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439B1 -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 Google Patents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439B1
KR102401439B1 KR1020200054028A KR20200054028A KR102401439B1 KR 102401439 B1 KR102401439 B1 KR 102401439B1 KR 1020200054028 A KR1020200054028 A KR 1020200054028A KR 20200054028 A KR20200054028 A KR 20200054028A KR 102401439 B1 KR102401439 B1 KR 10240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nit
dust collecting
side discharge
module
electric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857A (ko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트코
주식회사 프레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트코, 주식회사 프레쉬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트코
Priority to KR1020200054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439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폭을 대폭 감소시킨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은 폐쇄되고 앞, 뒤, 상, 하는 모두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앞과 뒤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져 단면이 평행사변형 꼴을 갖는 집진부 설치공간과 상기 집진부 설치공간에 연결되는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모듈함체; 상기 모듈함체의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1차측 방전부; 상기 모듈함체의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2차측 방전부; 포집판을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를 설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포집판 사이 마다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압판으로 이루어져 포집판과 전압판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본 발명은 집진부의 폭은 그대로 유지하여 집진효율을 유사하게 발휘되도록 하면서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여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통해 지하철 환기구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전기집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Slim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본 발명은 지하철 환기구와 같이 양방향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곳에서 양방향으로 미세먼지 등을 전기 집진 방식으로 포집하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폭을 대폭 감소시킨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집진장치(ESP)라고 일컫는 장치의 전기집진원리를 간략히 설명하면, 전기집진장치(ESP)는 오염된 기체 내에 포함된 포집 대상인 미세먼지, 분진 내지 수분입자 등을 하전시켜 하전된 포집 대상에 쿨롱력(정전기력)이 작용하여 집진전극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하여 끌려가 포집되는 원리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도 1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방전극(10)은 고전압 인가수단(PS)으로부터 11,000 Volt 이상의 높은 직류전압으로 전하를 공급받고, 이와 같이 높은 전압으로 공급된 전하는 상기 방전극(10)에 충전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방전됨으로써 하전영역(A2)을 형성한다.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분진 내지 수분 등과 같은 포집대상인 미세입자(1)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상태이며, 중성인 상태의 미세입자(1)가 상기 하전영역(A2)으로 들어오면 중성인 상태에서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와의 충돌 내지 흡착으로 전기적으로 음성인 상태의 하전된 미세입자(1)가 된다.
오염된 공기에 포함된 포집대상인 미세입자(1)가 하전되는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방전극(10)에서 코로나 방전을 통해 주위에 강한 전계영역(A1)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강한 전계영역(A1)은 주변기체의 내에 존재하는 자유전자를 가속시키고, 가속된 자유전자는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다른 기체분자와 충돌하며, 이렇게 가속된 자유전자와 충돌한 기체분자는 자유전자를 하나 더 배출하면서 양이온이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양이온이 된 기체분자는 방전극(10)를 향해 이동하면서 방전극(10)을 포위하고 있는 기체분자 또는 방전극(10) 자체에 충돌하고, 이때 발생한 새로운 자유전자는 전기장을 따라 접지된 집진전극(30)을 향해서 이동하고, 이와 같이 이동하는 자유전자는 전계영역(A1)을 벗어나면 전계가 약해져 급격히 이동속도가 떨어지고, 결국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키지는 못하는 속도로 기체분자와의 충돌로 기체분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를 형성한다.
이렇게 음이온을 띤 기체분자는 하전영역(A2)에 있는 미세입자(1)와 충돌 내지 흡착하여 미세입자를 하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방전극(10)과 나란히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다수의 접지된 판상의 집진전극(30, 30-1)과 상기 집진전극(30, 30-1) 사이에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고전압이 걸리는 판상의 다수의 전압판(20)을 형성하여 양쪽 집진전극(30, 30-1))은 정전유도와 정전방전으로 양극(+)으로 대전된다.
따라서 전압판(20)과 집진전극(30) 사이에서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전기장으로 유입되는 하전된 미세입자(1)는 상기 집진전극(30)과는 인력이 작용하고, 상기 전압판(20)과는 척력이 작용하여 상기 집진전극(30)으로 끌려가서 부착된다.
이렇게 접지된 집진전극(30)으로 끌려가서 부착됨으로써 포집된 미세입자(1)는 전하를 잃게되어 전기적으로 중성인 미세입자(1)가 된다.
이때, 상기 척력과 인력은 쿨롱(Coulomb)의 법칙에 따라 야기되는 힘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다.
이와 같은 전기집진원리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는 통상적으로 1단형과 2단형으로 구분하는데, 1단형은 방전극을 포함하는 방전부와 집진부를 일체로 한 것으로 코트렐(Cottrell) 집진기라 불리며, 대기오염 방지수단으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
통상 3만V ~ 10만V 사이에서 운전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집진성능이 우수하여 현재 각종 산업용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액상 및 고상 입자의 배출을 방지하는 산업용 먼지 배출 방지장치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1단형은 반복하여 하전과 집진을 하기 때문에 재비산 방지에는 효과적이지만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집진전극에 높은 전압을 인가해야만 하고, 집진전극에서 방전이 될 시에는 집진능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진전극에 먼지가 포집되어 약 8 ㎜~12.7 ㎜ 두께까지 먼지층이 형성되면, 상기 포집된 먼지를 탈진(Rapping)해야만 지속적으로 집진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살수 장치 내지 기계적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는 추타 장치 등을 부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탈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여 하전된 먼지를 중화시켜 집진성능이 크게 저하되고, 포집된 먼지는 중화되어 재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2단형은 방전극을 포함하는 방전부와 집진부가 별도로 되어 있는 것으로 방전부의 방전극과 집진부의 집진전극의 전압차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부를 거쳐 하전된 입자가 상기 전기장 내로 유입되면 이를 상기 집진부의 집진전극으로 끌어당겨 포집한다.
이와 같은 2단형은 방전부와 집진부와 전계가 분리되어 있어 비교적 함진 농도가 적은 배기 처리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2단형은 역전리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재비산 먼지를 그대로 배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1단형 정전필터 시스템과 2단형 정전필터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05-0127542호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집진전극을 접지시키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돌기형 방전전극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를 집진전극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정전계를 형성하여 접지된 집진전극으로 쿨롱력에 의해 끌려가는 하전된 먼지에 추진력을 부가함으로써 집진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방전전극을 톱과 같은 형상의 돌기형 방전전극으로 대체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상대적으로 넓은 하전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지하철 환기구 내지 대형 지하시설의 환기장치에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종래기술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출원번호 10-2011-0092484호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도전압 정전필터에 관한 것으로 종래 유도전압 정전필터의 집진성능이 15,000볼트(V)에서 운전되는 경우 약 95~96%의 집진 효율을 발휘하나, 구조적으로 그 이상의 높은 집진 효율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돌기형 방전전극의 구조를 측면 돌기가 부가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는 코로나영역과 집진대상에 대한 하전이 일어나는 하전영역을 기존 돌기형 방전전극에 비해 증가시킴으로써 집진 장치의 집진 효율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이와 같은 방전전극으로 이루어진 방전부를 집진부의 양단에 설치함으로써 양방향으로 집진이 가능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유도전압 정전필터는 15,000볼트(V)의 인가 전압하에서 99%이상으로 향상시켜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의 정전필터로 함진 농도가 비교적 높은 배기를 처리할 수 있고, 방전전극 자체의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먼지 제거수단 없이도 중력에 의해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정전필터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양방향으로 집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 2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1-0092484호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개방이 되고, 양쪽 측면이 폐쇄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필터함체와 상기 필터함체의 유통되는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양쪽 면에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하나 이상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진 1차측 방전부와 상기 필터함체의 유통되는 방향의 타측에 설치되며,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고 톱의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양쪽 면에 코로나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하나 이상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진 2차측 방전부 및 상기 1차측 방전부와 상기 2차측 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금속판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과 상기 집진전극의 금속판 사이에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와 나란하게 설치되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으로 이루어진 집진부를 포함한다.
즉, 종래기술은 1차측 방전부(300)와 집진부(500) 및 2차측 방전부(400)가 나란하게 연속되어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충분한 집진을 위해서는 하전된 미세입자가 지나가는 집진부(500)의 상당한 폭(길이)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집진효율을 고려하면,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집진부(500)의 폭이 1 m 이면,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최소 길이(두께)는 1차측 방전부(300)와 3차측 방전부(400)의 설치공간을 고려하여 1.3 m 이하가 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집진효율을 고려한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는 관계로 인하여 지하철 환기구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해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집진부의 폭은 그대로 유지하여 집진효율을 유사하게 발휘되도록 하면서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인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철 환기구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전기집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설치공간, 풍속, 풍량, 집진효율 등 따른 조건에 맞춰 블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풍속이 빠르고 풍량이 많은 지하철 환기구에 적용되어 초미세먼지까지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로 포집할 수 있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직육면체 형태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은 폐쇄되고 앞, 뒤, 상, 하는 모두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앞과 뒤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져 단면이 평행사변형 꼴을 갖는 집진부 설치공간과 상기 집진부 설치공간에 연결되는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모듈함체; 상기 모듈함체의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1차측 방전부; 상기 모듈함체의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2차측 방전부; 상기 모듈함체의 집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1차측 방전부와 상기 2차측 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통전소재로 이루어진 판상의 접진된 포집판을 양쪽 측면 사이에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를 설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다수의 포집판으로 이루어진 포집부의 포집판 사이 마다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통전소재로 이루어지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는 판상의 전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집판과 상기 전압판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상기 1차측 방전부, 2차측 방전부, 포집부 및 전압부는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양단은 상기 모듈함체의 측면에 노출되며 애자에 의해 고정되는 봉전극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는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추가로 양쪽 면에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의 와이어방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상기 와이어방전극은 봉 형태의 전극을 감싸면서 접하도록 오목한 부위가 형성된 접촉단을 형성하고, 방전이 이루어지는 와이어는 상기 접촉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는 상기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삽입틀;과 상기 삽입틀에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방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상기 와이어방전극의 말단은 상기 전극과 면접하는 블록형태의 접촉단을 갖고, 상기 삽입틀은 상기 접촉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와이어방전극 설치홈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집진부의 폭은 그대로 유지하여 집진효율을 유사하게 발휘되도록 하면서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여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통해 지하철 환기구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전기집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를 설치함에 있어 설치공간, 풍속, 풍량, 집진효율 등 따른 조건에 맞춰 블록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조건에 부합하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림한 형태의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통해 상대적으로 풍속이 빠르고 풍량이 많은 지하철 환기구에 적용할 수 있어 초미세먼지까지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로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1-0092484호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모듈함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모듈함체의 길이 감소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따른 이오나이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포집부와 전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와이어방전극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구성 예를 보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종래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집진효율을 유지하면서 두께를 줄이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점에서 종래의 양방향전기집진모듈과 차별점을 갖는다.
도 3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함체(10)와 1차측 방전부(20)와 2차측 방전부(30)와 포집부(40) 및 전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포집부(40)와 전압부(50)가 평형사변형 꼴을 갖고, 이에 맞춰 모듈함체(10)도 평행사변형 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은 집진효율을 고려하여 포집부(40)와 접압부(50)의 크기(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평행사변형 꼴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체 두께를 줄여 지하철 환기구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기술적 특징은 도 4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모듈함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모듈함체(10)의 특징을 통해 구현된다.
상기 모듈함체(1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은 폐쇄되고 앞, 뒤, 상, 하는 모두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앞과 뒤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져 단면이 평행사변형 꼴을 갖는 집진부 설치공간(S)과 상기 집진부 설치공간에 연결되는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1)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2)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듈함체(10)는 외관을 형성하고 지지틀 역할을 함에 따라 강철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이 경도가 우수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블록처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로 하되,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은 폐쇄되고 앞과 뒤 및 상하는 모두 개방된 집진부 설치공간(S)과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1)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2)을 제공하고, 두께를 상대적으로 줄이기 위해 상기 집진부 설치공간(S)을 수평단면이 평행사변형 꼴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모듈함체(10)의 길이(두께)는 종래의 양방향전기집진모듈 대비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길이 감소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 5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모듈함체의 길이 감소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길이가 L1이고, 집진부 설치공간(S)의 길이가 L2라고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길이 Ls1은 L1에서 L2와 Ls2(sinA×L2)의 차이 만큼 감소한 높이를 제한 만큼의 높이가 되고, 따라서 경사각 A가 작을 수록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높이(두께) Ls1은 작아진다.
종래 양방향전기모듈의 예를 보면, 길이(L1)는 집진부의 폭이 1m 이고,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1)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2)이 각각 0.15m 이므로, 전체 길이(L1)는 1.3m가 되고, 집진부 설치공간(S)의 길이(L2)는 1m가 된다.
이와 대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경사각(A)이 30도 라면, 집진부 설치공간(S)의 길이(Ls2)는 sin30°×L2이므로 0.5m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전체 높이(Ls1)은 0.8m가 되어 약 40% 가량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경사각(A)이 45도 라면, 집진부 설치공간(S)의 길이(Ls2)는 sin45°×L2이므로 0.7m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전체 높이(Ls1)은 1m가 되어 약 24% 가량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은 집진면적을 그대로 유지하여 집진효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길이(두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1차측 방전부(20)는 상기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함체(10)의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1)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2차측 방전부(30) 역시 상기 모듈함체(10)의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2)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상기 1차측 방전부(20)와 2차측 방전부(30)는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어느 특정된 이오나이저에 국한되지 않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와 구조를 갖는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따른 이오나이저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가 형성된 이오나이저(I-1),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I-2) 및 와이어방전극(I-3) 중 어느 하나의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가 형성된 이오나이저(I-1)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돌기에서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져 미세입자들이 하전되는 하전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I-2) 역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추가로 양쪽 면에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형성된 이오나이저(I-1)에 비해 보다 많은 돌기를 제공한다.
또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의 와이어방전극(I-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와이어방전극(I-3)은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서 하전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직경 1 mm 이하의 가느다란 금속선으로 텅스텐 소재가 주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방전극(I-3)은 봉 형태의 전극을 감싸면서 접하도록 오목한 부위가 형성된 접촉단(I-3-1)을 형성하고, 방전이 이루어지는 와이어(I-3-2)는 상기 접촉단(I-3-1)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부(40)와 전압부(50)는 도 7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에 포집부와 전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함체(10)의 집진부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상기 1차측 방전부(20)와 상기 2차측 방전부(30) 사이에 위치하며 통전소재로 이루어진 판상의 접진된 포집판(41)을 양쪽 측면 사이에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를 설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한다.
상기 접압부(5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포집판(41)으로 이루어진 포집부(40)의 포집판(41) 사이 마다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통전소재로 이루어지고 고전압 공급수단(PS)에 연결되는 판상의 전압판(51)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집판(41)과 상기 전압판(51)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포집부(40)는 상기 1차측 방전부(20)와 상기 2차측 방전부(30) 사이에 위치하며, 전기전도율이 높은 통전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판 형의 포집판(41)을 소정의 등간격으로 병렬로 적층시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하여 상기 1차측 방전부(20) 또는 상기 2차측 방전부(30)에 의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한다.
이와 같이 포집부(40)를 이루는 포집판(41)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진되어 양전하(+)를 갖는 전극이 된다.
또한, 상기 전압부(5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집부(40)의 포집판(41)들 사이에 마다 등간격으로 설치되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전압 공급수단(PS)으로부터 고전압으로 전하를 공급받음으로써 음전하(-)를 갖는 전극이 되는 다수 개의 전압판(51)으로 이루어져 포집판(41)과 전압판(51) 사이에서 강력한 전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전된 미세입자(1)는 양전하(+)를 갖는 포집판(41)과 음전하(-)를 갖는 전압판(51) 사이의 전하량 차이로 인해 생성된 전기장에 의해 포집판(41) 쪽으로 인력이 작용하고 전압판(51)과는 척력이 작용하여 포집판(41)에 포집된다.
한편,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은 상기 1차측 방전부(20), 2차측 방전부(30), 포집부(40) 및 전압부(50)는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양단은 상기 모듈함체(10)의 측면에 노출되며 애자(61)에 의해 고정되는 봉전극(60)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1차측 방전부(20) 및 2차측 방전부(30)의 다수의 이오나이저들은 모듈함체(10)에 애자(61)를 통해 결합된 봉전극(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전압 공급수단(PS)과 연결되고, 상기 전압부(50) 역시 다수의 전압판(51)들은 모듈함체(10)에 애자(61)를 통해 결합된 봉전극(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전압 공급수단(PS)과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포집판(41)들 역시 모듈함체(10)에 애자(61)를 통해 결합된 봉전극(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진된다.
한편, 도 8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와이어방전극 실시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의 상기 1차측 방전부(20)와 2차측 방전부(30)는 상기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1)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S2)에 각각 설치되며,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진 삽입틀(12)과 상기 삽입틀(12)에 설치되는 다수의 와이어방전극(I-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와이어방전극(I-3)의 말단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60)과 면접하는 블록형태의 접촉단(I-3-1)을 갖고, 상기 삽입틀(12)은 상기 접촉단(I-3-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와이어방전극 설치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틀(12)은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삽입틀(12)은 발포수지를 원료로 하여 성형틀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성형틀이 발포수지를 이용한 합성수지 폼으로 성형된 경우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벼운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은 종래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의 길이(L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Ls1)로 인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전기집진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도 9 본 발명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구성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1)을 행/열/단으로 결합시켜 슬림하게 양방향전기집진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1 : 전계영역
A2 : 하전영역
PS : 고전압 공급수단
1 :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10 : 모듈함체
12 : 삽입틀
20 : 1차측 방전부
30 : 2차측 방전부
40 : 포집부
41 : 포집판
50 : 전압부
51 : 전압판
60 : 봉전극
61 : 애자

Claims (8)

  1. 직육면체 형태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은 폐쇄되고 앞, 뒤, 상, 하는 모두 개방된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앞과 뒤는 수평방향으로 경사져 단면이 평행사변형 꼴을 갖는 집진부 설치공간과 상기 집진부 설치공간에 연결되는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모듈함체; 상기 모듈함체의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1차측 방전부; 상기 모듈함체의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2차측 방전부; 상기 모듈함체의 집진부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1차측 방전부와 상기 2차측 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통전소재로 이루어진 판상의 접진된 포집판을 양쪽 측면 사이에 등간격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를 설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포집부; 및 상기 다수의 포집판으로 이루어진 포집부의 포집판 사이 마다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통전소재로 이루어지고 고전압 공급수단에 연결되는 판상의 전압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포집판과 상기 전압판 사이에서 전기장을 형성하는 전압부;를 포함하되,
    상기 1차측 방전부, 2차측 방전부, 포집부 및 전압부는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양단은 상기 모듈함체의 측면에 노출되며 애자에 의해 고정되는 봉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는 코로나 방전으로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이오나이저 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와이어 형태의 와이어방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의 이오나이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톱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추가로 양쪽 면에 다수의 측면 돌기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의 와이어방전극은 양단에 상기 봉전극을 감싸면서 접하도록 오목한 부위가 형성된 블록형태의 접촉단을 형성하고,
    상기 1차측 방전부와 2차측 방전부는 1차측 방전부 설치공간 및 2차측 방전부 설치공간에 각각 설치되며, 절연을 위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와이어방전극 설치홈이 형성된 삽입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7. 삭제
  8. 삭제
KR1020200054028A 2020-05-06 2020-05-06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KR10240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28A KR102401439B1 (ko) 2020-05-06 2020-05-06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28A KR102401439B1 (ko) 2020-05-06 2020-05-06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57A KR20210135857A (ko) 2021-11-16
KR102401439B1 true KR102401439B1 (ko) 2022-05-26

Family

ID=7871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28A KR102401439B1 (ko) 2020-05-06 2020-05-06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4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37Y1 (ko) * 2003-01-27 2003-05-13 차성환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셀
KR200312736Y1 (ko) * 2003-01-27 2003-05-13 차성환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이온아이저
KR101610240B1 (ko) * 2014-11-12 2016-04-08 주식회사 리트코 양방향 집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0656A (ja) * 1984-08-14 1986-03-12 Corona Giken Kogyo Kk 電気集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737Y1 (ko) * 2003-01-27 2003-05-13 차성환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셀
KR200312736Y1 (ko) * 2003-01-27 2003-05-13 차성환 전기집진기용 조립식 이온아이저
KR101610240B1 (ko) * 2014-11-12 2016-04-08 주식회사 리트코 양방향 집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857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554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US405637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0724556B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EP0665061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4351648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dual polarity ionizing cell
KR101199552B1 (ko)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US3650092A (en) Electrogasdynamic precipitator utilizing retarding fields
MX2010006810A (es) Uso de un campo electrico para remocion de gotas en un fluido gaseoso.
JPS6097061A (ja) 静電集じん装置
KR101287913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KR101180035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유도전압 전기집진장치
KR102405895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대전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
KR102401439B1 (ko) 슬림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
US2225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 precipitation
SE1950823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100495627B1 (ko) 우레탄 필터를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
KR102405871B1 (ko) 세정부가 일체로 설치된 모듈형 전기집진장치
KR102340994B1 (ko) 와이어방전부를 갖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
KR102311176B1 (ko) 핀형 방전판을 갖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
KR200410985Y1 (ko)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
KR102655859B1 (ko) 집진성능이 향상되는 전기 집진모듈함체
CN210994794U (zh) 静电集尘组件及空气净化装置
KR20110133079A (ko) 멀티힐릭스핀 이오나이저를 갖는 허니컴 집진부를 포함한 전기집진장치
US9574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static bypass
JP3118578U (ja) V字形イオン化空間を備えたイオン化集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