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94B1 -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 Google Patents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94B1
KR102404094B1 KR1020200065496A KR20200065496A KR102404094B1 KR 102404094 B1 KR102404094 B1 KR 102404094B1 KR 1020200065496 A KR1020200065496 A KR 1020200065496A KR 20200065496 A KR20200065496 A KR 20200065496A KR 102404094 B1 KR102404094 B1 KR 102404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lectrode
signal
female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773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메디
Priority to KR102020006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9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Electrod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lead and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muscle stimulation [T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는 고주파 신호, 저주파 신호, 미세전류신호, 자기장, 냉온류, 단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 되는 신호를 상기 전극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세전류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며,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상기 미세전류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극에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전극의 케이블 삽입홈내에 용접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숫놈부재를 구비한 상기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의 케이블 삽입홈내에 삽입설치된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의 숫놈부재가 서로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ROTATION ELECTRODE CONNECTOR STRUCTURE OF STIMULATOR}
본 발명은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 혹은 물리적 자극을 이용한 장치(이하, '자극기'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 자극을 통해 굳어진 근막을 풀어주면서, 고주파를 이용하여 심부에서 열을 발생시켜 근육을 부드럽게 하며 동시에 부드러워진 근육의 탄성을 향상시키고, 저주파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와 지질을 분해하여 제거시킬 수 있으며, 시술 시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전극에 결합된 케이블이 회동가능하게 되어 꼬이지 않게 되고 단선이 방지되며, 케이블과 전극의 결합이 이중 로킹구조로 되어 있고, 안전하게 고주파 공급이 가능하며, 다양한 모양의 도자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막이란 근육의 겉면을 싸고 있는 막으로서, 피부와 근육 사이에 위치하며 온몸에 걸쳐 분포하나 각 부위에 따라서 강도나 두께의 차이가 있다. 근막은 결체조직의 일종으로 근육과 같은 신체 내부의 구조물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컴퓨터, 핸드폰, 자동차 등의 사용시의 나쁜 자세, 외상, 염증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근막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손상된 근막은 비틀어지고 경직되어 유연성과 탄력성을 잃어버리며, 이로 인해 근육의 가동성이 제한되고, 통증을 유발하여 근위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점차적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제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의 하나가 근막이완술이다. 근막이완술은 마사지 도구를 이용하여 근막경선에 따라 변형되었거나 유착된 근막을 이완시켜 혈액순환장애를 해소함으로써 순환계, 림프계, 신경계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마사지 도구만을 이용하여 굳어진 심부근막을 회복시키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굳어진 근막을 효율적으로 이완시키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고주파심부열을 이용하여 인체조직의 특정 부위를 가열하는 근막이완장치이다.
일반적인 고주파를 이용한 근막이완장치는 심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근육을 부드럽게 함과 동시에 마사지 도구를 이용하여 인체의 특정 부위에 물리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손상된 근막을 치유하며 노폐물을 배출시킨다.
한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인터넷과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손쉽게 다양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피 시술자는 근막이완장치를 이용한 시술에 대하여 더욱 많은 관심과 다양한 요구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의 고주파를 이용한 근막이완장치는 이와 같은 피 시술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데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고주파를 이용한 근막이완장치는 시술 시에 마사지 도구를 움직이는 과정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피 시술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케이블과 마사지툴의 결합시에 케이블이 꼬여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에는 마사지툴과 케이블이 나사로 고정되는 경우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44849호 (공개일자:2019. 05. 0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물리적 자극을 통해 굳어진 근막을 풀어주면서, 고주파를 이용하여 심부에서 열을 발생시켜 근육을 부드럽게 하며 동시에 부드러워진 근육의 탄성을 향상시키고, 저주파를 이용하여 지방세포와 지질을 분해하여 제거시킬 수 있으며, 시술 시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과 전극의 결합시에 케이블이 꼬여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전극과 케이블이 나사로 고정되는 경우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이런 문제점을 삽입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주파 신호, 저주파 신호, 미세전류신호, 자기장, 냉온열, 단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 되는 신호를 상기 전극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세전류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며,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상기 미세전류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극에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전극의 케이블 삽입홈내에 용접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숫놈부재를 구비한 상기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의 케이블 삽입홈내에 삽입설치된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의 숫놈부재가 서로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는 일측에 플랜지부 삽입구멍이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몸통부에는 상기 플랜지부 삽입구멍과 수직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통부를 감싸면서 스프링이 면접설치되고, 상기 구멍에는 볼이 안착되며, 안착된 볼은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구멍에 갇혀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볼의 저면일부는 상기 삽입구멍에 내측 상면에서 일정 길이(a)만큼 저면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와 결합되는 케이블의 숫놈부재에는 상기 볼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볼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과 결합될 때마다 로킹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을 이용하여 신체에 물리적 자극을 가함으로써 굳어진 근막을 풀어줄 수 있으며, 고주파를 이용하여 심부에서 열을 발생시켜 근육을 부드럽게 하면서 동시에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부드러워진 근육의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곡률로 오목하게 형성된 전극을 이용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골고루 마사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과 전극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술 도중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과 전극의 결합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꼬여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단선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전극과 케이블이 나사로 고정되는 경우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이런 문제점을 삽입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해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과 전극의 결합이 이중 로킹구조로 되어 있어서 안전하게 고주파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다양한 모양의 도자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분야외에 이미용 장비에도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전극 커넥터가 사용되는 장치에는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타 기기와의 적합성 및 확장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신호 발생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극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 숫놈부재의 결합전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 숫놈부재의 일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 및 케이블 숫놈부재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의 스프링과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의 삽입 전 노출시킨 상태에서의 사시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된 케이블 암놈부재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자극기는 신호 발생기(10), 전극(20) 및 케이블(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발생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신호 발생기(12), 저주파신호 발생기(14) 및 미세전류 신호발생기(16)를 포함한다.
고주파신호 발생기(12)는 고주파 신호를 발생시키며, 저주파신호 발생기(14)는 저주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미세전류 신호 발생기(16)는 미세전류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신호 발생기(10)는 고주파신호 발생기(12)에 의해 발생되는 고주파신호, 저주파신호 발생기(14)에 의해 발생되는 저주파 신호, 및 미세전류신호 발생기(16)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전류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킨다(이에 한정되지 않음, 고주파, 저주파, 미세전류 외에도 자기장, 냉온열, 단파 등등의 기법이 적용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자극기는 공기압, 초음파, 저주파, 자기장, 냉온, 주파수(고주파,저주파), 음파, 전류(미세전류 등) 자극을 주어 미용, 의료, 헬스, 건강 등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의 신호 발생기(10)는 고주파신호의 발생이 선택된 경우, 미세전류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킨다.
고주파 신호는 고주파 치료를 위해 생성되는 고주파 전류로서, 인체 환부에 인가되는 경우에 인체의 피부 내부에서 심부열을 발생시키며, 세포의 이온 운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혈액순환 개선 및 손상된 조직의 재생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저주파 신호는 저주파 치료를 위해 생성되는 저주파 전류로서, 인체 환부에 전기자극을 인가되는 경우에 근육이 수축하고 전기자극을 제거하면 근육이 이완되며, 이와 같은 기능을 이용하여 마사지를 하듯이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을 반복함으로써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재생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전류신호는 주파수가 없는 직류로서, 인체 환부에 인가되는 경우에 음이온의 반발력으로 전기적 배리어층을 갖는 각질층을 일시적으로 파괴하여 화장수가 피부 진피 층으로 흡수되도록 한다. 또한, 미세전류신호는 피부표면에서 가까이 곳에 위치한 신경의 흐름에 도움을 주기도 하며, 따라서 신경통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이때, 미세전류신호는 고주파 신호와 동시에 인가하는 경우에 고주파 신호에 의해 부드러워진 근육을 자극하여 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는 고주파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 미세전류신호를 함께 발생시켜 고주파신호 및 미세전류신호를 동시에 이용한다.
전극(20)은 인체의 환부에 직접 접촉되며, 피 시술자의 인체환부를 물리적으로 자극하여 손상된 근막을 치유하며 노폐물을 배출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에서 사용하는 전극(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부(21)와 다리부(22)로 이루어진다.
머리부(21)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가 가장 작은변에 다리부(22)가 연결된다. 이때, 다리부(22)는 길이가 같은 두 개의 다리로 이루어지며, 머리부(22)의 각각의 다리부(22)와 연결되는 각각의 변은 길이가 서로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다리부(22)는 다리를 벌리고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다리와 머리부(21)가 연결되는 부위(23, 24)는 설정된 곡률로 오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다리 사이(25)도 설정된 곡률로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연결부위(23, 24)와, 다리 사이(25)의 각각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부(21)는 다리부(22)와 연결되는 양변과 밑변이 일정한 두께를 이루도록 내부에 관통구멍(26)이 형성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리부(22)의 양 다리의 끝단은 설정된 지름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부(21)는 전극(20)을 피시술자의 인체에 접촉시켜 물리적인 자극을 가할 때에 손잡이로 이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머리부(21)를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머리부(21)와 다리부(22) 사이의 양측의 곡률, 다리부(22)의 각 다리 사이의 곡률을 모두 서로 다르게 형성하고, 머리부(21)의 내부에 관통구멍(26)을 형성함으로써, 전극(20)의 양 측면과 다리부의 어느 방향으로도 용이하게 물리적인 힘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리부(22)의 끝단을 원형으로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손가락 사이, 발가락 사이 등과 같은 인체부위에도 용이하게 물리적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의 전극(20)은 각각의 측면이 모두 인체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기 위한 접촉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는 전극(20)의 각 측면과, 앞면 또는 뒷면이 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극(20)의 각각의 접촉면의 모서리 부분은 피 시술자에게 물리적인 자극을 가할 때에 피 시술자의 피부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앞면 및 뒷면과 1~45도로 경사지게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부(21)의 일 측면에는 케이블(30)과 연결하기 위한 접촉단자(28)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머리부(21)의 사다리꼴의 밑변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접촉단자(28)의 위치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30)은 전극(20)에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신호 발생기(10)에 의해 발생된 고주파 신호, 저주파 신호 및 미세전류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전극(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극(20)은 피 시술자의 인체 환부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는 과정에서 많은 움직임이 수반된다. 이때, 전극(20)과 케이블(30)의 접촉부위가 불완전한 경우, 전극(20)을 움직이는 과정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발생된 스파크는 피 시술자에게 화상을 입힐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는 전극(20)과 케이블(30)의 접속이 일정하게 유지하여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 숫놈부재의 결합전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 숫놈부재의 일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 및 케이블 숫놈부재의 결합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의 스프링과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의 삽입전 노출시킨 상태에서의 사시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과 케이블의 결합구조에서 전극 내에 삽입설치된 케이블 암놈부재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의 전극은 도 3과 유사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전극(20-1)은 케이블 삽입홈(28-1)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30)은 삽입부(31), 커버부(32)로 구성되며, 삽입부(31)(혹은 숫놈부재라 칭함)가 상기 케이블 삽입홈(28-1)에 숫놈부재 역할을 하며 삽입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극(20-1)의 케이블 삽입홈(28-1)내에는 케이블 암놈부재(40)가 용접 혹은 억지끼워 맞춤되어 내장 설치되게 되는데,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일부를 노출시켰다.
결국, 전극(20-1)과 케이블(30)은 전극(20-1)의 케이블 삽입홈(28-1)내에 삽입설치된 케이블 암놈부재(40)와 케이블(30)의 숫놈부재(31-1)가 서로 결합되면서 연결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40)는 일측 플랜지부 삽입구멍(42a)이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몸통부(41)에는 상기 삽입구멍(42a)과 수직 연통되는 구멍(41a)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통부(41)를 감싸면서 스프링(50)이 면접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멍(41a)에는 볼(60)이 안착되며, 안착된 볼(60)은 스프링(50)에 의해 눌려지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구멍(41a)에 갇혀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볼(60)의 저면일부는 상기 삽입구멍(42a)에 내측 상면에서 일정 길이(a)만큼 저면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게 된다(도 10 참조).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 암놈부재(40)에는 케이블 숫놈부재(31-1)가 삽입설치된다.
미설명부호 31a, 31b는 볼 안착홈을 나타내며, 케이블 숫놈부재(31-1)가 상기 삽입구멍(42a)에 삽입될 때, 상기 숫놈부재(31-1)의 지름은 상기 삽입구멍(42a)의 지름과 거의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삽입되면서 상기 안착된 볼(60)을 밀면서 들어가게 된다. 볼(60)은 처음에는 볼 안착홈(31a)에 안착되다가 다시 밀리면서(볼 안착홈(31a)은 측면에서 보면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음) 다음 볼 안착홈(31a)으로 밀려가서 안착되게 된다. 케이블 숫놈부재(31-1)는 케이블 커버(32)에 의해 커버되는 부분이 내부가 각각 세 개 이상의 홈(31c)(31d)(31e)(31f)이 형성되어 케이블을 압착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40)는 폭(w2)만큼 상기 전극(20-1)에 삽입설치된다.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40)는 스프링(50)이 감싸져있고, 스프링(50)은 볼(60)을 누르고 있으며, 스프링(50)에 눌려서 볼(60)은 길이 a 만큼 상기 삽입구멍(42a)에 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볼(50)은 한 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숫놈부재와의 결합을 좀 더 원활하게 하면서 결합을 좀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두 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미도시). 상기 스프링(50)은 볼(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숫놈부재(31-1)를 구비하는 케이블(30)은 결합된 상태에서도 360도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케이블처럼 고정된 상태에서 줄이 꼬이는 현상이 해결된다. 또한, 상기 숫놈부재(31-1)에 형성된 볼 안착홈이 두 개인 것은 안전을 위하여 혹시라도 볼이 볼 안착홈(31a)에 홀딩되어 있다가 이탈되어도 또 다른 안착홈(31b)에 안착되어 홀딩되게 되므로 케이블(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중 로킹 구조(즉, 볼 안착홈(31a,31b)을 통해 결국 전극(20)내에 케이블(30)은 이중으로 로킹되는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는 점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과 전극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술 도중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과 전극의 결합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꼬여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단선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전극과 케이블이 나사로 고정되는 경우 사용상 불편한 점이 있었는데, 이런 문제점을 삽입 착탈식으로 결합함으로써 해결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과 전극의 결합이 이중 로킹구조로 되어 있어서 안전하게 고주파 공급이 가능하게 되며, 다양한 모양의 도자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극은 한정된 모양은 아니며, 마사지툴이나 핸드피스(이에 한정되지 않음)에도 상기 전극과 케이블의 회전전극컨넥터를 설치하여 동일한 작용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신호 발생기 12: 고주파신호 발생기
14: 저주파신호 발생기 16: 미세전류신호 발생기
20, 20-1: 전극 21: 머리부
22: 다리부 23: 제1측면의 곡률부
24: 제2측면의 곡률부 25: 제3측면의 곡률부
26: 관통구멍 27: 원형의 볼록부
28: 결합단자 30: 케이블
31-1: 케이블 숫놈부재
40: 케이블 암놈부재
50: 스프링 60: 볼

Claims (3)

  1. 고주파 신호, 저주파 신호, 미세전류신호, 자기장, 냉온열, 단파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전극; 및
    상기 전극에 탈착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 되는 신호를 상기 전극에 전달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상기 고주파 신호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세전류신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며, 상기 고주파 신호 및 상기 미세전류신호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극에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전극의 케이블 삽입홈내에 용접 또는 억지끼워맞춤으로 설치되는 케이블 암놈부재;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에 삽입설치되는 케이블 숫놈부재를 구비한 상기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의 케이블 삽입홈내에 삽입설치된 케이블 암놈부재와 케이블의 숫놈부재가 서로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는 일측에 플랜지부 삽입구멍이 중심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몸통부에는 상기 플랜지부 삽입구멍과 수직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통부를 감싸면서 스프링이 면접설치되고, 상기 구멍에는 볼이 안착되며, 안착된 볼은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구멍에 갇혀있게 되며, 동시에 상기 볼의 저면일부는 상기 삽입구멍에 내측 상면에서 일정 길이(a)만큼 저면으로 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와 결합되는 케이블의 숫놈부재에는 상기 볼과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볼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볼과 결합될 때마다 로킹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암놈부재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65496A 2020-05-29 2020-05-29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KR102404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96A KR102404094B1 (ko) 2020-05-29 2020-05-29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496A KR102404094B1 (ko) 2020-05-29 2020-05-29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773A KR20210147773A (ko) 2021-12-07
KR102404094B1 true KR102404094B1 (ko) 2022-06-02

Family

ID=7886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496A KR102404094B1 (ko) 2020-05-29 2020-05-29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60Y1 (ko) * 2000-12-30 2001-11-16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모공 축소 수술기
US20020128692A1 (en) * 2001-03-08 2002-09-12 Ray Imani Hermetically sealed feedthrough connector using shape memory alloy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969B1 (ko) * 2017-07-03 2020-04-08 (주)디지링크 자가 프로그래밍과 교차 착탈이 가능한 전기치료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60Y1 (ko) * 2000-12-30 2001-11-16 주식회사 프라임 메디텍 모공 축소 수술기
US20020128692A1 (en) * 2001-03-08 2002-09-12 Ray Imani Hermetically sealed feedthrough connector using shape memory alloy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773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0895B2 (en) Noninvasive or percutaneous nerve stimulation
KR100809633B1 (ko) 다기능 마사지기
US6126620A (en) Systems and method for performing soft tissue massage therapy
KR101191951B1 (ko) 전기자극을 개선한 피부미용장치
JP7169688B2 (ja) 美容に使用する複合電極パッドを用いた美容機器
KR102404094B1 (ko) 자극기의 회전전극커넥터 구조
KR20180085948A (ko) 근접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자극기
CN209713992U (zh) 宠物用的理疗装置
US20220401291A1 (en) Modular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582547B1 (ko) 마사지볼을 통한 롤핑기법이 가능한 근막마사지기
KR102055791B1 (ko) 전기자극 기능이 구비된 부항장치
KR101635596B1 (ko) 고주파자극기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치료기
KR200444949Y1 (ko) 고주파 자극 장치
KR20210002873A (ko) 근막이완장치
KR102188672B1 (ko) 전자기 치료장치
KR102119237B1 (ko) 다기능 초음파 물리치료기
KR101585955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조직 거상술용 시술장치 및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조직 거상술
KR101288644B1 (ko) 진동 마사지 장치
CN214859148U (zh) 耳穴夹
KR20080073002A (ko) 피부미용 및 통증치료기기
RU2152774C1 (ru) Способ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организм и электроды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электрическим током на ушную раковину
KR102318693B1 (ko) 미세전류 미용기기
JPH0591693U (ja) 電気治療器具
JP3046419U (ja) マッサージ具
KR102450567B1 (ko) 휴대용 귀 지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