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61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61B1
KR102404361B1 KR1020210001067A KR20210001067A KR102404361B1 KR 102404361 B1 KR102404361 B1 KR 102404361B1 KR 1020210001067 A KR1020210001067 A KR 1020210001067A KR 20210001067 A KR20210001067 A KR 20210001067A KR 102404361 B1 KR102404361 B1 KR 10240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display unit
input
coordinates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범
박창훈
정영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using a single imaging device like a video camera for tracking the absolute position of a single or a plurality of objects with respect to an imaged reference surface, e.g. video camera imaging a display or a projection screen, a table or a wall surface, on which a computer generated image is displayed or projec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8Touchless 2D- 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without distance measurement in the Z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면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근접한 근접사물을 촬영하여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입력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입력좌표에 상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3D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터치를 감지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DIGITAL SIGNAGE AND DRIV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근접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mobile/portable display device) 및 고정 디스플레이 장치(stationary display device)으로 나뉠 수 있다.
고정형 단말기는 소비자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와 같이 실내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고, 공공장소나 외부에 설치하는 사이니지와 같은 실외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실내형 보다 실외형의 크기가 크고 디스플레이부의 사이즈가 크다.
실내형은 실외형에 비해 사이즈가 작아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고,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이 작아 방수나 외부 물질 유입에 대한 기능은 축소된다. 반면, 실외형의 경우 한번 설치되면 이동이 어렵고 비나 먼지 등에 대해 대비하기 위해 밀폐된 내부공간이 필요하며, 외부기온 변화에 노출되어 저온이나 고온에서의 구동에 대비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는 터치입력이 보편화 되었으나, 고정 단말기의 경우 아직 일부 제품에 터치패드가 장착되고 있고 고정 단말기는 아직 터치입력이 불가능한 제품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많은 장치들이 별도의 입력장치를 최소화 하고 디스플레이부 상의 터치입력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집하는 바, 고정형 단말기에도 터치입력에 대한 니즈가 있다.
다만,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에 정전식 터치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터치전극을 화면 전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사용 빈도 대비 비용 증가가 크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고정형 단말기의 경우 터치입력을 추가하기 어려우며,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터치하는 경우 화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어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근접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를 추가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정확한 입력좌표를 도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전면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근접한 근접사물을 촬영하여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입력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입력좌표에 상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촬상부는 수직방향에서 전면방향으로 α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α는 상기 촬상부의 화각의 1/2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제1 보정값을 상기 거리정보에서 빼서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정값은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d)를 입력값으로 하는 1차 방정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근접사물의 거리정보와 상기 제1 보정버튼의 y축 좌표를 기초로 상기 1차 방정식을 도출하는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촬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버튼을 전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정보에서 취득한 상기 근접사물의 수평좌표에서 제2 보정값을 더하거나 빼서 상기 입력좌표의 x축 값을 산출하며,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상기 제2 보정값을 빼서 상기 x축 값을 산출하고,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상기 제2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x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정값은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 및 상기 수평좌표에 따라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일한 x축 좌표를 가지며 y축 좌표가 균일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근접사물의 수평좌표를 기초로 상기 제2 보정값의 최대값을 산출하는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짧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 또는 하부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을 촬영하는 촬상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한 근접사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거리정보를 기초로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의 수평좌표 및 상기 y축 좌표를 기초로 상기 입력좌표의 x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좌표의 x축좌표 및 y축좌표에 상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y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제1 보정값을 상기 거리정보에서 빼서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제1 보정값은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d)를 입력값으로 하는 제1 방정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정식을 산출하는 제1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1 보정버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제1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근접사물의 거리정보 및 상기 제1 보정버튼의 y축 좌표의 제1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를 분자로 상기 제1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분모로 하는 계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방정식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제2 보정값을 빼서 상기 x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상기 제2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x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정값은 최대 보정값 및 상기 수평좌표에 따라 값이 달라지고,
상기 최대 보정값은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입력값으로 하는 제2 방정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정식을 산출하는 제2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제2 근접사물의 수평좌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평좌표와 상기 제2 보정버튼의 x축 좌표의 제2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의 y축 좌표와 그에 상응하는 상기 수평좌표 및 상기 제2 차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입력값으로 하는 상기 제2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3D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터치를 감지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입력 기능을 간단하게 부가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터치입력을 손쉽게 캘리브레이션 가능하여 정확한 입력좌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 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촬상부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좌표와 촬상부 상에서 얻은 수평좌표 및 거리정보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좌표를 도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y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x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x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모듈(110), 입력부(120), 출력부(150), 메모리(170), 제어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모듈(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110)은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 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거리까지 측정 가능한 3D카메라를 구비하여 이미지 상의 사물의 거리까지 파악할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며,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 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에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또한,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a)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00)이고, (b)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이다. (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실외에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이며,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위치하며, 바닥에 거치하거나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실장되는 케이스(101)의 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및 방진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 기온 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에 고온의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방열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크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보다 일방적인 출력기능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맞춤형 정보 제공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어, 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도 사용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부가 필요하게 되었다.
물리적인 키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가하는 경우 고장 우려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 등이 문제가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이즈가 큰 경우 물리적 키의 적절한 배치가 어렵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터치입력이 가능한 형태가 직관적이 사용성 측면에서 유리하나,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 전면에 터치전극을 배치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즈에 상응하는 터치스크린을 구현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도 2의 (a)와 같이 종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51) 전면에 터치패드의 추가는 불가능하다. 또한, 정전방식이나 감압방식의 터치는 직접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에 접촉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부(151)가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유지관리 용이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터치입력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은 도 2의 (a)와 같이 촬상부(121)를 이용하여 화면 상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촬상부(12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으며, 특히 본 실시예의 촬상부(12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 단변 상에 위치한다. 촬상부(121)를 이용한 입력은 반드시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감지할 수 있는 바, 화면에 물리적으로 닿는 접촉 터치입력을 포함하여 근접하는 근접 터치입력까지 포함하여 감지할 수 있다.
촬상부(121)를 이용한 터치입력(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은 도 2의 (a)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촬상부(121)만 추가로 설치하여 도 2의 (b)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제품뿐만 아니라 기존제품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부(121)는 이미지를 촬영할 뿐만 아니라 사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3D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3D카메라는 근접사물에 대한 카메라로부터의 거리정보 및 근접사물의 수평상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입력지점의 입력좌표(x축 좌표, y축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근접사물(10)은 사용자의 손과 같은 터치입력을 의도한 사물이 될 수 있으며, 카메라가 촬영한 근접사물(10) 중 디스플레이부(151)에 가장 인접한 지점에 대응되는 지점이 터치입력지점이 된다.
촬상부(121)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단에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해야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를 커버하는 화각이 나오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151)의 측방향에 배치 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너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변 방향에 카메라가 위치하면 화각 내에 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도록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의 이격거리가 더 크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단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로방향보다 세로방향의 길이가 더 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에 위치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부(121)와 디스플레이부(151) 사이의 거리는 촬상부(121)의 화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촬상부(121)의 화각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수평방향 너비를 최적으로 커버하기 위해서 도 3의 (a)와 같이 촬상부가 좌우방향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상부(121)의 화각은 수평화각과 수직화각이 다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방향으로 더 넓은 방향을 촬영해야하므로, 수평방향으로 화각이 더 넓도록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잇다. 예를 들어, 수평화각은 65°이고, 수직화각은 40°인 3D카메라를 촬상부(121)로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로길이가 60cm라면 약 45cm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 바로 인접하여 배치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는 촬상부(121)의 화각에서 벗어나 촬영할 수 없어 상부 모서리의 터치입력은 감지할 수 없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UI(User interface)를 통해 터치입력이 가능한 영역에서만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버튼이나 키 등을 배치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51)의 크기가 큰 경우 상부는 사용자의 키 이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를 배치하지 않아도 사용성에 무리가 없다.
촬상부(121)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하방을 촬영하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촬상부(121)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많이 돌출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부(151) 보다 돌출된 형태의 촬상부(121)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는 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촬상부(121)가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근접한 근접사물(10)을 촬영할 수 있도록 기울어져서 배치할 수 있다.
촬상부(121)가 근접사물(10)을 촬영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의 근접부분을 촬영해야 하는 바, 촬상부(121)의 화각 내에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에 근접한 위치가 촬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촬상부(121)는 촬상부(121) 화각의 1/2 이내로 기울어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수직화각이 40°인 촬상부(121)를 이용하는 경우 촬상부(121)의 각도는 수직방향에서 20°이내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 있다.
촬상부(121)가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부에 위치하며, 하부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전술한 상부에 위치하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다만 하부에 위치하는 촬상부(121)는 오염의 문제가 있고, 바닥면에 가깝게 배치되어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도 3과 같이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력좌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부(151) 상 입력좌표는 촬상부(121)가 위치한 중앙을 기준으로 x축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중앙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값을 가지는 x좌표를 가지고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값을 가지는 x좌표를 가질 수 있다. 가운데가 0의 값을 가지면 음수와 양수 값은 좌우가 바뀔 수 있다.
y축 좌표는 촬상부(121)가 위치하는 상부에서부터 이격될수록 큰 값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y축 좌표의 영점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가 될 수도 있고, 촬상부(121)의 위치부터 0으로 y축 값을 잡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은 디스플레이부(151) 상단과 촬상부(121) 사이의 거리(h)에 상응한 거리에 상응하는 y축 좌표값부터 시작할 수 있다.
도 5는 촬상부(121)에서 촬영한 거리정보(음영 혹은 색상으로 표시됨)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촬상부(121)는 화각에 따라 거리가 멀수록 작게 촬영되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부와 하부가 촬상부(121)로부터 거리가 상이하기 때문에 도 5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실제 모양과 달리 하부는 작게 상부는 크게 나타난다.
즉, 동일한 x축 좌표상에 근접사물(10)이 위치하더라도 y축 좌표에 따라 촬상부(121)에서 촬영한 영상정보 상 수평좌표(w)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과 P2는 x축 좌표(x1)가 같으나, 도 5의 (a)에서 촬영된 이미지 상으로는 P1의 수평좌표보다 P2의 수평좌표가 더 좌측에 위치한다. 반대로 중앙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화면에서는 y축 값이 작을수록 더 바깥쪽에 위치하고 y축 값이 클수록 중앙으로 기울어진 수평좌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촬상부(121)에서 얻은 수평좌표에서 x축 좌표를 얻기 위해서는 취득한 수평정보(w)를 보정해야 한다. 도 5의 (b)와 같이 y축 좌표가 클수록 촬상부(121)에서 얻은 이미지 정보의 수평좌표에서 더 큰 보정값을 더하거나 빼서 x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력좌표와 촬상부(121) 상에서 얻은 수평좌표 및 거리정보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y축 값은 촬상부(121)에서 수집한 근접사물(10)의 거리정보(d1)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다만,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부(121)로부터 입력좌표까지의 수직거리(d2)와 촬상부(121)로부터 근접사물(10)까지의 거리(d1)는 카메라가 기울어진 만큼 오차(d1-d2)가 발생하게 된다. y축 좌표인 수직거리(d2)를 얻기 위해서는 거리정보(d1)에서 보정이 필요하며 거리가 멀수록 더 큰 보정값을 가지게 된다.
도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입력좌표를 도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터치입력을 수행하고자 손가락 등을 디스플레이부(151)에 근접하면 촬상부(121)는 화면에서 소정 거리이내로 접근한 근접사물(10)을 인식할 수 있다(S11).
촬상부(121)는 근접사물(10)의 이미지 정보 및 거리정보(d1)를 수집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수평방향의 위치인 수평좌표(w)를 산출할 수 있다(S12). 거리좌표는 y축 좌표의 산정 기준이 되나 오차가 있으므로 제1 보정값을 거리좌표에서 빼서 y축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S13). 제1 보정값은 y축 좌표가 커질수록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보정값은 거리정보(d1)를 입력값으로 하는 제1 방정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수평좌표(w)는 입력좌표의 x축 좌표와 오차가 있으므로 수평좌표(w)에 제2 보정값을 더하거나 빼서 x축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S14). 수평좌표(w)가 화면의 중앙(촬상부(121)의 위치)에서 우측에 위치하면 제2 보정값을 더하고, 좌측에 위치하면 제2 보정값을 빼서 x축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보정값은 y축 좌표가 클수록 더 커지고, 수평좌표(w)가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더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정값은 y축 좌표와 수평좌표(w)를 입력값(변수)로 하는 제2 방정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y축 좌표는 실제 거리정보와 비례하므로 y축 좌표 대신에 거리정보를 입력값으로 할 수도 있다.
거리정보(d1)와 수평좌표(w)에서 오차를 보정하여 y축좌표와 x축 좌표를 포함하는 입력좌표(x, y)를 산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입력좌표에 상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S15).
제1 보정값과 제2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1 방정식과 제2 방정식은 출고 시 정해질 수 있으나, 촬상부(121)의 위치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추가로 촬상부(121)를 설치하여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기 설정된 방정식에 따라 제1 보정값과 제2 보정값을 산출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치 후 혹은 주기적으로 제1 보정값을 계산하는 제1 방정식과 제2 보정값을 계산하는 제2 방정식을 산출하는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모드는 제1 방정식을 산출하는 제1 캘리브레이션 모드와 제2 방정식을 산출하는 제2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y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y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제1 보정값은 y축 좌표가 클수록 더 크게 나타나며, y축 좌표에 비례하는 1차 방정식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y축 좌표가 최대값을 가지는 경우 오차를 산출하면, 상기 1차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도 8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 촬상부(121)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y축 좌표에 제1 보정버튼(201)을 출력할 수 있다(S21). 제1 보정버튼(201)을 출력하는 캘리브레이션 화면에서 촬상부(121)에서 촬영되는 이미지(203)를 화면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제1 보정버튼(201)은 촬상부(121)와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도 8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정버튼(201)은 수평방향으로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정버튼(201)의 y축 좌표(ya)는 y축 값의 최대값이고 x축 좌표(xa)는 0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보정버튼(201)에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촬상부(121)는 근접사물(10)의 거리정보(da)를 수집하고(S22) 근접사물(10)의 거리정보(da)와 제1 보정버튼(201)의 y축 좌표의 차이(da-ya)를 산출할 수 있다(S23).
근접사물(10)의 거리정보(da)와 제1 보정버튼(201)의 y축 좌표의 차이(da-ya)를 분자로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분모로 하는 계수(m=(da-ya)/ya)를 도출할 수 있다(S24).
제1 보정값(c1)은 상기 계수(m)에 근접사물의 거리정보(d1)를 곱해 산출할 수 있으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d1)에서 제1 보정값(c1)을 빼 입력좌표의 y축 좌표(y)를 산출할 수 있다(S13).
c1= m × d1
y= d1-c1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x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x축 좌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 좌측이나 우측의 단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202)이 화면에 출력된다. 각 제2 보정버튼(202)의 x축 좌표는 같고(xb)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최저값 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최대값을 가질 수 있다. y축 좌표(ybn)는 등간격을 가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 캘리브레이션 모드는 y축 좌표 최대값에서 거리정보(d1)와의 오차를 산출한 후에 이를 y축 좌표에 비례하여 제1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1 방정식을 도출하고, 제2 캘리브레이션 모드는 x축 좌표의 최대값에서 오차를 산출한 후에 이를 x축 좌표에 비례하여 제2 보정값을 산출하는 제2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다만, 제2 보정값은 촬상부(121)에서 멀어질수록 그 값이 커지므로, 제2 보정값을 도출하는 제2 방정식은 y축 좌표 또한 입력값으로 한다. 따라서, 상이한 y축 좌표에 대해 각각 다른 제2 보정값을 가지도록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해줘야 하므로 제2 보정버튼(202)은 복수개가 필요하다.
제2 보정버튼(202)을 순차적으로 사용자가 터치입력을 수행하면 촬상부(121)는 각각의 제2 보정버튼(202)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미지 정보를 통해 각각의 수평정보(wn)를 산출할 수 있다(S32).
수평좌표(wn) 및 제2 보정버튼(202)의 x축 좌표의 차이 (wn-xb)를 산출한다(S33). 각각의 제2 보정버튼(202)에서 y축 좌표와 수평좌표 및 제2 차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되면(S34),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202)의 y축 좌표(ybn)와 그에 상응하는 수평좌표(wn) 및 차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y축 좌표에 따른 최대 보정값(cmax)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의 개수가 많을수록(제2 보정버튼(202)이 많을수록) 더 정확도는 높아질 수 있으나 너무 많으면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10개의 제2 보정버튼(202)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y축 좌표를 입력값(변수)으로 하는 5차 방정식을 통해 y축 좌표에 따른 최대 보정값(cmax)을 얻을 수 있다. (S35)
제2 보정값(c2)은 수평정보에 비례하여 더 커지므로, 제2 보정값(c2)은 수평정보가 최대인 경우(wmax)와 이미지정보에서 취득한 최대 수평정보(w)의 비율을 통해 구할 수 있으며(S36), x좌표는 거리정보에서 제2 보정값을 빼서 구할 수 있다(S14).
c2= cmax × w/wmax
x=w-c2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3D카메라를 이용하여 근접터치를 감지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터치입력 기능을 간단하게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또는 설치자가 터치입력을 손쉽게 캘리브레이션 가능하여 정확한 입력좌표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통신모듈
120: 입력부 150: 출력부
170: 메모리 180: 제어부
151: 디스플레이부 121: 촬상부

Claims (17)

  1. 전면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의 중앙 또는 하부의 중앙 중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근접한 근접사물을 촬영하여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취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응하는 입력좌표를 산출하여 상기 입력좌표에 상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제1 보정값을 상기 거리정보에서 빼서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영상정보에서 취득한 상기 근접사물의 수평좌표에서 제2 보정값을 더하거나 빼서 상기 입력좌표의 x축 좌표를 산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수직방향에서 전면방향으로 α만큼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α는 상기 촬상부의 화각의 1/2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값은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d)를 입력값으로 하는 1차 방정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근접사물의 거리정보와 상기 제1 보정버튼의 y축 좌표를 기초로 상기 1차 방정식을 도출하는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변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모드에서 상기 제1 보정버튼을 전면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왼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상기 제2 보정값을 빼서 상기 x축 좌표를 산출하고,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상기 제2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x축 좌표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값은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 및 상기 수평좌표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동일한 x축 좌표를 가지며 y축 좌표가 균일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근접사물의 수평좌표를 기초로 상기 제2 보정값의 최대값을 산출하는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가로길이가 세로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부의 상부의 중앙 또는 하부의 중앙 일측에 위치하여 전면을 촬영하는 촬상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근접한 근접사물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촬상부에서 상기 근접사물의 영상정보 및 거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거리정보를 기초로 산출한 제1 보정값을 상기 거리정보에서 빼서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영상정보에서 취득한 상기 근접사물의 수평좌표에서 제2 보정값을 더하거나 빼서 상기 입력좌표의 x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좌표의 x축좌표 및 y축좌표에 상응하는 터치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정값은 상기 근접사물의 거리정보(d)를 입력값으로 하는 제1 방정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정식을 산출하는 제1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에 제1 보정버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제1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제1 근접사물의 거리정보 및 상기 제1 보정버튼의 y축 좌표의 제1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를 분자로 상기 제1 근접사물의 거리정보를 분모로 하는 계수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방정식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좌표가 화면의 중앙 보다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평좌표에서 상기 제2 보정값을 더해서 상기 x축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정값은 최대 보정값 및 상기 수평좌표에 따라 값이 달라지고,
    상기 최대 보정값은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입력값으로 하는 제2 방정식을 통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정식을 산출하는 제2 캘리브레이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캘리브레이션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보정버튼에 상응하는 위치에 근접한 제2 근접사물의 수평좌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평좌표와 상기 제2 보정버튼의 x축 좌표의 제2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제2 보정버튼의 y축 좌표와 그에 상응하는 상기 수평좌표 및 상기 제2 차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좌표의 y축 좌표를 입력값으로 하는 상기 제2 방정식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KR1020210001067A 2021-01-05 2021-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0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67A KR102404361B1 (ko) 2021-01-05 2021-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067A KR102404361B1 (ko) 2021-01-05 2021-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361B1 true KR102404361B1 (ko) 2022-06-02

Family

ID=8198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067A KR102404361B1 (ko) 2021-01-05 2021-01-0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471B1 (ko) * 2006-12-15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터치인식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14093691A (ja) * 2012-11-05 2014-05-19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15679B1 (ko) * 2013-08-07 2014-07-04 (주)비앤에스미디어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좌표 산출방법
KR20150112198A (ko) * 2014-03-27 2015-10-07 모젼스랩(주) 뎁스 카메라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471B1 (ko) * 2006-12-15 2013-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 터치인식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2014093691A (ja) * 2012-11-05 2014-05-19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15679B1 (ko) * 2013-08-07 2014-07-04 (주)비앤에스미디어 터치 스크린 장치의 터치 좌표 산출방법
KR20150112198A (ko) * 2014-03-27 2015-10-07 모젼스랩(주) 뎁스 카메라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멀티 터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0515B1 (en) Device camera angle
CN108737735B (zh) 图像校正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944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20130229570A1 (en)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10139475B2 (en) Distance detection apparatus for acquiring distance information having variable spatial resolut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335394B2 (ja) 撮像システム及び撮像制御方法
US850494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image, image display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display program for displaying image recorded thereon
TW201635092A (zh) 顯示裝置、電子裝置、手部穿戴式裝置及控制系統
KR20170132264A (ko) 제스처 식별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8763998B (zh) 条形码识别方法以及终端设备
CN109218481B (zh) 成像模组、终端设备及变焦方法
CN105282441A (zh) 拍照方法及装置
JP2005249905A (ja) 投射型表示装置
JPWO2014155623A1 (ja)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05408B1 (ko) 카메라 모듈,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및 오토 포커스 캘리브레이션하는 방법
KR2014014244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촬영방법
CN109104562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记录介质
US20110063466A1 (en)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KR1024043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7472281B2 (ja) 電子機器及びフォーカス方法
KR2016003840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8550182B (zh) 一种三维建模方法和终端
KR102007778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CN114979616A (zh) 显示方法、信息处理装置以及记录介质
KR101204868B1 (ko) 프로젝션 및 가상 입력 겸용의 프로젝터 및 데이터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