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022B1 -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022B1
KR102404022B1 KR1020200135272A KR20200135272A KR102404022B1 KR 102404022 B1 KR102404022 B1 KR 102404022B1 KR 1020200135272 A KR1020200135272 A KR 1020200135272A KR 20200135272 A KR20200135272 A KR 20200135272A KR 102404022 B1 KR102404022 B1 KR 102404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error
vehicle charger
metering device
hou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1029A (en
Inventor
유광택
박상도
성한호
Original Assignee
피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9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설치된 계량 장치; 전기차 충전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계량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준 전력량계; 전기차 충전기와 기준 전력량계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 및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 및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량 장치와 기준 전력량계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기준 전력량계는 계량 장치의 전력량과 기준 전력량계의 전력량 사이의 오차를 계산하는 계량 오차 계산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을 개시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ering device installed ins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 reference watt-hour meter install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a imaginary load test jig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imaginary load test jig to supply the same voltage and current to the metering device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wherei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is between the wattage of the metering device and the wattage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Disclosed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 metering error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error.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전기차는 전기로 동력을 전달받는 차로서, 1880년대 말에 등장해서 승용차·트럭·버스 운송 등에 이용되었다. 자동차 산업의 초기에 해당하는 약 1920년대에 상대적으로 낮은 속력과 전지의 재충전 때문에 제한된 주행거리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무렵에는 전기차가 특히 도시에서 사용하는 사치품 자동차로서, 매우 근접한 지점들을 연결하는 화물 운반차인 석유 연료 자동차와 경쟁 상태에 있었다. 다만, 시간이 흐를수록 전지의 재충전 문제로 인해 석유 연료 자동차와의 경쟁에서 점차 밀리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세계 각국별로 환경오염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전지의 재충전을 위한 충전소 설치 등의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전기차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많은 자동차가 보급되고 운행되고 있으나, 전체 차량의 80%는 항상 주차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차에 전력이 충전되어 있는 상태라면, 매우 많은 양의 전력이 주차된 전기차 내부에서 활용되지 못한 채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잉여 전력들을 전력 사용치가 높은 시간대에 활용하고, 전력 사용치가 낮은 시간대에 다시 충전을 할 수 있다면, 전력 사용의 효율성은 매우 극대화될 수 있다. 최근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이러한 측면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란, 지능형 전력망이라는 뜻으로 전력회사의 통합제어 센터와 발전소, 송전탑, 전주, 가전제품 등에 설치된 센서가 쌍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며, 최적의 시간에 전력을 주고받음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전력의 생산과 소비가 가능한 시스템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전력요금이 비싼 낮시간의 냉방은 자제하고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밤시간에 세탁기 등을 돌리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전기차라면 심야 시간에만 충전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거래소를 통해 거래할 수도 있다. 차세대 친환경 기술시장의 가장 크고 빠른 성장을 보일 부문으로 꼽히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통해 기존 발전량의 10% 이상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낭비를 줄이고 재생 에너지의 사용이 실용화되면 지구 온난화 완화에도 도움이 된다. Electric vehicles are vehicles powered by electricity. They appeared in the late 1880s and were used to transport cars, trucks, and buses. Around the 1920s, in the early days of the automobile industry, when limited mileage was not a problem due to relatively low speeds and recharging of batteries, electric vehicles were particularly urban luxury vehicles, carrying cargo between very close points. It was in competition with the car, a petroleum-fueled car. However, as time went on, it gradually began to be pushed back from competition with petroleum-fueled vehicles due to the problem of recharging the battery. In recent years, interest in electric vehicles has been increasing in each country around the world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many efforts are being made to revitalize electric vehicles by establishing infrastructure such as the installation of charging stations for recharging batteries. Although many automobiles are being distributed and operated worldwide, 80% of all vehicles are always in a parked state. Therefore, if the electric vehicle is in a charged state, a very large amount of electricity remains unutilized inside the parked electric vehicle. If the surplus power can be utilized during a time of high power usage and recharged during a time of low power usage, the efficiency of power usage can be greatly maximized. Recently, a smart grid has been in the spotlight in this respect. Smart Grid means an intelligent power grid, and the sensors installed in the power company's integrated control center, power plants, power transmission towers, electric poles, and home appliances interactively exchange real-time information and send and receive power at the optimal time. It refers to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generate and consume electricit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frain from cooling during the daytime when electricity rates are high, and to run washing machines at night when electricity rates are relatively cheap, and electric vehicles can be charged only at night time. In addition, electricity produced by solar power generation, etc. can be traded through the exchange. The smart grid system,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largest and fastest growing sector of the next-generation eco-friendly technology market, can save more than 10% of the existing power generation. Therefore, it will help to reduce power wastage and reduce global warming if the use of renewable energy becomes practical.

한편, 최근에 전기차 충전기가 법정 계량기로 지정됨에 따라 계량 성능 확보를 위해 충전기 내부에 전력량계를 설치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그러나, 충전기 내부의 전력량계에 있어서 그것의 시험 방법이 국제적으로 정립된 전력량계 오차 성능 시험 방법으로 충전기의 계량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이미 설치된 전력량계의 전압 및 전류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입출력 단자의 결선을 해체하고, 그 단자에 오차 시험용 신호선을 결선한 후, 기준 전력량계의 오차 측정 단자를 전력량계의 본체에 접촉해야 한다. 또한, 오차 정밀도 시험 후 충전기 사용 결선 상태로 복구시켜야하는 번거러운 문제도 있다.Meanwhile, as electric vehicle chargers have recently been designated as legal meters, the need to install a watt-hour meter inside the charger has emerged to secure metering performance. However, in order to verify the metering performance of the charger as an internationally established watt-hour meter error performance test method for its test method in the watt-hour meter inside the charger, the input/output terminals are connected to apply the voltage and current signals of the watt-hour meter already installed inside. After dis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error test signal line to the terminal, the error measuring terminal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of the watt-hour meter. In addition,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of restoring the charger connection state after the error precision test.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that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차 충전기 내에 설치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 장치(예를 들면, 전자식 전력량계 또는 전력량계 모듈)를 기준 전력량계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계량 오차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의 허부하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to be sol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That is, the problem to be solv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and accurate metering device (eg,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or a watt-hour meter module) that i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measures the amount of power used over time using a standard watt-hour meter. and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r's imaginary load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that can safely measure the weighing error,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은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설치된 계량 장치(예를 들면, 전자식 전력량계 또는 전력량계 모듈); 전기차 충전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계량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준 전력량계; 전기차 충전기와 기준 전력량계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 및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 및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계량 장치와 기준 전력량계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기준 전력량계는 계량 장치의 전력량과 기준 전력량계의 전력량 사이의 오차를 계산하는 계량 오차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제의 전기차없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 기준 전력량계 및 전원 공급부를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에 설치된 계량 장치의 오차(율)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도록 한다.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ering device (eg,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or a watt-hour meter module)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 reference watt-hour meter install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a imaginary load test jig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a power supply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imaginary load test jig to supply the same voltage and current to the metering device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wherei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is between the wattage of the metering device and the wattage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It may include a measurement error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erro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imple and accurate measurement of the error (rate) of the metering device install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y using the imaginary load test jig,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power supply without an actual electric vehicle.

전기차 충전기는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충전 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 배선을 분리/제거하거나 또는 재결선하는 복잡한 작업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breaker that block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and the metering device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a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omplicated operation of disconnecting/removing or rewiring the electric wiring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metering device.

전기차 충전기는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 및 기준 전력량계와 계량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 공급부와 기준 전력량계를 전기차 충전기 내의 계량 장치에 간단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도록 한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ay further include a test voltage current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metering device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wer supply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metering device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simply.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의 외측에서 간단하게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에 전원 공급부 및 기준 전력량계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도록 한다.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wer supply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disconnected from the test voltage current input terminal simply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는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가 미사용 상태일 때 외부 환경(기계적/전기적/화학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s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mechanical/electrical/chemical impact) when not in use.

계량 장치는 계측한 전력량에 비례하는 계량 오차 펄스를 출력하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량 장치가 오차에 관련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기준 전력량계가 이를 처리하기 쉽도록 한다.The mete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metering error pulse proportional to the measured amount of power. In this wa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ing device outputs an electrical signal related to the error so that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can easily process it.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계량 오차에 해당하는 전기적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적 펄스 단자 또는 계량 오차에 해당하는 광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광 펄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량 장치가 오차에 관련된 신호로서 전기적 펄스 신호 또는 광 펄스 신호를 출력하여 기준 전력량계가 이를 쉽게 처리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include an electr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error or an opt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opt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error.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ing device outputs an electric pulse signal or an optical pulse signal as a signal related to an error so that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can easily process it.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계량 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량 장치의 외측에서 간단하게 기준 전력량계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devic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simple to electrically connect and disconnect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from the outside of the metering device.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의 외측에서 간단하게 기준 전력량계를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imple electrica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from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사용 상태일 때 오차 펄스 출력 단자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to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not in use.

광 펄스 단자는 투명한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호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도 기준 전력량계가 광 펄스 단자로부터 광 신호를 입력받도록 한다.The optical pulse terminal may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receive an optical signal from the optical pulse terminal without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

기준 전력량계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로부터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오차 펄스 입력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 전력량계가 계량 장치로부터 쉽게 오차 펄스를 입력받도록 한다.The reference watt-hour meter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pulse input terminal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from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easily receive an error pulse from the metering device.

오차 계산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동안 오차 펄스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된 펄스 개수와 기준 펄스 개수를 비교하여 계량 오차를 계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준 전력량계가 계량 장치로부터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쉽게 오차율을 계산하도록 한다.The error calculator may calculate a measurement error by comparing the number of pulses input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with the number of reference pulses for a preset reference tim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easily calculate the error rate by receiving the pulse signal from the metering device.

전원 공급부는, 충전 차단기에 의해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에 의해 기준 전력량계와 계량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계량 장치와 기준 전력량계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 차단기의 동작에 의해 전원 공급부 및 기준 전력량계와 계량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도록 한다.In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metering device is cut off by the charging breaker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meter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test voltage current input terminal, the same voltage is applied to the metering device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current may be supplied.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ower supply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metering devic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break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상용 전원을 입력하는 상용 전원 입력 단자; 상용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전기차 충전 모드에서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량 장치;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충전 차단기; 및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 및 기준 전력량계와 계량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의 계량 장치에 대한 오차 측정을 충전 차단기 및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를 통하여 간단하게 수행하도록 한다.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 mete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mode; a charging circuit breaker that manually or automatically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weighing device in the weighing error measurement mode; and a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metering device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simple to measure the error of the meter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rough the charging breaker and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본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계량 장치의 오차를 측정하도록 한다.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may be expos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measures the error of the metering device by using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는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가 미사용 상태일 때 외부 환경(기계적/전기적/화학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s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mechanical/electrical/chemical impact)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상용 전원을 입력하는 상용 전원 입력 단자; 상용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전기차 충전 모드에서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량 장치;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충전 차단기; 및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계량 장치로부터 측정된 전력량에 비례하는 계량 오차 펄스를 출력하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의 계량 장치에 대한 오차 측정을 충전 차단기 및 오차 펄스 출력 단자를 통하여 간단하게 수행하도록 한다.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 mete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mode; a charging circuit breaker that manually or automatically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weighing device in the weighing error measurement mode; and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metering error puls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from the metering device in the metering error measurement mod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simple to measure the error of the meter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rough the charge breaker and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계량 오차 펄스에 해당하는 전기적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적 펄스 단자 또는 계량 오차 펄스에 해당하는 광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광 펄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계량 장치가 오차에 관련된 신호로서 전기적 펄스 신호 또는 광 펄스 신호를 출력하여 기준 전력량계가 이를 쉽게 처리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include an electr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error pulse or an opt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opt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error pulse.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ing device outputs an electric pulse signal or an optical pulse signal as a signal related to an error so that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can easily process it.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계량 장치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기준 전력량계를 계량 장치에 쉽게 연결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device.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by using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본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기준 전력량계를 전기차 충전기의 본체에 쉽게 연결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exposed outside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by using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가 미사용 상태일 때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to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hen it is not in use.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투명한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광 펄스 출력 단자는 투명한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호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도 기준 전력량계가 오차 펄스 출력 단자로부터 광 펄스 신호를 제공받도록 한다.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The optical pulse output terminal may be cover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In this wa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to receive the optical pulse signal from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without removing the protective cov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 내에 설치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 장치(예를 들면, 전자식 전력량계 또는 전력량계 모듈)를 기준 전력량계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계량 오차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의 허부하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ering device (eg,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or a watt-hour meter module) that is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over time is simply, accurately and safely measured by using a reference watt-hour meter. We provide a system for measuring error in imaginary load weighing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can do this,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도 1은 기준 전력량계를 이용한 계량 장치의 오차를 평가하는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중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중 오차 펄스 출력 단자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중 오차 펄스 출력 단자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evaluating an error of a metering device using a reference watt-hour meter.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It is not limited to an Example.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rawings,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nected" means not only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when member A and member B are indirectly connected with member C interposed between member A and member B.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include” and/or “comprising, including” refer to the referenc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pecifies the presence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parts are limited by these terms so that they It is self-evident that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portion. Accordingly,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por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데, 이들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임의의 실시예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various embodiments, which may be configured alone or any of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in combin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 및/또는 다른 관련 기기 또는 부품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제어부,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계량 장치, 기준 전력량계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etering devic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or other related devices o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y suitable hardware, firmware (eg, application specific semiconductor), software, or any suitable combination of software, firmware and hardware. can be implemented. For example,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metering devic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or other related devices or par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n one integrated circuit chip or on separate integrated circuit chips. In addition,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metering device, and reference watt-hour meter may be impleme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and may be formed on a tape carrier package,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same substrate as the control unit, metering device, and reference watt-hour meter. can In addition, various components of the control unit, the metering device,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may be processes or threads execut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in one or more computing devices, which may be computer program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mentioned below. It can execute commands and interact with other component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are stored in a memory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ing device using a standard memory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random access memory.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other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such as, for example, a CD-ROM, flash drive, and the lik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know that the functions of various computing device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tegrated into one computing device, or the functions of a specific computing device are one or more other computing devic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y can be distributed among

도 1은 기준 전력량계를 이용한 계량 장치의 오차를 평가하는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of evaluating an error of a metering device using a reference watt-hour met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차 측정 시스템(100')은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전원 공급부(110), 전력량계(12)(또는 Equipment Under Test) 및 기준 전력량계(1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error measuring system 100 ′ may include a power supply 110 , a power meter 12 (or Equipment Under Test), and a reference power meter 130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여기서, 전원 공급부(110)는 정밀한 전압 및 전류를 전력량계(12) 및 기준 전력량계(130)에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전력량계(12)는 오차 정밀도 시험을 위해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입력된 전원(전력)에 비례하는 오차 측정용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단자 및/또는 LED 단자와 같은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력량계(130)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로부터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수광 센서와 같은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기준 전력량계(130)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전압 및 전류를 정밀하게 계측하고 피시험품인 전력량계(12)의 출력 신호(예를 들면, 펄스 신호)와 비교하여 최종 오차(율)을 판정할 수 있는 계량 오차 계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ower supply 110 may supply a precise voltage and current to the watt-hour meter 12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t the same time. The watt-hour meter 12 further adds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such as a pulse terminal and/or an LED terminal for outputting a pulse for error measurement proportional to the power (power) input from the power supply 110 for the error precision test may include In additio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such as a light receiving sensor that receives an output signal from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 In additio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precisely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compares it with the output signal (eg, pulse signal) of the watt-hour meter 12, which is the product under test, to determine the final error (rate) It may further include a measurement error calculation unit (not shown) that can do thi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100)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기차 충전기(140)가 법정 계량기로 지정됨에 따라 계량 성능 확보를 위해 전기차 충전기(140)의 본체(140A)에 전자식 전력량계 또는 전력량계 모듈과 같은 계량 장치(120)가 설치되고 있다. As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is designated as a legal meter, a metering device 120 such as an electronic watt-hour meter or a watt-hour meter module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to secure metering performance.

그러나, 국제적으로 정립된 계량 장치의 오차 성능 시험 방법으로 전기차 충전기(140)의 계량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본체(140A)의 내부에 이미 설치되어 계량 장치(120)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는 상용 전원 입력 단자의 배선을 분리 및 해체하고,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에 오차 시험용 배선을 연결한 후, 기준 전력량계(130)의 오차 측정 단자 즉,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계량 장치(120)의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에 결합해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verify the metering performanc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by the internationally established method for testing the error performance of the metering device, it is alread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40A and applies voltage and current to the metering device 120 . After disconnecting and disassembling the wiring of the power input terminal, and connecting the error test wiring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 the error measurement terminal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that is,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 is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 ) should be coupled to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또한, 오차 정밀도 시험 이후 충전기의 정상 사용을 위해 상술한 배선의 연결 상태를 원래의 연결 상태로 복구시켜야 한다.In addition, after the error precision test, for normal use of the charger, the above-described wiring connection state should be restored to the original connection stat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100)의 개념을 도시한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cept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100)은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전원 공급부(110), 계량 장치(120) 및 기준 전력량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 장치(120)는 충전기(140)의 본체(140A)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계량 장치(120)의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본체(14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40A)의 외부로 노출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기준 전력량계(130)에 전송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10 , a metering device 120 , and a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have. Here, the metering device 12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40A of the charger 140 . In some example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the metering device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As such, data output from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may be transmitt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100)은 전원 공급부(110), 계량 장치(120), 기준 전력량계(130) 및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 장치(120)는 전기차 충전기(14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전기차 충전기(14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4 ,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10 , a metering device 120 , a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and a test jig for imaginary load 160 . may include Here, the metering device 120 is installed insid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전기차 충전기(140)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본체(140A)를 포함하고, 본체(140A)의 내부에 계량 장치(120) 외에도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 주차단기(142), 직류 전원 공급부(143), 제어부(144), 표시부(145) 및 통신부(146)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계량 장치(120)에는 본체(140A)의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 충전 케이블(147)이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전기차 충전기(140)는 충전 차단기(148) 및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전기차 충전기(140)는 직류로 전기차를 충전할 경우를 대비해서 주차단기(142)와 충전 차단기(148)의 사이에 연결된 직류 변환기(143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includes a main body 140A that protects various components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 addition to the metering device 120 inside the main body 140A, a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a parking breaker 142, A DC power supply unit 143 , a control unit 144 , a display unit 145 , and a communication unit 146 may be installed. Of course, the charging cable 147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may be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and a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 In additi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may further include a DC converter 143d connected between the parking breaker 142 and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in preparation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with direct current.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를 통해 예를 들면 상용 교류 220V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고, 이는 주차단기(142), 계량 장치(120) 및 충전 케이블(147)을 통해 전기 자동차에 공급(교류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차단기(148)가 주차단기(142)와 계량 장치(12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전기 자동차가 직류로 충전될 경우,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 주차단기(142), 직류 변환기(143d), 충전 차단기(148), 계량 장치(120) 및 충전 케이블(147)을 통해 전기 자동차에 직류 전원이 공급(직류 충전)될 수 있다.For example, commercial AC 220V pow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 which is supplied to the electric vehicle (AC charging) through the parking breaker 142 ,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charging cable 147 . ) can be Here, the charge breaker 148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main breaker 142 and the metering device 120 . Of course, when the electric vehicle is charged with DC, through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the parking breaker 142, the DC converter 143d, the charge breaker 148,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charging cable 147 DC power may be supplied (DC charging) to the electric vehicle.

일부 예들에서, 충전 차단기(148)는 전기차 충전기(140)의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기차 충전을 위한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와 계량 장치(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개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계량 오차 측정 모드 시, 충전 차단기(148)는 제어부(14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와 계량 장치(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개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차단기(148)는 제어부(144)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파워 MOS 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charging breaker 148 blocks (open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metering device 120 manually or automatically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 )can do. In some examples,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the charging breaker 148 automatically cuts off (opens)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and the metering device 120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144. can To this end, the charge circuit breaker 148 may include a solenoid, a bipolar transistor, a power 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or an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operated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44 . have.

직류 전원 공급부(143)는 전원 입력 단자(141)로부터의 전원을 소정 레벨로 강압하고 직류로 변환하여 제어부(144), 표시부(145) 및 통신부(146) 등에 공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직류 전원 공급부(143)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4)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대로 동작하여 표시부(145), 통신부(146) 및/또는 충전 차단기(148)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C power supply unit 143 may step-down the power from the power input terminal 141 to a predetermined level, convert it into DC, and supply it to the control unit 144 , the display unit 145 , and the communication unit 146 . In some examples, the DC power supply 143 may include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The control unit 144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45 , the communication unit 146 , and/or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 etc. by operating according to a program input in advance.

일부 예들에서, 제어부(144)는 충전기의 전체를 제어하여 전기 자동차에 적절한 교류 및/또는 직류 전원이 공급(충전)되도록 하고, 표시부(145)를 통하여 충전량 및 요금 등이 표시되도록 하며, 또한 통신부(146)를 통하여 전기차와 소정 정보를 주고 받도록 한다.In some examples, the control unit 144 controls the entire charger to supply (charge) an appropriate AC and/or D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and displays the amount of charge and charge through the display unit 145, and also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146),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the electric vehicle.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110) 및 기준 전력량계(130)와 계량 장치(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power supply 110 ,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and the metering device 120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일부 예들에서, 계량 오차 측정 모드 시,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제어부(14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전원 공급부(110) 및 기준 전력량계(130)와 계량 장치(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제어부(144)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파워 MOS 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some examples,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electrically connects the power supply 110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to the metering device 120 automatically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144 . In order to be connected, a solenoid operat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4 , a bipolar transistor, a power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or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이 하여, 계량 장치(120)의 오차 측정 시,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와 계량 장치(120)의 전기적 연결 상태 및/또는 전원 공급부(110) 및 기준 전력량계(130)와 계량 장치(120)의 전기적 연결 상태가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어, 계량 장치(120)의 오차 측정이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measuring the error of the metering device 120 ,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and the metering device 120 and/or the power supply unit 110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nd the metering device 120 . ) can be simply changed, so that the error measurement of the metering device 120 can be easily performed.

일부 예들에서, 충전 차단기(148) 및/또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전기차 충전기(140)중 본체(140A)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들이 간단히 턴온/턴오프(폐쇄/개방) 및 결선/결선해제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충전 차단기(148) 및/또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보호 커버로 덮여, 외부의 먼지, 이물질 등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차단기(148) 및/또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제어부(14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턴온/턴오프(폐쇄/개방)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charging breaker 148 and/or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so that they are simply turned on/off (closed) manually by the user. /open) and can be wired/unwired. In some examples,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and/or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penetration of external dust, foreign matter, or the like.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and/or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may be automatically turned on/off (closed/opened)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4 .

한편, 계량 장치(120)의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계량 장치(120)로부터의 계량 전력량에 관한(비례하는) 오차 측정용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오차 측정용 펄스에 해당하는(비례하는) 전기적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적 펄스 단자 및/또는 오차 측정용 펄스에 해당하는 광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광 펄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계량 장치(1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가 본체(140A)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전기차 충전기(140)의 본체(14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계량 장치(120)로부터 배선을 통해 연결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가 전기차 충전기(140)의 본체(14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보호 커버로 덮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보호 커버는 투명 커버로서, 투명 커버를 통해 광 펄스 단자로부터의 광 신호가 본체(140A)의 외부로 용이하게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the metering device 120 may output a pulse for measuring an error related to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measured electric power from the metering device 120 in the metering error measuring mode. In some example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is an electr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in proportion to) the pulse for error measurement and/or an optical pulse outputting an opt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ulse for measuring the error It may include a terminal. Also, in some example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device 120 . That i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40A. Also, in some example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 That i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connected from the metering device 120 through a wir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 Also, in some example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Also, in some examples, the protective cover is a transparent cover, through which the optical signal from the optical pulse terminal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기준 전력량계(130)는 전기차 충전기(140)의 외부에 설치되어 계량 장치(120),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 및 전원 공급부(11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metering device 120 ,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 and the power supply unit 110 .

일부 예들에서, 전원 공급부(110)는 제1배선(151i, 151v)을 통해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에 연결(결선)될 수 있다. 물론,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또다른 배선(154i,154v)을 통해 충전 차단기(148)와 계량 장치(120) 사이의 배선에 연결(결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10)에 의한 전압(v) 및 전류(i)가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를 통해 계량 장치(120)에 공급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power supply 110 may be connected (connected) to the test voltage current input terminal 149 through the first wirings 151i and 151v. Of course,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may be connected (connected) to the wiring between the charging breaker 148 and the metering device 120 through other wirings 154i and 154v. Accordingly, the voltage v and the current i by the power supply 110 may be suppli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through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

일부 예들에서, 전원 공급부(110)는 제2배선(152i)을 통해 기준 전력량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10)에 의한 전류(i)가 기준 전력량계(13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력량계(130)는 전류 센서(132)를 통해 제2배선(152i)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power supply 110 may be connect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through the second wire 152i. Accordingly, the current i by the power supply 110 may be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Here,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sense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econd wiring 152i through the current sensor 132 .

일부 예들에서, 기준 전력량계(130)는 제3배선(153i,153v)을 통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3배선(153i,153v)은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의 단자(16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전력량계(130)는 제3배선(153i,153v)을 통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로부터 전류 및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제2,3배선(152i,153i)은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through the third wirings 153i and 153v. For example, the third wirings 153i and 153v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62 of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 Accordingly,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receive current and voltage from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through the third wirings 153i and 153v. Here, the second and third wirings 152i and 153i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일부 예들에서, 기준 전력량계(130)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로부터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와 마찬가지로,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 역시 오차 측정용 펄스에 해당하는 전기적 펄스 신호를 입력받는 전기적 펄스 입력 단자 및/또는 오차 측정용 펄스에 해당하는 광 펄스 신호를 입력받는 광 펄스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xamples,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include an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that receives an output signal from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 Like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also inputs an electrical pulse input terminal that receives an electr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a pulse for error measurement and/or an opt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a pulse for error measurement It may include a receiving light pulse input terminal.

일부 예들에서, 기준 전력량계(130)의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와 계량 장치(120)의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상호간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그리고/또는 상호간 광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nd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the metering device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or may be op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여기서, 상술한 기준 전력량계(130)는 일반적으로 관리된 시험실 환경에서 최적의 정확도와 안정성을 가지며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고, 상술한 계량 장치(12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기기로서 기준 전력량계(130)에 비해 정확도와 안정성이 떨어지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정확도와 안정성이 높은 기준 전력량계(130)를 이용하여 계량 장치(120)의 오차율이 측정된다. 한편, 여기서 전기차는 순수 전기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ity with optimum accuracy and stability in a generally managed laboratory environment, and the above-described metering device 120 i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over time. As a device for measuring , it may mean a device having lower accuracy and stability compar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That is, the error rate of the metering device 120 is measured using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with high accuracy and stability. Meanwhile, the electric vehicle herein may include a pure electric vehicle and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는 전원 공급부(110), 계량 장치(120) 및 기준 전력량계(130)의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는 충전기(140)의 본체(140A)로부터 연장된 충전 케이블(147)이 접속되는 커넥터(161)와, 기준 전력량계(130) 및 전원 공급부(110)에 연결되는 단자(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전력량계(130) 및 전원 공급부(110)는 제2,3배선(152i,153i)을 통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의 단자(1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전력량계(130)는 제3배선(153v)을 통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의 단자(163)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110 , the metering device 120 ,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In some examples,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is a connector 161 to which the charging cable 147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140A of the charger 140 is connected,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nd the power supply unit 110. It may include a terminal 162 to which it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nd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63 of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wires 152i and 153i. Als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163 of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through the third wiring 153v.

일부 예들에서,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는 컨트롤 파일럿(16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량이 제어될 수 있다. 즉,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가 전기차 역할을 대신한다.In some examples, the test jig 160 for an imaginary loa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pilot 163 , through which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test jig 160 for an imaginary load may be controlled. That is,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takes over the role of the electric vehicle.

일부 예들에서, 전원 공급부(110)는 제1배선(151i,151v) 및 제2배선(152i)을 통하여 계량 장치(120) 및 기준 전력량계(130)에 동일한 전압(병렬 구성) 및 동일한 전류(직렬 구성)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기준 전력량계(130)는 오차 계산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계량 장치(120) 및 기준 전력량계(130)에서 발생한 펄스를 동일한 시간동안 계수함으로써, 전기 자동차 충전기 즉, 계량 장치(120)의 오차(율)을 측정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power supply 110 provides the same voltage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ame current (series) to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through the first wirings 151i and 151v and the second wiring 152i. configuration) is supplied. In additio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ay further include an error calculator 133 , which counts the pulses generated by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for the same time, so that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at is, the metering device The error (rate) of (120) can be measured.

여기서, 계량 오차 측정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차단기(148)가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와 계량 장치(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전원 공급부(110)가 계량 장치(120)와 기준 전력량계(130)에 동일한 전압 및 전류를 공급할 때 수행될 수 있다.Here, in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breaker 148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and the metering device 120 , and the power supply unit 110 connects the metering device 120 with the This may be performed when the same voltage and current are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중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전기차 충전기의 본체(140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는 보호 커버(141B)로 덮임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However, since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is covered with the protective cover 141B, contamination by external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중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 장치(120)의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계량 장치(120)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즉,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전기차 충전기(140)중 본체(140A)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the metering device 120 may be directly installed in the metering device 120 . That is,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 Accordingly,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중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 장치(120)의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전기차 충전기(140)의 본체(140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계량 장치(120)와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배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더불어,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는 보호 커버140C), 예를 들면, 투명 보호 커버를 통해 본체(140A)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가 광 펄스 출력 단자일 경우, 광 펄스 신호가 외부로 용이하게 전송될 수 있다.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of the metering device 1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body 140A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 Of course,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connected through wiring. In addition,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40A through a protective cover 140C, for example,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Accordingly, when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is an optical pulse output terminal, the optical pulse signal can be easi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100)을 이용한 계량 오차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 측정 방법의 순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순서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order of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s may be variously chang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described below.

(1)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충전 차단기(148)를 동작(트립 또는 개방)시킴으로써, 전기차 충전을 위한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와 계량 장치(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한다. 여기서, 수동의 의미는 사용자에 의해 충전 차단기(148)가 동작(트립 또는 개방)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자동의 의미는 제어부(144)의 제어 신호에 의해 충전 차단기(148)가 동작(트립 또는 개방)된다는 의미이다. 다르게 설명하면, 전기차 충전기(140)가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부(144)가 미리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자동적으로 충전 차단기(148)를 동작(트립, 개방)시킬 수 있다.(1) By manually or automatically operating (tripping or opening)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metering device 120 is cut off. Here, the manual meaning means that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is operated (tripped or open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automatic meaning means that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is operated (tripped or opened)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44 .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enters the measurement error measurement mode, the control unit 144 may automatically operate (trip, open) the charging circuit breaker 148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sequence.

(2) 제1배선(151i,151v)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부(110)와 전기차 충전기(140)에 구비된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를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부 예들에서,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턴온(폐쇄)함으로써, 전원 공급부(110)의 전원(전압 및 전류)이 제1배선(151i,151v)을 통해 계량 장치(120)에 공급되도록 한다.(2) The power supply 110 and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first wirings 151i and 151v. In some examples, by manually or automatically turning on (closing)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 the power (voltage and current) of the power supply 110 is transferr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through the first wirings 151i and 151v. ) to be supplied.

(3) 계량 장치(120)에 연결된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와 기준 전력량계(130)에 연결된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상호간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으로 연결한다. 일부 예들에서,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전기적 펄스 신호가 출력될 경우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전기적 펄스 신호가 입력되도록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와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가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일부 예들에서,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광학적 펄스 신호가 출력될 경우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광학적 펄스 신호가 입력되도록 오차 펄스 출력 단자(121)와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가 상호간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3)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connect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connect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re electrically and/or op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ome examples, when an electrical puls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and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so that the electrical pulse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some examples, when the optical pulse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21 and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so that the optical pulse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are opt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4) 제2배선(152i)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부(110)와 기준 전력량계(130)를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제3배선(153i,153v)을 이용하여 기준 전력량계(130)와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의 단자(162)를 상호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140)의 충전 케이블(147)을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의 커넥터(161)에 연결한다.(4) The power supply 110 and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second wiring 152i. In addition, the terminals 162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nd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the third wirings 153i and 153v. In addition, the charging cable 147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61 of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

(5)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제1배선(151i,151v)을 통해 전압 및 전류가 계량 장치(120)에 공급되도록 하고, 제2배선(152i)을 통해 전류가 기준 전력량계(130)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제3배선(153i,153v)을 통해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로부터 전압 및 전류가 기준 전력량계(130)에 입력되도록 한다. 즉,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160)를 통해 실제 충전 동작이 시뮬레이션된다.(5) The voltage and current are suppli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first wirings 151i and 151v, and the current is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through the second wiring 152i. make it possible In addition, the voltage and current from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are input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through the third wirings 153i and 153v. That is, an actual charging operation is simulated through the imaginary load test jig 160 .

(6) 기준 전력량계(130)의 오차 계산부(133)가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입력되는 계량 장치(120)의 전력량과 기준 전력량계(130)의 전력량을 상호간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한다.(6) The error calculation unit 133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compares the watt-hour of the metering device 120 input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with the watt-hour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with each other, and the error (rate) to calculate

일부 예들에서, 기준 전력량계(130)의 오차 계산부는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오차 펄스 입력 단자(131)를 통해 입력된 펄스 개수와 기준 펄스 개수를 비교하여 계량 오차(율)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error calculator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compares the number of pulses input through the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1 with the number of reference pulses for a preset time to calculate the metering error (rate) in the following way. have.

일부 예들에서, 백분율 오차는 아래의 수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In some examples, the percentage error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0110360366-pat00001
Figure 112020110360366-pat00001

여기서, 전기 자동차 충전기에 표시된 전력량은 계량 장치(120)에 표시된 전력량을 의미하고, 참전력량은 기준 전력량계(130)에 표시된 전력량을 의미한다.Here, the amount of power displayed on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eans the amount of power displayed on the metering device 120 , and the amount of actual power means the amount of power displayed o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또한, 계량 장치(120)의 전력량 및 기준 전력량계(130)의 전력량은 펄수 수로 표시되므로,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power of the metering device 120 and the amount of power of the reference power meter 130 are expressed in the number of pulses, they ar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Figure 112020110360366-pat00002
Figure 112020110360366-pat00002

여기서, δWdut는 충전 전력량 오차(%)를 의미하고, Nact는 기준 전력량계(130)로부터 발생한 펄스 수를 의미하며, Nnom은 동일한 시간동안 기준 전력량계(130)로부터 발생되는 예상 펄스 수를 의미한다.Here, δW dut means the charging watt-hour error (%), N act means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and N nom means the expected number of pulses generated from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for the same time do.

Nnom은 아래 수학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N nom may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20110360366-pat00003
Figure 112020110360366-pat00003

Ndut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즉, 계량 장치(120))에서 발생한 펄스수이고, fnom은 기준 전력량계(130)에서 전력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주파수이며, m은 기준 전력량계(130)의 상수(예 : 단상 - 1, 3상 - 3)이고, Ur은 기준 전력량계(130)에 공급되는 전압이며, Ir은 기준 전력량계(130)에 공급되는 전류이고, Cm은 전기 자동차 충전기(즉, 계량 장치(120))의 계기정수(pulse/kWh)이다.N dut is the number of pulses generated by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e, the metering device 120), f nom is the frequency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power in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m is the constant of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eg : single phase - 1, 3 phase - 3), U r is the voltage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I r is the current supplied to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C m is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ie, metering the instrument constant (pulse/kWh) of the device 120).

이와 같이 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계량 장치(120)로부터 입력받은 펄스 수 및 기준 전력량계(130)로부터 입력받는 펄스 수를 이용하여 오차 계산부가 계량 장치(120)의 오차(율)을 계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rror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error (rate) of the metering device 120 using the number of pulses input from the metering device 120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the number of pulses received from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130 .

(7)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계량 장치(120)에 대한 오차율 계산이 완료되면,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149)로부터 제1배선(151i,151v)를 분리(또는 턴오프(개방))하여 전원 공급부(110)에 의한 전압 및 전류가 계량 장치(120)에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충전기 차단기(148)를 동작(폐쇄)시켜 상용 전원 입력 단자(141)에 의한 전원이 계량 장치(120)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차 충전기(140)가 실제의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7) On the other hand, when the error rate calculation for the metering device 120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first wirings 151i and 151v are disconnected (or turned off (opened)) from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149 to power the The voltage and current by the supply unit 110 are not supplied to the metering device 120 , and the charger circuit breaker 148 is operated (closed) to supply power by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1 to the metering device 120 . By doing so,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140 is in a state capable of charging an actual electric vehicl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충전기 내에 설치되어 시간 경과에 따라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계량 장치를 기준 전력량계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계량 오차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제공한다.In this wa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That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that can measure the metering error simply, accurately and safely using a reference watt-hour meter for a metering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used over time, and We provide electric vehicle chargers for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전기차 충전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metering error measurement system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for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s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100; 계량 오차 측정 시스템
110; 전원 공급부 120; 계량 장치
121; 오차 펄스 출력 단자 130; 기준 전력량계
131; 오차 펄스 입력 단자 132; 전류 센서
133; 오차 계산부 140; 전기차 충전기
140A; 본체 141; 상용 전원 입력 단자
142; 주차단기 143; 직류 전원 공급부
144; 제어부 145; 표시부
146; 통신부 147; 충전 케이블
148; 충전 차단기 149;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
151i,151v; 제1배선 152i; 제2배선
153i,153v; 제3배선 160; 허부하용 테스트 지그
161; 커넥터 162; 단자
163; 컨트롤 파일럿
100; Weighing Error Measurement System
110; power supply 120; weighing device
121; error pulse output terminal 130; reference watt-hour meter
131; error pulse input terminal 132; current sensor
133; error calculator 140; electric car charger
140A; body 141;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142; parking break 143; DC power supply
144; control unit 145; display
146; communication unit 147; charging cable
148; charge breaker 149; Test voltage current input terminal
151i, 151v; first wiring 152i; 2nd wiring
153i,153v; the third wiring 160; imaginary load test jig
161; connector 162; Terminals
163; control pilot

Claims (10)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상용 전원을 입력하는 상용 전원 입력 단자;
상용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전기차 충전 모드에서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량 장치;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충전 차단기; 및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전원 공급부 및 기준 전력량계와 계량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
a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 mete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mode;
a charging circuit breaker that manually or automatically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weighing device in the weighing error measurement mod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a power supply and a test voltage current inpu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ference watt-hour meter and the metering device in a metering error measurement mode.
제1항에 있어서,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본체 외부로 노출된, 전기차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제1항에 있어서,
시험 전압 전류 입력 단자는 보호 커버로 덮인, 전기차 충전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est voltage and current input terminals are covered by a protective cover,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해 상용 전원을 입력하는 상용 전원 입력 단자;
상용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어 전기차 충전 모드에서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량 장치;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용 전원 입력 단자와 계량 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충전 차단기; 및
계량 오차 측정 모드에서 계량 장치로부터 측정된 전력량에 비례하는 계량 오차 펄스를 출력하는 오차 펄스 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
a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to charge an electric vehicle;
a mete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to measure the amount of power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mode;
a charging circuit breaker that manually or automatically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input terminal and the weighing device in the weighing error measurement mod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an error pulse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metering error puls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ower measured from the metering device in a metering error measurement mode.
제4항에 있어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계량 오차 펄스에 해당하는 전기적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적 펄스 단자 또는 계량 오차 펄스에 해당하는 광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광 펄스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ncludes an electr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error pulse or an optical pulse terminal for outputting an optical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error pulse.
제4항에 있어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계량 장치의 외부로 노출된, 전기차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etering device,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제4항에 있어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전기차 충전기의 본체 외부로 노출된, 전기차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제4항에 있어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보호 커버로 덮인, 전기차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cover, electric vehicle charger.
제4항에 있어서,
오차 펄스 출력 단자는 투명한 보호 커버로 덮인, 전기차 충전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rror pulse output terminal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electric vehicle charger.
제5항에 있어서,
광 펄스 출력 단자는 투명한 보호 커버로 덮인, 전기차 충전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 pulse output terminal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electric vehicle charger.
KR1020200135272A 2020-01-13 2020-10-19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KR1024040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4496 2020-01-13
KR1020200004496 2020-01-13
KR1020200027798A KR102172506B1 (en) 2020-01-13 2020-03-05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98A Division KR102172506B1 (en) 2020-01-13 2020-03-05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029A KR20210091029A (en) 2021-07-21
KR102404022B1 true KR102404022B1 (en) 2022-06-02

Family

ID=730481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98A KR102172506B1 (en) 2020-01-13 2020-03-05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KR1020200135272A KR102404022B1 (en) 2020-01-13 2020-10-19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98A KR102172506B1 (en) 2020-01-13 2020-03-05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725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121B1 (en) * 2020-12-30 2021-10-18 주식회사 한산에이엠에스텍크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ger
CN113138361A (en) * 2021-03-19 2021-07-20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charging pile based on optical test signal
CN114047472B (en) * 2021-12-22 2024-02-23 安徽南瑞中天电力电子有限公司 Metering error monitoring system of intelligent ammeter and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2537807B1 (en) 2022-10-12 2023-05-31 미래씨앤엘 주식회사 Charging power metering method based on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51441B1 (en) * 2022-12-17 2023-07-04 서삼열 Tester to detect abnormal DC power supp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320B2 (en) * 1991-05-28 2000-04-04 東芝メーターテクノ株式会社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electronic wattmeter
US20190339347A1 (en) * 2017-01-03 2019-11-07 San Diego Gas &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sub metering accurac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320B2 (en) * 1991-05-28 2000-04-04 東芝メーターテクノ株式会社 Automatic adjustment device for electronic wattmeter
US20190339347A1 (en) * 2017-01-03 2019-11-07 San Diego Gas &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sub metering accurac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506B1 (en) 2020-10-30
KR20210091029A (en)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4022B1 (en) Metering accuracy measurement system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and charger for the same
EP2413420B1 (en) Electric storage device
CN105071513B (en) A kind of vehicle-mounted formula charg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US9068922B2 (en) Estimating coolant conductivity in a multi-voltage fuel cell system
CN204832469U (en) Last electric testing arrangement of vehicle power battery package
CN105486949A (en) Charging pile test system
CN102729833A (en) Charging system
CN203786271U (en) Device for testing state of charge (SOC) of electric automobile battery pack
CN103496328A (en) Electric vehicl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PLC control
WO2014012249A1 (en) Electric vehicle charge-discharge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7634277A (en) A kind of automobile high in the clouds battery manage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battery core
CN106828134A (en) The self-adapting estimation of the connection resistance in traction battery
CN106058345B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vehicle-mounted battery charger
CN104553811A (en) Vehicle high voltage wiring protection using contactor control
KR101838470B1 (en) Battery test system
CN206031107U (en) Electric automobile low pressure storage battery microcomputer management system
CN103481791B (en) Electric vehicle master dynamic balance type gel battery management system
CN205581246U (en) Pencil detection loop
KR101749731B1 (en) Two-way checking device and method of bus bar locking
CN203798990U (en) Charge state detection device of power battery pack of electromobile
CN203511336U (en) Electric vehicle pow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PLC control
CN105375586A (en) Battery charge and discharge management device and metering instrument manufactured by the same
CN205417197U (en) Electricelectric moves car with intelligent high voltage power distribution device
CN202838014U (en) Integrated testing device of power battery management system
CN205960639U (en) Emergent convenient system of battery anti -reverse connection circuit and solar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