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860B1 -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860B1
KR102404860B1 KR1020200177472A KR20200177472A KR102404860B1 KR 102404860 B1 KR102404860 B1 KR 102404860B1 KR 1020200177472 A KR1020200177472 A KR 1020200177472A KR 20200177472 A KR20200177472 A KR 20200177472A KR 102404860 B1 KR102404860 B1 KR 102404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es
lens unit
camera module
uni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현희
이민재
박재길
Original Assignee
(주)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시스 filed Critical (주)캠시스
Priority to KR102020017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8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H04N5/2254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카메라 모듈은, 하나 이상의 렌즈가 수용된 이동 렌즈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및 평판 형상의 평판부와, 광 투과공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부를 포함한다.
A camera modu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body in which one or more lenses are accommodated and a movable lens unit is movably mounted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fixed lens unit including a flat plate portion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a holding portion formed in a body of the flat plate portion to form a light transmitting hole and accommodate one or more lenses.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 방지 구조가 적용되고 조리개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에는 오토포커싱 처리를 위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 구동기와, 손떨림 보정 처리를 위해 렌즈를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기가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module to which a foreign object prevention structure is applied and an aperture is provided, and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he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F driver for moving the len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autofocusing, and an OIS driver for moving the len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image stabilization processing.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용 기기에는 촬영, 영상통화 등의 목적으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있으며, 카메라 모듈에는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AF 구동기(AF Actuator 혹은 VCM)가 구비된다.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re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for the purpose of shooting and video calls, and the camera module is equipped with an AF actuator (AF Actuator or VCM) for realizing an auto-focusing func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AF 구동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서의 이물 유입 가능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ssible foreign material inflow path in a camera module to which an AF dr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10), 몸체부(20), 적외선 차단 필터(IR Filter)(30), 이미지 센서(40), 인쇄회로기판(50), 커넥터(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lens unit 10 , a body unit 20 , an infrared cut filter 30 , an image sensor 40 , a printed circuit board 50 , and a connector 60 . include

렌즈부(10)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홀더 구조의 렌즈 배럴일 수 있고, 하부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The lens unit 10 may be a lens barrel having a holder structure for accommodating one or more lenses,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40 installed below.

몸체부(20)는 액추에이터부와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art 20 may include an actuator part and a base part.

액추에이터부는 렌즈부(1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렌즈부(1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부는 렌즈부(10)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렌즈부(10)를 고정하는 렌즈 캐리어(21)와 AF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AF 구동기는, 렌즈 캐리어(2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코일(22)과 코일(22)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마그네트(23)로 구성될 수 있고, 마그네트(23)는 요크부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The actuator unit fixes the lens unit 10 so as to be positioned therein, and moves the lens unit 1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o adjust the focus of the image. As illustrated in FIG. 2 , the actuator unit may include a lens carrier 21 and an AF driv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unit 10 to fix the lens unit 10 . The AF driver may include a coil 22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carrier 21 and a magnet 23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22, and the magnet 23 is a yoke unit. position can be fixed by

베이스부에는 광축 방향으로 베이스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적외선 차단 필터(30)가 장착된다. 베이스부는 이미지 센서(4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형상으로 인쇄회로기판(50)의 메인 영역에 결합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40)는 적외선 차단 필터(30)의 하부에 위치된다. An infrared cut filter 30 is mounted on the base portion in the form of closing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portio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base part is coupled to the main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in a shape to accommodate the image sensor 40 in the internal space. In this case, the image sensor 40 is located below the infrared cut filter 30 .

이미지 센서(40)는 렌즈부(10)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와 광축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50)의 메인 영역의 상측면에 실장된다. 이미지 센서(4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The image sensor 4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so as to be aligned with one or more lenses accommodated in the lens unit 10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image sensor 40 converts the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nciden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인쇄회로기판(50)은 렌즈부(10), 몸체부(20)와 이미지 센서(40)를 상측에 위치시키는 메인 영역과, 메인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서브 영역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메인보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includes a main area in which the lens unit 10 , the body 20 and the image sensor 4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a sub are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area. A connector 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mera module to the main board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ub region.

도 2를 참조하면, 액추에이터부에 구비되는 AF 구동기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하여 배치되는 코일(22)과 마그네트(23)를 포함한다. 코일(22)에 전류가 인가되어, 코일(22)과 마그네트(23) 간에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렌즈부(10)가 장착된 렌즈 캐리어(21)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오토포커싱 처리가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2 , the AF driver provided in the actuator includes a coil 22 and a magnet 23 that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A current is applied to the coil 22 , and an autofocus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the lens carrier 21 on which the lens unit 10 is mounted is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coil 22 and the magnet 23 .

도시된 바와 같이, 엑추에이터부의 상측 표면과 내측 둘레면에는 틈새가 존재하며, 틈새를 통해 이물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되어 적외선 차단 필터(30)의 상부까지 이동될 수 있다. As shown, there is a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or part, and a foreign material can be introduced into the camera module through the gap and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infrared cut-off filter 30 .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이물이 유입되면, 보이스 코일 모터(VCM) 등인 AF 구동기의 정밀한 구동을 방해할 뿐 아니라, 촬영 영상의 품질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a foreig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camera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prevents precise driving of an AF driver such as a voice coil motor (VCM), but also impairs the quality of a captured image.

또한, 고화소 처리가 요구되는 추세에 따라, 오토포커싱 처리를 위해 이동되어야 하는 렌즈부(10)의 크기와 무게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요구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AF 구동기의 크기는 제약되고 있으며, AF 구동기가 발생하는 부족한 전자기력으로 인해 렌즈부(10)가 필요 위치까지 효과적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In addition, as the high-pixel processing is required, the size and weight of the lens unit 10 to be moved for the auto-focusing process are relatively large. However, due to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camera module, the size of the AF driver of the camera module is limi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ns unit 10 cannot be effectively moved to a required position due to insufficient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AF driver.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681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8133 한국등록특허 제10-2174068호Korean Patent No. 10-2174068

본 발명은 외부의 이물이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불량 발생 요인을 차단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thereby blocking the cause of defects in the camera module due to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구비되는 렌즈들을 고정용 렌즈와 이동용 렌즈들로 구분하고, AF 구동기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용 렌즈들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AF 구동기에 의해서도 정밀한 오토포커싱 처리가 가능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provided lenses into a fixed lens and a movable lens, and allows only the movable lenses to be mov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AF driver. it is for

본 발명은 광량 조절을 위한 조리개의 장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고, 조리개를 구비하면서도 소형화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minimizing an increase in weight due to installation of an iri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and maintaining a miniaturized size while having an iri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가 수용된 이동 렌즈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및 평판 형상의 평판부와, 광 투과공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렌즈부에 수용된 렌즈와 상기 홀딩부에 수용된 렌즈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고정 렌즈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고정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on which one or more lenses are accommodated in a movable lens portion movably mount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fixed lens part including a flat plate part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a holding part formed in a body of the plate part to form a light transmitting hole and to accommodate one or more lenses, wherein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movable lens part and the holding part are accommodated in the holding part There is provided a camera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lens unit is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so that the optical axes of the lenses coincide.

상기 고정 렌즈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틈새 및 광 투과공을 모두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The fixed lens unit may be sized to cover both the gap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light transmitting hole, and may be clos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이동 렌즈부가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 및 오토포커싱 기능의 수행을 위해, 상기 고정 렌즈부에 수용된 렌즈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AF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lens carrier to which the movable lens portion is fastened; and an AF driver for moving the lens carrier toward or away from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fixed lens unit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to perform an autofocusing function.

상기 몸체부는, 상기 렌즈 캐리어를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n OIS driver for moving the lens carri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상기 홀딩부의 상면에는 광축이 일치되도록 조리개가 장착될 수 있다. An iris may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art so that the optical axes coincide.

상기 조리개는 중심부 영역에 원형의 관통 영역을 가지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관통 영역의 중심점을 공유하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diaphragm includes a variable region having a circular penetrating region in a central region, and a supporting region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variable region, wherein the variable region and the supporting region are the same to form concentric circles sharing a central point of the penetrating region It may be formed by being combined on a plane.

상기 조리개부의 광 입사 통로의 직경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가변 영역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투명도가 조정되는 스마트 윈도우 유리로 형성되거나, 투명 물체 표면에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variable region may be formed of smart window glass whos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r may be formed by attaching a smart window film to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object so that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light incident path of the aperture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가 수용된 이동 렌즈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에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고정 렌즈부가 고정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렌즈부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와, 광 투과공을 형성하고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의 상면에는 중심부 영역에 원형의 관통 영역을 가지는 가변 영역과 상기 가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 영역으로 이루어진 조리개부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 렌즈부에 수용된 렌즈, 상기 홀딩부에 수용된 렌즈와 상기 조리개부는 광축이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 영역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투명도가 조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lens unit in which one or more lenses are accommodated is mounted to the body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fixed lens unit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Here, the fixed lens unit is formed to include a flat plate portion, a holding portion formed in a body of the flat portion to form a light transmitting hole and accommodate one or more lenses, and a circular penetration in the central reg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An diaphragm comprising a variable region having a region and a support region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variable region is mounted,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movable lens unit,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and the diaphragm are installed so that optical axes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variable region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hos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이물이 몸체부의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불량 발생 요인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blocking a cause of defects in the camera module due to foreign substances 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또한, 구비되는 렌즈들을 고정용 렌즈와 이동용 렌즈들로 구분하고, AF 구동기의 전자기력에 의해 이동용 렌즈들만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AF 구동기에 의해서도 정밀한 오토포커싱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dividing the provided lenses into a fixed lens and a moving lens, and allowing only the moving lenses to move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AF driver, there is an effect that precise autofocusing processing is possible even with a small AF driver.

또한, 광량 조절을 위한 조리개의 장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고, 조리개를 구비하면서도 소형화된 크기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an increase in weight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diaphragm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and maintaining a miniaturized size while having the diaphragm.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AF 구동기가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서의 이물 유입 가능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렌즈부와 몸체부 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부의 형상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oreign material inflow path in the camera module to which the AF dr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ppli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form between the fixed lens unit and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operating state of the diaphrag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unit”, “…module”, “…group”,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렌즈부와 몸체부 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부의 형상과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form between a fixed lens unit and a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hape and operation state of the diaphragm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고정 렌즈부(110), 이동 렌즈부(120), 몸체부(20), 조리개부(140), 적외선 차단 필터(IR Filter)(30), 이미지 센서(40), 인쇄회로기판(50), 커넥터(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fixed lens unit 110 , a moving lens unit 120 , a body unit 20 , an aperture unit 140 , an infrared cut filter 30 , and an image sensor 40 . ), a printed circuit board 50 , and a connector 60 .

고정 렌즈부(110)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평판부와, 광 통과공을 형성하도록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된 홀더 구조의 홀딩부를 포함한다. The fixed lens unit 110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a holding portion having a holder structure formed in the flat portion body to form a light passage hole.

평판부와 홀딩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된 구멍에 홀더 구조의 홀딩부를 체결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lat plate part and the hold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but may be formed by fastening the holding part of the holder structure to a hole formed in the body of the flat plate part.

홀딩부에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어야 하는 다수개의 렌즈들 중 하나 이상이 수용된다. 이하, 구분의 편의상 고정 렌즈부(110)의 홀딩부에 수용된 렌즈는 고정 렌즈라 칭하기로 한다.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enses to be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i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of the fixed lens unit 110 will be referred to as a fixed lens.

홀딩부의 둘레면의 미리 지정된 높이(예를 들어, 하측 단부 영역)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평판부가 형성된 고정 렌즈부(110)는 홀딩부에 수용된 고정 렌즈가 이미지 센서(40)와 광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위치되었을 때, 몸체부(20)의 상면에 형성된 광 투과공과 틈새를 모두 덮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xed lens unit 110 in which the flat plate is formed to extend outward at a predetermined height (eg, the lower end reg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unit is arranged such that the fixed len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is aligned with the image sensor 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hen positioned so as to be possible, it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covers both the light transmitting hole and the gap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

또한, 평판부의 둘레면 형상은 몸체부(20)의 상면의 둘레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t porti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

도 3 내지 5에는 홀딩부의 높이가 평판부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서 홀딩부가 평판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평판부의 두께가 홀딩부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3 to 5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lat portion because the height of the holding portion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flat portion, but it is natural that the thickness of the flat portion may be form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holding portion.

고정 렌즈부(110)는 몸체부(20)의 상면에 형성된 틈새를 덮도록 몸체부(20)의 상면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이물이 유입됨을 방지하는 기능뿐 아니라, 외부 충격에 대해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는 보호 덮개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The fixed lens unit 110 is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to cover the gap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so as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camera module, as well as to protect against external shocks. It can also function as a protective cover to protect the camera module against

이동 렌즈부(120)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어야 하는 다수개의 렌즈들 중 나머지를 수용하는 홀더 구조의 렌즈 배럴일 수 있다. 이하, 구분의 편의상 이동 렌즈부(120)의 렌즈 배럴에 수용된 렌즈는 이동 렌즈라 칭하기로 한다. The movable lens unit 120 may be a lens barrel having a holder structure for accommodating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lenses to be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classification,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lens barrel of the movable lens unit 120 will be referred to as a movable lens.

이동 렌즈부(120)는 수용하는 이동 렌즈가 하부에 설치되는 이미지 센서(40)와 광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몸체부(20)에 설치된다. The moving lens unit 120 is installed in the body unit 20 such that the receiving moving lens is align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the image sensor 40 installed thereunder.

몸체부(20)는 액추에이터부와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부와 베이스부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베이스부가 액추에이터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The body part 20 may include an actuator part and a base part. Here, the actuator part and the base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or formed separately so that the base part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part of the actuator.

액추에이터부는 이동 렌즈부(120)를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하고, 오토포커싱 처리를 위해 이동 렌즈부(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부는 이동 렌즈부(120)의 외부면에 결합되어 이동 렌즈부(120)를 고정하는 렌즈 캐리어(21)와 AF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ctuator unit fixes the moving lens unit 120 to be positioned inside, and moves the moving lens unit 1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autofocusing. As illustrated in FIG. 4 , the actuator unit may include a lens carrier 21 and an AF driver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lens unit 120 to fix the moving lens unit 120 .

AF 구동기는, 렌즈 캐리어(21)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코일(22)과 코일(22)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는 마그네트(23)로 구성될 수 있고, 마그네트(23)는 요크부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면, 코일(22)과 마그네트(23)의 부착 위치는 달라질 수도 있다.The AF driver may include a coil 22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carrier 21 and a magnet 23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22, and the magnet 23 is a yoke unit. position can be fixed by Of course, if they can be moun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attachment positions of the coil 22 and the magnet 23 may be different.

코일(22)과 마그네트(23), 즉 AF 구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의 크기는 주지의 물리 공식 F=nBil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코일(22)의 턴(turn) 수, B는 마그네트(23)의 자속 밀도, i는 코일(22)에 인가되는 전류량, l은 마그네트(23)의 자속 내에 위치하는 코일(22)의 길이를 의미한다. The magnitude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22 and the magnet 23, that is, the AF driver may be calculated by a well-known physical formula F=nBil. Here, n is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22 , B is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23 , i i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2 , and l is the coil 22 positioned in the magnetic flux of the magnet 23 . ) is the length of

최근 고화소 이미지 처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의 수량, 크기와 무게, 렌즈부를 구성하는 부품의 수 등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에 의할 때, AF 구동기는 증가된 무게의 렌즈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보다 큰 전자기력을 발생시켜야만 한다. Recently, the need for high-pixel image processing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number, size and weight of lenses, and the number of parts constituting the lens unit a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AF driver must generate a greater electromagnetic force to move the lens unit of increased weight.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및 절전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 개발 상황에서, 코일(22)의 턴수를 증가시키거나 마그네트(23)의 자속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어 적절하지 않다. 또한, 코일(22)에 인가하는 전류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전력 소모를 가중하여 적절하지 않다. However, in the technology development situation to improve the miniaturization and power saving ability of the camera module, increasing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22 or increasing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23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camera module. Not appropriate. Also, it is not appropriate to increase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coil 22 as it increases power consump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고화소 이미지 처리를 위해 구비하여야 하는 다수개의 렌즈 중 일부는 고정 렌즈부(110)에 배치하고, 나머지만 이동 렌즈부(120)에 배치하는 특징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ome of the plurality of lenses to be provided for high-pixel image processing are arranged in the fixed lens unit 110 , and only the rest are arranged in the moving lens unit 120 . There is a characteristic.

이를 통해, 액추에이터부에 구비된 AF 구동기가 오토포커싱 처리를 위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대상을 이동 렌즈부(120)로 제한함으로써, AF 구동기가 적은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더라도 효과적으로 정밀한 오토포커싱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Through this, by limiting the object that the AF driver provided in the actuator unit has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autofocusing to the moving lens unit 120, even if the AF driver generates a small electromagnetic for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erform precise autofocusing processing. There are advantages to doing so.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렌즈부(120)를 고정하는 액추에이터부의 렌즈 캐리어(21)는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을 위해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마그네트 및 코일을 포함하는 OIS 구동기가 액추에이터부에 더 포함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lens carrier 21 of the actuator unit fixing the movable lens unit 120 may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 To this end, an OIS driver including a magnet and a coil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actuator unit.

이동 렌즈부(120)를 수용하는 몸체부(20)의 상면에는 고정 렌즈부(110)가 부착된다. A fixed lens unit 11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20 for accommodating the moving lens unit 120 .

이때, 고정 렌즈부(110)와 이동 렌즈부(120) 각각에 구비된 렌즈들은 하부의 이미지 센서(40)와 광축 방향에서 정렬하도록 위치된다. In this case, the lenses provided in each of the fixed lens unit 110 and the movable lens unit 120 are positioned to align with the lower image sensor 4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또한, 고정 렌즈부(110)의 평판부는 몸체부(20)의 상면에 존재하는 틈새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배치 형상으로, 평판부의 하부 표면과 몸체부(20)의 상부 표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된다(도 4의 "A" 참조). 고정 렌즈부(110)와 평판부는 예를 들어 본딩 등의 방식으로 서로 고정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ixed lens unit 110 has an arrangement shape in which a gap exist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ee "A" in FIG. 4). The fixed lens unit 110 and the flat plate unit may be fixedly attached to each other by, for example, bonding.

고정 렌즈부(110)의 홀딩부의 상면에는 고정 렌즈부(110) 및 이동 렌즈부(120)에 각각 수용된 렌즈와, 이미지 센서(40)에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조리개부(140)가 고정 부착될 수 있다.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art of the fixed lens unit 110 , the lens accommodated in the fixed lens unit 110 and the movable lens unit 120 , respectively, and the aperture unit 140 are fixedly attached to the image sensor 40 so as to be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an

조리개부(140)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 영역에 원형의 관통 영역(141)을 가지는 가변 영역(142)과, 가변 영역(142)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 영역(143)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 the diaphragm unit 140 includes a variable region 142 having a circular through region 141 in a central region, and a support region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variable region 142 . (143) may be formed to include.

즉, 조리개부(140)는 관통 영역(141), 가변 영역(142) 및 지지 영역(143)을 포함하는 분할 구조로 형성되고, 관통 영역(141)의 바깥쪽에서 가변 영역(142)과 지지 영역(143)이 관통 영역(141)의 중심점을 공유하는 동심원을 형성하면서 동일 평면상에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지지 영역(143)의 외곽 둘레면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지지 영역(143)의 외곽 둘레면 형상은 고정 렌즈부(110)의 외곽 둘레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diaphragm 140 is formed in a divided structure including a through region 141 , a variable region 142 , and a support region 143 , and the variable region 142 and the support region outside the through region 141 . 143 may be formed by being combined on the same plane while forming concentric circles sharing the center point of the through region 141 . Of course,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region 143 may not be circular. Als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egion 1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ed lens unit 110 .

관통 영역(141)은 제한없이 빛을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영역인 반면, 가변 영역(142)은 전원이 인가되는지 여부에 따라 가변적으로 빛을 유입시키거나 차단하는 영역이다. 지지 영역(143)은 조리개부(140)가 고정 렌즈부(110)의 홀딩부의 상면에 부착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The through region 141 is a region that introduces l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camera module without limitation, whereas the variable region 142 variably introduces or blocks light depending on whether power is applied. The support region 143 may be a region for the diaphragm unit 140 to attach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unit of the fixed lens unit 110 .

가변 영역(142)은 예를 들어 전기적 자극에 의해 투명도가 조정되는 능동형 스마트 윈도우(active smart window)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ariable region 14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active smart window whos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가변 영역(142)은 예를 들어, 고분자 분산형 액정 기술(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이 적용될 수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고르게 분산된 마이크론 크기의 액정 입자들이 외부 전압에 의해 나열 방향이 변경되어 투명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외에도, 가변 영역(142)이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투명도가 조정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For the variable region 142 , for exampl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may be applied, and micron-sized liquid crystal particles uniformly dispersed in a polymer matrix are arranged in a direction changed by an external voltage, so that the transparency is changed. may have a regulated structure. In addition, a structure in which transparency is adjusted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variable region 142 may be varied.

가변 영역(142)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투명도가 조정되도록 미리 지정된 두께의 스마트 윈도우 유리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전술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필름(예를 들어,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미리 지정된 두께의 투명 물체 표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variable region 142 may be made of a smart window glass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that th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but a film (eg, a smart window film)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transparent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may be formed by being attached to the surface of an object.

가변 영역(142)의 투명도 조정을 위한 전원 인가 및 제어를 위해, 가변 영역(142)은 인쇄회로기판(5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apply and control power for adjusting the transparency of the variable region 142 , the variable region 14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and the like.

도 5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변 영역(14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가변 영역(142)이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면, 관통 영역(141)만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빛이 유입된다. 즉, 가변 영역(142)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조리개부(140)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광 입사 통로를 형성한다.As illustrated in (a) of FIG. 5 , when power is not applied to the variable region 142 and the variable region 142 remains in an opaque state, light enters the camera module only through the through region 141 . is brought in That is, when no power is applied to the variable region 142 , the diaphragm 140 forms a light incident path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이에 비해, 도 5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변 영역(142)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변 영역(142)이 투명한 상태로 전환되면, 관통 영역(141)과 가변 영역(142)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로 빛이 유입된다. 즉, 가변 영역(142)에 전원이 인가되면, 조리개부(140)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광 입사 통로를 형성한다. On the other hand, as illustrated in FIG. 5B ,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variable region 142 and the variable region 142 is converted to a transparent state, the through region 141 and the variable region 142 pass through the variable region 142 . Light is introduced into the camera module.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variable region 142 , the diaphragm 140 forms a light incident path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이와 같이, 조리개부(140)는 전원 인가 여부로써, 촬영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광 입사 통로를 형성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As such, the diaphragm unit 140 may be controlled to form light incident paths of various sizes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environment by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광 입사 통로의 직경을 조정하여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부(140)가 전원 인가 여부로 제어되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의 장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리개를 구비하면서도 소형화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y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light incident path to adjust the amount of light, the aperture unit 140 has a simple structure that is controlled by whether or not power is applied. ,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intain a miniaturized size while having an apertur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20)의 베이스부에는 베이스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폐쇄하도록 적외선 차단 필터(30)가 장착된다. 베이스부는 적외선 차단 필터(30)의 하부에 이미지 센서(40)가 위치되고, 이미지 센서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형상으로 인쇄회로기판(50)의 메인 영역에 결합된다. Referring back to FIG. 3 , the infrared cut filter 30 is mounted on the base of the body 20 to close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The base part is coupled to the main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in a shape to accommodate the image sensor 4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frared cut-off filter 30, and to accommodate the image sensor in the internal space.

이미지 센서(40)는 고정 렌즈부(110) 및 이동 렌즈부(120) 각각에 수용된 렌즈와 광축 방향을 따라 정렬되도록 인쇄회로기판(50)의 메인 영역의 상측면에 실장된다. 이미지 센서(4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피사체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The image sensor 4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so as to be align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the lenses accommodated in each of the fixed lens unit 110 and the moving lens unit 120 . The image sensor 40 converts the optical signal of the subject incident through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인쇄회로기판(50)은 고정 렌즈부(110), 이동 렌즈부(120), 몸체부(20)와 이미지 센서(40)를 상측에 위치시키는 메인 영역과, 메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서브 영역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을 메인보드(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includes a main region in which the fixed lens unit 110 , the movable lens unit 120 , the body unit 20 and the image sensor 40 ar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and a sub reg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region. includes A connector 6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mera module to the main board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the sub reg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 모듈의 제조를 위해, 우선 도 6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렌즈부(120)와 몸체부(20)가 체결된다. 이동 렌즈부(120)에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어야 하는 렌즈들 중 일부의 렌즈가 수용될 수 있다. 몸체부(20)의 액츄에이터부에는 오토포커싱 처리를 위해 이동 렌즈부(12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AF 구동기가 구비된다. For the manufacture of the camera module, first, as illustrated in FIG. 6A , the moving lens unit 120 and the body unit 20 are fastened. Some of the lenses to be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movable lens unit 120 . The actuator part of the body part 20 is provided with an AF driver for moving the moving lens part 1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or autofocusing.

이어서, 도 6의 (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광축 방향으로 몸체부(20)의 베이스부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를 폐쇄하도록 적외선 차단 필터(30)가 베이스부에 장착된다. Next, as illustrated in (b) of FIG. 6 , an infrared cut filter 30 is mounted on the base to close the hollow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of the body 2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이어서, 도 6의 (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렌즈부(120)가 체결되고, 적외선 차단 필터(30)가 장착된 몸체부(20)는 이미지 센서(4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0)의 메인 영역에 장착된다. 이때, 이미지 센서(40)는 몸체부(20)의 베이스부의 내측 공간에 위치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c) of FIG. 6 , the movable lens unit 120 is fastened, and the body unit 20 to which the infrared cut filter 30 is mounted is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40 is mounted. 50 is mounted on the main area. At this time, the image sensor 4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as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0).

이어서, 도 6의 (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 렌즈부(110)가 고정 부착된다. Subsequently, as illustrated in (d) of FIG. 6 , the fixed lens unit 110 is fixedly attach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20 .

고정 렌즈부(110)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홀딩부와, 홀딩부의 둘레면의 미리 지정된 높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평판부가 형성된 형상으로 제작되고, 고정 렌즈부(110)는 몸체부(20)의 상면에 형성된 광투과공과 틈새를 모두 덮는 형상으로 몸체부(20)의 상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The fixed lens unit 110 is manufactured in a shape in which a holding unit for accommodating one or more lenses and a flat surface to extend outward from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unit is formed, and the fixed lens unit 110 includes the body unit 20 . It is arranged and fix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20 in a shape that covers both the light transmission hole and the gap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

이때, 고정 렌즈부(110)와 이동 렌즈부(120) 각각에 수용된 렌즈와 이미지 센서(40)가 광축 방향에서 정렬되도록 배치됨은 당연하다. In this case, it is natural that the lens and the image sensor 40 accommodated in each of the fixed lens unit 110 and the movable lens unit 120 are arranged to be align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고정 렌즈부(110)의 홀딩부의 상면에는 조리개부(140)가 고정 배치되며, 조리개부(140)는 고정 렌즈부(110)가 몸체부(20)에 고정 배치되기 이전 또는 이후에 홀딩부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diaphragm unit 140 is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unit of the fixed lens unit 110 , and the diaphragm unit 140 has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unit before or after the fixed lens unit 110 is fixedly arranged on the body unit 20 . can be fixed to

이제까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이 이에 제한되지 않지 않음은 당연하다. So fa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However, it is natural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mera module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몸체부(20)에 이동 렌즈부(120)이 체결되고, 몸체부(20)의 상면에 고정 렌즈부(110)를 고정 배치되는 과정이 선행될 수도 있다. 이후, 적외선 차단 필터(30)가 몸체부(20)에 장착되고, 몸체부(20)가 이미지 센서(4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50)의 메인 영역에 장착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a process in which the movable lens unit 120 is fastened to the body 20 and the fixed lens unit 110 is fixed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20 may be preceded. Thereafter, the infrared cut filter 30 may be mounted on the body 20 , and the body 20 may be mounted on the main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on which the image sensor 40 is mounted.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장법에 의하면, 이물 유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의 불량 발생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고, 구비된 렌즈들 중 일부의 렌즈만이 이동되도록 하여 작은 AF 구동기에 의해서도 정밀한 오토포커싱 처리가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camera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due to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nd only some of the provided lenses are moved so that even a small AF driver can provide precise auto Focusing processing is possible.

또한, 광량 조절을 위한 조리개의 장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고, 조리개를 구비하면서도 소형화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an increase in weight due to the installation of an iri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and to maintain a miniaturized size while having the diaphragm.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and may be changed.

10: 렌즈부 20 : 몸체부
21 : 렌즈 캐리어 22 : 코일
23 : 마그네트 30 : 적외선 차단 필터
40 : 이미지 센서 50 : 인쇄회로기판
60 : 커넥터 110 : 고정 렌즈부
120 : 이동 렌즈부 140 : 조리개부
141 : 관통 영역 142 : 가변 영역
143 : 지지 영역
10: lens unit 20: body unit
21: lens carrier 22: coil
23: magnet 30: infrared cut filter
40: image sensor 50: printed circuit board
60: connector 110: fixed lens unit
120: moving lens unit 140: aperture unit
141: through region 142: variable region
143: support area

Claims (8)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n개의 렌즈 중 일부인 m개의 렌즈가 수용된 이동 렌즈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및
평판 형상의 평판부와, 광 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n개의 렌즈 중 나머지인 n-m개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고정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m개의 렌즈가 수용된 상기 이동 렌즈부가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
오토포커싱 기능의 수행을 위해, 위치 고정된 상기 고정 렌즈부에 수용된 n-m개의 렌즈에 대해 코일과 마그네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광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AF 구동기; 및
상기 렌즈 캐리어를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기를 포함하고,
n-m개의 렌즈가 수용된 상기 홀딩부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렌즈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틈새 및 광 투과공을 모두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덮개로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고정되며,
상기 이동 렌즈부에 수용된 m개의 렌즈와 상기 홀딩부에 수용된 n-m개의 렌즈는 광축이 일치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n과 m 각각은 미리 지정된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a body part on which a movable lens part accommodating m lenses, which is a part of n lense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is mounted movably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fixed lens unit including a flat plate portion and a holding portion formed in the body of the flat plate portion to accommodate the remaining nm lenses among the n lense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the light transmitting hole being formed therein,
The body part,
a lens carrier to which the movable lens unit accommodating the m lenses is fastened;
AF driver for moving the lens carrier relatively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a coil and a magne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nm lenses accommodated in the fixed lens unit in order to perform the autofocusing function; and
and an OIS driver for moving the lens carri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xed lens unit including the holding unit in which the number of nm lenses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a size to cover both the gap and the light transmission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s a cover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The m lenses accommodated in the moving lens unit and the nm lense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are positioned so that optical axe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camera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n and m is a predetermined natural nu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고정된 상기 고정 렌즈부에 포함된 상기 홀딩부의 상면에는 광축이 일치되도록 조리개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perture par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art included in the fixed lens part clos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optical axes coinci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부는 중심부 영역에 원형의 관통 영역을 가지는 가변 영역 및 상기 가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관통 영역의 중심점을 공유하는 동심원을 이루도록 동일 평면상에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op portion includes a variable region having a circular through region in a central region and a support region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variable region,
The variable region and the support region are formed by being coupled on the same plane to form a concentric circle sharing a central point of the through reg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부의 광 입사 통로의 직경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가변 영역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투명도가 조정되는 스마트 윈도우 유리로 형성되거나, 투명 물체 표면에 스마트 윈도우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The method of claim 6,
The variable region is formed of a smart window glass whos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or a smart window film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transparent object so that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light incident path of the aperture can be adjusted. camera module.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n개의 렌즈 중 일부인 m개의 렌즈가 수용된 이동 렌즈부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에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고정 렌즈부가 고정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렌즈부는 평판 형상의 평판부와, 광 투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n개의 렌즈 중 나머지인 n-m개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상기 평판부의 몸체 내에 형성되는 홀딩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는,
m개의 렌즈가 수용된 상기 이동 렌즈부가 체결되는 렌즈 캐리어;
오토포커싱 기능의 수행을 위해, 위치 고정된 상기 고정 렌즈부에 수용된 n-m개의 렌즈에 대해 코일과 마그네트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광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렌즈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AF 구동기; 및
상기 렌즈 캐리어를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OIS 구동기를 포함하며,
n-m개의 렌즈가 수용된 상기 홀딩부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 렌즈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틈새 및 광 투과공을 모두 덮는 크기로 형성되어, 이물 유입 방지를 위한 덮개로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n과 m 각각은 미리 지정된 자연수이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 표면에 밀착 고정된 상기 고정 렌즈부에 포함된 상기 홀딩부의 상면에는 중심부 영역에 원형의 관통 영역을 가지는 가변 영역과 상기 가변 영역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 영역으로 이루어진 조리개부가 장착되고,
상기 이동 렌즈부에 수용된 m개의 렌즈, 상기 홀딩부에 수용된 n-m개의 렌즈와 상기 조리개부는 광축이 일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변 영역은 전기적 자극에 의해 투명도가 조정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a step of mounting a moving lens unit accommodating m lenses, which are some of the n lense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to the body portion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fixedly attaching a fixed lens uni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The fixed lens part is formed to include a flat plate part, a holding part formed in the body of the flat plate part to accommodate the remaining nm lenses among the n lense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the light transmitting hole being formed,
The body part,
a lens carrier to which the movable lens unit accommodating the m lenses is fastened;
AF driver for moving the lens carrier relatively approaching or away from the optical axis direction by using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a coil and a magne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nm lenses accommodated in the fixed lens unit in order to perform the autofocusing function; and
It includes an OIS driver for moving the lens carri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xed lens unit including the holding unit in which the number of nm lenses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a size to cover both the gap and the light transmission hol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clos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s a cover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Each of n and m is a predetermined natural numb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art included in the fixed lens part closely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 diaphragm comprising a variable region having a circular penetrating region in a central region and a support region formed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variable region is mounted, ,
The m lenses accommodated in the moving lens unit, the nm lenses accommodated in the holding unit, and the diaphragm unit are installed so that the optical axes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variable region is formed of a material whose transparency is adjus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KR1020200177472A 2020-12-17 2020-12-17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404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72A KR102404860B1 (en) 2020-12-17 2020-12-17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472A KR102404860B1 (en) 2020-12-17 2020-12-17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860B1 true KR102404860B1 (en) 2022-06-08

Family

ID=8198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472A KR102404860B1 (en) 2020-12-17 2020-12-17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86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056A (en) 2022-06-10 2023-12-20 (주)캠시스 Camera module with damping effect
KR20230172649A (en) 2022-06-15 2023-12-26 (주)캠시스 Camera module with damping structur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9003A (en) * 2008-02-25 2009-09-03 Casio Comput Co Ltd Zoom projection unit and projector equipped with zoom projection unit
KR20100084045A (en) * 2009-01-15 2010-07-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ocus and photographing area is controlled automatically component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KR20140060066A (en) * 2012-11-09 2014-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JP2014174551A (en) * 2013-03-11 2014-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20160068133A (en) 2014-12-04 2016-06-15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Camera lens module with structur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KR20170030789A (en) * 2015-09-10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KR102174068B1 (en) 2020-05-25 2020-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9003A (en) * 2008-02-25 2009-09-03 Casio Comput Co Ltd Zoom projection unit and projector equipped with zoom projection unit
KR20100084045A (en) * 2009-01-15 2010-07-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ocus and photographing area is controlled automatically component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KR20140060066A (en) * 2012-11-09 2014-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JP2014174551A (en) * 2013-03-11 2014-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20160068133A (en) 2014-12-04 2016-06-15 에이에이씨 어쿠스틱 테크놀로지스 (심천) 컴퍼니 리미티드 Camera lens module with structur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KR20170030789A (en) * 2015-09-10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Smart device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KR102174068B1 (en) 2020-05-25 2020-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056A (en) 2022-06-10 2023-12-20 (주)캠시스 Camera module with damping effect
KR20230172649A (en) 2022-06-15 2023-12-26 (주)캠시스 Camera module with damp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145016B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CN105527776B (en) Lens moving device
US11297236B2 (en) Camera device with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KR102071925B1 (en) Camera module
KR102404860B1 (en)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30118817A (en) Imaging apparatus
KR20110008478U (en) Base for Camera Module and Lens Actuator Having Thereof
KR20130127780A (en) Camera module
US20090251800A1 (en) Camera Module
KR20170102246A (en) Lens-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mount device
KR20070041341A (en) Image taking apparatus
KR20200001775A (en) Camera module
KR102537831B1 (en) Lens drive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mounting device
WO2014057859A1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211206941U (en) Periscopic optical module and optical system
CN214756582U (en) Optical lens and camera module
US2018001393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CN113163071B (en) Camera shooting module
WO2011068115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mounted with lens driv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KR20190093275A (en) Apparatus for filter switching
US20230204899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200370323Y1 (en) Actuator For Auto Focusing In Camera
KR20190133877A (en) Actuator for down sizing and camera module inclduing the actuator
US20230341654A1 (en) Optical system
KR20200041067A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