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029B1 -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029B1
KR102405029B1 KR1020200166625A KR20200166625A KR102405029B1 KR 102405029 B1 KR102405029 B1 KR 102405029B1 KR 1020200166625 A KR1020200166625 A KR 1020200166625A KR 20200166625 A KR20200166625 A KR 20200166625A KR 102405029 B1 KR102405029 B1 KR 10240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lenoid
clutch transmission
gear actu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6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가헌
김홍철
원치건
유철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에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에이씨 filed Critical (주)케이에이씨
Priority to KR1020200166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0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0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12Cooling or heating; Control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2Look-up tables
    • F16D2500/70205Clutch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모터 수용부와 솔레노이드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솔레노이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모터 수용부 및 솔레노이드 수용부와 이격된 테두리를 따라서 제1장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하우징부, 제1하우징부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테두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cylinder-shaped motor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motor is embedded and a cylinder-shape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in which the solenoid is embedded, and a first mounting surface is formed along the edge spaced apart from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and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 at the upper end. The first housing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using part,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has a second housing part having an extension flange part bent downward from the edge part so that a space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embedded is provided. It provides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that includes.

Description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다이캐스팅 제조를 통해 온실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에 적합하게 되며, 내구 진행 후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simplify a manufacturing process while reducing the size and volume of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nd die casting of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It relates to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that minimizes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through manufacturing,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eco-friendliness, and reducing cracks, deformation and damage occurring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clutch transmission after durability.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의 구동력을 적절한 기어비로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가 이용되며 이러한 변속기는 하우징에 내장되어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된다.In general, a transmissio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an engine to an appropriate gear ratio is used in a vehicle, and the transmission is built into a housing a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종래의 수동변속기 차량에 탑재되는 단판 클러치 변속기와는 달리 2조의 클러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클러치에는 홀수단 기어를 구현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클러치에는 짝수단 기어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써, 조작이 쉽고 특히 변속시간이 빠른 장점으로 인해 높은 연비를 발휘할 수 있는 등 널리 사용되고 있다.Unlike a single-plate clutch transmission mounted on a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vehicle, the dual-clutch transmission has two sets of clutches, so that one clutch implements an odd gear and the other clutch implements an even gear. As a system,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easy to operate and, in particular, can exhibit high fuel efficiency due to the advantage of fast shifting time.

이러한,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2조의 클러치로 이루어진 듀얼클러치와, 듀얼클러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각 변속단을 설정하는 변속레버와, 듀얼클러치의 클러치들을 각각 제어하는 클러치 액츄에이터(Clutch Actuator)와, 변속레버에 셀렉팅 및 시프팅 동작을 가해 변속을 실시하는 기어 액츄에이터(Gear Actuator)와, 차속 등 차량의 각종 정보와 변속 명령을 전달받아 클러치 액츄에이터 및 변속 액츄에이터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전자 제어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으로 구성된다.Such a dual-clutch transmission includes a dual clutch comprising two sets of clutches, a shift leve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dual clutch to set each shift stage, a clutch actuator that controls each of the dual clutch clutches, and a shift lever A gear actuator that performs shifting by applying a selecting and shifting operation to the engin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hat electronically controls the clutch actuator and shift actuator by receiving various vehicle information and shift commands such as vehicle speed ) is composed of

도 1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of a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츄에이터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셀렉팅 및 쉬프팅 동작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와 솔레노이드(120), 하우징(110)에 회전되거나 직선 이동되도록 관통 결합되어 셀렉팅 및 쉬프팅 동작을 위한 변속핑거를 외측에 구비하는 변속샤프트(140) 등이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gear actuator of the manual transmission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 housing 110 to generate power for the selecting and shifting operation. The motor 130, the solenoid 120, the housing ( 110) is provided with a shift shaft 140, etc. which are coupled through to be rotated or moved in a straight line and have shift fingers for selecting and shifting operations on the outside.

여기서, 종래의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은 주조품의 제조 후 별도의 기계 가공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고,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기계적 강도 대비 크기와 부피가 과대하고 중량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ere, the conventional gear actuator housing has a problem that requires separate machining after manufacturing the casting,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size and volume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are excessive compared to the mechanical strength and the weight is increased.

또한,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열은 자연대류를 통해서만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어 내부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된 열이 모터과 솔레노이드 등에 전달되어 과열로 인해 인쇄회로기판과 모터, 솔레노이드의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었고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자체의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In additio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gear actuator housing is cooled only through natural convection, so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built inside is transferred to the motor and solenoid, etc. This caused a problem in that the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itself were also reduced.

따라서,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면서도, 내구 진행 후 인쇄회로기판과 모터, 솔레노이드의 고장 빈도를 줄이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연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while reduc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clutch transmission and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reduces the frequency of failure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otor, and solenoid after durability, and cracks and deformations occurring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clutch transmission And the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that can reduce damage is increasing.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내구 진행 후의 고장 빈도를 줄이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this background, an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manufacturing process while reduc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the dual-clutch transmission,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motor, and solenoid built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the dual-clutch transmiss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that can reduce the frequency of failures after the durability progress of the dual-clutch transmission and reduce cracks, deformation, and damage occurring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터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모터 수용부와 솔레노이드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솔레노이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모터 수용부 및 솔레노이드 수용부와 이격된 테두리를 따라서 제1장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하우징부, 제1하우징부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테두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하우징부를 포함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cylinder-shaped motor accommodating part and a solenoid having a built-in cylinder-shape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and a motor accommodating part and a solenoid accommodating part an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part The first housing portion having the first mounting surface formed along the edge,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s bent downward from the edge portion so that a space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embedded is provided. There is provided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including a second housing portion having a flange portion formed there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내구 진행 후의 고장 빈도를 줄이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while reduc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the dual-clutch transmission,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otor embedded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the dual-clutch transmiss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failures after the durability of the solenoid, etc., and reducing cracks, deformation and damage occurring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clutch transmissions.

도 1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of a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component may be “interposed” or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도 1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기어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of a conventional manual transmission, FIG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front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gear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view showing the actuator housing, FIGS. 7 to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200)은, 모터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모터 수용부(211a, 211b)와 솔레노이드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모터 수용부(211a, 211b) 및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와 이격된 테두리를 따라서 제1장착면(216)이 형성되어 있는 제1하우징부(210), 제1하우징부(2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테두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플랜지부(217)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하우징부(2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gear actuator housing 200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ylinder shape in which a motor is mounted and a solenoid is mounted therein. of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s 213a and 213b, th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211b and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s 213a, 213b and the first mounting surface 216 are formed along the spaced edge of the first The housing portion 210, an extension flange portion 217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210,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s downwardly from the edge portion so that a space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embedded is provided. and the formed second housing part 220 .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200)은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다수의 기어장치와 리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셀렉팅 및 시프팅 동작을 구현하는 동작 구현 장치로서,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 구동력과 직선 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솔레노이드가 내장되어 차량에 장착된다.The gear actuator housing 200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realizing device that implements a selecting and shifting operation using a plurality of gear devices and lead screws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 a motor and a solenoid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and a linear movement driving force are installed inside the gear actuator housing 200 and mounted on the vehicle.

여기서, 모터와 솔레노이드 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motor and the solenoid are components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200)은 크게 제1하우징부(210)와 제2하우징부(220)로 이루어지는데, 제1하우징부(210)에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모터와 솔레노이드가 내장되는 모터 수용부(211a, 211b)와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가 구비되어 있다.The gear actuator housing 200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first housing part 210 and a second housing part 220, and the first housing part 210 has a cylindrical shap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and 211b and solenoid accommodating parts 213a and 213b which are formed and have a motor and a solenoid built therein are provided.

그리고, 제1하우징부(210)의 상단부에는 모터 수용부(211a, 211b) 및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와 이격된 테두리부를 따라서 제1장착면(216)이 형성되어 있어서 파워팩 하우징과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mounting surface 216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210 along the edg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and 211b and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s 213a and 213b to be combined with the power pack housing. it is made to be

제1하우징부(210)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하우징부(220)에는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테두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플랜지부(217)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housing part 2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using part 210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has an extension flange part 217 bent downward from the edge part so that a space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embedded is provided therein. ) is formed.

그리고, 제2하우징부(220)의 양측부위 중 일측에는 다른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원부 및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 연결부(22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onnector connection part 225 is form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connected to another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ontrol unit.

커넥터 연결부(225)는 제2하우징의 내부에 커넥터가 삽입되는 빈 공간(225b)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플랜지부(217)의 씰링면(227a)과 연결되는 커넥터 씰링면(225a)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서 제2하우징부(220)와 결합되는 커버(미도시)와 결합시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The connector connecting part 225 has an empty space 225b into which the connector is inserted is formed inside the second housing, and the connector sealing surface 225a connected to the sealing surface 227a of the extended flange part 217 is connected. Thus, it is sealed when coupled with a cover (not shown)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unit 220 .

모터 수용부(211a, 211b)는 제1하우징부(210)의 상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모터의 축방향으로 개구되는 모터 개구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모터축이 관통되게 결합되며, 모터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크랙이 발생되지 않게 최소 2단 이상으로 단차지게 형성 되어 있다.Th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and 211b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part 210 and are formed with a motor opening hole that is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motor shaft is coupled therethrough. It is formed with at least two steps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due to vibration.

즉, 듀얼클러치 변속기 자체의 내구 수명이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의 장기를 필요로 하므로 장시간에 걸쳐서 모터의 진동이 제1하우징부(210)에 전달되면 모터가 지지되며 결합되는 모터 수용부(211a, 211b)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200)의 내구 수명을 단축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durability of the dual-clutch transmission itself requires a long period of at least 5 to 10 years or more, when the vibration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housing unit 210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motor is supported and coupled to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211a , 211b) may be cracked, which shortens the durability life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200 .

따라서, 모터 수용부(211a, 211b)의 외주면이 제1하우징부(210)의 상단부에서 외경이 단차지며 줄어들면서 돌출 형성됨으로써 모터 수용부(211a, 211b) 주위의 강성을 증대시키게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and 211b is formed to protrude as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with a step differe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210,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around th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and 211b.

이러한 모터 수용부(211a, 211b)는 제1하우징부(210)의 중앙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모터 수용부(211a)와 제2모터 수용부(211b)가 이격 배치되어 있어서, 제1모터는 홀수단 기어의 시프팅을 수행하게 되고 제2모터는 짝수단과 후진 기어의 시프팅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These motor accommodating parts (211a, 211b) have a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211a and a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 211b) are spaced apart, the first motor shifts the odd gear and the second motor shifts the even gear and the reverse gear.

즉, 제1모터는 1, 3, 5, 7단의 시프팅을 수행하고 제2모터는 2, 4, 6, R단의 시프팅을 수행하게 셋팅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반대로 제1모터와 제2모터가 각각 짝수단과 후진 기어, 홀수단 기어를 시프팅하게 셋팅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motor is set to perform shifting of stages 1, 3, 5, and 7, and the second motor is set to perform shifting of stages 2, 4, 6, and R. The second motor may be set to shift the even gear, the reverse gear, and the odd gear, respectively.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는 제1하우징부(210)의 중앙에 한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제1하우징부(210)의 상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모터의 축방향으로 개구되는 솔레노이드 개구홀이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solenoid accommodating portions 213a and 213b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210, and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210 and are solenoid opening holes that are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is formed.

즉, 솔레노이드 수용부(213a, 213b)는 제1모터 수용부(211a)와 제2모터 수용부(211b)의 사이인 제1하우징부(210)의 중앙에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와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가 이격 배치되어 있다.That is,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s 213a and 213b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housing part 210 between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211a and the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211b with the first solenoid accommodating part 213a and The second solenoid receiving portions 21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솔레노이드는 공급된 전기 에너지를 샤프트의 직선 운동을 위한 운동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구성으로서, 샤프트의 직선 운동을 통해 기어의 셀렉팅 동작이 이루어진다. Here, the solenoid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the supplied electrical energy into kinetic energy for the linear motion of the shaft, and the gear se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linear motion of the shaft.

즉, 제1솔레노이드는 1, 3, 5, 7단의 셀렉팅을 수행하고, 제2솔레노이드는 2, 4, 6, R단의 셀렉팅을 수행하게 셋팅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와 반대로 제1솔레노이드와 제2솔레노이드가 각각 짝수단 기어와 후진기어, 홀수단 기어를 셀렉팅하게 셋팅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solenoid is set to select stages 1, 3, 5, and 7, and the second solenoid is set to select stages 2, 4, 6, and R. In some cases, on the contrary, the first solenoid and the second solenoid may be set to select an even gear, a reverse gear, and an odd gear, respectively.

제1하우징부(210)에는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의 일측 외주면과 연결되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돌출지지부(215a)가 형성되어 있다.A first protrusion support part 215a connected to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213a and protruding upward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213a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part 210 .

그리고, 제1하우징부(210)에는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의 타측 외주면과 연결되며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출지지부(215b)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b is formed in the first housing portion 210,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olenoid accommodation portion 213b and protrudes above the second solenoid accommodation portion 213b.

이러한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에는 변속레버(미도시)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솔레노이드에 의해 셀렉팅 작동되며 제1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솔레노이드가 고정되는 체결홀(213c, 213d)가 구비되어 있다.A shift lever (not show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215b, respectively, to be selected by a solenoid, and a fastening hole (not shown) to which the solenoid is fixed inside the first housing 213c, 213d) are provided.

제1돌출지지부(215a)의 하단에는 제1돌출지지부(215a)의 상단과 연결되며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1지지격벽(214)이 형성되어 있고, 제2돌출지지부(215b)의 하단에는 제2돌출지지부(215b)의 상단과 연결되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2지지격벽(212)이 형성되어 있다.A first support partition wall 214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a and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olenoid receiving part 213b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sion A second support partition wall 212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b and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ortion 213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215b.

따라서, 제1솔레노이드와 제2솔레노이드의 작동시 변속레버가 회전 지지되는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가 내구 진행 후에도 크랙이나 변형이 발생되지 않고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215b, on which the shift lever is rotatably supported when the first solenoid and the second solenoid are operated, do not crack or deform even after the durability progresses, and rigidity can be maintained. .

즉, 듀얼클러치 변속기 자체의 내구 수명이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의 장기를 필요로 하므로 장시간에 걸쳐서 제1솔레노이드와 제2솔레노이드가 변속레버를 작동시키면서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에 하중이 전달되면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에 크랙과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는 변속레버의 오작동 내지는 작동불능을 일으키며 내구 수명을 크게 단축시키게 된다.That is, since the durability of the dual-clutch transmission itself requires a long period of at least 5 to 10 years or more, the first solenoid and the second solenoid operate the shift lever ove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When the load is transferred to the 215b, cracks and deformations may occur in the first protrusion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215b, which may cause malfunction or inoperability of the shift lever, and greatly shorten the durability life.

따라서, 제1돌출지지부(215a)의 상단과 연결되며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1지지격벽(214)이 형성되고 제2돌출지지부(215b)의 상단과 연결되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2지지격벽(212)이 형성됨으로써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 및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와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 주위의 강성을 증대시키게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upport partition wall 214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a and connect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olenoid receiving portion 213b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b The second support partition wall 212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213a is formed, so that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a,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215b, and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213a and the second solenoid are formed. The rigidity around the receiving portion 213b is increased.

또한, 제1지지격벽(214)과 제2지지격벽(212)의 사이와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와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목홈(218)이 구비되어 있어서,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 및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213a)와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213b)에 하중이 전달될 때 제1지지격벽(214)과 제2지지격벽(212)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concave groove 218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artition wall 214 and the second support partition wall 212 an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213a and the second solenoid receiving part 213b. , When a load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215b and the first solenoid accommodating part 213a and the secon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213b, the first support bulkhead 214 and the second The support partition wall 212 is elastically deformable.

즉,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하중이 듀얼클러치 변속기 자체에 전달되는 경우 자동차의 차체에 결합되어 있는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200)에 비틀림 하중이 전달된다.That is, when the impact load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dual clutch transmission itself, the torsional load is transmitted to the gear actuator housing 200 coupled to the vehicle body.

이 때 상대적으로 강성이 큰 제1돌출지지부(215a)와 제2돌출지지부(215b) 사이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탄성 변형이 발생되고 제1지지격벽(214)과 제2지지격벽(212)의 탄성 변형으로 인한 부피 변화를 오목홈(218)이 흡수함으로써 제1지지격벽(214)과 제2지지격벽(212)의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elastic deformation occurs whe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a and the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215b, which is relatively rigid, is widened or shriveled, and the elasticity of the first support partition wall 214 and the second support partition wall 212 is generated. Since the concave groove 218 absorbs the volume change due to deformation, cracks or damage of the first support partition wall 214 and the second support partition wall 212 can be prevented.

한편, 제2하우징부(220)의 상측면에는 냉각핀(221a, 221b, 221c)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2하우징부(220)의 내측에 내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방출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cooling fins 221a , 221b , 221c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built in the second housing part 220 emits heat.

그리고, 제2하우징부(220)의 내측에는 연장플랜지부(217)와 단차진 평면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223a, 223b, 223c)와 인쇄회로기판의 조립위치와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224a), 인쇄회로기판을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24b) 등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ousing part 220 is formed with an extended flange part 217 and a stepped plane, and the PCB seating parts 223a, 223b, 223c o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and the assembly position and separ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fixing protrusion 224a for preventing the , fixing holes 224b for fix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with a fixing member are formed.

기판안착부(223a, 223b, 223c)는 제2하우징부(220)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기판안착부(223a)와 제2기판안착부(223c), 제1기판안착부(223a)와 제2기판안착부(223c)의 사이에 배치되며 연장플랜지부(217)와 연결되는 제3기판안착부(223b)를 포함한다.The substrate seating parts 223a, 223b, and 223c include a first substrate seating part 223a, a second board seating part 223c, and a first substrate seating part 223a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It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seating parts 223c and includes a third substrate seating part 223b connected to the extended flange part 217 .

이렇게 기판안착부(223a, 223b, 223c)가 제2하우징부(220)의 양측부위와 중앙부로 분리 배치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방열이 제2하우징부(220)의 어느 일측으로 몰리지 않고 양측과 중앙부위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게 되며 모터와 솔레노이드에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board seating parts 223a, 223b, and 223c are separated into both sides and the central part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the heat radi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not driven to eith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but both sides and the center It can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area, and heat transfer to the motor and solenoid can be minimized.

여기서, 인쇄회로기판은 두개 이상으로 분리 형성되거나 일체로 한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formed separately in two or more or may be integrally formed as one.

이렇게 분리 배치된 제1기판안착부(223a)와 제2기판안착부(223c) 및 제3기판안착부(223b)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연결과 조립이 용이해지고 제2하우징부(220) 상측면으로의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 first board seating part 223a, the second board seating part 223c, and the third board seating part 223b separately arranged in this way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so that it is easy to connect and assembl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Heat transf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20 is uniformly performed.

그리고, 냉각핀(221a, 221b, 221c)은 제1기판안착부(223a)와 제2기판안착부(223c) 및 제3기판안착부(223b)와 각각 대응되는 제2하우징부(220)의 상측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제1기판안착부(223a)와 제2기판안착부(223c) 및 제3기판안착부(223b)에서의 열전달과 냉각이 최대화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fins 221a, 221b, and 221c are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seating part 223a, the second substrate seating part 223c, and the third substrate seating part 223b, respectively. By being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heat transfer and cooling from the first substrate seating part 223a, the second substrate seating part 223c, and the third substrate seating part 223b are maximized.

또한, 냉각핀(221a, 221b, 221c)은 제2하우징부(220)의 테두리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최대한 테두리부부에서 중심부쪽으로 신속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fins (221a, 221b, 221c) ar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thickness from the edge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toward the center, so that th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can move quickly from the edge to the center as much as possible. is to be done

즉, 공기가 유입되는 테두리부에서는 냉각핀(221a, 221b, 221c) 사이의 간격을 넓게하고 중심부쪽으로 갈수록 냉각핀(221a, 221b, 221c) 사이의 간격을 좁게함으로써 공기의 유속이 점진적으로 빨라지면서 대류에 의한 냉각 효과가 증대된다.That is, by wide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cooling fins 221a, 221b, and 221c at the edge portion where the air is introduced, and narrowing the interval between the cooling fins 221a, 221b and 221c toward the center, the air flow rate is gradually increased. The cooling effect by convection is increased.

한편, 제2하우징부(2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필터결합부(228)는 제2하우징부(220)의 상측면을 관통하게 형성되며 제1기판안착부(223a)와 대응되는 위치의 냉각핀(221a, 221b, 221c)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coupling part 228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220 and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seating part 223a. It is formed between the cooling fins (221a, 221b, 221c).

이러한 필터결합부(228)에는 결합홀이 형성된 결합부(228a), 제2하우징부(220)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어 결합부(228a)를 둘러싸는 내측 돌출단부(228d), 내측 돌출단부(228d)의 외측을 둘러싸는 외측 돌출단부(228b, 228c)가 구비된다.The filter coupling part 228 has a coupling part 228a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an inner protruding end 228d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220 to surround the coupling part 228a, an inner protruding end ( Outer protruding ends 228b and 228c surrounding the outside of 228d are provided.

내측 돌출단부(228d)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절개된 절개부(229)가 구비되어 있어서 자동차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절개부(229)로 내측 돌출단부(228d)가 벌어지거나 오므라드는 탄성 변형이 발생되며 부피변화를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inner protruding end 228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radially cut out cutout 229, so that when an impact load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is transmit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the inner protruding end 228d is formed into the cutout 229. The elastic deformation occurs when the gap is widened or the convexity is made to absorb the volume change.

그리고, 외측 돌출단부(228b, 228c)도 방사상으로 절개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절개된 외측 돌출단부(228b, 228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 돌출단부(228c)는 냉각핀(221a)과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 돌출단부(228d) 주위의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주변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여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outer protruding ends 228b and 228c also have a radially cut-out shape, and at least one outer protruding end 228c of the cut out outer protruding ends 228b and 228c is connected to the cooling fin 221a. It is form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rigidity around the inner protruding end 228d and at the same time facilitate the flow of ambient air, thereby enhancing the cooling effect.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은 구리, 실리콘, 마그네슘, 아연, 철, 망간, 크롬, 니켈, 주석, 납, 티타늄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과 알루미늄이 혼합되어 다이캐스팅되며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후 별도의 기계 가공이 최소화되고,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성능 대비 크기와 부피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As such, the gear actuator housing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aluminum and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pper, silicon, magnesium, zinc, iron, manganese, chromium, nickel, tin, lead, and titanium. By being die-cast and integrally formed, separate machining after manufacturing is minimized, and the size, volume, and weight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erforman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의 크기와 부피를 줄이면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내구 진행 후의 고장 빈도를 줄이고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크랙과 변형 및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ified while reducing the size and volume of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the dual-clutch transmission,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motor embedded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the dual-clutch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equency of failures after the durability of solenoids, etc., and to reduce cracks, deformation and damage occurring in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clutch transmission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as one combined or combine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embedd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is not The protection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제1하우징부 211a: 제1모터 수용부
211b: 제2모터 수용부 213a: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
213b: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 215a: 제1돌출지지부
215b: 제2돌출지지부 220: 제2하우징부
223a, 223b, 223c: 기판안착부
210: first housing portion 211a: first motor receiving portion
211b: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213a: first solenoid accommodating part
213b: second solenoid receiving part 215a: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15b: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220: second housing part
223a, 223b, 223c: substrate seating part

Claims (16)

모터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모터 수용부와 솔레노이드가 내장되는 실린더 형상의 솔레노이드 수용부가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모터 수용부 및 솔레노이드 수용부와 이격된 테두리를 따라서 제1장착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하우징부;
상기 제1하우징부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에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는 공간이 구비되도록 테두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 연장되는 연장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하우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부의 상측면에는 냉각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우징부의 내측에는 상기 연장플랜지부와 단차진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기판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판안착부는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기판안착부와 제2기판안착부, 상기 제1기판안착부와 제2기판안착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연장플랜지부와 연결되는 제3기판안착부를 포함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A first housing having a cylinder-shaped motor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motor is built in and a cylinder-shape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in which a solenoid is built in, and a first mounting surface formed along an edge spaced apart from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and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 at the upper end. wealth;
a second housing part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housing part having an extension flange part bent downward from the edge part so that a space in which a printed circuit board is embedded is provided;
includes,
A cooling fi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A board seating part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part in a stepped plane with the extension flange part,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The substrate seating portion is disposed between a first substrate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substrate seating port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n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bstrate seat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xtended flange portion.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including a board sea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수용부는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축방향으로 개구되는 모터 개구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The method of claim 1,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part and the motor opening hole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수용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수용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제1모터 수용부와 제2모터 수용부가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accommodat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on both sides based on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수용부는 상기 제1하우징부의 상단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축방향으로 개구되는 솔레노이드 개구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The method of claim 1,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and has a solenoid opening hole that is ope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o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수용부는 상기 제1모터 수용부와 제2모터 수용부의 사이에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와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가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enoid accommodating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olenoid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between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and the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에는 상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의 일측 외주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ous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ortio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that protrudes above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부에는 상기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의 타측 외주면과 연결되며 상기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돌출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ousing part has a second protrusion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and protruding above the second solenoid accommodating par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1돌출지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1지지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8. The method of claim 7,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upport bulkhea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and is connect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solenoid receiving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2돌출지지부의 상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의 외주면과 연결되는 제2지지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9. The method of claim 8,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upport bulkhead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art and is conn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격벽과 제2지지격벽의 사이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 수용부와 제2솔레노이드 수용부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목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10. The method of claim 9,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 concave groov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ulkhead and the second support bulkhead an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solenoid receiving part and the second solenoid receiv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안착부와 제2기판안착부 및 제3기판안착부는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The method of claim 1,
The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bstrate seating portion, the second substrate seating portion, and the third substrate seating portion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제1기판안착부와 제2기판안착부 및 제3기판안착부와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2하우징부의 상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oling fins are respectively formed on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seating portion, the second substrate seating portion, and the third substrate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제2하우징의 테두리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클러치 변속기용 기어 액츄에이터 하우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oling fin is a gear actuator housing for a dual-clutch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dge of the second housing toward the center.
KR1020200166625A 2020-12-02 2020-12-02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24050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25A KR102405029B1 (en) 2020-12-02 2020-12-02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625A KR102405029B1 (en) 2020-12-02 2020-12-02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029B1 true KR102405029B1 (en) 2022-06-08

Family

ID=8198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625A KR102405029B1 (en) 2020-12-02 2020-12-02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0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064A (en) * 2015-09-04 2017-03-09 アスモ株式会社 Motor with speed reducer
KR20180009200A (en) * 2016-07-18 2018-01-26 현대다이모스(주) Gear actuator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51064A (en) * 2015-09-04 2017-03-09 アスモ株式会社 Motor with speed reducer
KR20180009200A (en) * 2016-07-18 2018-01-26 현대다이모스(주) Gear actuator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1088B2 (en) Damper device
US8720658B2 (en) Starting device and damper device for use therein
US20120208647A1 (en) Damper device
KR102405029B1 (en) Gear actuator housing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KR20120117899A (en) Lockup device for torque converter
CN110312879A (en) With the combination drive module for being fixed to the rotor of hub using pressing for end ring
CN109737163A (en) A kind of moving-coil type actuator for Active engine mount
KR101592730B1 (en) Clutch assembly
US11338670B2 (en) Transmission with power electronics module
JP7233346B2 (en) Torque converter lockup device
US6277027B1 (en)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with connecting elements attached by outward pressings
JP2017512974A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manufacturing method
JP5326985B2 (en) Clutch mechanism
US11466765B2 (en) Lock-up device of torque converter
CN212564292U (en)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ame
KR20130072900A (en) Torque converter for vehicle
KR100813356B1 (en) Disc/hub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056850B1 (en) Automotive Torque Converter
KR101344523B1 (en) A radiator mounting structure
KR100428110B1 (en) A Roll Rod for Engine Mount of Vehicle
CN219974985U (en) Valve plate, gearbox and vehicle
KR102429995B1 (en) Torsional damper structure
US8540064B2 (en) Drive for an hybrid vehicle and clutch having a release mechanism
JP4694876B2 (en) Fluid torque transmission device
JP6346414B2 (en) Lock-u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