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73B1 -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73B1
KR102404073B1 KR1020220026871A KR20220026871A KR102404073B1 KR 102404073 B1 KR102404073 B1 KR 102404073B1 KR 1020220026871 A KR1020220026871 A KR 1020220026871A KR 20220026871 A KR20220026871 A KR 20220026871A KR 102404073 B1 KR102404073 B1 KR 10240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ice
instantaneous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재
Original Assignee
박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재 filed Critical 박민재
Priority to KR102022002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2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2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fluid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65Removing frost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 F25D31/003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with immersed cool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도 연결관으로부터 정수한 원수를 직수하여 급가열모듈(순간 온수가열 장치)을 이용하여 급가열하여 살균 처리한 후, 급냉각모듈(순간 냉각장치)을 이용하여 급냉각 처리하여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적정 온도의 냉수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통 오염에 따른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제약없이 급가열과 급냉각 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음용수(냉수 혹은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급가열모듈을 이용하여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이 인너 하우징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 시에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음용 냉수 공급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DIRECT TYPE SUPPLYING SYSTEM OF DRINKING WATER AND RAPID HEATING APPARATUS OF HOT WATER}
본 발명은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수도 연결관으로부터 정수한 원수(原水)를 직수하여 급가열모듈(순간 온수가열 장치)을 이용하여 급가열하여 살균 처리한 후, 다시 급냉각모듈(순간 냉각장치)을 이용하여 급냉각 처리하여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적정 온도의 냉수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전의 저수통 오염에 따른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제약 없이 급가열과 급냉각 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음용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장과 같이 단체로 식사를 하는 곳이나,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여러 사람이 마실 물(음용수)을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수대, 즉 음용수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음수 공급장치는 마실 물이 저장된 저수통과, 상기 저수통에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연결된 밸브를 구비하는 취수노즐로 이루어진다. 상수도관에 연결된 급수장치를 통해 취수노즐의 상부에 설치된 저수통에 저장하고, 상기 저수통의 저부에는 냉수 및 온수 공급관이 연결되어 취수밸브를 통해 취수노즐에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저수통의 물을 냉각하기 위한 냉수 공급장치가 음수 공급장치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저수통의 내부를 살균하기 위한 살균장치가 저수통의 하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취수밸브는 냉수취수밸브와 온수 취수밸브로 각각 구별 설치된다.
상기 급수장치는 상수도관에 연결된 수도 연결관과, 상기 수도 연결관에 연결되어 수돗물을 정화하는 다수의 필터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저수통의 상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형성되어 저수통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음수 공급장치는 낮에 저수통의 물이 다 소진되면, 증기발생기를 작동시켜 끓는 물을 저수통에 채우고, 상기와 같이 다시 자연 냉각시켜야 하는바, 이와 같이 자연 냉각하는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하므로, 이 음수 공급장치를 곧바로 사용하여 음용수를 취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항상 사용하기 전날 저녁 시간에 증기발생기(히터)를 작동시켜 물을 저수통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음수 공급장치의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012229호에는 "음수 공급장치의 온수 냉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음수 공급장치의 온수 냉각장치에서는 구조상 급가열 및 급냉각을 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음용수를 일정기간 동안 저수통 안에 공급 저장하기 때문에 저수통 안에서 오염이 발생하고, 증기발생기를 작동시켜 물을 저수통에 공급하여야 하므로 음수 공급장치의 사용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12229호(등록일: 2011년 01월 25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종전과는 달리 저수통을 구비하지 않고 수도 연결관으로부터 정수한 원수를 직수하여 급가열모듈(순간 가열장치 혹은 순간 온수가열 장치)을 이용하여 급가열하여 살균 처리한 후, 급냉각모듈(순간 냉각장치)을 이용하여 급냉각 처리하여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적정 온도의 냉수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통 오염에 따른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그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제약 없이 급가열과 급냉각 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음용수(냉수 혹은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급가열모듈을 이용하여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이 인너 하우징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 시에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음용 냉수 공급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은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 연결관에 설치되어 원수(原水)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밸브; 상기 수도 연결관에 연결되는 아우터 코일관(outer coil pipe)과 그 아우터 코일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너 코일관 (inner coil pipe)으로 구성되며, 상기 아우터 코일관과 상기 인너 코일관을 경유하는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더블 코일관(double coil pipe); 상기 아우터 코일관을 경유한 물을 공급받아 가열 살균 처리하고, 가열한 물(온수)을 상기 인너 코일관으로 재순환하는 급가열모듈(순간 온수 가열장치); 상기 인너 코일관을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급냉 처리하는 급냉각모듈; 및 상기 급냉각모듈로부터 음용 냉수를 공급받아 일정량을 저장하고, 출수구를 통해서 음용 냉수를 사용자에게 분배 가능하도록 하는 음용 냉수 분배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급가열모듈(순간 온수 가열장치)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outer housing); 상기 아우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 간의 사이에 순간 히팅공간을 형성하는 인너 하우징(inner housing); 상기 순간 히팅공간 물을 급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heater);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순간 히팅공간 안에 있는 물과의 열교환을 위해서 상기 순간 히팅공간 내부에 권취되는 온수 순환코일; 상기 온수 순환코일의 입구측과 상기 아우터 코일관을 연결하는 아우터 연결관; 상기 온수 순환코일의 출구측과 상기 인너 코일관을 연결하는 인너 연결관; 상기 순간 히팅공간 안에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의 센터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 보충통; 상기 순간 히팅공간 안에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제어밸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물 보충통 안에 원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제어밸브에 연결되는 물 보충 연결관;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간 히팅공간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인너 하우징 사이에 형성하되, 상기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은 상기 인너 하우징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그 결합홀 안으로 상기 물 보충통의 하부에 출수구를 갖는 결합부가 결합되어 상기 물 보충통이 상기 인너 하우징 안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상단부는 뚜껑(lid)에 의해서 커버링되어 상기 순간 히팅공간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상기 순간 히팅공간 내용적을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플런저(plunger)(혹은 피스톤)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플런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냉각모듈은 내부에 2차 냉매(빙축수)를 저장하는 수조(water tank); 상기 급가열모듈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급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 안에 권취되어 설치되는 냉수 순환코일과, 상기 냉수 순환코일의 입구측과 상기 인너 연결관을 연결하는 온수 입수관과, 상기 냉수 순환코일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급냉한 냉수를 상기 음용 냉수 분배모듈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출수관을 구비하는 직수 라인; 상기 수조 안에 설치되고, 내부에 1차 냉매가 순환되면서 상기 2차 냉매(빙축수)와 열교환 하여 상기 직수 라인의 물을 급냉하기 위한 1차 냉매 순환 코일과,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1차 냉매를 강제 순환시켜서 급냉각을 하는 1차 냉매 구동부를 구비하는 냉각 유닛; 및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한 얼음제거 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용 냉수 분배모듈은 상기 냉수 출수관을 통해서 냉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음용 냉수를 저장하고 분배하기 위한 음용 냉수 분배통;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의 물을 출수하여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 끝단에 분기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용 코크(출수 꼭지); 및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에 저장된 음용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 코일;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냉각모듈(순간 냉각장치)은,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 외측으로 지지 포스트(support post)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포스트의 하부에는 하부 서포트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부에는 상부 서포트 브래킷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서포트 브래킷과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의 끝단 부에는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을 지지하는 지지 편(support portion)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에는 얼음 투과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의 하면은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일정간격(gap)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제거 유닛은,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부; 상기 모터 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센터에 배치되는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 및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을 제거하는 얼음 커팅 블레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에는 회전시 저항을 줄이고 와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는 상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와 하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은 상기 상부 서포트 브래킷과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브래킷의 상면에는 상기 모터 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포스트의 끝단이 결합하는 결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에 의해서 제거된 얼음은 상기 얼음 투과 홀을 통해서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상기 수조 내부의 빙축수 안에 잔류하여 빙축수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보냉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의 끝단에는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제거 유닛의 얼음 커팅 블레이드가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가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은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의 내부 중심에 탄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가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 제거 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가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도 연결관으로부터 정수한 원수를 직수하여 급가열모듈을 이용하여 급가열하여 살균 처리한 후, 급냉각모듈을 이용하여 급냉각 처리하여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적정 온도의 냉수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통 오염에 따른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제약 없이 급가열과 급냉각 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둘째, 급가열모듈을 이용하여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이 인너 하우징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 시에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음용 냉수 공급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플런저가 순간 히팅공간 쪽으로 진입하도록 작동하고, 플런저가 순간 히팅공간 쪽으로 진입함에 따라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이 플런저의 체적만큼 줄어들어서 히터의 전압을 승압하지 않더라도 순간 히팅공간 안에 있는 물을 최적화하여 급가열함으로써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급가열 모듈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5의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5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급냉각 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급냉각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급냉각 모듈에서 냉각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1의 급냉각 모듈에서 얼음 커팅 블레이드가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 발명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내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급가열 모듈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의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급냉각 모듈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급냉각 모듈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급냉각 모듈에서 냉각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1의 급냉각 모듈에서 얼음 커팅 블레이드가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횡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에서,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1)은 원수(原水)를 공급받아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제어밸브(V); 이중 코일로 구성된 더블 코일관(100); 물을 순간 가열하여 살균 처리하는 급가열모듈(200); 살균 처리한 물을 순간 냉각하는 급냉각모듈(300); 및 사용자(소비자)가 음용할 수 있는 냉수를 공급 분배하는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 을 포함하는 구성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급가열모듈(200)은 순간 급가열 장치 혹은 순간 온수가열 장치를 말한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1)은 본체(2) 전면 상측에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의 출수용 코크(취수 꼭지)(4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고, 그 어느 하나의 출수용 코크(430)에는 별도의 히터(450: 도 4에 도시)가 연결되어 온수가 출수될 수도 있다. 출수용 코크(430) 근처에는 출수버튼(431)이 구비될 수 있다.
출수용 코크(430)는 하향을 향하는 구조 및 상향을 향하는 구조가 겸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어밸브(V)는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 연결관(P)에 설치되어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자 제어밸브(V)의 개폐는 제어반에서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수도 연결관(P)에는 필터부(F)가 설치될 수 있는바, 필터부(F)는 활성탄 및 걸름망 등을 사용하며, 활성탄은 수돗물 속에 포함된 잔류 염소나 유기물 등을 흡착, 여과하고, 걸름망은 활성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잡균 및 이물질들을 여과한다. 이와 같은 원수는 필터부(F)에 의해 수돗물의 염소성분과 유기물, 이물질 등이 제거된 상태로 공급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더블 코일관(100)은 수도 연결관(P)에 연결되는 아우터 코일관(110)과 그 아우터 코일관(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너 코일관(120)으로 이중구조로 구성된다. 아우터 코일관(110)과 인너 코일관(120)을 경유하는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여 급가열 모듈(200)에서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하도록 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가열모듈(순간 온수가열 장치)(200)은 아우터 코일관(110)을 경유한 물을 공급받아 가열 살균 처리하고, 가열한 물(온수)을 인너 코일관(120)으로 재순환하도록 한다. 인너 코일관(120)으로 흐르는 살균된 물은 80 내지 95℃로 끓여서 살균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급가열모듈(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급가열모듈(200)은 아우터 하우징(210); 인너 하우징(220); 히터(230); 온수 순환코일(240); 아우터 연결관(250); 인너 연결관(260); 물 보충통(270); 수위센서(280); 및 물 보충 연결관(29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인너 하우징(220)은 아우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어 아우터 하우징(210) 간의 사이에 순간 히팅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히터(230)는 순간 히팅공간(S)의 물을 급가열하기 위하여 인너 하우징(220)의 외주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온수 순환코일(240)은 히터(230)에 의해 가열되어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과의 열교환을 위해서 순간 히팅공간(S) 내부에 권취된다.
상기 인너 연결관(260)은 온수 순환코일(240)의 입구측과 아우터 코일관(110)을 연결한다.
상기 인너 연결관(260)은 온수 순환코일(240)의 출구측과 인너 코일관(120)을 연결한다.
상기 물 보충통(270)은 순간 히팅공간(S) 안에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인너 하우징(220)의 센터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수위센서(280)는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전자 제어밸브(V)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물 보충 연결관(290)은 물 보충통(270) 안에 원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전자 제어밸브(V)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210) 내부에 인너 하우징(220)이 설치되고, 인너 하우징(220)과 아우터 하우징(210) 간의 사이에 최적의 내용적으로 순간 히팅공간(S)을 형성하므로, 히터(230)의 전압을 별도의 승압하지 않아도 히터(230)에 의해서 순간 히팅공간(S)에 있는 물을 급가열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급가열된 물은 온수 순환코일(240)을 순환하는 물과 열 교환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순간 히팅공간(S)에 있는 물이 급가열되면(약 80-95℃), 아우터 연결관(250)-> 온수 순환코일(240) -> 인너 연결관(260)으로 순환하는 온수가 급가열되어 신속하게 살균 처리된 후, 급냉각 모듈(300)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히터(230)의 가열 시, 순간 히팅공간(S) 내의 물이 증발하기 때문에 순간 히팅공간(S) 안으로 물을 보충하여야 한다.
수위센서(280)는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전자 제어밸브(V)에서는 그 감지신호에 따라 물이 부족한 경우, 전자 제어밸브(V)를 개방하여 물 보충 연결관(290)을 통해서 자동으로 물 보충통(270) 안에 물을 보충하도록 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물 보충통(270)의 설치구조를 살펴보면, 인너 하우징(220)의 바닥면(221)에는 결합홀(222)이 형성되고, 그 결합홀(222) 안으로 물 보충통(270)의 하부에 출수구(271)를 갖는 결합부(272)가 삽입되어 물 보충통(270)이 인너 하우징(220) 안에 수직으로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인너 하우징(220)과 아우터 하우징(210)의 상단부는 뚜껑(223)에 의해서 커버링되어 순간 히팅공간(S)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223)에 의해서 이물질이 순간 히팅공간(S)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급냉각모듈(300)은 인너 코일관(120)을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급냉 처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급냉각모듈(300)은 내부에 2차 냉매(빙축수)를 저장하는 수조(10); 상기 급가열모듈(200)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급냉할 수 있도록 수조(10) 안에 권취되어 설치되는 냉수 순환코일(21)과, 냉수 순환코일(21)의 입구측과 상기 인너 연결관(260)을 연결하는 온수 입수관(22)과, 냉수 순환코일(21)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급냉한 냉수를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출수관(23)을 구비하는 직수 라인(20); 수조(10) 안에 설치되고, 내부에 1차 냉매가 순환되면서 2차 냉매(빙축수)와 열교환 하여 직수 라인(20)의 물을 급냉하기 위한 1차 냉매 순환 코일(31)과, 1차 냉매 순환코일(31)과 연결되어 1차 냉매를 강제 순환시켜서 급냉각을 하는 1차 냉매 구동부(32)를 구비하는 냉각 유닛; 및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한 얼음제거 유닛(100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급냉각모듈(300)은 급가열모듈(200)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약 10-15℃로 급냉한다.
상기 급냉각모듈(300)은, 1차 냉매 순환코일(31)을 지지하기 위하여 1차 냉매 순환코일(31) 외측으로 지지 포스트(60)가 설치되고, 지지 포스트(60)의 하부에는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이 설치되고 지지 포스트(60)의 상부에는 상부 서포트 브래킷(40)이 설치된다.
상부 서포트 브래킷(40)과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의 끝단 부에는 1차 냉매 순환코일(31)을 지지하는 지지 편(41,51)이 형성되고,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에는 얼음 투과 홀(53)이 형성된다.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의 하면은 수조(10)의 바닥면과 일정간격(G)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제거 유닛(1000)은 수조(10)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부(1100); 모터 부(1100)의 회전축(1110)에 연결되어 수조(10)의 내부에 위치하고,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센터에 배치되는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 및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에 설치되어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과 함께 회전하면서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을 제거하는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에는 회전 시 저항을 줄이고 와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멍(130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는 상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1310)와 하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1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은 상부 서포트 브래킷(40)과 하부 서포트 브래킷(5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서포트 브래킷(40)의 상면에는 모터 부(11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60)의 끝단(61)이 결합하는 결합 홀(42,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에 의해서 제거된 얼음은 얼음 투과 홀(53)을 통해서 수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수조(10) 내부의 빙축수 안에 잔류하여 빙축수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보냉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의 끝단에는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부재(1300b)가 형성될 수 있다.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은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의 내부 중심에 탄성 부재(E)가 설치되고, 그 탄성 부재(E)에 의해서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1) 제거 시,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은 급냉각모듈(300)로부터 음용 냉수를 공급받아 일정량을 저장하고, 출수구(출구 꼭지)를 통해서 음용 냉수를 사용자에게 분배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음용 냉수온도는 약 10-12℃로 항상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은 냉수 출수관(23)을 통해서 냉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음용 냉수를 저장하고 분배하기 위한 음용 냉수 분배통(410); 음용 냉수 분배통(4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20); 음용 냉수 분배통(410)의 물을 출수하여 분배할 수 있도록 음용 냉수 분배통(410) 끝단에 분기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용 코크(430); 및 음용 냉수 분배통(410)에 저장된 음용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음용 냉수 분배통(410)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 코일(440);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출수용 코크(430)에는 히터(450)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냉각 코일(440)에는 순간냉각기(460)(도 4에 도시)가 연결되고, 그 순간냉각기(460)는 수조(10) 안에 설치될 수 있다. 순간냉각기(460)는 저온의 수조(10)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순간냉각기(460)가 냉각 코일(440)에 연결되어 냉각 코일(440)을 냉각함에 따라 음용 냉수 분배통(410)에 저장된 음용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순간 히팅공간(S)은 아우터 하우징(210)과 인너 하우징(220) 사이에 형성하되,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은 인너 하우징(220)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변형 예에서는, 인너 하우징(220)의 바닥면에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을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플런저(295)가 다수 설치되고, 플런저(295)에는 플런저(29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6)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플런저(295)는 플런저 블록(297)에 업 다운 가능하게 설치된다. 플런저 블록(297)에 플런저(295)가 업다운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는 모터를 사용하거나 랙과 피니언 구조로 구성하거나 다른 기계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96)에서는 플런저(295)가 순간 히팅공간(S) 쪽으로 진입하도록 작동한다. 플런저(295)가 순간 히팅공간(S) 쪽으로 진입함에 따라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이 플런저(295)의 체적만큼 줄어들어서 히터(230)의 전압을 승압하지 않더라도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을 최적화하여 급가열함으로써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도 연결관으로부터 정수한 원수를 직수하여 급가열모듈을 이용하여 급가열하여 살균 처리한 후, 급냉각모듈을 이용하여 급냉각 처리하여 음용 냉수 분배모듈을 통해서 사용자가 음용 가능한 적정 온도의 냉수를 분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통 오염에 따른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제약 없이 급가열과 급냉각 과정을 통해서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둘째, 급가열모듈을 이용하여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이 인너 하우징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요 시에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음용 냉수 공급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을 줄여서 급가열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에서는 플런저가 순간 히팅공간 쪽으로 진입하도록 작동하고, 플런저가 순간 히팅공간 쪽으로 진입함에 따라 순간 히팅공간의 내용적이 플런저의 체적만큼 줄어들어서 히터의 전압을 승압하지 않더라도 순간 히팅공간 안에 있는 물을 최적화하여 급가열함으로써 급가열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2: 본체
10: 수조
20: 직수 라인
21: 냉수 순환코일
22: 온수 입수관
23: 냉수 출수관
31: 냉매 순환코일
32: 1차 냉매 구동부
60: 지지 포스트
50: 하부 서포트 브래킷
40: 상부 서포트 브래킷
41,51: 지지 편
42,52: 결합 홀
50: 하부 서포트 브래킷
53: 얼음 투과 홀
61: 지지 포스트의 끝단
100: 더블 코일관
110; 아우터 코일관
120: 인너 코일관
200: 급가열모듈(순간 온수 가열장치)
210: 아우터 하우징
220: 인너 하우징
221: 인너 하우징의 바닥면
222: 결합홀
223: 뚜껑
230: 히터
240: 온수 순환코일
250: 아우터 연결관
260: 인너 연결관
270: 물 보충통
271: 출수구
272: 결합부
280: 수위센서
290: 물 보충 연결관
295; 플런저(피스톤)
296: 제어부
297: 플런저 블록
300: 급냉각모듈(순간 냉각장치)
400: 음용 냉수 분배모듈
410: 음용 냉수 분배통
420: 수위센서
430: 출수용 코크
440: 냉각 코일
1000: 얼음제거 유닛
1100: 모터 부
1111: 모터 부의 회전축
1200: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
1300: 얼음 커팅 블레이드
1300a: 구멍
1300b: 실리콘 부재
1310: 상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
1320: 하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
E: 탄성 부재
G: 일정간격
P: 수도 연결관
V: 전자 제어밸브
S: 순간 히팅공간

Claims (21)

  1.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 연결관(P)에 설치되어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밸브(V);
    상기 수도 연결관(P)에 연결되는 아우터 코일관(110)과 그 아우터 코일관(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너 코일관(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아우터 코일관(110)과 상기 인너 코일관(120)을 경유하는 물의 열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더블 코일관(100);
    상기 아우터 코일관(110)을 경유한 물을 공급받아 가열 살균 처리하고, 가열한 물을 상기 인너 코일관(120)으로 재순환하는 급가열모듈(200);
    상기 인너 코일관(120)을 경유한 온수를 공급받아 급냉 처리하는 급냉각모듈(300); 및
    상기 급냉각모듈(300)로부터 음용 냉수를 공급받아 일정량을 저장하고, 출수구를 통해서 음용 냉수를 사용자에게 분배 가능하도록 하는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 을 포함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가열모듈(20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210);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 간의 사이에 순간 히팅공간(S)을 형성하는 인너 하우징(220);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의 물을 급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230);
    상기 히터(23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과의 열교환을 위해서 상기 순간 히팅공간(S) 내부에 권취되는 온수 순환코일(240);
    상기 온수 순환코일(240)의 입구측과 상기 아우터 코일관(110)을 연결하는 아우터 연결관(250);
    상기 온수 순환코일(240)의 출구측과 상기 인너 코일관(120)을 연결하는 인너 연결관(260);
    상기 순간 히팅공간(S) 안에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센터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 보충통(270);
    상기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제어밸브(V)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위센서(280); 및
    상기 물 보충통(270) 안에 원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제어밸브(V)에 연결되는 물 보충 연결관(290); 을 포함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과 상기 인너 하우징(220) 사이에 형성하되,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은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바닥면(221)에는 결합홀(222)이 형성되고, 그 결합홀(222) 안으로 상기 물 보충통(270)의 하부에 출수구(271)를 갖는 결합부(272)가 결합되어 상기 물 보충통(270)이 상기 인너 하우징(220) 안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220)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의 상단부는 뚜껑(223)에 의해서 커버링되어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을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플런저(295)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295)에는 상기 플런저(29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각모듈(300)은
    내부에 2차 냉매(빙축수)를 저장하는 수조(10);
    상기 급가열모듈(200)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급냉할 수 있도록 상기 수조(10) 안에 권취되어 설치되는 냉수 순환코일(21)과, 상기 냉수 순환코일(21)의 입구측과 상기 인너 연결관(260)을 연결하는 온수 입수관(22)과, 상기 냉수 순환코일(21)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급냉한 냉수를 상기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에 공급하기 위한 냉수 출수관(23)을 구비하는 직수 라인(20);
    상기 수조(10) 안에 설치되고, 내부에 1차 냉매가 순환되면서 상기 2차 냉매(빙축수)와 열교환 하여 상기 직수 라인(20)의 물을 급냉하기 위한 1차 냉매 순환 코일(31)과,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과 연결되어 상기 1차 냉매를 강제 순환시켜서 급냉각을 실시하는 1차 냉매 구동부(32)를 구비하는 냉각 유닛; 및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을 제거하기 위한 얼음제거 유닛(1000); 을 포함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용 냉수 분배모듈(400)은
    상기 냉수 출수관(23)을 통해서 냉수를 공급받아 내부에 음용 냉수를 저장하고 분배하기 위한 음용 냉수 분배통(410);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410)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20);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410)의 물을 출수하여 분배할 수 있도록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410) 끝단에 분기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수용 코크(430); 및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410)에 저장된 음용 냉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용 냉수 분배통(410) 내부에 설치되는 냉각 코일(440); 을 포함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각모듈(300)은,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 외측으로 지지 포스트(6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 포스트(60)의 하부에는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 포스트(60)의 상부에는 상부 서포트 브래킷(40)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서포트 브래킷(40)과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의 끝단 부에는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을 지지하는 지지 편(41,51)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에는 얼음 투과 홀(5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50)의 하면은 상기 수조(10)의 바닥면과 일정간격(G)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제거 유닛(1000)은,
    상기 수조(10)에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부(1100);
    상기 모터 부(1100)의 회전축(1110)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센터에 배치되는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 및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에 설치되어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을 제거하는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 를 포함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에는 회전시 저항을 줄이고 와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멍(130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는 상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1310)와 하부 얼음 커팅 블레이드(13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은 상기 상부 서포트 브래킷(40)과 상기 하부 서포트 브래킷(5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서포트 브래킷(40)의 상면에는 상기 모터 부(110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포스트(60)의 끝단(61)이 결합하는 결합 홀(42,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에 의해서 제거된 얼음은 상기 얼음 투과 홀(53)을 통해서 상기 수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빠져나와서 상기 수조(10) 내부의 빙축수 안에 잔류하여 빙축수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보냉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의 끝단에는 상기 1차 냉매 순환 코일(31)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부재(1300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제거 유닛의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에 결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은 중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0)의 내부 중심에 탄성 부재(E)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E)에 의해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 회전축(12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응결된 얼음(1) 제거 시, 상기 얼음 커팅 블레이드(1300)가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1차 냉매 순환코일(3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18. 내부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 하우징(210);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 간의 사이에 순간 히팅공간(S)을 형성하는 인너 하우징(220);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의 물을 급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히터(230);
    상기 히터(23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과의 열교환을 위해서 상기 순간 히팅공간(S) 내부에 권취되는 온수 순환코일(240);
    상기 온수 순환코일(240)의 입구측과 연결되는 아우터 연결관(250);
    상기 온수 순환코일(240)의 출구측과 연결되는 인너 연결관(260);
    상기 순간 히팅공간(S) 안에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센터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물 보충통(270);
    상기 순간 히팅공간(S) 안에 있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전자 제어밸브(V)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위센서(280); 및
    상기 물 보충통(270) 안에 원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전자 제어밸브(V)에 연결되는 물 보충 연결관(290); 을 포함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은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과 상기 인너 하우징(220) 사이에 형성하되,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은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체적 변화에 의해서 최적의 내용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바닥면(221)에는 결합홀(222)이 형성되고, 그 결합홀(222) 안으로 상기 물 보충통(270)의 하부에 출수구(271)를 갖는 결합부(272)가 결합되어 상기 물 보충통(270)이 상기 인너 하우징(220) 안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너 하우징(220)과 상기 아우터 하우징(210)의 상단부는 뚜껑(223)에 의해서 커버링되어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2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순간 히팅공간(S)의 내용적을 선택적으로 가감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플런저(295)가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295)에는 상기 플런저(29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KR1020220026871A 2022-03-02 2022-03-02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KR10240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71A KR102404073B1 (ko) 2022-03-02 2022-03-02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71A KR102404073B1 (ko) 2022-03-02 2022-03-02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073B1 true KR102404073B1 (ko) 2022-05-31

Family

ID=8178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871A KR102404073B1 (ko) 2022-03-02 2022-03-02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0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18A (ko) * 2007-07-13 2009-01-16 한민섭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전기보일러
KR101012229B1 (ko) 2008-06-03 2011-02-08 주식회사 다빈워텍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110040523A (ko) * 2009-10-14 2011-04-20 전태규 전기식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관 제조방법
KR101753530B1 (ko) * 2016-05-31 2017-07-04 정세경 직수형 고온살균 급수시스템
KR20210095007A (ko) * 2020-01-22 2021-07-30 박민재 대용량 직수형 급냉 음용 장치 및 그 대용량 직수형 급냉 음용 장치의 빙축수 급냉 및 보냉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918A (ko) * 2007-07-13 2009-01-16 한민섭 열매체유를 이용한 축열전기보일러
KR101012229B1 (ko) 2008-06-03 2011-02-08 주식회사 다빈워텍 음수공급장치의 온수냉각장치
KR20110040523A (ko) * 2009-10-14 2011-04-20 전태규 전기식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관 제조방법
KR101753530B1 (ko) * 2016-05-31 2017-07-04 정세경 직수형 고온살균 급수시스템
KR20210095007A (ko) * 2020-01-22 2021-07-30 박민재 대용량 직수형 급냉 음용 장치 및 그 대용량 직수형 급냉 음용 장치의 빙축수 급냉 및 보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59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am disinfection of liquid dispensing machine
US201801627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EP1852131B1 (en)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on circuit
KR100567730B1 (ko) 냉온수기의 살균장치
US20070102357A1 (en) Heat sanitization for reverse osmosis systems
EP2164795B1 (en) Point-of-use drinking water cooler
KR20150077463A (ko) 워터 서버
RU23629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аппарат для раздачи охлажд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стерилизации
KR102404073B1 (ko) 직수형 온수가열 급냉시스템 및 그의 순간 온수가열 장치
JP4469177B2 (ja) 消費に適したミネラル水を提供し且つ計量分配する装置
ES2400850T3 (es) Aparato de tratamiento de agua de auto-desinfección con un depósito para agua tratada que incluye un elemento de calentamiento
KR100920698B1 (ko) 정수기
JP2006347557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911682B1 (ko) 정수기
RU246094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ипячения воды с функцией стерилизации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JP2006021793A (ja) 飲料サーバー
KR100919432B1 (ko) 정수기
KR101617922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US20230286830A1 (en) Integrated water and objects disinfection apparatus
KR20090077460A (ko) 냉온정수기
KR20030081005A (ko) 물 공급기
CN109757989B (zh) 饮水机
KR200449784Y1 (ko) 가열 냉각식 음수대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KR200233790Y1 (ko) 급속냉각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