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715B1 -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715B1
KR102403715B1 KR1020190173572A KR20190173572A KR102403715B1 KR 102403715 B1 KR102403715 B1 KR 102403715B1 KR 1020190173572 A KR1020190173572 A KR 1020190173572A KR 20190173572 A KR20190173572 A KR 20190173572A KR 102403715 B1 KR102403715 B1 KR 102403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spindle case
spindle
gripping chuck
air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524A (ko
Inventor
이중호
Original Assignee
(주)세신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신정밀 filed Critical (주)세신정밀
Priority to KR1020190173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7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38Pneum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1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in an angled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2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 A61C1/144Operating tool blocking means constricting the operating tool, e.g. chu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는, 헤드 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에어 터빈 날개의 중심축을 따라 에어 터빈 날개를 관통하여 에어 터빈 날개에 회전 고정되고, 에어 터빈 날개에 압축 공기의 노출시, 에어 터빈 날개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핀들 케이스;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스핀들 케이스에 고정되어 치과 공구를 관통시키는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핀들 케이스의 중앙영역에 위치되어 스핀들 케이스에 고정되고, 치과 공구를 둘러싸서 치과 공구를 파지하는 공구 파지 척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AIR-TURBINE HANDPIECE FOR REDUCING CONTACT ABRASION CAUSED ADJACENTLY TO DENTAL TOOL}
본 발명은, 헤드부에서 에어 터빈 날개의 회전에 연동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磨耗)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터빈 핸드피스는 치과 시술을 위해 핸드피스의 선단에 위치되는 헤드(head)부의 스핀들(spindle)에 치과용 바, 포인트, 디스크, 석션팁 등의 치과 공구를 장착하고 스핀들을 통해 에어 터빈 날개의 구동력을 치과 공구에 전달시켜 치과 시술 동안 치과 공구를 통해 구강 내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치아와 잇몸을 치료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치과 공구는 치아 시술 종류, 예를 들면 치아의 감염부 제거 또는 치아의 일부분 제거 등의 시술 목적에 따라 헤드부의 스핀들에 삽입되어 스핀들에 파지(把持)되거나 스핀들에서 꺼내어 스핀들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와 치과 공구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개략적인 구조가 도 1 및 도 2에서 개시된다.
우선적으로,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4)는, 몸체부(20)와 헤드부(124)를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상기 몸체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컴퓨레셔(5)로부터 압축 공기(12)를 공급받는 공기 도입구(14), 그리고 공기 도입구(14)로부터 헤드부(124)를 향해 압축 공기(12)를 전달하는 공기 흐름관(18)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연통하는 연결 가지관(33)과 헤드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 가지관(33)은, 헤드 하우징(110)으로부터 분기되어 몸체부(20)의 공기 흐름관(18)을 수용하고 공기 흐름관(18)을 헤드 하우징(110)에 노출시킨다.
상기 헤드 하우징(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50)과, 스핀들(50)에 회전 고정되는 에어 터빈 날개(36)와, 스핀들(50)을 따라 에어 터빈 날개(36)의 양 측부에 위치되는 구름 베어링(39)과, 스핀들(50)과 푸쉬 버튼(100)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도면에 미도시)을 둘러싼다.
상기 푸쉬 버튼(100)은 외부 힘을 인가받아 누름 조작 또는 해제 조작을 통해 스프링을 압축 또는 팽창시켜 헤드 하우징(110)에 대해 탄성 운동을 한다. 또한, 상기 스핀들(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커버(43)와, 스핀들 커버(43)의 일측에서 스핀들 커버(43)의 내부에 위치되는 공구 물림 척(46)과, 스핀들 커버(43)의 타측에서 스핀들 커버(43)의 내부에 위치되는 공구 수용 조인트(4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구 물림 척(46)의 선단(44)은 스핀들 커버(43)에 용접되어 스핀들 하우징(43)에 고정된다. 상기 용접은 스핀들 커버(43) 또는 공구 물림 척(46)을 부분적으로 녹여 스핀들 하우징(43)과 공구 물림 척(46) 사이에 용융지(鎔融池)를 만들면서 용융지를 통해 스핀들 하우징(43)과 공구 물림 척(46)을 서로에 대해 접합시킨다.
상기 푸쉬 버튼(100)의 누름 조작시, 상기 푸쉬 버튼(100)이 상기 공구 물림 척(46)을 향해 공구 수용 조인트(49)를 가압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구 수용 조인트(49)의 테이퍼 단편(48)은 공구 물림 척(46)의 삽입 홀(45)에 적절하게 끼워져 스핀들 커버(43)의 출몰 홈(42)에 공구 물림 척(46)의 자유단을 잠겨지게 한다.
이후로, 상기 공구 물림 척(46)은 치과 공구(130)를 도 2와 같이 수용한다. 또한, 상기 푸쉬 버튼(100)의 해제 조작시, 상기 푸쉬 버튼(100)이 공구 물림 척(46)을 향해 공구 수용 조인트(49)를 비 가압할 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공구 수용 조인트(49)의 테이퍼 단편(48)은 스핀들 커버(43)의 삽입 홀(45)로부터 밀려 스핀들 커버(43)의 출몰 홈(42)의 측벽과 접촉한다.
상기 공구 물림 척(46)의 자유단이 스핀들 커버(43)의 출몰 홈(42)으로부터 떠올라 공구 물림 척(46)의 중심 축을 향해 움직인 때, 상기 공구 물림 척(46)은 스핀들 커버(43)의 내부에서 치과 공구(130)를 도 1과 같이 파지한다. 상기 치과 공구(130)가 공구 물림 척(46)에 파지된 후, 상기 몸체부(20)의 공기 도입구(14)는 컴퓨레셔(5)에 연결된다.
상기 컴퓨레셔(5)의 압축공기(12)는 몸체부(20)를 지나 헤드부(124)에 도달되어 헤드 하우징(110)의 에어 터빈 날개(36)에 접촉되어 에어 터빈 날개(36)와 스핀들(50)과 치과 공구(13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 커버(43)와 공구 물림 척(46)은 스핀들 커버(43)와 공구 물림 척(46) 사이에서 구간 또는 영역 별로 용접에서 발생되는 용융지의 양을 일정하게 갖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용접은 공구 물림 척(46)을 열적으로 변형시켜 공구 물림 척(46)의 초기 형상을 잃게 한다. 따라서, 상기 공구 물림 척(46)은 스핀들 커버(43)의 내부에서 휘어지거나 스핀들 커버(43)의 내부에서 선단과 자유단에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치과 공구(130)는 치과 시술 동안 환자의 구강에서 시술 부위에 접촉되어 외부 힘을 인가받는 동안 휘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치과 공구(130)는 스핀들(50)에 파지되어 회전하는 동안 스핀들 커버(43)와 공구 물림 척(46)의 용접 부위 주변에서 공구 물림 척(43)과 접촉 지점(도 2의 C)을 만들어 치과 시술의 반복적 수행을 통해 공구 물림 척(43)의 접촉 지점(C)에서 공구 물림 척(43)을 점진적으로 마모시킨다.
한편,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4)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8385호에 종래기술로서 유사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8385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헤드부의 스핀들에서 스핀들 커버의 내부에서 공구 물림 척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구 물림 척의 휨을 방지하고 스핀들 커버의 내부에서 공구 물림 척의 점유 면적을 변경하여 치과 시술 동안 공구 물림 척과 치과 공구의 접촉 마모를 최소화시키는데 적합한,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는, 헤드부의 에어 터빈 날개에 치과 공구를 삽입시키며, 외부의 컴퓨레셔와 연결시, 상기 컴퓨레셔의 압축 공기를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여 상기 압축 공기를 통해 상기 에어 터빈 날개와 상기 치과 공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헤드 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터빈 날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에어 터빈 날개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 터빈 날개에 회전 고정되고, 상기 에어 터빈 날개에 상기 압축 공기의 노출시, 상기 에어 터빈 날개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핀들 케이스;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치과 공구를 관통시키는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중앙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스핀들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치과 공구를 둘러싸서 상기 치과 공구를 파지하는 공구 파지 척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는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상기 공구 파지 척과 코킹(caulking) 결합을 하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파지 척보다 더 큰 내마모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핀들 케이스는,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상기 공구 파지 척과 상기 코킹(caulking) 결합에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의 측벽에 제1 원형 띠를 이루는 복수의 코킹 구멍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중앙 영역의 측벽에 제2 원형 띠를 이루는 복수의 코킹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원형 띠 또는 상기 제2 원형 띠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개별 코킹 구멍은,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를 따라 절단하는 때,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제1 외측벽에 둥근 오목 요부(凹部) 또는 사각 오목 요부로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제1 내측벽에 둥근 볼록 철부(凸部) 또는 사각 볼록 철부로 형성될 수 있다.
개별 코킹 구멍은,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를 따라 절단하는 때,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측벽에서 시작하여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측벽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면적을 갖는 역삼각 오목 요부로 형성되고,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밴딩 가이더 또는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파지 척의 환형(環形) 절단면을 볼 때,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 또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을 따라 상기 환형(環形) 절단면에서 사분원 중 이분원 마다 상기 역삼각 오목 요부의 대각선 지향 방향을 바꾸고, 공구 밴딩 가이더 또는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개별 코킹 구멍의 꼭지점 지향 방향을 상기 환형 절단면의 중심으로부터 빗겨나가게 할 수 있다.
상기 개별 코킹 구멍은,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및 제2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제1 원형 띠 및 상기 제2 원형 띠를 따라 동일한 수평 레벨에 위치되거나 지그 재그로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에서 상기 공구 파지 척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에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해 돌출하는 끼움 돌기와 상기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제2 면을 절개하여 상기 끼움 돌기를 수용하는 끼움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에서 상기 공구 파지 척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 사이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단부에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측벽 둘레를 따라 결합 홈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E'자형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결합 홈과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개별 코킹 구멍과 마주하는 제1 철부 수용 띠홈을 가지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상기 제1 철부 수용 띠홈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제2 외측벽으로부터 제2 내측벽을 향해 'V'자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의 제1 내측벽에 위치되는 둥근 볼록 철부 또는 사각 볼록 철부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공구 파지 척은,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측벽에서 마주하여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측벽을 관통하며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반대 편을 향해 숟가락 형상의 타원 부분과 손잡이 부분으로 개구되는 탄지 홀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2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개별 코킹 구멍과 마주하는 제2 철부 수용 띠홈을 가지고,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제2 철부 수용 띠홈은,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제2 외측벽으로부터 제2 내측벽을 향해 'V'자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중앙 영역의 제1 내측벽에 위치되는 둥근 볼록 철부 또는 사각 볼록 철부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파지 척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 가능한 공구 입출입 가늠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구 입출입 가늠쇠는, 상기 공구 입출입 가늠쇠로부터 상기 공구 파지 척을 향해 테이퍼지게 돌출하여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탄지홀에 끼워지는 악력(握力) 조정자를 가지고, 상기 악력 조정자는,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탄지홀에서 상기 숟가락 형상의 상기 손잡이 부분에 상기 악력 조정자의 부분적인 수용 또는 모두 수용시 상기 치과 공구에 대한 상기 공구 파지 척의 파지 악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는, 헤드부의 스핀들에서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 공구 밴딩 가이더와 공구 파지 척과 공구 입출입 가늠쇠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면서, 스핀들 케이스에 공구 밴딩 가이더와 공구 파지 척을 코킹 결합시키고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파지 척보다 공구 밴딩 가이더의 내 마모성을 크게 하므로,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서 공구 파지 척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공구 파지 척의 휨을 방지하여 치과 시술 동안 공구 물림 척과 치과 공구의 접촉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터빈 핸드피스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래 기술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스핀들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제1 실시예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핀들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 및 공구 파지 척과 코킹 결합을 하는 스핀들 케이스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면 Ⅰ - Ⅰ' 를 따라 취해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밴딩 가이더와 공구 파지 척의 코킹 결합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단면 Ⅱ - Ⅱ' 를 취해 스핀들 케이스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와 공구 파지 척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제2 실시예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제3 실시예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제1 실시예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스핀들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 및 공구 파지 척과 코킹 결합을 하는 스핀들 케이스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단면 Ⅰ - Ⅰ' 를 따라 취해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밴딩 가이더와 공구 파지 척의 코킹 결합에 대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의 절단면 Ⅱ - Ⅱ' 를 취해 스핀들 케이스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와 공구 파지 척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8)는, 도 1의 에어 핸드피스(134)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8)는, 헤드부(128)의 에어 터빈 날개(36)에 치과 공구(130)를 삽입시키며, 외부의 컴퓨레셔(5)와 연결시, 컴퓨레셔(5)의 압축 공기(12)를 헤드부(128)에 공급하여 압축 공기(12)를 통해 에어 터빈 날개(36)와 치과 공구(1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8)에서 스핀들(9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핸드피스(134)에서 스핀들(50)과 다른 구조를 갖는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핀들(93)은,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공구 파지 척(68)과 공구 입출입 가늠쇠(78)와, 스핀들 케이스(88)를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상기 스핀들 케이스(88)는, 도 1 및 도 3을 고려하면, 헤드 부(128)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에어 터빈 날개(36)의 중심축을 따라 에어 터빈 날개(36)를 관통하여 에어 터빈 날개(36)에 회전 고정되고, 에어 터빈 날개(36)에 압축 공기(12)의 노출시, 에어 터빈 날개(36)의 회전에 연동한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케이스(88)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핀들 케이스(88)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스핀들 케이스(88)에 고정되어 치과 공구(130)를 관통시킨다.
상기 공구 파지 척(68)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케이스(88)의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핀들 케이스(88)의 중앙영역에 위치되어 스핀들 케이스(88)에 고정되고, 치과 공구(180)를 둘러싸서 치과 공구(130)를 파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88)는 복수의 코킹 구멍(86)을 통해 공구 밴딩 가이더(57) 및 공구 파지 척(68)과 코킹(caulking) 결합을 한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는 공구 파지 척(68)과 스핀들 케이스(88)보다 더 큰 내마모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는 스테인레스 스틸인 SUS 440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파지 척(68) 스테인레스 스틸인 SUS 420으로 만들어진다.
이후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핀들 케이스(88)는,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코킹(caulking) 결합에서, 스핀들 케이스(88)의 직경 방향을 따라 스핀들 케이스(88)의 일측 가장자리의 측벽에 제1 원형 띠를 이루는 복수의 코킹 구멍(86)을 갖는다.
상기 스핀들 케이스(88)는, 공구 파지 척(68)과 코킹 결합에서, 스핀들 케이스(88)의 직경 방향을 따라 스핀들 케이스(88)의 중앙 영역의 측벽에 제2 원형 띠를 이루는 복수의 코킹 구멍(86)을 갖는다. 상기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는,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다.
개별 코킹 구멍(86)은,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를 따라 절단하는 때, 스핀들 케이스(88)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제1 외측벽에 둥근 오목 요부(凹部; 도 3 또는 도 4 또는 도 7 참조) 또는 사각 오목 요부(도면에 미도시)로 형성되고, 스핀들 케이스(88)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제1 내측벽에 둥근 볼록 철부(凸部; 도 7 참조) 또는 사각 볼록 철부(도면에 미도시)로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개별 코킹 구멍(도 5의 86A)은,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를 따라 절단하는 때, 스핀들 케이스(88)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측벽에서 시작하여 공구 밴딩 가이더(57)의 측벽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면적을 갖는 역삼각 오목 요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별 코킹 구멍(86A)은,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밴딩 가이더(57) 또는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파지 척(68)의 환형(環形) 절단면을 볼 때,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밴딩 가이더(57) 또는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파지 척(68)을 따라 환형(環形) 절단면에서 사분원 중 이분원 마다 역삼각 오목 요부의 대각선(85) 지향 방향을 바꾸고, 공구 밴딩 가이더(57) 또는 공구 파지 척(68)에서 개별 코킹 구멍(86A)의 꼭지점 지향 방향을 환형 절단면의 중심(O)으로부터 빗겨나가게 한다.
즉, 상기 개별 코킹 구멍(86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사분원에서 제1 회전 방향(R1)을 따라 역삼각 오목 요부의 대각선(85)을 동일하게 움직이고, 제1 및 제4 사분원에서 제2 회전 방향(R2)을 따라 역삼각 오목 요부의 대각선(85)을 동일하게 움직이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별 코킹 구멍(86A)은, 제2 및 제3 사분원에서 그리고 제1 및 제4 사분원에서 다르게 위치되어 스핀들 케이스(88)로부터 공구 밴딩 가이더(57) 또는 공구 파지 척(68)의 분리를 어렵게 한다.
물론, 도 5의 개별 코킹 구멍(86A)는, 공구 파지 척(68)에 도시되지 않지만, 도 3에서 스핀들 케이스(88)에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공구 파지 척(68)의 코킹 결합을 고려해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공구 파지 척(68)에도 충분히 적용시켜 위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별 코킹 구멍(86 또는 86A)은,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및 제2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고,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서 스핀들 케이스(8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때, 제1 원형 띠 및 제2 원형 띠를 따라 동일한 수평 레벨(도면에 미도시)에 위치되거나,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지그 재그로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공구 파지 척(6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밴딩 가이더(57)에서 공구 파지 척(68)과 마주하는 제1 면(S1)과 공구 파지 척(68)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마주하는 제2 면(S2)을 가지고, 공구 밴딩 가이더(57)에서 제1 면(S1)으로부터 제2 면(S2)을 향해 돌출하는 끼움 돌기(54)와 공구 파지 척(68)에서 제2 면(S2)을 절개하여 끼움 돌기(54)를 수용하는 끼움 홈(67)을 갖는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공구 파지 척(68)를 좀 더 개별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서 제1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개별 코킹 구멍(86)과 마주하는 제1 철부 수용 띠홈(56)을 갖는다.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의 제1 철부 수용 띠홈(5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밴딩 가이더(57)의 제2 외측벽으로부터 제2 내측벽을 향해 'V'자형으로 연장되고, 스핀들 케이스(88)의 일측 가장자리의 제1 내측벽에 위치되는 둥근 볼록 철부 또는 사각 볼록 철부를 수용한다.
상기 공구 파지 척(68)은,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파지 척(68)의 측벽에서 마주하여 공구 파지 척(68)의 측벽을 관통하며 공구 밴딩 가이더(57)의 반대 편을 향해 숟가락 형상의 타원 부분과 손잡이 부분으로 개구되는 탄지 홀(64)을 가지고,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케이스(88)의 측벽에서 제2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개별 코킹 구멍(86)과 마주하는 제2 철부 수용 띠홈(66)을 갖는다.
상기 공구 파지 척(68)의 제2 철부 수용 띠홈(6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파지 척(68)의 제2 외측벽으로부터 제2 내측벽을 향해 'V'자형으로 연장되고, 스핀들 케이스(88)의 중앙 영역의 제1 내측벽에 위치되는 둥근 볼록 철부 또는 사각 볼록 철부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공구 입출입 가늠쇠(78)은, 도 3 또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 케이스(88)의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스핀들 케이스(88)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파지 척(68)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구 입출입 가늠쇠(78)는,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 입출입 가늠쇠(78)로부터 공구 파지 척(68)을 향해 테이퍼지게 돌출하여 공구 파지 척(68)의 탄지홀(64)에 끼워지는 악력(握力) 조정자(74)를 갖는다.
상기 악력 조정자(74)는, 공구 파지 척(69)의 탄지홀(64)에서 숟가락 형상의 손잡이 부분에 악력 조정자(74)의 부분적인 수용(도 7 참조) 또는 모두 수용(도면에 미도시)시 치과 공구(130)에 대한 공구 파지 척(68)의 파지 악력을 조절한다.
상기 공구 파지 척(69)에서 탄지홀(64)의 손잡이 부분에 악력 조정자(74)의 모두 수용은, 종래 기술의 도 2에서 삽입 홀(45)의 일정한 직경으로 매우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 탄지홀(64)의 숟가락 형상의 타원 부분으로 인해서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제2 실시예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핀들(96)은, 도 1 내지 도 7의 스핀들(93)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 스핀들(96)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58) 및 공구 파지 척(68)은 스핀들(93)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57) 및 공구 파지 척(68)과 다른 결합 관계를 갖는다.
즉,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8)와 공구 파지 척(68)은, 공구 밴딩 가이더(58)에서 공구 파지 척(68)과 마주하는 제1 면(S1)과 공구 파지 척(68)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58)와 마주하는 제2 면(S2)을 가지고, 공구 밴딩 가이더(58)와 공구 파지 척(68) 사이에 제1 면(S1)과 제2 면(S2)을 서로 이격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8)와 공구 파지 척(68)은, 스핀들 케이스(88)와 코킹 결합을 한다.
도 9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피스에서 제3 실시예의 스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핀들(99)은, 도 8의 스핀들(96)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나, 상기 스핀들(99)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59) 및 스핀들 케이스(89)는 스핀들(96)에서 공구 밴딩 가이더(57) 및 스핀들 케이스(88)과 다른 결합 관계를 갖는다.
즉, 상기 스핀들 케이스(89)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스핀들 케이스(89)의 단부(89A)에 스핀들 케이스(89)의 측벽 둘레를 따라 결합 홈(89G)을 가지고, 스핀들 케이스(8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스핀들 케이스(89)와 공구 밴딩 가이더(59)와 공구 파지 척(68)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9)는, 스핀들 케이스(89)와 'E'자형으로 결합하도록, 스핀들 케이스(89)의 결합 홈(89G)과 스핀들 케이스(89)의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도,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9)와 공구 파지 척(68)은, 스핀들 케이스(89)와 코킹 결합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의 동작 메커니즘(operation mechanism)이 아래와 같이 설명된다.
도 1,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8)가 도 1 및 도 3과 같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터빈 핸드피스(138)는 몸체부(20)와 헤드부(128)를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 헤드부(128)에서 헤드 하우징(110)에 대해 푸쉬 버튼(100)이 상대적으로 눌려질 수 있다. 상기 푸쉬 버튼(100)은 외부 힘을 인가받아 헤드 하우징(110)에서 누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푸쉬 버튼(100)의 누름 상태에서, 상기 푸쉬 버튼(100)은 공구 파지 척(68)을 향해 공구 입출입 가늠쇠(78)를 전진시켜 스핀들 케이스(88)의 내부에서 공구 파지 척(68)의 탄지홀(64)에 공구 입출입 가늠쇠(78)의 악력 조정자(74)를 모두 삽입시킨다. 상기 공구 파지 척(68)의 탄지홀(64)에 악력 조정자(74)의 모두 삽입은 공구 파지 척(68)의 직경을 초기 수치 대비 증가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헤드부(128)에서 스핀들 케이스(88) 내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공구 파지 척(68)의 내부에 치과 공구(1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치과 공구(130)는 공구 밴딩 가이더(57)와 공구 파지 척(68)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스핀들 케이스(88) 및 공구 입출력 가늠쇠(78)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부(128)에서 헤드 하우징(110)에 대해 푸쉬 버튼(100)이 상대적으로 다시 눌려질 수 있다.
상기 푸쉬 버튼(100)은 외부 힘을 인가받아 헤드 하우징(110)에서 눌림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푸쉬 버튼(100)의 해제 상태에서, 상기 푸쉬 버튼(100)은 공구 파지 척(68)으로부터 공구 입출력 가늠쇠(78)를 후퇴시켜 스핀들 케이스(88)의 내부에서 공구 파지 척(68)의 탄지홀(64)에 공구 입출력 가늠쇠(78)의 악력 조정자(74)를 부분적으로 도 7과 같이 삽입되게 또는 남기게 한다.
상기 공구 파지 척(68)의 탄지홀(64)에 악력 조정자(74)의 부분적 삽입은 공구 파지 척(68)의 직경을 초기 수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상기 공구 파지 척(68)은 스핀들 케이스(88)의 내부에서 치과 공구(130)를 파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에어 터빈 핸드 피스(138)의 몸체부(20)에 컴퓨레셔(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컴퓨레셔(5)는 에어 터빈 핸드 피스(138)의 몸체부(20)에 압축 공기(12)를 공급한다. 상기 압축 공기(12)는 에어 터빈 핸드 피스(138)에서 몸체부(20)를 지나 헤드부(128)에 전달되어 헤드부(128)의 내부에 위치되는 에어 터빈 날개(36)를 회전시킨다.
상기 에어 터빈 날개(36)는 스핀들 케이스(88)와 공구 파지 척(68)과 치과 공구(130)를 회전시킨다. 상기 치과 공구(130)는 에어 터빈 날개(36)의 회전 동안 치과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57)는 치과 시술 동안 치과 공구(130)에 접촉되어도 공구 파지 척(68) 대비 접촉 마모를 최소화시킨다.
57; 공구 밴딩 가이더, 64; 탄지홀
68; 공구 파지 척, 74; 악력 조정자
78; 공구 입출입 가늠쇠, 86; 코킹 구멍
88; 스핀들 케이스, 93; 스핀들

Claims (11)

  1. 헤드부의 에어 터빈 날개에 치과 공구를 삽입시키며, 외부의 컴퓨레셔와 연결시, 상기 컴퓨레셔의 압축 공기를 상기 헤드부에 공급하여 상기 압축 공기를 통해 상기 에어 터빈 날개와 상기 치과 공구를 회전시키도록,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터빈 날개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에어 터빈 날개를 관통하여 상기 에어 터빈 날개에 회전 고정되고, 상기 에어 터빈 날개에 상기 압축 공기의 노출시, 상기 에어 터빈 날개의 회전에 연동하는 스핀들 케이스;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에 고정되어 상기 치과 공구를 관통시키는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중앙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스핀들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치과 공구를 둘러싸서 상기 치과 공구를 파지하는 공구 파지 척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는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상기 공구 파지 척과 코킹(caulking) 결합을 하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파지 척보다 더 큰 내마모성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는,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 및 상기 공구 파지 척과 상기 코킹(caulking) 결합에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의 측벽에 제1 원형 띠를 이루는 복수의 코킹 구멍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직경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중앙 영역의 측벽에 제2 원형 띠를 이루는 복수의 코킹 구멍을 가지고,
    상기 제1 원형 띠 또는 상기 제2 원형 띠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개별 코킹 구멍은,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를 따라 절단하는 때,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제1 외측벽에 둥근 오목 요부(凹部) 또는 사각 오목 요부로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제1 내측벽에 둥근 볼록 철부(凸部) 또는 사각 볼록 철부로 형성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4. 제1 항에 있어서,
    개별 코킹 구멍은,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또는 제2 원형 띠를 따라 절단하는 때,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의 측벽에서 시작하여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측벽으로 연장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면적을 갖는 역삼각 오목 요부로 형성되고,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밴딩 가이더 또는 스핀들 케이스와 공구 파지 척의 환형(環形) 절단면을 볼 때,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 또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을 따라 상기 환형(環形) 절단면에서 사분원 중 이분원 마다 상기 역삼각 오목 요부의 대각선 지향 방향을 바꾸고,
    공구 밴딩 가이더 또는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개별 코킹 구멍의 꼭지점 지향 방향을 상기 환형 절단면의 중심으로부터 빗겨나가게 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5. 제3 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코킹 구멍은,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 및 제2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 때, 상기 제1 원형 띠 및 상기 제2 원형 띠를 따라 동일한 수평 레벨에 위치되거나 지그 재그로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에서 상기 공구 파지 척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에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해 돌출하는 끼움 돌기와 상기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제2 면을 절개하여 상기 끼움 돌기를 수용하는 끼움 홈을 가지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에서 상기 공구 파지 척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공구 파지 척에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지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 사이에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서로 이격시키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단부에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측벽 둘레를 따라 결합 홈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와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절단면을 볼 때,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E'자형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결합 홈과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는,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1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개별 코킹 구멍과 마주하는 제1 철부 수용 띠홈을 가지고,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상기 제1 철부 수용 띠홈은,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제2 외측벽으로부터 제2 내측벽을 향해 'V'자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일측 가장자리의 제1 내측벽에 위치되는 둥근 볼록 철부 또는 사각 볼록 철부를 수용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파지 척은,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측벽에서 마주하여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측벽을 관통하며 상기 공구 밴딩 가이더의 반대 편을 향해 숟가락 형상의 타원 부분과 손잡이 부분으로 개구되는 탄지 홀을 가지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측벽에서 제2 원형 띠를 따라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위치되는 개별 코킹 구멍과 마주하는 제2 철부 수용 띠홈을 가지고,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제2 철부 수용 띠홈은,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제2 외측벽으로부터 제2 내측벽을 향해 'V'자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중앙 영역의 제1 내측벽에 위치되는 둥근 볼록 철부 또는 사각 볼록 철부를 수용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상기 내부에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핀들 케이스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상기 스핀들 케이스와 상기 공구 파지 척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 가능한 공구 입출입 가늠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구 입출입 가늠쇠는,
    상기 공구 입출입 가늠쇠로부터 상기 공구 파지 척을 향해 테이퍼지게 돌출하여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탄지홀에 끼워지는 악력(握力) 조정자를 가지고,
    상기 악력 조정자는,
    상기 공구 파지 척의 상기 탄지홀에서 상기 숟가락 형상의 상기 손잡이 부분에 상기 악력 조정자의 부분적인 수용 또는 모두 수용시 상기 치과 공구에 대한 상기 공구 파지 척의 파지 악력을 조절하는,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KR1020190173572A 2019-12-24 2019-12-24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KR102403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72A KR102403715B1 (ko) 2019-12-24 2019-12-24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72A KR102403715B1 (ko) 2019-12-24 2019-12-24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24A KR20210081524A (ko) 2021-07-02
KR102403715B1 true KR102403715B1 (ko) 2022-05-30

Family

ID=7689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572A KR102403715B1 (ko) 2019-12-24 2019-12-24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7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2044B2 (ja) * 2009-05-07 2014-02-19 ヴェー ウント ハー デンタルヴェルク ビュールモース ゲーエムベーハー 医療用ハンドピース
JP6321612B2 (ja) * 2011-07-29 2018-05-09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確実な駆動チャックとバーアレンジメント
JP2018512221A (ja) 2015-04-16 2018-05-17 シロナ・デンタ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円筒状器具シャンクを固定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0345B1 (en) * 1999-10-28 2001-08-07 Dove Systems, Inc. Vane motor for dental and medical handpieces
KR101861877B1 (ko) 2010-09-22 2018-05-28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다세이사쿠쇼 에어 터빈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2044B2 (ja) * 2009-05-07 2014-02-19 ヴェー ウント ハー デンタルヴェルク ビュールモース ゲーエムベーハー 医療用ハンドピース
JP6321612B2 (ja) * 2011-07-29 2018-05-09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確実な駆動チャックとバーアレンジメント
JP2018512221A (ja) 2015-04-16 2018-05-17 シロナ・デンタル・システムズ・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円筒状器具シャンクを固定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524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1028A (en) Dental cutting tool holder
EP1753365B1 (fr) Guide chirurgical implantaire sur mesure et fraise associée et leur procédé de fabrication
US5924864A (en) Handpiece for medical purposes, in particular for a medical or dental treatment device, preferably for a cutting treatment of a dental root canal
US9138300B2 (en) Dental separator apparatus
ES2305946T3 (es) Pieza manual de uso dental o quirurgico que incluye una pinza elastica.
JP3143017B2 (ja) ハンドピース並びにこれに使用される工具
JP2006520222A (ja) 外科用回転駆動ハンドピース
KR20100138802A (ko) 칩 제거 가공을 위한 드릴 공구 및 루즈 탑과 이를 위한 기본체
KR102403715B1 (ko) 치과 공구 주변에 발생되는 접촉 마모를 줄이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US20020105149A1 (en) Centrifugal dental drill bit chuck
US10004571B2 (en) Chuck mechanism for dental handpiece and dental handpiece using the mechanism
CN109788998B (zh) 用于操作旋转刀具的牙科治疗器械
TWI387446B (zh) 根管阻塞物移除器具
JP2003510127A (ja) トルクを制限する手段からなるデンタルハンドピース
EP1234550A1 (en) Dental implant-carrier assembly
KR102469392B1 (ko) 치과 부분을 취급하기 위한 도구
KR102429250B1 (ko) 치과 공구를 견고히 파지하는 에어 터빈 핸드피스
EP1260190A2 (en) Dental handpiece with tool holder
KR101673973B1 (ko) 핸드피스
KR101894094B1 (ko) 콘트라앵글 핸드피스 및 이의 조립 방법
EP1948065B1 (fr) Instrument à main à usage dentaire ou chirurgical
KR101117659B1 (ko) 핸드피스의 공구 척킹장치
EP3189808A1 (en) Clamping structure for dental handpiece
KR102301975B1 (ko) 치아 교정용 스크류 드라이버 장치
US20170189137A1 (en) Clamping structure for dental hand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