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353B1 -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353B1
KR102404353B1 KR1020190159595A KR20190159595A KR102404353B1 KR 102404353 B1 KR102404353 B1 KR 102404353B1 KR 1020190159595 A KR1020190159595 A KR 1020190159595A KR 20190159595 A KR20190159595 A KR 20190159595A KR 102404353 B1 KR102404353 B1 KR 102404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upport
hole
fastening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846A (ko
Inventor
원세길
Original Assignee
원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세길 filed Critical 원세길
Priority to KR1020190159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3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덕트의 내부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지지하는 위치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덕트공에 삽입 설치되어 지지되는 덕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접촉되면서 보강 지지되는 바 형태의 지지체; 상기 덕트의 바깥 면과 안쪽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공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가 접착된 상태로 밀봉 지지되고, 상기 덕트공의 바깥 면에서도 접착 밀봉하도록 구비된 밀봉접착부; 및 상기 덕트의 바깥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면서 상기 덕트공의 바깥면에 접착된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가압 밀봉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덕트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Supporting Device for Duct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thereof}
본 발명은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덕트나 압력을 받는 덕트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덕트 지지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혼자 시공이 가능하고, 실링 작업을 따로 실시하지 않아 시공 단계를 축소하여 시공 도구를 축소되며,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덕트는 건물이나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기체의 이송을 가이드 하는 구조물이다.
대용량의 기체를 이송하기 위해 덕트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큰 경우에는 덕트 플레이트의 크기로 인해 흔들리는 현상이 있고, 덕트를 통해 이송되는 기체의 압력이 대기압 보다 크거나 낮은 경우에는 덕트가 수축되거나 팽창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덕트의 가로 및 세로 플레이트를 단단하게 지지해주는 지지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덕트 지지장치는 덕트의 내부에 파이프 형태의 지지체의 내부에 볼트가 삽입되도록 구비하고, 덕트의 지지체가 설치되는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위치에 각각 타공을 실시한 후에 한쪽에 볼트를 삽입하면서 내부에 지지체가 위치하도록 작업자가 지지한다.
한쪽에 구멍으로 볼트가 외부로 돌출되면 작업자가 내부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작업자가 너트를 체결하여 한쪽을 고정하고, 다른 쪽도 지지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체결로 고정하여 지지체의 고정을 마친다.
이렇게, 지지체 고정 후에 볼트가 삽입된 구멍으로 공조되는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리콘 작업을 통해서 밀봉하여 작업을 마친다.
이런, 종래 기술의 덕트 지지장치는 지지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체결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적어도 두명 이상의 인력이 필요하여 작업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덕트 저장장치는 덕트를 타공하고, 한쪽 씩 삽입하면서 체결한 후에 밀봉처리를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각각의 시공되는 도구가 사용됨에 따라 시공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777호(2011.12.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의 내부에 형상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지지장치가 밀봉과 동시에 접착 고정되는 체결밀봉체를 이용하여 지지체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시킴에 따라 혼자 시공이 가능하고, 실링 작업을 따로 실시하지 않아 시공 단계를 축소하여 시공 도구를 축소되며,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는 덕트의 내부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지지하는 위치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덕트공에 삽입 설치되어 지지되는 덕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접촉되면서 보강 지지되는 바 형태의 지지체; 상기 덕트의 바깥 면과 안쪽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공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가 접착된 상태로 밀봉 지지되고, 상기 덕트공의 바깥 면에서도 접착 밀봉하도록 구비된 밀봉접착부; 및 상기 덕트의 바깥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면서 상기 덕트공의 바깥면에 접착된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가압 밀봉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양단 중 한쪽에 중공 형태로 상기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안쪽면에 제1 나사부를 가지는 제1 지지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에 중공 형태로 상기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안쪽 면에 제2 나사부를 가지는 제2 지지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접착부는, 상기 덕트의 안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 내부에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의 안쪽면에 각각 위치하여 중앙에 상기 덕트공과 연통되는 지지밀봉통공을 가지고, 상기 지지체 설치 시 상기 덕트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접촉되는 양측면으로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지지밀봉접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내부에 상기 지지체의 양끝단부가 접착 고정시키며, 완충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 접착 시 상기 덕트공을 밀봉하는 지지밀봉접착체; 및 상기 덕트의 바깥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 외부에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의 바깥면에 각각 위치하여 중앙에 상기 덕트공과 연통되는 체결밀봉통공을 가지고, 상기 체결부 설치 시 상기 덕트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접촉되는 양측면으로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체결밀봉접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외부에 상기 덕트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가 접착 고정되며, 완충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의 체결 시 상기 덕트공을 밀봉하는 체결밀봉접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덕트의 한쪽에 위치한 상기 덕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를 체결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체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공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와, 타측으로 상기 제1 체결볼트의 체결 후에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밀봉을 실시하는 제1 체결헤드를 포함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덕트의 다른쪽에 위치한 상기 덕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를 체결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체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공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와, 타측으로 상기 제2 체결볼트의 체결 후에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밀봉을 실시하는 제2 체결헤드를 포함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은 상기 덕트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위치에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덕트공을 타공하는 단계;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양끝단 중에 한쪽으로 안쪽면에 제1 나사부를 가지는 제1 지지공을 가지고, 다른쪽으로 안쪽면에 제2 나사부를 가지는 제2 지지공을 가지는 바 형태의 지지체의 양끝단에 지지밀봉접착체가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공의 내부에 접착 고정하는 상기 지지체를 접착 지지하는 단계; 상기 덕트의 내부에 상기 지지체가 접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의 바깥 면으로 체결밀봉접착체를 상기 덕트공에 관통되는 위치로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덕트의 한쪽으로 제1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제1 지지공 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제1 체결헤드가 상기 체결밀봉접착체에 접착되면서 밀봉 체결되고, 다른쪽으로 제2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지지공 내에 상기 제2 나사부와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제2 체결헤드가 상기 체결밀봉접착체에 접착되면서 밀봉 체결되어 시공을 마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덕트의 내부에 형상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지지장치가 밀봉과 동시에 접착 고정되는 체결밀봉체를 이용하여 지지체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시킴에 따라 혼자 시공이 가능하고, 실링 작업을 따로 실시하지 않아 시공 단계를 축소하여 시공 도구를 축소되며, 시공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가 덕트의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덕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중에 덕트공 타공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덕트공 타공 후 지지체 접착지지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지지체 접착 지지 후 체결밀봉접착체 접착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체결밀봉접착체 접착 후에 체결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체결부가 체결되어 시공완료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가 덕트의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덕트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100)는 덕트(10)의 크기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변형을 방지하도록 강도를 보강하도록 내부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지지되는 위치로 타공된 덕트공(11)에 삽입되어 설치됨에 있어 시공단계를 단순화하고, 한사람이 시공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장치이다.
이런, 덕트 지지장치(100)는 지지체(110), 밀봉접착부(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한다.
지지체(110)는 덕트(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덕트공(11)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접촉되면서 보강 지지되는 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런, 지지체(110)의 양단 중 한쪽에 중공 형태로 체결부(130)가 삽입 체결되도록 안쪽면에 제1 나사부(112)를 가지는 제1 지지공(113)을 형성하고, 지지체(110)의 다른쪽에 중공 형태로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안쪽 면에 제2 나사부(113)를 가지는 제2 지지공(114)을 형성한다.
즉, 지지체(110)의 양끝단 중 한쪽에 제1 나사부(112)가 안쪽면에 형성된 제1 지지공(113)을 형성하고, 다른 쪽에 제2 나사부(113)가 안쪽면에 형성된 제2 지지공(114)을 형성하여 각각이 덕트공(11)에 위치한 상태에서 덕트 외부에서 삽입되는 체결부(130)와 나사 체결되어 덕트(10)에 내부에 지지체(110)가 고정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밀봉접착부(120)는 덕트(10)의 바깥 면과 안쪽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덕트공(11)의 안쪽에 설치되어 지지체(110)가 접착된 상태로 밀봉 지지되고, 덕트공의 바깥 면에서도 접착 밀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밀봉접착부(120)는 지지밀봉접착체(121), 및 체결밀봉접착체(124)를 포함한다.
지지밀봉접착체(121)는 덕트(10)의 안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덕트(10) 내부에 마주보는 덕트공(11)의 안쪽면에 각각 위치하여 중앙에 덕트공(11)과 연통되는 지지밀봉통공(123)을 가지고, 지지체 설치 시 덕트(10)와 지지체(110)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접촉되는 양측면으로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지지밀봉접착면(122)이 형성되어 덕트(10)의 내부에 지지체(110)의 양끝단부가 접착 고정시키며, 완충소재로 구비되어 지지체(110) 접착 시 덕트공(11)을 밀봉하도록 구비된다.
체결밀봉접착체(124)는 덕트(10)의 바깥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덕트(10) 외부에 마주보는 덕트공(11)의 바깥면에 각각 위치하여 중앙에 덕트공과 연통되는 체결밀봉통공(126)을 가지고, 상기 체결부 설치 시 덕트(10)와 체결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접촉되는 양측면으로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체결밀봉접착면(125)이 형성되어 덕트(10)의 외부로 덕트공(11)에 삽입되어 지지체(110)에 체결되는 체결부(130)가 접착 고정되며, 완충소재로 구비되어 체결부(130)의 체결 시 덕트공(11)을 밀봉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지지밀봉접착체(121)와 체결밀봉접착체(124)는 완충력을 가지면서 밀봉을 실시할 수 있는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가지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30)는 덕트(10)의 바깥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덕트공(11)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체(110)에 체결되면서 덕트공(11)의 바깥면에 접착된 밀봉접착부(120)에 접착되면서 가압 밀봉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체결부(130)는 제1 체결체(131), 및 제2 체결체(134)를 포함한다.
제1 체결체(131)는 덕트(10)의 한쪽에 위치한 덕트공(11)으로 삽입되어 지지체(110)를 체결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지지체(110)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덕트공(11)을 통해서 삽입되어 제1 나사부(112)를 가지는 제1 지지공(113)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132)와, 타측으로 제1 체결볼트(132)의 체결 후에 체결밀봉접착체(124)에 접착되면서 밀봉을 실시하는 제1 체결헤드(133)를 포함한다.
제2 체결체(134)는 덕트(10)의 다른쪽에 위치한 덕트공(11)으로 삽입되어 지지체(110)를 체결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지지체(110)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덕트공(11)을 통해서 삽입되어 제2 나사부(113)를 가지는 제2 지지공(114)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135)와, 타측으로 제2 체결볼트(135)의 체결 후에 체결밀봉접착체(124)에 접착되면서 밀봉을 실시하는 제2 체결헤드(136)를 포함하다.
즉, 덕트(10)의 내부에 지지체(110)가 지지밀봉접착체(121)로 접착 고정하고, 양측에 위치한 덕트공(11)의 바깥 위치에 체결밀봉접착체(124)를 접착한 상태에서 양측 중 한쪽으로 제1 체결체(131)를 체결하여 한쪽을 고정한다. 제1 체결체(131)를 체결하게 되면 제1 체결볼트(132)가 덕트공을 통과하여 제1 지지공(113)에 삽입되면서 제1 나사부(112)와 나사 체결되고, 체결을 마치면 제1 체결헤드(133) 부분이 체결밀봉접착체(124)로 근접되면서 접착되어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다른 쪽으로 제2 체결체(134)를 체결하게 되면 제2 체결볼트(135)가 덕트공(11)을 통과하여 제2 지지공(114)에 삽입되면서 제2 나사부(113)와 나사 체결되고, 체결을 마치면 제2 체결헤드(136) 부분이 체결밀봉접착체(124)로 근접되면서 접착되어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4는 도 1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중에 덕트공 타공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덕트공 타공 후 지지체 접착지지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지지체 접착 지지 후 체결밀봉접착체 접착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체결밀봉접착체 접착 후에 체결부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에서 체결부가 체결되어 시공완료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 지지장치(100)의 시공방법은 덕트공 타공단계(S10), 지지체 접착지지단계(S20), 체결밀봉접착체 접착단계(S30), 및 시공완료 단계(S40)를 포함한다.
덕트공 타공단계(S10)는 덕트(10)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위치에 덕트(10)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덕트공(11)을 타공하는 단계이다.
즉, 덕트(10)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강도를 종방향으로 지지할 것인지 횡방향으로 지지할 것인지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덕트(10)에 지지체(110)가 설치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통공 형태의 덕트공(11)을 타공한다.
지지체 접착지지단계(S20)는 덕트(10)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덕트공(11)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양끝단 중에 한쪽으로 안쪽면에 제1 나사부(112)를 가지는 제1 지지공(113)을 가지고, 다른쪽으로 안쪽면에 제2 나사부(113)를 가지는 제2 지지공(114)을 가지는 바 형태의 지지체의 양끝단에 지지밀봉접착체(121)가 접착된 상태에서 덕트공(11)의 내부에 접착 고정하는 지지체(110)를 접착 지지하는 단계이다.
즉, 지지체(110)의 제1 지지공(113)과 제2 지지공(114)에 각각 지지밀봉접착체(121)를 접착한 상태에서 덕트공(11)에 통공되는 위치로 접착하여 지지체(110)를 고정한다.
체결밀봉접착체 접착단계(S30)는 덕트(10)의 내부에 지지체(110)가 접착고정된 상태에서 덕트(10)의 바깥 면으로 체결밀봉접착체(124)를 덕트공(11)에 관통되는 위치로 접착하는 단계이다.
즉, 지지체(110)의 접착한 상태에서 덕트(10)의 바깥 면의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위치한 덕트공(11)의 바깥 면에 체결밀봉통공(126)과 덕트공(11)이 연통되도록 체결밀봉접착체(124)를 접착한다.
시공완료 단계(S40)는 덕트(10)의 한쪽으로 제1 체결볼트(132)를 삽입하여 상기 제1 지지공(113) 내에 제1 나사부(112)와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제1 체결헤드(133)가 체결밀봉접착체(124)에 접착되면서 밀봉 체결되고, 다른쪽으로 제2 체결볼트(135)를 삽입하여 제2 지지공(114) 내에 제2 나사부(113)와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제2 체결헤드(136)가 체결밀봉접착체에 접착되면서 밀봉 체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체결밀봉접착체(124)를 부착한 후에 한쪽에 제1 체결체(131)와 다른 쪽에 제2 체결체(134)를 지지체(110)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지지밀봉접착체(121)와 체결밀봉접착체(124)가 체결에 의해 가압되면서 밀봉을 실시하여 여타의 밀봉 작업이 필요 없이 체결과 동시에 밀봉이 되어 시공 단계를 축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장치 110 : 지지체
111 : 제1 지지공 112 : 제1 나사부
113 : 제2 지지공 114 : 제2 나사부
120 : 밀봉접착부 121 : 지지밀봉접착체
122 : 지지밀봉접착면 123 : 지지밀봉통공
124 : 체결밀봉접착체 125 : 체결밀봉접착면
126 : 체결밀봉통공 130 : 체결부
131 : 제1 체결체 132 : 제1 체결볼트
133 : 제1 체결헤드 134 : 제2 체결체
135 : 제2 체결볼트 136 : 제2 체결헤드

Claims (5)

  1. 덕트의 내부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에 지지하는 위치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된 덕트공에 삽입 설치되어 지지되는 덕트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 사이에 양끝단이 각각 접촉되면서 보강 지지되는 바 형태의 지지체;
    상기 덕트의 바깥 면과 안쪽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공의 안쪽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체가 접착된 상태로 밀봉 지지되고, 상기 덕트공의 바깥 면에서도 접착 밀봉하도록 구비된 밀봉접착부; 및
    상기 덕트의 바깥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공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면서 상기 덕트공의 바깥면에 접착된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가압 밀봉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봉접착부는,
    상기 덕트의 안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 내부에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의 안쪽면에 각각 위치하여 중앙에 상기 덕트공과 연통되는 지지밀봉통공을 가지고, 상기 지지체 설치 시 상기 덕트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접촉되는 양측면으로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지지밀봉접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내부에 상기 지지체의 양끝단부가 접착 고정시키며, 완충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체 접착 시 상기 덕트공을 밀봉하는 지지밀봉접착체; 및
    상기 덕트의 바깥쪽 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덕트 외부에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의 바깥면에 각각 위치하여 중앙에 상기 덕트공과 연통되는 체결밀봉통공을 가지고, 상기 체결부 설치 시 상기 덕트와 상기 체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각각 접촉되는 양측면으로 접착되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체결밀봉접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의 외부에 상기 덕트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가 접착 고정되며, 완충소재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의 체결 시 상기 덕트공을 밀봉하는 체결밀봉접착체;를 포함하는
    덕트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양단 중 한쪽에 중공 형태로 상기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안쪽면에 제1 나사부를 가지는 제1 지지공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에 중공 형태로 상기 체결부가 삽입 체결되도록 안쪽 면에 제2 나사부를 가지는 제2 지지공을 형성한
    덕트 지지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덕트의 한쪽에 위치한 상기 덕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를 체결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체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공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나사 체결되는 제1 체결볼트와, 타측으로 상기 제1 체결볼트의 체결 후에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밀봉을 실시하는 제1 체결헤드를 포함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덕트의 다른쪽으로 위치한 상기 덕트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를 체결 고정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외부에 나사산을 가지면서 상기 지지체가 접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공을 통해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에 나사 체결되는 제2 체결볼트와, 타측으로 상기 제2 체결볼트의 체결 후에 상기 밀봉접착부에 접착되면서 밀봉을 실시하는 제2 체결헤드를 포함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덕트 지지장치.
  5. 덕트의 크기와 위치를 고려하여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위치에 상기 덕트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덕트공을 타공하는 단계;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덕트공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양끝단 중에 한쪽으로 안쪽면에 제1 나사부를 가지는 제1 지지공을 가지고, 다른쪽으로 안쪽면에 제2 나사부를 가지는 제2 지지공을 가지는 바 형태의 지지체의 양끝단에 지지밀봉접착체가 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공의 내부에 접착 고정하는 상기 지지체를 접착 지지하는 단계;
    상기 덕트의 내부에 상기 지지체가 접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의 바깥 면으로 체결밀봉접착체를 상기 덕트공에 관통되는 위치로 접착하는 단계; 및
    상기 덕트의 한쪽으로 제1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제1 지지공 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제1 체결헤드가 상기 체결밀봉접착체에 접착되면서 밀봉 체결되고, 다른쪽으로 제2 체결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제2 지지공 내에 상기 제2 나사부와 나사 체결하게 되면 제2 체결헤드가 상기 체결밀봉접착체에 접착되면서 밀봉 체결되어 시공을 마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덕트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90159595A 2019-12-04 2019-12-04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04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595A KR102404353B1 (ko) 2019-12-04 2019-12-04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595A KR102404353B1 (ko) 2019-12-04 2019-12-04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46A KR20210069846A (ko) 2021-06-14
KR102404353B1 true KR102404353B1 (ko) 2022-05-31

Family

ID=7641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595A KR102404353B1 (ko) 2019-12-04 2019-12-04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3068B (zh) * 2021-12-21 2024-03-08 华北冶建工程建设有限公司 管道紧固装置及方法
CN116085533B (zh) * 2022-11-15 2023-12-19 江苏永和高分子技术有限公司 芳纶缠绕结构的核电抗辐射密封橡胶预埋管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09Y1 (ko) * 2012-12-12 2013-08-14 김미야 덕트 지지장치
US20160131389A1 (en) * 2014-11-12 2016-05-12 Fran Lanciaux Structurally Reinforced Duc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05B1 (ko) * 2010-05-28 2012-06-28 광스틸 주식회사 도관 보강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509Y1 (ko) * 2012-12-12 2013-08-14 김미야 덕트 지지장치
US20160131389A1 (en) * 2014-11-12 2016-05-12 Fran Lanciaux Structurally Reinforced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846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353B1 (ko) 덕트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EP1882872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US7447045B2 (en) Board supporting mechanism, board supporting method, and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using the same mechanism and method
ES2284150T3 (es) Disposiivo de fijacion de palletes con un elemento amortiguaor.
US20120301215A1 (en) Adapter
US8272630B2 (en) Device for fixing especially surface-like workpieces having an attachment surface
ATE514620T1 (de) Verfahren zum zusammenbauen von bauteilen einer fahrzeugkarosserie
JP6005820B2 (ja) 治具
US20050276677A1 (en) Load carrier support
CN102777456A (zh) 支撑框架
KR101568016B1 (ko)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장치 및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방법
CN106032000B (zh) 定位装置
JP2005036639A (ja) ガラスリブ構造
JP4543184B2 (ja) 胴縁取付用ブラケット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6404032B2 (ja) 建物ユニット輸送用治具及び建物ユニット輸送時の連結構造
US8079193B2 (en) Hidden edge connector for mounting panel to frame opening
JP200125449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設置方法
JP2016161107A (ja) 開口部用密閉治具
KR20200006870A (ko) 다기능 거푸집 고정장치
CN213319821U (zh) 安装固定夹具
KR101743417B1 (ko) 창호 조립체 및 상기 창호 조립체의 결합 방법
CN109839797B (zh) 投影屏幕固定系统以及投影设备
KR101065192B1 (ko) 점 지지 유리 커튼 월 시스템
JP3118929U (ja) 外壁の出隅構造
CN207486114U (zh) 一种电磁四通阀体的壳体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