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125B1 -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125B1
KR102404125B1 KR1020217005458A KR20217005458A KR102404125B1 KR 102404125 B1 KR102404125 B1 KR 102404125B1 KR 1020217005458 A KR1020217005458 A KR 1020217005458A KR 20217005458 A KR20217005458 A KR 20217005458A KR 102404125 B1 KR102404125 B1 KR 102404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primary network
indi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4225A (ko
Inventor
원제 펑
이 궈
밍쩡 다이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2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49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according to tim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hand-off failure or re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단말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수신하고 RRC 구성 실패를 피드백하는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실패 처리 방법, 핸드오버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더 높다. 또한,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은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1개의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 따라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고, 다음으로 후속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FAILURE PROCESSING METHOD, SWITCH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본 출원은 2017년 5월 5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FAILURE PROCESSING METHOD, HANDOVER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314196.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실패 처리 방법, 핸드오버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다중 접속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는 하나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접속된다(하나의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면에서 예로서 사용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준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준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2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준들이 상이할 때, 예를 들어, 하나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줄여서 LTE) 기지국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무선(New Radio, 줄여서 NR) 기지국일 때,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줄여서 RRC)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어떻게 송신하는지, 및 단말 디바이스가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할 때 어떻게 피드백을 수행하는지의 두 가지 과제가 해결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은 단말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수신하고 RRC 구성 실패를 피드백하는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실패 처리 방법, 핸드오버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실패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표시 정보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본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한다.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더 높다. 또한,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은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1개의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 따라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할 수 있고, 다음으로 후속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함 -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RRC 구성을 수신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양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더 높다. 또한,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은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1개의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보고한다. 따라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할 수 있고, 다음으로 후속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1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의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방법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단말 디바이스와 또 다른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제1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서 또 다른 엔티티로 또는 또 다른 엔티티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어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실패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본 출원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한다. 제2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요청을 통해 올바른 RRC 구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4 표시 정보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수신한다. 제3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다음의 작용들: 제2 RRC 구성을 실행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 제2 RRC 구성을 해제하는 것,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베어러를 중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양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3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RRC 구성이 실패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요청을 통해 올바른 RRC 구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구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3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방법에서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단말 디바이스와 또 다른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제3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또 다른 엔티티로 또는 또 다른 엔티티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어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실패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RRC 구성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 -;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요청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1 요청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RRC 구성을 업데이트하라고 요청하거나 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선택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5 양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5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 송신 수신 포인트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요청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요청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RRC 구성을 업데이트하라고 요청하거나 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5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방법에서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또 다른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제5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또 다른 엔티티로 또는 또 다른 엔티티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어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실패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RRC 구성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됨 -;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6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6 메시지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 줄여서 SRB)를 재확립하기 위해 사용됨 -.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7 양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7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 송신 수신 포인트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6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6 메시지는 SRB를 재확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7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방법에서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또 다른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제7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서 또 다른 엔티티로 또는 또 다른 엔티티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어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3 메시지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제3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3 메시지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포함함 -; 및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은 능력 조정 결과와 연관됨 -.
본 출원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여,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획득하여 이해하지 않고서 능력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을 생성하도록 하고,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오버 절차에서 구성을 성공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능력 조정 결과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 및/또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고; 및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4 메시지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4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9 양태에서 제공되는 임의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9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거동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기능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전술한 기능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기지국, 송신 수신 포인트 등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획득하여 이해하지 않고서 능력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을 생성하도록 하고,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오버 절차에서 구성을 성공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제9 양태에서의 임의의 방법에서 대응하는 기능, 예를 들어, 방법에서의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또 다른 엔티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고, 제9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서 또 다른 엔티티로 또는 또 다른 엔티티로부터 정보 또는 명령어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2 유닛은, 제2 유닛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2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 제2 표시 정보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2 유닛은 제2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2 유닛은, 제2 유닛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4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 제4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2 유닛은 제4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1 유닛은, 제1 유닛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5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 제5 표시 정보는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유닛은 제5 표시 정보를 제2 유닛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제2 유닛은 실패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하고 - 실패 표시 정보는 통신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실패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 중 임의의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타이머가 만료하는 것, 재송신 횟수들의 양이 최대 횟수 양을 초과하는 것,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2차 셀 그룹 변경이 실패하는 것, 키가 실패하는 것, 체크가 실패하는 것, 무결성 보호가 실패하는 것,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하는 것,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하는 것.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제10 내지 제14 양태들에서의 통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 또는 기저대역 칩일 수 있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양태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제1 양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또는 제4 양태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제3 양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1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6 양태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제5 양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또는 제8 양태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제7 양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또는 제10 양태에서 제공되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제9 양태에서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1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또는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실행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판독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방법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제1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5 양태 또는 제7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실행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판독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방법들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제1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9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실행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판독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방법들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제2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칩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기능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들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하는 것을 구현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또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칩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기능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들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하는 것을 구현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또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다중 접속의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실패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실패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a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b는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확하고 철저하게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서비스 시나리오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들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들이 진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가 부상할 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기술적 해결책들이 유사한 기술적 문제에 또한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은 기존 셀룰러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줄여서 GSM),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줄여서 WCDMA) 시스템, 및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줄여서 LTE)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또는, 5세대 모바일 통신 시스템(5rd-Generation, 줄여서 5G) 시스템, 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New Radio, 줄여서 NR)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줄여서 CRAN), 및 5G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된 LTE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고; 또는, 무선 충실도(Wireless-Fidelity, 줄여서 wifi) 시스템,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세계적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줄여서 WiMAX) 시스템, 및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줄여서 3GPP)에서의 또 다른 관련 셀룰러 시스템과 같은 유사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고; 또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줄여서 OFDM)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또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가능하고; 및 미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본 출원에서의 일부 용어들이 아래에 설명된다.
(1)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줄여서 UE) 또는 단말(Terminal)이라고도 하는 단말 디바이스(Terminal device)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핸드헬드 디바이스, 차량 내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접속 기능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제어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또 다른 처리 디바이스, 및 다양한 형태로 된 이동국(Mobile station, 줄여서 MS)이다. 흔한 단말 디바이스들은 모바일 폰(전화), 태블릿 컴퓨터(패드), 노트북(notebook) 컴퓨터, 팜톱 컴퓨터,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 줄여서 MID), 및 스마트시계, 스마트 밴드, 또는 보수계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본 출원에서, 위에서 언급된 디바이스들은 집합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들이라고 지칭된다.
(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디바이스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진화된 NodeB(evolved Node B, 줄여서 eNB),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줄여서 RNC), NodeB(Node B, 줄여서 NB),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줄여서 BSC), 베이스 송수신기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줄여서 BTS), 홈 eNodeB(예를 들어, Home evolved NodeB 또는 Home Node B, 줄여서 HNB),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줄여서 BBU), 새로운 무선 NodeB(g NodeB, 줄여서 gNB),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tting reception point, 줄여서 TRP), 전송 포인트(Transmitting point, 간략히 TP), 이동 교환국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Wi-Fi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줄여서 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채널을 통해 단말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하는 장치는 통상적으로 기지국이다. 기지국은 다양한 형태의 매크로 기지국들, 마이크로 기지국들, 중계국들, 액세스 포인트들, 원격 무선 유닛들(Remote Radio Unit, 줄여서 RR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일의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이한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는 상이한 명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는 진화된 NodeB(evolved NodeB, eNB 또는 eNodeB)로서 지칭되고; 제3 세대(the 3rd Generation, 3G)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는 NodeB(Node B)로서 지칭된다.
본 출원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대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기술하고 3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A만 존재하고, A와 B가 모두 존재하며, B만 존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문자 "/"는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or)" 관계를 일반적으로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해결책들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출원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하나의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도면에서 예로서 사용됨)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 제1 RRC 기능 유닛, 또는 제1 RRC 유닛일 수 있고,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 제2 RRC 기능 유닛, 또는 제2 RRC 유닛일 수 있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는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줄여서 EPC)이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eNB와 같은) LTE 기지국이고, 제어 평면 접속 및 사용자 평면 접속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EPC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R 기지국(예컨대, gNB)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EPC 사이에 사용자 평면 접속만이 확립될 수 있다. 제1 유닛은 LTE RRC 엔티티이고, LTE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제2 유닛은 NR RRC 엔티티이고, NR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S1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S1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X2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코어 네트워크는 차세대 코어(Next Generation Core, 줄여서 NGC), 5G 코어 네트워크(5G Core Network, 줄여서 5G-CN), 또는 5G 코어(5G Core, 줄여서 5GC)이다. 코어 네트워크가 NGC인 예가 이하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eNB와 같은) LTE 기지국이고, 제어 평면 접속 및 사용자 평면 접속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NGC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NB와 같은) NR 기지국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NGC 사이에 사용자 평면 접속만이 확립될 수 있다. 제1 유닛은 LTE RRC 엔티티이고, LTE 무선 자원들을 담당한다. 제2 유닛은 NR RRC 엔티티이고, NR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차세대(Next Generation, 줄여서 NG)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NG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Xn 인터페이스(즉, 차세대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코어 네트워크는 NGC, 5G-CN, 또는 5GC이다. 코어 네트워크가 NGC인 예가 이하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gNB와 같은) NR 기지국이고, 제어 평면 접속 및 사용자 평면 접속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NGC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확립될 수 있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eNB와 같은) LTE 기지국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NGC 사이에 사용자 평면 접속만이 확립될 수 있다. 제1 유닛은 NR RRC 엔티티이고, NR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제2 유닛은 LTE RRC 엔티티이고, LTE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NG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코어 네트워크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NG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 Xn 인터페이스(즉, 차세대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분명히, 대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는 또 다른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앞서 언급된 다양한 타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같은 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앞서 언급된 다양한 타입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같은 또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준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준들이 상이한 경우에 대한 설명을 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TE 기지국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R 기지국이고; 또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NR 기지국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LTE 기지국이다. 또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본 출원에서,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한 표준을 가지며,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한 표준을 갖는다. 예를 들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NR 기지국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LTE 기지국일 때, 제1 유닛은 NR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하고, 예를 들어, 제1 유닛은 NR RRC 엔티티이고; 및 제2 유닛은 LTE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하고, 예를 들어, 제2 유닛은 LTE RRC 엔티티이다. 또 다른 예로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LTE 기지국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NR 기지국일 때, 제1 유닛은 LTE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하고, 예를 들어, 제1 유닛은 LTE RRC 엔티티이고; 및 제2 유닛은 NR 무선 자원들을 관리하는 것을 담당하고, 예를 들어, 제2 유닛은 NR RRC 엔티티이다.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에어 인터페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에어 인터페이스 양쪽 모두로부터 무선 자원들을 획득하고, 그에 의해 전송 레이트의 이득을 획득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은 그들 각자의 표준들에서의 구성을 담당하고, 서로의 구성을 이해하지 않는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로 독립적이다. 네트워크 측의 관점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각각은 RRC를 갖고 완전한 RRC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시나리오에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운반하는) RRC 메시지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되고;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컨테이너(container)로서 사용하고, 컨테이너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에 추가하고,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수신하고, RRC 메시지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포함하고,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에서의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사용하여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본 출원에서 조인트 구성으로도 지칭되는, 도 2a에 도시된 RRC 구성 방식에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이후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송신하고; 또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인트 구성 시나리오에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될 필요가 있다.
도 2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네트워크의 구조도이다. 도 2b의 코어 네트워크,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1 유닛, 및 제2 유닛은 도 2a의 코어 네트워크,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1 유닛, 및 제2 유닛과 동일한 타입들 및 동일한 상호 관계들을 갖는다. 상세 사항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도 2b와 도 2a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도 2b에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고, 여기서 RRC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운반하고;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RRC 메시지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운반한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독립적인 구성으로도 지칭되는, 도 2b에 도시된 RRC 구성 방식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은 제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에 독립적으로 송신된다.
이하에서는, 제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 제공되는 두 가지 실패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실패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도 2a에 도시된 시나리오, 즉, 조인트 구성 시나리오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101: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RRC 구성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엔티티에 의해 생성된 구성 정보이고,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RRC 구성은 프로토콜 계층들의 구성들을 포함하고,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줄여서 PDCP) 구성,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줄여서 RLC) 구성,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줄여서 MAC) 구성, 및 물리 계층 구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선택적으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에 추가하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구성을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에 추가하고,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RRC 메시지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추가로 운반한다.
단계 102: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한다.
단계 103: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 메시지이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은 제2 유닛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4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4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후, 제2 유닛은 제4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한다. 제1 유닛이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2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의 제2 RRC 엔티티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도 2a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은 제2 유닛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성공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7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7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성공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후, 제2 유닛은 제7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한다. 제1 유닛이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7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5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5 메시지는 제2 RRC 구성이 성공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의 제2 RRC 엔티티일 수 있다.
단계 104: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105: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에 제6 메시지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6 메시지는 SRB를 재확립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101 내지 단계 105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하고; 단말 디바이스가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할 때,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이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하고 제4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할 때,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여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고; 및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접속 재확립 메시지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계 101 내지 단계 105 중 어느 하나의 전 또는 후에, 이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다음의 작용들: 제2 RRC 구성을 실행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 제2 RRC 구성을 해제하는 것,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베어러를 중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다음의 작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제2 유닛이 제1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5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다음의 작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5 표시 정보는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추가로 수신하고, 제3 RRC 구성이 실패할 때, 제1 유닛은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제5 표시 정보를 제2 유닛에 송신하고, 단말 디바이스는 추가로 제2 RRC 구성을 실행하는 것을 중단하고, 및/또는 제2 RRC 구성을 해제하고, 및/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베어러를 중지한다.
또한, 제3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추가로 다음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제7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7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7 메시지는 제7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7 표시 정보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실패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방법은 도 2b에 도시된 시나리오, 즉 독립적 구성 시나리오에 대응하고,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201: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수신한다.
단계 202: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1 표시 정보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유닛이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2 유닛은 제2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하고, 제1 유닛이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단계 203: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204: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요청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1 요청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RRC 구성을 업데이트하라고 요청하거나 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RRC 구성을 업데이트한 후,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새로운 RRC 구성을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새로운 RRC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RRC 구성을 수신한다.
RRC 접속 재확립 프로세스가 이 경우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수행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RRC 구성을 업데이트한 후에,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새로운 RRC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RRC 구성을 수신한다. 이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RRC 구성을 직접 수신하고, 따라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새로운 RRC 구성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서의 속도보다 속도가 더 높다.
선택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204의 대안적 해결책에서, 단계 204는 대안적으로 단계 204a로 대체될 수 있다:
단계 204a: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한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새로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추가로 재접속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현 방법들은 이해를 위한 전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결정한다면, 제2 유닛은 실패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송신한다. 실패 표시 정보는 링크 실패의 특정 원인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실패 표시 정보는 타이머가 만료되는 것, 재송신 횟수 양이 최대 횟수 양을 초과하는 것,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2차 셀 그룹 변경이 실패하는 것, 키가 실패하는 것, 체크가 실패하는 것, 무결성 보호가 실패하는 것,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하는 것, 또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타이머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1차 셀에서 물리 계층 문제가 발생한 것을 단말 디바이스가 검출할 때 시작될 수 있다. 재송신 횟수의 양은 RLC 계층에서 재송신을 수행하는 횟수의 양일 수 있거나, 또는 또 다른 계층에서 재송신을 수행하는 횟수의 양일 수 있다. 랜덤 액세스가 실패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셀에의 랜덤 액세스가 실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2차 셀 그룹 변경이 실패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가 2차 셀 그룹을 변경하는 데 실패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2차 셀 그룹은, 단말 디바이스를 서빙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셀 그룹일 수 있다. 키가 실패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키 불일치로 인해, 단말 디바이스가 암호화 및/또는 암호해제를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체크가 실패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체크가 실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무결성 보호가 실패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무결성 보호가 실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3GPP TS36.331 및 3GPP TS33.401에서의 관련 내용을 참조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예로서 사용되는 것이고, 어떤 제한도 전술한 설명에 설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패 표시 정보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실패 표시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제2 표시 정보이다.
실패 표시 정보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실패 표시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제4 표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실패 표시 정보는 제2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결정할 때 제2 유닛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3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결정할 때 제6 표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여기서 제6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3 유닛은 제6 표시 정보를 제2 유닛에 송신하고; 및 제6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2 유닛은 실패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제3 유닛은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결정할 때 실패 표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후 실패 표시 정보를 제1 유닛에 직접 송신할 수 있다.
제3 유닛은 제2 MA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 제2 물리 계층 유닛, 또는 단말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계층 엔티티일 수 있고, 제2 MAC 엔티티, 제2 RLC 엔티티, 또는 제2 물리 계층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동일한 표준을 갖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타이머가 만료한다는 것을 실패 표시 정보가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타이머가 만료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실패 표시 정보가 재전송 횟수들의 양이 최대 횟수 양을 초과한다는 것을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재송신 횟수의 양이 최대 횟수 양을 초과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가 실패한 것을 실패 표시 정보가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랜덤 액세스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실패 표시 정보가 2차 셀 그룹 변경이 실패한 것을 표시한다면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2차 셀 그룹 변경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실패 표시 정보가 키가 실패한 것을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키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실패 표시 정보가 체크가 실패한 것을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체크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무결성 보호가 실패한 것을 실패 표시 정보가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표시 정보는 무결성 보호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실패표시 정보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한다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1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즉, 위에서 설명된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제1 유닛이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 후, 단말 디바이스는 실패 표시 정보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한다면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링크를 재확립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즉, 위에서 설명된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실패 처리 방법들은 각각의 네트워크 요소의 관점에서 그리고 네트워크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각기 설명된다. 전술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와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은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한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들에서의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하드웨어의 형태로 또는 본 출원에서의 하드웨어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는지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는지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특정한 응용들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본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응용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응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해서는 안 된다.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사이의 핸드오버 시나리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고,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변경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은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표준들을 가지며, 예를 들어, 이들은 모두 LTE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거나 모두 NR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다. 따라서, 핸드오버 절차는 다음과 같다: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한 후에,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을 판독 및 이해할 수 있고,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능력 및 구성에 기초하여 구성을 생성할 수 있고, 최종 구성이 단말 디바이스의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응용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동일한 표준들을 가지며, 표준들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표준과 상이하다. 이 경우, 전술한 핸드오버 절차에 따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 따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핸드오버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출원은 핸드오버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01: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3 메시지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3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3 메시지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이고, 제3 메시지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능력 조정 결과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 및/또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포함한다.
계층 2 버퍼는 단말 디바이스의 계층 2 버퍼이고, 대역 조합은 단말 디바이스의 대역 조합(band combination)이다.
단계 302: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생성한다.
다시 말해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은 능력 조정 결과와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구성은 RRC 구성이다.
단계 303: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송신한다.
단계 304: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한다.
단계 301 내지 단계 304를 사용함으로써,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송신하여,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획득하여 이해하지 않고서 능력 조정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핸드오버 프로세스에서 구성을 성공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추가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는 것은: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거나, 또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단계들을 사용함으로써,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추가로 송신한다(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한 후, 선택적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추가로 수신한다.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에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추가로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이 실패한다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4 메시지를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여기서 제4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이 실패할 때 사용되는 실패 처리 방법의 상세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 및 도 3a에 도시된 설명을 참조한다. 세부 사항들이 여기에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은 대역 조합 조정을 예로서 사용함으로써 설명을 제공한다. 대역 조합의 능력 조정을 위해, 선택적 해결책은 대역 조합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은 인덱스(index)이고, 제2 열은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이고, 제3 열은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열에서 대역 조합을 이용할 때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이다. 이러한 조합은 단말 디바이스의 동일 무선 주파수 체인이 상이한 대역들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존재하고, 동일 무선 주파수 체인은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동시에 사용될 수 없다.
네트워크 측은 단말 디바이스의 능력으로부터 표 1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것이고 또한 인덱스에 대응하는 대역 조합을 알 필요만 있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것이고 인덱스에 대응하는 대역 조합을 알 필요만 있다. 능력 조정 프로세스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역 조합을 선택하고, 대응 인덱스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따라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알 수 있고, 그에 의해 최종 구성이 단말 디바이스의 능력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어,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된 대역 조합이 1, 3, 및 5라면,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인덱스 4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따라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이 2, 3, 및 4 임을 안다.
인덱스(index)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역 조합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대역 조합
1 1, 2, 3, 4 2, 3, 5
2 2, 3, 4 2, 3, 4, 5
3 4, 5 1, 2, 3
4 1, 3, 5 2, 3, 4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결정한 후, 예를 들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은 1, 3, 및 5 이고,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그 다음, 계층 2 버퍼가 예로서 사용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계층 2 버퍼의 크기가 1G라고 가정하면,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가 600M이고,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가 400M인 것을 최종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조정한다.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 및 대역 조합의 크기를 결정한 후에,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 및 대역 조합의 크기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을 생성하는데, 예를 들어, RRC 구성을 생성하고, 그 구성을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 및 대역 조합에 기초하여 구성을 생성하고, 그 구성을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및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함께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들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및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500)는 하나 이상의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줄여서 RRU)(501) 및 하나 이상의 기저대역 유닛(baseband unit, 줄여서 BBU)(502)을 포함한다. RRU(501)는 송수신기 유닛, 송수신기, 송수신기 회로, 송수신기 등으로 지칭될 수 있고;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5011) 및 무선 주파수 유닛(5012)을 포함할 수 있다. RRU(501)는 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송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 및 기저대역 신호를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BBU(502)는 주로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그와 유사한 것을 하도록 구성된다. RRU(501) 및 BBU(502)는 물리적으로 함께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RRU(501) 및 BBU(502)는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거나, 또는 다시 말해서, RRU(501) 및 BBU(502)는 분산 네트워크에서의 디바이스들이다.
BBU(5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어 센터이거나, 또는 처리 유닛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채널 코딩, 다중화, 변조, 및 스펙트럼 확산과 같은 기저대역 처리 기능들을 완료하도록 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BBU(처리 유닛)는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및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BBU(50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보드는 단일 액세스 표준의 (LTE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공동으로 지원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액세스 표준들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지원할 수 있다. BBU(502)는 메모리(5021) 및 프로세서(5022)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5021)는 필요한 명령어 및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5022)는, 예를 들어, 필요한 작용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구성된다. 메모리(5021) 및 프로세서(502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서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각각의 보드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보드는 동일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회로가 각각의 보드 상에 추가로 배치된다.
업링크상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신호(데이터 등을 포함함)는 안테나(5011)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다운링크상에서, (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신호가 안테나(5011)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프로세서(5022)에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가 처리되고, 이러한 유닛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기술(예컨대, LTE, NR, 및 다른 진화된 시스템들에서의 액세스 기술들)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502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작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5022)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되고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절차들 및 도 4에 설명되고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5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설계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임의의 양의 안테나들, 메모리들, 프로세서들, 무선 주파수 유닛들, RRU들, BBU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출원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예를 들어, RRU(501)는 송수신기로서 지칭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서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RRC 구성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송수신기는 제1 요청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요청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RRC 구성을 업데이트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서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더 구체적으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송수신기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RRC 구성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송수신기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RRC 접속 재확립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500)에서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더 구체적으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제3 메시지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3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3 메시지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포함한다.
송수신기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은 능력 조정 결과와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능력 조정 결과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 및/또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는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이 실패한다면, 송수신기는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4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4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 디바이스(600)를 추가로 제공한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6a는 단말 디바이스의 주요 컴포넌트들만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600)는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회로, 안테나, 및 입력/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및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600)를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는 주로 기저대역 신호 및 무선 주파수 신호를 변환시키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는 또한, 안테나와 함께, 전자기파 형태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주로 구성되는 송수신기로서 지칭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출력 장치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가 켜진 후에, 프로세서는 저장 유닛 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설명 및 실행하고,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가 무선 방식으로 송신될 필요가 있을 때, 프로세서는 송신될 데이터에 대해 기저대역 처리를 수행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 회로에 출력한다. 무선 주파수 회로는 기저대역 신호에 대해 무선 주파수 처리를 수행하고, 이후 무선 주파수 신호를 전자기파 형태로 안테나를 사용하여 송신한다. 데이터가 단말 디바이스(600)에 송신될 때,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대역 신호를 프로세서에 출력하고,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6a는 하나의 메모리 및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로,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또한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중앙 처리 유닛은 주로: 전체 단말 디바이스(600)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의 기능들은 도 6a의 프로세서 내에 통합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 각각이 독립적 프로세서일 수 있고, 이들이 버스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인터커넥트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단말 디바이스가 상이한 네트워크 표준들에 적응하기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600)가 단말 디바이스(600)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600)의 모든 컴포넌트들이 다양한 버스들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또한 기저대역 처리 회로 또는 기저대역 처리 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은 또한 중앙 처리 회로 또는 중앙 처리 칩이라 표현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은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서, 수신 및 송신 기능들을 갖는 안테나 및 제어 회로는 단말 디바이스(600)의 송수신기 유닛(601)으로서 고려될 수 있고,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600)의 처리 유닛(602)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600)는 송수신기 유닛(601) 및 처리 유닛(602)을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은 또한 송수신기, 송수신기, 송수신기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601)에 있고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는 수신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고, 송수신기 유닛(601)에 있고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컴포넌트는 송신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고, 다시 말해서, 송수신기 유닛(601)은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 유닛은 수신기, 수신기, 수신기 회로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고, 송신 유닛은 송신기, 송신기, 송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운링크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함)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수신된다. 업링크상에서, 업링크 신호(데이터 및/또는 제어 정보를 포함함)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프로세서에서,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메시지가 처리되고, 이러한 유닛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LTE, NR, 및 다른 진화된 시스템들에서의 액세스 기술들과 같은)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의 작용을 제어하고 관리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도 3a, 도 3b, 및 도 4에 설명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절차를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도 6a는 단말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설계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임의의 양의 안테나들, 메모리들, 프로세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출원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단말 디바이스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든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에서, 예를 들어, 송수신기 유닛은 송수신기라고 지칭되고, 처리 유닛은 프로세서라고 지칭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600) 내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는 제1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송수신기는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600)에서의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는 더 구체적으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송수신기는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송수신기는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4 표시 정보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프로세서는 다음의 작용들: 제2 RRC 구성을 실행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 제2 RRC 구성을 해제하는 것,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베어러를 중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유닛이 제1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5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프로세서는 전술한 작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여기서 제5 표시 정보는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6b는 본 출원에 따른 또 다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도이고,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오디오/비디오 및 단말 디바이스의 논리적 기능들을 위해 사용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디바이스, 마이크로프로세서 디바이스, 아날로그-투-디지털 변환기, 디지털-투-아날로그 변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제어 및 신호 처리 기능들은 디바이스들의 각자의 능력들에 기초하여 이러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할당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부 음성 코더 VC, 내부 데이터 모뎀 DM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보통, 프로세서 및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단말 디바이스가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접속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헤드셋 또는 라우드스피커, 마이크로폰, 출력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동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 마이크로폰, 및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련된 다양한 회로들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는, 예를 들어 검출가능한 출력으로서 기계적 진동을 제공하는 회로이다. 입력 장치는 장치가 키패드, 터치 디스플레이, 조이스틱,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데이터를 공유 및/또는 획득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접속 회로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전자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및/또는 RF 기술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단거리 무선 주파수 RF 송수신기 및/또는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적외선 IR 송수신기, 블루투스 송수신기, 및 무선 범용 직렬 버스 USB 송수신기와 같은 다른 단거리 송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송수신기는 저전력 또는 초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 보다 구체적으로, 단거리 송수신기는 장치 근처의 (예를 들어, 10 미터 내의) 전자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및/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 디바이스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에 기초하여 전자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Wi-Fi, Wi-Fi 저전력 소비, 및 IEEE802.11 기술, IEEE802.15 기술, 및 IEEE802.16 기술과 같은 WLAN 기술들을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가입자 식별 모듈 SIM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요소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SIM에 부가하여 장치는 또 다른 착탈식 및/또는 고정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일시적 메모리 및/또는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시적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을 포함할 수 있고, RAM은 동적 RAM 및/또는 정적 RAM, 온-칩 및/또는 오프-칩 버퍼 등을 포함한다. 비일시적 메모리는 내장 및/또는 착탈식일 수 있다. 비일시적 메모리는,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저장 디바이스,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매체, 비일시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NV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 메모리와 유사하게, 비일시적 메모리는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 메모리 및/또는 비일시적 메모리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어, 정보 블록,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모바일 단말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국제 모바일 장비 아이덴티티 IMEI 코드와 같은, 단말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장치(700)를 추가로 제공한다. 장치(7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700)는 적어도 프로세서(701) 및 메모리(702)를 포함하고, 송수신기(70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버스(70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 메모리(702), 및 송수신기(703)는 모두 버스(704)를 통해 접속된다.
메모리(702)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701)는 메모리(7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장치(70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때, 프로세서(701)는 메모리(7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장치(700)가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 중 어느 하나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장치(700)는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장치(700)가 단말 디바이스일 때, 프로세서(701)는 메모리(702)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장치(700)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 또는 핸드오버 방법 중 어느 하나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프로세서(701)는 상이한 타입들의 프로세서들(701)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타입의 프로세서들(70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1)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줄여서 CPU), ARM 프로세서(ARM의 영문 전체 이름: Advanced RISC Machines, RISC의 영문 전체 이름: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줄여서 FPGA), 및 전용 프로세서와 같은, 컴퓨팅 및 처리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프로세서(701)는 다수 코어 프로세서로서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70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줄여서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줄여서 ROM), 비일시적 메모리(non-transitory memory, 줄여서 NVM),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 줄여서 SSD), 기계적 하드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및 디스크 어레이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송수신기(703)는 또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장치(700)에 의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장치(700)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라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수신기(703)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장치(700)가 단말 디바이스이라면, 단말은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의 하나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송수신기(703)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송수신기(7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이더넷 인터페이스)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액세스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버스(704)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현의 용이함을 위해, 버스는 도 7에서 굵은 선을 사용하여 표현된다. 버스(704)는 유선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음의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산업 표준 아키텍처(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줄여서 ISA) 버스, 주변 컴포넌트 인터커넥트(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줄여서 PCI) 버스, 확장된 산업 표준 아키텍처(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줄여서 EISA) 버스 등.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저장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 및 핸드오버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여기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하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실행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판독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방법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포함하고, 컴퓨터 실행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판독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실행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들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하고;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제공되는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수행하거나, 또는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 유닛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배치되도록 한다.
본 출원은 칩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기능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들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하는 것을 구현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또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칩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칩 시스템은 전술한 양태들에서의 기능들,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들에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생성, 수신, 또는 처리하는 것을 구현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가능한 설계에서, 칩 시스템은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메모리는 데이터 수신 디바이스에 대해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칩 시스템은 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칩 및 또 다른 개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단말 디바이스(8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800)는 처리 유닛(801) 및 송수신기 유닛(802)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801) 및 송수신기 유닛(802)은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802)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802)은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802)은 제1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송수신기 유닛(802)은 제1 표시 정보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802)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새로운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처리 유닛(801) 및 송수신기 유닛(802)은 추가로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802)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송수신기 유닛(802)은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4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송수신기 유닛(802)은 제2 메시지를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4 표시 정보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유닛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802)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3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처리 유닛(801)은 다음의 작용들: 제2 RRC 구성을 실행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 제2 RRC 구성을 해제하는 것,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베어러를 중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제2 유닛이 제1 유닛에 의해 송신된 제5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면, 처리 유닛(801)은 다음의 작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여기서 제5 표시 정보는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는 처리 유닛(901) 및 송수신기 유닛(902)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에서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전술한 핸드오버 방법에서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901) 및 송수신기 유닛(902)은 다음을 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902)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1 표시 정보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1 RRC 구성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송수신기 유닛(902)은 제1 요청 메시지를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1 요청 메시지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게 RRC 구성을 업데이트하도록 요청하거나 또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해제하라고 요청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청 메시지는 제1 표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901) 및 송수신기 유닛(902)은 다음을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다면, 송수신기 유닛(902)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RRC 구성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다.
송수신기 유닛(902)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RRC 접속 재확립을 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3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901) 및 송수신기 유닛(902)은 다음을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902)은 제3 메시지를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3 메시지는 핸드오버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3 메시지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능력 조정 결과를 포함한다.
송수신기 유닛(902)은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은 능력 조정 결과와 연관된다.
선택적으로, 능력 조정 결과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계층 2 버퍼의 크기 및/또는 제1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대역 조합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902)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수신기 유닛(902)은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및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 유닛(902)은 제2의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이 실패한다면, 송수신기 유닛(902)은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4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여기서 제4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동일한 발명 개념에 기초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통신 디바이스(1000)를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1000)는 단말 디바이스, 기저대역 칩,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고, 제1 유닛(1001) 및 제2 유닛(1002)을 포함한다. 상세 사항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다. 제1 유닛(1001) 및 제2 유닛(1002)은 전술한 실패 처리 방법에서 제1 유닛(1001) 및 제2 유닛(1002)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을 각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 사항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제1 유닛(1001) 및 제2 유닛(1002)의 일부 기능을 설명한다. 제1 유닛(1001)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제2 유닛(1002)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2 유닛(1002)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제2 유닛(1002)이 결정한다면 제2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2 표시 정보는 제1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유닛(1002)은 제2 표시 정보를 제1 유닛(1001)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유닛(1002)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제2 유닛(1002)이 결정한다면 제4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4 표시 정보는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유닛(1002)은 제4 표시 정보를 제1 유닛(1001)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1001)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되는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제1 유닛(1001)이 결정한다면 제5 표시 정보를 생성하고, 여기서 제5 표시 정보는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유닛(1001)은 제5 표시 정보를 제2 유닛(1002)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2 유닛은 제1 유닛에 실패 표시 정보를 송신하고, 여기서 실패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가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및 제1 유닛은 실패 표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실패 표시 정보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 중 임의의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사용된다: 타이머가 만료하는 것, 재송신 횟수들의 양이 최대 횟수 양을 초과하는 것, 랜덤 액세스가 실패하는 것, 2차 셀 그룹 변경이 실패하는 것, 키가 실패하는 것, 체크가 실패하는 것, 무결성 보호가 실패하는 것,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하는 것, 및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하는 것.
실패 표시 정보가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실패 표시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제2 표시 정보이다.
실패 표시 정보가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2차 네트워크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실패 표시 정보는 위에서 설명된 제4 표시 정보이다.
선택적으로, 제1 유닛(1001)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제2 유닛(1002)은 제2 RRC 엔티티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때,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컴퓨터상에 로딩되고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절차들 또는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들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또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들은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줄여서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또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가능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줄여서 SSD)) 등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illustrative logical block) 및 본 출원에 열거된 단계들(step)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이해할 수 있다. 기능들이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지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지는 특정 응용 및 전체 시스템의 설계 요건에 좌우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응용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해서는 안 된다.
본 출원에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유닛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줄여서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줄여서 FPGA)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장치,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조합의 설계를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거나 또는 작동시킬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범용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안적으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컴퓨팅 장치들,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코어와 함께 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구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에 직접 내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유닛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Access Memory, 줄여서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줄여서 ROM),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약어로 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줄여서 CD-ROM), 또는 본 기술 분야의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접속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입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배치될 수 있고, ASIC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이한 컴포넌트들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계에서,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된다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의 형태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한 장소에서 또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통신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임의의 범용 또는 특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이용가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또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디스크 저장소 또는 또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담지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코드는 명령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이거나, 또는 범용 또는 특수 컴퓨터 또는 범용 또는 특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게다가, 임의의 접속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적절히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또 다른 원격 리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을 사용함으로써 또는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방식으로 송신된다면, 소프트웨어는 정의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된다. 디스크(disc) 및 디스크(disk)는 압축된 디스크,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줄여서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한다. 디스크(disk)는 일반적으로 자기적 수단에 의해 데이터를 복사하고, 디스크(disc)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수단에 의해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복사한다. 전술한 조합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예들 중 하나 이상에서,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때, 이러한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의 하나 이상의 명령어 또는 코드로서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포함하며, 여기서 통신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송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전용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유익한 효과는 전술한 특정 구현들에서 상세히 추가로 설명되었다. 전술한 설명들은 본 출원의 구체적인 구현들일 뿐이고,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등가의 대체, 또는 개선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서의 이 명세서의 전술한 설명들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출원의 내용을 사용하거나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이 본 기술 분야에서 명백하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본 원리들은 본 출원의 본질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 개시된 내용은 설명된 실시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지 않고, 본 출원의 원리 및 본 출원에 개시된 새로운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대한의 범위로 추가로 확장될 수 있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실패 처리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을 수신할 때;
    상기 제2 RRC 구성이 실패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메시지를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제6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6 메시지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를 재확립하기 위해 사용됨 -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을 수신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RRC 구성이 실패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가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3 표시 정보가 상기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RRC 구성이 실패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메시지를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제1 유닛이 상기 단말 디바이스의 제2 유닛으로부터 제4 표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메시지를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4 표시 정보는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 유닛은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RRC 접속을 제어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은 제1 RRC 엔티티이고, 상기 제2 유닛은 제2 RRC 엔티티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3 RRC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RRC 구성이 실패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음 작용들: 상기 제2 RRC 구성을 실행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 상기 제2 RRC 구성을 해제하는것,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무선 베어러를 중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음 작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유닛이 상기 제1 유닛으로부터 제5 표시 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다음의 작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제5 표시 정보는 상기 제3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4. 실패 처리 방법으로서: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2 무선 자원 제어(RRC) 구성이 실패할 때,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2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메시지는 RRC 접속 재확립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RRC 구성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됨 -;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6 메시지를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6 메시지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를 재확립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제1 RRC 구성이 송신될 때;
    상기 2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상기 제1 RRC 구성이 실패할 때, 상기 1차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단말 디바이스로부터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RRC 구성이 실패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됨 -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제3 표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RRC 구성이 실패한 것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16. 삭제
  17.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단말 디바이스로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단말 디바이스가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패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디바이스.
  18. 삭제
  19.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실패 처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5.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2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28.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 코드들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
  30.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으로서,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명령어들 및 프로그램 코드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칩 시스템으로 하여금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장치를 지원하도록 야기하는 칩 시스템.
KR1020217005458A 2017-05-05 2018-05-04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404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14196.5 2017-05-05
CN201710314196.5A CN109246839B (zh) 2017-05-05 2017-05-05 一种失败处理方法、切换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PCT/CN2018/085710 WO2018202165A1 (zh) 2017-05-05 2018-05-04 一种失败处理方法、切换方法及终端设备、网络设备
KR1020197028670A KR102342278B1 (ko) 2017-05-05 2018-05-04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670A Division KR102342278B1 (ko) 2017-05-05 2018-05-04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4225A KR20210024225A (ko) 2021-03-04
KR102404125B1 true KR102404125B1 (ko) 2022-05-31

Family

ID=640168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670A KR102342278B1 (ko) 2017-05-05 2018-05-04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20217005458A KR102404125B1 (ko) 2017-05-05 2018-05-04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670A KR102342278B1 (ko) 2017-05-05 2018-05-04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477709B2 (ko)
EP (2) EP4221446A1 (ko)
JP (2) JP6852184B2 (ko)
KR (2) KR102342278B1 (ko)
CN (2) CN109246839B (ko)
BR (1) BR112019022490A2 (ko)
CA (2) CA3056692C (ko)
RU (1) RU2762387C2 (ko)
WO (1) WO2018202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10173A2 (pt) 2017-11-29 2020-10-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para reestabelecimento de uma conexão de controle de recurso de rádio e terminal
CN112703698B (zh) * 2019-01-29 2023-07-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接入网络节点管理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及存储介质
CN111757348B (zh) * 2019-03-29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11252017B2 (en) * 2019-07-22 2022-02-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ng management of secondary cell group failures in fifth generation (5G) or other advanced networks
CN114980173B (zh) * 2019-08-16 2024-05-1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11395190B2 (en) * 2019-08-23 2022-07-19 Qualcomm Incorporated Full configuration handover techniques
EP3903540A1 (en) * 2019-11-07 2021-11-03 Google LLC Managing mcg fast recovery
CN112639631B (zh) * 2020-05-19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方法和装置
WO2021243725A1 (en) * 2020-06-06 2021-12-09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random access issues in non-standalone new radio cells
CN113727370B (zh) * 2020-09-27 2023-09-01 华为技术有限公司 配置辅小区组的方法和装置
CN113473513B (zh) * 2021-09-02 2021-11-16 成都爱瑞无线科技有限公司 链路故障检测及处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4143219A (zh) * 2021-12-01 2022-03-04 北京联创新天科技有限公司 一种b/s系统架构的网络监控方法、装置、介质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494B (zh) * 2010-09-21 2016-06-0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检测无线链路失败或切换失败原因的方法
CN102469557B (zh) * 2010-11-15 2014-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基站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2894924B1 (en) 2012-09-28 2018-07-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allocation of resources
CN104982088A (zh) 2013-01-11 2015-10-1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指示的方法和装置
EP2983405B1 (en) 2013-04-05 2018-01-03 Kyocera Corporation Transmissions between radio base stations and dual connectivity release
BR112015027639B1 (pt) * 2013-05-10 2024-02-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realizado em um primeiro nó de rede, primeiro nó de rede,método realizado em um segundo nó de rede, segundo nó de rede e meios de armazenamento não transitórios legíveis por computador relacionados
CN104349361B (zh) * 2013-08-06 2019-05-1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资源控制连接的方法及装置
CN104378793B (zh) 2013-08-12 2019-06-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切换方法、主控基站及受控基站
WO2015023067A1 (ko) * 2013-08-12 2015-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 기지국 연결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링크 실패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5142363A (ja) * 2014-01-30 2015-08-0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再接続要求方法、基地局及び再接続要求処理方法
EP3101972A4 (en) 2014-01-31 2018-01-31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3100569B1 (en) * 2014-01-31 2019-0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between two enbs to agree on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for a ue which supports dual connectivity between the enbs
US10123318B2 (en) * 2014-05-07 2018-11-06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US9867096B2 (en) 2014-05-09 2018-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reconfiguration for split bearer in dual connectivity
JP6353158B2 (ja) 2014-08-08 2018-07-0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二重連結のためのサービス解除を通報する方法及び装置
WO2016121670A1 (ja) * 2015-01-30 2016-08-04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基地局
CN105992292A (zh) * 2015-02-13 2016-10-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异构网中的基站切换方法与基站
JP6886400B2 (ja) * 2015-05-28 2021-06-16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GB2541392A (en) * 2015-08-14 2017-02-22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07666727B (zh) 2016-07-25 2023-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能力协商的方法及装置、系统
CN107690154B (zh) * 2016-08-05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小区配置方法及装置
US10536955B2 (en) * 2016-08-12 2020-01-14 Qualcomm Incorporated Capability coordination across radio access technologies
US10524277B2 (en) * 2016-08-13 2019-12-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base station mobility
WO2018056623A1 (en) * 2016-09-22 2018-03-29 Lg Electronics Inc. Handling of conflict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EP3536032B1 (en) * 2016-11-04 2023-12-20 Nokia Technologies Oy Inter-rat configuration coordin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66243*
3GPP R2-1702631*
3GPP R2-17028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56692A1 (en) 2018-11-08
EP3592099B1 (en) 2023-04-19
JP7123201B2 (ja) 2022-08-22
RU2762387C2 (ru) 2021-12-20
CN109246839A (zh) 2019-01-18
JP2020511091A (ja) 2020-04-09
CN109246839B (zh) 2023-11-28
KR20210024225A (ko) 2021-03-04
US20230007548A1 (en) 2023-01-05
EP3592099A1 (en) 2020-01-08
WO2018202165A1 (zh) 2018-11-08
JP2021073798A (ja) 2021-05-13
CA3056692C (en) 2024-01-02
CN117545105A (zh) 2024-02-09
EP4221446A1 (en) 2023-08-02
RU2019134196A (ru) 2021-06-07
BR112019022490A2 (pt) 2020-05-12
US20200045594A1 (en) 2020-02-06
EP3592099A4 (en) 2020-10-14
RU2019134196A3 (ko) 2021-09-01
US11477709B2 (en) 2022-10-18
KR102342278B1 (ko) 2021-12-22
JP6852184B2 (ja) 2021-03-31
KR20190119133A (ko) 2019-10-21
CA3218722A1 (en) 2018-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125B1 (ko) 실패 처리 방법, 스위칭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184886B2 (en)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for implementing carrier aggregation
US20200099423A1 (en) Transmission precoding matrix indication method and device
US11272568B2 (en) Comm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AU201820259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communications of a user equipment (u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EP4124116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50312841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a cellular node and a core network
US11889310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20230012998A1 (en) Communication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US10772160B2 (en) RAN serv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terminal attach method
EP402104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1190978B2 (en)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30092744A1 (en) Ckey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1088471A1 (zh) 连接恢复方法及装置
WO2020164510A1 (zh) 通信方法、通信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4087303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240073762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