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270B1 -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270B1
KR102404270B1 KR1020200092771A KR20200092771A KR102404270B1 KR 102404270 B1 KR102404270 B1 KR 102404270B1 KR 1020200092771 A KR1020200092771 A KR 1020200092771A KR 20200092771 A KR20200092771 A KR 20200092771A KR 102404270 B1 KR102404270 B1 KR 10240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rminal
user terminal
user
oxygen sat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411A (ko
Inventor
최희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2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27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e.g. during ex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3Detecting or evaluating cough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61M16/024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 A61M16/026Control means therefor including calculation means, e.g. using a processor specially adapted for predicting, e.g. for determining an information representative of a flow limitation during a ventilation cycle by using a root square technique or a regression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61M2210/1039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5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xygen pressure (P-O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객담을 묽게 만들고 객담을 근위부 기도로 유도 제거하여 치료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흡기근 근력, 지구력, 기침 유량 평가, 호기근 근력 평가 및 호흡근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 폐질환자의 급성 악화를 예측하여 병원 조기 방문을 유도하며, 상기 기능 및 동작 상태를 개인 모바일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평가(진단)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Preventing diagnosing and treat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s}
본 발명은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객담을 묽게 만들고 객담을 근위부 기도로 유도 제거하여 치료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흡기근 근력, 지구력, 기침 유량 평가, 호기근 근력 평가 및 호흡근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 폐질환자의 급성 악화를 예측하여 병원 조기 방문을 유도하며, 상기 기능 및 동작 상태를 개인 모바일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평가(진단)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흡기에서 공기가 처음으로 들어가는 통로를 기관이라고 하며, 이러한 기관은 오른쪽 기관지와 왼쪽 기관지로 나누어지게 되고, 이 기관지는 더 작은 기관지로 갈라져서 폐와 이어진다. 상기 폐는 폐포라고 하는 작은 공기주머니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른쪽 폐는 크게 3엽(우상엽, 우중엽, 우하엽), 왼쪽 폐는 2엽(좌상엽, 좌하엽)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와 같은 폐는 공기 중에서 산소를 혈액으로 받아들이고, 혈액 속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호흡작용이라고 부르며 생명 유지의 기본 기능이다. 폐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작은 혈관들이 폐포를 둘러싸고 있으며, 호흡작용 외에도 폐는 호흡에 의해 열을 발산시킴으로써 체온조절, 몸속의 산과 염기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도 있다.
이러한 폐는 공해와 흡연 및 세균을 포함한 각종 위험 요소에 노출되는 것에 의해 손상 내지 폐질환을 일으키게 되는데, 다양한 알레르기(allergy) 및 호흡 통로(respiratory tract) 감염들에 의한 폐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호흡기 질환자는 지속적인 약물요법과 반복된 항생제 요법(antibiotic regime)받게 된다.
기관지 염증으로 인하여 분비된 점액 및 감염 요인(infection factor)들은 폐쇄된 작은 기관지(bronchial tube)들 및 폐포들 안에 쉽게 잔존함으로써 호흡 부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입된 약물이 실제로 치료가 필요한 호흡 기관의 영역들에서 강한 효과를 갖기가 어려운 경우가 흔히 있다.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같은 폐쇄성 폐질환들에서, 기도(airway)들의 막힘은 강한 배출(내쉼; exhalation)에서 공기 유동을 제한한다. 천식의 경우에 기관지들은 염증(inflammation)의 결과로서 막히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증상들은 오래 지속되는 염증과 폐포의 막힘에 의해서, 그리고 이들로부터 초래되는 흉부(thorax)의 경직에 의하여 유발된다. 폐쇄성 폐질환들의 증상에는 호흡부족 및 기도 안의 점액이 포함된다.
또한, 그 증상들은 상기 질환들로부터 초래되는 흉근 긴장(thoracic muscle tension)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나아가, 급성 호흡 통로 감염의 경우, 환자의 기관지가 쉽게 자극받거나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호흡 통로 감염의 경우, 기침은 점액을 분리시키고 그 점액이 기관지로부터 더 높이 올라오게 한다. 천식 증상을 가진 환자의 경우, 호흡 통로 감염이 기관지들을 수축시킴으로써 호흡 부족을 유발하고, 점액은 기침에 의하여 충분히 제거될 수 없게 되는바, 상기 점액은 호흡 통로 안에 축적되어서 예를 들어 폐렴과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폐 질환은 예방이 중요할 뿐 아니라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한 기술들이 다수 소개되었으며, 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67045호(폐질환 환자의 흉부물리치료 시스템 ; 이하 문헌 1이라 함)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6588호(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 이하 문헌 2이라 함)가 있다.
상기 문헌 1은 호기와 흡기 호흡근 훈련을 모두 행하도록 하면서, 환자 자신이 호흡 훈련양을 직접 알 수 있도록 하여 폐질환 치료 및 훈련 동기 부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문헌 2는 환자가 날숨과 들숨 시 저항을 받으면서 액체 안으로 또는 초크를 거쳐서 숨을 불어내거나 마시는 것에 의해, 복근과 늑간근이 수축되고 폐의 하측 부분에 있는 폐포들과 작은 기관지들이 최대로 수축됨에 따라서 기관지들에서의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폐의 하측 부분으로부터 점액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문헌 1,2를 포함한 종래 기술은 들숨과 날숨을 통한 폐근력 훈련 및 기체를 포함한 약품 흡입에 의한 객담 배출을 유도하는 단순한 기술에 불과한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의 좀 더 구체적인 서지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67045호(명칭 : 폐질환 환자의 흉부물리치료 시스템 ; 출원일 : 1996.03.27.)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6588호(명칭 : 호흡기 질환의 치료 및 폐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치 ; 출원일 : 2013.09.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 객담을 묽게 만들고 객담을 근위부 기도로 유도 제거하여 치료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흡기근 근력, 지구력, 기침 유량 평가, 호기근 근력 평가 및 호흡근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만성 폐질환자의 급성 악화를 예측하여 병원 조기 방문을 유도하며, 상기 기능 및 동작 상태를 개인 모바일 단말기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평가(진단) 및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출력부(160)로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 또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출력부(16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1)를 통해 폐질환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과 호흡기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과정이 인공지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과 호흡기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과정을 환자가 즉각적이면서 직관적인 확인과 치료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과 호흡기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과정을 의료진이 원격적으로 모니터링함은 물론, 환자에 대한 처방과 치료 및 의료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료 행위의 편의성 및 관리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출력부(150)인 LCD모니터와 LED 및 스피커를 탑재시키지 않고, 환자 본인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전술한 호흡기능 훈련과 호흡기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1)의 제조성 향상과 제조원가를 절감시켜,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조작부(150) 및 LCD모니터와 LED 및 스피커를 포함한 출력부(160)를 구비하고, 이와는 별도로 환자 본인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조작부(150)와 출력부(16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조작 및 확인이 용이한 모드를 본인 스스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및 사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장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장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장치 블록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출력부(160)로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폐질환 예방 및 진단 관리 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폐질환 예방 및 진단 관리 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 또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출력부(16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단말기 본체(101)는 손잡이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는 탑재된 게임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시간과 횟수 및 주기로 날숨을 유도하면서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연결된 연결구1(102)을 통해 유입되는 환자의 들숨과 날숨 압력을 측정하여 흡기근력과 호기근력과 흡기근 지구력 및 기침 유량을 검출하고 산출하는 센서와 알고리즘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산소포화도측정부(12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손가락 거치구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가락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광투과식 산소포화도측정수단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기침유도부(130)는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2(103)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 또는 흡입시키는 양압/음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네블라이저부(140)는 저장된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흡기구를 통해 배출시켜 환자의 호흡기에 작용하도록 하는 약액분무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조작부(150)는 전체 장치의 전원 ON/OFF와 각부의 동작값에 대한 수동 설정 및 기 설정된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선택 설정하는 키버튼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출력부(160)는 각부의 설정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LCD모니터를 포함한 LED 및 스피커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무선충전부(170)는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것으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동작 전압으로 적합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일실시예(도 1 및 도 2)에 따른 제어부(190)는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다른 실시예(도 3 및 도 4)에 따른 제어부(190)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또 다른 실시예(도 5 및 도 6)에 따른 제어부(190)는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출력부(160)로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1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1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첨부 도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 음압 환경을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시키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 또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측정값을 분석 평가하여 출력부(16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관리자단말기(3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값을 수신하여 각부의 제어신호로 제공하는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100)이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단말기 본체(101)는 손잡이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병원 및 보건소를 포함한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위치한 필요 장소로 쉽게 휴대 이동하여 사용 가능하고, 폐질환 환자에게 대여하여 환자가 가정에서 직접 자가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01)는 하부에 캐스터가 마련된 프레임 상단에 마련된 이동식 스탠드 타입의 단말기로서, 병원 및 보건소를 포함한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위치한 필요 장소로 쉽게 이동시켜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의료기관의 호흡기 관련 진료과를 포함한 특정 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는 탑재된 게임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시간과 횟수 및 주기로 날숨을 유도하면서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연결된 연결구1(102)을 통해 유입되는 환자의 들숨과 날숨 압력을 측정하여 흡기근력과 호기근력과 흡기근 지구력 및 기침 유량을 검출하고 산출하는 센서와 알고리즘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 게임 프로그램은 예컨대, 환자의 들숨과 날숨이 연결구1(102)을 통해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로 유입되면 그 강도에 따라 목표물을 넘어뜨리거나, 강도에 따라 설정된 높이까지 눈금이 상승하여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게임을 통해 환자가 호흡기능 훈련에 재미와 열의를 갖고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환자의 들숨과 날숨 압력 측정을 통해 흡기근력 및 호기근력을 측정할 수 있고, 흡기근 지구력 측정은 흡기근 압력과 시간을 곱한 면적을 구한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기침 유량은 호흡 훈련 항목 중 날숨을 제외한 기침 강도 및 유량을 측정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산소포화도측정부(12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손가락 거치구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가락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광투과식 산소포화도측정수단인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 광투과식 산소포화도 측정은 산소를 가진 헤모글로빈과 가지고 있지 않은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가 다른 것에 의해, 빛을 쪼여줬을 때 생기는 빛의 세기차이를 가지고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것을 예로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기침유도부(130)는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2(103)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 또는 흡입시키는 양압/음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침유도부(130)는 에어 컴프레서를 통해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키면서 강제로 환자의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객담이 근위부 기도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네블라이저부(140)는 저장된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흡기구를 통해 배출시켜 환자의 호흡기에 작용하도록 하는 약액분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네블라이저부(140)는 물 또는 약물이 저장된 용기를 착탈식으로 단말기 본체(101)에 장착하면, 초음파를 통해 상기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환자의 흡입을 통해 폐질환이 치료되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무선충전부(170)는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는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동작 전압으로 적합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기유도 또는 자기공진 또는 전자기파 방식의 전압발생 및 충전회로인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무선충전부(170)는 사용자 즉 환자가 자신의 사용자단말기(200)인 스마트폰을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거치부위에 올려놓으면, 자기유도 또는 자기공진 또는 전자기파 방식으로 무선 충전을 실시함으로써, 환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진료 내지 치료를 실시하는 동안 그에 따른 조작 내지 제어 및 시청각적인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스마트폰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중, 상기 일실시예(도 1 및 도 2)에 따른 제어부(190)는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을 통해,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에 탑재된 게임 모드를 선택하고, 호흡기능 훈련 시간과 횟수와 주기 및 목표치를 설정한다.
그리하면, 상기 제어부(190)가 출력부(160)를 통해 설정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하거나, 설정된 값만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102)을 통해 유입되는 환자의 날숨 강도를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가 측정한다.
이때, 흡기근력의 측정은 날숨 강도 그 자체에 대한 속도 및 유량을 측정하고, 지구력 측정은 설정한 호흡 훈련 횟수에 따른 환자의 날숨 변화치를 통해 산출하고, 기침 유량은 호흡 훈련 항목 중 날숨을 제외한 기침 강도 및 유량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 과정에서 측정된 값은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환자의 기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 및 증상의 호전 상태 내지 악화 상태를 판단 평가하고 그 평가값을 제어부(190)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190)는 이를 저장하고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시키는 한편, 분석 평가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기침유도부(130)와 네블라이저부(14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기침유도부(130)의 에어 컴프레서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2(103)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 또는 흡입시키면서 강제로 환자의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객담이 근위부 기도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저장된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흡기구를 통해 배출시켜 환자의 호흡기에 작용하도록 하여, 환자의 흡입을 통해 폐질환이 치료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상기 제어부(190)는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시킨 후,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여 환자 스스로가 자신의 상태를 파악하도록 함은 물론, 의료진이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료 및 치료 및 관리에 활용한다.
본 발명은 이때, 산소포화도측정부(120)가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손가락 거치구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가락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상기 제어부(190)로 입력되어, 상기 출력부(160)에 출력되는 한편 사용자단말기(200) 및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되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1)를 통해 폐질환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과 호흡기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과정이 인공지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환자가 즉각적이면서 직관적인 확인과 치료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의료진이 원격적으로 상기 과정을 모니터링함은 물론, 환자에 대한 처방과 치료 및 의료관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중, 상기 다른 실시예(도 3 및 도 4)에 따른 제어부(190)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 전면에 거치된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게임 모드를 선택하고, 호흡기능 훈련 시간과 횟수와 주기 및 목표치를 설정한다.
그리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가 설정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하거나, 설정된 값만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102)을 통해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로 유입 및 배출되는 환자의 들숨 및 날숨 강도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가 측정한다.
이때, 상기 환자의 들숨과 날숨 압력 측정을 통해 흡기근력 및 호기근력을 측정할 수 있고, 흡기근 지구력 측정은 흡기근 압력과 시간을 곱한 면적을 구한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기침 유량은 호흡 훈련 항목 중 날숨을 제외한 기침 강도 및 유량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 과정에서 측정된 값은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환자의 기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 및 증상의 호전 상태 내지 악화 상태를 판단 평가하고 그 평가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로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는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출력시키는 한편, 분석 평가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기침유도부(130)와 네블라이저부(14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기침유도부(130)의 에어 컴프레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2(103)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 또는 흡입시키면서 강제로 환자의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객담이 근위부 기도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저장된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시켜 환자의 호흡기에 작용하도록 하여, 환자의 흡입을 통해 폐질환이 치료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는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시킨 후,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의료진이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료 및 치료 및 관리에 활용한다.
본 발명은 이때, 산소포화도측정부(120)가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손가락 거치구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가락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로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에 출력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되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때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된 사용자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101) 내부에 마련된 무선충전부(170)를 통해 무선 충전되면서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조작부(150)와 출력부(160)인 LCD모니터와 LED 및 스피커를 탑재시키지 않고, 환자 본인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전술한 호흡기능 훈련과 호흡기의 평가 진단 및 치료 과정을 조작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본체(101)의 제조성 향상과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중, 상기 또 다른 실시예(도 3 및 도 4)에 따른 제어부(190)는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것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조작부(150) 또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 전면에 거치된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게임 모드를 선택하고, 호흡기능 훈련 시간과 횟수와 주기 및 목표치를 설정한다.
그리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가 설정된 상태로 게임을 진행하거나, 설정된 값만 출력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구1(102)을 통해 유입되는 환자의 날숨 강도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가 측정한다.
이때, 상기 환자의 들숨과 날숨 압력 측정을 통해 흡기근력 및 호기근력을 측정할 수 있고, 흡기근 지구력 측정은 흡기근 압력과 시간을 곱한 면적을 구한 값으로 산출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기침 유량은 호흡 훈련 항목 중 날숨을 제외한 기침 강도 및 유량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호흡기능 훈련 과정에서 측정된 값은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환자의 기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정상 여부 및 증상의 호전 상태 내지 악화 상태를 판단 평가하고 그 평가값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로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는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출력시키는 한편, 분석 평가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기침유도부(130)와 네블라이저부(140)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기침유도부(130)의 에어 컴프레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2(103)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 또는 흡입시키면서 강제로 환자의 호흡기관을 자극하여 객담이 근위부 기도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또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의 제어하에 저장된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시켜 환자의 호흡기에 작용하도록 하여, 환자의 흡입을 통해 폐질환이 치료되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 과정을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는 저장함과 동시에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시킨 후,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의료진이 관리자단말기(300)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료 및 치료 및 관리에 활용한다.
본 발명은 이때, 산소포화도측정부(120)가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손가락 거치구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가락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제어부(190)로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화면에 출력되는 한편 관리자단말기(300)로 전송되어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때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된 사용자단말기(200)는 단말기 본체(101) 내부에 마련된 무선충전부(170)를 통해 무선 충전되면서 동작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조작부(150) 및 LCD모니터와 LED 및 스피커를 포함한 출력부(160)를 구비하고, 이와는 별도로 환자 본인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해 조작부(150)와 출력부(16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조작 및 확인이 용이한 모드를 본인 스스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110 : 호흡기능훈련/평가부
120 : 산소포화도측정부 130 : 기침유도부
140 : 네블라이저부 150 : 조작부
160 : 출력부 170 : 무선충전부
190 : 제어부 200 : 사용자단말기
300 : 관리자단말기

Claims (13)

  1.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과 음압을 교번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하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사용자단말기(200) 또는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2.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과 음압을 교번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하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3. 단말기 본체(101);
    사용자의 호흡 훈련 시 사전에 설정된 훈련 항목에 따른 호흡 기능을 측정하는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
    신체 특정 부위에 대해 빛을 조사하여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 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산소포화도측정부(120);
    사용자의 호흡기에 양압과 음압을 교번 제공하여 기침을 유발하는 기침유도부(130);
    사용자에게 습식 약물을 제공하는 네블라이저부(14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조작부(150);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출력부(160);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무선충전부(170);
    상기 조작부(150)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체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통신 접속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조작에 따라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의 입력값 및 산소포화도측정부(120)의 측정값이 입력되면, 사전에 설정된 정상값 또는 이전에 측정된 기측정값과 비교하여 증상 및 변화 상태를 분석 평가하고,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벨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와 기침유도부(130)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상기 분석 및 동작 상태를 출력부(160) 또는 사용자단말기(200)로 출력시키고 저장하는 한편, 자체 통신 모듈 또는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된 관리자단말기(300)로 분석 및 동작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회로인 제어부(190); 를 포함하여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1)는,
    손잡이가 마련된 휴대용 단말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능훈련/평가부(110)는,
    탑재된 게임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시간과 횟수 및 주기로 날숨을 유도하면서 결과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연결된 연결구1(102)을 통해 유입되는 환자의 들숨과 날숨 압력을 측정하여 흡기근력과 호기근력과 흡기근 지구력 및 기침 유량을 검출하고 산출하는 센서와 알고리즘을 포함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산소포화도측정부(12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손가락 거치구에서 조사되는 빛이 손가락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헤모글로빈의 빛의 흡수정도를 측정하여 산소포화도를 산출하는 광투과식 산소포화도측정수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침유도부(130)는,
    양압과 음압을 교번 발생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2(103)에 연결된 호흡기구를 통해 배출 또는 흡입시키는 양압/음압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네블라이저부(140)는,
    저장된 물 또는 약물을 기화시켜, 상기 단말기 본체(101)에 마련된 연결구3(104)에 연결된 호흡흡기구를 통해 배출시켜 환자의 호흡기에 작용하도록 하는 약액분무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부(170)는 단말기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어, 거치되는 사용자단말기(200)를 무선충전시키는 것으로,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동작 전압으로 적합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기유도 또는 자기공진 또는 전자기파 방식의 전압발생 및 충전회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동작의 ON/OFF와 수동동작 및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한편, 각부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출시키는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거치되는 스마트폰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장치.
KR1020200092771A 2020-07-27 2020-07-27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KR10240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771A KR102404270B1 (ko) 2020-07-27 2020-07-27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771A KR102404270B1 (ko) 2020-07-27 2020-07-27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11A KR20220014411A (ko) 2022-02-07
KR102404270B1 true KR102404270B1 (ko) 2022-06-03

Family

ID=8025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771A KR102404270B1 (ko) 2020-07-27 2020-07-27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2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724A (ja) 2007-03-22 2007-07-19 Omron Healthcare Co Ltd ネブライザおよびネブライザにおける薬量検出方法
JP2016123556A (ja) 2014-12-26 2016-07-11 エスティケ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呼吸補助装置および吸気圧制御方法
KR101752904B1 (ko) * 2016-06-29 2017-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호흡 재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5805B1 (ko) 2019-07-30 2020-04-01 (주)지에이치이노텍 사용자 호흡량을 측정하는 호흡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호흡 상태 출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102A (ko) * 2012-02-15 2013-08-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1724A (ja) 2007-03-22 2007-07-19 Omron Healthcare Co Ltd ネブライザおよびネブライザにおける薬量検出方法
JP2016123556A (ja) 2014-12-26 2016-07-11 エスティケ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呼吸補助装置および吸気圧制御方法
KR101752904B1 (ko) * 2016-06-29 2017-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호흡 재활 시스템 및 방법
KR102095805B1 (ko) 2019-07-30 2020-04-01 (주)지에이치이노텍 사용자 호흡량을 측정하는 호흡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호흡 상태 출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411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661B2 (ja) バイオフィードバックモニタリング及び患者の活動及び健康を改善する制御装置を有するベンチレータ
US11839585B2 (en) Resuscitation and ventilation asynchrony monitor
FI128346B (en) A device for taking care of respiratory well-being and for practicing and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RU2712749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оптимизации искусственной вентиляции легких на основании модели
KR102099459B1 (ko) 보급형 호흡기 질환 검진 및 훈련 키트
JP2009506825A (ja) 肺活量を監視する方法と装置
CN103619390A (zh) 具有通气质量反馈单元的医疗通气系统
US20190134460A1 (en) Respiratory therapy device and system with integrated gam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90270751A1 (en) Measuring System, Computer Program, Set of a Measuring Device and a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Measuring System
JP2018524064A (ja) 患者の換気有効性を診断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患者の換気有効性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CN111921050A (zh) 一种用于控制氧气输送的方法
CN107257698B (zh) 呼吸设备
KR102404270B1 (ko) 폐질환 예방과 진단 및 치료 관리 장치
JP2021515614A (ja) 呼吸気流量を測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102099460B1 (ko) 저장매체에 저장된 호흡기 질환자를 위한 자가 호흡 검진 및 훈련 어플리케이션
RU2345795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дыхательный тренажер с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KR102586589B1 (ko) 천식환자용 약물 모니터링 흡입기와 호흡측정기가 결합된 스마트 흡입기 시스템
KR102563526B1 (ko) 폐질환 원격 통합관리시스템
JP4206436B2 (ja) 呼吸耐力予備指数測定装置
RU91765U1 (ru) Дыхательный тренажер с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US20230190133A1 (en) Generating an indicator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R101520857B1 (ko) 인공지능 포터블 네블라이져
US11992614B2 (en) Respiratory device
KR20230079979A (ko) 호흡훈련 및 건강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흡훈련 및 건강진단 서비스 제공방법
Kulnik Pilot studies to develop and evaluate a muscle strengthening programme to reduce the risk of aspiration and improve outcome in stroke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