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869B1 -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869B1
KR102404869B1 KR1020210149306A KR20210149306A KR102404869B1 KR 102404869 B1 KR102404869 B1 KR 102404869B1 KR 1020210149306 A KR1020210149306 A KR 1020210149306A KR 20210149306 A KR20210149306 A KR 20210149306A KR 102404869 B1 KR102404869 B1 KR 102404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civil
call
complai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범수
조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정보
(주)두타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정보, (주)두타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정보
Priority to KR102021014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01F13/065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specially adapted for individual parking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07C1/30Parking me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1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 H04M3/523Centralised call answering arrangements requiring operator intervention, e.g. call or contact centers for telemarketing with call distribution or queu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사용자 단말, 주차비 처리 단말, 통화 봇 시스템, 주차 민원 상담 단말 및 통합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진입로에 위치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면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며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 통합 주차 관리 서버에 의해 주차 요금의 정산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주차비 정산 처리가 요청되면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주차비의 정산을 처리하며 민원인의 민원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통화 봇 시스템이 호 연결이 되도록 중개하는 주차비 처리 단말,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호 연결된 후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민원이 처리되도록 하는 통화 봇 시스템 및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 금액이 정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에 제공하여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 봇 시스템과 통신하여 민원을 처리하는 통합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COMPLAINTS HANDLING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AI 기반의 통화 봇을 통하여 24시간 무중단으로 빠르게 응답함으로써 담당자 부재 및 통화 중 대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건물에 인접하여 넓은 지상공간에 설치되는 지상주차장과, 건물의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주차장으로 분류되며, 특정 면적을 갖는 공간에 형성되어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주차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을 이용한 방문자들이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이 발달되어 차량 수가 증가하고, 건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대형건물들은 대형주차장을 차량방문자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은 유동차량 수가 많은 대형건물에도 편리하게 차량을 이용하여 대형건물을 편리하게 방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은 주차장 내부로 차량이 진입하는 진입로에서 진입차량 운전자에게 입차시각 및 주차요금 정보들이 표기된 주차권을 발급하며, 진출로에서 진출차량 운전자로부터 발급하였던 주차권을 회수한 후 회수한 주차권에 기재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주차요금을 산출하여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주차권 발행 및 주차요금정산은 통상적으로 인력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AI 기반의 통화 봇을 통하여 24시간 무중단으로 빠르게 응답함으로써 담당자 부재 및 통화 중 대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주차 민원 대응을 365일 24시간 대기 없는 무중단 전화 응답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팸 전화 및 불필요한 민원에 대한 사전 차단 및 반복적인 안내 등 민원 담당자의 업무 환경 개선으로 인한 고품질의 주차 서비스 환경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I 기반의 통화 봇과 주차 관제 시스템과의 연계와 전화 응대를 통한 실시간요금안내 및 정기권 당첨확인안내, 결제링크 전송, 결제 확인 등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주차행정업무를 빠르게 처리하여 행정 비용 절감 및 업무효율이 지속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텍스트나 ARS 방식과는 차별되는 자연어 인식을 기반으로 전화로 연결되는 대화를 통하여 민원내용을 파악하고 정보를 제공하며 필요시 상담원과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어 기반으로 한국어 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인을 위한 서비스 확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주차비 처리 단말, 통화 봇 시스템 및 통합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진입로에 위치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면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며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 통합 주차 관리 서버에 의해 주차 요금의 정산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주차비 정산 처리가 요청되면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주차비의 정산을 처리하며 민원인의 민원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통화 봇 시스템이 호 연결이 되도록 중개하는 주차비 처리 단말,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호 연결된 후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민원이 처리되도록 하는 통화 봇 시스템 및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 금액이 정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에 제공하여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 봇 시스템과 통신하여 민원을 처리하는 통합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장 민원 처리 방법은 주차장의 진입로에 위치하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가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면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는 단계, 주차비 처리 단말이 주차비 정산 처리가 요청되면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주차비의 정산을 처리하거나 민원인의 민원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통화 봇 시스템이 호 연결이 되도록 중개하는 단계, 통화 봇 시스템이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호 연결된 후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상기 주차 민원 상담 단말과 통신하여 민원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주차 관리 서버가 주차 민원 상담 단말과 통신하여 민원을 처리한 후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 금액이 정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에 제공하여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AI 기반의 통화 봇을 통하여 24시간 무중단으로 빠르게 응답함으로써 담당자 부재 및 통화 중 대기로 인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주차 민원 대응을 365일 24시간 대기 없는 무중단 전화 응답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팸 전화 및 불필요한 민원에 대한 사전 차단 및 반복적인 안내 등 민원 담당자의 업무 환경 개선으로 인한 고품질의 주차 서비스 환경을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I 기반의 통화 봇과 주차 관제 시스템과의 연계와 전화 응대를 통한 실시간요금안내 및 정기권 당첨확인안내, 결제링크 전송, 결제 확인 등 주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주차행정업무를 빠르게 처리하여 행정 비용 절감 및 업무효율이 지속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텍스트나 ARS 방식과는 차별되는 자연어 인식을 기반으로 전화로 연결되는 대화를 통하여 민원내용을 파악하고 정보를 제공하며 필요시 상담원과 연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연어 기반으로 한국어 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인을 위한 서비스 확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민원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원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주차장의 이용에 따른 민원”은 주차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통합 주차권 충전 오류에 대한 민원, 통합 주차권 미조회에 대한 민원, 통합 주차권 금액에 대한 민원, 할인 적용에 대한 민원, 지정 주차장 타인 이용에 대한 민원, 지정 주차장 장기 대기에 대한 민원, 지정 주차장 미스 배정에 대한 민원, 주차비 처리 단말 작동 오류에 대한 민원, 자동차 고장으로 인한 처리 민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은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 사용자 단말(200), 주차비 처리 단말(300), 통화 봇 시스템(400), 주차 민원 상담 단말(500) 및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를 포함한다. 이때, 주차비 처리 단말(300)에는 통화 봇 시스템(400)이 형성되어 있다.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주차장 별로 존재하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주차장 식별 번호, 차량 번호 및 입차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메시지를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에 제공하는 기기이다.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주차장에서 진출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감지센서에서 차량을 감지하면 진입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 진출차량을 단속하며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이 진출하도록 개방 또는 차단하는 진출 차단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할 때에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한 후 곧바로 차량이 진입하도록 진출 차단기가 개방된다. 이때,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주차장 식별 번호, 차량 번호 및 입차 시간을 포함하는 주차장 관리 메시지를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에 제공한다.
하지만,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에는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에 의해 주차 요금의 정산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진출 차단기가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에는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에 의해 주차 요금의 정산이 완료되지 않으면 진출 차단기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며,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에 의해 주차 요금의 정산이 완료된 경우에만 자동으로 진출 차단기가 개방된다.
이를 위해,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에는 차량을 인식한 후, 주차장 식별 번호, 차량 번호 및 입차 시간이 기록되어 있는 주차장 관리 메시지에 출차 시간을 추가적으로 기록하여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에 제공한다.
그런 다음,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로부터 주차 요금에 대한 징수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진출차단기를 제어한다.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장을 이용하면서 주차장의 이용에 민원을 가지는 사용자가 보유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장을 이용하면서 주차장의 이용에 민원이 발생한 경우 호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통합 주차권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의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통합 주차권 충전 오류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통합 주차권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할 때 통합 주차권이 조회되지 않으면 통합 주차권 미조회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이 사용자가 알고 있는 금액과 상이한 경우 통합 주차권 금액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할인 카드, 할인 영수증 등을 이용한 주차비의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할인 적용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지정 주차장을 타인이 이용하는 경우 지정 주차장 타인 이용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주차비 처리 단말 작동 오류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자동차가 고장난 경우 자동차 고장으로 인한 처리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400)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400)에 제공한다.
통화 봇 시스템(4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호 연결된 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거나 상기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와 통신하여 민원이 처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통화 봇 시스템(400)에는 주차장 식별자의 업무 종류 별 업무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민원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식별자 별 업무 종류는 공영 주차 업무, 무인 주차 관제, 거주자 업무, 견인 업무를 포함한다.
업무 종류가 공영 주차 업무인 경우 공영 주차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출차관리, 정기권관리, 선납권관리, 미납관리, 수납관리 등을 포함하고, 업무 종류가 무인 주차 관제인 경우 무인 주차 관제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출차관리, 할인관리, 무인기관리, 무인기제어, 수납관리 등을 포함하고, 업무 종류가 거주자 업무인 경우 거주자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신청자 관리, 정기권 관리, 배정자 관리, 대기자 관리, 고지서 관리 등을 포함하고, 업무 종류가 견인 업무인 경우 견인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방치 관리, 단속 관리 및 수납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화 봇 시스템(4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화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 후, 통화 봇 시스템(4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가 위치하는 주차장의 주차장 식별자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를 결정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 중에 민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봇 시스템(400)은 텍스트 민원 데이터 상에 미리 결정된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면, 민원 키워드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화 봇 시스템(400)은 텍스트 민원 데이터 상에 미리 결정된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지만, 민원 키워드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차 민원 상담 단말(500)과 호연결하여 사용자가 주차비 처리 단말(300)를 통해 주차 민원 상담 단말(500)과 연결되어 처리되도록 한다.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로부터 주차장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차장 관리 메시지를 분석하여 차량에 대한 주차 정보(즉, 차량 번호, 입차 시간, 출차 시간)를 추출한 후 주차 정보에 따라 주차 요금을 산출하여 징수하는 서버이다.
먼저,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로부터 주차장 관리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차장 관리 메시지에서 주차 정보(즉, 차량 번호, 입차 시간, 출차 시간)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그런 다음,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미리 등록된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주차 요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한 후 주차 요금에 따라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갱신한다.
이를 위해,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전송한 후 상기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이 선택되면 결제를 실행한 후 통합 주차권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200)에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전송한 후 상기 통합 주차권 구매 절차를 통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이 선택되면 결제를 실행한 후 통합 주차권을 발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한다. 그 후,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통합 주차권 식별 정보, 차량 번호 및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을 포함하는 통합 주차권 정보 저장 메시지를 저장한다.
만일,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주차비 처리 단말(300)로부터 주차 요금 정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주차 요금 정산 메시지에서 차량 번호를 추출하고, 차량 번호와 매칭되는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 및 차량 번호와 매칭되는 주차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합 주차권을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즉,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차량 번호와 매칭되는 통합 주차권이 존재하면, 차량 번호와 매칭되는 주차 정보(즉, 차량 번호, 입차 시간, 출차 시간)를 이용하여 주차 시간에 해당하는 주차 금액을 산출하고,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주차 금액을 결제한 후 통합 주차권 충전 금액을 갱신한다.
상기와 같이,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주차 시간에 해당하는 주차 금액을 산출할 때 주차비 처리 단말(300)로부터 할인 정보(예를 들어, 할인 카드, 할인 영수증 등)가 함께 수신되면, 할인 정보를 반영하여 주차 금액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할인 정보가 할인 영수증이면, 결제 정보 중 가맹점 식별 번호 및 주차장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가맹점이 주차장에 미리 등록된 이용 대상 가맹점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에 따라 결제 정보 중 결제 금액 및 주차장의 식별 번호에 해당하는 주차 금액 산출 기준에 따라 주차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만일,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할인 영수증이 복수개인 경우, 결제 정보 각각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실행하고, 주차장에 미리 등록된 이용 대상 가맹점의 결제 정보 중 결제 금액을 합산한 후 주차 금액 산출 기준에 따라 주차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통합 주차 관리 서버(600)는 할인 정보가 할인 카드이면 신용 카드인지 또는 미리 결정된 복지 카드(예를 들어, 다둥이 카드, 국가유공자 카드 등)인지 여부에 따라 카드사 서버 또는 복지 서버와 연동하여 할인 비율을 확인한 후 할인 정보를 반영하여 주차 금액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은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주차비 처리 단말(3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를 생성한 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텍스트 민원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를 삭제한다. 이때,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는 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가 삭제된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공백을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고, 미리 생성된 단어 별 빈도 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단어의 빈도 수를 측정한다.
그 후,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단어 각각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행하여 단어 및 형태소 값이 쌍으로 이루어지고, 빈도 수를 지시하는 레이블이 할당된 토큰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가 삭제된 민원 카테고리를 (빈도 수: 1000번, (단어, 형태소 값)), (빈도 수: 234번, (단어, 형태소)), (빈도수: 2541번, (단어, 형태소)), (빈도수: 2516(단어, 형태소)) … 등의 토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가 삭제된 민원 카테고리를 기초로 토큰이 생성된 후,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 각각에 대해서 해당 토큰의 단어 및 토큰의 레이블에 따라 토큰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서,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 각각에 대해서 해당 토큰의 단어를 구현하는 언어 종류(즉, 영어, 중국어, 한국어 등), 단어가 민원 카테고리에서 존재하는 위치 및 토큰에 할당된 레이블의 빈도 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먼저,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전체 토큰의 개수 및 각각의 토큰의 순서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한다. 즉,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전체 토큰의 개수를 기준으로 토큰의 순서가 어느 정도인지 여부 및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에 제1 가중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전체 토큰의 개수가 12개 이고 토큰의 순서가 4번째인 경우, “0.25”를 산출하고,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을 반영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은 언어의 종류 별로 중요한 단어가 어느 위치에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은 현재 토큰의 번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 각각에 대해서 토큰에 미리 할당된 레이블이 지시하는 빈도 수와 이전 토큰 및 다음 토큰 각각에 미리 할당된 레이블이 지시하는 빈도 수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산출한 후,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가중치를 산출하여 할당한다. 즉,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평균화하여 최종적인 가중치를 산출하여 할당한다.
그런 다음,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에 해당하는 가중치에 따라 민원 카테고리를 최종적으로 결정한 후, 토큰에 해당하는 단어를 민원 키워드로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주차장 식별 번호 별로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민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민원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의 진입로에 위치하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는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면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한다(단계 S210).
주차비 처리 단말(300)은 주차비 정산 처리가 요청되면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주차비의 정산을 처리하거나 민원인의 민원 처리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와 상기 통화 봇 시스템이 호 연결이 되도록 중개되도록 한다(단계 S220).
통화 봇 시스템(400)은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호 연결된 후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하거나 상기 주차 민원 상담 단말(500)과 통신하여 민원이 처리되도록 한다(단계 S230).
상기 주차 민원 상담 단말(500)은 통화 봇 시스템(400)과 통신하여 민원을 처리한 후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300)을 통해 주차 금액이 정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100)에 제공하여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2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원 데이터베이스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민원 데이터베이스에는 주차장 식별자의 업무 종류 별 업무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주차장 식별자 별 업무 종류는 공영 주차 업무, 무인 주차 관제, 거주자 업무, 견인 업무를 포함한다.
업무 종류가 공영 주차 업무인 경우 공영 주차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출차관리, 정기권관리, 선납권관리, 미납관리, 수납관리 등을 포함하고, 업무 종류가 무인 주차 관제인 경우 무인 주차 관제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출차관리, 할인관리, 무인기관리, 무인기제어, 수납관리 등을 포함하고, 업무 종류가 거주자 업무인 경우 거주자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신청자 관리, 정기권 관리, 배정자 관리, 대기자 관리, 고지서 관리 등을 포함하고, 업무 종류가 견인 업무인 경우 견인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방치 관리, 단속 관리 및 수납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가 미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주차비 처리 단말(3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를 생성한 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텍스트 민원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를 삭제한다. 이때,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는 관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가 삭제된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공백을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고, 미리 생성된 단어 별 빈도 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단어의 빈도 수를 측정한다.
그 후,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단어 각각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행하여 단어 및 형태소 값이 쌍으로 이루어지고, 빈도 수를 지시하는 레이블이 할당된 토큰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가 삭제된 민원 카테고리를 (빈도 수: 1000번, (단어, 형태소 값)), (빈도 수: 234번, (단어, 형태소)), (빈도수: 2541번, (단어, 형태소)), (빈도수: 2516(단어, 형태소)) … 등의 토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가 삭제된 민원 카테고리를 기초로 토큰이 생성된 후,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 각각에 대해서 해당 토큰의 단어 및 토큰의 레이블에 따라 토큰 각각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서,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 각각에 대해서 해당 토큰의 단어를 구현하는 언어 종류(즉, 영어, 중국어, 한국어 등), 단어가 민원 카테고리에서 존재하는 위치 및 토큰에 할당된 레이블의 빈도 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먼저,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전체 토큰의 개수 및 각각의 토큰의 순서를 이용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한다. 즉,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전체 토큰의 개수를 기준으로 토큰의 순서가 어느 정도인지 여부 및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에 제1 가중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전체 토큰의 개수가 12개 이고 토큰의 순서가 4번째인 경우, “0.25”를 산출하고,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을 반영하여 제1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은 언어의 종류 별로 중요한 단어가 어느 위치에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언어의 종류에 따라 미리 결정된 중요 값은 현재 토큰의 번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 각각에 대해서 토큰에 미리 할당된 레이블이 지시하는 빈도 수와 이전 토큰 및 다음 토큰 각각에 미리 할당된 레이블이 지시하는 빈도 수를 이용하여 제2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산출한 후,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이용하여 최종적인 가중치를 산출하여 할당한다. 즉,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제1 가중치 및 제2 가중치를 평균화하여 최종적인 가중치를 산출하여 할당한다.
그런 다음,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토큰에 해당하는 가중치에 따라 민원 카테고리를 최종적으로 결정한 후, 토큰에 해당하는 단어를 민원 키워드로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는 주차장 식별 번호 별로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민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200: 사용자 단말,
300: 주차비 처리 단말,
400: 통화 봇 시스템,
500: 주차 민원 상담 단말,
600: 통합 주차 관리 서버

Claims (2)

  1.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주차비 처리 단말, 통화 봇 시스템 및 통합 주차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의 진입로에 위치하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면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며 차량이 주차장에서 진출할 때 통합 주차 관리 서버에 의해 주차 요금의 정산이 완료된 경우 자동으로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하는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
    주차비 정산 처리가 요청되면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주차비의 정산을 처리하며 민원인의 민원 처리 요청에 따라 사용자와 상기 통화 봇 시스템이 호 연결이 되도록 중개하는 주차비 처리 단말;
    주차장 식별자의 업무 종류 별 업무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가 대응되어 있는 민원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호 연결된 후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화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하고, 주차비 처리 단말이 위치하는 주차장의 주차장 식별자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를 결정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 중에 민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텍스트 민원 데이터 상에 미리 결정된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면 민원 키워드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텍스트 민원 데이터 상에 미리 결정된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지만, 민원 키워드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차 민원 상담 단말과 호연결하여 사용자가 주차비 처리 단말를 통해 주차 민원 상담 단말과 연결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통화 봇 시스템;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 금액이 정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제 완료 메시지를 상기 주차장 입출차 관제 기기에 제공하여 진출 차단기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통화 봇 시스템과 통신하여 민원을 처리하는 통합 주차 관리 서버;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통합 주차권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의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통합 주차권 충전 오류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통합 주차권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할 때 통합 주차권이 조회되지 않으면 통합 주차권 미조회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상기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이 사용자가 알고 있는 금액과 상이한 경우 통합 주차권 금액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고,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할인 카드 및 할인 영수증을 이용한 주차비의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할인 적용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고, 지정 주차장을 타인이 이용하는 경우 지정 주차장 타인 이용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고, 주차비 처리 단말이 동작하지 않은 경우 주차비 처리 단말 작동 오류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고, 자동차가 고장난 경우 자동차 고장으로 인한 처리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를 삭제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공백을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고, 미리 생성된 단어 별 빈도 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단어의 빈도 수를 측정하고, 상기 단어 각각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행하여 단어 및 형태소 값이 쌍으로 이루어지고, 빈도 수를 지시하는 레이블이 할당된 토큰 형태의 민원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토큰 각각에 대해서 해당 토큰의 단어를 구현하는 언어 종류, 단어가 민원 카테고리에서 존재하는 위치 및 토큰에 할당된 레이블의 빈도 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토큰에 해당하는 가중치에 따라 민원 카테고리를 최종적으로 결정한 후, 상기 토큰에 해당하는 단어를 민원 키워드로 결정하고, 주차장 식별 번호 별로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상기 민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식별자 별 업무 종류는 공영 주차 업무, 무인 주차 관제, 거주자 업무, 견인 업무를 포함하고,
    상기 공영 주차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정기권관리, 선납권관리, 미납관리 및 수납관리를 포함하고, 무인 주차 관제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출차관리, 할인관리, 무인기관리, 무인기제어 및 수납관리를 포함하고, 거주자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신청자 관리, 정기권 관리, 배정자 관리, 대기자 관리 및 고지서 관리를 포함하고, 견인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방치 관리, 단속 관리 및 수납 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2.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가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한 후 미리 결정된 불필요 품사를 삭제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공백을 기준으로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가 미리 생성된 단어 별 빈도 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단어의 빈도 수를 측정하고, 상기 단어 각각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행하여 단어 및 형태소 값이 쌍으로 이루어지고, 빈도 수를 지시하는 레이블이 할당된 토큰 형태의 민원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가 상기 토큰 각각에 대해서 해당 토큰의 단어를 구현하는 언어 종류, 단어가 민원 카테고리에서 존재하는 위치 및 토큰에 할당된 레이블의 빈도 수에 따라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토큰에 해당하는 가중치에 따라 민원 카테고리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민원 데이터베이스 생성 장치가 상기 토큰에 해당하는 단어를 민원 키워드로 결정하고, 주차장 식별 번호 별로 민원 카테고리 및 민원 키워드를 대응시켜 저장하여 상기 민원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통화 봇 시스템이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와 호 연결된 후 음성 민원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 민원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화하여 텍스트 민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이 주차장을 이용하면서 주차장의 이용에 민원이 발생한 경우 호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통화 봇 시스템이 주차비 처리 단말이 위치하는 주차장의 주차장 식별자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를 결정한 후, 텍스트 민원 데이터 중에 민원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텍스트 민원 데이터 상에 미리 결정된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면 민원 키워드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텍스트 민원 데이터 상에 미리 결정된 민원 키워드가 존재하지만, 민원 키워드에 해당하는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주차 민원 상담 단말과 호연결하여 사용자가 주차비 처리 단말를 통해 주차 민원 상담 단말과 연결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음성 민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미리 결정된 민원 처리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거나 통합 주차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민원이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주차장을 이용하면서 주차장의 이용에 민원이 발생한 경우 호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통합 주차권을 충전하는 과정에서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통합 주차권의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통합 주차권 충전 오류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통합 주차권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할 때 통합 주차권이 조회되지 않으면 통합 주차권 미조회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상기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통합 주차권의 충전 금액이 사용자가 알고 있는 금액과 상이한 경우 통합 주차권 금액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주차비 처리 단말을 통해 주차비를 정산하는 과정에서 할인 카드 및 할인 영수증을 이용한 주차비의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할인 적용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지정 주차장을 타인이 이용하는 경우 지정 주차장 타인 이용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주차비 처리 단말이 동작하지 않은 경우 주차비 처리 단말 작동 오류에 대한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자동차가 고장난 경우 자동차 고장으로 인한 처리 민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통화 봇 시스템과 호 연결되면 음성 민원 데이터를 통화 봇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식별자 별 업무 종류는 공영 주차 업무, 무인 주차 관제, 거주자 업무, 견인 업무를 포함하고,
    상기 공영 주차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정기권관리, 선납권관리, 미납관리 및 수납관리를 포함하고, 무인 주차 관제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출차관리, 할인관리, 무인기관리, 무인기제어 및 수납관리를 포함하고, 거주자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신청자 관리, 정기권 관리, 배정자 관리, 대기자 관리 및 고지서 관리를 포함하고, 견인 업무에 해당하는 민원 카테고리는 입고 관리, 출고 관리, 방치 관리, 단속 관리 및 수납 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민원 처리 방법.
KR1020210149306A 2021-11-03 2021-11-03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40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06A KR102404869B1 (ko) 2021-11-03 2021-11-03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9306A KR102404869B1 (ko) 2021-11-03 2021-11-03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869B1 true KR102404869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9306A KR102404869B1 (ko) 2021-11-03 2021-11-03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8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89A (ko) * 2001-06-05 2002-12-12 유용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위치파악에 따른 맞춤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0344A (ko) * 2008-08-12 2010-02-22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os 연동 주차관제시스템 및 주차관제방법
KR20110088143A (ko) * 2010-01-28 2011-08-03 권율 주차장 운영 대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193430B1 (ko) * 2019-02-01 2020-12-21 유한회사 에스티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주차비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399A (ko) * 2020-04-08 2021-10-18 (주)아이컴시스 대화형 음성봇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상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689A (ko) * 2001-06-05 2002-12-12 유용열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위치파악에 따른 맞춤정보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0344A (ko) * 2008-08-12 2010-02-22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Pos 연동 주차관제시스템 및 주차관제방법
KR20110088143A (ko) * 2010-01-28 2011-08-03 권율 주차장 운영 대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193430B1 (ko) * 2019-02-01 2020-12-21 유한회사 에스티원 이동통신을 이용한 주차비 자동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5399A (ko) * 2020-04-08 2021-10-18 (주)아이컴시스 대화형 음성봇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상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947B1 (ko) 주차장 관리 방법, 주차장 관리 서버 및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102104467B1 (ko) 이기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입출차 관제 기기와 연동된 주차 요금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20120310712A1 (en) Parking management
CN106409006A (zh) 一种基于云数据的停车场联网管理系统
KR101400765B1 (ko)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CN109345437A (zh) 开放式便捷乘车的地铁站系统及应用
JP2017204274A (ja) 車両番号と車両番号から認識された車種に基づいた車両入出場管理方法及び車両入出場管理システム
CN111047718A (zh) 一种城市轨道交通安检票务融合系统
CN106097461A (zh) 一种汽车车牌数据采集云端支付停车费的方法
KR102119716B1 (ko) 블록 체인 기반의 전자 쿠폰 사용 수익 분배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090069943A (ko) 차량 번호 및 차종 인식을 이용한 도로 교통 통행료징수시스템
KR20100001673A (ko) 핸드폰을 이용하여 주차요금을 결제하는 주차관리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JP2005275719A (ja) 駐車場案内と料金自動支払い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駐車場案内サービスホストコンピュータ
KR102404869B1 (ko) 주차장 민원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US10565814B2 (en)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service
CN107730605B (zh) 触摸式智能终端、基于该终端的停车场收费方法和系统
KR20190134900A (ko) 차량 번호 인식을 이용한 차량 서비스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767438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72466B1 (ko) 이종데이터의 통합관리를 위한 데이터 표준화 모듈장치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리 시스템
KR100909578B1 (ko)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 고객관리시스템
KR20030087313A (ko)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3470429A (zh) 一种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JP2008041061A (ja) 鉄道路線案内システム、鉄道路線案内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426610B1 (ko) 주차장의 요금징수 서비스방법
CN113393080A (zh) 公共交通客运机构乘客信息管理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