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675B1 -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675B1
KR102405675B1 KR1020220024619A KR20220024619A KR102405675B1 KR 102405675 B1 KR102405675 B1 KR 102405675B1 KR 1020220024619 A KR1020220024619 A KR 1020220024619A KR 20220024619 A KR20220024619 A KR 20220024619A KR 102405675 B1 KR102405675 B1 KR 102405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functional
information
functional food
user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식
윤정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라이즈
Priority to KR102022002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eth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PROVIDING CUSTOMIZED HEALTH FUNCTIONAL FOODS STATUS AND DOSAGE INFORMATION BASED ON AI}
본 개시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스 스마트 트렌드(Health-Smart Trend)에 맞지 않게, 정보의 불균형이 매우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디지털화, 스마트화 세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헬스 스마트 트렌드와 관련된 주요 기능들은 여전히 IT화 되어 있지 않아, 의료 비전문가에 속하는 개인이 자신의 건강 상태에 부합하는 적절한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복용 가이드 등에 대해 신뢰할 수 있을 만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영양제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해, 오프라인 서비스의 한계로 상담할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고, 리소스도 한정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약국이나 병원에서 기대하는 만큼의 도움을 받기는 어렵다. 통상, 개인이 약국에 체류하는 시간은 약 5분 미만이며, 복약 지도는 1분 내외이다.
또한, 전문가들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에 대한 종합 건강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론적 지식과 경험에 기반하여 간단한 상담만 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비전문가는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성별, 나이, 체중 등 개인 정보, 개인의 건강 특이점(예를 들어, 기저 질환, 알러지, 흡연 여부, 임신 수유 여부 등) 및 약물 간 상호작용(예를 들어, 의약품, 영양 성분 등)에 따라서 챙겨 먹어야 하는 영양 성분과 양이 다르거나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이해없이 자가진단 및 복용을 하는 경우가 있어 사고의 발생이나 그러한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걸맞게 많은 건강 관련 정보들이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생산되고 있는데, 비전문가인 개인의 입장에서 그러한 정보의 가치나 신뢰성 등에 대해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워, 단편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행동할 우려가 있고, 그로 인해 적절한 복용 관리가 어렵고 결국 남용이나 중단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일률적인 복약 지도 및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아니라 각 개인의 건강 상태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을 선별하고 복약 지도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23915호 (2016.08.25)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정보 기반 사용자 고유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에 기반하여 옵티말 영양소팩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내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둘 이상의 건강기능식품들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를 산출 및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면에 따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자가진단(Self-Medication)을 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구매 전 복용 예상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DB에 포함시켜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영양점수를 통해 적합도를 확인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용 중인 다양한 종류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동시 복용 적합도, 유통기한, 잔여량 등을 고려한 섭취 루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복용 루틴에 따른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복용 누락을 방지하면서 복용 루틴 준수 여부에 대한 자가진단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9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 헬스 데이터 수집 과정과 영양소팩 구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의한 대표적인 영양성분의 값의 예시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케이스별 옵티말 영양소팩의 예시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옵티말 영양소팩과 동시 복용 적합도 결과 UI의 예시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UI의 예시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과 17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양 점수 산출 예시 및 UI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용 루틴 산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복용 적합도 판단 출력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용 루틴 산출 결과 출력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장치에는 연산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서버장치,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서버로써, 어플리케이션 서버, 컴퓨팅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파일 서버, 게임 서버, 메일 서버, 프록시 서버 및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통신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 (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장치와 관련하여 정보 제공 제어 모델이 정의되거나 관련 플랫폼이 구축될 수 있는데, 그것은 빅데이터(big data)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 기반의 컴퓨터에 의해 생성 및 제공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VR, Virtural Reality),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MR, Mixed Reality)를 총칭하는 가상융합기술(XR, eXtended Reality),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의 보안을 위하여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등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이 이용 또는 참조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ICT 기술에 대한 상세 설명은 공지 기술을 참조하여 그에 관해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양소의 분류는 예를 들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공시하는 기준을 참조한 것으로,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수 영양소는 미네랄, 비타민 등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외부 섭취가 요구되며, 권장 섭취량만큼 섭취하지 않으면 질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정도로 필수적인 영양소를 나타낸다. 상기 목적별 영양소는 루테인 등 필수 섭취가 요구되지는 않으나, 건강 개선(눈 건강, 소화 불량 개선 등)을 위해 목적을 가지고 섭취하면 좋은 영양소를 나타낸다. 다만, 상기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는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어서, 양자에 모두 속하는 영양소도 있다.
다음으로, 영양소팩(Pack)이란, 전술한 필수 영양소 또는 목적별 영양소를 그룹핑(grouping)한 것을 나타내는데, 특히 본 개시에서 영양소팩은 수집된 사용자 정보 또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소 그룹을 판별하여 구성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유저 헬스 데이터(user health data)에 기초하여, 사용자 A에게 적합한 추천 필수 영양소팩(예를 들어, 비타민A, 오메가3, 및 미네랄)과 추천 목적별 영양소팩(예를 들어, 홍삼(진세노사이드), 및 루테인)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영양소 섭취량은, 권장 섭취량(RDA: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최적 섭취량(ODI: Optimal Daily Intake) 및 상한 섭취량(UL: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에서, 권장 섭취량(RDA)은 예를 들어,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을 따른 값으로, 권장 섭치량(RDA) 이하인 경우에는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바, “최소 섭취량”으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최적 섭취량(ODI)은 영양 성분이 기능적으로 효용을 나타내기 위해서 필요한 섭취량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한 섭취량(UL)은 역시 상기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을 따른 값으로, 일정 기간 섭취를 기반으로 가정했을 때 상한 섭취량(UL) 이상 섭취 시에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상한의 개념일 수 있다. 그 밖에, PODI는 후술하는 유저 헬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유저마다 별도로 생성되는 최적 섭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최적 섭취량(ODI)와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최적 섭취량(ODI)는 영양 성분에 대하여 고정된 값일 수 있으나, PODI는 사용자에 따라 유저 헬스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건강기능식품(예를 들어, 영양제)에 대하여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PODI는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에 참조될 수 있다. 상기 PODI 적용 시, 권장 섭취량(RDA)/PODI/상한 섭취량(UL)의 기준으로 본 개시에 따른 적합도가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PODI는 사용자가 원하는 건강 증진 목적(HIG: Health Improvement Goal)과 연관될 있으며, 상기 건강 증진 목적(HIG)은 사용자의 영양제와 같은 건강기능식품 섭취 목적 내지 이유 예를 들어, 다이어트, 건강 고민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 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서(220)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단말(100)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서버(200)는,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유저 헬스 데이터(user health data)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소별 적합도에 기초하여 필수 영양소팩과 목적별 영양소팩을 포함한 옵티말 영양팩(Optimal Nutritional pack)을 구성하여 제공하는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220)는, 상기 개별 영양소에 대한 적합도를 해당 영양소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최적 섭취량(예를 들어, 상기 최적 섭취량(ODI))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내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목적(예를 들어, 건강 증진 목적(HIG))에 따라 수정된 제2 최적 섭취량(PODI) 데이터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도 본 개시에 따른 동작 수행과 관련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요소가 추가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의 제공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을 통한 웹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서버(200)에 의해 제공되어 단말(100)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된 후 실행되면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거나 그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0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직접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 즉,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거나 직접 처리하지 않고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로 전달하여 상기 결과 데이터를 리턴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단말(100)에서 사용자 정보를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서버(200)는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내지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이나 로직(logic) 또는/및 그에 관련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나 플러그-인(plug-in) 등을 상기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플랫폼을 구축하여 웹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고, 단말(100)에서 상기 웹 서비스에 접속하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면,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단말(1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서버(200)에서 획득하면, 서버(200)에서 이를 처리하여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다시 단말(100)로 리턴하면, 상기 단말(10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서버(200)에 의해 수행되는 본 개시에 따른 동작(들)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단말(100)의 자원(resources)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말(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설치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 건강기능식품 검색 요청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메모리(210)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20)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220)는 통신모듈(310), 데이터추출모듈(320), 적합도산출모듈(330), 제어모듈(340) 및 DB(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3의 DB(350)은 도 2의 메모리(210)에 해당하거나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통신모듈(310)은 단말(100)과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며, 상기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모듈(310)은 다양한 외부 소스들(external sources)과 연결되어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신되는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과 관련된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관련된 소스로부터 수집 가능한 건강기능식품 데이터, 영양소(또는 영양정보) 데이터, 질병이나 알러지 데이터, 약물 데이터,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 진료 또는 처방전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일부 데이터는 외부 소스가 아닌 상기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으며, 중복되는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소스(이 경우 소스에는 단말(100)도 포함), 최신 정보 등을 참조하여 필터링(filtering)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310)은, 단말(1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소스(미도시)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선통신모듈, 무선통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위치정보모듈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선통신모듈은,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4G(eneration), 5G, 6G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모듈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100)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Wi-Fi 모듈을 활용하면, Wi-Fi 모듈과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단말(100)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단말(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통신모듈(3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의 단말(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의 단말(100)에 내장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를 서버(2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추출모듈(32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추출모듈(320)은 인공지능 기반 학습을 위한 전처리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합도산출모듈(330)은 데이터추출모듈(320)에서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영양소 및 사용자에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을 판별하기 위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모듈(340)은 프로세서(220)의 모든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이용 가능한 다양한 알고리즘(algorithm)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program)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10), 및 상기 메모리(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전술한 외부 소스, 사용자의 단말(100) 등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즉,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영양소, 건강기능식품, 복수의 건강기능식품들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 등과 관련된 학습 모델을 미리 생성하고 학습하여,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과정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내 민감한 개인 정보나 기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정보나 데이터 등을 위하여, 프로세서(220)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본 개시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확장현실(XR: eXtended Reality) 등과 같은 다양한 ICT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9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 헬스 데이터 수집 과정과 영양소팩 구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정의한 대표적인 영양성분의 값의 예시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케이스별 옵티말 영양소팩의 예시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옵티말 영양소팩과 동시 복용 적합도 결과 UI의 예시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UI의 예시이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여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도 4 및 도 10에 따르면,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유저 헬스 데이터를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추천/비추천 영양소팩을 설정하여, 개인화된(personalized or customized) 영양제 목록을 산출할 수 있다.
S11에서, 서버(200)는 사용자의 단말(100)로 온보딩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온보딩 테스트는 문진 형태로 사용자 정보 획득을 위한 것이다.
S12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고유 정보에 관한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정보는 개인의 고유 정보 예를 들어, 나이, 성별, 체중, 유전 정보, 직업, 근무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13에서, 서버(200)는 사용자 상태에 관한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정보는 사용자 상태 정보 예를 들어, 기본 건강 정보,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 정보, 음주, 흡연, 임신, 수유, 자녀계획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14에서, 서버(200)는 제1 영양소팩 및 영양소별 PODI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영양소팩은 필수 영양소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추천 및 비추천 필수 영양소팩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 영양소팩 및 영양소별 PODI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S15에서, 서버(200)는 사용자의 목표에 관한 제3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정보는 사용자가 원하는 목표 예를 들어, 건강 고민에 관한 것으로 건강증진목적(HIG)과 관련되며, 피로 개선, 소화 개선, 눈 건강 개선, 면역력 개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16에서, 서버(200)는 제2 영양소팩 및 영양소별 PODI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영양소팩은 목적별 영양소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추천 및 비추천 목적별 영양소팩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2 영양소팩 및 영양소별 PODI는 제1 정보 내지 제3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자의 동의를 받아 예를 들어, 건강보험공단의 DB로부터 사용자의 건강검진 결과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건강검진 결과는 상기 제2 정보와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추가 반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상기 제3 정보를 제2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제2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S14와 16에서 설정된 제1 및 제2 영양소팩과 PODI를 수정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의 기저질환이나 알러지 등에 대해 추가적인 온보딩 테스트를 수행하여, 제4 정보 즉, 사용자의 질병 및 알러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상기 제4 정보를 제2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제2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S14와 16에서 설정된 제1 및 제2 영양소팩과 PODI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의 진료 및 처방 기록과 관련된 추가적인 온보딩 테스트를 수행하여, 제5 정보 즉, 사용자의 장기 복용 약물 존재 여부, 질병 후유증 존재 유무 등에 대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상기 제5 정보를 제2 정보에 반영하여, 상기 제2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S14와 16에서 설정된 제1 및 제2 영양소팩과 PODI를 수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S14와 16에서 설정된 제1 및 제2 영양소팩과 PODI에 대한 수정은, 상기 제3 내지 제5 정보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한 번만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유저 헬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내지 제5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되고 생성될 수 있다.
도 10의 (a)는 상기 도 4의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며, 도 10의 (b)는 도 4를 통해 유저 헬스 데이터를 구성하고 그에 기초하여 영양소팩을 구성하는 것을 도식화한 것이다.
서버(200)는 필수 및/또는 목적별 추천/비추천 영양소팩을 구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영양성분에 대해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0)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영양성분 즉, 저장된 영양성분에 대한 데이터와 도 4및 도 10에 설명한 유저 헬스 데이터를 참고하여, 도 12의 (a) 또는 도 12의 (b)와 같은 영양소팩을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11 내지 12에 도시된 내용은 일실시예일 뿐, 본 개시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때, 전자 장치는 서버(200)가 될 수도 있고, 단말(100)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전자 장치는 서버(200)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S21에서, 서버(200)는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상기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22에서,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S23에서, 서버(200)는 상기 산출된 영양소별 적합도에 기초하여 필수 영양소팩과 목적별 영양소팩을 포함한 옵티말 영양팩(Optimal Nutritional Pack)을 구성할 수 있다.
S24에서, 서버(200)는 상기 옵티말 영양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22에서, 서버(200)는 상기 개별 영양소에 대한 적합도를, 해당 영양소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1 최적 섭취량 데이터를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내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목적에 따라 수정한 제2 최적 섭취량 데이터 기준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정은 예를 들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내 적어도 하나의 건강기능식품 섭취 목적에 따라 개별 영양소에 대한 가중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섭취 목적은 전술한 유저 헬스 데이터 내 제3 정보가 해당하거나 참조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S31에서,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건강기능식품 검색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S32에서, 서버(200)는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1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자신이 복용 중이거나 복용하고자 하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검색 요청을 하면,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검색 요청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영양성분이나 영양소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밀크씨슬”을 검색하면, 서버(200)는 브랜드별 밀크씨슬 목록을 추출할 수 있고, “비타민 A”를 검색하면 서버(200)는 비타민 A가 포함된 영양제와 같은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서버(200)의 DB(3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독출되거나 외부 소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독출될 수 있으며 병행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렇게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바로 출력될 수도 있다.
S33에서, 서버(200)는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적합 여부를 표시하는 제1 플래그 데이터(flag data)를 생성할 수 있다.
S34에서, 서버(200)는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가 포함된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9가 참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A 영양제”를 가정하여 일종의 건강기능식품(영양제) 신호등과 같이 플래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그 데이터는, 후술할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래그의 종류는 하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S61에서, 서버(200)는 A 영양제에 적어도 하나의 영양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61의 판단 결과, 서버(200)는 상기 A 영양제에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양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A 영양제에 대하여 플래그 a를 설정할 수 있다.
S62에서, 서버(200)는 상기 S61의 판단 결과 상기 A 영양제에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양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A 영양제에 적어도 하나의 비추천 영양성분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62의 판단 결과, 서버(200)는 상기 A 영양제에 적어도 하나의 비추천 영양성분이 포함되었으면, 상기 A 영양제에 대하여 플래그 b를 설정할 수 있다.
S63에서, 서버(200)는 상기 S62의 판단 결과 상기 A 영양제에 적어도 하나의 비추천 영양성분이 포함되지 않았으면, 추천 영양성분 중 최적 섭취량(PODI) 이상 함유된 영양성분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63의 판단 결과, 서버(200)는 상기 A 영양제에 추천 영양성분 중 최적 섭취량(PODI) 이상 함유된 영양성분이 포함되지 않았으면, 상기 A 영양제에 대하여 플래그 c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S63의 판단 결과, 서버(200)는 상기 A 영양제에 추천 영양성분 중 최적 섭취량(PODI) 이상 함유된 영양성분이 포함되었으면, 상기 A 영양제에 대하여 플래그 d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 a, 플래그 b, 플래그 c 및 플래그 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제1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 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 마다 할당되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등 표시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제1 플래그 데이터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제1 플래그 데이터는 유저헬스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개별 건강기능식품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플래그는 상기 플래그 a 내지 d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결정되는 플래그는 최종 플래그가 아닐 수 있다. 즉, 입력된 사용자 정보(또는 유저 헬스 데이터)는 사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재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는, 도 9에서 결정된 플래그에 더하여, 상기 추출된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 대비 상기 현재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 정보와 동시 복용 적합도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 플래그 데이터의 작성에 있어서 플래그 a 내지 플래그 d의 산출 과정에 더하여, 사용자가 현재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을 고려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현재 유저 헬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현재 복용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기능식품과 사이에 산출된 동시 복용 적합도까지 고려하여 플래그 즉, 최종적인 제1 플래그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각 플래그 a 내지 d를 포함하는 제1 플래그 데이터는 서로 다른 컬러, 서로 다른 사이즈 등 차별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영양제에 대하여, 부적합 영양성분이 있으면 제1 플래그 데이터를 빨강색 (ex. 플래그 b)으로, 부적합 영양성분은 없으나 적합 영양성분 중 PODI 이상 함유된 영양성분이 없으면 제1 플래그 데이터를 노란색 (ex. 플래그 c)으로, 부적합 영양성분은 없고 적합 영양성분 중 PODI 이상 함유된 영양성분이 1개 이상 있으면 제1 플래그 데이터를 초록색 플래그(ex. 플래그 d)로, 그리고 영양제의 영양성분이 미상으로 공유되지 않아 식별하거나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1 플래그 데이터를 회색으 (ex. 플래그 a)로 설정하는 등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어, 생산된 지 오래된 영양제 또는 콜라겐과 같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증 받지 못하고 건강식품으로만 인증받은 경우 등은 건강기능식품의 성분 표기법을 따르지 않아 표기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 경우에도 제1 플래그 데이터가 플래그 a를 포함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래그 데이터가 사용자의 현재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과의 동시 복용 적합도를 고려한 경우, 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제1 플래그 데이터의 색깔, 사이즈를 차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례를 예시로 표현하면, 제1 플래그 데이터가 플래그 d를 포함하여 본래는 초록색으로 노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이 사용자의 현재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과 동시 복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해당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제1 플래그 데이터는 빨강색으로 노출될 수 있다.
서버(200)는 도 13의 (a) 또는 (b)에서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가 나타내는 적합도에 따라 추천 건강기능식품과 비추천 건강기능식품으로 구분하여 정렬하고, 상기 추천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적합도가 높을수록 상위에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서버(200)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옵티말 영양팩 구성 화면을 제공하고, 각 영양성분 선택하면,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영양성분에 대한 추천 또는 비추천의 근거가 된 정보와 그 이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흡연자(제2 정보)이기 때문에, 루테인은 비추천한다”와 같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각 영양성분 선택을 대신하여, 본 개시에서는 개인화 항목(“For me”)을 도 13의 (a)의 사용자 옵티말 영양팩 구성 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개인화 항목이 선택되면 도 14의 (a) 화면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0)는 상기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으로, 상기 추천 건강기능식품과 비추천 건강기능식품으로 구분하기 위한 적합도 판단의 근거 데이터를 제공하되, 추가로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근거 데이터에는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자체의 고유 효과와 부작용에 관한 제1 작용 정보와 상기 유저 헬스 데이터에 기초할 때 해당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작용 가능한 효과와 부작용에 관한 제2 작용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4의 (b)는 개인화된 효과/주의사항/부작용 및 건강기능식품의 고유 효과/주의사항/부작용에 대한 정보 출력의 예시이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적합/부적합 판단을 이원화하여 개인화된 적합도 판단 결과 및 그에 따른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b)의 제1 영역(상단)에는 개인화된 즉,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으로 도 13의 (a)에 구성된 옵티말 영양팩에 대하여 특히, 사용자에게 발현 가능한 주의사항이나 부작용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서버(200)는 제2 영역(하단)에는 사용자에 관계없이 알려지거나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이원화된 개인 맞춤형과 고유의 부작용 등에 대해 제공되는데 이 때, 서버(200)는 상기 각 정보를 구분하여 순차로 제공하거나 비교 테이블 형태로 두 정보의 차이에 대해 직관적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차별화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4의 (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적합도 판단 시, 해당 건강기능식품의 발현 효과(주의사항이나 부작용)을 고려한 것으로, 제1 정보로 건강기능식품 자체의 고유 효과/주의사항/부작용 등과, 제2 정보로 개인화된 효과/주의사항/부작용을 이원화하여 고려하여 적합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결과값으로 노출 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한 이원화 처리 내용은 반드시 건강기능식품의 발현 효과와 관련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에 의해 설명되는 다양한 부분에 참조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 정보는 단말(100)에서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이 요청한 경우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 목록 중에 적어도 둘 이상 즉, 복수의 건강기능식품들 사이의 상호 관계 즉, 동시 복용하는 경우, 그 적합도 판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개시에서 동시 복용 적합도는 반드시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복용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 A와 건강기능식품 B가 아침 식사 후 함께 복용되는 것은 동시 복용으로 볼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 A는 아침 식사 후 그리고 건강기능식품 B는 저녁 식사 후 복용인 경우에는 함께 복용되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본 개시에 따른 동시 복용 적합도의 대상으로 볼 수 있다.
도 7은 예를 들어, 도 6의 S34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S34 이후에 사용자의 추가 입력, 예를 들어,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상세 정보 제공 요청과 같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대응한 응답으로써 선택된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상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7에서 생성되는 제2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S41에서, 서버(200)는 상기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개별 건강기능식품들 간의 동시 복용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S42에서, 서버(200)는 상기 산출된 동시 복용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적합 여부를 표시하는 제2 플래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43에서,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제2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플래그 데이터는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상세 정보 제공 요청과 같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따라 개별 건강기능식품이 선택된 경우, 제1 건강식품목록 중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개별 건강기능식품들과의 동시 복용 적합도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동시 복용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개별 건강기능식품 중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 때, 제2 플래그 데이터는 제1 플래그 데이터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건강기능식품들 사이의 동시 복용 적합도가 적합, 부적합, 판단 보류 등 다양한 상태에 따라 컬러, 숫자, 그래프, 이미지, 이모지 등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래그 데이터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동시 복용 적합도 판단의 상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표 1은 동시 복용 적합도 상세 정보 제공의 예시로 볼 수 있다.
섭취 추천 시간 상세 정보 근거 내용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루테인 등과 동시 복용하지 않기를 추천함 다양한 카로티노이드를 함께 섭취할 때 카로티노이드는 서로 경쟁적인 상호작용을 갖는다. 베타-카로틴과 루테인을 함께 섭취하면 루테인만 섭취했을 때 보다 베타-카로틴에 의하여 루테인의 흡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베타-카로틴만 섭취했을 때 보다 루테인과 베타-카로틴을 함께 섭취했을 때 혈청 내 베타-카로틴 농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는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과 동시 섭취를 피하도록 추천함 지방 흡수를 차단하는 약물을 섭취하는 경우, 비타민 D 흡수도 함께 저해되었다.
엽산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이섬유 섭취와 시간 간격을 두어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함 식품 중의 성분 중에는 특정 형태의 식이섬유, 예를 들면 밀겨에 있는 식이섬유가 엽산의 생체이용률을 낮출 수 있다.
칼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와 동시 섭취를 추천함 칼슘 섭취량이 적을 경우에는 주로 능동 수송으로 운반 흡수되며, 이 때 혈청 비타민 D의 활성형인 칼시트리올[calcitriol, 1,25(OH)2D]과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의 영향을 받는다.
칼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와 동시 섭취를 추천함 1,25-다이하이드록시비타민 D3(1,25(OH)2D3, 칼시트리올)은 전체 소장에서, 특히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칼슘과 다른 미네랄 제제는 섭취 시간을 다르게 추천함 과량의 칼슘 섭취는 철분과 아연 등 다른 미량무기질의 흡수를 저해할 수 있다.
마그네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와 동시 섭취를 추천함 비타민 D와 비타민 D의 대사물질은 마그네슘의 흡수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그네슘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이섬유 섭취와 시간 간격을 두어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함 피틴산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식이섬유도 마그네슘의 흡수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철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C와 동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함 비타민 C는 쉽게 철과 결합하여 용해성의 화합물을 형성할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제2철(Fe3+)을 제1철(Fe2+)로 환원시키기 때문에 철의 흡수에 도움이 된다.
철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제산제와 같은 약물과 동시 섭취하지 않는 것을 추천함 제산제의 사용 등으로 위산분비가 저하되면 위 내용물의 pH가 높아져서 제1철(Fe2+)이 불용성의 물질로 침전되어 흡수율이 낮아지는 요인이 된다.
아연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칼슘과 동시 복용하지 않을 것을 추천함 아연은 인산염이나 칼슘, 피틴산과 같은 아연 흡수를 저해하는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구리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식후에 섭취하는 것을 추천함 위산은 식이에 포함된 구리의 분리를 통해 구리의 용해를 증진시킨다.
크롬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C와 함께 섭취할 것을 추천함 비타민C는 크롬의 흡수율을 높여준다.
크롬의 흡수울을 높이기 위해 아연과 동시 복용하지 않을 것을 추천함 크롬과 아연은 상호 경쟁관계에 있어 아연부족 쥐에서 크롬의 흡수율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한편, 도 8 역시, 도 6의 S34와 관련될 수 있다. 이 때, 도 8은 도 7과 함께 또는 별도의 절차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상기 도 6의 S34 이후에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따른 별도의 추가 절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절차는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 내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상세 정보 제공 요청과 같은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대응한 응답으로써 선택된 개별 건강기능식품의 상세 정보 제공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8에서 생성되는 제3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 내지 제2 플래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S51에서, 서버(200)는 상기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건강기능식품 목록으로 비록 추출되진 않았으나 상기 검색 요청된 개별 건강기능식품과 동시 섭취가 예상되는 제2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현재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들에 대한 정보에 더하여, 추후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잘 알려지거나 일반적으로 추천될 수 있는)(들)과의 정보도 제공하여, 원스톱(one-stop)으로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상기 동시 섭취 예상의 판단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반으로 본 개시에 따른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이용자들의 동시 섭취 패턴이나 외부 소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서비스 플랫폼 이용자들 중, 유저 헬스 데이터가 사용자와 기 설정 값 이상으로 유사한 다른 이용자들이 섭취하는 패턴 및 외부 소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별 건강기능식품과 동시 섭취가 예상되는 제2 건강기능식품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시 섭취 예상 판단은, 서버(200)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도 있다.
S52에서, 서버(200)는 상기 제2 건강기능식품 목록에 포함된 건강기능식품과 상기 선택된 개별 건강기능식품과의 동시 복용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S53에서, 서버(200)는 상기 산출된 동시 복용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3 플래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제3 플래그 데이터는, 상기 산출된 동시 복용 적합도에 기초하여 제2 건강기능식품 목록 중 사용자에게 적합한 개별 건강기능식품과 적합하지 않은 개별건강기능식품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
S54에서, 서버(200)는 상기 제3 플래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 플래그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추가 입력에 따른 응답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플래그 데이터의 상세 정보 항목으로 제2 플래그 데이터와 함께 제공되거나 상기 제1 플래그 데이터와 동일 레벨에서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과 8과 관련하여 본 개시에 따른 동시 복용 적합도 판단 및 제공 과정에서, 도 14의 (b)와 같은 이원화 시스템을 차용하여,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복용자들에게 해당하는 동시 복용 적합도 정보와 사용자 개인에 맞춤형으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으로 도 13의 (a)에 구성된 옵티말 영양팩에 대하여 동시 복용 적합도 정보를 구분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플래그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플래그 데이터의 기능이나 역할을 대신하여 공지된 구성요소가 참조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과 17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양 점수 산출 예시 및 UI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용 루틴 산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복용 적합도 판단 출력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용 루틴 산출 결과 출력 예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는 예를 들어, 단말(100)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사용자의 입력(건강검진결과, 처방기록, 어플리케이션 내 설문 입력 결과)을 바탕으로 (+), (-) 가중치 반영에 따른 최종 사용자 영양점수 산출할 수 있으며, 영양점수 및 잔여 복용 건강기능식품을 고려하여, 적정 섭취 루틴 산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 A, B, C, D, E를 무작위로 입력하면, 서버(200)는 시스템에서 동시 복용 적합도, 잔여 수량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건강기능식품 A, C는 아침 식후, 건강기능식품 B는 점심 후, 건강기능식품 D, E는 저녁 식후에 섭취할 것을 권고하는 등의 섭취 루틴 제작 및 결과값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S71에서, 서버(200)는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72에서,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산출되는 적합도에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를 포함할 수 있다.
S73에서, 서버(200)는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에 대해 구분하여 상기 영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S73에서,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 내 상기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비추천 영양 성분 포함 여부를 더 참조하여 상기 영양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산출되는 영양 점수에, 상기 필수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 목적별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 및 비추천 영양 성분 포함 여부에 따른 영양 점수가 합산된 종합 영양 점수를 포함하되, 상기 필수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와 목적별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에는,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상기 합산 전에 적용할 수 있다.
S74에서, 서버(200)는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산출되는 복용 루틴 정보에,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 고유의 권장 복용 루틴 정보와 상기 유저 헬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식사 루틴에 관한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건강기능식품 권장 복용 루틴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건강기능식품에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복용 루틴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S75에서, 서버(200)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제공된 복용 루틴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사용자가 추가로 복용(예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영양점수의 변동값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200)는 상기 영양점수가 변동에 따른 근거 내지 이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사용자가 영양 점수를 감소시키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복용 예정 건강기능식품으로 입력하면, 상기 영양 점수 감소의 이유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흡연 중이므로, 루테인이 포함된 영양제 A를 DB에 추가할 경우 적합하지 않아 영양점수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현재 영양제 A를 섭취 중이므로, 영양제 A와 동시 복용이 적합하지 않은 영양제 B를 DB에 추가할 경우 영양점수가 감소될 수 있습니다.”와 같이 서비스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영양 점수 산출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표 2는 상기 영양 점수 산출 알고리즘에 이용되는 값에 대한 정의를 나타내었다.
HIG_min HIG(건강증진목적)를 달성하기 위해 섭취해야 하는 최소량
HIG_min_min 여러 HIG가 있는 경우, 각각의 최소값 중 가장 작은 값
HIG_max HIG를 달성하기 위해 섭취할 수 있는 최대량
HIG_max_max 여러 HIG가 있는 경우, 각각의 최대값 중 가장 큰 값
UDI 사용자의 현재 영양소 섭취량
상기 표 2에서, UDI 즉, 사용자의 현재 영양소 섭취량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양제 가, 나, 다를 먹고 있을 때, 비타민 C가 상기 영양제 가, 나, 다에 모두 들어 있을 경우, 각각을 모두 더하여 사용자의 현재 비타민 C 섭취량 즉, UDI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양 점수는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로 구분하여 산출될 수 있다.
먼저, 필수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 산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의 필수 영양소별 함량 총합과 영양성분 판정 기준값을 비교할 수 있다. 서버(200)는 필수 영양소에 각각에 대해 표 3과 같은 조건이 개별 점수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을 참조하면, 18개의 필수 영양소에 대한 개별 점수의 평균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산출된 평균이 필수 영양소에 관한 영양 점수가 될 수 있다.
요건 결과 점수
UDI = 0 0
0 < UDI < RDA 25
RDA =< UDI < PODI
*PODI 없는 경우 RDA =< UDI
75
PODI =< UDI < UL
*UL 없는 경우 RDA =< UDI
100
UL =< UDI
*UL 없는 경우 관련 없음
50
다음으로, 목적별 영양소 점수 산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복용 중인 영양제에 포함된 영양성분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HIG(건강증진목적)에 부합하는 영양성분에 관한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추천 영양성분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영양제의 영양소별 함량 총합과 영양성분 판정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이 때 점수는 하기 표 4와 같은 조건이 부여될 수 있다.
요건 결과 점수
UDI = 0 0
UDI < HIG_min_min 20
HIG_min_min=<UDI<HIG_max_max 100
HIG_max_max =< UDI 70
다음으로, 전술한 비추천 점수 산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포함된 영양성분 중, 비추천 영양성분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확인은 도 4에서 기술한 유저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비추천 영양소별 함량 총합과 영양성분 판정 기준 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이 때 점수는 하기 표 5와 같은 조건이 부여될 수 있다.
요건 결과 점수
유저별 비추천 필수영양소를 RDA 이상 섭취 시 개당 -5
유저별 비추천 목적별영양소를 0 이상 섭취 시 개당 -5
마지막으로, 전술한 종합 영양점수 산출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버(200)는 상기 필수 영양소 점수 평균값, 목적별 영양소 점수 평균값, 비추천 영양소 점수의 마이너스 값을 모두 합하여 종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서버(200)는 상기 합산 전에 상기 필수 영양소 점수 평균값과 목적별 영양소 점수 평균값에 각각 미리 설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수 영양소 점수 평균값에 대한 가중치는 0.6일 수 있고, 상기 목적별 영양소 점수 평균값에 대한 가중치는 0.4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중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의 (a)에서는 상기 산출 방법에 따른 영양 점수 산출 예시가 도시되었다.
도 16의 (b)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사용자의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최종 산출된 영양제 점수가 출력되는 UI가 도시되었다.
한편, 도 16이 (b)와 함께 또는 그를 별개로(예를 들어, 도 16의 (b) 화면에서 터치 입력(추가 입력)에 의한 상세 정보로서, 도 17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산출된 영양 점수에 기초하여 추천 필수 영양소, 추천 목적별 영양소, 비추천 영양소 및 개선 추천 영양소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인화된 맞춤형 복용 루틴 산출 알고리즘에 대해 기술한다.
먼저, 전술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용 중(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 정보가 포함된 유저 헬스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유저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적정 복용 루틴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 A, B, C, D, E를 무작위로 입력하면, 동시 복용 적합도, 잔여 수량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건강기능식품 A와 C는 아침 식후, 건강기능식품 B는 점심식사 후, 건강기능식품 D와 E는 저녁식사 후에 섭취할 것을 권고하는 등의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용 루틴 정보는 복수 개가 생성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상기 유저 헬스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복용 루틴 정보에 대한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복용 루틴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1 1 Not claimed. 내용 추가
서버(200)는 상기 복용 루틴 산출 시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서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따른 섭취 루틴 산출 알고리즘이 도시되었다.
상기 섭취 루틴 산출 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권장 섭취 시기, 기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외 추가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예를 들어, 제6 정보), 복수의 건강기능식품 복용시 동시 복용 적합도, 유통기한 및 건강기능식품의 잔여량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고려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 요소는 서버(200), 사용자 등에 의해 임의의 가중치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 중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권장 섭취 시기는 예컨대, 해당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고유의 권장 섭취 시기와 사용자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권장 섭취 시기 정보가 이원화되어 반영되거나 종합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합 비타민과 오메가3는 아침 식사 직후 혹은 식사 중간, 마그네슘과 칼슘은 저녁 식후 섭취가 고유의 권장 섭취 시기로 제공되나, 사용자 정보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상기 고유의 권장 섭취 시기가 조정될 수도 있다.
상기 권장 섭취 시기와 관련하여, 추가로 비록 유저 헬스 데이터에 포함되진 않았으나 추가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기타 정보 예를 들어, 주로 아침을 먹지 않고, 야식을 먹는 등 사용자 식사 루틴이나 생활 패턴 등에 대한 정보가 더 고려될 수 있다.
한편, 표 6에서는 영양성분별 권장 섭취 시기의 예를 나타내었다.
추천 세부 사항 이유 예시
영양성분 특성상 아침 복용이 추천되는 경우 카페인이 들어 있어 수면을 방해할 수 있음 녹차추출물, 카카오분말, 보이차추출물
에너지 합성에 도움을 주어, 활동을 시작할 때 먹는 것이 유리 홍삼, 코엔자임큐텐, 비타민 B
영양성분 특성상 점심 복용이 추천되는 경우 오전 복용이 추천되지만, 섭취 횟수가 1일 2회인 경우
영양성분 특성상 저녁 복용이 추천되는 경우 근육과 신경을 안정시켜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칼슘, 마그네슘
영양성분 특성상 식후 복용이 추천되는 경우 지용성으로, 식후에 흡수율이 높아짐 비타민 A, D, E, K
영양성분 특성상 식전 복용이 추천되는 경우 포만감을 높여 식사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됨 식이섬유, 차전자피식이섬유
영양성분 특성상 공복 복용이 추천되는 경우 위에 음식물이 없을 때 흡수율이 높아짐 철, 홍삼, 크레아틴, 스피루리나
또한, 서버(200)는 복수의 건강기능식품들 사이의 동시 복용 적합도를 산출하고, 그를 참조하여 상기 복용 루틴 산출에 참조할 수 있다. 도 19에서는 동시 복용 적합도 판단에 대한 UI가 예시되었다. 도 18의 (a)에서는 동시 복용해도 괜찮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그리고 도 18의 (b)에서는 동시 복용하면 좋지 않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가 제공에 관한 예시가 도시되었다.
그 밖에, 서버(200)는 사용자가 복용 중인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과 현재 잔여량(또는 보유량)에 관한 요소를 더 고려하여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저녁 식후 루틴에 배치된 건강기능식품 A의 잔여량이 곧 소진 예정이고, 점심 식후 루틴에 건강기능식품 B와 C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A의 잔여량이 소진되는 날 이후에는 자동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 C를 저녁 식후 루틴으로 이동하여 섭취 루틴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서버(200)는 섭취 루틴 산출 시, 건강기능식품을 루틴 중 어느 곳에 배치할 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가중치가 반영하여 결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기능식품을 상기 루틴에 우선하여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서버(200)는 예를 들어, 영양제 A와 B가 동일 영양성분을 다량 보유하여 권장 섭취 시기가 아침 식후로 동일하더라도, 동일 영양성분을 포함하므로, 집중적으로 특정 시기에 복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 경우, 상기 영양제 A와 B 중 사용자의 최종 정보를 고려하여 우선순위가 더 높은 즉, 상기 사용자 맞춤형으로 더 적합한 영양제 A를 아침 식사 후 루틴에 배치하고, 영양제 B는 차선으로 점심 식사 후 루틴으로 배치 조정할 수 있다.
도 20의 (a)에서는 본 개시에 따라 섭취 루틴 산출 결과 출력의 예가 도시되었다.
한편, 도 20의 (b)에서는 섭취 루틴 산출 결과의 하나로서, 서버(200)에서 사용자의 단말(100)로 섭취 루틴 시간 별 알림(푸쉬) 전송에 관해 도시되었다.
사용자는 도 20의 (b)와 같은 섭취 루틴 산출 결과 및 알림 서비스를 통하여 섭취 루틴 준수 내지 위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소정 주기 예를 들어, 주간 단위로 섭취 루틴 준수 여부에 대한 정보(ex. 2월 1주차: 100%, 2월 2주차: 80%, 2월 3주차: 9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섭취 루틴에 맞게 영양제를 복용하는지 자가확인을 할 수 있다.
표 7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섭취 루틴 산출 또는 동시복용 적합도 산출에 대한 예시를 나타내었다.
섭취 추천 시간 상세 정보 근거 내용
비타민A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식후에 섭취 하기를 추천함 췌장액과 콜레스테롤 가수 분해 효소의 분비가 비타민 A의 분해 및 흡수를 더 용이하게 한다고 보고되었다.
비타민A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지방을 포함한 식품을 먹은 식사 후 에 섭취하기를 추천함 식이 중의 함유된 비타민 A는 지방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방이 적게 포함된 식사에서 지방 함량을 높이면 레티놀과 카로틴의 체내 흡수가 증진될 수 있고, 그 결과 비타민 A 영양상태가 개선될 수 있다.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루테인 등과 동시 복용하지 않기 를 추천함 다양한 카로티노이드를 함께 섭취할 때 카로티노이드는 서로 경쟁적인 상호작용을 갖는다. 베타-카로틴과 루테인을 함께 섭취하면 루테인만 섭취했을 때 보다 베타-카로틴에 의하여 루테인의 흡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베타-카로틴만 섭취했을 때 보다 루테인과 베타-카로틴을 함께 섭취했을 때 혈청 내 베타-카로틴 농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지방을 포함한 식품을 먹은 식사 후 에 섭취하기를 추천함 성인의 장내에서 흡수되는 일일 최대 베타-카로틴의 양은 약 2.5 mg인데, 최대치의 체내 흡수를 위해 한 끼 식사 당 최소 3-5 g의 지방량이 요구된다.
비타민D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지방을 포함한 식품을 먹은 식사 후 에 섭취하기를 추천함 담즙 및 췌장 리파제(lipase)의 분비를 자극하는 지방을 포함한 식품과 함께 비타민 D를 섭취한 경우 소장에서 효과적으로 흡수되었다.
비타민D는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약물과 동시 섭취를 피하도록 추천함 지방 흡수를 차단하는 약물을 섭취 하는 경우, 비타민 D 흡수도 함께 저해되었다.
비타민C는 4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먹도록 추천함 아스코르빈산 섭취량과 혈장 비타민 C 농도에 대하여 약동학 모델링을 통해 유추하였을 때, 매 4시간 마다 아스코르빈산을 3 g씩 섭취시켜도, 최대 혈장 비타민 C 농도는 220 μmol/L에 불과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고용량의 비타민B1은 한번에 섭취하기 보다는 나누어 먹도록 추천함 높은 농도의 티아민을 섭취한 경우 일부 소량만이 흡수되어 혈중 농도를 상승시키고 약 4-6시간 후에는 티아민과 티아민 대사물이 소변으로 거의 다 배설되어 정상 혈장 농도로 된다.
비타민B1은 매일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티아민의 체내 저장량이 매우 적고 생물학적 반감기가 9-18일 정도이므로 결핍 예방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티아민 섭취가 필요하다.
티아민의 흡수율은 다른 영양소나 성분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나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는 티아민의 흡수를 저해한다.
고용량의 비타민B2는 한번에 섭취하기 보다는 나누어 먹는 것 을 추천함 리보플라빈을 한 번에 섭취하는 양이 27 mg 이하이면 약 95% 정도 흡수되고 간, 심장, 신장에 약간 양이 저장된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리보플라빈 섭취량이 증가하면 조직과 혈액에서 이미 포화되었으므로 흡수되지 않고, 소량이 흡수되더라도 유리 리보플라빈 또는 7-hydroxymethyl riboflavin이나 lumiflavin과 같은 산화대사체 형태로 소변을 통해 배설된다.
비타민B2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복에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리보플라빈의 흡수율은 다른 영양소나 성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식품마다 흡수율이 다를 수 있다.
엽산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복에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엽산 보충제에 들어 있는 folic acid 형태는 공복에 섭취하는 경우에는 100% 흡수되지만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하는 경우에는 약 85%가 흡수된다.
엽산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이섬유 섭취와 시간 간격을 두어 단독으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함 식품 중의 성분 중에는 특정 형태의 식이섬유, 예를 들면 밀겨에 있는 식이섬유가 엽산의 생체이용률을 낮출 수 있다.
칼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와 동시 섭취 를 추천함 칼슘섭취량이 적을 경우에는 주로 능동 수송으로 운반 흡수되며, 이 때 혈청 비타민 D의 활성형인 칼시트리올[calcitriol, 1,25(OH)2D]과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의 영향을 받는다.
칼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와 동시 섭취 를 추천함 1,25-다이하이드록시비타민 D3(1,25(OH)2D3, 칼시트리올)은 전체 소장에서, 특히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칼슘과 다른 미네랄 제제는 섭취 시간을 다르게 추천함 과량의 칼슘 섭취는 철분과 아연 등 다른 미량무기질의 흡수를 저해할 수 있다.
마그네슘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D와 동시 섭취 를 추천함 비타민 D와 비타민 D의 대사물질은 마그네슘의 흡수를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마그네슘의 생체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이섬유 섭취와 시간 간격을 두어 단독으로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피틴산 및 셀룰로오스와 같은 식이섬유도 마그네슘의 흡수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철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C와 동시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비타민 C는 쉽게 철과 결합하여 용해성의 화합물을 형성할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제2철
(Fe3+)을 제1철(Fe2+)로 환원시키기 때문에 철의 흡수에 도움이 된다.
철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제산제와 같은 약물과 동시 섭취하지 않는 것 을 추천함 제산제의 사용 등으로 위산분비가 저하되면 위 내용물의 pH가 높아져서 제1철(Fe2+)이 불용성의 물질로 침전되어 흡수율이 낮아지는 요인이 된다.
철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공복에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곡류의 섬유질에 많은 피틴산, 채소류에 많은 옥살산, 적포도주 및 차의 성분인 폴리페놀(탄닌) 등은 비헴철의 흡수를 저해하는 성분들이다. 특히 피틴산을 함유한 두류, 곡류의 철 흡수율은 0.8-0.9% 정도로 매우 낮다.
아연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식후에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아연은 동물성 단백질과 아미노산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진다.
아연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칼슘과 동시 복용하지 않을 것 을 추천함 아연은 인산염이나 칼슘, 피틴산과 같은 아연 흡수를 저해하는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구리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식후에 섭취 하는 것을 추천함 위산은 식이에 포함된 구리의 분리를 통해 구리의 용해를 증진시킨다.
크롬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비타민C와 함께 섭취 할 것을 추천함 비타민C는 크롬의 흡수율을 높여준다.
크롬의 흡수울을 높이기 위해 아연과 동시 복용하지 않을 것 을 추천함 크롬과 아연은 상호 경쟁관계에 있어 아연부족 쥐에서 크롬의 흡수율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상기에서, 표 1 내지 7에 나타난 내용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로서, 본 개시는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각 도면의 동작 순서는 실시예에 따라서 일부 동작들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상이할 수도 있다.
이상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용 중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자가진단(Self-Medication)을 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구매 전 복용 예상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DB에 포함시켜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영양점수를 통해 적합도를 확인하여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복용 중인 다양한 종류의 건강기능식품에 대하여 동시 복용 적합도, 유통기한, 잔여량 등을 고려한 섭취 루틴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복용 루틴에 따른 알림을 전송함으로써 복용 누락을 방지하면서, 복용 루틴 준수 여부에 대한 자가진단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단말 200 : 서버
210 : 메모리 220 : 프로세서
310 : 통신모듈 320 : 데이터추출모듈
330 : 적합도산출모듈 340 : 제어모듈
350 : DB

Claims (10)

  1.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어,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용 루틴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합도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를 포함하고,
    상기 복용 루틴 정보는, 상기 입력받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 각각 또는 복수의 건강기능식품의 권장 복용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점수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필수 영양소와 목적별 영양소에 대해 구분하여 산출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점수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 내 상기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비추천 영양 성분 포함 여부를 참조하여 산출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점수는,
    상기 필수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 목적별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 및 비추천 영양 성분 포함 여부에 따른 영양 점수가 합산된 종합 영양 점수를 포함하되,
    상기 필수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와 목적별 영양소에 대한 영양 점수는, 미리 설정된 가중치가 상기 합산 전에 적용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루틴 정보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 고유의 권장 복용 루틴 정보와 상기 유저 헬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의 식사 루틴에 관한 추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건강기능식품 권장 복용 루틴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용 루틴 정보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가 동일한 경우에는, 해당 건강기능식품에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복용 루틴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알림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방법.
  9.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를 고려하여 상기 적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받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 정보 내 동시 복용 건강기능식품 목록 및 상기 목록 내 개별 또는 복수의 건강기능식품들의 권장 복용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장치.
  10.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 및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에 기반 유저 헬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유저 헬스 데이터 기반 각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적합도를 산출하여, 상기 산출된 적합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영양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영양 점수,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및 잔여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각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동시 복용 적합도를 고려하여 상기 적합도를 산출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받은 복용 중 또는 복용 예정인 건강기능식품 정보 내 동시 복용 건강기능식품 목록 및 상기 목록 내 개별 또는 복수의 건강기능식품들의 권장 복용 시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복용 루틴 정보를 생성하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20024619A 2022-02-24 2022-02-24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05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619A KR102405675B1 (ko) 2022-02-24 2022-02-24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619A KR102405675B1 (ko) 2022-02-24 2022-02-24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675B1 true KR102405675B1 (ko) 2022-06-08

Family

ID=81981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619A KR102405675B1 (ko) 2022-02-24 2022-02-24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6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340B1 (ko) * 2022-11-02 2024-01-29 롯데헬스케어 주식회사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702463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영양 분석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02462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섭취제품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02461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건강관련제품 추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915A (ko) 2005-12-08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기판 보지 장치, 노광 장치, 노광 방법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102124519B1 (ko) * 2019-10-10 2020-06-18 남창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10020191A (ko) * 2019-08-13 2021-02-24 왓비타 주식회사 영양소 추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236291B1 (ko) * 2020-07-08 2021-04-05 주식회사 투비원솔루션즈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3915A (ko) 2005-12-08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기판 보지 장치, 노광 장치, 노광 방법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KR20210020191A (ko) * 2019-08-13 2021-02-24 왓비타 주식회사 영양소 추천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2124519B1 (ko) * 2019-10-10 2020-06-18 남창원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236291B1 (ko) * 2020-07-08 2021-04-05 주식회사 투비원솔루션즈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플래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340B1 (ko) * 2022-11-02 2024-01-29 롯데헬스케어 주식회사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WO2024096464A1 (ko) * 2022-11-02 2024-05-10 롯데헬스케어 주식회사 제품 추천 방법 및 장치
KR102702463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영양 분석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02462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섭취제품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702461B1 (ko) * 2023-10-20 2024-09-04 주식회사 이노즈 건강관련제품 추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675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상태 및 복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05676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502698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nutrimers
US20180004914A1 (en) Personal Health Advisor System
US90111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pecific modulation of nutrient intake
Camp et al. Nutritional treatment for inborn errors of metabolism: indications, regulations, and availability of medical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using phenylketonuria as an example
KR102405677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기반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9959561B2 (en) Simplenutrition nutritional management system
de Lourdes Samaniego-Vaesken et al. Vitamin food fortification today
KR102124519B1 (ko)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20092556A (ko) 개인 맞춤형 일일 영양 보충제 패키지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019151A1 (en) Wellness healthcare and personalized medicine system
KR20210136483A (ko) 건강기능식품 복용효과 수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시스템
US20220238038A1 (en) Nutrition management and kitchen appliance
Huang et al. Multivitamin/Mineral Suppleme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Executive Summary3
KR20230056533A (ko) 샐러드 메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1679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ining a dietary treatment regimen using ranked based scoring
Lewis et al. The role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meeting individual nutritional needs
KR10240567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개인화된 건강기능식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44237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nutritional recommendations for intermittent fasting
KR101404503B1 (ko) 환자 처방전으로부터 관련 질병의 추출 및 추출된 질병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Wilson et al. Nutrition Guidelines for Improved Clinical Care
KR20230114688A (ko) 건강기능식품 추천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405674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코호트 분석 기반 건강기능식품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avithe et al. Dietary intake and factors affecting food service of male prisoners living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t selected prisons in Keny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