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74B1 -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74B1
KR102401474B1 KR1020210067725A KR20210067725A KR102401474B1 KR 102401474 B1 KR102401474 B1 KR 102401474B1 KR 1020210067725 A KR1020210067725 A KR 1020210067725A KR 20210067725 A KR20210067725 A KR 20210067725A KR 102401474 B1 KR102401474 B1 KR 102401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gawitnal
fixing part
scissors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가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가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가타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67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74B1/ko
Priority to PCT/KR2022/007147 priority patent/WO2022250374A1/ko
Priority to CN202280035990.5A priority patent/CN11732085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axial load mai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의 개방부를 관통하여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을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제1가윗날 일 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을 가압하는 가압 바아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와 가압 바아에 의해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과의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라도 상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날간 저항을 최소화하고 모발의 절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이다.

Description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DEVICE FOR ADJUSTING SPACE OF SCISSORS}
본 발명은 가위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의 개방부를 관통하여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을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제1가윗날 일 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을 가압하는 가압 바아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부와 가압 바아에 의해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과의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라도 상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날간 저항을 최소화하고 모발의 절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발을 절단하는 제1가윗날(B1)과 제2가윗날(B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윗날(B1)과 제2가윗날(B2)은 교차된 상태에서 고정구(B3)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가윗날(B1)에는 제1작동링(R1)이 형성되고, 제2가윗날(B2)에는 제2작동링(R2)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작동링(R1)과 제2작동링(R2)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작동하여 모발을 절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가윗날(B2)이 모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제1가윗날(B1)이 제2가윗날(B2)측으로 이동하며 모발을 절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에 따라 제1가윗날(B1)과 제2가윗날(B2)과 간격이 변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가윗날(B1)과 제2가윗날(B2)과 간격이 증가하는 경우 날간 유격이 형성되어 모발의 절단 성능이 떨어지고 제1가윗날(B1)과 제2가윗날(B2)과 간격이 감소하는 경우 날간 저항이 증가하여 가위의 개폐가 힘들어져 사용상의 불편함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가위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56438호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284239호 한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17-000114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의 개방부를 관통하여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을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과, 상기 볼 베어링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상기 제1가윗날 일 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을 가압하는 가압 바아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가압 바아에 의해 제1가윗날과 제2가윗날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양 가윗날 사이의 간격이 변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날간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모발의 절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도 향상할 수 있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을 포함하여 모발을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의 개방부(O)를 관통하여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을 결합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개방부(O) 내측면에 접하고 상기 고정부(300)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100)을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볼 베어링(100) 사이에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볼 베어링(100)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200)과, 상기 제1가윗날(500) 일 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을 가압하는 가아 바아(40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바아(400)의 전후진에 의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가윗날(500)은 제1개방부(O1)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1가윗날 본체(510)와, 상기 제1개방부(O1) 중 제2가윗날(600) 방향 측면에서 내향 돌출되는 제1걸림턱(5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윗날(600)은 제2개방부(O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2가윗날 본체(610)와, 상기 제2개방부(O2) 중 제1가윗날(500) 방향 측면에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6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부(O1)와 제2개방부(O2)는 상호 연통되어 상기 개방부(O)를 형성하고, 상기 볼 베어링(100)의 외륜 중 일부는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턱(520) 및 제2걸림턱(620)에 걸림된다.
상기에서, 상기 볼 베어링(100)은 상기 제1개방부(O1)에 구비되는 제1볼 베어링(110)과 상기 제2개방부(O2)에 구비되는 제2볼 베어링(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볼 베어링(110)의 외륜(111) 중 일부는 제1돌출부(111-1)가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턱(520)에 걸림되고, 상기 제2볼 베어링(120)의 외륜(121) 중 일부는 제2돌출부(121-1)가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턱(620)에 걸림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은 상기 제1걸림턱(520)과 제2걸림턱(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210)와, 상기 제1걸림턱(52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체(210)가 접하는 접촉판(2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230)에는 안착홈(231)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걸림턱(520)에는 관통공(521)이 형성되어 가압 바아(400)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 바아(400)는 상기 관통공(521)과 나사 결합하는 가압 바아 본체(410)와,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의 일 측면에 요홈되어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홈(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부(O1) 및 제2개방부(O2)에 삽입되는 고정부(300)는 상기 각 개방부(O1,O2)에 삽입되고 볼 베어링(100)의 내륜(112)이 접하는 제1고정부(310)와 상기 제1고정부(310) 내부에 삽입되고 상호 나사 결합하는 제2고정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부(310)는 상기 제1개방부(O1) 및 제2개방부(O2)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부(320)가 내부에 결합되는 제1원통부(311)와, 상기 제1원통부(311)의 일 측단에 형성되고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베어링(110)을 덮는 제1날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320)는 상기 제1원통부(311) 내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2원통부(321)와 제2원통부(321) 타 측단에 형성되고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베어링(120)을 덮는 제2날개부(3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상기 제1날개부(312) 끝단까의 반경(R2)과,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가압 바아 본체(410)의 하단까지의 반경(R3)과,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상기 삽입홈(420)의 하단까지의 반경(R1)사이는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한다.
R3<R2<R1 (수학식1)
상기에서, 상기 관통공(521)은 개방부(O) 주위로 다수 개 구비되고, 상기 다수 개의 관통공(521)에 다수 개의 가압 바아(400)가 각각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는 전동체(210) 와 상부접촉판(230)과 하부접촉판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하부접촉판은 제2가위날과 일체로 형성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620)의 내측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양 가윗날 사이의 간격이 변동하는 경우라도 상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날간 장력을 조절할 수 있어 모발의 절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사용상의 편의성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를 분해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 중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한 측면만을 도시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위(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의 개방부(O)를 관통하여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을 결합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개방부(O) 내측면에 접하고 상기 고정부(300)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100)을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볼 베어링(100) 사이에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 사이 간격을 조절한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개방부(O) 내측면에 접하고 상기 고정부(300)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100)과, 상기 볼 베어링(100)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200)과, 상기 제1가윗날(500) 일 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을 가압하는 가압 바아(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 및 개방부(O) 자체는 종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개방부(O)에 한 쌍의 볼 베어링(100)과 스러스트 베어링(200)을 포함한다. 상기 볼 베어링(100)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O)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볼 베어링(100)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20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가윗날(500) 일 측에 가압 바아(400)가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을 가압한다. 즉,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0)를 해제한 후 상기 가압 바아(400)의 전후진에 의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에 따라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사이 간격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해 상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모발의 절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윗날(500)은 제1개방부(O1)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1가윗날 본체(510)와, 상기 제1개방부(O1) 중 제2가윗날(600) 방향 측면에서 내향 돌출되는 제1걸림턱(5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가윗날(600)은 제2개방부(O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2가윗날 본체(610)와, 상기 제2개방부(O2) 중 제1가윗날(500) 방향 측면에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6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개방부(O1)와 제2개방부(O2)는 상호 연통되어 상기 개방부(O)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볼 베어링(100)의 외륜 중 일부는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턱(520) 및 제2걸림턱(620)에 걸림된다.
즉, 상기 볼 베어링(100)은 상기 제1개방부(O1)에 구비되는 제1볼 베어링(110)과 상기 제2개방부(O2)에 구비되는 제2볼 베어링(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볼 베어링(110)의 외륜(111) 중 일부는 제1돌출부(111-1)가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턱(520)에 걸림된다. 또한, 상기 제2볼 베어링(120)의 외륜(121) 중 일부는 제2돌출부(121-1)가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턱(620)에 걸림된다. 상기 제1돌출부(111-1)는 상기 제1볼 베어링(110)의 외륜(111) 중 두께 방향 외측단(도면상 좌측)에서 돌출되고, 제2돌출부(121-1) 역시 제2볼 베어링(120)의 외륜(121) 중 두께 방향 외측단(도면상 우측)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제1돌출부(111-1)와 제2돌출부(121-1)는 상기 제1걸림턱(520)과 제2걸림턱(620)에 각각 걸림된다.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은 상기 제1베어링(110)과 제2베어링(120) 사이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걸림턱(520)과 제2걸림턱(6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러스트 베어링(200)은 전동체(210)와, 상기 제1걸림턱(52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체(210)가 접하는 상부 접촉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체(210)는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 개의 전동체(210)는 널리 알려진 리테이너(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러스트 베어링(200)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러스트 베어링과 달리 상부 접촉판(230)이 일 측면에만 배치된다. 이는 종래의 스러스트 베어링과 같이 전동체 양측면에 접촉판이 배치되는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동체의 일 측면에만 접촉판이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부 접촉판(230)에는 안착홈(231)이 형성되어 상기 전동체(210)가 안착된다.
상기 제1가귓날(500)의 제1걸림턱(520)에는 관통공(521)이 형성되어 가압 바아(400)가 삽입된다. 이러한 가압 바아(400)는 상기 관통공(521)과 나사 결합하는 가압 바아 본체(410)와,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의 일 측면에 요홈되어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홈(42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베어링(110) 및 제2베어링(120)은 제1개방부(O1) 및 제2개방부(O2)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베어링(110)의 제1돌출부(111-1)는 제1걸림턱(520)에 걸림되고, 제2베어링(120)의 제2돌출부(121-1)는 제2걸림턱(620)에 걸림된다. 그러나 상기 관통공(521)은 제1걸림턱(520)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베어링(500)은 개방부(O) 양 측에 배치되나, 관통공(521)은 제1걸림턱(520)에만 형성되고, 가압 바아(400) 역시 제1걸림턱(520)의 관통공(521)에만 삽입된다.
이러한 가압 바아(400)의 가압 바아 본체(410)는 상기 관통공(52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가 전후진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를 용이하게 회전하기 위해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의 삽입홈(420)에 공구(예를 들어 렌치)를 삽입한 후 상기 공구를 사용하여 가압 바아 본체(410)를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은 고정부(300)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300)는 상기 각 개방부(O1,O2)에 삽입되고 볼 베어링(100)의 내륜(112)이 접하는 제1고정부(310)와 상기 제1고정부(310) 내부에 삽입되고 상호 나사 결합하는 제2고정부(320)를 포함한다. 즉, 제1고정부(310) 내부에 제2고정부(320)가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제1고정부(310) 외측면에 상기 볼 베어링(100)의 내륜이(112)이 접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은 상기 볼 베어링(100)에 의해 고정부(300)를 중심 각각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이 상호 근접하거나 이격되어 모발을 절단하게 도니다.
이러한 제1고정부(310)는 상기 제1개방부(O1) 및 제2개방부(O2)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고정부(320)가 내부에 결합되는 제1원통부(311)와, 상기 제1원통부(311)의 일 측단에 형성되고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베어링(110)을 덮는 제1날개부(3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320)는 상기 제1원통부(311) 내부에 나사 결합하는 제2원통부(321)와 제2원통부(321) 타 측단에 형성되고 판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베어링(120)을 덮는 제2날개부(3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고정부(310) 내부에 제2고정부(320)가 나사 결합하여 제1고정부(310)와 제2고정부(320)는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부(310)의 날개부(312)가 제1베어링(110)을 덮고 있고, 제2고정부(320)의 날개부(322)가 제2베어링(120)을 덮고 있으므로, 상기 제1고정부(310)와 제2고정부(320)가 상호 근접하면 각 베어링(110,120)이 상호 근접하게 되고 이에 의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 역시 근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날개부(312)의 크기 즉, 반경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상기 제1날개부(312) 끝단까의 반경(R2)과,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가압 바아 본체(410)의 하단까지의 반경(R3)과,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상기 삽입홈(420)의 하단까지의 반경(R1)사이는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한다.
R3<R2<R1 (수학식1)
즉, 상기 제1날개부(312) 끝단까지의 반경(R2)은 가압 바아 본체(410)의 하단 까지의 반경(R3)보다 크게 되어 상기 제1날개부(312)의 끝단은 가압 바아 본체(410)이 일부를 덮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압 바아(4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날개부(312) 끝단까지의 반경(R2)은 삽입홈(420)의 하단까지의 반경(R1)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삽입홈(420)이 제1날개부(312)에 의해 덮여지지 않고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 바아(400)를 회전하기 위한 공구를 삽입홈(420)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공(521)은 개방부(O) 주위로 다수 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이 상호 평행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은 단일한 고정부(30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이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어 평행하지 않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상기 다수 개의 관통공(521)에 다수 개의 가압 바아(400)가 각각 삽입되어 가압 바아(400) 별로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이 상호 평행하도록 하여 모발의 절단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는 전동체(210) 와 상부접촉판(230)과 하부접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접촉판은 제2가위날과 일체로 형성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620)의 내측면일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러스트 베어링의 기본구조는 전동체(210) 와 상부접촉판(230)과 하부접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기본이므로 이것을 모두 가위에 삽입할 경우 가위의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하부접촉판의 구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하부접촉판은 제2가위날과 일체로 형성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620)의 내측면을 하부접촉판의 내측면으로 대용하여 사용하여 가위의 두께를 작게 하는 현저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2걸림턱(620)의 내측면에는 전동체가 정확이 굴러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접촉판(230)에 형성된 안착홈(231)에 대응되는 링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된 본 발명의 간격 조절 장치(10)를 이용하여 가위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초기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압 바아(400)는 관통공(521)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제1걸림턱(520)은 상부 접촉판(230)로부터 일정 거리(L2) 이격되며, 제1고정부(310)와 제2고정부(320)는 상호 결합되어 있어 제1가윗날 본체(510)와 제2가윗날 본체(610)는 소정 거리(D1)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가압 바아(400)는 관통공(521) 내부에서 나사 결합되어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사용에 따라 제1가윗날(510)과 제2가윗날(610) 사이의 간격이 변동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300)와 가압 바아(400)에 의해 상기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00)의 제1고정부(310)와 제2고정부(320)를 일정 거리 이격시킨 후 상기 가압 바아(400)를 전후진하여 상기 상기 제1가윗날(510)을 전후진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고정부(310)와 제2고정부(320)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1차적으로 제1가윗날(510)과 제2가윗날(6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2차적으로 상기 가압 바아(400)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간격을 미세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 바아(400)는 상기 관통공(521)에서 소정 거리(L2)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가윗날(510)을 제2가윗날(520) 측으로 이동할 때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베어링 110 : 제1베어링
111 : 제1돌출부 120 : 제2베어링
121 : 제2돌출부 200 : 스러스트 베어링
210 : 전동체 230 : 상부 접촉판
300 : 고정부 310 : 제1고정부
320 : 제2고정부 400 : 가압 바아
410 : 가압 바아 본체 420 : 삽입홈
500 : 제1가윗날 600 : 제2가윗날

Claims (6)

  1.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을 포함하여 모발을 절단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의 개방부(O)를 관통하여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을 결합하는 고정부(300)와, 상기 개방부(O) 내측면에 접하고 상기 고정부(300)가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볼 베어링(100)을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볼 베어링(100) 사이에는 간격조절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1가윗날(500)은 제1개방부(O1)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1가윗날 본체(510)와, 상기 제1개방부(O1)의 측면 중 제2가윗날(600) 방향에서 내향 돌출되는 제1걸림턱(52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윗날(600)은 제2개방부(O2)가 형성되는 판체 형상의 제2가윗날 본체(610)와, 상기 제2개방부(O2)의 측면 중 제1가윗날(500) 방향에서 내향 돌출되는 제2걸림턱(620)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개방부(O1)와 제2개방부(O2)가 상호 연통되는 상기 개방부(O)를 형성하며,
    상기 한쌍의 볼 베어링(100)의 외륜 중 일부는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턱(520) 및 제2걸림턱(620)에 걸리고
    상기 제1걸림턱(520)에는 관통공(521)이 형성되어 가압 바아(400)가 삽입되되,
    상기 관통공(521)은 개방부(O) 주위로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 각각에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부(O1) 및 제2개방부(O2)에 삽입되는 고정부(300)는 볼 베어링(100)의 내륜(112)이 접하는 제1고정부(310)와 상기 제1고정부(310) 내부에 삽입되고 상호 나사 결합하는 제2고정부(3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부(310)는 상기 제1개방부(O1) 및 제2개방부(O2) 내부에 삽입되는 제1원통부(311)와, 상기 제1원통부(311)의 일 측단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제1볼 베어링(110)을 덮는 제1날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320)는 상기 제1원통부(311) 내부에 결합하는 제2원통부(321)와 제2원통부(321) 타 측단에 판체으로 형성되면서 제2볼 베어링(120)을 덮는 제2날개부(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공(521)은 개방부(O) 주위로 다수 개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 각각에 가압부재가 삽입되는 구조를 구비함에 따라,
    가위의 사용에 의해 간격조정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다수개의 관통공 삽입된 가압 바아(400)의 삽입깊이를 각각 조절하도록 하여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상기 제1고정부(310)와 제2고정부(320)에 의해 제1볼 베어링(110)과 제2볼 베어링(120)을 상호 근접되도록 하여 상기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이 근접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볼 베어링(100)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200)과, 상기 제1가윗날(500) 일 측에 삽입되어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을 가압하는 가압바아(40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 바아(400)의 전후진에 의해 제1가윗날(500)과 제2가윗날(60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100)은 상기 제1개방부(O1)에 구비되는 제1볼 베어링(110)과 상기 제2개방부(O2)에 구비되는 제2볼 베어링(1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볼 베어링(110)의 외륜(111) 중 일부는 제1돌출부(111-1)가 돌출되어 상기 제1걸림턱(520)에 걸림되고,
    상기 제2볼 베어링(120)의 외륜(121) 중 일부는 제2돌출부(121-1)가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턱(620)에 걸림되고,
    상기 스러스트 베어링(200)은 상기 제1걸림턱(520)과 제2걸림턱(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체(210)와, 상기 제1걸림턱(52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체(210)가 접하는 접촉판(230)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판(230)에는 안착홈(231)이 형성되어 상기 전동체(210)가 안착되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아(400)는 상기 관통공(521)과 나사 결합하는 가압 바아 본체(410)와, 상기 가압 바아 본체(410)의 일 측면에 요홈되어 공구가 삽입되는 삽입홈(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상기 제1날개부(312) 끝단까지의 반경(R2)과,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가압 바아 본체(410)의 하단까지의 반경(R3)과, 상기 제1개방부(O1)의 중심선(CL)에서 상기 삽입홈(420)의 하단까지의 반경(R1)사이는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하는 가위의 간격 조절 장치.
    R3<R2<R1 (수학식1)
KR1020210067725A 2021-05-26 2021-05-26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KR10240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25A KR102401474B1 (ko) 2021-05-26 2021-05-26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PCT/KR2022/007147 WO2022250374A1 (ko) 2021-05-26 2022-05-19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CN202280035990.5A CN117320856A (zh) 2021-05-26 2022-05-19 剪刀的间隔调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25A KR102401474B1 (ko) 2021-05-26 2021-05-26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474B1 true KR102401474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725A KR102401474B1 (ko) 2021-05-26 2021-05-26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01474B1 (ko)
CN (1) CN117320856A (ko)
WO (1) WO202225037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39Y1 (ko) 2002-03-08 2002-08-10 김형복 이·미용 가위
KR200456438Y1 (ko) 2011-02-15 2011-10-31 이기활 미용 가위
JP2012029923A (ja) * 2010-07-30 2012-02-16 Bugeisha:Kk 理美容鋏
JP2012130493A (ja) * 2010-12-21 2012-07-12 Yagyu:Kk 理髪用鋏の枢軸構造
KR101540882B1 (ko) * 2014-06-20 2015-07-31 이동근 미용가위용 중심축 유닛구조
KR20170001149U (ko)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가위날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중날 가위
JP2019213610A (ja) * 2018-06-11 2019-12-19 有限会社ハヤシ・シザー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4968B2 (ja) * 2016-03-07 2018-02-28 有限会社 岡宮刃物技研 鋏及び鋏セッ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239Y1 (ko) 2002-03-08 2002-08-10 김형복 이·미용 가위
JP2012029923A (ja) * 2010-07-30 2012-02-16 Bugeisha:Kk 理美容鋏
JP2012130493A (ja) * 2010-12-21 2012-07-12 Yagyu:Kk 理髪用鋏の枢軸構造
KR200456438Y1 (ko) 2011-02-15 2011-10-31 이기활 미용 가위
KR101540882B1 (ko) * 2014-06-20 2015-07-31 이동근 미용가위용 중심축 유닛구조
KR20170001149U (ko) 2015-09-21 2017-03-29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가위날 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중날 가위
JP2019213610A (ja) * 2018-06-11 2019-12-19 有限会社ハヤシ・シザ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20856A (zh) 2023-12-29
WO2022250374A1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1040B2 (ja) 切削工具およびそのためのカートリッジ
KR102076027B1 (ko) 미세-조정을 위해 구성되는 슬리팅 공구
US8556545B2 (en) Cutting tool having an adjustment mechanism
CA2891305C (en) Cutting tool having axial position adjustment arrangement
US20140290071A1 (en) Scissors
JPH0123251B2 (ko)
KR102401474B1 (ko) 가위의 간격 조정 장치
KR100921670B1 (ko) 조정가능한 인써트를 갖는 칩 제거 기계가공용 툴
US6736173B1 (en) Adjustable guidebushing and inlay techniques
GB2044656A (en) Pipe cutter with a toggle clamping device
US5352075A (en) Rotary cutting tool having an axial adjustment
US3031237A (en) Pipe cutter and thrust bearing therefor
CN110666252A (zh) 一种高效倒角加工刀具
JPH07236778A (ja) 理美容用はさみ
TWI701094B (zh) 可調整預壓的切管器
JP6284968B2 (ja) 鋏及び鋏セット
JP7165407B2 (ja)
CN104646744A (zh) 一种切削刀具
US2823565A (en) Glass nipping pliers with floating jaw
KR101672297B1 (ko) 난삭소재 가공용 커터장치
JP2020507481A (ja) 弾力性クランプ部材を備えた内側インサート受容ポケットを有する工具ボディ、切削工具およびそのための面取り切削インサート
US2595033A (en) Pinking shears
CN215968875U (zh) 无刀轴一体柄折刀
CN211615691U (zh) 具有自动调节进给量的管子割刀
US321755A (en) Screw-cutting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