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225B1 -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 Google Patents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225B1
KR102403225B1 KR1020200102494A KR20200102494A KR102403225B1 KR 102403225 B1 KR102403225 B1 KR 102403225B1 KR 1020200102494 A KR1020200102494 A KR 1020200102494A KR 20200102494 A KR20200102494 A KR 20200102494A KR 102403225 B1 KR102403225 B1 KR 102403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signal
driving source
wireless remote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21654A (en
Inventor
심성수
이우준
강병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102020010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225B1/en
Publication of KR20220021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16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2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승강장치의 동작을 조정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사용자가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에 있어서, 배터리, 스위치부, 송신무선모듈 및 송신처리부를 포함하며, 스위치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해당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처리부와 수신무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으로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that adjust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lift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source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supplied energy, a manipul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ource based on the state of the manipulation unit.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 device for operation, comprising: a transmitter comprising a battery, a switch unit, a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unit; and a receiving unit including a receiving processing unit and a receiving wireless module,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b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Description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본 발명은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작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 device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국내에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고층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 소방 장비 또는 소방 기술로는 15층 이상의 건물에 화재 발생시에는 신속한 화재 진압이 힘든 상태이므로, 상기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인명의 탈출 및 구조를 위한 다수의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탈출용 장비로 완강기를 들 수 있다.In Korea, various types of high-rise fires have been occurring continuously since the past, but with current domestic firefighting equipment or firefighting technology, it is difficult to quickly extinguish a fire when a fire occurs in a building with more than 15 floors. A number of devices have been proposed for escape and rescue, and a typical escape equipment is a bunkanggi.

상기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시에 조난자가 신속하게 화재 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완강기의 루프에 조난자가 매달리게 되면 상기 루프가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서서히 지면쪽으로 하강하면서 화재현상을 안전한 장소로 탈출하도록 지원하는 장치로 다양한 방식의 구성들이 제안되었다.The stiffener allows the victim to quickly escape to a safe place from the fire site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such as a building or apartment.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s have been proposed as a device that supports the escape of a fire phenomenon to a safe place while descending.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에는, 루프와; 상기 루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와; 상기 루프, 풀리, 감속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판과;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 등으로 구성되는 완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ublic Utility Model No. 1998-026059, a loop; a pulley for winding up the loop; a reduction unit for reduc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pulley; a coupling plate for coupling the loop, pulley, and reduction uni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wanganggi consisting of a cover plate and the like coupled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upling plate is disclosed.

또한, 등록특허 제1311643호에는 V형브레이크에서 먼저 감속 효과를 줌으로써, 감속휠에서는 고체중자가 매달린 경우에도 저체중자가 매달린 것과 같은 하중을 느끼므로, 과체중자라도 저체중자와 마찬가지로 낮은 속도로 완강할 수 있으며, 또한, V 형브레이크가 피난자의 체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다른 완강기 부품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장기간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Registration No. 1311643, the V-type brake first gives a deceleration effect, so that even when a solid weight is suspended, the reduction wheel feels the same load as a low weight person hanging, so even an overweight person can be stubborn at a low speed like an underweight person. , In addition, since the V-type brake bears a part of the body weight of the evacuator, the fatigue of other stiffener parts is reduced, and a configuration is disclosed that can use the armband for a long time.

그러나 상기 완강기의 경우 10층 이하 건물에서만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화재 발생 시 사용법을 모르거나 관리소홀로 인하여 사용 빈도가 극히 낮아, 소방관 및 별도의 소방 장비에 의한 구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reinforcing machine, it is installed only in buildings with less than 10 floors, and the frequency of use is extremely low due to ignorance or negligence in management in case of a fire.

이때 소방관 또는 소방 장비에 의한 구조방법은 크게 고가 사다리차를 이용한 방법과 소방관에 의한 로프방식으로 구분되며, 고가 사다리차는 국내 건물구조 및 특징으로 차량의 접근에 많은 애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유로 인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긴급한 구조사항에 대응이 어려울 때가 많다.At this time, the rescue method by firefighters or firefighting equipment is largely divided into a method using an elevated ladder truck and a rope method by a firefighter. It takes time and it is often difficult to respond to urgent rescue issues.

그리고 로프에 의한 구조방식은 로프나 릴을 이용한 방식이 주가 되며, 손을 이용하여 하강 및 정지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근력과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method using a rope or a reel is mainly used for the rescue method by means of a rope, and since it is necessary to descend and stop using the hands, considerable strength and risk exist.

그러나 상기 로프나 릴을 이용한 방식은 장비의 이송과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어, 다른 구조 현장에서 늘리 사용되고 있다.However, the method using the rope or reel has the advantage of convenient transport and use of equipment, and is being used more and more in other rescue sites.

예를 들면, 맨홀 낙상사고 현장에서는 삼각대 릴을 이용하며, 이 경우 여러 사람이 삼각대 릴을 지지 해야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산악 구조 현장에서도 릴들을 이용하여 조난자를 구조하나, 이때도 역시 구조인원의 상당한 근력이 요구되며 부상자를 리프팅하기 위해 최소 2~3명인원이 견인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For example, a tripod reel is used at the site of a manhole fall accident, and in this case, several people have to support the tripod reel. Significant strength is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tow at least 2-3 people to lift the injured person.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들을 개선한 것으로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한 로프형 승강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등록특허 제212709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엔진 또는 모터; 상기 엔진 또는 모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며, 로프가 권취되는 로프드럼; 내측에 상기 회전축을 수용하는 동력 전달 하우징; 상기 동력 전달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되는 공간부; 및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지지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n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methods as described above, a rope-type elevating device using a separate power source may be us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127091, the lifting device includes an engine or a motor; a rotating shaft rotated by power generated from the engine or motor; a rope drum which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on which a rope is wound; a power transmission housing accommodating the rotation shaft inside; a space portion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ower transmission housing; and a support roller accommodated in the space and selectively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according to movement.

즉, 엔진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설치된 로프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성으로 신속하고 편리한 사용에 따라 소방용으로 활용 가능하며, 또한 건물의 침투, 선박의 침투 등의 군사용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at is, it is a configuration that ascends or descends along a rope installed using an engine or a motor, and can be used for firefighting according to quick and convenient use,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for military purposes such as penetration of buildings and penetration of ships.

상기와 같은 동력형 승강장치는 구동원의 동작을 위하여 본체에 조작부가 설치되며, 사용자는 본체에 부착된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승, 하강 또는 중지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나, 소방용 또는 군사용의 경우에는 양손에 별도의 소방 장비나 군사용 장비를 들고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손으로 직접 조작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장비를 별도로 반송하여 실제 작업 또는 작전 수행에 추가의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power-type lift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a manipulation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for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and the user operates the manipulation unit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rising, lowering, or stopping. Since most of them are moved with firefighting equipment or military equipment,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m by han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승강장치의 동작을 조정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that adjusts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 user's movemen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되는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사용자가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에 있어서, 배터리, 스위치부, 송신무선모듈 및 송신처리부를 포함하며, 스위치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해당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처리부와 수신무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으로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lifting device comprising a driving source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supplied energy, a manipul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ource based on the state of the manipulation unit.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 device for operation, comprising: a battery, a switch unit, a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and a transmission unit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unit; and a receiving unit including a receiving processing unit and a receiving wireless module,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b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출력되는 가속도의 절대크기를 기준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nsmitt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transmitter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an absolute magnitude of an acceleration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는 기본적인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본적인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부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transmitter transmits a basic control signal, and when the receiver receives the basic control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tter is normally conn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부는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조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구동원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witch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ng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ource and the speed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sour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구동원의 가동 및 중지를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동작부; 및 상기 구동원의 가동 및 중지 제어를 상기 동작부에 의하여 수행하는 일반모드와 상기 구동원의 작동 및 중지 제어를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의 절대크기를 기준으로 수행하는 진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witch unit comprises: an operation unit for repeatedly selecting operation and stopping of the driving source; and a mode unit for selecting one of a general mod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performs start and stop control of the driving source and a vibration mode in which the operation and stop control of the driving source is performed based on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부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송신처리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의 절대크기가 사전에 정의된 크기 이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부가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when the mode unit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outputs the same control signal as the operation unit operates when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magnitude. characteriz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부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송신처리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의 절대크기가 사전에 정의된 크기 이상이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내에 두번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부가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when the mode unit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en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output twice within a predefined tim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siz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control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는 표면에 스위치부가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사용자의 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nsmi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sing to which the switch unit is fixed to the surface and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casing to the user's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신부의 송신무선모듈과 상기 수신부의 수신무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nsmitting radio module of the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radio module of the receiving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Bluetooth or Zigbee.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은 사용자가 팔에 착용하는 송신부와 로프형 승강장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송신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 팔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팔의 움직임 가속도가 일정 이상인 경우, 상기 수신부를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팔의 동작만으로 승강장치를 제어할 수 있어, 소방용,군사용 또는 산업용으로 높은 활용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worn on the user's arm and a receiver disposed inside the rope-type lifting devic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wherein the transmitt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to move the user's arm , and when the movement acceleration of the arm is above a certain level, the receiver can output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lifting device with only the motion of the arm, providing high utility for firefighting, military or industrial use has the effect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이 적용되는 승강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의 외형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수신부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2의 착용 상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lifting device to which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2;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switch shown in Figure 3,
Figure 5 is an external view of Figure 3,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receiver shown in Figure 2,
FIG. 7 is a view showing the wearing state of FIG. 2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승강장치(10)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10 as shown in FIG. 1 .

상기 승강장치(10)는 내부에 구동원(12)이 배치된 몸체(11), 상기 몸체(11) 전면에 상기 구동원(12)에 의하여 회전하며, 로프(1)를 권취하는 v형의 풀리를 포함하는 로프드럼(13), 상기 로프(1)를 상기 로프드럼(13)으로 안내하고, 또한 로프(1)의 로프드럼(13)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14) 및 상기 동력원의 동작을 조절하여 상기 로프드럼(13)의 회전 방향과 회전속도 및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15)를 포함한다.The lifting device 10 includes a body 11 having a driving source 12 disposed therein, and a v-shaped pulley that rotates by the driving source 12 on the front of the body 11 and winds the rope 1 . A rope drum including a 13, a guide 14 for guiding the rope 1 to the rope drum 13, and preventing the rope 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ope drum 13, and the operation of the power source and a manipulation unit 15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direction, rotation speed, and operation of the rope drum 13 by adjusting the .

여기서 상기 구동원(12)은 전기로 구동하는 모터 또는 별도의 연료를 통하여 구동하는 엔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Here, the driving source 12 may be implemented as a motor driven by electricity or an engine driven through a separate fuel.

또한 상기 구동원(12)과 상기 로프드럼(13) 사이에는 회전 속도를 변속하는 변속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Also, a speed change device for changing the rotational spee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riving source 12 and the rope drum 13 .

물론 필요한 경우 상기 승강장치(10)는 상기 구동원(12)과 로프드럼(13)의 기계적인 연결여부를 결정하는 클러치와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기 위항 로프(1)와 브레이킹 작용하는 브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Of course, if necessary, the lifting device 10 includes a clutch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rive source 12 and the rope drum 13 are mechanically connected, and the rope 1 and a brake that acts as a braking force to prevent sudden descent. can

여기서 상기 로프(1)는 승강 또는 하강하기 위한 지역에 사전에 일단 또는 양단이 묶여 있는 구성이며, 상기 승강장치(10)는 상기 로프(1)를 권취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Here, the rope 1 is configured to have one end or both ends tied in advance to an area for ascending or descending, and the lifting device 10 winds up the rope 1 to ascend or descend.

사용자는 상기 승강장치(10) 몸체(11)에 연장되는 지지끈 등에 의지하며, 상기 승강장치(10)가 상승하는 경우 같이 이동한다. 물론 하강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브레이크 작용에 의하여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user relies on a support string extending from the body 11 of the lifting device 10 and moves together when the lifting device 10 rises. Of course, in the case of descending, the descending speed can be controlled by an appropriate brake action.

상기 조작부(15)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부분이며, 조작부(15)의 신호는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2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구동원(12)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manipulation unit 15 is a part operated by the user, and the signal of the manipulation unit 15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installed therein, and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12 .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구동원(12)의 회전 방향과 회전속도를 상기 조작부(15)의 신호에 따라 그 정도를 제어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20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source 12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manipulation unit 15 .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5)를 통하여 상기 승강장치(1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10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5 .

상기의 승강장치(10)는 로프(1)에 의하여 이동하는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100)은 상기와 같이 로프형뿐만 아니라, 물건 또는 사람을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리프트, 물건을 이송하는 호이스트 및 윈치 등과 같이 구동원의 동작에 의하여 물건 또는 사람들을 이동시키는 승강장치(10)의 제어용으로도 적용 가능하다.Although the elevating device 10 has been described as a configuration that moves by the rope 1,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00 for 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pe type as well as a rope type as well as an object or a person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also applicable for the control of the lifting device 10 that moves objects or people by the operation of a driving source, such as a lift, a hoist and a winch for transporting objects.

따라서, 본 발명의 승강장치(10)는 로프형 승강장치뿐만 아니라, 호이스트, 윈치 및 리프트 등과 같은 산업용 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Accordingly, the lift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ant to include industrial devices such as a hoist, a winch and a lift, as well as a rope-type lif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100)은 상기와 같은 승강장치(10)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40)와 상기 송신부(50)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10 a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2 , a transmitter 40 and a receiver f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transmitter 50 ( 80) is included.

상기 송신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와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60), 무선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무선모듈(52), 송신부(40)의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가속도센서(53), 상기 스위칭부(60)의 상태와 상기 가속도센서(53)의 출력값을 처리하고, 또한 상기 송신무선모듈(5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처리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transmitting unit 40 includes a switch unit 60 including a separate battery and a plurality of switches for user manipulation, a transmitting radio module 52 for outputting a radio signal, and a transmitting unit. The acceleration sensor 53 that outputs a sign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40, processes the state of the switching unit 60 and the output value of the acceleration sensor 53, and also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52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to output.

상기 송신무선모듈(52)은 상기 송신처리부(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52 serves to wirelessly transmit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and is preferably implemented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or Zigbee.

또한, 상기 송신처리부(51)는 상기 스위치부(60)에서 설정 또는 설정 변경되는 경우 해당 제어 신호를 상기 송신무선모듈(52)을 통하여 송신한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transmi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52 when the setting or setting is changed in the switch unit 60 .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1), 회전부(62), 속도부(63), 동작부(64) 및 모드부(65)를 포함한다.4 , the switch unit 60 includes a power unit 61 , a rotation unit 62 , a speed unit 63 , an operation unit 64 , and a mode unit 65 .

여기서, 상기 전원부(61)는 송신부(40)를 온/오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온으로 설정되는 경우 송신부(40)가 동작하고, 오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송신부(40)가 동작으로 종료한다. 물론 상기 전원부(61)가 오프로 설정되는 경우 승강장치(10)는 조작부(15)에 의해서만 동작한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61 serves to turn on/off the transmitter 40, and when it is set to on, the transmitter 40 operates, and when it is set to off, the transmitter 40 ends as an operation. do. Of course, when the power supply unit 61 is set to be off, the lifting device 10 operates only by the operation unit 15 .

상기 회전부(62)는 로프드럼(13)의 회전 방향을 조정하는 구성이다. 즉, 회전부(62) 선택에 의하여 로프드럼(13)의 회전 방향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62 is configured to adjus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pe drum 13 . That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pe drum 13 can be set to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selecting the rotating part 62 .

상기 속도부(63)는 상기 로프드럼(13)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로 사용자는 상기 속도부(63)를 통하여 승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peed unit 63 is a switch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pe drum 13 , and the user can adjust the rising/falling speed through the speed unit 63 .

상기 동작부(64)는 로프드럼(13) 회전의 온/오프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속도와 회전방향에 따라 로프드럼(13)의 동작 여부를 지시하는 스위치이다. 안전을 위해서 상기 동작부(64)를 누른 상태에서만 상기 로프드럼(13)이 회전하고, 나머지 상태에서는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64 performs a function of selecting on/off of the rotation of the rope drum 13, and a switch indicating whether the rope drum 13 operates according to the speed and rotation direction set in advance by the user. to be. For safety, the rope drum 13 rotates only when the operation unit 64 is pressed, and the rotation is stopped in the rest of the state.

상기 모드부(65)는 스위치부(60)들의 동작으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일반모드와 송신부(40)의 자체 가속도에 의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모드를 선택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스위치이다.The mode unit 65 is a switch serving to select a normal mod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units 60 and a vibration mode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lf-acceleration of the transmitter 40 .

상기 모드부(65)가 일반모드로 설정될 경우에는 상기 모든 동작을 상기 송신기(40)에 부착된 스위치부(60)에 의하여 수행된다.When the mode unit 65 is set to the normal mode, all the operations are performed by the switch unit 60 attached to the transmitter 40 .

반면 상기 모드부(65)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동작부(64)의 작동 여부를 상기 가속도센서(53)에서 출력되는 값을 기준으로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e unit 65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whether the operation unit 64 is operated is set based on the value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53 .

즉, 상기 송신처리부(51)는 상기 모드부(65)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일정한 가속도 이상으로 송신부(40)가 운동하는 경우 상기 동작부(64)의 상태를 반전하고, 또다시 일정한 가속도 이상으로 송신부(40)가 운동하는 경우 상기 동작부(64)의 상태를 반전하는 형태로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mode unit 65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inverts the state of the operation unit 64 when the transmission unit 40 moves at a constant acceleration or more, and again with a constant accele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ransmitter 40 moves, the control i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state of the operation unit 64 is inverted.

따라서, 상기 송신부(40)를 사용자 위팔에 착용하고, 속도 및 회전 방향을 설정한 후, 진동모드로 설정하면, 위팔을 진동시켜, 상기 로프드럼(13)의 회전 여부를 반복하여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transmitter 40 is worn on the user's upper arm, the speed and the rotation direction are set, and then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upper arm is vibrated to repeatedly adjust whether the rope drum 13 rotates.

한번 진동 시, 로프드럼(13)이 회전하고, 다시 한번 더 진동 시 로프드럼(13)이 정지하고, 또 다시 진동 시 로프드럼(13)이 회전하는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vibrating once, the rope drum 13 rotates, when vibrating once more, the rope drum 13 stops, and when vibrating again, the rope drum 1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rotation control.

필요한 경우 상기 송신처리부(51)는 2번 이상의 진동이 연속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로프드럼(13) 회전 신호를 출력하고, 하번의 진동만 입력되는 경우, 로프드럼(13)이 정지하는 형태로도 제어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outputs a rotation signal of the rope drum 13 when two or more vibrations are continuously performed, and when only the lower vibration is input, the rope drum 13 is stopped. can be controlled

상기 가속도센서(53)는 1축, 2축 또는 3축 중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1축 및 2축인 경우 위팔의 운동 특성이 가장 잘 나타내는 각도에 일치시키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3축인 경우에는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acceleration sensor 53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among 1 axis, 2 axes, or 3 axes, and in the case of 1 axis and 2 axe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acceleration sensor 53 to match the angle best indicated by 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arm, 3 In the case of a shaft,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be installed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3축 가속도센서(53)에 의한 출력을 x, y, z라 할 경우, 가속도 값 a는 다음의 식으로 구성된다.When the output by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53 is x, y, and z, the acceleration value a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equation.

a=(x2+y2+z2)1/2 a=(x 2 +y 2 +z 2 ) 1/2

즉, a값은 각 축의 가속도 값을 단위 성분으로 하는 벡터의 절대크기를 나타내는 양의 값이다.That is, the value a is a positive value indicating the absolute magnitude of a vector having the acceleration value of each axis as a unit component.

물론 2축 가속도센서(53)인 경우에는 x 및 y 출력만을 계산하고, 1축 가속도센서(53)인 경우에는 단일 출력의 절대값으로 가속도 값을 계산한다.Of course, in the case of the two-axis acceleration sensor 53, only x and y outputs are calculated, and in the case of the single-axis acceleration sensor 53, the acceleration value is calculated as an absolute value of a single output.

상기 송신처리부(51)는 상기 a값이 일정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동작을 변경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When the value 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determines that the user has a will to change the operation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한편, 상기 송신처리부(51)는 전원이 온된 경우,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기본적인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1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basic signal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따라서 별다른 제어 신호가 없더라도 기본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수신부(80)는 상기 기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40)에 정확히 동작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re is no special control signal, a basic signal is output, and when the receiving unit 80 receives the basic signal,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transmitting unit 40 is operating correctly.

한편, 상기 송신부(40)의 외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케이싱(41)과 상기 케이싱(41)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42)를 포함하며, 케이싱(41)의 표면에는 조작용 스위치부(60)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outer shape of the transmitter 40 includes a separate casing 41 and a fixing part 42 for fixing the casing 41, and on the surface of the casing 41 The switch part 60 for operation is formed.

여기서 상기 고정부(42)는 적절한 탄성을 갖는 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벨트에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를 부착하여 고정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fixing part 4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elt having appropriate elasticity, and if necessary,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form for fixing by attaching a hook-and-loop fastener to the belt.

한편, 상기 수신부(80)는 상기 제어부(20) 내부에 구현될 수 있으나, 기능적으로는 제어부(20)와 구분되어 설명한다.Meanwhile, the receiving unit 80 may be implemented inside the control unit 20 , but functionally, it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0 .

상기 수신부(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처리부(81)와 상기 수신처리부(81)와 연결되는 수신무선모듈(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 the reception unit 80 includes a reception processing unit 81 and a reception wireless module 82 connected to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81 .

또한 상기 수신부(80)는 상기 송신부(4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인식하고, 해당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으로 상기 구동원(12)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receiver 80 receive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40 , recognizes the received control signal, and controls the driving source 12 b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ignal.

또한 상기 수신처리부(81) 지속적으로 상기 송신부(40)를 통하여 송신되는 기본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기본 제어 신호가 이상인 없는 경우 상기 송신부(40)의 연결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동작을 구현하는 제어를 수행한다.In addition,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81 continuously receives the basic control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unit 40, and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basic control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nection of the transmission unit 40 is good, and then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When it is received, it performs the control implementing the corresponding operation.

물론 엔진형 구동원(12)인 경우에는 방향 전환을 위해서는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Of course, in the case of the engine-type driving source 12,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만약 상기 기본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신처리부(81)는 상기 송신부(40)와 연결이 비정산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 동작을 중지한다.If the basic control signal is not received, the reception processing unit 81 determines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transmission unit 40 is irregular and stops the wireless opera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100)은 상기 모드부(65)가 진동으로 설정되고 도 7과 같이 사용자 윗팔에 송신부(40)가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는 사전에 정의된 가속도 이상으로 팔을 움직여 승강장치(10)가 구동하도록 하고, 상승 또는 하강 중 동작을 중지시킬 경우 사전에 정의된 가속도 이상으로 위팔을 움직이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00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de unit 65 is set to vibration and the transmitter 40 is mounted on the user's upper arm as shown in FIG. Move the arm so that the lifting device 10 is driven, and when stopping the operation during ascending or descending, the upper arm may be moved more than a predefined acceleration.

즉, 양팔을 물건 또는 소총을 소지하고 있더라도 위팔의 동작만으로 상기 승강장치(1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both arms are in possession of an object or a rifle,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he lifting device 10 is operated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upper arm.

필요한 경우 다양한 형태의 가속도값에 대하여 제어가 수행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f necessary, it is obvious that the control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control is performed on various types of acceleration values.

필요한 경우, 상기 리모컨(100)을 손으로 진동시켜 구동원(12)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remote control 100 may be vibrated by hand to control whether the driving source 12 operates or no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rope-typ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re is no deviation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Without it,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1: 로프 10: 로프형 승강장치
11: 몸체 12: 구동원
13: 로프드럼 14: 가이드
15: 조작부 20: 제어부
40: 송신부 41: 케이싱
42: 고정부 51: 송신처리부
52: 송신무선모듈 53: 가속도센서
60: 스위치부 61: 전원부
62: 회전부 63: 속도부
64: 동작부 65: 모드부
80: 수신부 81: 수신처리부
82: 수신무선모듈 100: 무선리모컨
1: Rope 10: Rope-type hoisting device
11: body 12: drive source
13: rope drum 14: guide
15: control unit 20: control unit
40: transmitter 41: casing
42: fixed unit 51: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52: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53: acceleration sensor
60: switch unit 61: power unit
62: rotation part 63: speed part
64: operation unit 65: mode unit
80: receiving unit 81: receiving processing unit
82: receiving wireless module 100: wireless remote control

Claims (10)

내부에 구동원이 배치된 몸체, 상기 몸체 전면에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하며, 로프를 권취하는 v형의 풀리를 포함하는 로프드럼, 상기 로프를 상기 로프드럼으로 안내하고, 로프의 로프드럼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 사용자가 동작을 조절하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상태를 기초로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를 무선으로 조작하기 위한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에 있어서,
배터리, 스위치부, 송신무선모듈 및 송신처리부를 포함하며, 스위치부의 조작 상태에 따라 해당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처리부와 수신무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으로 상기 구동원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신부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에서 출력되는 가속도의 절대크기를 기준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구동원의 가동 및 중지를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동작부 및 상기 구동원의 가동 및 중지 제어를 상기 동작부에 의하여 수행하는 일반모드와 상기 구동원의 작동 및 중지 제어를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의 절대크기를 기준으로 수행하는 진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는 사용자의 윗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A body in which a driving source is disposed, a rope drum including a v-shaped pulley for winding a rope by rotating by the driving sourc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guiding the rope to the rope drum, and leaving the rope from the rope drum I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for wirelessly operating the lifting device comprising a guide to prevent
a transmission unit including a battery, a switch unit, a transmission wireless module, and a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of the switch unit; and
Comprising a reception processing unit and a reception wireless module, the reception unit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ource by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he transmitt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nd the transmitter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The switch unit controls the operation unit to repeatedly select starting and stopping of the driving source, a normal mode in which the operation unit performs start/stop control of the driving source, and control of operation and stopping of the driving source, the absolute value of the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Including a mode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vibration modes performed based on the size,
The transmitter is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user's upper ar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기본적인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본적인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송신부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 lif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transmits a basic control signal, and the receiver determines that the basic control signal is normally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when the basic control signal is recei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구동원의 회전방향을 조정하는 회전부와 상기 구동원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속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 lif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 unit comprises a rotating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riving source and a speed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sour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부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송신처리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의 절대크기가 사전에 정의된 크기 이상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부가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ode unit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outputs the same control signal as the operation unit operates when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magnitude.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the elevator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부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송신처리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의 절대크기가 사전에 정의된 크기 이상이 사전에 정의된 시간 이내에 두번 출력되는 경우 상기 동작부가 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mode unit is set to the vibration mode, th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operates the operation unit when the absolut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of the acceleration sensor is output twice within a predefined tim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fined size A wireless remote control for a lif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the same control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표면에 스위치부가 고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을 사용자의 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comprises a casing to which a switch part is fixed to a surface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asing to a user's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의 송신무선모듈과 상기 수신부의 수신무선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 lif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transmitting module of the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wireless module of the receiving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또는 지그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치용 무선 리모컨.
[Claim 10]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of claim 9, wherei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Bluetooth or Zigbee.
KR1020200102494A 2020-08-14 2020-08-14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KR1024032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94A KR102403225B1 (en) 2020-08-14 2020-08-14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494A KR102403225B1 (en) 2020-08-14 2020-08-14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54A KR20220021654A (en) 2022-02-22
KR102403225B1 true KR102403225B1 (en) 2022-05-30

Family

ID=8049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494A KR102403225B1 (en) 2020-08-14 2020-08-14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2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289A (en) * 2010-06-14 2012-01-05 Hitachi Ltd Control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elevator
KR101374206B1 (en) * 2012-05-24 2014-03-13 박주봉 An elevator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JP2017039555A (en) * 2015-08-17 2017-02-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JP2018203445A (en) * 2017-06-02 2018-12-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Remote control system for lif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1289A (en) * 2010-06-14 2012-01-05 Hitachi Ltd Control system for remotely operating elevator
KR101374206B1 (en) * 2012-05-24 2014-03-13 박주봉 An elevator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JP2017039555A (en) * 2015-08-17 2017-02-23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JP2018203445A (en) * 2017-06-02 2018-12-2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Remote control system for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1654A (en)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1239B1 (en) Tool carrier
EP2542750B1 (en) Device of assistance for a user of a ladder
US20090014242A1 (en) Wirelessly controlled fire escape devices
US20200155875A1 (en) Intelligent Rope Descending Rescue Backpack
CN111032167A (en) Climbing assistance speed control
CN102689836B (en) Control equipment, method, system, and engineering machinery for brake failure protection of crane
KR101815310B1 (en) Electrically driv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KR20170121534A (en) Intelligent ascender
KR102403225B1 (en) Wireless remote controller for ascender
CN102240424A (en) High-rise extinguishment lifesaving maintenance robot
CN202113506U (en) Robot for high-rise extinguishment, lifesaving and maintenance
KR101646497B1 (en) Lifting device for rescue of human
CA3136072C (en) A portable power-driven system
US20150014097A1 (en) Descending Escape Equipment
KR20170089692A (en) Electrically driv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US11097135B2 (en) Rope type elevating device
CN212141201U (en) Transformer substation interval anti-falling system
CN213519241U (en) Intelligent voice lifting control system
JP2019119550A (en) Cargo assistance device
CN212222111U (en) Gear type lifting mobile equipment
JP2021155200A (en) Assist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KR20200055443A (en) Rope type elevator apparatus
JP3091429U (en) Emergency evacu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