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76B1 -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 Google Patents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76B1
KR102404376B1 KR1020210139339A KR20210139339A KR102404376B1 KR 102404376 B1 KR102404376 B1 KR 102404376B1 KR 1020210139339 A KR1020210139339 A KR 1020210139339A KR 20210139339 A KR20210139339 A KR 20210139339A KR 102404376 B1 KR102404376 B1 KR 10240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
arc
modules
module
sig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822A (ko
KR102404376B9 (ko
Inventor
김대호
김경호
Original Assignee
(주)대경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산전 filed Critical (주)대경산전
Publication of KR20220058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76B1/ko
Publication of KR10240437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7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0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rc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에너지를 충전 또는 방전하는 다수의 ESS 모듈;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하여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의 신호라인을 차단하는 통합 감시부; 및 상기 다수의 ESS 모듈와 상기 통합 감시부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Arc Fault Circuit Interrupters implemented as modular extension}
본 발명은 다수의 ESS를 모듈러 형태로 결합 및 확장된 시스템에 적용되는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설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화재 발생도 비례하여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건물의 옥상, 외벽 등 화재 2차 피해가 예상되는 곳에 설치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안전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며, 대규모 태양광 발전 단지와 ESS 모듈 시스템에서도 화재의 발생이 사회적 위험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국내 전체 태양광 발전 설비 430,622개소 (2018년 상반기) 중 최근 5년 (2013년~2017년) 동안 연평균?? 50건의 화재가 발생하였고 건당 약 295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주 화재 원인으로는 전선 절연, 인버터 과연, 접속함 결함 등의 전기 관련 설비 및 부품에서 접촉 불량, 습기, 부식, 연결 케이블 손상 및 외함 파손 등의 원인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78% (194건)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세계적으로도 PV 시스템 설치가 활성화됨에 따라 DC 아크 검출 및 차단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DC 아크 검출기술이 완벽하지 않아서 외국에서도 오동작으로 인한 화재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아크 검출 실패율 40%), 이를 방지하고자 2019년 현시점에도 NEC, IEC 규정 등이 새롭게 제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PV 시스템에서 DC 아크를 검출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또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PV 시스템 운영 신뢰성을 높이고 전력 생산 효율을 최적화하는 것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더하여 PV 시스템에서 생산된 에너지는 보다 장기간 동안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ESS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PV 시스템 설계상 다양한 용량 및 채널 비즈니스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수의 ESS를 다양하게 결합 및 확장하는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의 ESS를 모듈러 형태로 결합 및 확장된 시스템에 적용되어, 다수의 ESS에 대한 아크 검출 기능과 아크 차단 기능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에너지를 충전 또는 방전하는 다수의 ESS 모듈;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하여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의 신호라인을 차단하는 통합 감시부; 및 상기 다수의 ESS 모듈와 상기 통합 감시부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합 감시부는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차단 스위치; 및 상기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의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 및 분석하여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차단 스위치를 통해 상기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의 신호라인을 차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ESS 모듈을 소정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후, 그룹 단위로 아크 발생을 1차 확인한 후, 아크 발생 1차 확인 시에만 아크 발생이 확인된 그룹내 나머지 ESS에 대한 아크 발생을 2차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는 다수의 ESS를 결합 및 확장된 시스템에 적용되어, 다수의 ESS에 대한 아크 검출 기능과 아크 차단 기능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수의 ESS를 그룹핑한 후, 그룹 단위로 아크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크 상태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는 장치 케이스(100), 다수의 ESS 모듈(200) 및 통합 감시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현되어, 다수의 ESS를 모듈 형태로 구비 및 확장하면서 이들의 아크 발생 상태를 확인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장치 케이스(100)는 다수의 ESS 모듈(200) 및 통합 감시부(300)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다수의 ESS 모듈(200)는 각각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 등과 같은 외부 장치가 생산 및 제공하는 에너지를 저장 및 방전한다.
통합 감시부(300)는 ESS 모듈(200)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310)와 차단 스위치(320), 제어기(330)를 포함하여 구현되어,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을 검출하고 이에 연결된 신호라인을 선로 차단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ESS 모듈을 통합 모듈러 형태로 구현한 후, 이들의 아크 발생 상태를 일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신호라인 기준으로 아크 발생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검출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기(330)는 다수의 스위치(331), BPF(332), ADC(333), DSP(334) 및 MCU(334) 등을 포함한다.
로고스키 코일(310)는 코어가 없는 코일을 통해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전압 신호를 발생하는 소자로써, 이는 ESS 모듈(200)의 신호라인쌍 하나에 연결되어 ESS 모듈(200)의 입출력 전류 및 아크 노이즈를 센싱하여 전압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다수의 스위치(331)는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310)에 1:1 연결되어,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310)의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BPF(332)에 하나씩 인가하도록 한다.
BPF(332)는 로고스키 코일(310)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여, 분석 대상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이 잔존하도록 한다.
ADC(223)은 BPF(332)를 통해 필터링된 신호를 디지털 변환하여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샘플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한다.
DSP(334)는 멀티 레벨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 알고리즘을 사전 구비하고, 이를 통해 ADC(223)이 출력하는 n개의 샘플 신호를 분석하여 아크 발생 상태를 파악한 후 MCU(335)에 통보한다.
이때, 멀티 레벨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 알고리즘은 m(m은 2 이상의 자연수) 레벨로 DWT 분해하는 것으로, 이는 신호 분석 과정에서 신호의 시간에 대한 정보와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다른 주파수 분석 방법에 비해 프로그램 연산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른 장점이 있어 신속한 연산을 요구하는 직렬 아크 검출시스템 적용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멀티 레벨 DWT 알고리즘은 ADC(223)로부터 1024개의 샘플 신호는 전처리 단계에서 DC offset을 제거한 후, 멀티 레벨 DWT 분해를 통해 레벨 4 하위 신호까지 추출을 수행한다. 그리고 각 레벨의 변이 신호(fluctuation signal)의 절댓값을 취한 후 적분 및 크기 환산을 통해 하나의 변수로 변환하고, 해당 변수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아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MCU(335)는 DSP(334)가 아크 발생을 통보하면, 이에 응답하여 차단 스위치(320)을 통해 MPPT 인버터(300)로의 전력 공급을 즉각 차단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다수 채널의 아크 발생 상태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아크 발생된 채널만을 선택적으로 선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 ESS 모듈의 개수에 비례하여 아크 상태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3와 같이 ESS 모듈가 4개인 경우, 4개의 ESS 모듈의 아크 발생 상태를 9번에 걸쳐 순차 확인해야 하므로, ESS 모듈가 1개 경우에 비하여 아크 상태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4배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MCU(335)는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ESS 모듈을 소정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한 후, 그룹 단위로 아크 발생 위치를 다단 확인함으로써, 아크 상태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전체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특정 선로에 아크가 발생하면 주변 선로도 아크에 의한 영향을 받음을 고려하여 인접 배치된 ESS 모듈들끼리 그룹핑한 후, 동일 그룹에 속하는 ESS 모듈 하나를 마스터 ESS 모듈로 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마스터 ESS 모듈에 기반하여 그룹 단위로 아크 발생을 1차 확인하되, 특정 그룹의 아크 발생이 1차 확인되면, 해당 그룹에 속한 나머지 ESS 모듈 각각의 아크 발생을 추가로 2차 확인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아크 미발생시에는 아크 상태 모니터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ESS 모듈 개수"에서 "그룹 개수"로 감소되고, 아크 발생시에는 "그룹 개수 + (그룹 소ESS 모듈 개수 ??1)"만큼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ESS 모듈을 2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경우, 도 5의 (a)와 같이 아크 미발생시에는 그룹 단위의 아크 상태 모니터링 동작을 2번만 수행하면 되고, 도 5의 (b)와 같이 아크 발생시에는 그룹 단위의 아크 상태 모니터링 동작을 2번과 ESS 모듈 단위의 아크 상태 모니터링 동작을 1번만 수행하면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ESS 모듈 그룹핑 동작을 통해 아크 상태 모니터링 동작의 수행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3)

  1.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에너지를 충전 또는 방전하는 다수의 ESS 모듈;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을 이용하여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의 신호라인을 차단하는 통합 감시부; 및
    상기 다수의 ESS 모듈와 상기 통합 감시부가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ESS 모듈을 소정개의 그룹으로 그룹핑하고, 동일 그룹에 속하는 ESS 모듈 하나를 마스터 ESS 모듈로 선정한 후 마스터 ESS 모듈에 기반하여 그룹 단위로 아크 발생을 1차 확인하되, 아크 발생이 1차 확인된 그룹에 속한 나머지 ESS 모듈 각각의 아크 발생을 추가로 2차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감시부는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
    상기 ESS 모듈 각각의 신호라인쌍 중 하나에 삽입된 다수의 차단 스위치; 및
    상기 다수의 로고스키 코일의 출력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 및 분석하여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을 검출하고, 상기 다수의 차단 스위치를 통해 상기 아크 발생 상태의 ESS 모듈의 신호라인을 차단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3. 삭제
KR1020210139339A 2020-10-30 2021-10-19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KR102404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2837 2020-10-30
KR1020200142837 2020-10-30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822A KR20220058822A (ko) 2022-05-10
KR102404376B1 true KR102404376B1 (ko) 2022-06-08
KR102404376B9 KR102404376B9 (ko) 2022-12-27

Family

ID=81591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339A KR102404376B1 (ko) 2020-10-30 2021-10-19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192B1 (ko) * 2023-02-13 2023-09-12 유한회사 천지이앤씨 태양광 발전 관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92B1 (ko) * 2018-02-12 2018-09-0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아크 검출, 온도 검출, 결로 검출 및 지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 ess 시스템
KR101941184B1 (ko) 2018-05-03 2019-01-22 주식회사 에너솔라 아크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229278B1 (ko) 2020-11-09 2021-03-18 레이져라이팅(주) 그룹화 관리 및 차단기 이원화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465A (ko) * 2019-12-17 2021-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아크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992B1 (ko) * 2018-02-12 2018-09-06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아크 검출, 온도 검출, 결로 검출 및 지락 검출 기능을 구비한 ess 시스템
KR101941184B1 (ko) 2018-05-03 2019-01-22 주식회사 에너솔라 아크 검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229278B1 (ko) 2020-11-09 2021-03-18 레이져라이팅(주) 그룹화 관리 및 차단기 이원화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822A (ko) 2022-05-10
KR102404376B9 (ko) 202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bani et al. Evaluation of a communication-assisted overcurrent protection scheme for photovoltaic-based DC microgrid
KR102457471B1 (ko) 스마트 아크 차단기
JP6132919B2 (ja) 直流発電システムおよび直流発電システムの保護方法
JP6164848B2 (ja) アーク検出装置
CA287917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loose electrical connection in a photovoltaic system
CA2711020C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string of a photovoltaic system to an inverter
Descloux et al. Protection algorithm based on differential voltage measurement for MTDC grids
Abu-Elanien et al. A non-communication based protection algorithm for multi-terminal HVDC grids
RU2664711C2 (ru) Защита в переходном режиме для мультитерминальной hdvc сети
JP6234647B1 (ja) 直流電気回路保護装置およびアーク検出方法
CN102687357A (zh) 直流电弧故障电路中断器、直流电弧故障检测器、用于直流电弧故障电路中断器的噪音消除电路、检测电弧故障的方法
CN109417285B (zh) 直流电气回路保护装置及电弧检测方法
EP3304668A1 (en) Travelling wave protection of a transmission line based on high-pass filtering
KR102404376B1 (ko) 모듈 확장형 아크 차단기
Javed et al. Low voltage DC microgrid protection system-A review
KR20100049216A (ko) 배전시스템내의 아크 검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크 발생 경보시스템
JP2018028498A (ja) アーク故障検出システム
CA2664353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reliably detecting faults within a power distribution system
KR101308003B1 (ko) 웨이블릿 기반 아크 판별방법
WO2004008600A3 (en) Electrical network protection system
WO2012136241A1 (en) Fault handling during circuit breaker maintenance in a double-breaker busbar switchyard
RU2159468C1 (ru)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пожара при неисправности 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или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ке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5140895B (zh) 基于区域纵联比较原理的距离后备保护方法
CN209088533U (zh) 燃气发电站两级小电流接地保护控制系统
Mohan et al. Busbar protection–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