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309B1 -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309B1
KR102406309B1 KR1020200162870A KR20200162870A KR102406309B1 KR 102406309 B1 KR102406309 B1 KR 102406309B1 KR 1020200162870 A KR1020200162870 A KR 1020200162870A KR 20200162870 A KR20200162870 A KR 20200162870A KR 102406309 B1 KR102406309 B1 KR 102406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bile phone
grooves
accommodating
phon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4400A (ko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102020016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7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살균 기능과 거치대 기능을 가진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하부에 충전단자가 구비된 휴대폰에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되, 휴대폰과 등지는 일측의 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레고 블록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복수 개의 돌기 중 휴대폰의 너비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돌기마다 전원단자가 구비되는 커버와;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과, 홈에 형성되는 전원단자가 구비된 제1 블록,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과, 휴대폰의 충전단자와 결합되는 충전단자결합부가 구비된 제2 블록 및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막대 형상이되,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홈 중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각각에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제1 블록, 막대 형상이되, 일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UV램프가 구비되는 제2 블록 및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UV램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 WITH UV LAMP MODULE}
본 개시(The Disclosure)는 휴대폰 케이스와 관련된다.
코로나 바이러스 등의 이유로 개인위생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손소독제, 자외선 살균기 및 물티슈와 같이 다양한 위생용품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용하고 난 뒤, 표면에 아무것도 남지 않는 자외선 살균기가 많이 이용되는데, 자외선 살균기를 따로 구비하여 들고 다니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191424호에는 살균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스마트폰의 후면을 감싸게 되는 후면과 스마트폰의 테두리를 감싸게 되는 테두리면이 구비되어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면의 일측에 치우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회동편과 상기 복수의 회동편의 일단이 테두리면의 일측에 치우쳐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타단에는 UV램프가 장착된 바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술한 스마트폰 케이스는, UV램프의 움직임이 한정되어, UV광선의 조사 방향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KR 10-2015-0191424 B1 (2018.04.27. 공고)
살균 기능과 거치대 기능을 가진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하부에 충전단자가 구비된 휴대폰에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되, 휴대폰과 등지는 일측의 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레고 블록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복수 개의 돌기 중 휴대폰의 너비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돌기마다 전원단자가 구비되는 커버와;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과, 홈에 형성되는 전원단자가 구비된 제1 블록,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과, 휴대폰의 충전단자와 결합되는 충전단자결합부가 구비된 제2 블록 및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막대 형상이되,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홈 중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각각에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제1 블록, 막대 형상이되, 일측면에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UV램프가 구비되는 제2 블록 및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UV램프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막대 형상이되,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홈 중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각각에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블록, 선풍기헤드 및 블록과 선풍기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커버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수용하는 홈이 모듈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용 목적에 맞게, 커버의 돌기에 모듈의 홈을 결합하여, 모듈을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모듈들은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용 목적에 맞게, 모듈의 플렉시블케이블을 가압하여, 플렉시블케이블의 각도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는 복수 개의 모듈이 장착되어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원공급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UV램프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예이다.
도 6은 팬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이하 '휴대폰 케이스'라고 함]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시도인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P)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으며, 커버(110), 전원공급모듈(120) 및 UV램프모듈(130)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모듈(120)과 UV램프모듈(130) 각각은 커버(110)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할 수 있다.
커버(110)의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10)는 돌기(111)와 전원단자(112)를 포함한다.
돌기(111)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커버(110)의 휴대폰(P)과 등지는 일측의 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111)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돌기(111)는 레고 블록과 같이 커버(110)의 일측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전원단자(112)는 복수 개의 돌기(111) 중 커버(110)의 너비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돌기(111)마다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모듈(120)의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전원공급모듈(120)은 제1 블록(121), 제2 블록(122) 및 플렉시블케이블(123)을 포함한다.
제1 블록(121)은 직육면체 형상의 입체도형일 수 있다. 제1 블록(121)의 일측면에는 홈(121a)이 구비될 수 있다. 홈(121a)은 커버(110)의 돌기(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록(121)의 홈(121a)에는 전원단자(121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블록(122)은 직육면체 형상의 입체도형일 수 있다. 제2 블록(122)의 일측면에는 홈(122a)이 구비될 수 있다. 홈(122a)은 커버(110)의 돌기(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록(122)에는 충전단자결합부(122b)가 구비될 수 있다. 충전단자결합부(122b)는 휴대폰(P)의 충전단자에 삽입된다.
플렉시블케이블(123)은 제1 블록(121)과 제2 블록(1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플렉시블케이블(123)은 자유롭게 휘어지며, 가압하면 형태가 고정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UV램프모듈(130)의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면, UV램프모듈(130)은 제1 블록(131), 제2 블록(132) 및 플렉시블케이블(133)을 포함한다.
제1 블록(131)은 직육면체 형상의 입체도형일 수 있다. 제1 블록(131)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홈(131a)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홈(131a) 각각은 커버(110)의 돌기(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블록(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제1 블록(13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한 홈(131a)에는 전원단자(131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블록(132)은 직육면체 형상의 입체도형일 수 있다. 제2 블록(132)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홈(132a)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홈(132a) 각각은 커버(110)의 돌기(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블록(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제2 블록(132)의 타측면에는 UV램프(132b)가 구비될 수 있다. UV램프(132b)는 전원이 공급되면, UV광선을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플렉시블케이블(133)은 제1 블록(131)과 제2 블록(1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플렉시블케이블(133)은 자유롭게 휘어지며, 가압하면 형태가 고정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용자는 전원공급모듈(120)을 통해 휴대폰(P)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UV램프모듈(130)을 사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모듈(120)의 전원단자(121b)가 커버(110)의 복수 개의 전원단자(11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전원공급모듈(120)의 제1 블록(121)의 홈(121a)을 전원단자(112)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111) 중 하나에 결합시켜준다. 그러고 나서 전원공급모듈(120)의 충전단자결합부(122b)를 휴대폰(P)의 충전단자에 결함시킴으로써, 커버(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커버(1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커버(110)의 전원단자(112)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UV램프모듈(130)의 2개의 전원단자(131b)가 커버(110)의 복수 개의 전원단자(112) 중 어느 2개에 각각 접촉되도록, UV램프모듈(130)의 제1 블록(131)의 홈(131a)을 커버(110)의 돌기(111)에 결합시켜준다. 그러고 나서 UV램프모듈(130) 제2 블록(132)을 움직여 UV광선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한다.
팬모듈(140)의 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팬모듈(140)은 블록(141), 선풍기헤드(142) 및 플렉시블케이블(143)을 포함한다.
블록(141)은 직육면체 형상의 입체도형일 수 있다. 블록(141)의 일측면에는 복수 개의 홈(141a)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홈(141a) 각각은 커버(110)의 돌기(111)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되되,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블록(141)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한 홈(141a)에는 전원단자(141b)가 구비될 수 있다.
선풍기헤드(142)는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기능을 한다.
플렉시블케이블(143)은 블록(141)과 선풍기헤드(1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플렉시블케이블(143)은 자유롭게 휘어지며, 가압하면 형태가 고정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용 예인 도 7을 참조하면,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용자는 전원공급모듈(120)을 통해 휴대폰(P)으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팬모듈(140)을 사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모듈(120)의 전원단자(121b)가 커버(110)의 복수 개의 전원단자(11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도록, 전원공급모듈(120)의 제1 블록(121)의 홈(121a)을 전원단자(112)가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111) 중 하나에 결합시켜준다. 그러고 나서 전원공급모듈(120)의 충전단자결합부(122b)를 휴대폰(P)의 충전단자에 결함시킴으로써, 커버(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커버(1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커버(110)의 전원단자(112)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팬모듈(140)의 2개의 전원단자(141b)가 커버(110)의 복수 개의 전원단자(112) 중 어느 2개에 각각 접촉되도록, 팬모듈(140)의 블록(141)의 홈(141a)을 커버(110)의 돌기(111)에 결합시켜준다. 그러고 나서 팬모듈(140)의 선풍기헤드(142)를 움직여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켜준다.
휴대폰 케이스(100)는 미사용 중인 UV램프모듈(130)을 이용하여 거치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UV램프모듈(130)의 제2 블록(132)의 길이 방향이 커버(110)의 너비 방향과 일치하도록, 제2 블록(132)을 커버(110)의 돌기(111)에 결합시켜준다. 그러고 나서 UV램프모듈(130)의 제1 블록(131)의 각도를 조절하여 UV램프모듈(130)을 거치대로 사용 할 수 있다. UV램프모듈(130)의 제2 블록(132) 대신에, UV램프모듈(130)의 제1 블록(131)을 커버(110)의 돌기(111)에 결합시킨 뒤, 전술한 방법과 똑같이 방법으로 UV램프모듈(130)을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는 커버(110)에 복수 개의 돌기(111)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수용하는 홈(121a, 122a, 131a, 132a, 141a)이 모듈(120, 130, 140)마다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용 목적에 맞게, 커버(110)의 돌기(111)에 모듈(120, 130, 140)의 홈(121a, 122a, 131a, 132a, 141a)을 결합하여, 모듈(120, 130, 140)을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의 모듈(120, 130, 140)들은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123, 133, 143)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의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사용 목적에 맞게, 모듈(120, 130, 140)의 플렉시블케이블(123, 133, 143)을 가압하여, 플렉시블케이블(123, 133, 143)의 각도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는 휴대폰(P)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전술한 휴대폰 케이스(100)는 복수 개의 모듈(120, 130, 140)이 장착되어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할 때 사용된 표현(용어, 시각화된 이미지 등)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도구적인 목적에 의해 선택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여건상 본 개시는 제한된 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되었고,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새로운 실시예들을 창안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난 일부 표현에 의하여 제한되어선 안되고, 명세서의 전반에 내재된 본원적인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100... 휴대폰 케이스
110... 커버
111... 돌기
112... 전원단자
120... 전원공급모듈
121... 제1 블록
121a... 홈
121b... 전원단자
122... 제2 블록
122a... 홈
122b... 충전단자결합부
123... 플렉시블케이블
130... UV램프모듈
131... 제1 블록
131a... 홈
131b... 전원단자
132... 제2 블록
132a... 홈
132b... UV램프
133... 플렉시블케이블
140... 팬모듈
141... 블록
141a... 홈
141b... 전원단자
142... 선풍기헤드
143... 플렉시블케이블
P... 휴대폰

Claims (3)

  1. 하부에 충전단자가 구비된 휴대폰에 장착되는 휴대폰 케이스에 있어서,
    휴대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되, 휴대폰과 등지는 일측의 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레고 블록과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휴대폰의 너비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돌기마다 전원단자가 구비되는 커버와;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과, 상기 홈에 형성되는 전원단자가 구비된 제1 블록,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과, 휴대폰의 충전단자와 결합되는 충전단자결합부가 구비된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막대 형상이되,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각각에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제1 블록,
    막대 형상이되, 일측면에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타측면에 UV램프가 구비되는 제2 블록 및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UV램프모듈;을 포함하는 휴대폰 케이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막대 형상이되,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어느 하나를 수용하는 홈이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홈 중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홈 각각에 전원단자가 형성되는 블록,
    선풍기헤드 및
    상기 블록과 상기 선풍기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자유롭게 휘어져 형태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포함하는 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KR1020200162870A 2020-11-27 2020-11-27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2406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70A KR102406309B1 (ko) 2020-11-27 2020-11-27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70A KR102406309B1 (ko) 2020-11-27 2020-11-27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00A KR20220074400A (ko) 2022-06-03
KR102406309B1 true KR102406309B1 (ko) 2022-06-10

Family

ID=8198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870A KR102406309B1 (ko) 2020-11-27 2020-11-27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339B1 (ko) * 2022-08-19 2022-12-05 주식회사 명성엔지니어링 구조물 촬영용 표척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80Y1 (ko) * 2014-03-24 2014-05-30 정진희 커플용 휴대폰 케이스
KR101605017B1 (ko) * 2015-07-10 2016-03-21 (주)우드브릭스 조립식 블록완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73A (ko) * 2010-01-13 2011-07-20 성 완 김 휴대용 단말기의 살균 및 충전 장치
KR101454428B1 (ko) * 2013-02-26 2014-11-04 (주)로보티즈 유닛 확장이 가능한 이동통신기기 케이스
KR20170068240A (ko) * 2015-12-09 2017-06-19 여의주 탈부착식 다기능 도트 결합장치
KR20190135626A (ko) * 2018-05-29 2019-12-09 김용준 휴대용 선풍기가 포함된 스마트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80Y1 (ko) * 2014-03-24 2014-05-30 정진희 커플용 휴대폰 케이스
KR101605017B1 (ko) * 2015-07-10 2016-03-21 (주)우드브릭스 조립식 블록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4400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309B1 (ko) Uv램프모듈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DE69300865T2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blech als steckkontaktmaterial.
DE69018818T2 (de) Hornförmiger elektrischer Kontakt.
DE10195326T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einem parallele Platinen aufnehmenden Gehäuse
DE69504474D1 (de) Elektrischer verbinder, gehäuse und kontakt
TW461632U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DE60118045D1 (de) Steckverbinder mit Kontakten die in einem angepassten isolierenden Gehause montiert sind
EP1247136A4 (en) CONTACT LENSES COMPRISING A TURQUOISE COLOR
CN107530459B (zh) 除菌盒
DE69108589D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Kontakt mit schleifender Wirkung.
DE69112455T2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schleifendem Kontakt.
MX9204802A (es) Composiciones para fijador de cabello con polimero ionico de estilizacion.
CN101394049B (zh) 可伸缩调整的导电装置及插座装置
AU5605600A (en) Magnifying contact lens storage unit
HUP9701638A2 (hu) Kapcsoló
CN103022839A (zh) 一种电池连接器、移动终端及电池
JP2018025214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69417311D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Flachen, elastischen Mehrfachkontaktelementen
ATE109926T1 (de) Akkumulator.
DE69510307D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vom flexiblen elektrischen Kabel des Verbinders gehaltener Kappe.
EP1804344A3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SG97837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plastic housing
DK1070330T3 (da) Effektkondensator
ES2080528T3 (es) Conector modular para aparato electrico.
IT1302254B1 (it) Connettore elettrico a innesto, multipol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