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306B1 -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 Google Patents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306B1
KR102406306B1 KR1020210009246A KR20210009246A KR102406306B1 KR 102406306 B1 KR102406306 B1 KR 102406306B1 KR 1020210009246 A KR1020210009246 A KR 1020210009246A KR 20210009246 A KR20210009246 A KR 20210009246A KR 102406306 B1 KR102406306 B1 KR 102406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cture
aquatic
aquarium
aquatic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2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수영
오재관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비틀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3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있어서, 수생동물 또는 수생식물을 포함하는 수생물의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수생물 그림을 형성하는 드로잉부; 상기 드로잉부를 통해 형성된 상기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전송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상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를 통해 상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상기 수생물 그림의 상태 및 상기 수생물 그림과 함께 표시되는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상기 서버부에 재전송하는 단말부; 상기 서버부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직접 그리고 색칠한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삽입하고, 아쿠아리움 속 수생물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아쿠아리움 속 수생물을 직접 그림으로써 아쿠아리움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으며, 수생물의 감상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을 느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aquarium in whic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can be inserted, comprising: a drawing unit for drawing and coloring pictures of aquatic animals including aquatic animals or aquatic plants to form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a scanning unit which scans and transmits the picture of the aquatic creature formed through the drawing unit; a serv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from the scanning unit; By receiving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through the server unit, the state of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status of the aquarium backgrou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re adjusted, and the state-controlled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re retransmitted to the server unit. a terminal unit; It is a technical gist to include 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controlled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received through the server unit. This allows you to scan a picture of aquatic life drawn and colored by hand, insert it into the digital aquarium, and enjoy the picture of aquatic life in the aquarium. Also, you can feel the affection for the aquarium by directly drawing the aquatic creatures in the aquarium, and you can get the effect of feeling psychologically stabl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the aquatic life.

Description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본 발명은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접 그리고 색칠한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삽입하고, 아쿠아리움 속 수생물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aquarium in which pictures of aquatic life can be inserted, and more particularly, by scann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drawn directly and colored, and inserting it into the digital aquarium, and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that can appreciate pictures of aquatic life in the aquarium It is about possible digital aquariums.

일반적인 아쿠아리움(aquarium)은 관상어의 양식뿐만 아니라 공공장소나 일반 가정의 장식물로 설치되어 자연을 가깝게 느낄 수 있어 정서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실내에 장식함으로써 실내 분위기를 미려하게 만들 수 있고 실내 습도 공급 기능을 겸하는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자연과 유사한 시설을 갖추어 정서 생활에 도움이 되고 간접 조명의 효과도 있는 아쿠아리움은 관상어의 배설물과 먹이에 의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수단, 아쿠아리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수단 등을 구비해야 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줘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쿠아리움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수조를 구입해야 하고, 수조에 양식되는 관상어의 환경 개선, 아쿠아리움의 미적 개선, 장식적인 효과들을 위하여 지속적인 소비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아쿠아리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관상어를 실제로 기르지 않아도 실내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는 '디지털 아쿠아리움'이 적용되고 있다.A general aquarium is installed not only as a form of ornamental fish, but also as a decoration in public places or general homes, so you can feel close to nature, which can help emotional life. It is used as a function of supplying humidity. Aquariums, which have facilities similar to nature, help emotional life, and have indirect lighting effects, must be equipped with purification means to purify contaminants from the excrement and food of ornamental fish, and oxygen supply means to supply oxygen to the aquarium. The downside is that it has to be managed continuous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 separate tank to form an aquarium, and the need for continuous consumption is required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ornamental fish cultured in the tank, aesthetic improvement of the aquarium, and decorative effects. In order to solve such disadvantages of the aquarium, a 'digital aquarium' that can maintain the beauty of the interior without actually raising ornamental fish is being applied.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799271호 디지털 수족관 및 이를 위한 디지털 물고기 생성 시스템'과 같이,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의 처리 수단 및 화면 표시 제어 수단을 내장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물고기 그래픽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에 관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 입력 수단; 상기 물고기에 관한 그래픽 영상 신호 또는 물고기 움직임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 설치를 위한 데이터 입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Such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built-in means for processing a graphic image signal and a screen display control means for fish, such as 'Korea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ration Patent No. 10-0799271 Digital Aquarium and Digital Fish Generation System therefor'; a display unit configured on the main body to display a graphic image of a fish selected by a user; a user selection signal input means for controlling display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technique including a data input/output means for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graphic image signal about the fish or a program for controlling fish movement is known.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을 포함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이미 제작이 완료된 상태의 아쿠아리움을 설치하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실제 아쿠아리움을 설치하기 위해 공들이는 노력과 원하는 수생물을 선택할 수 없어 사용자가 아쿠아리움에 크게 애정을 가지지 못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since the installation of an aquarium in a state that has already been completed is not enough, the user cannot select the desired aquatic life and effort to install the actual aquarium, so that the user greatly loves the aquarium. The downside is that you may not have it.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0799271호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gistered Patent No. 10-079927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직접 그리고 색칠한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삽입하고, 아쿠아리움 속 수생물 그림을 감상할 수 있는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scan a picture of aquatic life drawn directly and colored and insert it into a digital aquarium, and a digital aquarium capable of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in which the picture of aquatic life in the aquarium can be appreciated. will provide

상기한 목적은, 수생동물 또는 수생식물을 포함하는 수생물의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수생물 그림을 형성하는 드로잉부; 상기 드로잉부를 통해 형성된 상기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전송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상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를 통해 상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상기 수생물 그림의 상태 및 상기 수생물 그림과 함께 표시되는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상기 서버부에 재전송하는 단말부; 상기 서버부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a drawing unit for drawing and coloring a picture of aquatic animals or aquatic animals including aquatic plants to form an aquatic picture; a scanning unit which scans and transmits the picture of the aquatic creature formed through the drawing unit; a serv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from the scanning unit; By receiving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through the server unit, the state of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status of the aquarium backgrou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re adjusted, and the state-controlled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re retransmitted to the server unit. a terminal unit; It is achieved by a digital aquarium capable of inserting an aquatic picture comprising 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controlled picture of the aquatic crea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received through the server unit.

여기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수생물 그림 및 상기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는 사용자메뉴 버튼과, 상기 단말부를 종료하는 종료 버튼과, 기존에 삽입된 수생물 그림을 삭제하는 전체 삭제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단말부에 표시하는 정면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과, 왼쪽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과, 오른쪽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과, 전체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erminal unit includes a user menu button for adjusting the status of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n end button for terminating the terminal unit, a delete all button for deleting the previously inserted picture of aquatic life, and the display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ront display output button for displaying a portion on the terminal unit, a left display output button, a right display output button, and a full display output butt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그리고 색칠한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삽입하고, 아쿠아리움 속 수생물 그림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아쿠아리움 속 수생물을 직접 그림으로써 아쿠아리움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으며, 수생물의 감상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을 느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can a picture of aquatic life drawn directly and colored and insert it into the digital aquarium, and enjoy the picture of aquatic life in the aquarium. Also, you can feel the affection for the aquarium by directly drawing the aquatic creatures in the aquarium, and you can get the effect of feeling psychologically stable through the appreciation of the aquatic lif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드로잉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스캔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사용자메뉴 버튼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메뉴의 구성도이고,
도 5는 패스워드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체험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quarium capable of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drawing unit;
3 is a front view of the scan unit;
4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menu accessed through a user menu butt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password unit;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perience unit,
7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shown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드로잉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스캔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사용자메뉴 버튼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메뉴의 구성도이고, 도 5는 패스워드부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체험부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디스플레이부의 정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quarium capable of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drawing unit,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scanning unit, and FIG. 4 is a user connected through a user menu butt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enu,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assword unit,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xperience unit,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unit.

최근에는 유아 또는 청소년의 발달 심리를 위한 다양한 심리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심리검사는 개인의 정서적, 심리적 상태를 측정하여 보이지 않는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수량화하거나 질적으로 분석하여 보이도록 하는 것으로, 개인의 심리증상 진단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심리검사 중 하나로 그림심리검사가 있는데, 그림심리검사는 특정 그림을 그려 개인의 성격유형, 행동유형, 우울증, 분노척도를 검사할 수 있는 심리검사 방법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그림심리검사는 유아 또는 청소년의 발달 심리를 위해 행해질 수 있는데 검사를 위해 그린 그림을 단순히 심리검사를 위해서만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은 그린 그림을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전시하여 직접 그린 수생물 그림의 감상을 통해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Recently, various psychological tests for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infants or adolescents are being conducted. Psychological test measures an individual'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 to objectively quantify or qualitatively analyze the invisible psychological state, and is used as a means for diagnosing individual psychological symptoms. One of these psychological tests is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The picture psychological test is a psychological test method that can examine an individual's personality type, behavior type, depression, and anger scale by drawing a specific picture. Such a picture psychological test can be performed for the developmental psychology of infants or adolescents. Rather than simply using the picture drawn for the test for a psychological test,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drawn picture in a digital aquarium to appreciate the picture of aquatic life drawn directly. The purpose is to make users feel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본 발명에 따른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부(100), 스캔부(200), 서버부(300), 단말부(400) 및 디스플레이부(500)를 포함한다.The digital aquarium 10 capable of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includes a drawing unit 100 , a scanning unit 200 , a server unit 300 , a terminal unit 400 and a display unit. (500).

드로잉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생동물 또는 수생식물을 포함하는 수생물의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수생물 그림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에 삽입하여 감상할 수 있는 수생물 그림을 그리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드로잉부(100)는 수생물 그림이 그려지는 종이와, 종이에서 그림을 그리고 색칠할 수 있는 펜, 색연필, 크레파스, 물감 등을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종이는 백지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거나 또는 미리 수생물이 그려진 상태의 종이에 사용자가 추가로 원하는 그림을 그리거나 색상을 색칠하여 수생물 그림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수생물은 관상어, 고래, 상어 등과 같은 수생동물 또는 수초 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그릴 수 있다.The draw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form a picture of aquatic life by drawing and coloring pictures of aquatic animals or aquatic animals including aquatic plants as shown in FIG. 2 , and can be viewed by inserting into the digital aquarium 10 It corresponds to the composition of drawing a picture of an aquatic life. The drawing unit 100 can use paper on whic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are drawn, pens, colored pencils, crayons, paints, etc. that can draw and color pictures on paper without limitation. In addition,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may be completed by drawing a picture desired by the user in a blank state of the paper, or by drawing a picture desired by the user additionally or coloring the paper in a state in which the aquatic life is drawn in advance. In this case, the aquatic creature may draw an aquatic animal such as an ornamental fish, a whale, a shark, or the like, or an aquatic plant such as aquatic plants, as desired by the user.

스캔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잉부(100)를 통해 형성된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전송하는 구성으로, 스캔된 수생물 그림에 대한 정보를 후술할 서버부(300)에 전송한다. 자세하게는 드로잉부(100)를 통해 형성된 수생물 그림을 스캔부(200)에 올려놓은 후 스캔부(200)를 원버튼으로 간편하게 작동시켜 수생물 그림을 스캔할 수 있게 한다.The scann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scan and transmit the aquatic picture formed through the drawing unit 100 as shown in FIG. 3 ,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canned aquatic picture to the server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send. In detail, after placing the picture of aquatic life formed through the drawing unit 100 on the scanning unit 200 , the scanning unit 200 is easily operated with one button to scan the picture of aquatic life.

서버부(300)는, 스캔부(200)로부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구성으로, 스캔부(200)를 통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수생물 그림이 전송되면 이를 전송받아 서버부(300)에 저장해놓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버부(300)는 후술할 단말부(400)를 통해 상태가 조절된 수생물 그림을 재전송 받아 저장한 후, 이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50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The server unit 30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from the scanning unit 200 . When one or a plurality of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canning unit 200 , the server unit 300 receives them and sends them to the server unit 300 . It serves to store. In addition, the server unit 300 serves to retransmit and store the picture of the aquatic creature whose state has been adjusted through the terminal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n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단말부(400)는, 서버부(300)를 통해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수생물 그림의 상태 및 수생물 그림과 함께 표시되는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고,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리아리움 배경을 서버부(300)에 재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수생물 그림을 아쿠아리움 배경과 어울리도록 적절하게 상태를 조절하거나, 또는 디지털 아쿠아리움(10)이 설치되는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상태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terminal unit 400 receives the aquatic life picture through the server unit 300 and adjusts the status of the aquatic picture and the status of the aquarium backgrou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aquatic picture, and the status of the aquatic picture and aquaria is adjusted. It is a configuration for retransmitting the Leeum background to the server unit 300 . That is, it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of adjusting the state to suitably adjust the state of the aquatic picture to match the aquarium background, or to adjust the state to matc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which the digital aquarium 10 is installed.

이러한 단말부(400)는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는 사용자메뉴 버튼, 단말부(400)를 종료하는 종료 버튼, 기존에 삽입된 수생물 그림을 삭제하는 전체삭제 버튼, 디스플레이부(500) 중 정면 영역을 단말부(400)에 표시하는 정면디스플레이출력 버튼, 디스플레이부(500) 중 왼쪽 영역을 단말부(400)에 표시하는 왼쪽디스플레이출력 버튼, 디스플레이부(500) 중 오른쪽 영역을 단말부(400)에 표시하는 오른쪽디스플레이출력 버튼 및 디스플레이부(500)의 전체 영역을 단말부(400)에 표시하는 전체디스플레이출력 버튼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unit 400 includes a user menu button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aquatic life pic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n end button for terminating the terminal unit 400, an all deletion button for deleting the previously inserted picture of aquatic life, a display unit ( 500) of the front display output button for displaying the front region on the terminal unit 400, the left display output button for displaying the left region of the display unit 500 on the terminal unit 400, the right region of the display unit 500 It includes a right display output button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400 and a full display output button that displays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500 on the terminal unit 400 .

이 중 사용자메뉴 버튼을 누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부(410), 라이트부(420), 사운드부(430), 수생물선택부(440), 서버전송부(450) 및 종료부(460)를 포함하는 사용자메뉴에 접속되고, 사용자메뉴를 종료하면 플레이부(470) 및 체험부(480)가 나타나게 된다.Among them, when the user menu button is pressed, as shown in FIG. 4 , the password unit 410 , the light unit 420 , the sound unit 430 , the aquatic creature selection unit 440 , the server transmission unit 450 and the end unit When the user menu including 460 is accessed and the user menu is terminated, the play unit 470 and the experience unit 480 appear.

패스워드부(410)는, 등록된 패스워드를 입력할 경우 관리자메뉴로 접속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자메뉴에 존재하는 라이트부(420), 사운드부(430), 수생물선택부(440), 서버전송부(450) 및 종료부(460) 만을 이용하여 수생물 그림을 그린 사용자가 자유롭게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에 수생물 그림과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The password unit 41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accessing the administrator menu when a registered password is input, and when the password is not entered, the light unit 420, sound unit 430, and aquatic creatures present in the user menu are not entered. A user who draws a picture of an aquatic life using only the selection unit 440 , the server transmission unit 450 , and the end unit 460 can freely adjust the status of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in the digital aquarium 10 .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패스워드부(410)에 접속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부(411), 크기조절부(412), 속도조절부(413), 시간조절부(414), 이동조절부(415), 회전조절부(416), 개수조절부(417), 화면크기조절부(418), 폴더지정부(419) 및 수량확인부(419a)에 접근 가능하다. When accessing the password unit 410 by inputting a password, as shown in FIG. 5 , the transfer unit 411 , the size control unit 412 , the speed control unit 413 , the time control unit 414 , and the movement control unit 415 , the rotation control unit 416 , the number control unit 417 , the screen size control unit 418 , the folder designation unit 419 , and the quantity check unit 419a are accessible.

이러한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이전부(411)는 패스워드부(410)에 접속하기 이전에 사용자메뉴 버튼으로 되돌아가는 구성에 해당하고, 크기조절부(412)는 입력된 수생물 그림의 크기를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에 적당한 비율에 맞춰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속도조절부(413)는 수생물 그림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실제 수생물의 움직임과 유사한 움직임을 가지도록 각각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시간조절부(414)는 수생물 그림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고 해당 노출 시간이 지난 후에도 다른 수생물 그림이 입력되지 않을 경우, 기존에 디지털 아쿠아리움(10)에 저장된 임의의 수생물이 노출되도록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When explaining each of these configurations in detail, the previous unit 411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returns to the user menu button before accessing the password unit 410, and the size adjustment unit 412 adjusts the size of the input aquatic picture.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adjusts to an appropriate ratio in the digital aquarium 10, and the speed adjusting unit 413 adjusts the movement speed of the picture of aquatic life to appropriately adjust each to have a movement similar to that of the actual aquatic life.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In addition, the time adjusting unit 414 adjusts the exposure time of the picture of aquatic life, and when another picture of aquatic life is not input even after the exposure time has elapsed, it is adjusted so that any aquatic life previously stored in the digital aquarium 10 is exposed.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이동조절부(415)는 화면의 확대, 축소와 같은 이동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카메라가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부를 촬영하는 느낌으로 화면이 이동할 때 이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하고, 회전조절부(416)는 화면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또한, 개수조절부(417)는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에 수생물 그림의 개수와 수생물 그림의 최대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화면크기조절부(418)는 디스플레이부(500)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폴더지정부(419)는 스캔부(200)를 통해 스캔된 수생물 그림이 저장되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고, 수량확인부(419a)는 현재 생성된 수생물 그림의 수량을 확인하는 구성에 해당한다.The movement control unit 415 is a configuration that adjusts movement such as enlargement and reduction of the screen,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adjusts when the screen moves as if the camera is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digital aquarium 10, and the rotation control unit 416 )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screen. In addition, the number control unit 417 may adjust the number of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and the maximum number of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in the digital aquarium 10 , and the screen size control unit 418 adjusts the size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500 . is a configuration that The folder designation unit 419 is configured to select a folder in whic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scanned through the scanning unit 200 are stored, and the quantity check unit 419a is configured to check the quantity of the currently generated pictures of aquatic animals. corresponds to

라이트부(420)는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의 밝기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밝기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고, 사운드부(430)는 배경음악을 켜거나 끄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light unit 420 is a configuration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aquatic pic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nd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desired brightness, and the sound unit 43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an control turning on or off the background music.

또한, 수생물선택부(440)는 사용자가 스캔부(200)를 통해 스캔한 수생물 그림을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에 삽입할 것인지 또는 디지털 아쿠아리움(10) 자체에 저장된 임의의 수생물 그림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하는 구성으로, 스캔한 수생물 그림을 디지털 아쿠아리움(10) 내에 삽입할 경우 어떤 수생물 그림을 삽입할 것인지 하단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quatic life selection unit 44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serts the aquatic life picture scanned through the scanning unit 200 into the digital aquarium 10 or uses any aquatic picture stored in the digital aquarium 10 itself. It is configured to select which aquatic picture to be inserted in the case of inserting the scanned aquatic picture into the digital aquarium 10 so that it can be selected from the bottom.

서버전송부(450)는, 패스워드부(410), 라이트부(420), 사운드부(430) 및 수생물선택부(440)를 통해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이 조절된 상태에서 조절이 끝난 경우 변경 정보를 서버부(300)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고, 종료부(460)는 사용자를 통해 수생물 그림과 아쿠아리움 배경 조절이 끝난 상태에서 사용자메뉴를 종료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종료부(460)를 통해 사용자메뉴를 종료하게 되면, 그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부(470) 및 체험부(480)가 나타난다.When the server transmission unit 450 is adjusted in a state in which the aquatic life pic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re adjusted through the password unit 410, the light unit 420, the sound unit 430 and the aquatic creature selection unit 440, when the adjustment is finished It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change information to the server unit 300 , and the termination unit 46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for terminating the user menu after adjusting the aquatic life pic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through the user. When the user menu is terminated through the end unit 460 , the play unit 470 and the experience unit 480 appear next as shown in FIG. 6 .

플레이부(470)는, 디지털 아쿠아리움(10)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서버부(300)에 저장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이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되도록 한다. The play unit 470 is configured to drive the digital aquarium 10 , and the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stored in the server unit 300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00 .

체험부(480)는, 플레이부(470)와는 별도로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360˚ VR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으로, 체험을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체험패스워드부(481), VR 체험을 위한 네트워크 호스트를 실행하는 실행부(482), 네트워크 호스트를 검색하는 검색부(483), 360˚ VR 체험 공간이 출력될 디스플레이부(500) 위치를 체크하는 정면체크부(484), 우면체크부(485), 좌면체크부(486), 후면체크부(487), 검색된 네트워크 호스트에 접속하는 접속부(488)를 포함한다.The experience unit 480 is configured to enable a 360˚ VR experience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separately from the play unit 470, and the experience password unit 481 for inputting a password for the experience, for VR experience An execution unit 482 that executes a network host, a search unit 483 that searches for a network host, a front check unit 484 that checks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500 where the 360˚ VR experience space will be output, and a right side check unit ( 485), a left side check unit 486, a rear side check unit 487, and a connection unit 488 for connecting to the searched network host.

디스플레이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부(300)를 통해 전송받은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단말부(400)를 통해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고 이를 다시 서버부(300)에 전송한 후, 최종적으로 서버부(300)는 디스플레이부(500)에 정보를 보내어 디스플레이부(500)에 수생물 그림과 아쿠아리움 배경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 사용자가 디지털 아쿠아리움(10)을 구경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00)는 대형 스크린, TV, 모니터, 빔프로젝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제품을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FIG. 7 , the display unit 500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controlled aquatic life pic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received through the server unit 300 , and the aquatic life picture and the aquarium through the terminal unit 400 . After adjusting the state of the background and transmitting it back to the server unit 300 , the server unit 300 finally sends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500 to display a picture of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on the display unit 500 . . A user can view the digital aquarium 10 through the display unit 500 as described above, and the display unit 500 may be a large screen, TV, monitor, beam projecto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products are applied. It i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아쿠아리움(10)은, 유아 또는 청소년 등과 같이 사용자가 수생물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이를 통해 그림심리검사를 할 수 있으며, 수생물 그림을 단순히 그림심리검사에 그치지 않고 스캔하여 디지털 아쿠아리움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그린 수생물 그림을 아쿠아리움 속에서 삽입 및 감상할 수 있어 심신에 안정을 줄 수 있으며, 심리 치료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gital aquariu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perform a picture psychological test by drawing and color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such as an infant or a teenager. It can be inserted into a digital aquarium. In this way, the user can insert and appreciate the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drawn by the user in the aquarium, which can give stability to the mind and body, and is effective for psycholog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 디지털 아쿠아리움
100: 드로잉부
200: 스캔부
300: 서버부
400: 단말부
410: 패스워드부
411: 이전부
412: 크기조절부
413: 속도조절부
414: 시간조절부
415: 이동조절부
416: 회전조절부
417: 개수조절부
418: 화면크기조절부
419: 폴더지정부
419a: 수량확인부
420: 라이트부
430: 사운드부
440: 수생물선택부
450: 서버전송부
460: 종료부
470: 플레이부
480: 체험부
481: 체험패스워드부
482: 실행부
483: 검색부
484: 정면체크부
485: 우면체크부
486: 좌면체크부
487: 후면체크부
488: 접속부
500: 디스플레이부
10: Digital Aquarium
100: drawing unit
200: scan unit
300: server unit
400: terminal
410: password unit
411: Previous
412: size adjustment unit
413: speed control unit
414: time control unit
415: movement control unit
416: rotation control unit
417: number control unit
418: screen size adjustment unit
419: folder designation unit
419a: quantity confirmation unit
420: light unit
430: sound unit
440: aquatic life selection unit
450: server transmission unit
460: end
470: playbu
480: Experience Department
481: Experience password part
482: Execution unit
483: search unit
484: front check part
485: right side check part
486: seat check unit
487: rear check part
488: connection
500: display unit

Claims (2)

수생동물 또는 수생식물을 포함하는 수생물의 그림을 그리고 색칠하여 수생물 그림을 형성하는 드로잉부;
상기 드로잉부를 통해 형성된 상기 수생물 그림을 스캔하여 전송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상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를 통해 상기 수생물 그림을 전송받아 상기 수생물 그림의 상태 및 상기 수생물 그림과 함께 표시되는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고, 상기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상기 서버부에 재전송하는 단말부;
상기 서버부를 통해 전송받은 상기 상태 조절된 수생물 그림 및 아쿠아리움 배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60°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체험이 가능한 체험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험부는,
상기 체험을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체험패스워드부,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네트워크 호스트를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네트워크 호스트를 검색하는 검색부, 가상현실 체험 공간이 출력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위치를 체크하는 정면체크부, 우면체크부, 좌면체크부, 후면체크부 및 검색된 상기 네트워크 호스트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
a drawing unit for drawing and coloring pictures of aquatic animals or aquatic animals including aquatic plants to form pictures of aquatic animals;
a scanning unit which scans and transmits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formed through the drawing unit;
a server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from the scanning unit;
By receiving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through the server unit, the state of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status of the aquarium backgrou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re adjusted, and the status-controlled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re retransmitted to the server unit a terminal unit;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tate-controlled picture of the aquatic lif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received through the server unit;
The terminal unit,
and an experience unit capable of experiencing 360° virtual reality (VR)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experience section
An experience password unit for inputting a password for the experience, an execution unit for executing a network host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a search unit for searching the network host, and a frontal check for checking the location of the display unit where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space is to be output A digital aquarium capable of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rt, a right side check part, a left side check part, a back side check part,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o the searched network hos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수생물 그림 및 상기 아쿠아리움 배경의 상태를 조절하는 사용자메뉴 버튼과, 상기 단말부를 종료하는 종료 버튼과, 기존에 삽입된 수생물 그림을 삭제하는 전체 삭제 버튼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단말부에 표시하는 정면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과, 왼쪽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과, 오른쪽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과, 전체 디스플레이 출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물 그림을 삽입가능한 디지털 아쿠아리움.
The method of claim 1,
The terminal unit,
A user menu button for controlling the state of the aquatic life picture and the aquarium background, an end button for terminating the terminal unit, an all delete button for deleting the previously inserted aquatic creature picture, and the display unit displayed on the terminal unit A digital aquarium capable of inserting a picture of aquatic lif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display output button, a left display output button, a right display output button, and a full display output button.
KR1020210009246A 2021-01-22 2021-01-22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KR102406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46A KR102406306B1 (en) 2021-01-22 2021-01-22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46A KR102406306B1 (en) 2021-01-22 2021-01-22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306B1 true KR102406306B1 (en) 2022-06-08

Family

ID=8198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246A KR102406306B1 (en) 2021-01-22 2021-01-22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30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71B1 (en) 2006-12-19 2008-01-30 박진홍 Digital aquarium and system for creating of digital fish
KR20170040704A (en) * 2015-10-05 2017-04-13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hologram aquarium system of fish robot with fish robot control method
KR20180134570A (en) * 2017-06-09 2018-12-19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Sea world representation system within water bath using robot fish and 3d hol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271B1 (en) 2006-12-19 2008-01-30 박진홍 Digital aquarium and system for creating of digital fish
KR20170040704A (en) * 2015-10-05 2017-04-13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3-d hologram aquarium system of fish robot with fish robot control method
KR20180134570A (en) * 2017-06-09 2018-12-19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Sea world representation system within water bath using robot fish and 3d hologr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5522B2 (en) Photo booth systems and methods
Fox Talking hands: What sign language reveals about the mind
Brooks Interaction with shapes and sounds as a therapy for special needs and rehabilitation
KR100799271B1 (en) Digital aquarium and system for creating of digital fish
Carter et al. An evaluation of interactive projections as digital enrichment for orangutans
CN111862711A (en) Entertainment and leisure learning device based on 5G internet of things virtual reality
CN107533426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that simulation is used using numeral flag device, touch-control input and low-power reflected displaying device wall chart
KR102406306B1 (en) Digital aquarium with pictures of aquatic creatures
Anders Anthropic cyberspace: defining electronic space from first principles
KR101013941B1 (en) training image aquarium in using display panel.
KR102291217B1 (en) Picture education service system, server and method
Huhtamo Screenology; or, media archaeology of the screen
Bramston et al. Basics Product Design 03: Visual Conversations
KR20170027499A (en) System for interactive animation production service using self made painting of child
KR101760740B1 (en) Multi-study incubating apparatus and, multi-study system comprising the same
Tang Of dogs and hot dogs: distractions in early cinema
TWM579798U (en) Triggering system for each mobile device among gathering group
Putnam Entangled Gestures and Technical Objects: Illuminating embodiment and digital experience through diffraction in performance
French User Experience for Elephants: Researching Interactive Enrichment through Design and Craft
US20230091386A1 (en) Augmented reality hologram virtual aquarium system
Hodel et al. The electric retina: An interplay of media art and neuroscience
Greulich Camera Work: The Erotics and Ethics of Modern Ecology
Mantas Becoming AIR-BORNe: Women co-creating, ex-pressing and in-forming our lives
Pollard ‘When Marnie was there’an animated film, Studio Ghibli. Director: Hiromasa Yonebayashi, film written by Keiko Niwa, Hiromasa Yonebayashi Masashi Ando, 2014, released in UK 2016
Samatar et al. 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