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125B1 -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125B1
KR102402125B1 KR1020200076286A KR20200076286A KR102402125B1 KR 102402125 B1 KR102402125 B1 KR 102402125B1 KR 1020200076286 A KR1020200076286 A KR 1020200076286A KR 20200076286 A KR20200076286 A KR 20200076286A KR 102402125 B1 KR102402125 B1 KR 10240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storage system
unit
temperature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027A (ko
Inventor
임재용
정민욱
최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76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2Closed pipes transferring heat by thermal conductivity or phase transition, e.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geotherm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냉동 사이클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방을 수행하는 히트 펌프부; 지중부와 상기 히트 펌프부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히트 펌프부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지중부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 열교환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원하는 시간에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차세대 전력망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현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다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터리에 생산된 전력을 저장한 후, 필요한 시점에 사용한다. 화학적 특성을 갖는 배터리는 제한적인 운용 온도 범위로 인해서 배터리 운용(충전 또는 방전)에 많은 제한을 받는다. 배터리는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운용온도를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내부적으로 열화, 조직 변형 등의 큰 손상을 받으며 수명이 급격하게 감소하고 배터리의 특징이 변경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화재 또는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기 위해서 냉난방을 위한 공조설비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밀폐형 컨테이너 또는 건물 내부에 다수의 배터리를 설치하여 운용한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충방전시 발생되는 배터리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어려운 구조를 갖고 있고, 이로 인해 공조설비를 운용하기 위해서 많은 전력 비용이 소요된다.
1MWh 용량의 배터리 시스템은 약 20개의 배터리 랙으로 구성되고, 각 배터리 랙은 약 20개의 배터리 모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1MWh 용량의 배터리 시스템은 약 400개의 배터리 모듈로 구성되므로 충방전시 발열량은 매우 크다. 특히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용도에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경우 발열에 의한 고온조건이 장시간 유지될 경우 성능저하 뿐만 아니라 화재 또는 발화와 같은 안전성에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별도의 공조설비를 운영해야 하며 이러한 공조운영에 많은 운영비가 소요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신재생 에너지의 사용 증가 및 스마트 그리드 사업 추진 등을 통해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 및 활용이 증가하고 시장규모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공조설비 운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85618호(2020.03.02)의 '풍력을 이용한 냉각 시스템이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각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을 감소시키고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냉동 사이클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방을 수행하는 히트 펌프부; 지중부와 상기 히트 펌프부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히트 펌프부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지중부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 열교환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히트 펌프부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는 응축기 냉각수 센서;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의 냉매 온도를 감지하는 응축기 냉매 센서; 상기 지중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부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는 지중부 냉각수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온도와 상기 응축기의 냉매 온도 및 상기 지중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평균 온도와 상기 응축기의 냉매 평균 온도 사이의 온도차, 및 상기 지중부의 냉각수 평균 온도와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평균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응축기의 냉매 온도를 기 설정된 설정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에서 상기 증발기를 격리시키는 격리부; 상기 증발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이송시키는 냉기 공급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냉기 공급부는 일측이 상기 격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냉기 공급부는 상기 냉기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 공급 유로를 통해 냉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냉기 공급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격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중 열교환부는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부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 라인; 및 상기 냉각수 순환 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각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을 감소시키고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각 비용을 영구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 은 지표면에서 깊이에 따른 월별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도 4 의 히트 펌프부 냉매의 냉동사이클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 및 도 3 은 지표면에서 깊이에 따른 월별 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은 도 4 의 히트 펌프부 냉매의 냉동사이클 예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활용한다.
일반적으로, 지구상에서는 위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지표면에서 일정 깊이(약 8m) 이상 도달할 경우 온도가 15~16도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2 는 터키의 이스탄불에서 측정된 지표면에서 깊이에 따른 월별 온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대한민국의 서울에서 측정된 지표면에서 깊이에 따른 월별 온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10)을 냉각시키는 히트 펌프부(20)와 히트 펌프부(20)의 냉매와 지중부 사이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지중 열교환부(30)를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지중부 냉각수 온도, 응축기 냉매 온도, 응축기 냉각수 온도 및 실내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토대로 상기한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각각 제어한다.
지중부는 지표면으로부터 5~8m의 깊이로 그 온도가 15~16도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영역을 일컫는다.
한편,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은 원하는 시간에 전력을 생산하기 어려운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미리 저장했다가 필요한 시간대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며 다수의 배터리(11)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은 직육면체 형상의 컨테이너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은 컨테이너의 형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배터리(11)를 설치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육면체 형태를 예시로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히트 펌프부(20), 제어부(40), 지중 열교환부(30), 제어부(40), 실내 센서(50), 응축기 냉매 센서(60), 응축기 냉각수 센서(70), 지중부 냉각수 센서(80) 및 유로 형성부(90)를 포함한다.
히트 펌프부(20)는 냉동 사이클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냉방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냉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 에 도시된 수치는 일 예로 제시된 것으로서 냉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히트 펌프부(20)는 냉매가 폐회로를 이루면서 순환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을포함한다. 히트 펌프부(20)는 압축기(21), 응축기(22), 팽창밸브(23), 증발기(24) 및 냉매 순환 라인(25)을 포함하다.
히트 펌프부(20)는 냉방과 난방 기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에 대한 냉방 기능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히트 펌프부(20)는 냉매 방향 제어를 위한 사방밸브(4 way valve)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를 동일 방향으로만 순환시킨다.
압축기(21)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시킨다.
응축기(22)는 열교환기로서, 압축기(2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켜 냉매의 열을 냉각수로 발산한다. 응축기(22)에는 지중 열교환부(30)의 냉각수 순환 라인(31)이 설치된다. 따라서, 응축기(22)에서는 압축기(21)에서 배출된 냉매의 열이 냉각수로 전달한다.
팽창밸브(23)는 응축기(22)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압력과 온도를 증발기 입구에서 요구되는 수준으로 하강시킨다.
증발기(24)는 열교환기로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에 설치되어 팽창밸브(23)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특히, 증발기(24)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공조기 내부에 설치되는데,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에서 데워진 공기의 열을 흡수하고 차가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증발기(24)에서 공기의 열을 흡수한 냉매는 증발하게 된다.
냉매 순환 라인(25)은 상기한 압축기(21), 응축기(22), 팽창밸브(23) 및 증발기(24)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를 순환시킨다.
지중 열교환부(30)는 지중부와 히트 펌프부(20)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히트 펌프부(20)를 순환하는 냉매와 지중부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중 열교환부(30)는 냉각수 순환 라인(31) 및 냉각수 순환 펌프(32)를 포함한다.
냉각수 순환 라인(31)은 일측이 상기한 히트 펌프부(20)의 응축기(22)와 지중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지중부는 지표면에서부터 5~8m까지의 깊이에 해당한다.
냉각수 순환 라인(31)은 지중부의 냉기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냉각수 순환 라인(31)은 지중부에서 충분한 전열면적을 갖도록 제작될 필요가 있다. 예컨데, 냉각수 순환 라인(31)은 전열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나 코일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냉각수 순환 펌프(32)는 냉각수 순환 라인(31)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냉각수 순환 라인(31)을 통해 강제적으로 순환시킨다. 이에, 냉각수는 냉각수 순환 라인(31)을 통해 지중부에서 응축기(22)를 거쳐 다시 지중부로 순환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냉각수 순환 라인(31)이 히트 펌프부(20)의 응축기(22)에 설치되어 냉각수 순환 펌프(32)에 의해 냉각수가 순환됨으로써, 응축기(22)에서 냉매와 지중부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다.
유로 형성부(9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에 설치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유로 형성부(9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냉기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에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배터리(11)에 가열된 공기를 공조기측, 즉 증발기(24)로 다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즉,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열을 히트 펌프부(20)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 공조기로 유입되는 내부 공기가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에서 발생한 열을 최대한 많이 흡수한 상태이어야 한다. 이에 유로 형성부(9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에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도 7 을 참조하면, 유로 형성부(90)는 격리부(91)와 냉기 공급부(92) 및 공기 흡입부(93)를 포함한다.
격리부(91)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에서 증발기(24)를 격리시킨다. 증발기(24)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 공조기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격리부(91)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 등을 통해 증발기(24)를 격리시킴으로써 증발기(24)가 배터리(11)와 별도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격리부(91)의 상측으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공기를 증발기(24)로 유입시키는 공기 흡입구(931) 및 공기 흡입팬(932)이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냉기 공급부(92)는 증발기(24)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으로 이송시킨다.
냉기 공급부(92)는 냉기 공급 유로(921) 및 냉기 공급팬(922)을 포함한다.
냉기 공급 유로(921)는 증발기(24)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한다. 냉기 공급 유로(921)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터리(11)가 있는 구역으로 냉기를 공급한다. 냉기 공급 유로(921)는 냉기가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유로(921)는 바닥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위치라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유로(921)는 덕트나 구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기 공급팬(922)은 냉기 공급 유로(921)에 설치되어 냉기를 강제로 공급한다. 즉, 냉기 공급팬(922)은 냉기 공급 유로(921)를 통해 공급되는 냉기를 강제로 송풍시킴으로써 냉기가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에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흡입부(93)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24)측으로 공급한다.
공기 흡입부(93)는 공기 흡입구(931) 및 공기 흡입팬(932)을 포함한다.
공기 흡입구(931)는 격리부(91)의 상측에 설치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공기가 증발기(24)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흡입팬(932)은 공기 흡입구(931)에 설치되어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증발기(24)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유로 형성부(9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24)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냉기를 다시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에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10)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실내 센서(5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를 감지한다.
응축기 냉각수 센서(70)는 응축기(22)에 설치되어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한다.
응축기 냉매 센서(60)는 응축기(22)에 설치되어 응축기(22)의 냉매 온도를 감지한다.
지중부 냉각수 센서(80)는 지중부에 설치되어 지중부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한다.
제어부(4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온도,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 응축기(22)의 냉매 온도 및 지중부의 온도에 따라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가 제1 냉매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데, 제어부(4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히트 펌프부(20)와 열교환부를 제어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여기서, 임계값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적정 온도 중 최대값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 응축기(22)의 냉매 온도 및 지중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냉각 조건을 만족하는지에 따라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는 응축기(22)의 냉각수의 냉매의 평균 온도차, 및 지중부의 냉각수와 응축기(22)의 냉각수의 평균 온도차에 따라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제어하여 응축기(22)의 냉매 온도를 기 설정된 설정온도로 유지한다.
응축기(22)에서 냉각수와 냉매의 평균온도 차이가 3℃이고, 지중부와 응축기(22)에서의 냉각수 평균 온도차가 5℃일 경우, 응축기(22)의 냉매는 항상 23℃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계절의 편차가 심하고, 특히 여름에는 30℃ 이상 높은 온도를 가지는 외기를 적용한 응축기보다 더욱 효과적이다.
성능계수 식을 통하여 이를 살펴보면, 냉각수 순환회로는 응축기(22)의 냉매의 온도를 23℃ 수준으로 낮춤으로써, 압축기(21)에서 소요되는 일인
Figure 112020064402215-pat00001
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CP는 정압비율이고, TH는 증발기(24)의 냉매의 온도이고, TC는 응축기(22)의 냉매의 온도이다.
30℃의 외기에 노출된 응축기(22)에서 냉매의 온도가 35℃라고 가정하면, 응축기(22)의 냉매의 온도가 15℃일 때 히트 펌프부(20)는 공랭식 실외기를 가진 공조기보다 압축기 동력을 40% 이하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40)는 응축기 냉각수 센서(70)와 응축기 냉매 센서(60) 및 지중부 냉각수 센서(80) 각각을 통해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 응축기(22)의 냉매 온도 및 지중부의 냉각수 온도를 각각 수집하고, 응축기(22)의 냉각수의 냉매의 평균 온도차가 제1 설정평균온도차, 예컨데 3℃를 유지하도록 하고, 지중부의 냉각수와 응축기(22)의 냉각수의 평균 온도차가 제2 설정평균온도차 예컨데, 5℃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각각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냉각 조건과 제2 냉각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하면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방법을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실내 센서(5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를 감지한다(S10).
이때, 제어부(40)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가 제1 냉매 조건을 만족하는지, 예컨데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20).
S2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실내 온도가 제1 냉매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40)는 제1 냉각 조건을 만족하도록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제어한다(S50).
한편, 응축기 냉각수 센서(70)는 응축기(22)에 설치되어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고, 응축기 냉매 센서(60)는 응축기(22)에 설치되어 응축기(22)의 냉매 온도를 감지하며, 지중부 냉각수 센서(80)는 지중부에 설치되어 지중부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한다(S30).
이때, 제어부(40)는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 응축기(22)의 냉매 온도 및 지중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냉각 조건을 만족하는지, 예컨데 응축기(22)의 냉각수의 냉매의 평균 온도차가 제1 설정평균온도차를 만족하고 또는 지중부의 냉각수와 응축기(22)의 냉각수의 평균 온도차가 제2 설정평균온도차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40).
S4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응축기(22)의 냉각수 온도, 응축기(22)의 냉매 온도 및 지중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2 냉각 조건을 만족하면, 제어부(40)는 상기한 제2 냉각 조건을 만족하도록 히트 펌프부(20)와 지중 열교환부(30)를 각각 제어한다(S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이용하여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10)의 냉각을 위한 에너지 소모량을 감소시키고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는 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중의 항온성을 이용하므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각 비용을 영구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에너지 저장 시스템 11: 배터리
20: 히트 펌프부 21: 압축기
22: 응축기 23: 팽창밸브
24: 증발기 25: 냉매 순환 라인
30: 지중 열교환부 31: 냉각수 순환 라인
32: 냉각수 순환 펌프 40: 제어부
50: 실내 센서 60: 응축기 냉매 센서
70: 응축기 냉각수 센서 80: 지중부 냉각수 센서
90: 유로 형성부 91: 격리부
92: 냉기 공급부 921: 냉기 공급 유로
922: 냉기 공급팬 93: 공기 흡입부
931: 공기 흡입구 932: 공기 흡입팬

Claims (12)

  1. 냉동 사이클을 통해 냉매를 순환시켜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냉방을 수행하고,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히트 펌프부;
    지중부와 상기 히트 펌프부 사이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히트 펌프부를 순환하는 냉매와 상기 지중부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중 열교환부;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는 응축기 냉각수 센서;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기의 냉매 온도를 감지하는 응축기 냉매 센서;
    상기 지중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중부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는 지중부 냉각수 센서;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조절하고,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평균 온도와 상기 응축기의 냉매 평균 온도 사이의 온도차, 및 상기 지중부의 냉각수 평균 온도와 상기 응축기의 냉각수 평균 온도 사이의 온도차에 따라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응축기의 냉매 온도를 기 설정된 설정온도로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중 열교환부는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부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 라인; 및 상기 냉각수 순환 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순환 라인은 상기 응축기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수 순환 라인의 냉각수가 상기 지중부와 상기 응축기를 거쳐 순환되면서 냉매와 상기 지중부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펌프부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증발기; 및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밸브 및 상기 증발기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매 순환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에 공기가 순환되도록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에서 상기 증발기를 격리시키는 격리부;
    상기 증발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이송시키는 냉기 공급부;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증발기로 공급하는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부는
    일측이 상기 격리부에 연결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공급부는
    상기 냉기 공급 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 공급 유로를 통해 냉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냉기 공급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격리부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공기 흡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히트 펌프부와 상기 지중 열교환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KR1020200076286A 2020-06-23 2020-06-23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KR10240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86A KR102402125B1 (ko) 2020-06-23 2020-06-23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86A KR102402125B1 (ko) 2020-06-23 2020-06-23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27A KR20210158027A (ko) 2021-12-30
KR102402125B1 true KR102402125B1 (ko) 2022-05-27

Family

ID=7917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86A KR102402125B1 (ko) 2020-06-23 2020-06-23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931B1 (ko) * 2022-02-14 2022-04-28 (주)플러스에이 배터리 테스트에 의한 열관리 및 이상 감지 관리시스템
KR102651966B1 (ko) * 2022-04-12 2024-03-27 강환수 하이브리드식 ess 냉각 시스템
CN116220440B (zh) * 2023-03-15 2024-01-30 宁夏宝丰昱能科技有限公司 储能电站及储能电站建设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72B1 (ko) * 2017-08-10 2018-04-19 주식회사 쏠리드벤투스 온도가변형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7180B1 (ko) * 2017-11-10 2019-07-08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를 위한 수냉 시스템
JP2020089020A (ja) 2018-11-21 2020-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温度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1347A (ko) * 2014-01-20 2014-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와 지열히트펌프를 이용한 복합 냉난방 시스템
KR102140944B1 (ko) * 2018-06-27 2020-08-05 한국전력공사 열사이펀을 이용해 공조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072B1 (ko) * 2017-08-10 2018-04-19 주식회사 쏠리드벤투스 온도가변형 냉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7180B1 (ko) * 2017-11-10 2019-07-08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전력저장장치를 위한 수냉 시스템
JP2020089020A (ja) 2018-11-21 2020-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温度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27A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125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온도 조절 장치
KR100367349B1 (ko) 통신중계기지국의 냉각제어방식
CN108700347B (zh) 用于控制制冷系统的系统和方法
CN116706340B (zh) 储能系统热管理方法及其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US20180279511A1 (en) Cooling system, coole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facility
CN115000541A (zh) 一种储能集装箱的热管理系统和方法
JP2010206055A (ja) 電子機器冷却装置
KR102507362B1 (ko) 프리쿨링 냉동기를 구비한 데이터센터 국부 냉각시스템
KR102463192B1 (ko) 배터리용 열 관리 시스템
KR101105518B1 (ko) 친환경 에너지절약 사계절용 냉방시스템
CN113659236A (zh) 一种用于集装箱储能电池的热管理方法和系统
KR101964946B1 (ko) 외기온도 보상형 고효율 냉각시스템
KR101702008B1 (ko) 복합공조 방식의 통신장비용 냉방장치
EP3546854B1 (en) Defrosting a heat pump system with waste heat
US20170108254A1 (en) Hybrid vapor compression/thermoelectric heat transport system
CN217768486U (zh) 一种储能集装箱的热管理系统
JP2020183856A (ja) 機械学習装置、空調システム及び機械学習方法
JP7069660B2 (ja) 空調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制御方法
WO2023115274A1 (zh) 一种热管理系统、热管理方法及用电设备
KR100695252B1 (ko) 자연공조지열시스템
RU2474889C1 (ru) Замкнутая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220815978U (zh) 用于冷水机组的压缩机防凝露装置、冷水机组
JP2005282988A (ja) 冷却装置
CN209949723U (zh) 一种无冷凝液冷装置
CN219346786U (zh) 一种抑制结霜的热水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