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804B1 -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 Google Patents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804B1
KR102403804B1 KR1020200059876A KR20200059876A KR102403804B1 KR 102403804 B1 KR102403804 B1 KR 102403804B1 KR 1020200059876 A KR1020200059876 A KR 1020200059876A KR 20200059876 A KR20200059876 A KR 20200059876A KR 102403804 B1 KR102403804 B1 KR 102403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ans
artificial
wave
guide frame
sur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006A (ko
Inventor
유정희
이병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5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804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06Devices for producing waves in swimming poo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는 인공 서핑풀 내에 설치되어 순환이동 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과 연동되게 동작하는 조파수단에 의해 물을 변위시킴으로써 진행파의 파도를 발생시키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서핑풀 내에 설치되어 순환 이동 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파도를 발생시키는 조파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는 인공파도 생성을 수단으로 하는 서핑시설의 개발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수용되어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사용가능한 연속적인 파도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조파수단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파고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파도의 생성 주기 및 다양한 파도의 형태를 형성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Artificial surfing device with wave-gen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 서핑풀 내에 설치되어 순환이동 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과 연동되게 동작하는 조파수단에 의해 물을 변위시킴으로써 진행파의 파도를 발생시키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터 파크는 최근 몇 년간 전세계적으로 막 인기가 성장하고 있다. 워터 파크는 워터슬라이드(waterslides), 물보라 구역(spray areas), 유수풀(lazy rivers), 수영장(swimming pools), 및 다른 여가용 목욕 및 수영 환경과 같은 수상 구조물 및 탈것을 포함하는 놀이 공원의 일 유형이다. 워터 파크는 자연의 인공 모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워터 파크는 강 여울 또는 폭포를 모방하는 인공 하천 및 탈것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서, 워터 파크는 인공 해양 환경으로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파도풀(wave pool)을 포함할 수 있다. 파도풀은 해안의 천연 파도 및 해변의 위생적인 제어된 버전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파도풀은 서핑(surfing), 바디 보딩(body boarding) 등을 위한 인공 환경을 워터 파크의 손님들에게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손님들이 수영하거나 또는 단순히 휴식을 취하고 물에서 파도를 즐길 수 있는 파도풀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손님의 활동들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파도가 요망될 수 있다. 예컨대, 서핑 활동을 위해서는 대형의 또는 강한 파도가 바람직할 수 있으며, 수영 활동을 위해서는 소형의 파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결국, 워터 파크는 상이한 활동들을 위해 상이한 파도풀들을 제공할 수 있다.
유사하게, 워터 파크는 손님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동일한 파도풀에서 시간에 따라 상이한 유형의 파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인공파도타기는 바다의 파도보다 빠르고 강하며 지속적인 인조파도를 발생시키고 그 인조파도가 인조 파도장내에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구조물을 타고 넘어가도록 구현하여서 사용자가 서핑보드를 이용해 인조 파도장 내에서 마음껏 파도타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채 5초를 버티지 못하고 파도에 떠밀려 나가 떨어지는 사람들 사이에서 앞뒤로 서핑보드를 돌리고 파도의 물살을 가를 때 주변에서 쏟아지는 환호나 박수를 받게되면 수상 레포츠의 쾌감을 한층 더 느낄 수 있으며, 인공파도장에서 들려주는 흥겨운 음악에 리듬을 맞춰가며 파도를 탈 수 있는 것도 상당히 매력적이다.
이러한 인공파도타기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매니아들을 점점 더 확보해가고 있으며, 탁월한 운동 효과가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여름철 인기 레포츠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공파도타기는 길이 및 넓이가 십미터 남짓한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으로 타측으로 직선적으로 파도 흐름이 형성되므로 서핑보드로 라이딩할 수 있는 위치나 공간이 제한될 수 밖에 없어 많은 사람들이 함께 파도를 타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 라이딩하는 동작도 제자리 돌기나 그 자리 주변에서 약간의 위치이동만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소의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2-0089076호 (2012.08.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0327호 (2010.10.21.)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조파가 가능한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연속적인 순환이동에 따라 조파수단이 이동하며 서핑을 하기 위한 진행파의 파도를 생성하게 되고,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를 지지하는 가이드프레임의 좌우측 공간에 각각 파도가 형성되어 다수의 인원이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파도를 발생시키는 조파수단인 블레이드는 각도조절부가 구비되어, 경사각도의 조절 및 이동수단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여, 파도의 생성 주기 및 다양한 파도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 서핑풀 내에 설치되어 순환 이동 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파도를 발생시키는 조파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고무재질로 구비되되, 내측면을 따라 기어홈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 상기 기어홈에 대응되어 치합되는 기어이를 가지되, 상기 이동수단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인공 서핑풀 저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기둥;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이 구름이동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 서핑풀은, 상기 제1기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기둥; 상기 제2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되, 수면위로 노출되어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행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좌우측 공간에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인공 서핑풀을 가로지르며, 충분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 서핑풀은, 상기 보행로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보행자가 상기 보행로의 외부로 낙하하여 상기 이동수단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펜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또한, 상기 조파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을 따라 이동하며, 다양한 변위의 파도를 생성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각도조절부가 구비되어,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파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는 인공파도 생성을 수단으로 하는 서핑시설의 개발로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수용되어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사용가능한 연속적인 진행파의 파도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파수단의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다양한 파고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파도의 생성 주기 및 다양한 파도의 형태를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조파수단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되어 마모나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이동수단 및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이동수단 및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펜스가 설치된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조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는 인공 서핑풀 (10)내에 설치되어 순환 이동 되는 이동수단(100), 상기 이동수단(100)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100)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프레임(200), 상기 이동수단(10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100)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파도를 발생시키는 조파수단(30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공 서핑풀(10)은 내부에 물이 구비되고, 다수의 인원이 수용되며, 서핑보드(20)를 이용하여 라이딩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인공 서핑풀(10)은 충분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원통형 또는 사각통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공 서핑풀(10)은 금속재질로 골재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FRP, 유리섬유나 플라스틱과 같은 방수포 등을 배치하여,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인공 서핑풀(10)의 저면은 평평한 바닥면(30)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이동수단(100) 및 상기 조파수단(300)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파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심이 달리 형성되어 경사진 상기 바닥면(30)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바닥면(30)에는 다수개의 격자판(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이동수단(100)에 부착된 상기 조파수단(300) 의해 물을 이동시킴으로써 변위가 발생하여 발생되는 파도가 상기 격자판과 2차적인 간섭을 일으키면서 새로운 형태의 파도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수단(1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고무재질로 구비되되, 내측면을 따라 기어홈(112)이 형성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기어홈(112)에 대응되어 치합되는 기어이(122)를 가지되, 상기 이동수단(100)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구동기어(120)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기어(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일측이 상기 인공 서핑풀(10) 저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제1기둥(21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100)이 구름이동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롤러(2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200) 상기 이동수단(100)을 지지하며, 수중에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에 의한 부식이 없는 재질로 마련되되, 상기 이동수단(1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발현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방청처리된 금속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프레임 구조가 결합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좌우측 공간에서 상기 이동수단(100)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인공 서핑풀(10)을 가로지르며, 충분한 길이로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인공 서핑풀(10)을 가로지르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직선 길이는 100m 내지 300m로 구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100m 이하에서는 서핑을 즐기기엔 충분한 파도의 길이가 형성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300m를 초과하는 길이에서는 상기 이동수단(100)을 수중에서 이동시키는데 상기 구동모터(130)에 큰 부하가 발생하여, 전력상의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200m 내외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연장 길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상기 인공 서핑풀(10)의 양단을 잇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이동수단(100)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양측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도를 형성시킬 수 있는 공간이 각각 마련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조파수단(300)에 의해 생성된 파도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하부 내측에서 간섭을 받아 서로 상쇄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내측에는 별도의 벽체구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이 최소한의 폭과 최대한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됨에 따라, 서핑을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양측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양측에 형성되는 파도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속도 및 상기 조파수단(300)에 의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30)의 경사 및 다수개 구비되는 격자판(미도시)의 영향으로 서로 형상 및 주기가 다른 파도를 생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일측 공간에서는 초보자를 위해 파도의 높이가 높지 않게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30)의 수심 및 경사도를 선정할 수 있으며, 타측 공간에서는 전문 서퍼들을 위한 파도를 생성할 수 있도록 경사진 상기 바닥면(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은 일측이 상기 인공 서핑풀(10)의 상기 바닥면(30)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지지하는 상기 제1기둥(210)에 의해 지지되어 마련되는데, 상기 제 1기둥(21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크기 및 무게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제1기둥(21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작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하중을 분담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수단(100)이 물에 대해 저항하는 저항력에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로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 상에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상기 가이드롤러(220)의 상부에서 구름이동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상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하중 분담은 물론, 상기 컨베이어벨트가(110)가 원활하게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경로를 따라 연속적인 순환 이동이 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변곡점에서 충분한 곡률을 형성하여 이동 될 수 있도록 굽힘력이 우수한 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 부착되는 상기 조파수단(300)과 함께 연속적인 이동이 될 수 있도록 구비됨에 따라, 쉽게 끊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 및 연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상기 순환 이동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10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기어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기어홈(112)은 상기 이동수단(100)의 변곡점, 즉, 양단에 구비되는 구동기어(120)에 맞물려 치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기어(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홈(112)에 치합될 수 있도록 기어이(122)가 마련되며, 상기 기어이(122)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고무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치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쉽게 마모되거나 찢어지지 않도록 상기 기어이(122)의 형상이 완만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기어이(122)는 고무재질로 마련되어 상기 구동기어(12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20)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변곡점 중 적어도 한 곳이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길이, 저항력 및 이동속도 등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곡점 중 한 곳에서는 상기 구동기어(12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종동기어(미도시)로 구비될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20)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0)가 마련된다.
일예로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구동기어(120)와 직접 연결되어 동력이 직접 전달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어, 체인, 벨트 등과 같이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 간접적으로 동력이 전달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130)는 후술할 보행로(400) 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물에 의해 손상이 되지 않도록 수중모터 또는 상기 구동모터(13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처리하여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130)와 연결되는 상기 구동기어(120)는 기어비를 달리하여 상기 이동수단(100)이 원활하게 이동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30)는 상기 구동기어(120)와 대응되어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100)의 변곡점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길이, 저항력 및 이동속도 등에 따라 상기 변곡점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공 서핑풀(10)은 상기 이동수단(100)을 지지하는 상기 제1기둥(210)과 일정거리 이격형성되는 제2기둥(410)이 마련된다.
상기 제2기둥(410)은, 수면위로 노출되어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보행로(400)를 지지하는 기둥으로써, 상기 보행로(40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행로(400)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상부에 마련되고, 다수개 구비되는 부유식구조체(미도시)가 일정간격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보행로(400)는 상기 부유식 구조체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배치됨에 따라, 파도의 파고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파손의 위험이 적고, 유연하게 움직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보행로(400)의 양측에는 보행자가 상기 보행로(400)의 외부로 낙하하여 상기 이동수단(100)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수단(100)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펜스(500)가 구비된다.
일예로, 상기 안전펜스(500)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상부와 상기 이동수단(100)의 하부에 같은 형태의 상기 안전펜스(500)가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이동수단(100)의 상부, 즉 상기 보행로(400)의 양측에는 상기 보행자가 물속으로 빠지지 않도록 성인기준으로 허리 높이 이상의 상기 안전펜스(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안전펜스(500)의 간격 및 형상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이동수단(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안전펜스(500)는, 보행자는 물론 서핑을 하는 서퍼들이 수중에서 상기 이동수단(100) 또는 상기 이동수단(100)의 일측에 부착된 상기 조파수단(300)과의 접촉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펜스(500)는 상기 인공 서핑풀(10)의 상기 바닥면(30)까지 설치됨으로써,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100)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전펜스(500)는 다수개의 격자망이 형성되는 철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격자망은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조파수단(300)과 접촉되어 상기 조파수단(300)을 파손시키지 않도록 상기 안전펜스(500)는 일정한 간격 및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이동수단 및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이동수단 및 각도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100)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100)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파도를 발생시키는 상기 조파수단(300)은, 상기 이동수단(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다양한 변위의 파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310)가 구비되어, 상기 조파수단(300)의 경사각(a)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일예로, 상기 조파수단(300)의 간격은 20m 내지 30m 간격으로 설치되어, 첫 번째 파가 생성된 이후, 다음 파도가 생성되기까지 5초 내지 15초의 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100)의 속도는 3 내지 4m/s의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파수단(300)이 7~9초 내외의 간격으로 파도가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조파수단(300)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조파수단(30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조파수단(300)의 좌우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조절부(31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경사각(a)이 상기 컨베이어벨트(110) 진행방향의 10도 내지 25도의 각도에서 각도짐에 따라 상기 이동수단(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물을 밀어내게 되고 물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파도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부(31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돌기회전부(미도시)가 작업자에 의해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도조절부(310)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미도시)가 일측에 더 구비되어, 외부에서 원격으로 상기 각도조절부(310)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도조절부(310)는 상기 블레이드(320)의 상단에 형성된 기어부(미도시)와, 상기 기어부와 치합되어 상기 기어부를 구동시키는 기어박스(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기어박스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상기 조파수단(300)의 상기 각도조절부(310)를 제어함으로써,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이동수단(100)의 이동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파도의 높이, 생성빈도 및 파도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상기 이동수단(100)의 이동속도는 10~15km/h로 설정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공 서핑풀(10)이 길이 200m, 수심 2.5m의 조건에서의 실험값으로, 15Km/h 이상의 속도로 상기 이동수단(100)이 이동될 경우 상기 조파수단(300)의 후방으로 공기방울이 유입되어 높은 파도가 일어나지 않고 쉽게 부서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10km/h의 이하의 속도에서는 파도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인공 서핑풀(10)의 길이 및 수심 조건이 변경되면 이동속도 또한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지지하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구름 이동시킬 수 있는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 중앙 하부에 부착된 상기 조파수단(300)이 상기 가이드롤러(220)와 간섭없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양측면 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각도조절부(310)에 의해 좌우측으로 경사각(a)이 형성되는 상기 조파수단(300)은,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220)와의 간섭이 없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이 분리된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조파수단(300)의 각도가 조절되어 이동되는 경로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파수단(300)은 상기 이동수단(100)으로부터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되는 상기 조파수단(300)은 파도의 주기 및 파도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 장착된 상기 조파수단(300)이 파손되거나, 마모 등이 야기되어 교체를 하고자 할 경우에, 용이하게 교체를 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조파수단(300)에 마련되는 블레이드(320)는 상기 인공서핑 풀(10) 내에 마련되는 물을 수면위로 연속적으로 밀어올릴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이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320)로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블레이드(320)가 물에 대한 저항력으로 쉽게 파손이 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가 발현되는 방청처리된 금속재 또는 경량 소재의 유리섬유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블레이드(320)의 형상은 상기 블레이드(320)의 진행방향에 있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 즉, 쐐기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320)가 외부 충격 또는 물에 대한 저항력에 쉽게 파손되거나 마모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파수단(300)은 하키 스틱 형상으로 마련되며, 블레이드(320)의 형상에 따라 물을 밀어내는 양, 파도의 생성 및 파도의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예로, 상기 블레이드(320)는 곡률이 없는 사각판상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예로 내부에 물을 수용하여 많은 양의 물을 수면위로 밀어낼 수 있도록 내측으로 곡률이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3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320)는 사각판상 형태의 상기 블레이드(320)만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파도의 연속 생성을 위해 곡률이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320)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곡률이 다른 상기 블레이드(320)를 순차적으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 결합시킴으로써, 파도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도가 상호 보완되어 오래 지속되는 파도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320)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미도시) 더 구비되어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와류가 형성된 파도는 초보자 또는 입문자가 서핑을 할 수 있도록 부서지는 파도를 생성하게 되며, 부서지는 파도에서 서핑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조감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인공 서핑풀(10)에 마련된 조파장치로 상기 인공 서핑풀(10)을 가로지르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0)의 양측 공간에서 상기 이동수단(100)의 연속적인 순환이동에 의해 생성되는 파도를 이용하여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적용되는 인공서핑풀(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인공 서핑풀(10)은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파도를 생성하는 방식이 아닌, 장치의 운동을 통해서 파도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발생하는 파가 진행파의 형태로 발생됨에 따라, 서핑을 하기 위한 최적의 파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인공 서핑풀
20: 서핑보드
30: 바닥면
100: 이동수단
110: 컨베이어벨트
112: 기어홈
120: 구동기어
122: 기어이
130: 구동모터
200: 가이드프레임
210: 제1기둥
220: 가이드롤러
300: 조파수단
310: 각도조절부
320: 블레이드
400: 보행로
410: 제2기둥
500: 안전펜스

Claims (8)

  1. 인공 서핑풀 내에 설치되어 순환 이동 되는 이동수단;
    상기 이동수단이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과 연동되어 이동하며 다양한 변위의 파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일측에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조파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고무재질로 구비되되, 내측면을 따라 기어홈이 형성된 컨베이어벨트와 상기 기어홈에 대응되어 치합되는 기어이를 가지되, 상기 이동수단의 변곡점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인공 서핑풀 저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지지하는 제1기둥과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이 구름이동 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중앙이 분리된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인공 서핑풀은, 상기 제1기둥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기둥과 상기 제2기둥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 상부에 마련되되, 수면위로 노출되어 보행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행로를 포함하고, 상기 보행로의 양측단에 구비되어, 보행자가 상기 보행로의 외부로 낙하하여 상기 이동수단으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부로 노출되어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를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는 안전펜스가 더 구비되되, 상기 인공서핑풀의 바닥면까지 설치됨으로써 이용자가 상기 이동수단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좌우측 공간에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인공 서핑풀을 가로지르며, 충분한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파수단은,
    상기 이동수단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KR1020200059876A 2020-05-19 2020-05-19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KR102403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76A KR102403804B1 (ko) 2020-05-19 2020-05-19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876A KR102403804B1 (ko) 2020-05-19 2020-05-19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06A KR20210143006A (ko) 2021-11-26
KR102403804B1 true KR102403804B1 (ko) 2022-05-30

Family

ID=7870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876A KR102403804B1 (ko) 2020-05-19 2020-05-19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8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45Y1 (ko) * 2005-04-26 2005-07-20 이춘송 저수지용 수영장
JP2017525868A (ja) * 2014-06-08 2017-09-07 サーフ レイ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ティーディー サーフィン波の発生
WO2019100107A1 (en) * 2017-11-27 2019-05-31 Tunnel Vision IP Pty Ltd Surfing wave pool
WO2019193505A1 (en) * 2018-04-06 2019-10-10 Simone Sivieri Plant and method for surf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327B1 (ko) 2008-04-16 2010-10-29 김목근 인공파도타기 장치
ITMI20122035A1 (it) 2012-11-29 2014-05-30 Industrie De Nora Spa Elettrodo per evoluzione di ossigeno in processi elettrochimici industrial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45Y1 (ko) * 2005-04-26 2005-07-20 이춘송 저수지용 수영장
JP2017525868A (ja) * 2014-06-08 2017-09-07 サーフ レイクス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ティーディー サーフィン波の発生
WO2019100107A1 (en) * 2017-11-27 2019-05-31 Tunnel Vision IP Pty Ltd Surfing wave pool
WO2019193505A1 (en) * 2018-04-06 2019-10-10 Simone Sivieri Plant and method for surf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06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569B2 (en) Wave simulator for board sports
US56285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erless sheet flow water rides
EP1210155B8 (en) Mobile water ride having sluice slide-over cover
US54011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inerless sheet flow water rides
US5820471A (en) Participatory water play system
EP1465516B1 (en) Moving reef wave generator
US3913332A (en) Continuous wave surfing facility
AU703850B2 (en) Water ride
US20130074254A1 (en) Island Wave Pool
US20020180155A1 (en) Surf toy action figure and simulated surfing game
KR100945007B1 (ko) 웨이크 보드 전용 인공 풀 시스템
EP2929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aves suitable for surfing using staggered wave generators extended along a curved stagger line
KR102403804B1 (ko) 인공서핑수조 조파장치
CN113047672B (zh) 适用于天然水域的浮潜式智能控制安全戏水池的建造方法
EP2912242B1 (en) Surface gravity wave generator and wave pool
US10378225B1 (en) Artificial surfing reef for affecting surface waves
JPH10137450A (ja) 流水装置
NO310138B1 (no) Vannrideanordning
CN202645059U (zh) 一种游泳馆
JPH08126727A (ja) 人工カヌー施設
AU2013201705A1 (en) Moving reef wave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