루어지는 천공 및 용접 작업 시 가연성의 스티로폼에 화재가 발생함으로써, 슬래브 내부의 화재가스 압력으로 슬래브의 콘크리트가 폭발하고, 폭발된 콘크리트로 인하여 노출된 스티로폼으로부터 유독가스가 퍼짐에 따라, 작업자의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데,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내부에 가연성인 스티로폼이 채워진 구조를 취하지 않고 빈 공간으로서 단순히 중공(H)으로 형성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스티로폼에 의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와 같은 심각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at is, as a fire occurs in the combustible Styrofoam during drilling and welding operations performed in the conventional slab, the concrete of the slab explodes due to the fire gas pressure inside the slab, and the toxic gas from the Styrofoam exposed due to the exploded concrete spreads. ,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human casualties occur. On the other hand,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take a structure filled with combustible styrofoam inside, but simply takes a structure formed of a hollow (H) as an empty space. As there is no fire caused by fire, se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casualties due to fir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그리고, 본 발명의 커버(190)는 건축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T)의 타설 시 콘크리트가 복수 개의 리브(120) 사이의 중공(H)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커버(190)에 대해 도 18 내지 도 21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nd, the cover 190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the concrete into the hollow (H)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0 when the topping concrete (T) is po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such a cover 190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1 .

도 18은 도 16의 슬래브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of the slab of FIG. 16,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of another embodiment.

또한, 도 20은 도 18의 일체형 커버가 다른 일례로서 조립형 커버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일체형 커버가 다른 일례로서 조립형 커버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In addition, 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integrated cover of FIG. 18 is implemented as an assembled cover as another example, and 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integrated cover of FIG. 19 is implemented as an assembled cover as another example.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버(190)는 수평부(191)와 수직부(19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over 19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91 and a vertical portion 192 .

상기 수평부(191)는 슬래브(100)의 복수 개 리브(120) 사이에 형성된 중공(H)을 덮는 구조를 취하며,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horizontal portion 191 has a structure covering the hollow (H)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0 of the slab 100, and has a plate-shaped structure as shown in the drawing as an example.

또한, 상기 수직부(192)는 슬래브(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연결홈(도 17의 100a)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수평부(191)가 중공(H)을 덮은 상태에서 횡방향으 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192 is inserted downward from the connection grooves (100a in FIG. 17)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100,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 191 is transversely in a state in which the hollow (H) is covered. It can be fixed in position without moving to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191)는 양측 테두리부가 양측의 리브(12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수직부(192)보다 폭이 크게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portion 191 is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vertical portion 192 so that both edge portion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ibs 120 on both sides.

상기 연결홈(100a)에는 복수 개의 리브(120) 사이의 중공(H)과 그 폭이 거의 동일한데, 수직부(192)는 이러한 연결홈(100a)에 삽입되어야 함에 따라 연결홈(100a)의 폭보다 약간 작은 크기를 가진 반면에, 수평부(191)는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T)가 중공(H)에 인입을 차단하기 위해 중공(H)의 상부개방면을 완전히 덮어야 함에 따라 중공(H)의 폭보다 큰, 즉 수직부(192)의 폭보다 큰 구조를 취한다.The connection groove 100a has the same width as the hollow H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0, and the vertical part 192 h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100a. While having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the horizontal part 191 is hollow (H) as the topping concrete (T) must completely cover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hollow (H) in order to block the entry into the hollow (H) in the field ) larger than the width, that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vertical portion 192 takes a structure.

아울러, 이러한 폭을 가진 수평부(191)는 양측 테두리부가 양측의 리브(120)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양측 테두리부가 리브(120)의 상면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지지됨에 따라, 현장에서 상면에 토핑 콘크리트(T)의 타설 시 중공(H) 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horizontal portion 191 having such a width, both edge portion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ibs 120 on both sides, so that both edge portions are stably and firm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b 120, topping on the upper surface in the field It can prevent bending to the hollow (H) side when the concrete (T) is poured.

나아가, 이러한 커버(190)는 슬래브(100)의 중공(H)을 덮어서 토핑 콘크리트(T)가 중공(H)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에 더하여, 슬래브(100)의 바닥부(110)와 리브(120)의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Furthermore, this cover 190 covers the hollow (H) of the slab 100 and in addition to the role of blocking the topping concrete (T) from entering the hollow (H),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slab 100 and It serves to easily check the concrete pouring state of the rib 120 .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스티로폼이 내장되지 않고 내부에 중공(H)이 형성된 구조로서, 바닥부(110)와 리브(120)의 콘크리트 타설 후에 몰드(220)가 탈거되면 상부 개방된 중공(H)을 통해 바닥부(110)와 리브(120)의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중공(H)이 커버(190)로 덮어진 구조를 취함에 따라, 커버(190)를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언제든지 들어올려서 제품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제품의 점검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Specifically,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Styrofoam is not embedded and a hollow (H) is formed therein. Through the hollow (H), the concrete pouring state of the floor part 110 and the rib 120 can be confirmed, and further,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llow (H) is covered with the cover 190. Accordingly, the inside of the product can be visually checked by lifting the cover 190 at any time in a covered state, so that the product can be inspected.

이에 반하여, 종래의 슬래브(도 6의 10)는 내부에 스티로폼(도 6의 E)이 매립되고 아울러 스티로폼의 상부에는 콘크리트로 타설된 상부마감부(도 6의 13)가 형성됨으로써, 슬래브 제품의 내부에서 바닥부(도 6의 11)와 리브(도 6의 12)의 콘크리트 타설상태를 전혀 확인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In contrast, in the conventional slab (10 in FIG. 6), Styrofoam (E in FIG. 6) is embedded therein, and an upper finishing part (13 in FIG. 6) poured with concret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yrofoam.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concrete pouring state of the floor (11 in FIG. 6) and the rib (12 in FIG. 6) cannot be confirmed at all from the inside.

한편, 상기 수평부(191)와 수직부(192) 각각은 요철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each of the horizontal portion 191 and the vertical portion 192 is preferably made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종래의 슬래브(도 14의 10)는 스티로폼의 상면에 콘크리트로 타설된 상부마감부(도 14의 13)가 형성되는데, 현장에서 타설되는 토핑 콘크리트(도 14의 T)와의 접합(접착)력을 높이도록 토핑 콘크리트(T) 타설 전에 상부마감부(13)의 콘크리트 상면에 약 6mm 깊이의 스크래치 작업을 별도로 한다.In the conventional slab (10 in FIG. 14), the upper finished part (13 in FIG. 14) poured with concre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yrofoam, and the bonding (adhesion) force with the topping concrete (T in FIG. Before pouring the topping concrete (T) to raise it, a separate scratch operation of about 6 mm depth is performed on the concret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inishing part (13).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커버(190)에 요철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철구조로 인하여 토핑 콘크리트(T)의 접합(접착)력이 높아진다.In contrast, in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even structure is formed on the cover 190, and the bonding (adhesive) force of the topping concrete T is increased due to this uneven structure.

즉,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종래의 슬래브와는 다르게 별도의 스크래치 작업을 하지 않고도, 커버(190)의 요철구조로 인하여 토핑 콘크리트(T)에 대한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bonding force to the topping concrete T due to the uneven structure of the cover 190 without a separate scratch oper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lab.

나아가, 이러한 요철구조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여줌으로써 슬래브(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Furthermore, this uneven structure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lab 100 by increasing the bearing capacity for the load.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191)와 수직부(192)는 요철구조의 일 실시예로서,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에서 외면은 커버(190)가 중공(H)을 덮은 상태에서 외측에서 보(2)여지는 면으로서 토핑 콘크리트(T)가 접촉하는 면이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portion 191 and the vertical portion 192 are an embodiment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For reference, here, the outer surface is the surface that the cover 190 is exposed to (2) from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hollow (H) is covered, and the topping concrete (T) is in contact with it.

이와 같이 돌기가 커버(19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상술된 요철구조의 기능이 더욱더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cover 190 , so that the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cave-convex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이때 커버(1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서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면에 홈이 없이 단순히 외면에서만 돌기가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190 may take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on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re is no groove on the inner surface and simply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only from the outer surface. may be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부(191)와 수직부(192)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돌기가, 수평부(191)와 수직부(19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horizontal portion 191 and the vertical portion 192 ,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191 and the vertical portion 192 . can take

즉, 복수 개의 돌기가 커버(190)의 길이방향의 열을 지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데, 이러한 열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된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로 배열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rming row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190 , and may be arranged in a zigzag rather than a straight line along these rows.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돌기에서 인접한 네 개의 돌기들을 가상의 선으로 연결 시 마름모 형상을 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형상은 커버(190)가 받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능을 함으로써 종국적으로 슬래브(100)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며, 나아가 상술된 토핑 콘크리트(T)에 대한 접합(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connecting four adjacent protrusions 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with an imaginary line, a rhombus shape may be taken, and such a shape functions to uniformly distribute the load received by the cover 190, thereby ultimately slab 100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 and further improve the bonding (adhesion) force to the above-described topping concrete (T).

또한, 상기 수평부(191)와 수직부(192)는 요철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외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된 융기라인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융기라인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portion 191 and the vertical portion 19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and a ridge lin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ridge lin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이와 같이 융기라인이 커버(19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상술된 요철구조의 기능이 더욱더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aised lines are form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190 , so that the function of the concave-convex structure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이때 커버(1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서 융기라인과 대응되는 위치에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면에 그루브가 없이 단순히 외면에서만 융기라인이 돌출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190 may take a structur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idge line on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re is no groove on the inner surface and only the ridge line on the outer surface This protruding structure may also be taken.

그리고, 커버(19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구조를 취할 수 있고, 도 2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91)와 수직부(192)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조립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And, the cover 190 may take an integrated structure as shown in FIGS. 18 and 19, and as shown in FIGS. 20 and 14, the horizontal portion 191 and the vertical portion 192 are separate members, respectively. It can also take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and assembled.

구체적으로, 수직부(192)는 일례로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91)와 일체형으로서 수평부(191)로부터 하방절곡되어 연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8 and 19 as an example, the vertical portion 192 may be bent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191 as an integral body with the horizontal portion 191 to have an extended structure.

또한, 수직부(192)는 다른 일례로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91)에 리벳결합되어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vertical portion 192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91 by riveting as shown in FIGS. 20 and 21 .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래브(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and 23 .

도 22는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며, 도 23은 도 16의 슬래브가 제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3(a)는 와이어매쉬, 강연선, 및 철근의 배근, 도 23(b)은 몰드와 진동모터를 가진 슬래브 제조장치의 배치, 도 23(c)은 바닥부 및 리브 콘크리트의 타설, 도 23(d)은 몰드의 탈거 및 커버의 설치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22 is a flowchart showing the slab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lab of FIG. 16, FIG. 23 (a) is wire mesh, stranded wire, and reinforcement of reinforcement, FIG. b) is an arrangement of a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mold and a vibration motor, FIG. 23(c) is a floor part and rib concrete casting, and FIG. 23(d)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removal of the mold and installation of the cover.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제조방법은 몰드 배치단계(S200),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 진동발생단계(S400), 몰드 탈거단계(S500), 및 커버단계(S6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ab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ld placing step (S200), a concrete pouring step (S300), a vibration generating step (S400), a mold removing step (S500), and a covering step (S600). .

물론, 본 발명은 몰드 배치단계(S200) 이전에 배근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배근단계(S100)는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00)의 기본 내부구성인 와이어메쉬, 강연선(S), 및 철근(R)을 두 개의 기둥틀(F) 사이에 배근하는 단계이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ement step (S100) before the mold placing step (S200), and this reinforcement step (S100) is a wire that is the bas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lab 100 as shown in FIG. 23(a). It is a step of reinforcing the mesh, the strand (S), and the reinforcing bar (R) between the two column frames (F).

다음으로, 몰드 배치단계(S200)는 본 발명의 슬래브(100)를 제조하기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몰드(220)를 바닥(G)에 세워진 두 개의 기둥틀(F) 사이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바닥(G)과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이다.Next, the mold arrangement step (S200) is the first step to manufacture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FIG. 23(b), a plurality of molds 220 are placed on the floor G. It is a step of disposing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pillar frames (F).

그 다음으로,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가 진행되는데, 이러한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는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틀(F)과 몰드(220) 사이 및 복수 개의 몰드(220)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래브(100)의 바닥부(110)와 복수 개 리브(120)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Next, a concrete pouring step (S300) proceeds. This concrete pouring step (S300) is between the pillar frame (F) and the mold 220 and a plurality of molds 220, as shown in FIG. 23(c). It is a step of forming the bottom portion 110 and the plurality of ribs 120 of the slab 100 by pouring concrete between them.

즉, 몰드 배치단계(S200)에서 몰드(220)가 바닥(G)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슬래브(100)의 바닥부(110)가 형성되고, 아울러 몰드 배치단계(S200)에서 복수 개의 몰드(220)가 슬래브(100)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슬래브(100)의 복수 개 리브(120)가 형성된다.That is, the mold 2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 in the mold placing step S200, and the bottom 110 of the slab 100 is formed by pouring the concrete in the concrete pouring step S300. In the mold placing step (S200), a plurality of molds 2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lab 100, and a plurality of ribs 120 of the slab 100 by concrete pouring in the concrete pouring step (S300). is formed

종래의 슬래브 제조방법은 먼저 1차 타설하여 바닥부(도 13(a)의 11)를 형성시키고, 이후 스티로폼 매입 후 2차 타설하여 리브(도 13(d)의 12)와 상부마감부도 13(d)의 13)를 형성시킴에 따라, 바닥부(11)와 리브(12) 사이에 콜드조인트가 형성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데,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방법은 몰드(220)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부(110)와 리브(120)를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시킴으로써, 바닥부(110)와 리브(120) 사이에 콜드조인트가 전혀 생기지 않아서 바닥부(110)와 리브(120)가 완전히 일체화됨에 따라, 슬래브(100)에 구조적으로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슬래브(100)가 우수한 내구성을 갖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slab manufacturing method is first poured to form the bottom part (11 in Fig. 13(a)), and then, after embedding styrofoam, the ribs (12 in Fig. 13(d)) and the upper finished part are formed by secondary pouring (Fig. 13(d)) As 13) of d) is formed, there i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a cold joint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art 11 and the rib 12. On the other hand, the slab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the mold 220 and By pouring concrete to form the floor 110 and the rib 120 in one pouring of concrete, there is no cold joint between the floor 110 and the rib 120 at all, so the floor 110 and the rib 120 ) is completely integrated, so that structural problems do not occur at all in the slab 100 so that the slab 100 has excellent durability.

그리고,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 진행 시, 진동발생단계(S400)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crete pouring step (S300) proceeds, the vibration generating step (S400) may be performed together.

상기 진동발생단계(S400)는 몰드(220)와 연결된 진동모터(230)에 의해 몰드(220)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진동에 의해 콘크리트를 다진다.The vibration generating step (S400) is a step of generating vibration in the mold 220 by the vibration motor 230 connected to the mold 220, and the concrete is compacted by the vibration.

물론, 본 발명에 따라 슬래브를 제조하거나, 종래기술에 따라 슬래브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기본적으로 작업자가 별도의 휴대용 바이브레이터(미도시)로 국부적인 콘크리트 다짐을 할 수는 있지만, 본 발명의 진동모터(230)에 의해 몰드(220)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과는 구성 및 효과적인 측면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Of cours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manufacturing a slab according to the prior art, basically, when pouring concrete, an operator can locally compact concrete with a separate portable vibrator (not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configuration and effective aspect from generating vibration of the mold 220 by the vibration motor 230 of the .

몰드 배치단계(S100)에서 몰드(220)는 슬래브(100)의 바닥부(110) 형성을 위해 바닥(G)과 이격되게 배치됨으로써 바닥(G)과의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는데, 진동발생단계(S400)는 이러한 공간에 콘크리트가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하고, 나아가 이러한 공간에 진입된 콘크리트에 포함된 기포를 빼주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e mold arrangement step (S100), the mold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 to form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slab (100), thereby forming a certain space between the floor (G) and the vibration generation. Step S400 allows the concrete to enter this space smoothly and easily, and furthermore, it can effectively perform a role of removing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concrete entering the space.

즉, 본 발명은 진동발생단계(S400)에서 진동모터(230)를 작동시켜 진동모터(230)에 연결된 몰드(22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 전체에 진동이 전달됨에 따라, 진입하기 어려운 공간인 몰드(220)와 바닥(G)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어서 거푸집 구성의 모든 내부공간에 콘크리트가 빈틈없이 충전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vibration motor 230 in the vibration generating step (S400) to generate vibration in the mold 220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230 so that vibration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concrete being poured, making it difficult to enter. Concrete can be smoothly and easily enter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mold 220 and the floor G, which is a space, so that concrete can be completely filled in all internal spaces of the formwork.

아울러, 이러한 진동발생단계(S400)에 의하여 몰드(220)의 양측에 타설된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몰드(220)와 바닥(G) 사이의 공간에 진입된 콘크리트도 확실하게 다짐됨으로써, 콘크리트의 기포추출로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임에 따라, 슬래브(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this vibration generating step (S400), not only the concrete poured on both sides of the mold 220 but also the concrete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mold 220 and the floor G is firmly compacted, so that the concrete bubble extraction path As the density of the concrete is increased, the durability of the slab 100 may be improved.

이때, 몰드(22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홀(220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에서 몰드(220) 하측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는 기체를 기포제거홀(220a)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고, 아울러 진동발생단계(S400)에서 몰드(220) 하측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기포를 기포제거홀(220a)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bubble removal holes 220a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ld 220, the gas that cannot esc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mold 220 in the concrete pouring step S300 is discharged through the bubble removal hole 220a. In addition, in the vibration generating step (S400),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concrete under the mold 220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ubble removal hole 220a.

다음으로, 몰드 탈거단계(S500)가 진행되는데, 이러한 몰드 탈거단계(S500)는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리브(120) 사이에서 몰드(220)를 탈거시키는 단계이다.Next, a mold removing step (S500) proceeds. This mold removing step (S500) is a step of removing the mold 220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120 as shown in FIG. 23(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 탈거단계(S500)에서 몰드(220)를 탈거시킴으로써, 몰드(220)가 탈거된 공간인 중공(H)이 형성됨에 따라 중공(H)을 가진 슬래브(100)를 제조할 수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mold 220 in the mold removing step (S500), as the hollow (H), which is the space from which the mold 220 is removed, is formed, the slab 100 having the hollow (H) can be manufactured. can

그 다음으로, 커버단계(S600)가 진행되는데, 이러한 커버단계(S600)는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220)가 탈거된 공간을 커버(190)로 덮는 단계로서, 추후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T)의 타설 시 토핑 콘크리트(T)가 중공(H)이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커버(190)로 중공(H)을 덮는 것이다.Next, the cover step (S600) proceeds. This cover step (S600) is a step of covering the space from which the mold 220 is removed with the cover 190 as shown in FIG. 23(d). When pouring the topping concrete (T) in the topping concrete (T) is to cover the hollow (H) with a cover (190) to block the inflow of the hollow (H).

한편, 상술된 슬래브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장치(200)를, 도 24 및 도 25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above-described slab manufact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and 25 .

도 24는 도 24의 슬래브 제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슬래브 제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2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24, and FIG. 2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of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장치(200)는 장치프레임(210)과, 복수 개의 몰드(2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aratus frame 210 and a plurality of molds 220 .

상기 장치프레임(210)은 바닥(G)에 세워진 두 개의 기둥틀(F) 상단에 안착되어 두 개의 기둥틀(F)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device frame 210 may be seated on the top of the two pillar frames (F) erected on the floor (G) and disposed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F).

구체적으로, 장치프레임(210)은 일정 폭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을 취하며, 일측 단부가 일측의 기둥틀(F) 상단에 안착될 수 있고 타측 단부가 타측의 기둥틀(F) 상단에 안착될 수 있어서, 양단부가 두 개의 기둥틀(F) 상단에 안착 시 두 개의 기둥틀(F)을 연결하는 배치구조를 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frame 210 takes the shape of a plate having a certain width, and one end may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frame (F) of one side and the other end may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lumn frame (F) of the other side. In this case, when both ends are seated on the top of the two column frames (F), it can take an arrangement structure connecting the two column frames (F).

이러한 장치프레임(210)은 하측 공간에서 슬래브(100)가 제조될 수 있도록 두 개의 기둥틀(F)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면 될 뿐, 그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The device frame 210 only needs to be configured to be seated on two pillar frames F so that the slab 100 can be manufactured in the lower space, and the specific structure thereof is not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몰드(220)는 장치프레임(210)의 하부에 연결되며, 장치프레임(210)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된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ld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frame 210 , and a plurality of molds 2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device frame 210 may be configured.

구체적으로, 장치프레임(210)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몰드(220)는 복수 개의 장치프레임(210) 하부에 연결되도록, 복수 개 장치프레임(210)의 이격방향을 따라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device frames 2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and the mold 220 extends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 frames 2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evice frames 210 . structure can be formed.

즉, 슬래브(100)의 긴 길이와 대응되게 몰드(220)도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이와 같이 긴 몰드(220)가 안정적으로 매달리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장치프레임(210)이 배치되어 몰드(220)의 상부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mold 220 may also be formed to be long to correspond to the long length of the slab 100.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long mold 220 to be stably suspended in this way, the device frame 210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us, the upper portion of the mold 220 may be connect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슬래브 제조장치(200)는, 복수 개의 몰드(220)를 두 개의 기둥틀(F) 사이에서 바닥(G)과 이격되게 배치하여,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바닥(G)과 몰드(220) 사이에는 슬래브(100)의 바닥부(110)를, 기둥틀(F)과 몰드(220) 사이 및 복수 개의 몰드(220) 사이에는 슬래브(100)의 리브(120)를 형성시킬 수 있다.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configured in this way arranges a plurality of molds 2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G between the two pillar frames F, and forms the floor G and the mold ( The bottom 110 of the slab 100 may be formed between 220 , and the ribs 120 of the slab 100 may be formed between the pillar frame F and the mold 220 and between the plurality of molds 220 . .

그리고, 본 발명은 진동모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motor 230 .

상기 진동모터(230)는 몰드(220)가 진동되도록 장치프레임(210)에 설치되는데, 장치프레임(210)의 하부에 연결된 몰드(2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장치프레임(210)의 상부에 장착된다.The vibration motor 230 is installed on the device frame 210 so that the mold 220 vibrates, and is mounted on the device frame 2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ld 22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frame 210 . .

나아가 진동모터(230)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 몰드(220) 사이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부가 장치프레임(210)과 연결됨으로써 진동모터(230)가 진동 시 하측에 배치된 두 개의 몰드(220)에 충분한 진동을 줄 수 있다.Furthermore, as a preferred example, the vibration motor 2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between the two molds 22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both sides are connected to the device frame 210 so that the vibration motor 23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when vibrating. Sufficient vibration can be given to the two molds 220 .

이와 같은 진동모터(230)는 콘크리트 타설 시 몰드(220)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 전체에 균일하게 진동을 줌에 따라, 콘크리트가 몰드(220)의 하측 공간과 같은 구석에도 원활하게 진입하여 빈틈없이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콘크리트에 포함된 기포를 추출하도록 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여 종국적으로 슬래브(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uch a vibration motor 230 generates vibration in the mold 220 during concrete pouring, thereby uniformly giving vibration to the entire concrete being poured, so that the concrete smoothly enters into a corner, such as the space below the mold 220 . Thus, it is possible to fill without gaps, and furthermore, by extracting th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concrete, the density of the concrete is increased, and thus the durability of the slab 100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장치프레임(210)의 양단부에는 완충부재(240)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buffer members 240 may be mounted on both ends of the device frame 210 .

기둥틀(F)은 바닥(G)에 고정된 고정부재로서, 장치프레임(210)이 연결매개체로서 완충부재(240) 없이 기둥틀(F)과 연결된다면, 진동모터(230)에 의해 장치프레임(21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바닥(G)에 고정된 기둥틀(F)에 의해 장치프레임(210)의 진동이 약해짐에 따라, 종국적으로 장치프레임(210)을 통한 몰드(220)의 진동도 약해짐으로써 콘크리트의 다짐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The post frame (F) is a fixing member fixed to the floor (G), and if the device frame 210 is connected to the post frame (F) without a buffer member 240 as a connecting medium, the device frame by the vibration motor 230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210, as the vibration of the device frame 210 is weakened by the pillar frame F fixed to the floor G, eventually the vibration of the mold 220 through the device frame 210 Also, the concrete is not sufficiently compacted.

이에 따라, 상기 완충부재(240)는 바닥(G)에 고정된 기둥틀(F)과 장치프레임(210)의 연결부위에 배치됨으로써, 장치프레임(210)의 진동이 감소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buffer member 240 is dispos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evice frame 210 and the pillar frame F fixed to the floor G, thereby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device frame 210 from being reduced. do.

즉, 슬래브(100)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장치(200)가 기둥틀(F)에 안착되어 기둥틀(F) 상에 연결 시, 진동모터(230)의 작동으로 장치프레임(210)과 몰드(220)가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진동되는 과정에서, 바닥(G)에 고정된 기둥틀(F)로 인하여 몰드(220)의 진동이 감쇠되는 것을 완충부재(240)가 막게 된다.That is, when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pillar frame F to manufacture the slab 100 and connected to the pillar frame F, the device frame 210 by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tor 230 ) and the mold 220 are sequentially linked and vibrated, the buffer member 240 prevents the vibration of the mold 220 from being attenuated due to the column frame F fixed to the floor G.

이러한 완충부재(240)는 기둥틀(F)에 안착되는 장치프레임(210)의 양단 하부에 장착됨으로써, 기둥틀(F)과 장치프레임(210)의 연결부위에서 장치프레임(210)의 진동이 기둥틀(F)의 고정력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함에 따라, 장치프레임(210)의 진동이 바닥(G)에 고정된 기둥틀(F)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This buffer member 240 is mounted on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evice frame 210 that is seated on the pillar frame (F), the vibration of the device frame 210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pillar frame (F) and the device frame 210 is a pillar By minimizing the influence from the fixing force of the frame (F), the vibration of the device frame 210 is prevented from being interfered by the column frame (F) fixed to the floor (G).

한편, 상기 몰드(22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기포제거홀(220a)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bubble removal holes 220a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ld 220 .

상기 기포제거홀(220a)은 콘크리트 타설 시 몰드(220) 하측의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콘크리트를 몰드(220)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진입시키고, 이후에는 진동모터(230)에 의한 몰드(220)의 진동으로 콘크리트를 다짐 시 몰드(220) 하측의 콘크리트에 포함된 기포를 기포제거홀(220a)을 통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ubble removal hole 220a allows the concrete to smoothly enter the lower side of the mold 220 by discharging gas from the lower side of the mold 220 during concrete pouring, and thereafter, vibration of the mold 220 by the vibration motor 230 When the concrete is compacted with this, it serves to discharge air bubbles contained in the concrete under the mold 220 through the bubble removal hole 220a.

나아가 이러한 기포제거홀(220a)은 몰드(220)의 하부에 복수 개가 균일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술된 기능이 몰드(220) 하측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균일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Furthermore, a plurality of these bubble removal holes 220a are uniform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ld 220 , so that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can be uniformly implemented in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mold 220 .

그리고, 상기 몰드(22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mold 220 may be made of a steel material.

몰드(220)는 슬래브(100)의 중공(H)을 형성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 전에 두 개의 기둥틀(F) 사이에 배치되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에 탈거된다.The mold 220 is a member for forming the hollow (H) of the slab 10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two column frames (F) before concrete pouring and is remov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이러한 몰드(220)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형상을 잡는 구성으로서 조금만 틀어져서 시공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내구성이 높은 스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mold 220 is a configuration that holds the shape of the poured concrete, and is preferably made of high-durability steel as it is slightly distorted and poor construction occurs.

또한, 만약 몰드(220)가 기본적인 거푸집과 같은 나무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재질 특성 상 짧게는 6개월밖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몰드(220)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함으로써 비용 및 여러 가지 측면에 있어서 비효율적임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몰드(220)가 스틸이 포함된 내구성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장치의 부품교체 등과 같은 관리 및 비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이점을 가진다.In addition, if the mold 220 is made of a wood material such as a basic formwork, since it can only be used for as short as 6 months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the mold 220 must be frequently replaced, which is inefficient in cost and various aspects. , when the mold 220 is made of a durable material containing stee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significant advantages in terms of management and cost, such as replacement of parts of the devic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슬래브 제조장치(200)는 중공(H)을 가진 슬래브(100)를 제조하도록 장치프레임(210)의 하부에 몰드(220)가 연결되고 상부에 진동모터(230)가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중공(H)을 가진 슬래브(100)를 제조하면서 아울러 콘크리트의 밀도를 높여서 내구성이 우수한 슬래브(100)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한 슬래브 제조방법은 몰드 배치단계(S200), 콘크리트 타설단계(S300), 몰드 탈거단계(S500), 및 커버단계(S600)로 구성됨으로써, 몰드(220)가 탈거된 공간인 중공(H)을 가진 슬래브(100)를 원활하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As a result, in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apparatus frame 210 to manufacture the slab 100 having a hollow H, and the vibration motor 230 is configured at the upper part.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duce the slab 100 having a hollow (H) therein while also increasing the density of concrete to produce a slab 100 with excellent durability. , by being composed of a concrete pouring step (S300), a mold removing step (S500), and a cover step (S600), a slab 100 having a hollow (H), a space from which the mold 220 is removed, is smoothly and easily manufactured can do.

또한, 상술된 슬래브 제조장치(200)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슬래브(100)는 내부에 스티로폼이 존재하지 않고 중공(H)이 구성됨으로써, 스티로폼에 의한 화재를 막을 수 있어서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 특히 심각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lab manufacturing apparatus 200 and the slab 100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above have no styrofoam inside and a hollow (H) is configu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ire caused by styrofoam. In particular, serious personal injury can be prevented.

나아가, 본 발명의 슬래브(100)는 바닥부(110)와 복수 개의 리브(120)가 복수번의 타설이 아닌 한번의 타설로 이루어짐으로써, 콜드조인트가 없는 구조적으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아울러 기존의 슬래브(100)에서 스티로폼의 부력 등 스티로폼에 의한 여러가지 설계오차가 거의 없는 정확한 설계치수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slab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ttom part 110 and the plurality of ribs 120 are poured once instead of a plurality of times, the slab 100 can have excellent durability without a cold joint, and in addition to the existing In the slab 100 of the Styrofoam, such as the buoyancy of the Styrofoam, it is possible to have an accurate design dimension with little design error due to the Styrofoam.

그리고, 본 발명의 슬래그에 포함된 커버(190)는 슬래그의 중공(H)을 덮도록 구성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시 중공(H)에 콘크리트가 인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아울러 커버(190)의 착탈이 원활함에 따라 슬래브(100) 제품의 내부 상태, 즉 커버(190)의 개방 시 중공(H)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커버(190)에는 요철구조가 형성됨으로써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T) 타설 시 토핑 콘크리트(T)의 접합(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And, the cover 190 included in the sl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ver the hollow (H) of the slag, so tha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troduction of concrete into the hollow (H) during concrete pouring, and the cover 190 is detachable. According to this smoothness, the internal state of the slab 100 product, that is, the concrete pouring state through the hollow (H) when the cover 190 is opened, can be visually checked, and furthermore, the cover 190 has a concave-convex structure. When pouring topping concrete (T) on site, the bonding (adhesion) force of topping concrete (T) can be increa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슬래브 100a : 연결홈
H : 중공 M : 와이어매쉬
S : 강연선 R : 철근
110 : 바닥부 120 : 리브
190 : 커버 190a : 돌기
190b : 융기라인 191 : 수평부
192 : 수직부 200 : 슬래브 제조장치
210 : 장치프레임 220 : 몰드
220a : 기포제거홀 230 : 진동모터
240 : 완충부재
S100 : 배근단계 S200 : 몰드 배치단계
S300 : 콘크리트 타설단계 S400 : 진동발생단계
S500 : 몰드 탈거단계 S600 : 커버단계
100: slab 100a: connection groove
H: Hollow M: Wire mesh
S : strand R : reinforcing bar
110: bottom 120: rib
190: cover 190a: protrusion
190b: ridge line 191: horizontal part
192: vertical part 200: slab manufacturing device
210: device frame 220: mold
220a: bubble removal hole 230: vibration motor
240: buffer member
S100: Reinforcement step S200: Mold arrangement step
S300: Concrete pouring step S400: Vibration generating step
S500: Mold removal step S600: Cover step

Claims (11)

슬래브의 복수 개 리브 사이에 형성된 중공을 덮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에 연결고정된 구조로서 상기 수평부의 양단 각각에서 종방향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가 중공을 덮은 상태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슬래브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연결홈에 삽입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요철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의 커버.
a horizontal portion covering the hollow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of the slab; and
As a structu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horizontal part,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wnward at each of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art, and in a connection groove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b so that the position is fixed without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while the horizontal part covers the hollow. It includes a vertical part to be inserted;
The slab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made of a concave-convex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양측 테두리부가 양측의 상기 리브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수직부보다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의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lab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portion so that both edge portion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ribs on both sid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외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의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lab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상기 돌기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의 커버.
5.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the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the slab cov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zigza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외면에 폭방향으로 연장된 융기라인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융기라인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의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slab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are formed with raised line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the raised lin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에 리벳결합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의 커버.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portion of the slab cov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rivet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리브; 및
건축 현장에서 토핑 콘크리트의 타설 시 콘크리트가 복수 개의 상기 리브 사이의 중공에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중공을 덮는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커버;
를 포함하는 슬래브.
a bottom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bs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and
Any one of claims 1, 2, 4 to 6, and claim 8 covering the hollow so as to block the concrete from entering the hollow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when pouring the topping concrete at the construction site one complaint cover;
slab contain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및 리브는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lab,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and the ribs are formed by one-time concrete pour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은 상기 바닥부 및 리브의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배치된 몰드가 탈거되어 형성된 빈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hollow is a slab, characterized in that the empty space formed by removing the mold disposed before the concrete pouring of the floor and ribs.
KR1020200101637A 2020-08-13 2020-08-13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KR102406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37A KR102406559B1 (en) 2020-08-13 2020-08-13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637A KR102406559B1 (en) 2020-08-13 2020-08-13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61A KR20220021161A (en) 2022-02-22
KR102406559B1 true KR102406559B1 (en) 2022-06-08

Family

ID=8049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637A KR102406559B1 (en) 2020-08-13 2020-08-13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5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698B1 (en) * 2022-07-20 2023-11-24 이진섭 Precast concrete void slab,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void forming structure for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15B1 (en) * 2014-02-19 2014-09-17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Precast concrete slab of Inver-Teed Rib
KR101886308B1 (en) * 2017-06-28 2018-08-09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Manufacturing apparatus of headed rib PC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eaded rib PC slab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620B1 (en) * 2013-05-08 2015-03-27 주식회사 네비엔 Precast concrete slab and Precast concrete slab assembly
KR101745092B1 (en) * 2015-05-29 2017-06-09 동진산업 주식회사 Headed Rib Precast Concrete Slab Using Deck Plate
KR102119005B1 (en) 2017-12-28 2020-06-04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Concrete sla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lab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515B1 (en) * 2014-02-19 2014-09-17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Precast concrete slab of Inver-Teed Rib
KR101886308B1 (en) * 2017-06-28 2018-08-09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Manufacturing apparatus of headed rib PC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headed rib PC sl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161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40505A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0742577B1 (en)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KR102406559B1 (en) Cover and slab comprising the same
JP4833591B2 (en) Connection method for precast concrete columns and beams
WO2000065166A1 (en) Steel-frame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by using the same
KR10240318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f slab
JP3219644U (en) Foundation structure and building
JP6855296B2 (en) Building found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851686B2 (en) How to build a beam
JP3054887B2 (en) PCa shear wall
JP6817589B1 (en) How to build pile support structure
KR200370135Y1 (en) Forms for edge girder construction
KR102235873B1 (en) Fabrication method of partial pier cap, partial pier cap,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er using partial pier cap
ES2246667B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PREFABRICATED WALL SANDWICH TYPE OF REINFORCED CONCRETE CONCRETE WITH EXPANDED POLYSTYRENE AND WALL OBTAINED BY SUCH METHOD.
KR20140112175A (en) Forms integrate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100101398A (en) Spacer inserted in slab and method using it
KR20100101384A (en) Open type spacer inserted in slab and method using it
JP7231523B2 (en) Concrete build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TE37929T1 (en) TUNNEL PROCESS.
JPH08302808A (en) Connecting method of large pc wall board
AU2021102058A4 (en) A beam for forming a slab with a settable material and a system of forming a slab of a building with a settable material
KR102643102B1 (en) Precast concrete structure for rapid construction
KR102606698B1 (en) Precast concrete void slab,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void forming structure for the same
JP6979811B2 (en) How to build a concrete structure
JPH07116749B2 (en) Joint between pillar or beam and wall of semi-precast RC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