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707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707B1
KR102401707B1 KR1020170083142A KR20170083142A KR102401707B1 KR 102401707 B1 KR102401707 B1 KR 102401707B1 KR 1020170083142 A KR1020170083142 A KR 1020170083142A KR 20170083142 A KR20170083142 A KR 20170083142A KR 102401707 B1 KR102401707 B1 KR 10240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ction
cam member
lev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471A (ko
Inventor
한원재
김영현
김도행
오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069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04295A1/ko
Priority to US16/314,191 priority patent/US10883296B2/en
Publication of KR2018000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캠부재와 레버 및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고 캠부재는 각각 다른 곡률로 형성되는 제 1구간과 제 2구간 및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 사이에 배치되는 제 3구간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가지는데 레버가 각각의 구간과 접할 때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제 1위치와 자동으로 폐쇄되는 제 2위치 및 캠부재의 외부 합력이 0이 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캠부재를 프로파일하여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고, 캠을 이용하여 동력전달 방식을 단순화하며 부품수 감소에 따른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고 세탁기 구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도어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 행정을 수행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방식에 따라 세탁조의 하부에 작은 날개가 붙은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 생기는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하는 펄세이터 방식, 세탁조의 중앙에 날개가 붙어있는 큰 교반 날개가 규칙적으로 방향이 반전되면서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하는 에지테이터 방식, 드럼 내에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낙차에 따른 충격과 세제의 세정력으로 세탁하는 드럼 방식으로 구분된다.
펄세이터 방식의 경우 세탁기의 도어가 상측에 배치되어 세탁기의 상부를 개폐하게 되는데 도어를 폐쇄하는 동작에서 도어가 하측으로 이동할 시 도어의 자중에 의한 중력에 의해 도어가 개구를 급하게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도어에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 도어 개폐를 진행함에 있어 동력 전달 방식이 단순한 힌지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도어의 개폐 속도를 제어 가능하게 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회전되고, 서로 다른 곡률을 포함하는 제 1구간과 제 2구간 및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 사이에 배치되는 제 3구간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캠부재와 상기 캠부재의 곡면에 접촉되어 상기 캠부재를 가압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2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3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가 멈춤 상태가 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도어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의 각도는 75도에서 100도 사이이다.
또한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도어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 2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의 각도는 0도에서 35도 사이이다.
또한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도어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 3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의 각도는 25도에서 85도 사이이다.
또한 상기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이루고 상기 캠부재와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캠부재와 상기 레버 및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과 상기 레버의 일측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선형 이동되고, 선형 이동에 의해 상기 캠부재를 직접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내측에 삽입되는 댐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3구간과 접할 시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접하기 시작하고,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이 순차적으로 상기 레버와 접할 시, 상기 댐퍼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레버의 선형 이동을 댕핑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측에서 병진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하우징은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3구간이 가지는 곡률은 상기 제 1구간 또는 상기 제 2구간이 가지는 곡률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 1구간이 가지는 곡률은 상기 제 2구간 또는 상기 제 3구간이 가지는 곡률보다 작다.
또한 상기 제 3구간은 상기 캠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4구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와 선형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캠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캠부재로서,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은 상기 도어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프로파일된 캠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을 폐쇄할 때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캠회전축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프로파일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75도에서100도 사이일 시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 1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구간 상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프로파일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0도에서35도 사이일 시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 2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2구간 상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프로파일된다.
또한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25도에서85도 사이일 시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 3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3구간 상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가 멈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파일된다.
또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캠부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제 1토크라하고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캠부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제 2토크라고 할 때,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2구간 상에 위치할 시 상기 접촉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 1토크의 크기가 상기 제 2토크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프로파일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다중 캠부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고, 캠을 이용하여 동력전달 방식을 단순화하며 부품수 감소에 따른 재료비 절감이 가능하고 세탁기 구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일부 구성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유닛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유닛의 일부 구성과 도어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캠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캠부재에 가해지는 제 1토크와 제 2토크에 대한 개괄적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캠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캠부재에 가해지는 제 1토크와 제 2토크에 대한 개괄적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유닛의 개괄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힌지유닛의 개괄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상측', '상방', '하측', '하방'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상하방향, 즉 도 1에서 세탁기의 도어가 배치되는 측이 상측 그 아래를 하측으로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전방', '후방', '전면측', '후면측'은 도 1에서 세탁기의 앞측을 전방이라 기재하고 그 반대편을 후방이라 기재한다.
또한 도 1에서의 세탁기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측의 왼쪽을 '좌측면', 오른쪽을 '우측면'으로 기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일 실시예와 같이 보조 세탁공간을포함하는 세탁기뿐만 아니라 보조 세탁공간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 세탁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고정조(11)와, 고정조(1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24)가 형성된다. 개구(24)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설치된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고정조(11)는 현가장치(15)에 의해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상부에는 고정조(1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급수관(17)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고, 급수관(17)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된다. 급수관(1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16)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고정조(11)의 내부로 공급된다. 급수관(17)에는 급수밸브(18)가 설치되어 물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조(1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공(13)이 형성된다. 회전조(12)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회전조(12)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밸런서(14)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하측 외부에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5)와, 모터(25)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동력절환장치(26)가 설치된다.
회전조(12)에는 중공형 탈수축(29)이 결합되고, 탈수축(29)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세탁축(27)은 세탁축결합부(28)를 통해 펄세이터(50)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25)는 동력절환장치(26)의 승강 동작에 따라 회전조(12)와 펄세이터(50)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동력절환장치(26)는 동력절환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30)와, 액추에이터(30)의 동작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로드부(31)와, 로드부(31)와 연결되어 로드부(31)의 동작에 따라 회동하는 클러치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조(11)의 바닥에는 고정조(11)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하도록 배수구(20)가 형성되고, 배수구(20)에는 제 1 배수관(21)이 연결된다. 제 1 배수관(21)에는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22)가 설치될 수 있다. 배수밸브(22)의 출구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개구(24)에는 도어(100)와 도어 하측에 마련되는 보조세탁유닛(110) 마련된다. 도어(10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24)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도어(100)에는 도어(100)가 개구(24)를 폐쇄하는 상태에서도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부재(11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은 보조세탁공간(110a)을 구비하여 별도의 손세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조세탁공간(110a)은 고정조와 회전조에 의해 형성되는 메인세탁공간(11a)과 분리되어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10a)은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서, 각각의 공간에서 독립적으로 세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10a)에서의 세탁은 별도로 진행할 수도 있고,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은 도어(100)의 내측에서 그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은 도어(100)의 회동축과 일치되도록 동일한 축을 가지게 마련될 수 있다.
메인세탁공간(11a)과 보조세탁공간(120a)으로의 급수를 위해 급수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160)는 급수관(162), 메인급수관(164), 보조급수관(166)과 전환유닛(168)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관(162)은 일단이 급수밸브(18)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62)은 급수밸브(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를 전환유닛(168)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메인세탁공간(11a)으로 급수를 위해 메인급수관(164)이 마련될 수 있다. 메인급수관(164)은 일단은 세제공급장치(16)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보조세탁유닛(110)의 보조세탁공간(110a)으로의 급수를 위해 보조급수관(166)이 마련될 수 있다. 보조급수관(166)은 일단은 보조급수구(6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전환유닛(168)과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닛(168)은 급수관(162)으로부터 전달되는 세탁수를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즉, 전환유닛(168)의 제어를 통해 메인급수관(164)과 보조급수관(166)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세탁공간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어(100)를 개폐하는 힌지 유닛(2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유닛(200)은 도어(100)가 개구(2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도어(1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되는 힌지 유닛(200)은 서로 대칭되게 마련되는 바 이하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도어(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힌지 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힌지 유닛(200)은 하우징(210)과 도어(100)에 삽입되어 도어(100)를 회전시키는 샤프트(220), 샤프트(220)에 결합되어 도어(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캠부재(230), 캠부재(230)를 가압하는 레버(240) 및 레버(24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탄성부재(250)가 압축 신장되고 레버(240)가 선형으로 왕복운동하는 제 1실(211)과 캠부재(230)가 회전운동하는 제 2실(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실(211)과 제 2실(213)은 하우징(210)의 내측에 마련되고 상술한 각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하나의 공간으로도 정의할 수 있다. 제 1실(211) 및 제 2실(213)의 하측은 개방되어 레버(240)와 탄성부재(250)가 하우징(210) 내측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제 2실(213)의 상측 일부가 개방될 수 있어 캠부재(230)와 샤프트(220)가 상측을 통해 하우징(210) 내측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 1실(211)의 일측에는 탄성부재(25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면(212)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면(212)에는 탄성부재(250)의 일단이 지지되고 이에 따라 레버(240)가 캠부재(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선형 운동할 시 탄성부재(250)가 압축될 수 있다.
샤프트(220)는 도어(100)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캠부재(230)와 결합되는 축부(221)와 축부(221)에서 연장되어 절곡되고 도어(100)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221)는 도어(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도어(10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도어(100)의 회전력을 캠부재(230)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축부(221) 상에는 도어(100)의 회전축인 동시에 캠부재(230)의 회전축이 마련되어 축부(221)를 중심으로 하여 도어(100)와 캠부재(230)가 회전될 수 있다.
삽입부(222)는 축부(221)와 대략 직교되는 각도로 절곡되어 도어(10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222)는 축부(221)를 중심으로 도어(1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00)가 폐쇄 상태일 시 축부(221)에 대한 삽입부(222)의 각도가 0도라고 할 때, 삽입부(222)의 각도는 도어(100)가 개구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캠부재(230)는 축부(221)가 삽입되는 삽입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축부(221)는 삽입구(231)에 삽입되어 캡부재(2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부(221)의 회전에 따라 캠부재(23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어(10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캠부재(230)는 외곽측에 형성되는 곡면(232)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232)의 일측에는 레버(240)가 접하여 캠부재(230)에 레버(240)의 힘이 전달되는 접촉구간(233)이 마련될 수 있다. 접촉구간(233)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곡면(232)의 캠부재(23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캠부재(230)의 외곽측에 배치되어 레버(240)와 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레버(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50)에 탄성 지지되는 일측과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캠부재(230)를 가압하는 타측을 가질 수 있다. 레버(24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250) 내측으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50)의 병진 압축 신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1)와 탄성부재(250)의 타단을 지지하여 레버(240)에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지지부(242)가 마련될 수 있다.
레버(240)의 타측에는 지지부(242)에서 연장되는 본체(243)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243)는 캠부재(230)의 외주면(232)과 접촉하여 캠부재(230)를 가압하는 가압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할 때 도어(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도어(100)가 폐쇄되는 방향)될수록 탄성부재(250)가 압축되어 지지부(242)에 전달되는 압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부(244)는 도어(1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가압구간(233)에 더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접촉구간(233)과 함께 자세히 하술한다.
하우징(210)의 제 2실(213) 상측에는 캠부재(230)와 샤프트(220)의 조립성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캠부재(230)와 샤프트(220)가 하우징(210)에 조립된 후 개구를 폐쇄시키는 캡부재(2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캠부재(230)에 가해지는 토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를 기준으로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을 회전축의 시계방향,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을 회전축의 반시계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230)에는 레버(240)의 가압으로 형성되는 제 1토크(T1)와 도어(100)의 자중에 의해 형성되는 제 2토크(T2)가 가해질 수 있다.
제 1토크(T1)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탄성부재(250)의 압축력에 의하여 회전축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캠부재(230)에 전달할 수 있다. 탄성부재(250)의 압축력에 의해 레버(240)에 전달되는 힘을 F1라 하고 F1와 회전축까지의 수직거리를 r1이라 할 때 제 1토크(T1)의 크기는 F1*r1로 구해질 수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 F1는 가압부(244)가 캠부재(230)를 가압할 시 접촉구간(233)의 접선 방향에 따라 힘이 형성되는 방향이 변하고, 이에 따라 실질적인 r1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 상 도 6에서는 제 1토크(T1)는 F1는 탄성부재(250)의 압축방향으로 향한다고 가정하고 이에 따라 r1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고 도시하였다.
제 2토크(T2)는 도어(100)의 무게중심(G)에서 발생하는 중력 가속도의 힘(F2)에 의해 회전축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캠부재(23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F2에 의해 회전축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캠부재(23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토크(T2)는 도어(100)의 자중에서 도어(100)의 무게중심(G)에서 회전축까지의 수직거리(r2)를 곱한 값으로 구해질 수 있다.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캠부재(230)에 힘을 전달하는 바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 중 더 큰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캠부재(230)가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캠부재(230)의 접촉구간(233)과 접촉구간(233)과 접촉하여 캠부재(230)를 가압하는 레버(240)의 가압부(244) 및 가압부(244)에 의해 접촉구간(233) 상에 형성되는 접촉부(234)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 실시예와 같은 펄세이터 형식의 세탁기의 경우 도어(100)가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도어(10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개구(24)를 개방하고, 다시 도어(10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개구(24)를 폐쇄시킬 수 있다.
도어(100)를 폐쇄시키는 동작에서 도어(10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도어(100)가 무거운 경우 중력에 의해 빠르게 도어(100)가 닫히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100)와 캐비닛(10) 사이에 끼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어(100)가 빠르게 닫힐 경우 캐비닛(10)과 강하게 충돌하여 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세탁기는 링크 구조를 통한 도어에 체결 된 핀의 회전동작을 병진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스프링의 강성으로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거나 추가적으로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세탁기 도어의 폐쇄 속도를 제어하도록 하였다.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있으나 링크구조에 따른 부품 증가와 조립구조가 복잡해 재료비가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의 경우 도어의 폐쇄속도를 느리게 제어하는 추가 부재가 힌지 유닛에 마련됨에 따라 힌지 유닛의 부피가 커지고 이에 따라 캐비닛의 크기가 커지거나 캐비닛 내측에 마련되는 고정조의 크기가 줄어드는 문제, 링크구조와 같은 추가적인 구성이 늘어남에 따라 조립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 제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캠부재(230)와 캠부재(23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250)와 레버(240)의 구성으로 힌지 유닛(200)을 형성하여 힌지 유닛(200)의 동력전달 방식을 단순화하여 신뢰성을 확보하며, 구성의 감소에 따른 부품수 감소로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며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캠부재(230)에 탄성부재(250)의 힘을 전달하는 레버(240)가 직접 접하게 함에 따라 기존의 캠부재와 레버와 대응되는 슬라이더와 같은 구성 사이에 배치되는 링크 구조 등의 구성이 힌지 유닛(200)의 구성에 제외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링크 구조 또는 유압 실린더를 배제시킴과 동시에 기존 구성들에 의해 형성되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접촉 구간(233)의 형상을 프로파일하여 레버(240)에 의해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도어(100)의 개폐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구간(233)에 각각 곡률을 달리하는 제 1구간(A)과 제 2구간(C)과 제 3구간(B)을 설정하여 캠부재(230)가 일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 가압부(244)가 접촉구간(233)을 따라 제 1구간(A)과 3구간(B) 및 2구간(C)을 순차적으로 접하게 되고(캠부재(230)가 타방향으로 회전 시 2-3-1구간(C-B-A) 순으로) 각각의 구간에서 세팅된 곡률을 통해 가압부(244)로부터 전달되는 힘의 값을 제어할 수 있다.
가압부(244)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구간(233) 상의 어느 일 점 또는 어는 범위를 접촉부(234)라고 할 때, 접촉부(234)는 캠부재(230)의 회전으로 AA와 CC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접촉부(234)는 캠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제 1구간(A)과 제 2구간(C) 또는 제 3구간(B) 중 어느 한 구간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244)는 레버(240) 상에 마련되고 캠부재(230)와 접촉되어 탄성부재(250)의 힘을 캠부재(230)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가압부(244)가 캠부재(230)와 접하는 지점이 캠부재(230)의 접촉부(234)가 될 수 있다.
제 1구간(A)과 제 2구간(C) 및 제 3구간(B)은 각각 다른 곡률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구간(A)의 곡률 중심을 PA, 제 2구간(C)의 곡률 중심을 PC, 제 3구간(B)의 곡률 중심을 PB라고 할 때, 각각의 구간의 곡률 중심이 모두 다른 위치에 배치됨을 알 수 있다.
각각의 구간(A,B,C)가 다른 곡률을 가지고 형성됨에 따라 접촉부(234)가 각각의 구간(A,B,C)에 배치되면서 가압부(244)에 의해 전해지는 F1의 힘의 방향이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3구간(B)이 가지는 곡률은 제 1구간(A) 또는 제 2구간(C)이 가지는 곡률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고, 제 1구간(A)이 가지는 곡률은 제 2구간(C) 또는 제 3구간(B)이 가지는 곡률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 1토크(T1)의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캠부재(230)의 회전으로 가압부(244)가 캠부재(230)와 접하는 위치 및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접촉부(234)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은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배치되는 캠부재(230)와 레버(240)를 도시하였는데 도시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어(100)를 제외하였고 도어(100)와 대응되게 회전되는 샤프트(220)의 삽입부(222)만을 도시하였다.
삽입부(222)가 배치되는 각도와 도어(100)가 배치되는 각도와 동일한 바 도 8a 내지 도 8d에서 도어(100)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삽입부(222)가 배치되는 각도를 도어(100)가 배치되는 각도로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34)가 접촉구간(233) 상에 위치하는 AA점에 위치할 때 도어(100)가 완전 개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AA점은 제 1구간(A)이 시작되는 점으로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캠부재(230)가 회전하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244)와 접하는 접촉부(234)는 제 1구간(A)을 따라 접촉구간(233) 상에서 연속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후 캠부재(230)의 회전으로 가압부(244)가 AB점과 접하여 접촉부(234)가AB점에 위치할 때 접촉부(234)는 제 1구간(A)을 지나 제 3구간(B)상에 배치되기 시작한다. 제 3구간(B)은 제 1구간(A)과 다른 곡률을 가지는 구간으로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도어(100)가 폐쇄 위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계속되는 캠부재(230)의 회전으로 가압부(244)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구간(B)에 접하여 가압하다가 제 3구간(B)이 종료되고 제 2구간(C)이 시작되는 BC점에 접할 수 있다. 가압부(244)가 연속적으로 제 3구간(B)을 따라 제 2구간(C)을 접함에 따라 접촉부(234)도 연속적으로 제 3구간(B)을 따라 제 2구간(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230)의 회전으로 가압부(244)는 BC점을 거쳐 제 2구간(C)과 연속적으로 접한 후 CC점에 접할 수 있게 되는데 가압부(244)가 CC점에 접하는 경우 도어(100)는 완전 폐쇄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도어(100)가 폐쇄되게 된다.
도어(100)의 폐쇄 상테에서 개방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가압부(244)는 상술한 순서와 반대로 접촉구간(233)가 연속적으로 접하면서 완전 개방 위치까지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는 개구(24)를 폐쇄하도록 개구(24)에 대한 각도가 0이되는 완전폐쇄 위치에서부터 개구(24)가 개방되도록 0도에서부터 개구(24)에 대한 각도가 증가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개구(24)에 대한 각도가 100도가 되었을 때 완전 개방될 수 있다. 다만 완전 개방 각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100도 보다 낮은 각도로 형성되거나 높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도어(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완전 개방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도어(100)는 제 1위치(a)에 도달될 수 있다. 도어(100)가 제 1위치(a)에 배치될 때, 접촉부(234)는 제 1구간(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00)가 제 1위치(a)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100)를 시계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캠부재(230)에 가해지는 토크의 합력이 제 1토크(T1) 방향으로 형성되어 도어(100)의 개방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접촉부(234)가 1구간(A)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 1토크(T1)가 제 2토크(T2)보다 강하게 캠부재(230)에 가해져서 캠부재(2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되어 도어(100)는 도 8b위치에서 도 8a의 위치로 사용자의 가압 없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8d와 같이 도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완전 폐쇄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도어(100)는 제 2위치(c)에 도달될 수 있다. 도어(100)가 제 2위치(c)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100)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아도 캠부재(230)에 가해지는 토크의 합력이 제 2토크(T2) 방향으로 형성되어 도어(100)의 폐쇄 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접촉부(234)가 제 2구간(C)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제 1토크(T1)가 제 2토크(T2)보다 약하게 캠부재(230)에 가해져서 캠부재(2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되어 도어(100)가 제 2위치(c) 상에 배치될 경우 도 8d의 위치로 사용자의 가압 없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 8c와 같이 도어(1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제 1위치(a)와 제 2위치(c) 사이에 마련되는 제 3위치(b)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234)는 제 3구간(B) 상에 위치하며, 도어(100)가 제 3위치(b)에 배치되는 경우 캠부재(230)에 가해지는 외부 합력이 0이 되는 위치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도어(100)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 도어(100)는 제 3위치(b) 상에 멈춤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접촉구간(233)은 도어(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위치(a)와 제 2위치(c) 및 제 3위치(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제 1구간(A)과 제 2구간(C) 및 제 3구간(B)을 설정하고 가압부(244)가 각각의 구간(A,C,B)에 접할 때 도어(100)가 각각의 위치(a,c,b)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접촉구간(233)을 구간에 따라 다르게 프로파일할 수 있다.
즉, 제 2토크(T2)의 경우 도어(100)의 자중은 정해진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00)에 의해 회전 중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도어(100)의 무게중심(G)에서 중력가속도에 의해 형성되는 힘(F2) 값은 언제나 일정하다. 따라서 제 2토크(T2)는 도어(100)의 회전으로 회전축에서부터 무게중심(G)의 수직거리(r2)의 변화값에 따라 변화된다. 즉, 도어(100)는 회전되는 동안 무게중심(G)이 변화되지 않고, 도어(100)의 회전에 따라 무게중심(G)이 도어(100)의 회전 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됨에 따라 무게중심(G)의 수직거리(r2)만 일정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제 2토크(T2)는 대략 일정한 변화량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1토크(T1)의 경우 가압부(244)가 탄성부재(250)에 의해 형성되는 힘(F1)으로 접촉구간(233) 중 어느 일부에 접하게 되고 이 때 형성되는 F1의 크기와 F1이 향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r1)에 따라 제 1토크(T1)의 크기가 변화된다.
자세하게는, 제 1토크(T1)를 발생시키는 F1 값은 탄성부재(250)의 압축력에 의해 형성되는 바 캠부재(230)의 회전에 따라 탄성부재(250)가 압축되는 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따라 캠부재(230)가 회전되는 정도에 따라서 F1값이 변하게 된다.
또한 가압부(244)를 통해 캠부재(230)로 전달되는 F1의 방향은 캠부재(230)의 곡면의 곡률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뀌는 바 가압부(244)가 접촉구간(233) 중 어느 일부에 접하느냐에 따라 F1이 향하는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F1이 향하는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r1)값도 변하게 된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접촉부(234)가 배치되는 곡면(232)의 곡률에 따라 F1의 방향이 변화되기 때문에 곡률에 따라서 r1값이 변하게 된다.
즉, 접촉구간(233)의 곡률을 변화시킴에 따라 제 1토크(T1)의 힘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캠부재(230)의 곡면(232) 형상의 프로파일을 통해 제 1토크(T1)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캠부재(230)의 프로파일을 통해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에 의해 캠부재(230)에 가해지는 토크 합력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제 1위치(a)에 배치될 시 가압부(244)는 제 1구간(A)에 접하게되고 이 때 제 2토크(T2)보다 제 1토크(T1)가 크도록 제 1구간(A)의 곡률을 프로파일하여, 도어(100)가 제 1위치(a)에 배치될 경우 자동으로 도어(10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제 2위치(c)에 배치될 시 가압부(244)는 제 2구간(C)에 접하게되고 이 때 제 2토크(T2)보다 제 1토크(T1)가 작도록 제 2구간(C)의 곡률을 프로파일하여, 도어(100)가 제 2위치(c)에 배치될 경우 자동으로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제 3위치(b)에 배치될 시 가압부(244)는 제 3구간(B)에 접하게되고 이 때 캠부재(230)가 받는 외부 합력이 0이 되는 구간을 포함하도록 제 3구간(B)의 곡률을 프로파일하여, 도어(100)가 제 3위치(b)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가 개방 방향 또는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지 않을 경우 멈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어(100)가 제 2위치(c)에 배치되는 경우 도어(100)가 자동으로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의 손이 도어(100)와 캐비닛(10) 사이에 끼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2구간(C)에서의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 차이가 급격하게 벌어지지 않도록 제 2구간(C)의 곡률을 프로파일할 수 있다.
즉, 가압부(244)가 제 3구간(B)을 따라 제 2구간(C) 상에 BC점과 인접할 때는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 차이를 작게하여 도어(100)가 천천히 폐쇄되도록 도어(100)의 폐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도어(100)의 제1위치(a)와 제 3위치(b)는 도어(100)가 대략 75도에서 85도 사이에 배치될 때를 기준으로 나눠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개방되면서 대략 75도에서 85도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도어(100)는 도어(100)의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으로 도어(100)가 100도를 이루는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의 제 2위치(c)와 제 3위치(b)는 도어(100)가 대략 25도에서 35도 사이에 배치될 때를 기준으로 나눠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폐쇄되면서 대략 25도에서 35도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도어(100)는 도어(100)의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자동으로 도어(100)가 0도를 이루는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제 3위치(b)인 대략 25도에서 85도 사이에 배치될 때 도어(100)는 도어(100)의 사용자에 의한 가압이 없을 시 멈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00)가 배치되는 제 1,2,3위치(a,b,c)는 가압부(244)가 캠부재(230)의 접촉 구간(233) 중 어느 구간을 가압하느냐, 다르게 말하면 접촉부(234)가 제 1구간(A)과 제 2구간(C) 및 제 3구간(B) 중 어느 구간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어(100)의 제 1위치(a)와 제 3위치(b)는 대략 80도 전후로 구분되고 제 3위치(b)와 제 2위치(c)는 대략 30도 전후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도어(100)의 제 1,2,3 위치(a,b,c)가 구분되는 각도는 캠부재(230)의 프로파일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의 그래프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9의 그래프 x축은 도어(10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의 도어(100)의 각도가 100도일 때를 0, 완전 폐쇄 상태에서의 도어(100)의 각도가 0도일 때를 100으로 설정하였다. 즉, x축의 0에서 100으로 향하는 방향은 도어(100)가 완전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도어(1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의 변화는 그래프와 같이 제 2토크(T2)는 도어(100)의 폐쇄 위치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제 1토크(T1)는 회전과 함께 그 크기가 증가하다가 제 2구간(C)에 배치되는 변환점(X1)을 지나면서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도어(100)에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의 변화는 그래프와 같이 제 2토크(T2)는 개방 위치로 갈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제 1토크(T1)는 폐쇄 시 회전과 함께 그 크기가 증가하다가 제 2구간(C)에 배치되는 변환점(X1)을 지나면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래프 상에서는 제 1토크(T1)가 제 2토크(T2)보다 큰 구간(XA), 제1,2토크(T1,T2)가 대응되는 구간(XB), 제 1토크(T1)가 제 2토크(T2)보다 작은 구간(XC)이 나눠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래프 상으로 제 1토크(T1)가 제 2토크보다(T2)보다 더 큰 구간(XA)은 접촉부(244)가 제 1구간(A) 상에 배치되는 구간이고,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가 대응되는 구간(XB)은 접촉부(244)가 제 3구간(B) 상에 배치되는 구간이고, 제 1토크(T1)가 제 2토크(T2)보다 더 작은 구간(XC)은 접촉부(244)가 제 2구간(C) 상에 배치되는 구간이다.
또한 그래프 상으로 제 1토크(T1)가 제 2토크보다(T2)보다 더 큰 구간(XA)에서는 도어(100)가 제 1위치(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가 대응되는 구간(XB)에서는 도어(100)가 제 3위치(b) 상에 배치될 수 있고,제 1토크(T1)가 제 2토크(T2)보다 더 작은 구간(XC)에서는 도어(100)가 제 2위치(c)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재(230)의 프로파일을 통하여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캠부재(230)는 도 9와 같은 형상의 그래프 값이 나오도록 프로파일될 수 있다. 즉, 캠부재(230)가 회전되는 동안 캠부재(230)는 XA구간, XB구간 및 XC구간을 포함하는 그래프가 형성되도록 프로파일될 수 있다.
캠부재(230)가 도 9에 도시된 그래프가 형성되도록 프로파일될 때, XA구간과 XB구간 및 XC구간을 구획하는 도어(100)의 각도는 임의적인 각도로 캠부재(230)의 프로파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접촉구간(233)의 곡률을 프로파일하여 각 위치(a,b,c)를 나눌 수 있는 도어(100)의 각도를 임의적으로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위치(a)와 제 3위치(b)를 구획하는 각도는 80도 외의 각도로 세팅될 수 있으며, 제 2위치(c)와 제 3위치(b)를 구획하는 각도는 30도 외의 각도로 세팅될 수 있다.
캠부재(230) 접촉구간(233)의 각 구간(A,B,C)은 도어(100)의 제1위치(a), 2위치(c) 및 제 3위치(b)를 구획하는 요소인 도어(100)의 자중과 탄성부재(250)의 탄성력 및 각 구성과의 마찰력을 고려하여 각각의 곡률이 프로파일될 수 있다.
캠부재(230)의 프로파일링에 의해 도어(100)의 제 1위치(a), 제 2위치(c) 및 제 3위치(b)를 나누는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그래프가 서로 접하는 점의 위치가 바뀔 수는 있으나, 제 1구간(A)과 제 2구간(C) 및 제 3구간(B) 상에서의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 의 상대적 크기는 도 9에 도시된 그래프와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캠부재(230)가 프로파일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캠부재(230)의 접촉구간(23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접촉구간(23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구간(233')의 제 2구간(C')은 제 4구간(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4구간(D')은 곡면(232)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구간(C)에 접촉부(234)가 배치될 시 도어(100)는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될수록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의 차이가 점점 커져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가 커지게 된다.
즉, 제 2구간(C)이 시작되는 도어(100)의 각도는 대략 30도 전후로 도어(100)가 30도보다 낮은 각도로 배치될수록 더욱 빠르게 회전되어 폐쇄되는데 이는 도어(100)가 폐쇄될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100)에 끼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만,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100)에 끼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도어(100)의 각도는 도어(100)의 폐쇄 위치와 매우 인접한 10도 내외라고 할 수 있다.
도어(100)의 각도가 30도 이하로 형성되는 구간 중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어 부상이 발생하지 않는 구간인 10도 내지 30도 구간에서는 도어(100)가 천천히(여기서 천천히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도어가 회전되는 속도) 회전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캠부재(230)에는 접촉부(234)가 제 2구간(C')의 일부 구간에 배치되었을 때 도어(100)가 빠르게(여기서 빠르게는 일 실시예에서 도어가 회전하는 속도) 회전될 수 있도록 프로파일되는 제 4구간(D')이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구간(C') 상에 제 4구간(D')이 포함될 수 있다.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234)가 제 2구간(C')상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4구간(D')에 도달될 경우 캠부재(230)가 레버(240)를 미는 힘이 급격하게 변하게 되는데 특히, 제 2구간(C')이나(도 11c) 제 3구간(B')에(도 11a) 비해 레버(240)를 미는 힘이 줄어들어 탄성부재(250)를 압축하는 힘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가압부(244)가 캠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는 힘이 줄어들어 제 1토크(T1)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 4구간(D') 상에 접촉부(234)가 배치되는 경우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 시 제 2토크(T2)와 제 1토크(T1)의 크기 차이가 급격하게(여기서 급격하게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접촉부(234)가 제 2구간(C) 상에 배치될 때의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생기는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 차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가 계속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접촉부(234)가 제 4구간(D')을 지나 제 2구간(B')에 배치될 경우 다시 제 1토크(T1)의 크기가 커져 도어(100)의 회전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접촉부(234)가 제 1구간(A)과 제 3구간(B)에 배치될 경우의 그래프는 XA', XB'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0)가 XA', XB' 구간과 대응되는 각도로 배치될 때에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도 9의 그래프와 유사하게 도어(100)가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접촉부(234)가 제 2구간(C') 상에 배치될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그래프는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XC'구간 내에 XD'구간을 가지게 되는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XD' 구간은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크기가 크게 벌어지는 구간이고, 이에 따라 도어(100)가 XD'구간에 해당되는10도 내지 30도 각도에 배치될 때 폐쇄방향으로 빠르게 회전될 수 있다.
도어(100)의 계속되는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 시 접촉부(234)는 제 2구간(B')에 배치되게 되고 이 때 제 1토크(T1)가 일시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접촉부(234)가 제 4구간(D')에 배치될 때보다 도어(100)의 회전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즉, 그래프 상으로 XD'구간이 아닌XC'구간은 도어(100)가 0도 내지 10도 사이의 각도를 가지고 있을 때인데, XD'구간에서 XC'구간으로 바뀌면서 제 1토크(T1)의 크기가 상승함에 따라 도어(100)가 대략 10도의 각도로 배치될 때는 도어(100)가 10도 내지 30도의 각도로 배치될 때보다 더 느리게 회전될 수 있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100)에 끼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후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서 제 1토크(T1)의 크기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도어(100)가 빠르게 회전되어 도어(100)가 완전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달리 제 4구간(D')은 곡면(322)에 대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제 4구간(D')이 볼록하게 마련될 경우 제 1토크(T1)가 오히려 더 커지면서 도어(100)의 회전 속도가 더 느려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캠부재(230)의 제 4구간(D')을 프로파일하여 도어(100)가 더 빨라지게 또는 도어(100)가 더 느려지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접촉구간(233) 상에 제 4구간(D') 이 외 추가적으로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의 힘의 크기를 제어하는 제 5구간이 배치될 수 있어 도어(100)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캠부재(230)의 접촉구간(233)의 형상을 다양하게 프로파일하여 도어(100)의 회전 속도와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캠부재(230)와 캠부재(230)에 직접 접하는 레버(240) 및 레버(24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50)의 구성만으로도 도어(10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레버(240') 또는 댐퍼(26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유닛(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힌지유닛(200)과 달리 추가적으로 댐퍼(26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260)는 레버(24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댐퍼(260)는 힌지유닛(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삽입 홈(245)에 삽입되어 레버(240')의 일측에 배치되면서, 탄성부재(25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240)의 경우 가이드부(241)이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240')는 가이드부(241)가 배치되는 위치에 댐퍼(260)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 홈(245)의 테두리 측에는 지지부(242')가 마련되어 탄성부재(250)가 지지부(242')에 지지되어 레버(240')로 탄성력이 전달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가 지지부(242')에 지지되면서 탄성부재(250) 내측으로 댐퍼(260)가 삽입되는 바 댐퍼(260)는 탄성부재(250)가 레버(24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압축 신장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250)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댐퍼(260)는 댐퍼 하우징(261)과 댐퍼 하우징(261) 내부에 마련되는 실린더실(262)과 실린더실(262)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로드(26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실(262) 내부에는 로드(263)의 왕복 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오일, 오일이 이동되는 오리피스, 공기실 등이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나 설명의 편의상 이와 같은 도면의 표기는 생략한다.
댐퍼(260)는 도어(100)가 폐쇄될 시 도어(100)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캠부재(230)에 의해 레버(240')가 하우징(210)의 지지면(212) 측으로 선형 운동될 시 레버(240')의 지지면(212) 측을 향하는 선형 운동의 속도를 감쇄시키는 댐핑을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캠부재(230)의 곡면(232)을 프로파일링하여 토크값(T1,T2)를 설정하여 도어(100)의 폐쇄 시 사용자가 도어(100)와 캐비닛(10) 사이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추가적으로 댐퍼(260)를 추가하여 도어(100)의 폐쇄되는 속도를 추가적으로 저감시켜 안전 사고를 더욱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최종적으로 캐비닛(10)의 개구(24)를 폐쇄할 시 도어(100)의 폐쇄속도가 댐퍼(260)에 의해 자연스럽게 저감되어 사용자가 도어(100)를 닫힘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댐퍼(260)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40')의 가압부(244)가 제1구간(A)과 접해있을 시에는 하우징(210)의 지지면과 접촉하지 않아 댐핑이 되지 않는다. 즉, 가압부(244)가 제 1구간(A)과 접해있을 시 도어(100)는 개방되는 구간에 배치되어 도어(100)의 회전이 댐퍼(260)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어(100)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캠부재(230)가 도어(100)에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가압부(244)가 접하는 지점은 순차적으로 제 1구간(A)에서 제 3구간(B), 제 3구간(B)에서 제 2구간(C)으로 변화될 수 있다.
가압부(244)가 제 3구간(B) 중 어느 일 지점과 접하고 있는 중(대략 도어(100)의 개방 각도가 45도에서 100도 내외 일 시) 도어(1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도어(100)의 개방 각도가 줄어들게 될 시, 회전되는 캠부재(230)에 의해 곡면(232)은 레버(240')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레버(240')가 지지면(212)측으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260)의 로드(263)가 하우징(210)의 일측과 접하게 되고, 로드(263)의 접촉면(263a)이 하우징(210)의 지지면(212)과 접하면서 댐핑이 발생하여 레버(240')가 지지면(212)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로드(263)의 접촉면(263a)과 지지면(212)이 접할 시의 도어(100)의 개방각도는 바람직하게는 45도 내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00)의 크기 또는 탄성부재(250)의 탄성력 등에 따라 접촉면(263a)과 지지면(212)이 접할 시의 도어(100)의 개방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접촉면(263a)과 지지면(212)이 접한 후 도어(100)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시 댐퍼(260)에 의해 레버(240')의 병진운동이 제한되어 도어(100)가 상대적으로 천천히 회전될 수 있다.
즉, 도 15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도어(100)가 로드(263)의 접촉면(263a)과 지지면(212)이 접한 상태에서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로드(263)가 실린더실(262) 내측에서 선형 운동을 하면서 레버(240')에 대한 댐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의 개방 각도가 45도 이하인 상태에서 도어(100)가 폐쇄 방향으로 회전될 시 댐퍼(260)의 댐핑이 발생되어 도어(100)가 폐쇄되는 속도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레버(240)가 곡률을 달리하는 제 1구간(A)과 제 2구간(C) 및 제 3구간(B)을 각각 접하면서 제 1토크(T1)값을 조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조정된 제 1토크(T1) 값에 추가적으로 댐퍼(260)가 배치되어 레버(240')에 의해 도어(100)에 형성되는 토크(T1) 값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정된 제 1토크(T1)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제 3구간(B)에서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는 지점이 형성되어 도어(100)가 멈춤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시 댐퍼(260)의 댐핑에 의해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는 지점이 제 3구간(B)이 아니라 제 2구간(B)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되는 지점이 일정 구간 지속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제 1토크(T1)와 제 2토크(T2)가 동일한 값을 가지게 지점이 일정 구간 지속되지 않고 일 지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레버(24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40")는 레버 본체(243)와 레버 본체(243)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댐퍼부(246)을 포함할 수 있다. 댐퍼부(246)는 중공을 포함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재(200")는 댐퍼부(246)의 중공에 배치되는 실린더실(262)과 실린더실(262) 내부를 병진 운동하는 로드(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캠부재(230)의 회전에 의해 레버(240")가 지지면(212) 측으로 선형 운동될 시 로드(263)의 접촉면(263a)과 지지면(212)이 접하면서 댐핑이 발생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레버(240")의 댐퍼부(246)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 하우징(261)과 대응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댐퍼부(246)와 댐퍼부(246)에 삽입되는 실린더실(262)과 로드(263)를 댐퍼의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개시된 댐퍼(260)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레버(2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개시된 댐퍼 하우징(261)의 구성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레버(24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00: 도어 200: 힌지 유닛
210: 하우징 211: 제 1실
212: 지지면 213: 제 2실
220 : 샤프트 221 : 축부
222 : 삽입부 230 : 캠부재
231 : 삽입구 232: 캠부재 외주면
233 : 접촉구간 240 : 레버
241 : 가이드부 242 : 지지부
243 : 레버 본체 244 : 가압부
250 : 탄성부재 260 : 댐퍼
261 : 댐퍼 하우징 262 : 실린더실
263 : 로드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의 일측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의해 회전되고, 서로 다른 곡률을 포함하는 제 1구간과 제 2구간 및 상기 제 1구간과 상기 제 2구간 사이에 배치되는 제 3구간을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곡면에 접촉되어 상기 캠부재를 가압하는 레버;
    상기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레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내측에 삽입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2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3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가 멈춤 상태가 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도어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 1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의 각도는 75도에서 100도 사이인 세탁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도어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 2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의 각도는 0도에서 35도 사이인 세탁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도어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레버가 상기 제 3구간과 접할 시 상기 도어의 각도는 25도에서 85도 사이인 세탁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이루고 상기 캠부재와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캠부재와 상기 레버 및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과 상기 레버의 일측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선형 이동되고, 선형 이동에 의해 상기 캠부재를 직접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 3구간과 접할 시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접하기 시작하고,
    상기 캠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구간과 상기 제 2구간이 순차적으로 상기 레버와 접할 시, 상기 댐퍼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접하여 상기 레버의 선형 이동을 댕핑하는 세탁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댐퍼 하우징과 상기 댐퍼 하우징의 내측에 마련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측에서 병진운동하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하우징은 상기 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구간이 가지는 곡률은 상기 제 1구간 또는 상기 제 2구간이 가지는 곡률보다 큰 세탁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간이 가지는 곡률은 상기 제 2구간 또는 상기 제 3구간이 가지는 곡률보다 작은 세탁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구간은 상기 캠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4구간을 포함하는 세탁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캐비닛;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
    선형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레버;
    상기 레버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캠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캠부재로서, 상기 레버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은 상기 도어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부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프로파일된 캠부재;
    상기 레버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내측에 삽입되는 댐퍼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을 폐쇄할 때의 각도를 0도라고 하면,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캠회전축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프로파일되는 세탁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75도에서 100도 사이일 시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 1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1구간 상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의 개방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프로파일되는 세탁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0도에서 35도 사이일 시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 2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2구간 상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의 폐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프로파일되는 세탁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25도에서 85도 사이일 시 상기 접촉부가 위치하는 제 3구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3구간 상에 위치할 때 상기 도어가 멈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파일되는 세탁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캠부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제 1토크라하고 상기 도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캠부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제 2토크라고 할 때,
    상기 캠부재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 2구간 상에 위치할 시 상기 접촉부가 이동되면서 상기 제 1토크의 크기가 상기 제 2토크의 크기보다 작아지도록 프로파일되는 세탁기.
KR1020170083142A 2016-06-30 2017-06-30 세탁기 KR10240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6954 WO2018004295A1 (ko) 2016-06-30 2017-06-30 세탁기
US16/314,191 US10883296B2 (en) 2016-06-30 2017-06-30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780 2016-06-30
KR20160082780 201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71A KR20180003471A (ko) 2018-01-09
KR102401707B1 true KR102401707B1 (ko) 2022-05-26

Family

ID=6097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142A KR102401707B1 (ko) 2016-06-30 2017-06-30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83296B2 (ko)
KR (1) KR102401707B1 (ko)
CN (1) CN1075581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2021B2 (en) 2016-09-02 2018-11-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assembly comprising a plastic fishbowl
KR102013042B1 (ko) * 2017-12-22 2019-08-21 서원코리아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11118303B2 (en) 2018-12-24 2021-09-14 Whirlpool Corporation Various hinge brackets and a hinge receiver for a laundry appliance
US10604881B1 (en) * 2019-02-14 2020-03-31 Whirlpool Corporation Console shell for a laundry appliance
US11021834B2 (en) 2019-07-12 2021-06-01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hinge assembly
DE102019211716A1 (de) * 2019-08-05 2021-02-11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Antriebs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r Fahrzeugbaugruppe
US11814777B2 (en) * 2021-03-22 2023-11-14 Whirlpool Corporation Hinge system for touchless commercial appliances
USD1015657S1 (en) * 2021-11-0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D1015666S1 (en) * 2021-11-01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91257B (de) * 1962-03-31 1965-04-15 Wilhelm Gronbach Scharnier mit Druckfeder zum Gewichtsausgleich von Fluegeln
US4091502A (en) * 1976-11-10 1978-05-30 Weber-Knapp Company Counterbalance mechanism
KR100213127B1 (ko) * 1995-11-09 1999-08-02 김광호 세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
KR100744968B1 (ko) * 2006-05-25 2007-08-06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CN201145084Y (zh) * 2007-12-28 2008-11-05 辽宁能发伟业能源科技有限公司 液控阀门开关速度控制装置
KR101527416B1 (ko) * 2008-06-25 2015-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020907B1 (ko) * 2009-03-27 2011-03-0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세탁기 뚜껑 개폐용 힌지장치
KR101934732B1 (ko) * 2009-07-31 2019-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CN201826656U (zh) * 2010-09-16 2011-05-11 陆合企业股份有限公司 多功能枢纽器
CA2838555A1 (en) * 2011-06-08 2012-12-13 Faringosi Hinges S.R.L. Hinges provided with elastic means and dampener
KR101255516B1 (ko) * 2011-11-16 2013-04-23 풍원공업 주식회사 도어 힌지
US9080365B2 (en) * 2012-11-20 2015-07-14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US10538950B2 (en) * 2015-11-05 2020-01-21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and counterbalance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58118A (zh) 2018-01-09
CN107558118B (zh) 2021-11-05
US20190249349A1 (en) 2019-08-15
KR20180003471A (ko) 2018-01-09
US10883296B2 (en)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707B1 (ko) 세탁기
US8763431B2 (en) Washing machine
US20230374713A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water supply device
US9394645B2 (en) Lid hinge having piston and cam members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US9290880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101568905B1 (ko) 드럼 세탁기
KR102471463B1 (ko) 세탁기
KR10193473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2692931B1 (en) Laundry processing machine
KR102482337B1 (ko) 세탁기 및 가전기기
US20140060120A1 (en) Washing machine
EP2248934B1 (en) Pulsator uni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RU2448208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CA2711348C (en) Washing machine lid assembly
KR100820152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230123799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73940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